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5436B1 - 자동차 및 자동차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및 자동차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436B1
KR100775436B1 KR1020067010945A KR20067010945A KR100775436B1 KR 100775436 B1 KR100775436 B1 KR 100775436B1 KR 1020067010945 A KR1020067010945 A KR 1020067010945A KR 20067010945 A KR20067010945 A KR 20067010945A KR 100775436 B1 KR100775436 B1 KR 100775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acceleration
pitching
control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130A (ko
Inventor
쇼지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 B60K31/04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and means for comparing one electrical quantity, e.g. voltage, pulse, waveform, flux, or the like, with another quantity of a like kind, which comparison mean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fed into the controlling means
    • B60K31/04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and means for comparing one electrical quantity, e.g. voltage, pulse, waveform, flux, or the like, with another quantity of a like kind, which comparison mean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fed into the controlling means where at least one electrical quantity is set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45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and means for comparing one electrical quantity, e.g. voltage, pulse, waveform, flux, or the like, with another quantity of a like kind, which comparison mean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fed into the controlling means where at least one electrical quantity is set by the vehicle operator in a memory, e.g. a capacitor
    • B60K31/047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and means for comparing one electrical quantity, e.g. voltage, pulse, waveform, flux, or the like, with another quantity of a like kind, which comparison mean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fed into the controlling means where at least one electrical quantity is set by the vehicle operator in a memory, e.g. a capacitor the memory being digi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45Improving turning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1Pitch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12Rol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14Yaw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6Driving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 B60W2720/106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2Lateral speed
    • B60W2720/125Lateral accel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에 있어서, 코너링드래그추정기(61)는 조향각과 차량속도(V)를 측정하여 코너링드래그를 추정한다. 게인승산기(62)는 추정된 코너링드래그를 소정의 게인(K)와 곱하여 상기 추정된 코너링드래그를 감소시킨다. 위상조정기(63)는 상기 추정되어 감소된 코너링드래그의 나머지 위상을 조정한다. 구현시스템(70)은 게인승산기(62)의 출력과 위상조정기(63)의 출력의 합을 받아 상기 수신된 합에 따라 엔진의 스로틀 개방을 조절한다. 이는 추정된 코너링드래그의 저감 정도 및 위상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는 차량이 회전할 때에 발생될 수도 있는 피칭 및 롤링의 적절한 레벨을 달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및 자동차제어방법{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선회시, 횡방향 가속도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코너링드래그(cornering drag)를 토대로 목표 구동토오크를 설정하는 몇몇 자동차들이 제안되어 왔다(예컨대, 일본특허공보 제2518445호 참조). 상기 제안된 자동차는 선회시 횡방향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차량 종방향의 목표가속도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목표가속도를 상기 횡방향 가속도에 의존하는 코너링드래그에 기초하여 도로부하토오크에 더하여 목표 구동토오크를 설정한다. 자동차의 엔진은 소정 레벨의 목표 구동토오크를 달성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기술의 목적은 높은 레벨 범위의 횡방향 가속도에서도 지나치게 작은 값을 목표 구동토오크로 설정하지 않으면서 상기 차량의 신속한 회전을 달성하는데 있다.
