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923B1 - Intake device of motorcycle - Google Patents
Intake device of motorcy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9923B1 KR100779923B1 KR1020050073945A KR20050073945A KR100779923B1 KR 100779923 B1 KR100779923 B1 KR 100779923B1 KR 1020050073945 A KR1020050073945 A KR 1020050073945A KR 20050073945 A KR20050073945 A KR 20050073945A KR 100779923 B1 KR100779923 B1 KR 1007799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cover
- intake
- cas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2—Motorcycles; All-terrain vehicles, e.g. quads, snowmobiles; Small vehicles, e.g. forklif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흡기 덕트의 외주를 넓은 범위에서 덮어 방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리어 펜더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간극을 유지하여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ake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cov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take duct in a wide range to improve waterproofness and maintain drainage between the rear fender and the air cleaner case to improve drainage.
에어 클리너 케이스(51) 내로의 흡기를 행하는 흡기 덕트(53)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51)의 케이스 커버(61)측에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61)에 상기 흡기 덕트(53)의 외주를 덮는 덕트 커버(112)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take duct 53 for intake into the air cleaner case 51 is provided on the case cover 61 side of the air cleaner case 5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take duct 53 is attached to the case cover 6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ing the duct cover 112 is integrally install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motorcyc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자동 이륜차의 에어 클리너 장치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air cleaner device of the motorcycle;
도 3은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의 상면도, 3 is a top view of the air cleaner device,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5는 도 2의 요부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도 6은 도 2의 다른 요부 확대도, 6 is another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도 7은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의 엘리먼트 홀더를 도 2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FIG. 7 is a view of an element holder of the air cleaner device as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 B of FIG. 2;
도 8은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의 케이스 커버를 도 2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FIG. 8 is a view of the case cover of the air cleaner device seen in the direction of arrow B of FIG. 2;
도 9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측면도,9 is a side view of the case cover;
도 10은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의 덕트 커버의 상면도,10 is a top view of the duct cover of the air cleaner apparatus,
도 11은 상기 덕트 커버의 측면도, 11 is a side view of the duct cover;
도 12는 상기 덕트 커버의 후면도,12 is a rear view of the duct cover;
도 13은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의 분해 측면도,13 is an exploded side view of the air cleaner apparatus;
도 14는 상기 덕트 커버의 전방 걸림 부재 및 전방 걸림부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locking member and the front locking portion of the duct cover;
도 15는 상기 덕트 커버의 후방 걸림 부재 및 후방 걸림부의 사시도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locking member and a rear locking portion of the duct cov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자동 이륜차(차량)1: motorcycle (vehicle)
42 : 리어 펜더42: rear fender
50 : 에어 클리너 장치(흡기 장치)50: air cleaner device (intake device)
51 : 에어 클리너 케이스51: air cleaner case
53 : 흡기 덕트53: intake duct
61 : 케이스 커버61: Case Cover
108 : 덕트 끼워맞춤홈부(부착부)108: duct fitting groove (attachment)
112 : 덕트 커버112: Duct Cover
116 : 덕트 관통용 개구부(개구부)116: opening through the duct (opening)
124 : 리브124 rib
128 : 돌출형상 걸림부(걸림부)128: protruding shape locking part (locking part)
141 : 전방 걸림부(걸림부)141: front locking portion (locking portion)
147 : 후방 걸림부(걸림부)147: rear locking portion (locking portion)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 등에 적합한 차량의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apparatus of a vehicle suitable for a motorcycle or the like.
종래, 차량의 흡기 장치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 내로의 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흡기 덕트의 흡입구와 대향하는 리어 펜더 상에 방수용 리브를 설치한 것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등록 공보 제3308340호 참조).Conventionally, in the intake apparatus of a vehicle, in order to prevent intrusion of water into the air cleaner case, a watertight rib is provided on the rear fender facing the intake port of the intake duct of the air cleaner cas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3308340).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으로는 방수용의 리브의 범위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리어 펜더 및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조립 오차에 따라서는 이들 사이의 간극이 증감하여 리어 펜더 위를 흐르는 물의 배수성에 영향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configuration has had a limitation on the range of the rib for waterproofing.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assembly error of the rear fender and the air cleaner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p between them increases and decreases, affecting the drainage of water flowing on the rear fender.
