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7393B1 -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393B1
KR100797393B1 KR1020050113549A KR20050113549A KR100797393B1 KR 100797393 B1 KR100797393 B1 KR 100797393B1 KR 1020050113549 A KR1020050113549 A KR 1020050113549A KR 20050113549 A KR20050113549 A KR 20050113549A KR 100797393 B1 KR100797393 B1 KR 100797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ector graphics
dat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
m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151A (ko
Inventor
배병준
김우석
윤정일
안충현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3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 기술(예를 들면, SVG(Scalable Vector Graphics) 등)을 이용하여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DMB 방송에서도 다양한 고품질의 데이터 방송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에 있어서, 전송대상이 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벡터 그래픽 기반의 콘텐츠임을 알리는 헤더정보」를 부가하여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MOT 객체 생성 수단; 스케줄링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MOT 객체를 MOT 프로토콜 규격으로 지상파 DMB 송신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MOT 객체 전송 수단; 및 소정의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MOT 객체 전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스케줄링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송수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지상파 DMB, 데이터방송, MOT, SVG, 벡터 그래픽, SVG 파서, SVG 렌더러, 데이터방송 브라우저

Description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Terrestrial DMB Data Broadcasting Server and its Method using Vector Graphics, and Terrestrial DMB Receiving System and its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SVG를 이용해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에서 MOT로 데이터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속성을 표시하기 위한 MOT 헤더 코어(Header Core)의 필드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SVG 기반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수신 단말)에서의 SVG 기반 데이터 방송 브라우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SVG기반 지상파 DMB 송신 시스템 11: SVG기반 데이터 방송 서버
12: 지상파 DMB 송신 장치 13: SVG기반 지상파 DMB 수신 단말
131: 지상파 DMB 역다중화부 132: SVG 기반 데이터방송 브라우저
21: SVG 컨텐츠관리부 22: MOT 객체 생성부
23: MOT 객체 전송부 24: 스케줄러
41: XML 파서 42: SVG 파서
43: SVG 렌더러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벡터 그래픽 기술(예를 들면, SVG(Scalable Vector Graphics) 등)을 이용하여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DMB 방송에서도 다양한 고품질의 데이터 방송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이동 환경에서 CD 음질의 오디오 및 고품질 비디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상파 DMB는 Eureka-147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을 기반으로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MPEG-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을 각각 비디오와 오디오 코딩 규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동기화와 다중화를 위해 MPEG-2 시스템과 MPEG-4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전송 기술 및 리드 솔로몬(RS: Reed Solomon) 코드와 콘볼루션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의 적용을 통해 이동 환경에서의 수신 성능을 높이고 있다.
또한, 지상파 DMB는 스트림 모드 혹은 패킷 모드 데이터 채널을 통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과 같은 일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현재 지상파 DMB에서는 방송 웹 서비스(BWS: Broadcasting Web Service), 슬라이드쇼(Slideshow),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데이터 방송 표준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의 웹사이트들은 플래시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현하는데 비해, 지상파 DMB 표준의 방송 웹 서비스(BWS)와 슬라이드쇼(Slideshow)에 정의된 HTML과 JPG 이미지로는 컨텐츠 제작자가 원하는 형태의 정보를 표현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벡터 그래픽 기술(예를 들면, SVG(Scalable Vector Graphics) 등)을 이용하여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DMB 방송에서도 다양한 고품질의 데이터 방송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에 있어서, 전송대상이 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벡터 그래픽 기반의 콘텐츠임을 알리는 헤더정보」를 부가하여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MOT 객체 생성 수단; 스케줄링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MOT 객체를 MOT 프로토콜 규격으로 지상파 DMB 송신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MOT 객체 전송 수단; 및 소정의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MOT 객체 전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스케줄링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스케줄링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해당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가져오기 위한 벡터 그래픽 컨텐츠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수단은, 상기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벡터 그래픽 컨텐츠 관리 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으로 생성된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DMB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전송대상이 되는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가져오는 컨텐츠 관리 단계; 상기 컨텐츠 관리 단계를 통하여 가져온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벡터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컨텐츠임을 알리는 헤더정보」를 부가하여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객체를 