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8537B1 -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537B1
KR100778537B1 KR1020060131097A KR20060131097A KR100778537B1 KR 100778537 B1 KR100778537 B1 KR 100778537B1 KR 1020060131097 A KR1020060131097 A KR 1020060131097A KR 20060131097 A KR20060131097 A KR 20060131097A KR 100778537 B1 KR100778537 B1 KR 100778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multimedia object
connection information
broadcast signal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호
한성철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화방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화방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화방송
Priority to KR102006013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5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객체와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연결 정보를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객체를 수신할 경우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정보는 웹 서버에 대한 링크(link) 정보 등 서비스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어떤 방송 송수신 규격에 의하더라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양방향, PAD, jpeg, URL, 이미지, 링크

Description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jfif에 따른 파일 형식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jfif 필드 중 마커(marker) 필드를 상세히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규격을 계층별로 예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MOT 프로토콜의 일부 필드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10 : 데이터생성부 120 : 변환부
130 : 전송부
210 : 방송신호수신부 220 : 방송신호처리부
230 : 제어부 240 : 콘텐트표출부
250 : 통신부 260 :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방송 수신자가 방송 신호에 연동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여 오디오 방송이나 비디오/오디오 방송에 부가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면, 방송 수신자는 더욱 다양한 콘텐트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디지털 방송의 규격에서도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방송의 방식은 단방향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이고, 양방향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는 없기 때문에 사용자 의 관심을 더 집중시킬 수 없고,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한한 데이터 방송의 사업 모델을 위와 같이 단방향의 제한적인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데이터 방송의 활용도를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의 디지털 방송에서 간혹 방송 규격에 따라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지만, 그 경우 양방향 통신을 위한 정보는 방송 송수신 규격에 고정된 데이터 송수신 영역에만 설정되어 전송된다. 그리고,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방송 송수신 규격에 따른 수신 신호에 양방향 통신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면 그 양방향 통신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 송신 장치로 연결한다.
따라서, 종래 디지털 방송 규격을 따르지 않고는,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구현할 수 없고, 종래의 디지털 방송 규격에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표준 규격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단방향 데이터 방송 규격을 이용하여 양방향 데이터 방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받을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 방송을 콘텐트와 연결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규격을 마련하지 않아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양방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객체의 데이터 구조가 설정된 헤더 필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가 설정된 부가 정보 필드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전송 스트림을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 및 멀티미디어 객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 및 멀티미디어 객체를 얻는 방송신호처리부, 양방향 채널을 통해 통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방송신호처리부가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복호하고, 상기 방송신호처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부가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를 표출하는 콘텐트표출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와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스트림을 방송 전송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에 따른 것일 수 있고,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의 미지정(reserved) 영역에 설정되거나, 가변 길이의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따른 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콜(call)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송 콘텐트 자체에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정보를 삽입하고 이를 송수신하여 방송 콘텐트로부터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정보는 웹 서버에 대한 링크(link) 정보 등 서비스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콘텐트 자체에 서비스 연결 정보를 삽입하면 서비스 연결 정보를 별도의 방송 송수신 규격에 설정하여 제공하지 않고, 콘텐트 자체 또는 종래의 단방향 방송 송수신 규격에 내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방송 송수신 규격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고, 어떠한 방송 전송 규격에서도 콘텐트와 함께 서비스 연결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방송 수신 규격에 관련된 채널로부터 서비스 연결 정보를 얻는 것이 아니라, 콘텐트 자체를 복호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연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콘텐트의 데이터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삽입한다(S10).
만약, 콘텐트가 정지 이미지라면 정지 이미지 데이터 자체 또는 정지 이미지의 전송시에 정지 이미지의 파일의 형식을 전달하는 데이터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가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이미지일 경우, jpeg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jfif(jpeg file interchange format)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jfif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삽입하는 S10 단계의 상세한 실시예는 도 2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개시한다.