따라서 본 발명은 흡기 덕트의 외주를 넓은 범위에서 덮어 방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리어 펜더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간극을 유지하여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take apparatus that can cov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take duct in a wide range to improve waterproofness and maintain drainage between the rear fender and the air cleaner case to improve drainage.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예컨대 실시예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51)) 내로의 흡기를 행하는 흡기 덕트(예컨대 실시예의 흡기 덕트(53))를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케이스 커버(예컨대 실시예의 케이스 커버(61))측에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에 상기 흡기 덕트의 외주를 덮는 덕트 커버(예컨대 실시예의 덕트 커버(112))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invention described in
이 구성에 따르면, 덕트 커버에 의해 흡기 덕트 주위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덕트 커버를 케이스 커버와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cover a relatively wide range around the intake duct by the duct cover. In addition, it becomes possible to handle the duct cover integrally with the case cover.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덕트 커버가 상기 흡기 덕트를 관통시키는 개구부(예컨대 실시예의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를 상기 흡기 덕트의 상기 케이스 커버로의 부착부(예컨대 실시예의 덕트 끼워맞춤부(108))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described in
이 구성에 따르면, 흡기 덕트의 부착부와 덕트 커버의 부착부를 공용하고 이들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becomes possible to share the attachment part of an intake duct and the attachment part of a duct cover, and to simplify these attachment structures.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덕트 커버의 외주부를 상기 케이스 커버에 설치한 걸림부(예컨대 실시예의 각 걸림부(128, 141, 147))에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described in
이 구성에 따르면, 덕트 커버를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케이스 커버에 부착한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덕트 커버 외주부의 부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uct cover is attached to the case cover by using a fastener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se attachment structures. In addition, the floating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uct cov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 때,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기 덕트 커버의 후방부를 리어 펜더(예컨대 실시예의 리어 펜더(42))에 거는 구성으로 하면 리어 펜더와 덕트 커버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t this time, as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덕트 커버 후방부의 상기 리어 펜더와의 대향면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예컨대 실시예의 리브(12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a rib (for example, the
이 구성에 의하면, 덕트 커버 후방부와 리어 펜더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duct cover rear portion and the rear fender.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덕트 커버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이 구성에 따르면, 시트의 바닥판 등과 간섭해도 용이하게 변형하여 이것을 양호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if it interferes with the bottom plate of a sheet | seat, it becomes easy to deform | transform and can absorb this favorab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의 전후 좌우 등의 방향은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차량에서의 방향과 동일하게 한다. 또한, 도면에서 화살표 FR은 차량 앞쪽을, 화살표 LH는 차량 왼쪽을, 화살표 UP는 차량 위쪽을 각각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back, front, left, right, etc.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ade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a vehicle unless there is particular description. In the drawing, arrow FR indicates the front of the vehicle, arrow LH indicates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and arrow UP indicates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이륜차(차량 : 1)의 전륜(2)을 피봇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프론트 포크(3)는 스티어링 스템(4)을 통해 차체 프레임(5)의 전단부에 설치된 헤드 파이프(6)에 조타 가능하게 피봇되고, 후륜(7)을 피봇 지지하는 스윙 아암(8)은, 그 전단부가 차체 프레임(5)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 피봇축(9)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된다. 차체 프레임(5)은 헤드 파이프(6)의 상부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된 후에 아래쪽으로 만곡되어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11)을 주로 한 소위 다이아몬드형으로 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하단부 양측에 부착된 피봇축 플레이트(12)와, 헤드 파이프의 하부에서 경사져 후방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운 튜브(13)의 하단부를 차체 중앙에 탑재된 엔진(14)의 크랭크 케이스(15)의 전후에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14)이 다운 튜브(13) 및 피봇축 플레이트(12)를 통해 차체 프레임(5)에 현가된다. As shown in FIG. 1, a pair of left and
메인 프레임(11)의 상부 후측에는 뒤쪽으로 연장되는 시트 프레임(16)의 전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16)의 중간부에는 피봇축(9) 근방에서 경사져 상방 뒤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17)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1)의 뒤쪽에는 리어 쿠션(18)이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자세로 설치되고, 상기 리어 쿠션(18)의 상단부가 메인 프레임(11)에, 하단부가 스윙 아암(8)에 각각 연결된다. 후륜(7)의 좌측에는 리어 스프라킷(19)이 부착되고, 이 리어 스프로켓(19)과 엔진(14)의 후방부 좌측에 설치된 드라이브 스프라킷(21)에는 드라이브 체인(22)이 걸려 엔진(14)의 구동력을 후륜(7)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스윙 아암(8)의 좌측부에는 드라이브 체인(22) 및 리어 스프로켓(21)을 수용하는 체인 케이스(23)가 부착된다.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11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엔진(14)의 위쪽에는 메인 프레임(11)에 지지된 연료 탱크(24)가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24)의 뒤쪽에는 시트 프레임(16)에 지지된 시트(25)가 설치된다. 시트(25)는 그 전반부(前半部)가 운전자용으로 되고, 후반부(後半部)가 후방부 탑승자용으로 되는 것이다. 피봇축 플레이트(12)의 하부 전측에는 운전자용 스텝(26)이 지지되어 있고, 피봇축 플레이트(12)의 하부 후측에는 경사져서 상방 뒤쪽으로 연장되는 스텝 홀더(27)가 설치되고, 상기 스텝 홀더(27)의 후단부에 후방부 탑승자용 스텝(28)이 지지된다. 피봇축 플레이트(12)의 하단부에는 메인 스탠드(29) 및 사이드 스탠드(31)가 각각 수용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티어링 스템(4)의 상부에는 바 핸들(32)이 부착되고, 프론트 포크(3)의 중간부에는 프론트 펜더(33)가 부착된다. 또한, 스티어링 스템(4)에는 도시하지 않는 지지 스테이를 통해 헤드 램프(34), 프론트 윙커(winker; 35) 및 미터 장치(36) 등과 함께 어퍼 카울(37)이 부착 된다. A