생성하는 MOT 객체 생성 단계; 및 상기 DMB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생성된 MOT 객체를 MOT 프로토콜 규격으로 지상파 DMB 송신 장치로 전송하는 MOT 객체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된 지상파 DMB 앙상블(Ensemble)을 역다중화하여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와 오디오/비디오로 분리하기 위한 역다중화 수단; 상기 역다중화 수단에서 분리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파싱 및 렌더링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방송 브라우징 수단; 및 상기 역다중화 수단에서 분리된 오디오(Audio)/비디오(Video)를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재생하기 위한 A/V 재생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에서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된 지상파 DMB 앙상블(Ensemble)을 수신하는 앙상블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지상파 DMB 앙상블(Ensemble)을 역다중화하며, 상기 역다중화 과정에서 MOT 객체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분리해내는 벡터 그래픽 기반 콘텐츠 분리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파싱 및 렌더링을 하는 데이터방송 브라우징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SVG를 이용해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SVG 기반의 지상파 DMB 송수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시스템을 설명하면서, 해당 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방법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러블 벡터 그래픽(SVG: Scalable Vector Graphics) 기반의 지상파 DMB 송신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VG 기반 데이터방송 서버(11)와 지상파 DMB 송신 장치(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Multimedia Object Transfer)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지상파 DMB 송신 장치(12)는 서비스 멀티플렉서(Service Multiplexer), 앙상블 멀티플렉서(Ensemble Multiplexer), OFDM 인코더 및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서버(11)에서 출력되는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는 지상파 DMB 송신 장치(12)의 서비스 멀티플렉서로 전송되고, 최종적으로는 지상파 DMB 송신 장치(12)를 통해 공기(air) 중으로 전송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SVG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SVG 기반의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단말)(13)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별도의 흐름도 없이, SVG 기반의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단말)(13)에서 SVG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SVG 기반의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단말)(13)은 지상파 DMB 역다중화부(131), SVG 기반 데이터 방송 브라우저(132), 오디오/비디오 재생부(A/V Player)(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SVG 기반 데이터 방송 브라우저(132)는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표시를 위해 추가된 것이다.
먼저, 지상파 DMB 역다중화부(131)는 송신측으로부터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된 지상파 DMB 앙상블을 수신하고, 이를 역다중화하여 데이터인 「SVG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와 오디오/비디오로 분리하는데, 이때 데이터(「SVG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는 SVG 기반 데이터 방송 브라우저(132)로 전송되고, 오디오/비디오는 오디오/비디오 재생부(A/V Player)(133)로 전송된다. 지상파 DMB 역다중화부(131)는 지상파 DMB 앙상블(Ensemble)을 역다중화하는 과정에서 MOT 객체의 헤더정보를 해석함으로써, 해당 MOT 객체가 벡터 그래픽 기술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임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의 헤더정보는 MOT 객체가 텍스트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Content Type)과 MOT 객체가 벡터 그래픽 기술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컨텐츠 서브타입'(Content Sub Type)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SVG 기반 데이터 방송 브라우저(132)는 지상파 DMB 역다중화부 (131)에서 분리되어 전송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파싱 및 렌더링을 수행한다.
오디오/비디오(A/V) 재생부(133)는 지상파 DMB 역다중화부(131)에서 분리되어 전송된 오디오/비디오를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로서, 지상파 DMB에서 SVG 기반의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MOT: 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서버를 나타낸다. 이하,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서버를 설명하면서, SVG를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전송 방법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서버(11)는 SVG 컨텐츠 관리부(21), MOT 객체(Object) 생성부(22), MOT 객체(Object) 전송부(23), 스케줄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SVG 컨텐츠 관리부(21)는 미리 지정된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필요한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DB)(20)로부터 가져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SVG 컨텐츠 관리부(21)는 SVG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스케줄러(24)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가져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MOT 객체 생성부(22)는 SVG 컨텐츠 관리부(21)가 상기 데이터베이스(DB)(20)로부터 가져온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MOT 헤더 코어(Header Core) 및 헤더 확장부(Header Extension)를 붙여 MOT 객체(Object)로 만든다. 여기서, 헤더 코어(Header Core)의 필드 값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OT 객체 전송부(23)는 MOT 객체 생성부(22)에서 생성된 MOT 객체(Object)에 대하여 MOT 객체 데이터그룹(Object Datagroup) 생성 및 패킷 생성 과정을 거치게 한 후 지상파 DMB 송신 장치(12)로 전송한다. 즉, MOT 객체 전송부(23)는 스케줄러(24)의 제어에 따라, MOT 객체 생성부(22)에서 생성된 MOT 객체를 MOT 프로토콜 규격으로 지상파 DMB 송신 장치(1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러(24)는 지정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SVG 컨텐츠 관리부(21) 및 MOT 객체 전송부(23)를 제어한다.