만약 콘텐트가 오디오 방송 콘텐트이라면 단방향의 오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방송 전송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오디오 방송을 위한 방송 전송 영역은 예를 들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를 따르는 오디오 콘텐트일 경우 오디오 방송 콘텐트 자체 또는 오디오 방송에 부가되어 전송되는 데이터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의 편의상 상기 S10 단계의 방송 콘텐트 데이터는 오디오 방송 채널에 부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PAD(programme associated data) 또는 NPAD(non-programme associated data) 영역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그리고, PAD(programme associated data) 또는 NPAD(non-programme associated data)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삽입하는 S10의 상세한 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여 개시한다.
그리고,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가 삽입된 방송 콘텐트를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한다(S20). 예를 들면 방송 전송 스트림은 Eureka(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방식에 따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스트림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스트림을 방송 전송 네트워크를 고려한 신호로 전송한다(S30).
위와 같이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40).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방송 콘텐트 데이터에 포함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얻는다(S50).
상기 방송 콘텐트를 표출하고,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원격으로 연결한다(S60). 따라서, 단방향 데이터 방송 규격을 이용하여 양방향 데이터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양방향 데이터 방송을 위해 별도의 데이터 송수신 영역을 할당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양방향 방송을 구현할 경우 양방향 방송에 대한 연결 정보나, 그 연결 정보에 반응하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는 별도의 방송 송수신 규격에 따라 송수신된다. 하지만, 도 1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해 별도의 송수신 규격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종래의 단방향 데이터 방송 규격에 포함시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jfif의 형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 실시예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방송 전송 규격이 아닌 방송 콘텐트 관련 규격에 삽입하는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콘텐트가 jpeg 이미지로 된 것일 경우, jpeg 이미지의 파일 형식을 알리기 위해 jfif를 이용할 수 있다. jfif에는 jpeg 이미지 데이터 뿐만 아니라 부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스페시픽 데이터(application specific data)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jfif 파일 포맷임을 알리는 SOI(start of image) 필드, 어플리케이션 파일 포맷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한 마커(marker) 필드, jpeg의 압축 방식을 전송하는 필드(DQT, SOF, DHT) 및 jpeg으로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가 송신되는 필드(SOS, scan data, EOI)를 포함한다.
마커(marker) 필드는 전송하려는 이미지를 APP0로 정의하고, 이외에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이나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도록 1부터 15까지로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마커를 포함한다.
참고로 DQT(define quantization tables)은 양자화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SOF(start of frame)은 그림 이미지의 크기 및 샘플링 등에 관한 정보를, DHT(define huffman tables)은 허프만 코드 테이블을 전송한다. 그리고, SOS(start of scan)은 각 컴포넌트의 식별자와 각 컴포넌트에 대한 허프만 코드 테이블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
도 3은 도 2의 jfif 필드 중 마커(marker) 필드를 상세히 예시한다. 추가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자를 FFE1부터 FFEF까지 설정할 수 있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문자일 경우 FFFE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길이와 전송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jfif 필드 중 마커(marker) 필드에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양방향 서비스의 연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jfif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APP10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정의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식별자(FFEA), 데이터 길이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링크 정보나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APP10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따라 외부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 망을 이용 해 접속하는 서비스, APP11에는 SMS(short message service)에 연동되는 서비스, APP12에는 콜(call) 연동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자는 상기와 같이 양방향 방송을 위한 각 서비스에 식별하고, 각 서비스에 따라 양방향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jpeg 이미지인 경우를 예로 하였지만, 다른 형식의 이미지, 예를 들면,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형식 등의 정지 이미지 파일도 유사하게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jfif 필드 중 마커(marker) 필드에 문자를 전송한다면, 문자 전송에 대한 식별자(FFFE), 데이터 길이,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에 대한 식별자(도 5에서는 WAP로 표시)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링크 정보나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서 예시한 예와 유사하게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에 대한 식별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이외에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콜(call) 