종래의 자동차는 코너링드래그를 토대로 도로부하토오크를 포함하도록 목표 구동토오크를 설정하지만, 차량 종방향의 차량의 진동(피칭; pitching)과 선회시 차량 횡방향으로의 차량의 진동(롤링; rolling)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피칭 및 롤링의 복합 인자들은 선회시 차량에 작용하여, 차량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및 상응하는 자동차제어방법의 목적은, 선회시 차량에 발생될 수도 있는 피칭 및 롤링의 적절한 레벨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및 상응하는 자동차제어방법은, 상기 목적 및 기타 관련된 목적들의 적어도 일부를 성취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형태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고,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작용되는 차량 종방향의 감속력을 추정하는 감속력추정모듈; 상기 추정된 감속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가속도(이를, 이하, '조향-원인 가속도' 라 함)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조정제어값을 계산하는 제어값계산모듈; 및 상기 차량의 주행변화요구 및 상기 계산된 조정제어값을 토대로, 차축에 대한 구동력의 출력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구동원을 운전 및 제어하는 운전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작용되는 차량 종방향의 감속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감속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조향-원인 가속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조정제어값을 계산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변화요구 및 상기 계산된 조정제어값을 토대로 차축에 대한 구동력의 출력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구동원을 운전 및 제어한다. 조향-원인 가속도를 소정의 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조정제어값의 계산은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피칭 및 롤링의 적절한 레벨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여기서, '구동원'은 예컨대 내연기관 및 모터 중 하나 이상을 말한다. '차량의 주행변화요구'라는 용어는 운전자의 조작-기반 요구 및 운전자의 조작이 없는 자동제어요구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차축'이라는 용어는 차륜과 연결된 샤프트 뿐만 아니라 차륜 자체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값계산모듈은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를 벗어나는 상기 차량 종방향의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조절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크기조절장치에 의한 조절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제어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조절하면, 조향-원인 가속도에 기인하는 차량의 피칭 및 롤링의 보다 적절한 레벨을 얻게 된다. 이 경우, 크기조절장치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를 벗어나는 차량 횡방향으로의 횡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횡방향 가속도로 인한 진동들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기조절장치는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줄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종방향 가속도로 인한 진동들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줄이는'이란 어구는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0' 값으로 줄이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크기조절장치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레벨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레벨은 사전에 미리 자동차의 특성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조향-원인 가속도로 발생되는 자동차의 피칭 및 롤링 레벨들은 자동차의 특성에 적절한 소정의 레벨들로 설정된다. 더욱이, 상기 크기조절장치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의 피칭 및 롤링 레벨들을 감소시킨다. 저감 정도의 조절은 피칭 및 롤링의 보다 적절한 레벨들을 보장한다. 여기서,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의 감소'라는 어구는 피칭 및 롤링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값계산모듈은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를 벗어나는 차량 종방향의 종방향 가속도 및 차량 횡방향으로의 횡방향 가속도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조정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위상조정기에 의한 조정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제어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종방향 가속도 및 횡방향 가속도의 위상의 조정은 조향-원인 가속도로 인한 차량의 피칭 및 롤링의 보다 적절한 레벨들을 보장한다. 이 경우, 상기 위상조정기는 상기 횡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횡방향 가속도로 인한 진동들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상조정기는 상기 횡방향 가속도의 위상에 대한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횡방향 가속도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의 지연은 조향-원인 가속도로 인한 차량의 피칭 및 롤링의 보다 적절한 레벨들을 보장한다. 또한, 상기 위상조정기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레벨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을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레벨은 사전에 미리 자동차의 특성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조향-원인 가속도로 인한 자동차의 피칭 및 롤링 레벨들은 자동차의 특성에 적절한 소정의 레벨들로 설정된다. 더욱이, 상기 위상조정기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조향-원인 가속도로 인한 차량의 피칭 및 롤링 레벨들을 감소시킨다. 저감 정도의 조절은 피칭 및 롤링의 보다 적절한 레벨들을 보장한다. 