이러한 전송 과정은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지상파 DMB의 MOT 규격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일실시예이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에 그 과정 및 내용은 해당 프로토콜의 규격을 따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에서 MOT로 데이터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에 컨텐츠의 속성을 표시하기 위한 MOT 헤더 코어(Header Core)의 필드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은 MOT 객체 생성부(22)에서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로 MOT 객체(Object)를 생성할 경우, 지정되어야 할 MOT 헤더 코어(Header Core)의 필드값들을 나타낸다.
MOT 헤더 코어(Header Core)는 바디 크기(Body Size)(31), 헤더 크기(Header Size)(32), 컨텐츠 타입(Content Type)(33), 컨텐츠 서브타입(Content Sub Type)(34)이라는 필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컨텐츠 타입(Content Type)(33)은 MOT 객체(Object)가 텍스트 데이터임을 나타내도록 '000001'로 설정하고, 컨텐츠 서브타입(Content Sub Type)(34)은 MOT 객체가 SVG 파일임을 나타내는 유일한 8자리의 이진수 값을 정의하여 설정한다(현재 SVG의 경우는 지상파 DMB 표준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예로서 HTML 파일은 '00000010'을 사용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SVG 기반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수신 단말)에서의 SVG 기반 데이터 방송 브라우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로서, SVG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SVG 기반 데이터 방송 브라우저를 나타낸다.
SVG 기반 데이터 방송 브라우저(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서(41), SVG 파서(42) 및 SVG 렌더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SVG 기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상파 DMB 역다중화부(131)에서 역다중화과정을 통하여 분리된 SVG 객체(Object)(즉, 「SVG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는 XML 파서(41) 및 SVG 파서(42)를 통해 해석되고, SVG 렌더러(43)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XML 파서(41)는 지상파 DMB 역다중화부(131)에서 분리된 「SVG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XML 문서 파싱을 수행한다. 그러면, 다음으로는 SVG 파서(42)가 「SVG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벡터 그래픽 파싱을 수행한다. 이후, SVG 렌더러(43)가 XML 파서(41) 및 SVG 파서(42)에서 파싱된 결과에 대하여 벡터 그래픽 렌더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단지 SVG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벡터 그래픽을 이용하는 다 른 유사한 데이터 컨텐츠(예를 들어, Macromedia의 Flash)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자로 하여금 보다 다양한 형태의 표현 수단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VG가 제공하는 다양한 벡터 그래픽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HTML이나 래스터 이미지 기반에서 불가능했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풍부한 형태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벡터 그래픽이 가지는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 및 해상도를 가지는 지상파 DMB 수신 단말기에서, 그 수신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품질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하 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수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나 해상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품질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래스터(Raster) 그래픽 표현 방식에 비해 일반적으로 적은 데이터 크기를 가지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좁은 대역폭을 지니는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효과를 바탕으로, 지상파 DMB 시청자들에게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에 있어서,
    전송대상이 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벡터 그래픽 기반의 콘텐츠임을 알리는 헤더정보」를 부가하여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MOT 객체 생성 수단;
    스케줄링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MOT 객체를 MOT 프로토콜 규격으로 지상파 DMB 송신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MOT 객체 전송 수단; 및
    소정의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MOT 객체 전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스케줄링 수단
    을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해당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가져오기 위한 벡터 그래픽 컨텐츠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수단은,
    상기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벡터 그래픽 컨텐츠 관리 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OT 객체 생성 수단에서의 헤더정보는,
    바디 크기(Body Size), 헤더 크기(Header Size), MOT 객체가 텍스트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Content Type), 상기 MOT 객체가 벡터 그래픽 기술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컨텐츠 서브타입'(Content Sub Typ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컨텐츠는,
    스케일러블 벡터 그래픽(SVG: Scalable Vector Graphics)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5.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벡터 그래픽 기반으로 생성된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DMB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전송대상이 되는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가져오는 컨텐츠 관리 단계;
    상기 컨텐츠 관리 단계를 통하여 가져온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벡터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컨텐츠임을 알리는 헤더정보」를 부가하여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객체를 생성하는 MOT 객체 생성 단계; 및
    상기 DMB 데이터 방송 스케줄에 따라, 상기 생성된 MOT 객체를 MOT 프로토콜 규격으로 지상파 DMB 송신 장치로 전송하는 MOT 객체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MOT 객체 생성 단계에서의 헤더정보는,
    바디 크기(Body Size), 헤더 크기(Header Size), MOT 객체가 텍스트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Content Type), 상기 MOT 객체가 벡터 그래픽 기술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컨텐츠 서브타입(Content Sub Typ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는,
    스케일러블 벡터 그래픽(SVG: Scalable Vector Graphics)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DMB 데이터 방송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전송 방법.