차체 프레임(5)의 중앙부 양측에는 연료 탱크(24) 후방부에서 시트(25) 전방부에 걸쳐 차체 측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38)가 장착되고, 차체 프레임(5)의 후방부에는 시트(25) 후방부의 아래쪽에서 뒤쪽에 걸쳐 차체를 덮는 리어 카울(39)이 장착된다. 리어 카울(39)의 후단부에는 테일 램프(41)가 설치되고, 또한 리어 카울(39)의 내측에는 후륜(7)의 상부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덮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는 리어 펜더(42)가 설치된다. 리어 펜더(42)에서의 테일 램프(41)의 아래쪽에 있는 부위에는 리어 윙커(43)가 부착된다. 차체 후방부 좌측에는, 예컨대 강재(鋼材)를 격자형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스 가드(dress guard; 44)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스 가드(44)의 상단부가 시트 프레임(16)의 후방부에 부착된다. 시트 프레임(16) 후단부에는 시트(25) 후단부 양측에서 경사져서 상방 뒤쪽으로 연장되어 리어 카울(39) 위에 걸쳐있는 그랩바(grab bar; 45)가 부착된다. Side covers 38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body frame 5 to cover the vehicle body side from the rear of the
엔진(14)의 크랭크 케이스(15) 상에는 실린더부(46)가 약간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세워져 설치된다. 실린더부(46)의 전방부에는 배기관(47)이 접속되고, 상기 배기관(47)이 크랭크 케이스(15)의 앞쪽 및 아래쪽을 통과한 후에 차체 후방부 우측에 설치된 사일렌서(silencer; 48)에 접속된다. 또한, 실린더부(46)의 후방부에는 캬브레터(49)의 하류측이 접속되고, 상기 캬브레터(49)의 상류측에는 대략 차체 중앙에 배치된 에어 클리너 장치(흡기 장치 : 50)가 접속된다. On the crankcase 15 of the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 장치(50)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51) 내에 엔진(14)의 흡입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이하, 단순히 엘리먼트(52)라 함 : 52)를 수용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에어 클리너 케이스(51)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를 주로 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그 상벽 부분에 대략 뒤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예컨대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흡기 덕트(53)가 접속됨과 동시에, 전벽 좌측 부분에는 대략 앞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동일하게 EPDM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팅 튜브(54)가 접속된다. 이러한 에어 클리너 장치(50)에 있어서, 캬브레터(49)의 밸브가 개방되면, 엔진(14)의 흡입 부압에 의해 흡기 덕트(53) 후단의 흡입구(55)로부터 에어 클리너 케이스(51) 내에 외기가 흡입되고, 상기 외기가 엘리먼트(52)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에 커넥팅 튜브(54)및 캬브레터(49)를 통해 엔진(14)에 도입된다. 한편, 커넥팅 튜브(54)에는 흡기음 저감용 레조네이터(resonator; 54a)가 설치된다. The
에어 클리너 케이스(51)는 위쪽을 향해서 개구되는 박스형의 케이스 본체(56)와, 상기 케이스 본체(56)의 상부 개구부(57)를 엘리먼트(52) 설치용 개구(이하, 엘리먼트용 개구부라 함: 59)를 남겨두고 폐색하는 엘리먼트 홀더(58)와, 상기 엘리먼트 홀더(58)의 엘리먼트용 개구부(59)를 흡기 덕트(53) 설치용 개구(이하, 덕트용 개구부라 함 : 62)를 남겨두고 폐색하는 케이스 커버(6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56)의 상부 개구부(57)는 뒤로 하강하면서 완만하게 경사하는 분할 평면(H)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분할 평면(H)에 맞닿도록 하여 엘리먼트 홀더(58)가 케이스 본체(56)에 장착된다. The
엘리먼트(52)는 벨로즈형으로 접어포개진 여과지(63)를 상면에서 보아 거의 각형을 이루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제의 프레임(64)으로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체으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편평 직방체형상의 외관을 가지고, 그 두께 방향을 상기 분할 평면(H)과 직교시키도록 하여 엘리먼트 홀더(58)의 엘리먼트용 개구부(59)에 장착된다. 이러한 엘리먼트(52)를 그 두께 방향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서 외기가 통과하여 여과된다. The
케이스 본체(56)는 엘리먼트(52)의 아래쪽 즉 하류측에서 소정의 흡기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면에서 보아서는 엘리먼트(52)보다도 대형(大型)이 되도록 설치된다. 케이스 본체(56)의 전방부 우측에는 그 전벽 우측부(65)를 경사진 우측 앞쪽으로 변위시키는 우측 전방 연장부(66)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전벽 우측부(65)에는 커넥팅 튜브(54) 접속용 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커넥팅 튜브(54)가 그 후단부를 케이스 본체(56) 내를 면하도록 끼워맞춰져 유지된다. 한편, 케이스 본체(56)의 하부 전측에는 리어 쿠션(18)을 피하기 위해 뒤로 하강하면서 경사된 경사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방 후퇴부(67)가 설치됨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56)의 하부 후측에는 서브 프레임(17)을 피하기 위해 뒤로 상승하며 경사진 경사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후방 후퇴부(68)가 설치된다. The case
케이스 본체(56)의 하부 우측에서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는 차폭 방향을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우회 볼트 삽입 관통부(69a)가 마련됨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56)의 상부 좌측에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분할 평면(H)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면직 방향이라는 경우가 있음)을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좌전방 및 좌후방 볼트 삽입 관통부(69b, 69c)가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각 볼트 삽입 관통 구멍(69a, 69b, 69c)에 삽입 관통된 상기 볼트를 이들에 대응하여 차체 프레임(5)에 적절하게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체결부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에어 클리너 케이스(51) 나아가서는 에어 클리너 장치(50)가 차체 프레임(5)에 고정된다. In the middle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lower right side of the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엘리먼트 홀더(58)는 상면에서 보아 케이스 본체(56)의 상부 개구부(57)와 대략 동일한 외형상을 갖는 판형의 것으로, 그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엘리먼트용 개구부(59)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부에는 상기 면직 방향을 따라서 태핑 볼트(72)(도 3 참조)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볼트 삽입 관통부(71)가 복수 개소(7개소)에 적절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각 볼트 삽입 관통부(71)에 삽입 관통된 태핑 볼트(72)를 이들에 대응하여 케이스 본체(56)의 상부 개구부(57)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엘리먼트 홀더(58)가 케이스 본체(56)에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7 together, the