연동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식별자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단방향 방송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송수신 규격에 따라 도 4,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jfif 형식으로 jpeg 이미지를 전송하고, 방송 수신측에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얻어 해당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떠한 단방향 방송 송수신 규격에 따르더라도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송수신하여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규격을 계층별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단방향 서비스 규격을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에 따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경우, 순수한 오디오 방송을 위한 규격 이외에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programme associate data; PAD)를 서비스하기 위한 전송 규격을 마련한다. 그리고,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은 프로그램과 관련되지 않은 데이터(non-programme associate data)를 위한 전송 규격도 포함한다. PAD는 DLS(dynamic data channel)을 통해 문자 등을 전송할 수 있고,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protocol을 통해 슬라이드 쇼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데이터들은 오디오 방송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NPAD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protocol을 통해 슬라이드 쇼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NPAD는 별도의 서비스 컴포넌트로 전송되지만, 여기에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오디오 방송 전송을 위한 규격을 따르므로 단방향 방송 콘텐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송 콘텐트가 단방향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 콘텐트일 경우 방송 콘텐트의 부가 데이터를 설정하는 데이터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하여 단방향 방송 서비스에서도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PAD와 NPAD로 모두 전송될 수 있는 MOT 프로토콜을 예로 하여 PAD와 NPAD를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MOT 프로토콜에 따라 멀티미디어 객체를 전송할 경우 멀티미디어 객체는 도 4 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형식의 jpeg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MOT 프로토콜에 따라 아스키(ASCII) 문자나, 텍스트 파일 등으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PAD와 NPAD를 통해 단방향 방송 서비스임에도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전송하여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규격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방송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양방향 서비스 정보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객체(multimedia object)의 전송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multimedia object)의 전송 방식의 예로서, 방송 및 통신 규약 중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Multimedia Object Transfer ; MOT) 프로토콜이 있다. MOT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예로서 멀티미디어 파일(file)을 전송할 수 있도록 규정한 프로토콜이다.
MOT 프로토콜은 멀티미디어 객체의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정보가 속하는 제 1 필드, 재생되는 방송 객체가 재생될 경우 필요한 부가 정보가 속하는 제 2 필드 및 방송 객체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가 속하는 제 3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MOT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전송하기 이전에 멀티미디어 객체의 길이 정보(length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제 2 필드에 멀티미디어 객체의 길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필드는 방송 객체를 전송할 경우 함께 전송할 수 있는 헤더 필드라고 호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필드는 방송 객체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필드이므로, 일반적으로 데이터 필드 또는 바디(body) 필드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객체의 길이 정보는 제 1 필드와 제 3 필드 사이의 제 2 필드에 포함될 수 있는데 제 2 필드를 부가 정보 필드로 호칭할 수 있다. 부가 정보 필드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재생할 경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방송의 양방향 서비스 정보도 위의 MOT 프로토콜에 따른 부가 정보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a는 EN 301 234 V2.1.1의 DAB(multimedia audio broadcasting)가 준용하는 MOT 프로토콜의 일부 데이터 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정보는 MOT 프로토콜의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MOT 프로토콜의 미지정 영역 또는 지정 영역이나 미사용 영역에 포함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도 7a에서 미지정 영역은 reserved for MOT protocol extensions로 표시하였다. 도 7a에 예시한 미지정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 정보인 URL 정보가 삽입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www.mbc.co.kr 등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정보가 MOT 프로토콜의 reserved for MOT protocol extensions로 표시된 영역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양방향 서비스 정보는 MOT 프로토콜의 지정 영역이지만 미사용 영역에 포함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미사용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 정보가 포함될 경우 고정 길 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가변 길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다.
MOT 프로토콜은 상술한 제 2 필드에 가변 길이(variable length)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데, 가변 길이의 데이터 필드로서 예를 들면 ContentName 필드 등가 있다.
