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7841B1 -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 Google Patents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841B1
KR100767841B1 KR1020070040994A KR20070040994A KR100767841B1 KR 100767841 B1 KR100767841 B1 KR 100767841B1 KR 1020070040994 A KR1020070040994 A KR 1020070040994A KR 20070040994 A KR20070040994 A KR 20070040994A KR 100767841 B1 KR100767841 B1 KR 100767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ire
tire chain
warp knitt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욱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욱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욱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841B1/ko
Priority to CN200880005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622140B/zh
Priority to US12/525,840 priority patent/US20100206448A1/en
Priority to EP08723675A priority patent/EP2129535B1/en
Priority to CA002677317A priority patent/CA2677317A1/en
Priority to JP2009550087A priority patent/JP4503100B2/ja
Priority to DE602008004827T priority patent/DE602008004827D1/de
Priority to PCT/KR2008/001639 priority patent/WO2008120884A1/en
Priority to AT08723675T priority patent/ATE497450T1/d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formed of close material, e.g. leather or synthetic mats
    • B60C27/18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formed of close material, e.g. leather or synthetic mats the material being fabric, e.g. woven wire or textil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3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pertures, e.g. with one or more mesh fabric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 외면을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로 된 타이어체인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경편기(100)로 제직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형성된 본체직물부(10)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직물부(10)는 타이어(T) 최대 원주길이의 85∼103%의 원주(원둘레,circumference)를 갖도록 형성하여서 구성한 것이며, 제동력, 커브안전성, 주행성이 양호하고, 안전성, 내구성 및 승차감이 우수하며, 타이어에 착탈이 용이하고, 가벼워서 취급하기가 좋도록 한 것이다.
타이어체인, 스노우체인, 3중층, 경편직물, 경편기, 웨빙

Description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TIRE CHAIN MANUFACTURED THREE LAYERS WARP KNITTED FABRIC}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한 상태 사시도 및 본체직물부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이 접혀진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체직물부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본체직물부 외피층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직물부를 제직하는 경편기의 간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타이어체인 (10) ― 본체직물부
(12) ― 날개부 (14) ― 조임부
(16) ― 고정부 (20) ― 외피층
(20a) ― 중공부 (30) ― 중간층
(40) ― 내피층 (100) ― 경편기
(W) ―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 (T) ― 타이어
본 발명은 차량용의 타이어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와 노면 간에 위치하는 타이어체인의 본체부를 일정 신축률을 갖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체인(일명, ‘스노우체인(Snow Chain)’이라고도 함)은, 눈 올 때나 도로가 얼었을 때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면과 접촉하는 타이어 외면, 즉 타이어 고무부를 감싸도록 고정 장착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인 타이어체인은, 각종 특수강 등 철재, 우레탄 등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제조한다. 그 종류로는 쇠사슬체인이나, 사각, 오각, 육각 롤러들을 연결시켜 구성한 와이어체인, 및 스파이크들이 돌출된 납작한 패드들을 연결시켜 구성한 우레탄체인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타이어체인들은 종류마다 다소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사용 시에 무엇보다 무겁고, 타이어에 착탈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 노면과의 마찰 소음이 심하고, 덜컹거려서 승차감도 좋지 않으며, 주행 속도가 느린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철재로 된 타이어체인은 녹슬거나 연결부위가 끊어지는 경우가 많아 오래 사용할 수가 없고 유독 무거워서 취급하기가 쉽지 않으며, 우레탄 소재의 타이어체인은 비교적 가볍기는 하나 값이 비싼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게다가, 기존의 타이어체인은 낱낱의 사슬, 롤러, 패드들을 연결시켜 제작해야 함으로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시간도 오래 걸렸던 것이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 타이어체인들과는 다르게 얇은 직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타이어체인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값싸고 가볍기는 하나 금세 찢어지고 닳거나 젖게 되어서, 단지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데에 그쳤었다.