엘리먼트 홀더(58)의 엘리먼트용 개구부(59)는 상면에서 보아 엘리먼트(52)의 외형상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또한 그 양측의 긴변 부분이 동일하게 엘리먼트(52)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여 외주측을 향해서 돌출형상이 되도록 완만하게 만곡되게 마련된다. The
또한, 엘리먼트용 개구부(59)의 좌측부 전방측 및 우측부 중앙에는 엘리먼트(52)의 외형에 대응하여, 상기 엘리먼트용 개구부(59)의 외형의 일부를 내측에 변화시켜 이루어지는 좌측 오목부(95) 및 우측 오목부(96)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각 오목부(95, 96)에 의해 엘리먼트(52) 장착 시에 그 방향 및 표리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Moreover, the
여기에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먼트 홀더(58)의 외주부 하면측에는 상기 면직 방향 하측으로 돌출하는 짧은 리브부(74)가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짧은 리브부(74)와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홈부(75)가 케이스 본체(56)의 상부 개구부(57) 둘레 가장자리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된다. 끼워맞춤 홈부(75) 내에는 시일 부재(76)가 설치되어 있고, 짧은 리브부(74)와 끼워맞춤 홈부(75)가 서로 끼워맞춰짐으로써 짧은 리브부(74)의 선단이 끼워맞춤 홈부(75) 내에서 시일 부재(76)와 가압되고 이렇게 케이스 본체(56)의 상부 개구부(57) 둘레 가장자리부가 밀봉된다. Here, as shown in FIG. 5, a
도 2, 3,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61)는 엘리먼트 홀더(58)의 엘리먼트용 개구부(59)로부터 위쪽으로 팽출하도록 설치된 상하로 편평한 덮개형의 것으로, 그 상벽부(77)의 외주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외주벽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하면측에는 엘리먼트용 개구부(59)와 정합하는 하부 개구부(78)가 형성된다. 케이스 커버(61)의 상벽부(77)는 그 전반부분인 대략 수평인 전방 수평부(79)와, 후반부분인 뒤로 하강하면서 경사된 후방 경사부(81)를 가지고, 상기 상벽부(77)의 중앙보다도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전방 수평부(79)와 후방 경사부(81)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상기 덕트용 개구부(62)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2, 3, 8, and 9, the case cover 61 is of an up and down flat cover type provided to swell upward from the element opening 59 of the
이러한 케이스 커버(61)의 양측부 전측 및 후측의 총 4개소에는 상기 면직 방향을 따라서 볼트(83)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볼트 삽입 관통부(82)가 각각 마련됨과 동시에, 이들 각 볼트 삽입 관통부(82)에 대응하는 체결부(84)가, 엘리먼트 홀더(58)의 엘리먼트용 개구부(59) 둘레 가장자리부에 각각 마련된다(도 4, 7 참조). 각 체결부(84)에는 너트(85)가 인서트되어 있고, 이러한 각 체결부(84)에 각 볼트 삽입 관통부(82)에 삽입 관통된 볼트(83)를 각각 체결함으로써 케이스 커버(61)가 엘리먼트 홀더(58)에 고정된다. A total of four places at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ase cover 61 are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through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먼트(52)의 프레임(64)에는 상기 엘리먼트(52)의 두께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외주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짧은 플랜지부(86)가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짧은 플랜지부(86) 선단으로부터는 상기 두께 방향(면직 방향) 하측 및 상측으로 돌출하는 하방 짧은 리브부(87) 및 상방 짧은 리브부(88)가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이들 짧은 플랜지부(86) 및 각 짧은 리브부(87, 88)에 의해 프레임(64) 외주에는 단면이 대략 T자형인 피유지부(89)가 형성된다. Here, as shown in Fig. 5, the
한편, 엘리먼트 홀더(58)의 엘리먼트용 개구부(59)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엘리먼트(52)의 피유지부(89)의 하방 짧은 리브부(87)와 끼워맞춤 가능한 하방 끼워맞춤 홈부(91)가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됨과 동시에, 케이스 커버(61)의 하부 개구부(78)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엘리먼트(52)의 피유지부(89)의 상방 짧은 리브부(88)와 끼워맞춤 가능한 상방 끼워맞춤 홈부(92)가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그리고, 각 끼워맞춤 홈부(91, 92)와 각 짧은 리브부(87, 88)를 끼워맞추도록 피유지부(89)를 엘리먼트 홀더(58)와 케이스 커버(61)에 끼움으로써 에어 클리너 케이스 (51)에 엘리먼트(52)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of the element opening 58 of the
각 끼워맞춤 홈부(91, 92) 내에는 각각 시일 부재(93, 94)가 설치되어 있고, 각 끼워맞춤 홈부(91, 92)와 각 단부(87, 88)가 끼워맞춰짐으로써 각 짧은 리브부(87, 88)의 선단이 각 끼워맞춤 홈부(91, 92) 내에서 각 시일 부재(93, 94)에 가압되고, 이렇게 엘리먼트용 개구부(59) 및 하부 개구부(78)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밀봉된다. Each of the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엘리먼트 홀더(58)의 엘리먼트용 개구부(59)에는 분할 평면(H)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이루어지는 하단(下段) 플랜지부(99)가 설치된다. 상기 하단 플랜지부(99)는 엘리먼트용 개구부(59)에 대하여 소형의 하단 개구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 개구부(101)의 양측의 긴변 부분에는 내주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102)가 전후로 1개소씩 총 4개소 형성되고, 상기 각 돌출부(102)에는 엔진(14)의 백 파이어로부터 엘리먼트(52)를 보호하기 위한 가는 눈의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 가드(103)의 외주부가 유지,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7 together, the lower
엘리먼트 홀더(58)의 전방부 상면측에서 엘리먼트용 개구부(59)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위에는 시일 부재(104)가 접합되고, 상기 시일 부재(104)가 케이스 커버(61)의 전방 가장자리부 선단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엘리먼트용 개구부(59) 및 하부 개구부(78)의 바로 앞 부위에 다시 시일이 실시된다. 또한, 엘리먼트 홀더(58)의 전방부 상면측에서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좌우의 볼트의 삽입 관통부(71)보다도 전측이 되는 외주부에는 상기 면직 방향 상측으로 돌출하는 외주 짧은 리브부(105)가 따르도록 설치된다. 또한, 엘리먼트 홀더(58)의 전방부 양측에는 차체 프레임(5)에 접촉하는 댐퍼 고무(10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벽부(107)가 상기 외주 짧은 리브부(105)의 일부를 자르도록 하여 설치된다. A