여기서,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의 저감'이라는 어구는 피칭 및 롤링을 완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검출모듈; 및 차량속도를 측정하는 차량속도측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감속력추정모듈은 상기 검출된 조향각 및 상기 측정된 차량속도를 토대로 감속력을 추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속력추정모듈은 상기 검출된 조향각이 증가하는 만큼 증가하도록 그리고 상기 측정된 차량속도가 증가하는 만큼 증가하도록 상기 감속력을 추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는 감속력의 적절한 추정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제어방법은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자동차를 제어하는 자동차제어방법으로서, (a)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작용되는 차량 종방향의 감속력을 추정하는 단계; (b) 상기 추정된 감속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조향-원인 가속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조정제어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량의 주행변화요구 및 상기 계산된 조정제어값을 토대로, 차축에 대한 구동력의 출력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구동원을 운전 및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제어방법은,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작용되는 차량 종방향의 감속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감속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조향-원인 가속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조정제어값을 계산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변화요구 및 상기 계산된 조정제어값을 토대로, 차축에 대한 구동력의 출력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구동원을 운전 및 제어한다. 조향-원인 가속도를 소정의 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조정제어값의 계산은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피칭 및 롤링의 적절한 레벨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여기서, '구동원'은 예컨대 내연기관 및 모터 중 하나 이상을 말한다. '차량의 주행변화요구'라는 용어는 운전자의 조작-기반 요구 및 운전자의 조작이 없는 자동제어요구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차축'이라는 용어는 차륜과 연결된 샤프트 뿐만 아니라 차륜 자체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조정제어값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를 벗어나는 차량 종방향의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 및 위상의 조절은 조향-원인 가속도로 인한 차량의 피칭 및 롤링의 보다 적절한 레벨들을 달성하게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레벨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조정제어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레벨은 사전에 미리 자동차의 특성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조향-원인 가속도로 인한 자동차의 피칭 및 롤링 레벨들은 자동차의 특성에 적절한 소정의 레벨들로 설정된다. 더욱이, 상기 (b) 단계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조정제어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저감 정도의 조절은 피칭 및 롤링의 보다 적절한 레벨들을 보장한다. 여기서,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의 저감'이라는 어구는 피칭 및 롤링의 완전 제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선회시-운동제어에서 수반되는 제어블록들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코너링드래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선회시-운동제어 없는 선회시의 타각(rudder angle, δ), 종방향 가속도(Gx), 및 횡방향 가속도(Gy)의 시간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선회시-운동제어 없는 선회시의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유효값이 단지 게인(K)으로만 설정된 조건 하에서 선회시의 종방향 가속도(Gx) 및 타각(δ)의 시간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유효값이 단지 게인(K)으로만 설정된 조건 하에서 선회시의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유효값이 단지 추가댐핑계수(C1)로만 설정된 조건 하에서 선회시의 종방향 가속도(Gx) 및 타각(δ)의 시간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유효값이 단지 추가감쇠계수(C1)로만 설정된 조건 하에서 선회시의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는 한 가지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자동차(20)는 스타터모터(23)에 의해 시동되고 가솔린으로 구동되는 엔진(22), 상기 엔진(22)의 작동을 직접 제어하는 엔진전자제어유닛(이하, 엔진ECU라고 함)(24), 상기 엔진(22)으로부터 크랭크축(26)으로 출력되는 동력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동력을 차동기어(34)를 통해 구동차륜이나 후륜(36a, 36b)으로 전달하는 자동변속기(28), 상기 자동변속기(28)의 기어 변화를 제어하는 자동변속전자제어유닛(이하, ATECU라고 함)(30), 및 차량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전자제어유닛(이하, 중앙ECU라고 함)(50)을 구비한다.
엔진ECU(24)는 중앙요소로서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지만,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지는 않다. 상기 엔진ECU(24)는 엔진(22)의 구동조건들을 검출하는 여러 센서들, 예컨대 흡기량을 측정하는 공기유량계, 크랭크축(26)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크랭크위치센서 및 스로틀밸브의 개방을 측정하는 스로틀밸브위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수신한다. 상기 엔진ECU(24)는 흡기량의 조절을 위해 스로틀밸브의 개방을 조정하기 위한 흡기조정제어, 흡기밸브의 개폐타이밍을 바꾸기 위한 가변흡기밸브타이밍제어, 연료분사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연료분사제 어, 및 점화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점화제어를 실행하여, 상기 엔진(22)의 작동들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엔진ECU(24)는 중앙ECU(50)와 연통되어 형성된다. 엔진ECU(24)는 엔진(22)을 시동 및 정지하거나 중앙ECU(50)로부터의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엔진(22)의 작동들을 제어하는 한편, 엔진(22)의 구동조건들에 관한 데이터를 요건들에 따라 중앙ECU(50)로 출력한다.