따라서, 2중직이나 통상의 단층직물이 아니라 강도와 내구성 및 수막현상 방지효과가 우수한 특정 직물을 사용하여서, 그 특장점을 최대한 살려 타이어체인으로 적합하도록 구성하되 기존 타이어체인의 단점들을 극복하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타이어체인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구나 타이어에 착탈하기가 쉽고, 주행 시 초기장착상태가 거의 유지되어 그 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동력과 커브안전성과 주행성이 우수하며, 눈, 얼음, 물, 흙 등의 이물질을 탄력적으로 신속하게 떨어내고 수막현상 방지효과가 특출하며, 조용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갖도록 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서, 생산성이 높으며, 휴 대와 관리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보수빈도를 줄여주도록 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타이어 외면을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로 된 타이어체인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경편기(100)로 제직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형성된 본체직물부(10)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직물부(10)는 타이어(T) 최대 원주길이의 85∼103%의 원주를 갖도록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체직물부(10)를, 타이어(T) 외면에 밀착되는 내피층(40)과, 노면에 접하는 외피층(20)과, 내피층(40)과 외피층(20) 간을 연결하는 중간층(30)이 한번에 제직 형성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구성하되, 상기 외피층(20)에는 다수 개의 중공부(20a)를 배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직물부(10)의 내향측 외주면 전체를 둘러가며 탄성밴드로 형성된 조임부(14)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직물부(10)의 외향측 외주면 전체를 둘러가며 비탄성밴드로 형성된 고정부(1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을 타이어에 장 착한 상태 사시도 및 본체직물부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이 접혀진 상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체직물부 단면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본체직물부 외피층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은, 타이어에 장착되는 본체부 전체를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써 구성함을 요지적 구성으로 하는 바, 경편기(100)로 제직되는 상기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형성되는 본체직물부(100)의 구조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의 본체부는, 본체직물부를 그 원주(원둘레,circumference)가 타이어체인(2)을 장착하는 타이어(T) 최대 원주길이의 85∼103%가 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의 체결부는, 타이어(T)에 장착 시 외향측으로 노출되는 본체직물부(10)의 외주면 전체에는 비탄성밴드로 형성된 고정부(16)를 재봉 형성하고, 상기 본체직물부(10)의 내향측 외주면 전체에는 탄성밴드로 형성된 조임부(14)를 재봉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기본으로 한다.
타이어체인(2)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직물부(10)의 원주를 타이어(T) 최대 원주길이의 85∼103%로 형성하는 것은,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된 본체직물부(10)가 일정 신축률을 갖기 때문이다.
즉, 본체직물부(10)의 원주를 타이어(T)의 최대 원주길이보다 최대 15%까지 작게 구성하여도, 본체직물부(10)를 늘려서 타이어(T)에 착탈시킬 수 있고 장착 직후 원상태로 복원된다. 또, 본체직물부(10)의 원주를 타이어(T)의 최대 원주길이보 다 최대 3% 이하까지 크게 구성하여도, 본체직물부(10)가 타이어(T)에 제대로 밀착되는 것이다.
반면에, 본체직물부(10)의 원주를 타이어(T) 최대 원주길이의 ―15% 이하로 더 작게 구성하면, 타이어(T)에 장착하기가 매우 어렵고 장착 시 본체직물부(10)는 긴장상태가 된다. 또, 본체직물부(10)의 원주를 타이어(T) 최대 원주길이의 3%를 초과 구성하면 본체직물부(10)가 타이어(T) 표면에 공기유입이 없는 완전한 밀착상태가 되지 못하여 주행 시 점차 뒷부분이 늘어나고 이탈될 위험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타이어체인(2)의 본체직물부(10)는 2∼15%의 신축률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에서 이물질제거효율성, 제동력, 커브안전성, 주행성 등을 가장 우수하게 하는 범위가 되는 것으로 본원 발명자는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본체직물부(10)를 구성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은, 그 구조상 약간의 탄성을 가지기는 하나, 다음에 언급하게 되는 합성필라멘트사 중에서도 비교적 신축성이 우수한 우레탄사, 스판텍스사, 라이크라사 등을 내외피층(40)에 사용하여, 2∼15%의 신축률을 갖도록 제직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직물부(10)의 양측 체결부 중에서 고정부(16)는, 나일론 등 합성수지로 되어 신축성은 전혀 없고 강도는 높은 웨빙(webbing)을 사용하여서, 그 원주를 타이어(T) 최대 원주길이의 10∼90%, 바람직하게는 50∼80%의 길이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6)의 다른 예로는, 2개 또는 다수 개의 벨트를 타이어(T)의 전면 중앙에서 교차되도록 연결시켜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부(16)와 본체직물부(10) 간에는 비신축성 직물을 사용하여 날개부(도면에 미도시)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6) 반대편에 위치하는 조임부(14)는, 강도가 높은 고무로 된 밴드로 구성하여 타이어체인(2)이 타이어(T)에 억지 끼움 장착되도록 한다. 또, 상기 조임부(14)와 본체직물부(10) 간에는 신축성 직물을 사용하여 날개부(12)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조임부(14)와 본체직물부(10) 간의 상기 날개부(12)는, 본체직물부(10)보다 2 내지 10% 더 큰 신축률을 갖는 경편직물이나 다른 직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그 폭을 5∼15㎝로 형성하고 본체직물부(10)와 재봉 연결하여서 본체직물부(10)의 양측 날개부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은 그 전체가 경직되지 않은 소재로 구성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쉽게 원하는 형태로 접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을 구성하면, 본체직물부(10)는 눈, 얼음, 물, 흙 등 이물질을 신속하게 떨어내 주고 수막현상을 방지하며, 본체직물부(10)가 타이어(T)에 완전하게 밀착되고 주행 시에도 본체직물부(10)와 타이어(T) 외면 간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원심력의 작용을 받지 않게 된다.