도 2,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흡기 덕트(53)는 차폭 방향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좌우 방향(차폭 방향)으로 폭이 넓은 단면 대략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도 12 참조), 그 상반부가 케이스 커버(61)의 상벽부(77)로부터 위쪽에 팽출한 후에 뒤쪽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하반부가 케이스 커버(61)의 상벽부(77)로부터 직접 뒤쪽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흡기 덕트(53) 후단의 흡입구(55)는 케이스 커버(61)의 후단 근방에서, 그 중심 높이가 케이스 커버(61)의 상벽부(77)의 전방 수평부(79) 높이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흡기 덕트(53)의 기단 외주부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외주측을 향해서 개방되는 덕트 끼워맞춤 홈부(부착부: 108)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 끼워맞춤 홈부(108)는 덕트용 개구부(6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그 내주측에서 끼워맞춤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덕트 끼워맞춤 홈부(10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61)의 상면에 밀접하는 상부 립부(109)와, 케이스 커버(61)의 하면에 밀접하는 하부 립부(111)를 가지고, 이들 각 립부(109, 111)로 덕트용 개구부(62)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끼워넣음과 동시에, 상기 덕트 끼워맞춤 홈부(108)의 저부에 덕트용 개구부(62)의 내측 가장자리를 밀접시킴으로써 덕트용 개구부(62)가 밀봉됨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흡기 덕트(53)가 케이스 커버(61)에 지지된다. The base end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 덕트(53)의 흡입구(55)는 뒤쪽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고, 이 흡입구(55)의 위쪽에는 시트(25)의 바닥판(25a)이 배치됨과 동시에, 양측쪽에는 상기 사이드 커버(38) 및 리어 카울(39)이 배치되고, 또한 뒤쪽에는 리어 펜더(42)가 배치됨으로써 바닥판(25a), 사이드 커버(38), 리어 카울(39) 및 리어 펜더(42)에 의해 흡입구(55)의 주변이 둘러싸여 흡기 덕트(53) 내로의 물이나 진흙 등의 이물의 침입이 저지되어 있지만, 우천 연속 주행시나 세차시 등에서의 흡기 덕트(53) 내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지하기 위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50)에서는 흡입구(55) 주변에 적절하게 격벽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흡기용 공간을 형성하는 덕트 커버(112)가 설치된다. 도 2, 3, 8,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커버(112)는 흡기 덕트(53)의 외주 전체 둘레를 덮으며, 또한 케이스 커버(61)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이 케이스 커버(61)에 설치된다. 흡기 덕트(53)는 케이스 커버(61)에 설치된 개구부(62) 및 덕트 커버(112)에 설치된 개구부(116)를 통과하게 된다.
도 3, 10,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덕트 커버(112)는 예컨대(PVC(폴리염화비닐))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케이스 커버(61)의 상벽부(77)에 그 위쪽으로부터 거의 전면적으로 접촉 가능한 정합 벽부(113)의 뒤쪽에, 후술하는 수직하강 벽부(121), 저벽부(122) 및 이격 벽부(123)가 설치된 기본 구성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2, the
Referring to FIGS. 3, 10, and 11 together, the
삭제delete
정합 벽부(113)는 그 전방 가장자리부가 케이스 커버(61)의 상벽부(77)의 전방 가장자리부보다도 소정량 뒤쪽에 위치함으로써 상면에서 보아 대략 정방형상을 이루고, 그 전반 부분은 상기 전방 수평부(79)에 대응하는 전방 정합 수평부(114)가 되고, 후반 부분은 상기 후방 경사부(81)에 대응하는 후방 정합 경사부(115)가 된다. 이러한 정합 벽부(113)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방 정합 수평부(114)와 후방 정합 경사부(115)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가 설치된다. The matching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는 케이스 커버(61)의 덕트용 개구부(62)보다도 훨씬 대형이 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흡기 덕트(53)의 덕트 끼워맞춤 홈부(108)의 상부 립부(109)는, 그 상면측 외주부에서 더욱 외주측으로 돌출하여 덕트 커버(112)의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의 둘레 가장자리부 상면에 밀접하는 서브 립부(109a : 도 6 참조)를 가지고, 이 서브 립부(109a)와 케이스 커버(61)로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끼워넣음과 동시에, 상부 립부의 외부 가장자리에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의 내부 가장자리를 밀접시킴으로써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가 밀봉됨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덕트 커버(112)가 흡기 덕트(53)와 함께 케이스 커버(61)에 지지된다. The
정합 벽부(113)의 전방 가장자리부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전방 기립 벽부(117)가 설치되고, 또한 정합 벽부(113)의 전방 정합 수평부(114)와 후방 정합 경사부(115)의 능선 부분에는 동일하게 위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중간 기립 벽부(118)가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를 끼워 좌우로 나누어지도록 설치된다. 한편, 각 중간 기립 벽부(118)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차폭 방향 외측의 상부 가장자리의 높이가 차폭 방향 내측의 상부 가장자리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단차형으로 형성된다. A front standing
여기서, 흡기 덕트(53)에서의 각 중간 기립 벽부(118)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그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형 벽부(119)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형 벽부(119)의 양측부에 각 중간 기립 벽부(118)의 흡기 덕트(53)측의 단부가 접촉함으로써 각 중간 기립 벽부(118)와 플랜지형 벽부(119)가 덕트 커버(112)의 전체 폭에 걸쳐 일체적으로 연속해있도록 되어 있다(도 12 참조). Here, a flange-shaped
덕트 커버(112)의 후방부에는 정합 벽부(113)의 후방 가장자리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엘리먼트 홀더(58)의 상면에 이르는 수직하강 벽부(121)와, 상기 수직하강 벽부(121)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분할 평면(H)을 따라 뒤쪽으로 연장되는 저벽부(122)와, 상기 저벽부(122)의 후단부에서 그 바로 뒤쪽에 위치하는 리어 펜더(42)의 상부 전측을 따라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이격 벽부(123)가 설치된다. 이격 벽부(123)는 리어 펜더(42)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어 배치되는 것으로, 리어 펜더(42)의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진 상방 앞쪽에 돌출형상의 대략 구형을 이루고(도 12 참조), 평탄한 저벽부(122)와는 상면에서 보아 앞쪽에 돌출형상의 원호형의 교선을 형성하고 있다. The rear portion of the
도 12를 더불어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격 벽부(123)의 이면측(하면측), 바꾸어 말하면 리어 펜더(42)와의 대향면측에는 측면에서 보아 이격 벽부(123)의 형상을 따르는 원호형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리브(124)가 설치된다. 각 리브(124)는 전후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어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돌출 높이가 되도록 설치된다. 각 리브(124)의 돌출 높이는 리어 펜더(42)와 이격 벽부(123) 사이의 간극과 동일하게 되고, 따라서 덕트 커버(112)와 리어 펜더(42) 사이에는 각 리브(124) 선단이 리어 펜더(42)에 접촉함으로써 소정의 간극이 확보된다. 한편, 이격 벽부(123)의 양측부에는 성형 편의 상 및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편의 상 모따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d apart wall 123 (in other words, the opposite side to the rear fender 42)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spaced apart
이격 벽부(123)는 차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흡기 덕트(53) 및 흡입구(55)의 대부분과 후면에서 보아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덕트 커버(112)의 양측부로서 각 중간 기립 벽부(118)보다도 뒤쪽이 되는 부위는 차폭 방향과 직교하는 측벽부(125)가 각각 설치된다. 각 측벽부(125)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상부 가장자리 높이가 흡기 덕트(53)의 상측 높이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치된다. The
이러한 각 측벽부(125), 이격 벽부(123), 저벽부(122), 수직하강 벽부(121), 후방 정합 경사부(115), 각 중간 기립 벽부(118) 및 흡기 덕트(53)의 플랜지형 벽부(119)가 시트(25)의 바닥판(25a)과 함께 흡기 덕트(53)의 흡입구(55)의 외주를 둘러싸므로써 상기 흡입구(55) 주변에는 측면에서 보아 대강 역삼각형상을 이루는 흡기용 공간부(K)가 형성되고, 이러한 흡기 덕트(53) 내로의 물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The plan of each of the
