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1416B1 - 의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416B1
KR100771416B1 KR1020070062397A KR20070062397A KR100771416B1 KR 100771416 B1 KR100771416 B1 KR 100771416B1 KR 1020070062397 A KR1020070062397 A KR 1020070062397A KR 20070062397 A KR20070062397 A KR 20070062397A KR 100771416 B1 KR100771416 B1 KR 10077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ilting
inclined surface
chair assembly
spring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to KR102007006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4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6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7/345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of adjustable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과 등판이 설치되는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의 틸팅(Titling) 제한기능(리미트 기능)에 의해 다단틸팅과 자유틸팅을 각각 달성할 수 있어서 사용의 편리함과 더불어 보다 안락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다단틸팅과 자유틸팅을 달성할 수 있어서 다양한 기능과 더불어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의자, 틸팅, 어셈블리, 축부, 작동부, 스토퍼, 스프링, 스프링 홀더

Description

의자 어셈블리{ASSEMBLY OF CHAIR SEAT}
도 1 : 본 발명 의자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2 : 본 발명에서 슬라이더의 전진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의 평면도
도 3 : 본 발명 탄성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4 : 본 발명 승강수단의 구성도.
도 5 : 본 발명 작동체 도면으로, (가)는 평면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 6 : 본 발명 회전체 도면으로, (가)는 단면도이고, (나)는 정면도이다.
도 7 : 본 발명 소음방지 부싱 도면으로, (가)는 정면도, (나)는 단면도이다.
도 8 : 본 발명 작동구 도면으로, (가)는 평면도이고, (나)는 정면도이고, (다)는 측면도이고, (라)는 (가)의 "A" 부분 단면도이고, (마)는 (가)의 "B" 부분 단면도이고, (바)는 (가)의 "C"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 본 발명 탄지편 사시도.
도 10 : 본 발명 자유틸팅 상태의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 : 본 발명 다단틸팅 상태의 단면도.
도 14 : 본 발명 의자 어셈블리의 측면 참고도.
도 15 :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측면도.
도 16 : 본 발명에서 틸팅된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의자 어셈블리 (2)--상부 케이스
(3)--하부 케이스 (3a)--축설치부
(3c)--요입홈 (4)--승강레버
(4a)(5a)(77)--축부 (5)--리미트레버
(7)--탄성조절레버 (8)(9)--장공
(10)--축봉 (11)--지지구
(12)(13)--스프링 (14)(15)--결합부
(16)--결합부 (17)--결합공
(18)--핀 (19)--축봉
(20)--부싱 (20a)--삽입공
(20b)--연장부 (20c)--걸림부
(21)--스프링 홀더 (22)(23)--지지부
(26)--돌출편 (27)(28)(42)(43)--경사면
(29)(30)--슬라이더 (31)(32)--결합공
(33)(34)(41)--결합홈 (35)(36)--나사부
(37)--나사봉 (38)(39)--너트
(40)--이동체 (44)(78)--통공
(45)(46)--결합부 (47)--축봉
(48)--제1 스퍼어기어 (49)--제2 스퍼어기어
(50)--제3 스퍼어기어 (51)--핸들
(52)--노브 (53)--가스실린더
(54)--작동핀 (55)--회전체
(56)--구멍 (57)--작동봉
(58)--절곡부 (59)--고리부
(60)--작동체 (61)--가압부
(62)--작동구 (63)--원호부
(64)--축공 (65)--접지부
(66)--제1 정지홈 (67)--제2 정지홈
(68)--제3 정지홈 (69)--제4 정지홈
(70)--탄지편 (71)--스토퍼
(79)--제1 경사면 (80)--제2 경사면
(81)--제3 경사면 (83)--프레임
(83a)--제1 돌출부 (83b)--제2 돌출부
(84)--등판 (85)--좌판
(86)--연결부재 (L1)--축봉 이동구간
(L2) ~ (L4)--이격거리
본 발명은 좌판과 등판이 설치되는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틸팅(Titling) 제한기능(리미트 기능)을 이용하여 다단틸팅과 자유틸팅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판과 등판이 설치되는 의자 어셈블리는 좌판의 높낮이 및 등판의 기울기를 각각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함과 더불어 안락함을 추구하고 있다.