또, 상기 본체직물부(10)의 양측에서, 조임부(14) 및 날개부(12)가 탄력적인 인력(attraction)으로 본체직물부(10)를 내측으로 당겨주고, 반대로 고정부(16)가 고강도와 고정력으로 상기 본체직물부(10)가 내측으로 말려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결국, 주행 시에 지속적으로 타이어체인(2)의 본래의 장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이탈을 방지해주며, 타이어체인(2)의 수명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덧붙여, 타이어체인(2)의 고정부(16)의 끝단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16)의 원주길이보다 2∼10%, 바람직하게는 2∼3%가 작은 크기의 원주를 가지며, 케블라(kevlar), 우레탄, 강철 중에 하나의 소재의 가느다란 선으로 된 원형 심(wick)을 삽입하여도 된다. 이때 상기 심은 고정부(16)을 고정력을 좀 더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타이어체인(2)의 본체직물부(10)은, 그 내피층(20)과 외피층(40) 색상을 구분 구성하여서, 닳은 정도를 외피층(40)으로 드러나는 내피층(20) 색상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그 교체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한다.
지금부터,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3겹(3Layer)이 한 장으로 이루어진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형성된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의 본체직물부(10)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직물부(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고무부에 밀착되는 내피층(40)과, 노면과 접하는 외피층(20)과, 내피층(40)과 외피층(20) 간을 연결하며 양 층 사이에 미세 공간들을 형성하여 탄성이 부여된 중간층(30)이 모두 한번에 제직 형성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구성한다.
상기 외피층(20)에는, 도 2 및 도 4, 도 5에서처럼 다수 개의 중공부(20a)를 규칙적으로 배열 구성하되, 중공부(20a)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에서 하나를 선택 형성하는 바, 이 중에서 육각형 벌집 형태가 가장 좋다. 그 이유는, 육각형 벌집 형태의 중공부(20a)가 노면과의 접촉 면적을 가장 넓어 마찰력이 최대화되므로, 차체의 미끄러짐이나 좌우 휘청거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주행, 커브, 정지가 모두 안전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중공부(20a)의 최장 중공길이(최장 직경 또는 최장 대각선길이)는 2∼10㎜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한 바, 중공부(20a)의 직경이 상기 범위를 어느 쪽으로라도 벗어나면 눈, 얼음, 물, 흙 등의 이물질이 중공부(20a) 내에 끼워진 채로 부착되어 제대로 떨어지지 않고, 마찰력 또한 적절히 발현되지 못하여 타이어체인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리고, 본체직물부(10)의 내피층(40)은 다양한 모양의 조밀한 짜임을 갖도록 제직하여 타이어에 밀착이 잘되도록 구성한다. 또, 중간층(30)은 외피층(20)과 내피층(40) 간을 주로 직선으로 촘촘하게 연결되게 제직 구성하도록 하되, 외피층(20)의 중공부(20a)에는 그 저면 외곽선을 따라 연결 형성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된 본체직물부(10)는, 외피층(20)의 중공부(20a) 및 중간층(30)에 의하여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는 바, 이러한 탄성이 상기 본체직물부(10)로 된 타이어체인(2)의 사용 시 수막현상 방지 및 완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을 눈길에서 사용 시, 타이어와 노면 간에 깔린 본체직물부(10)의 외피층(20)과 그 중공부(20a)에 묻은 눈, 얼음, 물, 흙 등 이물질이, 타이어의 회전 시 상기 외피층(20)이 외부로 드러남과 동시에 눌려 축소되었던 중간층(30)의 원상태로 팽창 복원되면서 상기 이물질들을 탄력적으로 떨어낸다. 이에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을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잘 젖지 않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타이어체인(2)의 본체직물부(10)는, 적절한 두께 및 중량의 범위 내로 제조 구성되어야 최적의 조건을 갖는 타이어체인(2)으로 구현되게 된다.