ATECU(30)는 또한 중앙요소로서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지는 않다. 상기 ATECU(30)는 자동변속기(28)를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속도(V) 및 액셀레이터 개방도(Acc)의 측정값들에 따라 상기 자동변속기(28)에서의 속도 셋팅을 변경하도록 다수의 유성기어들의 조합들로서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결합 및 해제시킨다. 상기 ATECU(30)는 또한 중앙ECU(50)와 연통되어 형성된다. ATECU(30)는 중앙ECU(50)로부터의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자동변속기(28)에서의 속도 셋팅을 변경하는 한편, 상기 자동변속기(28)의 조건들에 관한 데이터를 요건들에 따라 중앙ECU(50)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ECU(50)는 또한 중앙요소로서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ECU(50)는 여러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엔진ECU(24) 및 ATECU(30)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한편, 제어신호들을 엔진ECU(24) 및 ATECU(30)로 전송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차량 전체의 작동들을 제어하게 된다. 중앙ECU(50)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전방스티어링 휠(32a, 32b)에 대해 조작되는 스티어링 휠(38)의 조향축에 부착된 조향각센서(40)에 의해 측정되어 전송되는 기준위치로부터의 스티어링 휠(38)의 조향각(θ) 또는 회전각, 변속위 치센서(53)에 의해 검출되어 전송되는 변속레버(52)의 변속위치(SP) 또는 현재 위치, 액셀레이터페달위치센서(55)에 의해 측정되어 전송되는 액셀레이터페달(54)의 운전자의 스텝-온 정도에 상응하는 액셀레이터 개방도(Acc), 브레이크페달위치센서(57)에 의해 측정되어 전송되는 브레이크페달(56)의 운전자의 스텝-온 정도에 상응하는 브레이크페달위치 BP 및 차량속도센서(58)에 의해 측정되어 전송되는 차량속도(V)를 포함한다.
상술된 구조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20)에 있어서, 변속위치센서(53) 및 액셀레이터페달위치센서(55)는 각각 변속레버(52)의 운전자의 변속 작업 및 액셀레이터페달(54)의 운전자의 스텝-온 행동을 검출한다. 상기 엔진(22) 및 자동변속기(28)는, 변속위치(SP), 액셀레이터 개방도(Acc), 및 차량속도(V)의 측정값들을 토대로, 후방차륜(36a, 36b)에 대한 운전자의 변속 작업 및 운전자의 액셀레이터 스텝-온 행동에 상응하는 구동력의 출력을 보장하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20)는, 스티어링 휠(38)의 운전자의 조작에 상응하여 차량에서 일어나는 종방향력(코너링드래그) 및 횡력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피칭 또는 종방향 진동 및 롤링 또는 횡방향 진동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피칭 및 롤링의 제어를 후술한다(이하, 선회시-운동제어라고 함).
도 2는 선회시-운동제어에서 수반되는 제어블록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선회시-운동제어는 조향각(θ) 및 차량속도(V)의 측정값들에 따라 피칭 및 롤링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값을 계산 및 설정하는 제어값계산시스템(60)과, 상기 제어값계산시스템(60)에 의해 계산되어 설정된 제어값에 따라 구동원으로서 엔진 (22)의 제어를 구현하는 구현시스템(7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값계산시스템(60)은, 조향각(θ) 및 차량속도(V)의 측정값들로부터 코너링드래그를 추정하는 코너링드래그추정기(61), 상기 코너링드래그추정기(61)에 의해 추정된 코너링드래그를 줄이도록 상기 추정된 코너링드래그에 소정의 게인(K)을 곱하는 게인승산기(62), 상기 추정되어 감소된 코너링드래그의 나머지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조정기(63), 및 상기 게인승산기(62)로부터의 출력 및 상기 위상조정기(63)로부터의 출력을 합산하는 가산기(6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링드래그추정기(61)는 사전에 미리 자동차(20)에서의 조향각(θ) 및 차량속도(V)에 대한 코너링드래그의 변화를 특정하여, 상기 특정된 변화를 맵의 형태로 저장한다. 상기 조향각(θ) 및 차량속도(V)의 입력들에 상응하는 코너링드래그는 상기 저장된 맵으로부터 판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38)의 운전자의 조작이 전방차륜(32a, 32b) 상에 타각(δ)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너링드래그가 상기 전방차륜(32a, 32b)에 작용하는 횡력(Fyf)의 차량 종방향성분이다. 따라서, 상기 코너링드래그는 sinδ·Fyf로 주어진다. 횡력(Fyf)은 차량의 원심력에 기인하고, 차량 회전의 각속도 및 차량의 질량(중량)으로부터 역동적으로 계산된다. 본 실시예의 절차는 회전하는 차량의 각속도 대신에, 전방차륜(32a, 32b) 상의 타각(δ)에 상응하는 스티어링 휠(38)의 차량속도(V) 및 조향각(θ)를 이용한다. 상기 회전하는 차량의 각속도에 대한 코너링드래그의 변화는 본질적으로 조향각(θ) 및 차량속도(V)에 대한 코너링드래그의 변화으로서 주어진다. 상기 코너링드래그는 차량에 대한 감속력으로서 인가된다. 코너링드래그를 차량의 질량으로 나누면, 차량의 종방향의 가속도(Gx)를 제공한다(이하, 종방향 가속도라고 함). 코너링드래그의 추정은 이에 따라 조향으로 인한 종방향 가속도(Gx)의 추정과 동의어이다. 원심력이 증가하면 각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코너링드래그의 추정에 사용되는 맵은 조향각(θ)의 증가 및 차량속도(V)의 증가와 함께 코너링드래그의 증가를 제공한다.