상기 의자 어셈블리는 승강레버로 가스실린더의 개폐핀을 작동시켜 좌판을 적절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틸팅레버로 틸팅장치(Titling Device)를 작동시켜 등판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의자 어셈블리는 자유 틸팅기능을 부가 구성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추구하고 있으나 원하는 각도의 다단 락킹을 달성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자유 틸팅기능을 사용할 때 최대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의자가 뒤로 넘어지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어 사용에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틸팅(Titling) 제한기능(리미트 기능)에 의해 다단틸팅과 자유틸팅을 달성할 수 있는 의자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의자 어셈블리 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등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과, 등판의 기울기 정도를 다단으로 제한하는 틸팅제한수단과, 틸팅수단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과, 케이스 양측에 각각 축설치되는 승강레버 및 락킹레버와, 다단 틸팅할 수 있게 케이스 선단부에 설치되어 축봉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자유틸팅과 다단틸팅을 달성할 수 있는 작동구와, 승강레버에 축설치되는 탄성조절레버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틸팅수단은,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원호형 장공에 결합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 외주에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구와, 상기 스프링 지지구 선단 양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스프링 결합부와, 상기 스프링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는 축봉과,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어 스프링 홀더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축봉 선단에 결합되는 돌출편과, 상기 스프링 홀더에 설치되고 탄성조절레버에 의해 탄성력이 조절되는 탄성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 도 2는 틸팅제한기능이 부여된 본 발명 의자 어셈블리(1)를 도시한 평면도로, 도 2는 틸팅압력을 조절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가 전전하면서 스프링이 다소간 압축된 상태이며, 상기 스프링의 압축정도에 따라 틸팅압력이 조절된다.
본 발명 의자 어셈블리(1)는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로 분리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2)(3)와, 상.하부 케이스(2)(3) 내에 설치되어 의자 어셈블리(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등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과, 등판의 기울기 정도를 다단으로 제한하는 틸팅제한수단과, 틸팅수단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과, 케이스(2)(3) 양측에 각각 축설치되는 승강레버(4) 및 리미트레버(5)와, 승강레버(4)에 축설치되는 탄성조절레버(7)로 크게 구성된다.
본 발명 틸팅수단은 다음과 같다.
하부 케이스(3)의 후단 양측에 원호형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장공(8)(9)과, 상기 장공(8)(9)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장공(8)(9)에 결합되는 축봉(10)과, 축봉(10) 외주에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구(11)와, 스프링 지지구(11)의 선단 양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스프링(12)(13) 결합부(14)(15)와, 상기 결합부(14)(15) 사이에 형성되어 선단으로 돌출되는 축봉 결합부(16)와, 축봉 결합부(16) 선단으로 개방 형성되는 결합공(17)과, 상기 결합공(17)에 결합된 다음 핀(18)으로 고정되는 축봉(19)과, 스프링 지지구(11)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21)와, 스프링 홀더(21) 내부에 설치되고 축봉(19) 외주 선단이 헐겁게 결합되는 소음방지 부싱(20)과, 축봉(19)이 헐겁게 끼워지고 후단으로 개방되는 스프링 홀더(21)와, 케이스(2)(3) 내부로 돌출되어 스프링 홀더(21)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22)(23)와, 축봉(19) 선단에 결합되는 돌출편(26)과, 상기 스프링 홀더(21)에 설치되고 탄성조절레버(7)에 의해 탄성력이 조절되는 탄성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대향 경사면(27)(28)이 형성된 전후 한 쌍의 슬라이더(29)(30)와, 슬라이더(29)(30)에 형성되는 나사봉 결합공(31)(32)과, 