참고로 도 7b는 도 7a에서 예시한 ContentName 등의 데이터 필드를 채우기 위한 특성 지시자(indicator)로서, b7b4 비트가 0010일 경우 ContentName 등의 데이터 필드에 아라비아 숫자로 데이터가 채워져 전송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로서, 위에서 예시한 ContentName 등의 데이터 필드에 양방향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네트워크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 정보는 링크 정보가 될 수 있는데, 그런 경우 양방향 서비스 정보는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식별하기 위해 논리적 집단 또는 단위인 도메인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64.101.80.4와 같은 링크 연결 정보를 ContentName 필드에 포함시킬 경우 도 7b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아라비아 숫자로 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IP 주소에 포함되고 최상위 도메인과 그 하위의 부속 도메인(subdomain)에 대응되는 IP의 숫자로 된 주소를 일렬도 나열한 일 예이다. 도 8의 예에서 164 101 080 004는 위에서 예시한 IP 주소 164.101.80.4의 각 하위 주소에 대응한다. ContentName 필드는 가 변 길이의 필드이고, 숫자 형태의 IP 주소도 다른 숫자나 다른 단위로 치환되거나 환산되어를 송수신될 수 있으므로, MOT 프로토콜의 미사용 영역이나 미지정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도 8 이외에 여러 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9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양방향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멀티미디어 객체의 데이터 구조가 설정된 헤더 필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가 설정된 부가 정보 필드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생성한다(S110).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은 MOT 프로토콜에 따른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일 수 있고,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IP 주소나 도메인 네임이 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방식은 MOT 프로토콜일 경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부가 정보 필드 중 ContentName 등의 가변 길이 필드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한다(S120). 예를 들면 방송 전송 스트림은 Eureka(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방식에 따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스트림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방송 전송 스트림을 변환하여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로 송신한다(S130).
상기 신호를 수신할 경우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한 다(S140).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 및 멀티미디어 객체를 얻는다(S150).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한다(S160). 따라서, 단방향 방송 송수신 규격을 이용하여 양방향 데이터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생성부(110), 변환부(120) 및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데이터생성부(110)는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와 멀티미디어 객체를 각각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객체는 도 4에서 설명한 형식의 정지 이미지일 수도 있고, 오디오 방송의 PAD 또는 NPAD에 전송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일 수도 있고, MOT 프로토콜로 전송할 수 있는 파일 형태일 수 있다.
변환부(120)는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변환부(120)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인 MOT 프로토콜의 부가 정보 필드에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 3 필드에 멀티미디어 객체를 설정한 방송 전송 스트림을 출력한다.
전송부(130)는 변환된 스트림을 방송 전송 네트워크를 고려한 신호로 전송한 다. 방송 전송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방송신호수신부(210), 방송신호처리부(220), 제어부(230), 콘텐트표출부(240), 통신부(250) 및 인터페이스부(26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수신부(210)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포함하고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 에 따르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처리부(220)는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방송 전송 스트림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와 멀티미디어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전송 스트림의 식별정보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등의 프로그램 정보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는 비디오/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복호하고 복호한 멀티미디어 객체를 콘텐트표출부(240)로 출력하고, 콘텐트표출부(240)는 출력한 멀티미디어 객체와 그 멀티미디어 객체와 함께 전송된 양방향 서비스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콘텐트표출부(240)가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콜(call) 등 통신망의 특성에 따라 연동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와 함께 표출될 수 있다. 여기서 콜(call)은 유무선상 소 리나 이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화 서비스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자는 콘텐트표출부(240)로부터 표출되는 멀티미디어 객체와,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가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와 함께 표출되는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도 7a, 도 7b 및 도 8에 예시하였다.
인터페이스부(260)는 방송 수신자로부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해 양방향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실시예 중 인터페이스부(260)는 선택적인 요소이다.
제어부(230)는 표출되는 멀티미디어 객체와 함께 전송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신호를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접속을 제어한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접속하거나 문자 메세지를 보내거나 전화 연결을 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연결된 통신망의 특성에 따라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고 부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신호는 유무선 통신 규약에 따른 신호로서 예를 들면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LAN(wireless la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유무선 통신 규약에 따른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50)는 상기와 같은 통신 규약에 따른 수신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자는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서비스 파일을 수신하거나, 문자 메세지 등으로 양방향 서비스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무선 통신에 따른 전화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통신부(250)가 예를 들어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파일을 수신한다면, 통신부(250)는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파일이 포함된 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양방향 서비스 콘텐트를 복호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트표출부(240)는 제어부(230)가 복호한 양방향 서비스 콘텐트를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는 단방향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양방향 서비스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양방향 서비스 방송을 위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방송 송수신 규격상의 명시적인 송수신 채널에 포함시키지 않고, 콘텐트 자체 또는 전송되는 콘텐트 형식에 포함시켜 수신측에서 방송 콘텐트를 복호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멀티미디어 객체와 함께 전송되도록 하되,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프로토콜의 미지정 영역이나 미사용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양방향 서비스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방송 송수신 규격을 사용하더라도, 호환성을 유지하며 양방향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동일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특허명세서로부터 본 발명을 변경하거나 변 형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기 명확하게 기재되었더라도, 그것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 내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 따르면, 단방향 방송 규격을 이용하여 양방향 데이터 방송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방송 수신자가 원하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 방송을 콘텐트나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객체와 연결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어떤 방송 송수신 규격에 의하더라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멀티미디어 객체의 데이터 구조가 설정된 헤더 필드,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가 설정된 부가 정보 필드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전송 스트림을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로 송신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부가 정보 필드의 가변 길이의 필드에 설정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 로토콜의 미지정(reserved) 영역에 설정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는 연결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도메인 네임 중 어느 하나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7.