[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0081B1 -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 Google Patents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081B1
KR100780081B1 KR1020070084622A KR20070084622A KR100780081B1 KR 100780081 B1 KR100780081 B1 KR 100780081B1 KR 1020070084622 A KR1020070084622 A KR 1020070084622A KR 20070084622 A KR20070084622 A KR 20070084622A KR 100780081 B1 KR100780081 B1 KR 100780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inet
distribution
bolt
electrical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Priority to KR102007008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0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분전반 내부에 유입되는 물이 분전반 내부의 회로부에 침투하지 못하고 외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단자의 부식과 누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부에 배수홀(15)이 형성된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함(30)과; 상기 전기함에 다수의 피스를 통해 고정되는 기판(21), 상기 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전기함의 배선공을 관통하는 상기 인입 케이블과 공급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인입 케이블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공급 케이블에 분배하는 회로부(32)를 포함하는 베이스패널(30)과;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서부터 체결되어 단부가 상기 전기함을 관통되는 볼트(41), 상기 볼트의 둘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상기 전기함을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스페이서(42), 상기 전기함을 관통한 상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기함을 고정하는 너트(43)로 이루어진 제1지지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전반, 케이블, 지수, 배수

Description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통해 분전반 내부로 침투하는 물이 전기 회로부에는 직접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전기 회로부의 단자의 부식과 누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건물로 인입되는 전기는 반드시 분전반(分電盤)을 통하여 옥내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옥내배선에 있어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 회로마다의 스위치를 설치해 놓은 것으로, 배전반으로부터 소정의 전력공급을 받아 주택이나 빌딩 내의 각 사무실, 공장 등의 전등, 전열, 동력부하 등 각종 부하에 맞게 전력을 배분/차단하여 주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분전반은, 캐비넷(10), 캐비넷(10) 내부에 탑재되며 인입 케이블(1)과 1 라인 이상의 공급 케이블(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베이스패 널(20)로 구성된다.
캐비넷(10)는 일측을 향해 개방된 캐비넷 본체(11) 및 캐비넷 본체(11)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12)로 구성된다. 캐비넷 본체(11)에는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이 관통되는 배선공(13,14)이 형성된다.
베이스패널(20)은 인입 케이블(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공급 케이블(2)로 분배하는 것으로, 캐비넷(10)에 볼트 등으로 체결되는 기판(21), 기판(21) 상에 장착되며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력을 분배하는 회로부(22)(단자 포함) 및 인입 케이블(1)과 회로부(22)를 차단하는 차단기(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차단기와 다수개의 보조차단기 및 그 외 각종 누전차단기들이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조립된 구조로 구성된다.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은 외부로부터 충격에 의한 단선, 누수를 막기 위하여 각각 보호튜브(1a,2a) 내부에 삽입되며, 이 보호튜브(1a,2a)의 단부는 각각 캐비넷(10)의 배선공(13,14)에 각각 결합된다. 즉, 보호튜브(1a,2a)는 캐비넷(10)의 배선공(13,14)에서 마감되고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은 회로부(22)에 접속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분전반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옥내 및 옥외 상관없이 분전반의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의 보호튜브(1a,2a)를 타고 우수 및 습기가 침투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분전반은 구조상 캐비넷(1) 내부에 침투하는 우수와 습기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우수와 습기에 의한 누전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가 인입 케이블과 공급 케이블을 통해 전기 회로부에 침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우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넷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의 전기함과; 상기 전기함 내부에 장착되며 인입 케이블 및 공급 케이블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함은 다수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캐비넷의 내면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에 의하면, 케이블을 따라 흐르는 물이 분전반 캐비넷에 유입되어도 이 물이 전기함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단자의 부식과 누전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은, 벽면 등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넷(10)과; 캐비넷(10) 내부에 탑재되며 후술하는 베이스패널(20)이 내장되는 전기함(30)과; 전기함(30)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패널(20)과; 그리고, 전기함(30)을 캐비넷(10)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다수의 스페이서(4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캐비넷(10)은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공간을 갖으며 좌우 양측에 각각 인입 케이블(1)과 하나 이상의 공급 케이블(2)이 관통되는 배선공(13,14)이 형성된 캐비 넷 본체(11) 및 이 캐비넷 본체의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12)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와 동일하며, 여기에 바닥부에 배수홀(15)이 형성된다. 이 배수홀(15)을 통해 캐비넷 본체(11)에 유입된 물이 배수될 수 있다.
전기함(30)은 다수의 볼트공(31a)이 형성된 사각형의 배면판(31), 배면판(31)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천정부(32), 배면판(31)의 저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배수홀(33a)이 형성된 바닥부(33), 배면판(31)의 좌우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어 천정부(32)와 바닥부(33)를 연결하며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이 배선되는 배선공(34a,35a)이 형성된 측벽(34,35)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기함(30)은 커버(12)측을 향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배선공(34a,35a)을 통해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이 관통되며, 이 배선공(34a,35a)을 통해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원통형의 개스킷(36,37)이 사용된다. 원통형의 개스킷(36,37)은 내부에 각각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이 관통되며 배선공(34a,35a)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배선공(34a,35a)을 수밀한다.
베이스패널(20)은 전기함(30)에 다수의 피스를 통해 고정되는 기판(21), 기판(21)에 장착되며 전기함(30)의 배선공(34a,35a)을 관통하는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인입 케이블(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공급 케이블(2)에 공급하는 회로부(단자 포함)(22) 및 인입 케이블(1)과 회로부(22)를 차단하는 차단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구(40)는 캐비넷(10)의 외부에서부터 체결되어 단부가 전기함(30)의 배면판(31)의 볼트공에 관통되는 볼트(41), 내부에 볼트(41)가 관통되며 전후 양단 부가 각각 전기함(30)의 배면판(31)과 캐비넷 본체(11)의 내면에 지지되어 전기함(30)을 캐비넷 본체(11)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다수의 원통형 스페이서(42), 전기함(30)의 내부에서부터 볼트(41)의 단부에 체결되어 전기함(30)을 볼트(41)측으로 지지하는 너트(4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기함(30)의 설치구조상 전기함(30)이 하부로 처질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전기함(30)의 바닥부(32) 외부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8), 캐비넷 본체(11)의 바닥부 상면에 세워지며 상부가 가이드레일(38)에 끼워져 전기함(3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제2지지구(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지지구(50)는 전기함(30)을 지지함과 아울러 전기함(30)을 캐비넷(10) 내부에 삽입할 때 안내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기함(30)의 설치시 가이드레일(38)을 제2지지구(50)에 맞춰 끼운 후 전기함(30)을 캐비넷 본체(11)의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전기함(30)이 캐비넷 본체(11) 내부로 서서히 삽입되며, 이때, 볼트(41)가 전기함(30)의 볼트공(31a)에 관통되면 전기함(30)이 스페이서(42)에 지지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며, 너트(43)를 볼트(41)에 체결하여 전기함(30)을 고정한다. 전기함(30)은 제1,2지지구(40,50)의 지지를 받아 캐비넷 본체(11)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떠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인입 케이블(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각 공급 케이블(2)로 분배하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 및 보호튜브(1a,2a)를 따라 흐르는 물은 캐비넷 본체(11)에 유입되며, 이 물은 캐비넷 본체(11)의 내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배수홀(15)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전기함(30)에 일부 물, 습기가 침투할 수 있지만, 이 물은 전기함(30)의 내면을 따라 배수홀(33a)을 통해 캐비넷 본체(11)로 배수되어, 상술한 것처럼 캐비넷 본체(11)에서 배수된다.
따라서, 인입 케이블(1)과 공급 케이블(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패널(30)에 물과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므로 단자의 부식을 막을 수 있고 누전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전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의 분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캐비넷, 20 : 베이스패널
30 : 전기함, 40,50 : 지지구