즉, 각 중간 기립 벽부(118) 및 플랜지형 벽부(119)가 흡입구(55) 앞쪽을 덮는 격벽이 되고, 에어 클리너 케이스(51) 위를 따라 흐르는 등에 의한 흡입구(55)측으로의 물의 이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이격 벽부(123)가 흡입구(55) 뒤쪽의 격벽이 되어 리어 펜더(42) 위를 따라 흐르는 등에 의한 흡입구(55)측으로의 물의 이동이 방지되고, 또한 양 측벽부(125)가 흡입구(55) 양측쪽에서의 격벽이 되며, 시트(25), 사이드 커버(38) 및 리어 카울(39) 등의 각 부품간의 간극으로부터의 흡입구(55)로의 물의 이동이 방지된다. That is, each of the intermediate
여기서, 덕트 커버(112) 전단부에서는 전방 기립 벽부(117)가 격벽이 되어 그 후방 즉, 흡입구(55)로의 물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이격 벽부(123)와 리어 펜더(42) 사이에 있어 서는 각 리브(124)에 의해 소정의 간극이 확보됨으로써 리어 펜더(42) 위를 흐르는 물을 양호하게 배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Here,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좌측의 측벽부(125)에는 전후 방향에서는 중간 기립 벽부(118)로부터 저벽부(122) 후단 근방에 걸치도록, 상하 방향에서는 저벽부(122)로부터 이격 벽부(123) 중앙 근방에 걸치도록 흡기용 공간부(K) 내로의 주된 공기 도입구가 되는 측벽 개구부(126)가 설치된다. 이 측벽 개구부(126)에는 흡기용 공간부(K) 내로의 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측벽 개구부(126)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르는 전방벽과 상부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상벽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차양부(127)가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다. The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 덕트(53) 및 덕트 커버(112)는 흡기 덕트(53)의 덕트 끼워맞춤 홈부(108)를 공유함으로써 케이스 커버(61)에 일체적으로 부착되게 되고, 엘리먼트(52)의 보수 시에는 상기 각 볼트(83)를 착탈하는 것만으로 엘리먼트 홀더(58)에 대하여 흡기 덕트(53) 및 덕트 커버(112)를 케이스 커버(61)와 함께 일체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3, the
여기서, 도 4,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61)의 외주부에 위치하는 각 볼트 삽입 관통부(82)에는 상기 면직 방향 상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원통형의 돌출형상 걸림부(128)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 돌출형상 걸림부(128)는 그 좌우에 형성된 슬릿(129)에 의해 전후 한 쌍의 분할 부재(131)로 이분할된 구성을 가지고, 이들 각 분할 부재(131)가 서로 근접 이격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각 분할 부재(131)의 선단부에는 내주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31a)(도 4 참조)가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 직경이 볼트(83)의 헤드부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설정 된다. 그리고, 이들 각 볼록부(131a)를 밀어 넓히도록 각 분할 부재(131)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그 내측에 볼트(83)의 헤드부가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볼트(83)를 용이하게 탈락시키지 않도록 이것을 유지 가능하다. 4, 8, and 9, each bolt insertion through
한편, 도 4,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 커버(112)의 외주부, 구체적으로는 전방 정합 수평부(114) 및 후방 정합 경사부(115)에서의 케이스 커버(61)의 돌출형상 걸림부(12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돌출형상 걸림부(128)를 삽입 관통 가능한 원통부(132)가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다. 각 원통부(132)는 그 내부 직경이 돌출형상 걸림부(128)의 외부 직경보다도 대직경이며, 또한 연직 방향을 따라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 10 and 11, the protruding shape of the case cover 61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이러한 각 돌출형상 걸림부(128) 및 각 원통부(132)는 덕트 커버(112)를 엘리먼트 홀더(58)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각 돌출형상 걸림부(128)가 대응하는 원통부(132) 내에 비스듬히 삽입되고, 그 때, 각 돌출형상 걸림부(128)가 각 원통부(132) 내면에서 부분적으로 가압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각 돌출형상 걸림부(128)와 각 원통부(132)가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다. 이러한 돌출형상 걸림부(128)와 원통부(132)의 걸어맞춤이 덕트 커버(112)와 케이스 커버(61)의 일체적인 결합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각 돌출형상 걸림부(128)의 선단부는 원통부(132)에 삽입하기 쉬워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Each of the protruding locking
또한 여기에서, 도 3,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 커버(112)의 전방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덕트 커버(112) 전측의 양 원통부(132)의 하단부 전측에서 각각 앞쪽을 향해서 연장하는 걸림 바(133)와, 상기 각 걸림 바(133)의 중간부에 일 체적으로 설치된 걸림조(134)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방 걸림 부재(135)가 설치된다. 또한,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덕트 커버(112)의 후방 가장자리부(이격 벽부(123)의 후방 가장자리부)에서의 차폭 방향 중앙부, 바꾸어 말하면 이격 벽부(123)의 상단부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지지 벽부(136)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벽부(136)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연장하는 걸림 바(137)와, 상기 걸림 바(137)의 중간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걸림조(138)로 이루어지는 후방 걸림 부재(139)가 설치된다. 3, 10, and 11, the front edge of the
한편, 도 3,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61)에는 그 전측의 양 볼트 삽입 관통부(82)의 바로 앞 위치에 상기 각 전방 걸림 부재(135)에 대응하는 전방 걸림부(141)가 각각 설치된다.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 전방 걸림부(141)는 전방 벽부(142), 후방 벽부(143) 및 이들에 걸쳐있는 외측 벽부(1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이 되는 것으로, 전방 벽부(142)에는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역U자형상의 전방 홈부(145)가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벽부(143)에는 위쪽으로 개방되는 U자형상의 후방 홈부(146)가 형성된다. 3, 8, and 9, the case cover 61 has a front locking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또한, 도 2, 3,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펜더(42)에는 후방 걸림 부재(139)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 걸림부(147)가 설치된다. 도 1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방 걸림부(147)는 리어 펜더(42) 상에 돌출 설치된 차폭 방향으로 평행한 기립 벽부(148)에 위쪽으로 개방하는 대략 U자형상의 홈부(149)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홈부(149)는 그 위쪽에서 후방 걸림 부재(139)의 걸림 바(137)가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걸림 바(137)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다. 2, 3, and 13, the