상기 위상조정기(63)는 코너링드래그추정기(61)에 의해 추정되어 게인승산기(62)에 의해 감소된 코너링드래그의 나머지를 계산하는 연산자(64), 위상을 조정하는 등가피치댐퍼(66), 및 상기 등가피치댐퍼(66)로부터의 피드백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 출력을 상기 연산자(64)의 출력으로부터 감산하여 그 차이를 등가피치댐퍼(66)로 출력하는 감산기(65)를 포함한다. 상기 등가피치댐퍼(66)는 아래에 주어진 수학식 1의 전달함수로서 표현된다:
Figure 112006039331975-pct00001
여기서, C1, I, C, D 및 s는 각각 추가감쇠계수, 차량의 피칭 시의 관성(피치관성), 점성, 탄성 및 라플라스 연산자이다. 종방향 가속도(Gx)를 차량 상으로 인가 하에 차량의 피칭 시의 피치각(φ) 또는 회전각은 φ(s) / (Gx)(s)로 표현되는데, 이는 분자가 '1' 값으로 설정된 수학식 1과 같다. 등가피치댐퍼(66)로부터의 출력의 피드백은 미분항을 제거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코너링드래그의 추정은 종방향 가속도(Gx)의 추정과 동의어이다. 이에 따라, 위상조정기(63)는 종방향 가속 도(Gx)의 위상을 조정한다.
상기 구현시스템(70)은, 엔진(22)내로의 흡기의 1차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제어값계산시스템(60)으로부터 출력된 제어값을 상기 엔진(22)의 회전속도(Ne)로 보정하는 흡기지연보상기(71), 상기 흡기지연보상기(71)로부터의 출력을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구동력변환기(72), 상기 구동력변환기(72)의 출력 및 변속위치로부터 목표추가엔진토오크를 계산하는 등가토오크비연산자(73), 및 상기 등가토오크비연산자(73)의 출력, 기본 스로틀 개방도 및 엔진(22)의 회전속도(Ne)로부터 스로틀제어를 계산하는 엔진토오크매니저(7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구조에 있어서, 중앙ECU(50)는 제어값계산시스템(60)과 흡기지연보상기(71) 및 구현시스템(70)의 구동력변환기(72)를 달성하는 반면, 엔진ECU(24)는 등가토오크비연산자(73) 및 상기 구현시스템(70)의 엔진토오크매니저(74)를 달성한다.
이하, 상세한 예시들을 참조하여 차량의 피칭 및 롤링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값계산시스템(60) 및 구현시스템(70)의 선회시-운동제어의 원리를 설명한다. 상기 선회시-운동제어는 게인승산기(62)에서 설정된 게인(K) 및 제어값계산시스템(60)의 등가피치댐퍼(66)에서 설정된 추가감쇠계수(C1)을 조절하여, 코너링드래그추정기(61)에 의해 추정된 코너링드래그의 위상 및 저감 정도, 즉 선회시 차량의 종방향 가속도(Gx)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추가감쇠계수(C1)의 고정값을 갖는 게인(K)을 '0' 값으로 변경하는 것은 종방향 가속도(Gx)의 위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상기 종방향 가속도(Gx)의 크기만 조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게인 (K)의 고정값을 갖는 추가감쇠계수(C1)을 '0' 값으로 변경하는 것은 종방향 가속도(Gx)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상기 종방향 가속도(Gx)의 위상만 조정한다. 도 4의 그래프는 선회시-운동제어없이 시간에 대한 선회시의 타각(δ)의 변화(곡선 A), 차량의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곡선 B), 및 차량의 횡방향 가속도(Gy)의 변화(곡선 C)을 보여준다. 도 5의 그래프는 도 4의 조건 하에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곡선 G)을 보여준다. 도 6의 그래프는 추가감쇠계수(C1)이 '0' 값으로 고정되고 유효값이 게인(K)으로 설정된 조건 하에 시간에 대한 선회시의 타각(δ)의 변화(곡선 A), 차량의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곡선 B1)을 보여준다. 도 7의 그래프는 도 6의 조건들 하에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곡선 G1)을 보여준다. 도 8의 그래프는 게인(K)이 '0' 값으로 고정되고 유효값이 추가감쇠계수(C1)로 설정된 조건 하에 시간에 대한 선회시의 타각(δ)의 변화(곡선 A) 및 차량의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곡선 B2)을 보여준다. 도 9의 그래프는 도 8의 조건들 하에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곡선 G2)을 보여준다. 도 6 및 도 8의 점선 곡선 B는 선회시-운동제어가 없는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를 보여주고, 도 7 및 도 9의 점선 곡선 G는 선회시-운동제어가 없는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38)을 조작하여 타각(δ)을 사인곡선으로 변경하는 경우, 종방향 가속도(Gx)는 타각(δ)의 변화를 갖는 음의 값들을 가지도록 변경된다. 