  8.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된 지상파 DMB 앙상블(Ensemble)을 역다중화하여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와 오디오/비디오로 분리하기 위한 역다중화 수단;
    상기 역다중화 수단에서 분리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파싱 및 렌더링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방송 브라우징 수단; 및
    상기 역다중화 수단에서 분리된 오디오(Audio)/비디오(Video)를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재생하기 위한 A/V 재생 수단
    을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 수단은,
    상기 지상파 DMB 앙상블(Ensemble)을 역다중화하는 과정에서 MOT 객체의 헤더정보를 해석하여, 해당 MOT 객체가 벡터 그래픽 기술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방송 브라우징 수단은,
    상기 역다중화수단에서 분리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 파싱을 하기 위한 XML 파싱 수단;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벡터 그래픽 파싱을 하기 위한 벡터 그래픽 파싱 수단; 및
    상기 XML 파싱 수단 및 상기 벡터 그래픽 파싱 수단에서 파싱된 결과에 대하여 벡터 그래픽 렌더링을 하기 위한 벡터 그래픽 렌더링 수단
    을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11.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에서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된 지상파 DMB 앙상블(Ensemble)을 수신하는 앙상블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지상파 DMB 앙상블(Ensemble)을 역다중화하며, 상기 역다중화 과정에서 MOT 객체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분리해내는 벡터 그래픽 기반 콘텐츠 분리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파싱 및 렌더링을 하는 데이터방송 브라우징 단계
    를 포함하는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에서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는,
    MOT 객체가 텍스트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Content Type)과 상기 MOT 객체가 벡터 그래픽 기술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컨텐츠 서브타입'(Content Sub Typ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에서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방송 브라우징 단계는,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 콘텐츠 분리 단계에서 분리된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 파싱을 하는 XML 파싱 단계;
    상기 「벡터 그래픽 기반의 데이터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벡터 그래픽 파싱을 하는 벡터 그래픽 파싱 단계; 및
    상기 XML 파싱 단계 및 상기 벡터 그래픽 파싱 단계에서 파싱된 결과에 대하여 벡터 그래픽 렌더링을 하는 벡터 그래픽 렌더링 단계
    를 포함하는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에서의 벡터 그래픽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KR1020050113549A 2005-11-25 2005-11-25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9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49A KR100797393B1 (ko) 2005-11-25 2005-11-25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49A KR100797393B1 (ko) 2005-11-25 2005-11-25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151A KR20070055151A (ko) 2007-05-30
KR100797393B1 true KR100797393B1 (ko) 2008-01-28

Family

ID=3827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5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7393B1 (ko) 2005-11-25 2005-11-25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3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28A (ko) * 2000-04-14 2003-05-17 픽셀 (리서치) 리미티드 디지털 문서 처리용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02987A1 (en) 2002-06-27 2004-01-01 David Clancy Dynamic electronic program gu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28A (ko) * 2000-04-14 2003-05-17 픽셀 (리서치) 리미티드 디지털 문서 처리용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02987A1 (en) 2002-06-27 2004-01-01 David Clancy Dynamic electronic program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151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387B1 (ko) Dab 시스템에서 ip 데이터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US11689783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of receiving broadcast signals
CA2907789C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in hybrid broadcast system on basis of connection of terrestrial broadcast network and internet protocol network
KR10080086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한미리보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6217636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でのビデオサービスの提供及び受信方法、並びにその装置
EP0770291A1 (en) A method and an equipment for transmitting a file-based multimedia and hypermedia service to a mobile receiver
US105745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JP6646661B2 (ja) メディア・データの送受信の方法及び装置
KR10091099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3차원 비디오 서비스제공 방법
US113100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CN101385340B (zh) 广播接收机和用于发送/接收广播节目信息的方法
JP2021184641A (ja) 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並びに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US201000178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Objects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0797393B1 (ko) 벡터 그래픽을 이용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서버 및그 방법과, 그에 따른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EP1761060A2 (en) Transmission system, receiv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broadcasting contents
CN115442662A (zh) 基于hls流的字幕显示方法及装置
KR102157657B1 (ko)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20074818A (ko) 인터넷 콘텐츠 기반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송수신방법
KR100813976B1 (ko) 방송 콘텐츠의 출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06472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비디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단말
KR100817014B1 (ko)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전자 프로그램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Bae et al. Development of SVG based data broadcasting services in Terrestrial DMB
Lee et al. Development of a T-DMB Monitoring System
US2009027183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cene data in a unidirectional data broadcast system
KR20060018500A (ko) 음성 및 그래픽 데이터서비스 문서 저작 장치 및 그를이용한 데이터서비스 문서 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