상기 결합공(31)(32)에 교차되게 형성되는 너트 결합홈(33)(34)과, 상기 결합공(31)(32)에 끼워지고 양단부에 대칭 나사부(35)(36)가 각각 형성되며, 스프링 홀더(21)의 일측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나사봉(37)과, 상기 결합홈(33)(34)에 끼워지고 상기 나사부(35)(36)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38)(39)와, 상기 슬라이더(29)(30)가 결합할 수 있게 결합홈(41)이 형성된 이동체(40)와, 상기 슬라이더(29)(30)의 경사면(27)(28)이 면접촉될 수 있게 결합홈(41)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사면(42)(43)과, 축봉(19)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이동체(4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공(44)과, 이동체(40) 후단에 돌출되는 한 쌍의 스프링(12)(13) 결합부(45)(46)와, 승강레버(4)에 축설치되는 탄성조절레버(7)와, 탄성조절레버(7)의 축봉(47)에 결합되는 제1 스퍼어기어(48)와, 하부케이스(3)에 축설되고 제1 스퍼어기어(48)에 치합되는 제2 스퍼어기어(49)와, 나사봉(37)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제2 스퍼어기어(49)에 치합되는 제3 스퍼어기어(50)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38)(39)는 나사봉(37)이 회전하더라도 그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이거나 사각형상이다. 따라서 나사봉(37)이 회전하면 너트(38)(39)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너트(38)(39)가 가까워지면 면접촉하고 있는 슬라이더(29)(30)의 경사면(27)(28)과 이동체(40)의 경사면(42)(43) 작용에 의해 이동체(40)가 후단으로 이동하여 스프링(12)(13)이 압축되므로 탄지력이 증가하며, 반대로, 나사봉(37)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너트(38)(39)가 멀어지면, 도 1과 같이 면접촉하고 있던 슬라이더(29)(30)의 경사면(27)(28)과 이동체(40)의 경사면(42)(43) 작용에 의해 이동체(40)가 선단으로 이동하여 탄지력이 감소된다.
상기 탄성조절레버(7)는 승강레버(4)에 축설치되는 축봉(47)과, 축봉(47) 단부에 설치되는 절곡형 핸들(51)과, 핸들(51) 단부에 축설치되는 노브(52)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9)(30)와 이동체(40)는 금속 또는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게 경질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틸팅수단은 고(高) 탄성력의 스프링(13)(14)에 의해 탄지된다. 즉, 스프링(13)(14)의 선단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 홀더(21)는 케이스(2)(3) 내부로 돌출된 스프링 홀더(21)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링(13)(14)의 후단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 지지구(11)의 축봉(10)은 케이스(3)의 후단 양측에 형성되는 원호형 장공(8)(9)에 결합되어 장공(8)(9)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탄지된다.
상기 축봉(19)은 틸팅상태에 따라 장공(8)(9)을 따라 원호운동하게되며, 도 도 1, 도 2와 같이 나사봉(37) 하부에 위치하여 서로의 작동을 간섭하거나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승강레버(4)는 하부케이스(3) 일측에 축설치되며, 가스실린더(53)의 작동핀(54)을 개폐시켜 의자 어셈블리(1)를 적절히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된다.
상기 승강레버(4)의 축부(4a)에는 회전체(55)가 설치되며, 도 4와 같이 회전체(55)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56)에는 작동봉(57)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부(58)가 결합되고, 작동봉(57)의 타측에 형성된 고리부(59)는 하부케이스(3)의 축부(3a)에 축설치된 작동체(60)의 돌출부(61)에 걸림되고, 작동체(60) 일측에는 작 동핀(54)을 가압하는 가압부(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레버(4)를 회전시켜 회전체(5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봉(57)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가압부(61)가 하강하면서 가스실린더(53)의 작동핀(54)을 눌러 주게되므로 가스실린더(53)가 작동하여 의자 어셈블리(1)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의자 어셈블리(1)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승강레버(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체(5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봉(57)이 왼쪽으로 이동하고, 가압부(61)가 상승하고 가스실린더(53)의 작동핀(54)이 상승하여 가스실린더(53)가 작동을 멈추게되므로 의자 어셈블리(1)의 높낮이가 고정된다.