그 후, 횡방향 가속도(Gy)는 종방향 가속도(Gx)의 변화으로부터 위상지연이 거의 없는 사인곡선으로 변경된다. 상기 횡방향 가속도(Gy)의 위상지연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대각선 변화(diagonal variation)를 제공한다. 추가감쇠계수(C1)가 '0' 값으로 고정되고 유효값이 게인(K)으로 설정된 조건들 하에서, 종방향 가속도(Gx)는 도 6의 곡선 B1 및 도 7의 곡선 G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된다. 다른 한편으로, 게인(K)이 '0' 값으로 고정되고 유효값이 추가감쇠계수(C1)으로 설정된 조건들 하에서는, 종방향 가속도(Gx)의 위상이 조정된다. 이는 도 8의 곡선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가속도(Gx)의 감소를 유도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변화를 변형시킨다. 게인(K)의 조절은 종방향 가속도(Gx)를 완전 제거할 수도 있다.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 양자 모두의 조절은 횡방향 가속도(Gy)에 대한 종방향 가속도(Gx)의 대각선 변화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20)는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을 설정하여, 선회시-운동제어없이 그로부터의 피칭 및 롤링의 레벨 모두를 저감시키게 된다. 즉, 스티어링 휠(38)의 조향에 의해 피칭 및 롤링의 적절한 레벨들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은 자동차(20)의 구동특성, 예컨대 스포티 운전에 중점을 두느냐 또는 편안한 승차감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설정된다. 도 10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셋팅 과정이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을 설정하기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셋팅 과정은 우선 종방향 가속도(Gx)에 '0' 값을 설정한다는 가정 하에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을 결정하고(단계 S100), 차량의 구동특성에 따라 피칭 및 롤링 레벨들을 특정한다(단계 S110). 그 후, 상기 셋팅 과정은 특정된 피칭 및 롤링 레벨들을 얻기 위해 종방향 가속도(Gx)를 계산하고(단계 S120), 상기 계산된 종방향 가속도(Gx)를 만들기 위해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을 조절 및 설정한다(단계 S130). 이 방법은 종방향 가속도(Gx)의 저감 정도 및 위상을 조정하기 위해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을 조절하지만, 실제로는 상기 '0' 값을 설정한 후에 종방향 가속도(Gx)를 소정의 레벨로 변경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게인(K) 및 추가감쇠계수(C1)의 조절은 스티어링 휠(38)의 조향으로 인한 피칭 및 롤링의 적절한 레벨들을 달성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차(20)는 선회시의 차량의 피칭 및 롤링의 적절한 레벨들을 얻기 위해 추정된 코너링드래그의 저감 정도 및 위상을 조정한다. 상기 피칭 및 롤링 레벨들은 차량의 구동특성에 따라 조절된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20)는 중앙ECU(50) 및 엔진ECU(24)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ECU(50)는 제어값계산시스템(60)과 흡기지연보상기(71) 및 구현시스템(70)의 구동력변환기(72)를 달성하는 반면, 상기 엔진ECU(24)는 등가토오크비연산자(73) 및 상기 구현시스템(70)의 엔진토오크매니저(74)를 달성한다. 가능성 있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앙ECU(50)가 제어값계산시스템만 달성할 수 있는 한편, 엔진ECU(24)는 구현시스템(70) 전체를 달성할 수도 있다. 또다른 수정예에 있어서, 엔진ECU(24)는 제어값계산시스템(60) 및 구현시스템(70) 양자 모두를 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20)는 차량의 구동원으로서 엔진(22)을 구비하지만, 차량의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구현시스템(70)이 모터에 적합하도록 수정된다. 상기 차량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된 모터는, 예컨대 인 -휠 모터(in-wheel motor)와 같이 구동력을 차륜에 직접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20)는 추정된 코너링드래그의 저감 정도 및 위상을 조정한다. 