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5574B1 -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Google Patents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574B1
KR100775574B1 KR20060035782A KR20060035782A KR100775574B1 KR 100775574 B1 KR100775574 B1 KR 100775574B1 KR 20060035782 A KR20060035782 A KR 20060035782A KR 20060035782 A KR20060035782 A KR 20060035782A KR 100775574 B1 KR100775574 B1 KR 10077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light
constant voltage
di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6003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883A (ko
Inventor
박익성
Original Assignee
알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3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574B1/ko
Priority to TW096110903A priority patent/TW200742138A/zh
Priority to JP2007104510A priority patent/JP2007294953A/ja
Priority to US11/788,132 priority patent/US20070246729A1/en
Priority to EP20070251658 priority patent/EP1848038A2/en
Publication of KR2007010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57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classe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classe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3Rectifying Diode
    • H01L2924/12032Schottky di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01L2924/1815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25Electromagne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H10H20/856Refl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여 소정의 광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실장되며, 양극 리드프레임과 음극 리드프레임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정전압을 유지하는 정전압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에 직접 조사되어 반사 또는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차광 댐을 포함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광이 직접 정전압 다이오드에 흡수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정전압, 제너 다이오드.

Description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LED package with high efficienc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전압 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5 : 사출물 몸체 210 : 정전압 다이오드
213 : 차광 댐 215 : 발광 다이오드
220 : 제1 와이어 225 : 제2 와이어
230 : 제3 와이어 250 : 반사부
235(1), 235(2) : 양극 리드프레임 240(1), 240(2) : 음극 리드프레임
245 : 절연 영역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율이 높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양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再結合)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전자부품이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특정 원소의 반도체에 순방향 전압을 가하면 양극과 음극의 접합 부분을 통해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면서 서로 재결합하는데 전자와 정공이 떨어져 있을 때 보다 작은 에너지가 되므로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의 차이로 인해 빛을 방출한다. 발광 다이오드는 저전압으로 고효율의 광을 조사할 수 있음으로 가전제품, 리모콘, 전광판, 표시기, 각종 자동화기기 등에 사용된다. 특히, 정보 통신기기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따라 기기의 각종 부품인 저항, 콘덴서, 노이즈 필터 등은 더욱 소형화 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에 직접 실장하기 위하여 표면실장소자(Surface Mount Device;이하, SMD)형으로 만들어 지고 있다. 여기서, SMD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주로 휴대폰에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는 정전기 또는 역전압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러한 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제너 다이오드를 발광칩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정전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즉, 양극과 음극에 발광 다이오드 및 제너 다이오드를 실장하고, 이 발광 다이오드와 제너 다이오드를 금(Au) 성분의 와이어(Wire) 등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병렬구조를 갖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전압 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반사부(105), 제너 다이오드(110), 발광 다이오드(115), 와이어(120, 125, 130),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은 양극 리드프레임(135), 음극 리드프레임(140), 절연 영역(145)을 포함한다.
제너 다이오드(110)가 발광 다이오드(115)와 병렬로 연결되어 정전기로 인하여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어도 제너 다이오드(110)에 의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 다 여기서, 제너 다이오드(110)는 정전압 다이오드라고도 하며, 반도체 PN 접합 다이오드의 하나로서, PN접합의 항복(Breakdown)영역에서 동작특성이 나타나도록 제작된 다이오드로 주로 정전압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제너 회복현상을 이용해서 일정 전압을 얻는 소자이며 규소의 p-n접합에서 전류 약 10 mA로 동작하고 품종에 따라 3~12 V의 정전압을 얻을 수 있는 다이오드이다. 제너 다이오드(110)는 기판에 직접 실장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을 이용하여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너 다이오드(110)는 발광 다이오드(115) 주변에 위치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115)에서 출사되는 광을 흡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발광 다이오드(115)에 출사되는 광의 일부분이 제너 다이오드(110)에 직접 향하게 되어 제너 다이오드(110)가 광의 일부분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발광 효율이 높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광이 직접 정전압 다이오드에 흡수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양태 및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정전압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서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압 다이오드에 흡수될 광을 반사할 수 있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마련된 반사부의 경사를 조절하여 휘도가 높은 광을 발광할 수 있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여 소정의 광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실장되며, 양극 리드프레임과 음극 리드프레임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정전압을 유지하는 정전압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에 직접 조사되어 반사 또는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차광 댐을 포함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Side View LED)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는 제너 다이오드 또는 애벌런시 다이오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 댐은 알루미늄, 은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 댐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 댐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바라보는 