물론, 상기 회전체(55)는 케이스(2)(3) 내부에 위치하며, 탄성조절레버(7)는 승강레버(4)에 축설치되지만, 승강레버(4)와는 별도로 동작한다. 그리고, 탄성조절레버(7)의 축부(47)는 회전체(55)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각각 동작한다.
스프링 홀더(21)에 결합되는 상기 부싱(20)은 축봉(19)이 헐겁게 끼워지는 삽입공(20a)과, 삽입공(20a)이 연장된 연장부(20b)와, 스프링 홀더(21)의 구멍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부(20c)로 구성되어, 틸팅될 때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등을 흡수하여 소음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틸팅제한수단은 다음과 같다.
상.하부케이스(2)(3)에 축설치되는 리미트레버(5)와, 케이스(2)(3) 내부로 돌출되는 리미트레버(5)의 축(5a) 단부에 설치되어 축(5a)을 따라 회전하는 작동구(62)와, 하부케이스(3)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5a)를 축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3e)와, 작동구(62)의 일측 원호부(63)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정지홈(66) 및 제2 정지홈(67) 및 제3 정지홈(68) 및 제4 정지홈(69)과, 하부케이스(3)의 선단 요입홈(3c)에 설치되는 탄지편(70)과, 탄지편(70)의 중간부에 삼각형으로 상승 돌출되어 상기 정지홈(66 ~ 69)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스토퍼(71)와, 축봉(19)이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게 축공(6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통공(78)과, 작동구(62) 외면에 형성되는 다단 경사면과, 평소 또는 틸팅될 때 하부 케이스(3)의 지지부(3d)에 지지될 수 있게 작동구 선단에 형성되는 원호형 접지부(65)로 구성된다. 상기 다단 경사면과 축봉(19)에 의해 다단틸팅이 달성되며, 상기 통공(78)과 축봉(19)의 일치에 의해 자유틸팅이 달성된다.
상기 다단 경사면(79)(80)(81)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스토퍼(71)에 걸림되는 제1 정지홈(66) 및 제2 정지홈(67) 및 제3 정지홈(68) 및 제4 정지홈(69)의 정지위치에 따라 축봉(19)의 돌출편(26)과 마주하거나 접촉되는 제1 경사면(79) 및 제2 경사면(80) 및 제3 경사면(81)으로 구성되며,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돌출편(26)과 제1, 제2, 제3 경사면(79 ~ 81) 사이의 이격거리(L2)(L3)(L3) 만큼의 틸팅각도가 달성된다.
상기 다단 경사면(79)(80)(81)은 축공(64)과의 거리를 달리함으로써 상이한 틸팅각도 즉, 이격거리(L2)(L3)(L3)가 얻어진다. 예컨대, 작동구(62)의 제1 경사면(79)은 축공(64)과 가장 가깝고, 제3 경사면(81)은 축공(64)과 가장 멀고, 제2 경사면(81)은 그 중간정도이다.
또한, 리미트레버(5)의 회전에 따라 정지홈(66 ~ 69)의 위치가 결정되며, 도 11과 같이 제2 정지홈(67)과 스토퍼(71)가 결합되면 제1 경사면(79)이 축봉(19)의 돌출편(26)과 마주하게되며, 상기 제1 경사면(79)과 돌출편(26)의 이격거리(L2) 만큼의 틸팅(3°전후)이 허용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제3 정지홈(68)과 스토퍼(71)가 결합되면 제2 경사면(79)이 축봉(19)의 돌출편(26)과 마주하게되며, 상기 제2 경사면(79)과 돌출편(26)의 이격거리(L2) 만큼의 틸팅(7°전후)이 허용된다.
또한, 도 13과 같이 제4 정지홈(69)과 스토퍼(71)가 결합되면 제3 경사면(79)이 축봉(19)의 돌출편(26)과 마주하게되며, 상기 제3 경사면(79)과 돌출편(26)의 이격거리(L4) 만큼의 틸팅(11°전후)이 허용된다.