수정된 일 제어는 코너링드래그를 한 번 제거한 다음, 소정 레벨의 종방향 가속도(Gx)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20)에서는, 후방차륜(36a, 36b)들이 구동차륜이고, 전방차륜(32a, 32b)들이 피구동차륜이다. 본 발명의 기술은 또한 구동차륜으로서 전방차륜(32a, 32b)을, 피구동차륜으로서 후방차륜(36a, 36b)을 구비한 자동차 뿐만 아니라, 전방차륜(32a, 32b) 및 후방차륜(36a, 36b) 모두가 구동차륜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모든 실시형태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주된 특성들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많은 수정, 변경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기술은 자동차 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작용되는, 차량 종방향의 감속력을 추정하는 감속력추정모듈;
    상기 추정된 감속력에 의거하고, 상기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조향-원인가속도에 의하여 발생되는 차량의 피칭 및 롤링의 적어도 한쪽을 저감하도록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 중, 상기 차량 종방향의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조정하는 크기조절장치를 가지고, 상기 크기조절장치에 의한 조정에 의거하여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제어값을 계산하는 제어값계산모듈;
    상기 차량의 주행변화요구와 상기 계산된 조정제어값에 의거하는 구동력이 차축에 출력되도록 상기 구동원을 운전 및 제어하는 운전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장치는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장치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레벨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값계산모듈은, 상기 횡방향 가속도의 위상에 대한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값계산모듈은,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레벨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값계산모듈은,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종방향 가속도의 위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검출모듈; 및
    차량속도를 측정하는 차량속도측정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속력추정모듈은 상기 검출된 조향각 및 상기 측정된 차량속도를 토대로 감속력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력추정모듈은, 상기 검출된 조향각이 증가하는 만큼 증가하도록 그리고 상기 측정된 차량속도가 증가하는 만큼 증가하도록 상기 감속력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내연기관 및 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5.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구동되는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차량의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작용되는, 차량 종방향의 감속력을 추정하는 단계;
    (b) 상기 추정한 감속력에 의거하고, 상기 조향에 기인하여 상기 차량에 작용하는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하여 발생되는 차량의 피칭 및 롤링의 적어도 한쪽을 저감하도록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 중, 상기 차량 종방향의 종방향 가속도의 크기를 조정함과 동시에 상기 조정에 의거하여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제어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량의 주행변화요구와 상기 계산된 조정제어값에 의거하는 구동력이 차축에 출력되도록 상기 구동원을 운전 및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조향-원인 가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량의 피칭 레벨 및 롤링 레벨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레벨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조정제어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제어방법.