이러한 각 걸림부(141, 147)에 각 걸림 부재(135, 139)를 걸어맞출 때에는, 우선, 덕트 커버(112)를 그 전방부가 하측이 되도록 기립시킨 상태에서, 각 전방 걸림부(141)의 전후 벽부(142, 143) 사이에 각 전방 걸림 부재(135)를 삽입하고, 이 상태(도 14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함)에서 덕트 커버(112)를 그 후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기울여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바(133)가 전방 홈부(145)의 저부에 아래쪽에서 접촉함과 동시에 후방 홈부(146)의 저부에 위쪽에서 접촉하고, 또한 걸림조(134)가 전방 벽부(145)에 앞쪽에서 접촉하게 되어, 각 전방 걸림 부재(141)가 위쪽 및 아래쪽 및 뒤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When engaging the
또한, 덕트 커버(112)를 기울여 이동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후방 걸림 부재(139)의 걸림 바(137)가 후방 걸림부(147)의 홈부(149)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태(도 15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함)에서 상기 홈부(149)에 밀어넣어짐과 동시에 상기 홈부(149)의 저부에 접촉하고, 또한 걸림조(138)가 기립 벽부(148)에 뒤쪽에서 접촉하게 되어 후방 걸림 부재(139)가 위쪽 및 아래쪽 및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이 때, 각 돌출형상 걸림부(128)가 대응하는 원통부(132) 내에 삽입되어 걸어맞춤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각 볼트 삽입 관통부(82)에 볼트(83)를 삽입 관통시켜 이들을 엘리먼트 홀더(58)의 체결부(84)에 체결함으로써, 덕트 커버(112)가 흡기 덕트(53) 및 케이스 커버(61)와 함께 엘리먼트 홀더(58)에 고정됨과 동시에, 덕트 커버(112) 후방부가 리어 펜더(42)에 걸린다. At this time, each protruding engag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의 차량의 에어 클리너 장치(50)에 있어서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51) 내로의 흡기를 행하는 흡기 덕트(53)를 에어 클리너 케이스(51)의 케이스 커버(61)측에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61)에 상기 흡기 덕트(53)의 외주를 덮는 덕트 커버(112)를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덕트 커버(112)에 의해 흡기 덕트(53) 주위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덮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51)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 커버(112)를 케이스 커버(61)와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들의 조립 및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작업 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air
또한,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50)에 있어서는, 상기 덕트 커버(112)가 상기 흡기 덕트(53)를 관통시키는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를 가지고, 상기 덕트 관통용 개구부(116)를 상기 흡기 덕트(53)의 상기 케이스 커버(61)로의 부착부인 덕트 끼워맞춤 홈부(108)로 지지함으로써, 흡기 덕트(53)의 부착부와 덕트 커버(112)의 부착부를 공용하고 이들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51)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said air
또한,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50)에 있어서는, 상기 덕트 커버(112)의 외주부를 상기 케이스 커버(61)에 설치한 각 걸림부(128, 141, 147)에 걺으로써, 덕트 커버(112)를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케이스 커버(61)에 부착한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51)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커버(112) 외주부의 부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51)의 방수성 및 상품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said air
이 때, 상기 덕트 커버(112)의 후방부를 리어 펜더(42)에 걸어 멈춘 구성으로 하면, 리어 펜더(42)와 덕트 커버(112)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리어 펜더(42) 위를 흐르는 물의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rea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50)에 있어서는, 상기 덕트 커버(112) 후방부의 이격 벽부(123)에서의 상기 리어 펜더(42)와의 대향면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24)를 설치함으로써, 이격 벽부(123)와 리어 펜더(42)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리어 펜더(42) 위를 흐르는 물을 그 앞쪽으로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said air
더구나, 상기 에어 클리너 장치(50)에 있어서는, 상기 덕트 커버(112)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시트(25)의 바닥판(25a) 등과 간섭해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이것을 양호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덕트 커버(112) 및 시트(25) 등의 조립 및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작업 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i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습식 혹은 카트리지식의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를 구비한 것에 적용해도 된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For example, you may apply to the thing provided with the wet or cartridge type air cleaner element.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의 구성은 일례이며, 자동 이륜차에의 적용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 재질, 형상 및 구성 등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the said Example is an example,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invention, such as a material, a shape, and a structure, as well as being not limited to application to a motorcycle.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흡기 덕트 주위를 넓게 덮음으로써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 커버 및 케이스 커버의 조립 및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작업 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흡기 덕트 및 덕트 커버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하여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덕트 커버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하여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커버 외주부의 부유를 방지하여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방수성 및 상품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4, 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리어 펜더와 덕트 커버 사이의 간극을 확보하여 리어 펜더 위를 흐르는 물의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s of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덕트 커버 및 시트 등의 조립 및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작업 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48581A JP4472466B2 (en) | 2004-08-27 | 2004-08-27 | Vehicle intake system |
JPJP-P-2004-00248581 | 2004-08-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0413A KR20060050413A (en) | 2006-05-19 |
KR100779923B1 true KR100779923B1 (en) | 2007-11-28 |
Family