상기 돌출편(26)은 제1 경사면(79) 내지 제3경사면(81)에 의해 이격거리(L2)(L3)(L4)를 초과하는 이동이 억제되므로 틸팅이 제한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제1 정지홈(66)과 스토퍼(71)가 결합되면 통공(78)과 축봉(19)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경사면에 의한 틸팅제한이 없어지므로 축봉(19)이 통공(78)을 드나들면서 최대 틸팅각도(예컨대 0°~ 27°)까지 자유틸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도 15, 도 16은 본 발명 의자 어셈블리(1)가 설치된 상태의 의자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프레임(83) 상부에 등판(84)이 설치되고, 프레임(83)의 하부에 축봉(10)이 축설치되며, 프레임(83) 하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83a)에는 의자 어셈블리(1)의 후단 상부가 축설치되고, 프레임(83)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83b)에는 좌판(85)의 후단이 축 설치되고, 의자 어셈블리(1)의 선단부 양측에 축설치된 연결부재(86) 상부에는 좌판(85)의 선단이 축설치된다.
도 10과 같이 자유틸팅이 되는 상태에서는 도 16 처럼 등판(84)이 최대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장공(8)(9)내에서 축봉(10)이 이동할 수 있는 구간(L1) 만큼, 즉, 최대 틸팅각도(예컨대 0°~ 27°)까지의 자유틸팅이 가능해진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98)은 축공이고, (99)는 상.하부 케이스를 체결하기 위한 피스공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틸팅(Titling) 제한기능(리미트 기능)에 의해 다단틸팅과 자유틸팅을 각각 달성할 수 있어서 기능의 다양화로 사용의 편리함과 더불어 안락함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다단틸팅, 자유틸팅을 달성할 수 있어서 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케이스에 축설치되는 리미트레버(5)와, 상기 리미트레버(5)의 축 단부에 설치되는 작동구(62)와, 상기 작동구(62) 일측 원호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정지홈(66) 및 제2 정지홈(67) 및 제3 정지홈(68) 및 제4 정지홈(69)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 요입홈(3c)에 설치되는 탄지편(70)과, 상기 탄지편(70)의 중간부에 상승 돌출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정지홈(66)(67)(68)(69)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스토퍼(71)와, 상기 케이스의 후단 양측에 형성되는 원호형 장공(8)(9)과, 상기 장공(8)(9)에 결합되는 축봉(10)과, 상기 축봉(10) 외주에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구(11)와, 상기 스프링 지지구(11)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21)와, 스프링 지지구(11)와 스프링 홀더(21)를 탄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12)(13)과, 후단은 스프링 지지구(11)에 설치되고 선단은 스프링 홀더(21)를 지나 돌출되는 축봉(19)과, 상기 축봉(19)이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게 작동구(62)에 형성되는 통공(78)과, 상기 제1 내지 제4 정지홈(66)(67)(68)(69)의 정지위치에 따라 상기 축봉(19) 선단의 돌출편(62)과 접하는 작동구(62)의 제1 경사면(79) 및 제2 경사면(80) 및 제3 경사면(81)으로 구성하여서 된 의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작동구(62)의 제1 경사면(79)은 축공(64)과 가장 가깝고, 작동구(62)의 제3 경사면(81)은 축공(64)과 가장 멀고, 작동구(62)의 제2 경사면(80)은 그 중간 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작동구(62)의 선단에 원호형 접지부(65)를 형성하여서 된 의자 어셈블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스프링 홀더(21) 내부에 축봉(19)의 선단이 통과하는 부싱(20)을 결합하여서 된 의자 어셈블리.