측면은 반사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물질은 알루미늄, 은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 댐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바라보는 측면은 상기 기판과 소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정전압 다이오드 및 차광 댐을 둘러싸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광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의 측면에 형성된 반사면은 상기 차광 댐에 형성된 측면의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 댐은 상기 반사부를 형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 댐은 폴리 파라바닉산 레진(poly parabanic acid 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와 정전압을 위해 마련된 정전압 다이오드 사이에 소정의 형상을 가진 차광 댐을 형성하여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광이 정전압 다이오드에 흡수되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차광 댐의 형상은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광을 외부로 반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반사율 을 높이기 위해서 반사물질 또는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광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소정의 반사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사부는 상술한 차광 댐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여(단면이 테이퍼 형상이 될 수 있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발광 다이오드와 정전압 다이오드 사이에 형성된 차광 댐의 형상에 따라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이하에서 차례대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측면형 (사이드 뷰 : side view)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탑뷰(top view) 방식, 플래쉬에 사용되는 방식, 조명용 파워 LED 등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정전압 다이오드로서 제너 다이오드(210)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외의 정전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자이면(예를 들면, 애벌런시(avalanche) 다이오드 등)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면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옆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 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사출물 몸체(205), 정전압 다이오드(210), 차광 댐(213), 발광 다이오드(215), 제1 와이어(220), 제2 와이어(225), 제3 와이어(230), 반사부(250) 및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은 양극 리드프레임(235(1), 235(2)), 음극 리드프레임(240(1), 240(2)), 절연 영역(245)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215)는 일반적인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가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GaN 계열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GaN 계열의 발광칩은 발광시 청색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도록 제조되고, 이와 같이 제조된 발광칩은 칩위에 엘로우(Yellow) 파장대의 빛을 발산하는 형광체를 도포하여 이들 빛의 혼합으로 백색광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형광체를 이용하여 백색광을 나타내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사출물 몸체(205)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 인가시 광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215)와, 발광 다이오드(215)와 병렬로 연결됨으로써 정전기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압 다이오드(210),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215)에 의하여 발광된 빛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출물 몸체(205)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중 기계적 강도가 좋고 반사율이 좋은 폴리 파라바닉산 레진(poly parabanic acid resin, 이하에서는 'PPA'라고 한다)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245)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발광 다이오드(215), 정전압 다이오드(210) 및 차광 댐(213)을 둘러싸며 사출물 몸체(20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출물 몸체(205)의 일측면에는 양극 리드프레임(235(1), 235(2))과 음극 리 드프레임(240(1), 240(2))이 형성되며, 양극 리드프레임(235(2))과 음극 리드프레임(240(2))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양극 리드프레임(235(1), 235(2))과 음극 리드프레임(240(2))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정전압 다이오드(210), 차광 댐(213), 발광 다이오드(215), 제1 와이어(220), 제2 와이어(225), 제3 와이어(230)는 수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로 보호된다.
그리고, 양극 리드프레임(235(1))에는 정전압 다이오드(210)가 실장되며, 음극 리드프레임(240(1))에는 발광 다이오드(215)가 실장된다. 여기서, 정전압 다이오드(210)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215)는 도전성 에폭시에 의하여 다이본딩(Die Bonding)방법으로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215)는 제2 와이어(225)에 의하여 양극 리드프레임(23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양극 리드프레임(235(1))에 인가된 순방향의 전류가 제2 와이어(225)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215)에 인가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215)로부터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와이어(225)는 전기적으로 도전율이 높은 금(Au)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압 다이오드(210)는 역방향 전류에 대하여 일정의 정전 내압을 갖는 물성을 갖는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215)에 정전기 등에 의하여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정전압 다이오드(210)에 의해 전류가 바이패스(By-Pass)되어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압 다이오드(210)는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를 포함하지만, 정전압의 효과를 가지는 소자라면, 애벌런시 다이오드(avalanche diode), 스위칭 다이오드 (Switching Diode) 및 쇼트키 다이오드 도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압 다이오드(210)는 제1 와이어(220)를 구비하며, 제1 와이어(220)는 정전압 다이오드(210)로부터 연장되어 음극 리드프레임(240(1))에 와이어 본딩(Wire bonding)된다. 여기서, 제1 와이어(220)는 발광 다이오드(215)로부터 연장된 제3 와이어(230)와 연결되어, 정전압 다이오드(210)는 발광 다이오드(215)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차광 댐(213)은 정전압 다이오드(210)과 발광 다이오드(215) 사이에 위치하여, 발광 다이오드(215)에서 출사된 광이 직접 정전압 다이오드(210)에 조사되어 정전압 다이오드(210)에 직접 반사 또는 흡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215)에서 출사된 광이 외부로 효율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차광 댐(213)은 반사물질로 형성되거나, 발광 다이오드(215)를 바라보는 측면을 포함하는 외부 측면이 반사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차광 댐(213)을 형성하는 반사물질 또는 차광 댐(213)을 도포하는 반사물질은 반사율이 좋은 알루미늄(Al), 은(Ag)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사출물 몸체(205)를 형성하는 사출물 중 반사율이 높은 PPA가 되거나 반사율이 높은 나일론(nylon)이 될 수도 있다. 