  18. 삭제
KR1020067010945A 2003-12-05 2004-12-03 자동차 및 자동차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75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7549 2003-12-05
JP2003407549A JP4254512B2 (ja) 2003-12-05 2003-12-05 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130A KR20060093130A (ko) 2006-08-23
KR100775436B1 true KR100775436B1 (ko) 2007-11-12

Family

ID=34650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9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5436B1 (ko) 2003-12-05 2004-12-03 자동차 및 자동차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64582B2 (ko)
EP (1) EP1711365B1 (ko)
JP (1) JP4254512B2 (ko)
KR (1) KR100775436B1 (ko)
CN (1) CN101048291B (ko)
DE (1) DE602004031980D1 (ko)
WO (1) WO20050539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079A1 (ja) * 2008-05-19 2009-11-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方法
JP5724524B2 (ja) * 2011-03-29 2015-05-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振動制御装置、および車体振動制御方法
JP5724523B2 (ja) * 2011-03-29 2015-05-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振動制御装置、および車体振動制御方法
JP5787164B2 (ja) * 2011-11-24 2015-09-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油圧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71027B2 (ja) * 2012-08-21 2016-08-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駆動力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DE102013001305B4 (de) * 2013-01-26 2014-11-06 Audi Ag Kraftfahrzeug
CN116198592A (zh) * 2014-10-31 2023-06-02 北极星工业有限公司 用于控制车辆的系统和方法
JP6202479B1 (ja) * 2016-04-22 2017-09-2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挙動制御装置
CN116923025B (zh) * 2022-03-31 2024-10-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半主动悬架侧倾控制方法、装置、介质、电子设备和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3060A1 (de) * 1991-10-04 1993-04-08 Mannesmann Ag Antriebsanordnung fuer ein kraftfahrzeug
US5388658A (en) * 1991-12-02 1995-02-14 Imra America, Inc. Integrated torque and steering control system
EP1155900A2 (en) * 2000-05-16 2001-11-21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516B2 (ja) 1988-01-29 1994-04-13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942566B2 (ja) 1989-01-20 1999-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スリップ制御装置
JP2595762B2 (ja) 1990-01-30 1997-04-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操舵角中立位置演算手段
JP2518445B2 (ja) 1990-01-30 1996-07-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旋回制御装置
JP2518448B2 (ja) 1990-05-18 1996-07-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出力制御装置
DE4201146C2 (de) * 1991-01-18 2003-01-30 Hitachi Lt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Kraftfahrzeugverhaltens
JP3409439B2 (ja) * 1994-06-17 2003-05-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左右輪と前後輪の駆動力配分総合制御装置
JP3620157B2 (ja) 1996-08-12 2005-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
DE69724383T2 (de) * 1996-11-13 2004-06-24 Honda Giken Kogyo K.K. System zur Kontrolle des Giermomentes in Fahrzeugen
JP2003184599A (ja) * 2001-12-12 2003-07-03 Aisin Seiki Co Ltd 車輌の挙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3060A1 (de) * 1991-10-04 1993-04-08 Mannesmann Ag Antriebsanordnung fuer ein kraftfahrzeug
US5388658A (en) * 1991-12-02 1995-02-14 Imra America, Inc. Integrated torque and steering control system
EP1155900A2 (en) * 2000-05-16 2001-11-21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8291B (zh) 2010-04-21
EP1711365B1 (en) 2011-03-23
JP4254512B2 (ja) 2009-04-15
JP2005163750A (ja) 2005-06-23
WO2005053992A2 (en) 2005-06-16
US20070129866A1 (en) 2007-06-07
CN101048291A (zh) 2007-10-03
EP1711365A2 (en) 2006-10-18
WO2005053992A3 (en) 2007-06-21
KR20060093130A (ko) 2006-08-23
DE602004031980D1 (de) 2011-05-05
US7664582B2 (en)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8677B2 (en) System and method of vehicle speed control having vehicle speed limit control and speed increase rate control
US7680577B2 (en) Estimating method for road friction coefficient and vehicle slip angle estimating method
EP2019194B1 (en) A torque control method of a road vehicle
WO2013011572A1 (ja) 車両制御装置
JP4665790B2 (ja) 車両の振動低減制御装置
KR100775436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제어방법
US8744710B2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ive force that operates on vehicle
CN111137297A (zh) 利用梯度的拖车模式判断装置及方法
JPH11107803A (ja) 自動車における駆動滑り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692499B2 (ja) 車両の制振制御装置
US20080201051A1 (en) Vehicle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US20210331592A1 (en) Method and drive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t least two electric drive machines in the event of a change in load and motor vehicle with a drive control device
US20190023274A1 (en) Vibration damp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2005139947A (ja) 車輌の加速スリップ制御装置
US8725377B2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ive force that operates on vehicle
JP3518174B2 (ja) 車両の追従走行制御装置
JP3780689B2 (ja) 制駆動力制御装置
JP3428419B2 (ja) 制駆動力制御装置
JP2012210926A (ja) 車両に働く駆動力を制御する制御装置
JP5273011B2 (ja) 振動抑制装置、振動抑制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7174042A (ja) 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JP4959502B2 (ja) 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JP3479174B2 (ja) 変速機制御装置
JPH0599014A (ja) 路面摩擦係数の検出方法
JP2006306201A (ja) 駆動系にトルクコンバータを備えた車輌の制駆動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