Claims (2)

  1.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공간을 갖으며 좌우 양측에 각각 인입 케이블(1)과 하나 이상의 공급 케이블(2)이 관통되는 배선공(13,14)이 형성되며 바닥부에 배수홀(15)이 형성된 캐비넷 본체(11) 및 이 캐비넷 본체의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12)로 이루어진 캐비넷(10)과;
    다수의 볼트공(31a)이 형성된 사각형의 배면판(31), 상기 배면판의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천정부(32), 상기 배면판의 저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배수홀(33a)이 형성된 바닥부(33), 상기 배면판의 좌우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천정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며 상기 인입 케이블과 공급 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공(34a,35a)이 형성된 측벽(34,35)에 의해 상기 커버측을 향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선공(34a,35a)에 끼워지면서 내부에 상기 인입 케이블과 공급 케이블이 관통되는 원통형의 개스킷(36,37)을 갖는 전기함(30)과;
    상기 전기함에 다수의 피스를 통해 고정되는 기판(21), 상기 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전기함의 배선공을 관통하는 상기 인입 케이블과 공급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인입 케이블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공급 케이블에 분배하는 회로부(22)를 포함하는 베이스패널(20)과;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서부터 체결되어 단부가 상기 전기함의 배면판의 볼트공에 관통되는 볼트(41), 내부에 상기 볼트가 관통되며 전후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전기함의 배면판과 상기 캐비넷 본체의 내면에 지지되어 상기 전기함을 상기 캐비넷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다수의 원통형 스페이서(42), 상기 전기함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기함을 상기 볼트측으로 지지하는 너트(43)로 이루어진 제1지지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함의 바닥부 외부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8), 상기 캐비넷의 캐비넷 본체의 바닥부 상면에 세워지며 상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상기 전기함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제2지지구(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KR1020070084622A 2007-08-22 2007-08-22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Active KR10078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22A KR100780081B1 (ko) 2007-08-22 2007-08-22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22A KR100780081B1 (ko) 2007-08-22 2007-08-22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081B1 true KR100780081B1 (ko) 2007-12-03