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 및 멀티미디어 객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부가 정보 필드의 가변 길이의 필드에 설정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상기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의 미지정(reserved) 영역에 설정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도메인 네임 중 어느 하나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는 연결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3.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 및 멀티미디어 객체를 얻는 방송신호처리 부;
    양방향 채널을 통해 통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방송신호처리부가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복호하고, 상기 방송신호처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부가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를 표출하는 콘텐트표출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4.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와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
    상기 양방향 서비스 연결 정보와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스트림을 단방향 방송 전송 형식에 따른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스트림을 방송 전송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KR1020060131097A 2006-12-20 2006-12-20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78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097A KR100778537B1 (ko) 2006-12-20 2006-12-20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097A KR100778537B1 (ko) 2006-12-20 2006-12-20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537B1 true KR100778537B1 (ko) 2007-11-22

Family

ID=3908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0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8537B1 (ko) 2006-12-20 2006-12-20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254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5590A2 (en) 1996-05-02 1997-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WO1997043838A1 (en) 1996-05-09 1997-11-20 Oy Nokia Ab Utilization of a link object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0848553A2 (en) 1996-12-10 1998-06-17 Nextlevel Systems, Inc. Mapping uniform resource locators to broadcast addresses in a television signal
KR20010024443A (ko) * 1997-10-14 2001-03-26 데니스 에이치. 얼백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데이터와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포맷하고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US20030115612A1 (en) 1998-04-01 2003-06-19 Morecom, Inc. Digital TV system with synchronized World Wide Web cont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5590A2 (en) 1996-05-02 1997-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WO1997043838A1 (en) 1996-05-09 1997-11-20 Oy Nokia Ab Utilization of a link object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0848553A2 (en) 1996-12-10 1998-06-17 Nextlevel Systems, Inc. Mapping uniform resource locators to broadcast addresses in a television signal
KR20010024443A (ko) * 1997-10-14 2001-03-26 데니스 에이치. 얼백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데이터와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포맷하고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US20030115612A1 (en) 1998-04-01 2003-06-19 Morecom, Inc. Digital TV system with synchronized World Wide Web cont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254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33144B1 (ko) * 2017-06-16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86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한미리보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166268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contents based on user&#39;s preferenc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aid contents
CN1897653B (zh) 广播发送机和接收机、发送广播信号和执行其预约的方法
CN103024454B (zh) 在广播电视节目中向受众传送互动入口信息的方法及其系统
US11956159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20180064391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834630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위한 전자서비스 가이드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778537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JP2006509412A (ja) 少なくとも2つの異なるサービスのソースによって供給されることができるサービスを検出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25668B1 (ko) 데이터방송의 데이터컨텐츠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124864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과 방송 단말기에서의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56787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KR100499052B1 (ko) 리턴 채널을 이용한 대화형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224255A (ja) 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送信方法
TW20092681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in a digital broadcasting
JP2005039806A (ja) データ情報をテレビジョン信号に多重し放送配信するテレビジョン放送送信機
KR101197925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에서서브타이틀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43476B1 (ko) 프리뷰 컨텐츠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그의 수신장치 및방법
KR101196900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17014B1 (ko)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전자 프로그램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277271B1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콘텐츠 제공 서버 장치
Bae et al. Development of t-dmb receiver linking with cdma network for interactive data broadcasting services
KR100797393B1 (ko)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0282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기의 텍스트 검색 방법
JP2008129949A (ja) 放送受信装置、印刷装置、放送送信装置及び印刷可能コンテンツの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