ID=3609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3945A KR100779923B1 (en) | 2004-08-27 | 2005-08-11 | Intake device of motorcycl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472466B2 (en) |
KR (1) | KR100779923B1 (en) |
CN (1) | CN100374316C (en) |
BR (1) | BRPI0503381B1 (en) |
TW (1) | TWI30648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85581B2 (en) * | 2006-03-22 | 2011-10-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Electrical component support structure for motorcycles |
JP5113547B2 (en) * | 2008-02-15 | 2013-01-0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Intake pipe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5142781B2 (en) * | 2008-03-27 | 2013-02-1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Motorcycle |
JP5084618B2 (en) * | 2008-06-03 | 2012-11-28 | 株式会社Roki | Air intake duct |
JP5564308B2 (en) * | 2010-03-31 | 2014-07-3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Motorcycle |
JP5958071B2 (en) * | 2012-05-17 | 2016-07-27 | スズキ株式会社 | Air cleaner device for underbone type motorcycle |
CN102654087A (en) * | 2012-05-23 | 2012-09-05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Air inlet structure of waterproof air filter |
JP6130212B2 (en) | 2013-05-17 | 2017-05-17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Intake device for motorcycle |
JP5941485B2 (en) * | 2014-01-20 | 2016-06-2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Air intake structure for saddle-ride type vehicles |
JP5934287B2 (en) * | 2014-06-05 | 2016-06-1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Air cleaner device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 |
JP5911538B2 (en) * | 2014-08-27 | 2016-04-2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Vehicle intake system |
MY191283A (en) * | 2014-09-01 | 2022-06-13 | Honda Motor Co Ltd | Saddle-riding type vehicle |
JP6365754B2 (en) * | 2017-11-09 | 2018-08-01 | スズキ株式会社 | Motorcycle front cover mounting structure |
JP6812472B2 (en) * | 2019-01-30 | 2021-01-1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Intake device structure for saddle-riding vehicl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9952B2 (en) * | 1986-10-30 | 1996-09-04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Motorcycle air intake system |
JPH11171075A (en) | 1997-12-09 | 1999-06-29 | Yamaha Motor Co Ltd | Motorcycl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75636B2 (en) * | 1996-02-26 | 2003-12-08 | スズキ株式会社 | Motorcycle intake system |
JP3720150B2 (en) * | 1996-10-31 | 2005-11-2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Air cleaner |
JP4249345B2 (en) * | 1999-08-31 | 2009-04-02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Scooter type motorcycle air cleaner |
JP4371548B2 (en) * | 2000-07-21 | 2009-11-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Engine intake system for motorcycles and tricycles |
JP2002371928A (en) * | 2001-06-18 | 2002-12-26 | Yamaha Motor Co Ltd | Intake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4236471B2 (en) * | 2003-01-17 | 2009-03-1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Intake structure of motorcycle |
-
2004
- 2004-08-27 JP JP2004248581A patent/JP447246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5-18 CN CNB2005100727267A patent/CN10037431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5-26 TW TW094117209A patent/TWI306489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8-10 BR BRPI0503381-0A patent/BRPI050338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5-08-11 KR KR1020050073945A patent/KR1007799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9952B2 (en) * | 1986-10-30 | 1996-09-04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Motorcycle air intake system |
JPH11171075A (en) | 1997-12-09 | 1999-06-29 | Yamaha Motor Co Ltd | Motorcy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PI0503381B1 (en) | 2019-03-19 |
TW200607922A (en) | 2006-03-01 |
TWI306489B (en) | 2009-02-21 |
KR20060050413A (en) | 2006-05-19 |
CN1740547A (en) | 2006-03-01 |
BRPI0503381A (en) | 2006-04-11 |
JP2006063907A (en) | 2006-03-09 |
JP4472466B2 (en) | 2010-06-02 |
CN100374316C (en) | 2008-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9923B1 (en) | Intake device of motorcycle | |
US7604677B2 (en) | Structure of air cleaner box | |
US8152880B2 (en) | Air intake apparatus | |
JP5399168B2 (en) | Motorcycle | |
US8905419B2 (en) | Rear structure of saddle-ride type vehicle | |
JP5481254B2 (en) | vehicle | |
JP2005315164A (en) | Air cleaner device for vehicle engine | |
JP2002213311A (en) | Vehicular air cleaner structure | |
JP2009161017A (en) | Motorcycle | |
JPH11171041A (en) | Front structure of automobile | |
JP4236471B2 (en) | Intake structure of motorcycle | |
KR101114080B1 (en) | Wire holding structure of motorcycle | |
US10556635B2 (en) | Straddled vehicle | |
JPH0665555B2 (en) | Storage device for scooter type vehicle | |
KR200424252Y1 (en) | Air drain device of car canister | |
EP2727805B1 (en) | Housing structure in saddle type vehicle | |
JPS63309761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intake duct | |
JP4555108B2 (en) | Luggage box structure of motorcycle | |
JP6521925B2 (en) | Saddle-ride type vehicle | |
US11697085B2 (en) | Dust filter | |
JP4097322B2 (en) | Air intake system control valve arrangement structure for motorcycles | |
JP5883765B2 (en) | Vehicle battery holder structure | |
EP3984870B1 (en) | Straddled vehicle | |
WO2022209141A1 (en) | Saddle-riding-type vehicle | |
JP2700558B2 (en) | Body structure of motorcy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