차광 댐(213)이 사출물 몸체(205)를 형성하는 사출물과 같은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공정에 의해 차광 댐(213)과 사출물 몸체(205)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정전압 다이오드(210)과 발광 다이오드(215)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1cd 급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1cd로 밝기가 저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광 댐(213)을 사용하면 1.1cd에 근접한 밝기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댐(213)은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사부(245)가 기판에 대해 기울어지는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전압 다이오드(210)와 발광 다이오드(215)는 양극 리드프레임(235(1))과 음극 리드프레임(240(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정전압 다이오드(210)와 발광 다이오드(215)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이오드 패키지에 순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이 전류는 양극 리드프레임(235(1)) 및 제1 와이어(220)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215)로 공급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215)가 R, G, B 등의 소정의 색을 갖는 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 때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 상태이므로 전기적으로는 오픈(Open) 상태이며 과전압인 일정 전압이상에서는 쇼트(Short)상태로 발광 다이오드(215)을 보호한다. 따라서, 일정범위 이내의 정방향 전압(양극에서 음극방향)을 갖는 전류가 발광 다이오드(215)에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215)는 안정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중,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면, 역방향의 전압은 전기적으로 순방향인 정전압 다이오드(210)로 공급된다. 이 때 발광 다이오드(215)는 전기적으로 오픈(open) 상태이다. 여기서 역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될 때는 정전압 다이오드(210)가 쇼트(Short)상태로 전류를 바이패스(by pass)시켜 발광 다이오드(21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압 다이오드(210)를 발광 다이오드(215)와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순방향 및 역방향 전류로 인한 발광 다이오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사출물 몸체(705), 정전압 다이오드(710), 차광 댐(713), 발광 다이오드(715), 제1 와이어(720), 제2 와이어(725), 제3 와이어(730), 및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은 양극 리드프레임(735(1)), 음극 리드프레임(740(1)), 절연 영역(745)을 포함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차광 댐(713)은 발광 다이오드(715)에서 출사된 광이 효율적으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다. 즉, 차광 댐(713)이 발광 다이오드(715)를 바라보는 측면이 기판(양극 리드프레임(735(1)), 음극 리드프레임(740(1)), 절연 영역(745))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진 측면은 차광 댐(713) 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울이진 각도의 크기는 광의 반사 효율이 좋게 형성될 수 있는 각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차광 댐(713)의 단면은 다각형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사출물 몸체(805), 정전압 다이오드(810), 차광 댐(813), 발광 다이오드(815), 제1 와이어(820), 제2 와이어(825), 제3 와이어(830), 및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은 양극 리드프레임(835(1)), 음극 리드프레임(840(1)), 절연 영역(845)을 포함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차광 댐(813)은 중간 부분이 꺽인 형태의 판형이 될 수 있다. 즉, 발광 다이오드(815)에서 출사된 광이 효율적으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부분이 판형으로 형성되어 적은 물질로 차광 댐(813)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의 형태라도 발광 다이오드(815)에서 출사된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는 형태라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차광 댐(813)은 중간 부분이 꺽이지 않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광이 직접 정전압 다이오드에 흡수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사용 양태 및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정전압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서 고효율로 발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정전압 다이오드에 흡수될 광을 반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마련된 반사부의 경사를 조절하여 휘도가 높은 광을 발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 및 그 균등물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여 소정의 광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실장되며, 양극 리드프레임과 음극 리드프레임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정전압을 유지하는 정전압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에 직접 조사되어 반사 또는 흡수되지 않도록 하고, 알루미늄, 은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차광 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Side View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는 제너 다이오드 또는 애벌런시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댐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댐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바라보는 측면은 반사물질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물질은 알루미늄, 은 및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댐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바라보는 측면은 상기 기판과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정전압 다이오드 및 차광 댐을 둘러싸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광을 외부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측면에 형성된 반사면은 상기 차광 댐에 형성된 측면의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댐은 상기 반사부를 형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댐은 폴리 파라바닉산 레진(poly parabanic acid resin) 또는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060035782A 2006-04-20 2006-04-20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77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5782A KR100775574B1 (ko) 2006-04-20 2006-04-20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TW096110903A TW200742138A (en) 2006-04-20 2007-03-28 High efficiency LED package
JP2007104510A JP2007294953A (ja) 2006-04-20 2007-04-12 高効率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
US11/788,132 US20070246729A1 (en) 2006-04-20 2007-04-18 High efficiency LED package
EP20070251658 EP1848038A2 (en) 2006-04-20 2007-04-20 High efficiency led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5782A KR100775574B1 (ko) 2006-04-20 2006-04-20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883A KR20070103883A (ko) 2007-10-25
KR100775574B1 true KR100775574B1 (ko) 2007-11-15

Family

ID=3813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57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5574B1 (ko) 2006-04-20 2006-04-20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46729A1 (ko)
EP (1) EP1848038A2 (ko)
JP (1) JP2007294953A (ko)
KR (1) KR100775574B1 (ko)