Family

ID=3913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622A Active KR100780081B1 (ko) 2007-08-22 2007-08-22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08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78B1 (ko) 2011-08-25 2011-11-08 썬덴코리아 주식회사 낙뢰 및 전자파 보호를 위한 이중 차폐 구조의 전기설비 패널
KR101205337B1 (ko) 2012-09-10 2012-11-2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101242563B1 (ko) 2013-01-07 2013-03-19 애니콤정보통신 주식회사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KR101247364B1 (ko) 2012-11-15 2013-03-26 김종선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1247349B1 (ko) 2012-11-19 2013-03-26 김종선 특고압 송전 및 배전 전용 지중전선 설치대
KR101247348B1 (ko) 2012-11-20 2013-03-26 김종선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KR101247366B1 (ko) 2012-11-16 2013-03-26 김종선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중송전 및 배전선 전용 보호관 조립체
KR101629844B1 (ko) * 2015-09-24 2016-06-13 청진산전 주식회사 방진 및 방수효과를 갖는 지능형 분전함
JP2019012785A (ja) * 2017-06-30 2019-01-24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筐体及び電気機器
KR101985315B1 (ko) 2018-11-20 2019-06-05 주식회사 에코전력 염해 내성이 강한 태양광 분전반 및 그 제조방법
KR102089070B1 (ko) * 2019-06-24 2020-03-16 (주)이에스엔지니어링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6728A (ja) * 1988-09-01 1990-03-06 Nec Corp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98670A (ja) * 1989-09-13 1991-04-24 Hirano Tecseed Co Ltd 塗工装置
JPH0398669A (ja) * 1989-09-08 1991-04-24 Seiko Epson Corp 転写ヘッド
KR950031567A (ko) * 1994-05-31 1995-12-18 쓰지 요시후미 서스펜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6728A (ja) * 1988-09-01 1990-03-06 Nec Corp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98669A (ja) * 1989-09-08 1991-04-24 Seiko Epson Corp 転写ヘッド
JPH0398670A (ja) * 1989-09-13 1991-04-24 Hirano Tecseed Co Ltd 塗工装置
KR950031567A (ko) * 1994-05-31 1995-12-18 쓰지 요시후미 서스펜션 제어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5-0031567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6728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8669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8670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78B1 (ko) 2011-08-25 2011-11-08 썬덴코리아 주식회사 낙뢰 및 전자파 보호를 위한 이중 차폐 구조의 전기설비 패널
KR101205337B1 (ko) 2012-09-10 2012-11-29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101247364B1 (ko) 2012-11-15 2013-03-26 김종선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1247366B1 (ko) 2012-11-16 2013-03-26 김종선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중송전 및 배전선 전용 보호관 조립체
KR101247349B1 (ko) 2012-11-19 2013-03-26 김종선 특고압 송전 및 배전 전용 지중전선 설치대
KR101247348B1 (ko) 2012-11-20 2013-03-26 김종선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KR101242563B1 (ko) 2013-01-07 2013-03-19 애니콤정보통신 주식회사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KR101629844B1 (ko) * 2015-09-24 2016-06-13 청진산전 주식회사 방진 및 방수효과를 갖는 지능형 분전함
JP2019012785A (ja) * 2017-06-30 2019-01-24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筐体及び電気機器
KR101985315B1 (ko) 2018-11-20 2019-06-05 주식회사 에코전력 염해 내성이 강한 태양광 분전반 및 그 제조방법
KR102089070B1 (ko) * 2019-06-24 2020-03-16 (주)이에스엔지니어링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081B1 (ko)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KR100873745B1 (ko) 송배전단자 누전방지 보호장치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US9124077B2 (en) Meter socket and load center combination apparatus,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US6667437B2 (en) Pedestal for outdoor circuits
KR20180025497A (ko)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EP3263803A1 (en) Substation
CN210111403U (zh) 一种发电车接入箱
KR20220168016A (ko) 집합 단자대
KR100765455B1 (ko) 누전 방지용 분전반
KR100907677B1 (ko) 배전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방지 장치
KR20100107883A (ko) 조립식 일체형 분전반
US10826281B2 (en) Ground bus subassemblies, power distribution subassemblies, and assembly methods
US7855337B2 (en) Electrical systems, facilities, and methods with power pedestals having EUFER grounding
KR101874988B1 (ko) 부하개폐기
KR101163751B1 (ko) 옥외 배전반용 지붕 패널
US8461453B2 (en) Wind turbine wiring enclosure cabinet
JP2002199515A (ja) 分電盤ユニットおよびそれで構成される分電盤
KR101570788B1 (ko) 케이블트레이가 구비된 모듈형 배전반
KR200379735Y1 (ko) 분전반용 부스바 안전커버 고정장치
CN214754857U (zh) 一种电力工程用的安全性高的高低压配电柜
RU21254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9247306U (zh) 防爆防反渗的箱式变电站
RU2199174C2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