KR1020070062397A 2007-06-25 2007-06-25 의자 어셈블리 Active KR10077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97A KR100771416B1 (ko) 2007-06-25 2007-06-25 의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97A KR100771416B1 (ko) 2007-06-25 2007-06-25 의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416B1 true KR100771416B1 (ko) 2007-10-30

Family

ID=3881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397A Active KR100771416B1 (ko) 2007-06-25 2007-06-25 의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4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51B1 (ko)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034972B1 (ko) 2009-11-04 2011-05-17 부호체어원(주) 의자 어셈블리용 틸팅조절구
WO2017164497A1 (ko) * 2016-03-25 2017-09-28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2104462B1 (ko) * 2019-12-27 2020-04-24 (주) 파트라 멀티 리미티드 틸트기능을 구비한 의자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의자
JP2021061966A (ja) * 2019-10-11 2021-04-22 タカノ株式会社 椅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265A (ko) * 1993-02-25 1994-09-14 제임스 이 크. 스테스논 의자용 조절가능 백레스트(backrest)
JPH0751142A (ja) * 1993-08-11 1995-02-28 Tokico Ltd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椅子
JPH08107813A (ja) * 1994-10-11 1996-04-30 Kokuyo Co Ltd 椅子の背もたれ傾動装置
KR980006439U (ko) * 1996-07-16 1998-04-30 손동창 의자의 틸팅장치
JP2000175758A (ja) * 1998-12-16 2000-06-27 Itoki Crebio Corp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ロック装置
KR100619601B1 (ko) * 2005-11-21 2006-09-06 주식회사 코아스웰 틸팅리미트 및 로킹 가능한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265A (ko) * 1993-02-25 1994-09-14 제임스 이 크. 스테스논 의자용 조절가능 백레스트(backrest)
JPH0751142A (ja) * 1993-08-11 1995-02-28 Tokico Ltd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椅子
JPH08107813A (ja) * 1994-10-11 1996-04-30 Kokuyo Co Ltd 椅子の背もたれ傾動装置
KR980006439U (ko) * 1996-07-16 1998-04-30 손동창 의자의 틸팅장치
JP2000175758A (ja) * 1998-12-16 2000-06-27 Itoki Crebio Corp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ロック装置
KR100619601B1 (ko) * 2005-11-21 2006-09-06 주식회사 코아스웰 틸팅리미트 및 로킹 가능한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51B1 (ko)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034972B1 (ko) 2009-11-04 2011-05-17 부호체어원(주) 의자 어셈블리용 틸팅조절구
WO2017164497A1 (ko) * 2016-03-25 2017-09-28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JP2021061966A (ja) * 2019-10-11 2021-04-22 タカノ株式会社 椅子
JP7330844B2 (ja) 2019-10-11 2023-08-22 タカノ株式会社 椅子
KR102104462B1 (ko) * 2019-12-27 2020-04-24 (주) 파트라 멀티 리미티드 틸트기능을 구비한 의자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454B1 (ko) 의자 어셈블리
KR100771416B1 (ko) 의자 어셈블리
KR100791451B1 (ko) 의자 어셈블리
KR101344437B1 (ko) 다기능 의자 어셈블리
US9139043B1 (en) Central-controlled double wheel structure
CA2681874C (en) Adjustment device for adjustable chairs
EP2457466B1 (en) Multi-functional chair assembly
US7360839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an armrest of an office chair
EP2554075B1 (de) Stuhl mit einer Wippmechanik
KR101528509B1 (ko) 의자 어셈블리
US20080054700A1 (en) Tilt controls for chairs
EP2735245A1 (en) 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CN105266431B (zh) 椅子组件
KR101370845B1 (ko) 틸팅 제한부가 부설된 의자 어셈블리
KR101285731B1 (ko) 의자 어셈블리
JP2011136039A (ja) ロッキング椅子
US7303233B2 (en) Height adjustable chair with rocking function
EP3217845B1 (de) Wippmechanik und stuhl mit wippmechanik
JP2011050476A (ja) 肘掛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JP5562025B2 (ja) 椅子
KR101528508B1 (ko) 의자 어셈블리
CN210416306U (zh) 一种手动调节滑轨锁止与解锁机构
CN108248461B (zh) 一种座椅调节装置及一种座椅
KR102468081B1 (ko) 의자 어셈블리
WO2019196409A1 (zh) 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