TW (1) TW2007421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06948S1 (en) * 2006-09-28 2009-12-29 Cree, Inc. Led
USD595673S1 (en) 2007-01-19 2009-07-07 Cree, Inc. Light emitting diode
JP2008300573A (ja) * 2007-05-30 2008-12-11 Toshiba Corp 発光装置
KR100969142B1 (ko) * 2008-01-25 2010-07-08 알티전자 주식회사 측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0981214B1 (ko) * 2008-01-28 2010-09-10 알티전자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100969144B1 (ko) 2008-01-28 2010-07-08 알티전자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EP2238384B1 (en) 2008-01-30 2016-01-20 Koninklijke Philips N.V. Semiconductor package with incorporated light or temperature sensors and time multiplexing
KR100986212B1 (ko) * 2008-03-10 2010-10-07 주식회사 이츠웰 사이드 뷰 엘이디 램프용 금속기판과 사이드 뷰형 엘이디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DE102008016534A1 (de) * 2008-03-31 2009-10-0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trahlungsemittierendes Halbleiter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ahlungsemittierenden Halbleiterbauelements
KR100899555B1 (ko) * 2008-06-12 2009-05-27 알티전자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100003320A (ko) * 2008-06-24 2010-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USD608307S1 (en) 2008-08-28 2010-01-19 Cree, Inc. Light emitting diode
JP5217800B2 (ja) 2008-09-03 2013-06-1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樹脂パッケージ、樹脂成形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TWI380433B (en) * 2009-02-25 2012-12-21 Everlight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TWI411142B (zh) 2009-06-23 2013-10-01 Delta Electronics Inc 發光裝置及其封裝方法
KR101282829B1 (ko) * 2010-02-17 2013-07-26 일진엘이디(주)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039994B1 (ko) * 2010-05-24 201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101852388B1 (ko) 2011-04-28 2018-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JP6205894B2 (ja) * 2012-07-04 2017-10-0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用パッケージ成形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US20140167083A1 (en) * 2012-12-19 2014-06-19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Led package with integrated reflective shield on zener diode
CN104112739A (zh) * 2013-04-16 2014-10-22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
CN104752369B (zh) 2013-12-27 2018-02-16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光电元件模组
CN107946441A (zh) * 2016-10-12 2018-04-20 亿光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及发光二极管封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799A (ja) 1997-07-30 1999-02-26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KR20040040396A (ko) * 2003-11-19 2004-05-12 럭스피아 주식회사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060002328A (ko) * 2004-07-01 2006-01-0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방열효율이 향상된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2450B2 (ja) * 1997-09-04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00124506A (ja) * 1998-10-15 2000-04-28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JP3729012B2 (ja) * 2000-02-24 2005-12-21 松下電工株式会社 Ledモジュール
JP2002124703A (ja) * 2000-08-09 2002-04-26 Rohm Co Ltd チップ型発光装置
JP4761494B2 (ja) * 2001-08-24 2011-08-3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双方向光伝送デバイス
JP2005197318A (ja) * 2003-12-26 2005-07-21 Stanley Electric Co Ltd 横方向発光型面実装led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32002B1 (ko) * 2005-08-02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보호 소자를 포함하는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799A (ja) 1997-07-30 1999-02-26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KR20040040396A (ko) * 2003-11-19 2004-05-12 럭스피아 주식회사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060002328A (ko) * 2004-07-01 2006-01-0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방열효율이 향상된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42138A (en) 2007-11-01
JP2007294953A (ja) 2007-11-08
US20070246729A1 (en) 2007-10-25
KR20070103883A (ko) 2007-10-25
EP1848038A2 (en)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574B1 (ko)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US10559734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KR100650191B1 (ko) 정전기 방전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이 내장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KR100863864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6104570B2 (ja) 発光素子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JP5999929B2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及びこれを利用した照明システム
US7652306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10217918B2 (en)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KR100851183B1 (ko)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
US20090311811A1 (en) High power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769720B1 (ko) 정전기 방전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이 내장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KR100896068B1 (ko) 정전기 방전 보호 기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소자
KR100591688B1 (ko) 리드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0748241B1 (ko) 정전기 방전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이 내장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04408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268907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0342558Y1 (ko)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0784348B1 (ko) 발광 다이오드
KR20130039808A (ko) 간접조명 타입의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30039094A (ko) 간접조명 타입의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00054475A (ko) Led 패키지
KR20130039982A (ko) 간접조명 타입의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30042830A (ko) 간접조명 타입의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