이를 위해,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된 본체직물부(10)는, 각 층의 기능에 부합되게 서로 다른 굵기의 합성 필라멘트사(Filament yarn)를 사용하여 제직 형성하되, 내피층(20)은 50∼400데니어(Denier), 중간층(30)은 비교적 가는 20∼150데니어, 외피층(40)은 강도와 마모성과 마찰력을 최대로 높이도록 가장 굵은 70∼1,000데니어의 합성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 본체직물부(10)의 두께는 2∼8㎜로 되도록 하며, 그 중량은 0.1∼1㎏의 범위 내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본체직물부(10)의 각 층을 형성하는 합성 필라멘트사의 굵기는 타이어체인(2)의 마찰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게 되며, 본체직물부(10)의 두께 및 중량을 상기 범위를 초과 구성하면 사용 시 차체에 눌릴 때 중간층(30)에서 섬유절단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상기 범위 미만으로 구성하면 이물질을 떨어줄 수 있을 만큼의 탄성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조건을 수용하여 구성된 본체직물부(10)로 제조 구성한 타이어체인(2)은 적절한 신축성을 갖게 되는 바, 만일 더 많은 신축성을 가지도록 제조 구성하면 본체직물부(10)가 타이어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고, 타이어의 구름운동 시 원심력에 의해 본체직물부(10)의 뒷부분이 늘어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타이어체인(2)을 구성하는 본체직물부(10)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구성되고, 상기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편기(100)에 의해 한 번에 제직되고 일정 신축성을 갖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직물부를 제직하는 경편기의 간략 구성도로서, 도 6을 참고로 하여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를 제직하는 경편기(100)의 요부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경편기(100)는, 6개의 빔에서 풀리어 나오는 1원사 내지 6원사(101),(102),…,(106)를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의 모양대로 패턴힐(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상하좌우로 운동하는 1번 내지 6번 가이드바(101a),(102a),…,(106a)에 각각 연결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상하좌우 운동하는 1번 내지 6번 가이드바(101a),(102a),…,(106a)의 하측에는 상하로 운동하는 제1,제2바늘(120a)(120b)이, 상기 가이드바(101a),(102a),…,(106a)에 의해 안내되는 1원사 내지 6원사(101),(102),…,(106)를 순서대로 끌어와 수평 방향으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을 제직하는 것이다.
일 예로, 도 6의 하단 확대 도면에서처럼 굵기가 가장 굵은 1원사(101)와 2원사(102)는 외피층(20)을, 중간 굵기의 5원사(105)와 6원사(106)는 내피층(40)을, 가는 굵기의 3원사(103)와 4원사(104)는 중간층(30)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1,2원사(101)(102)는 제1바늘(120a)에 의해 제직되고, 5,6원사(105)(106)는 제2바늘(120b)에 의해 제직되며, 3,4원사(103)(104)는 제1,제2바늘(120a)(120b)을 번갈아 상호 제직되도록 함으로써 중간층(30)이 내피층(40)과 외피층(20) 간을 연결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직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그 중에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됨으로써, 견고한 구조와 고강도 구성 및 주행 시 형태안정성 등으로 인해 잦은 보수가 필요 없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수막현상 방지효과가 뛰어나서 장착 후 긴 시간 주행이 가능하고, 제동력과 커브안정성 및 주행성이 우수하며, 조용하고 편안하여 승차감이 좋고, 누구나 신속 용이하게 타이어에 착탈할 수 있으며, 가벼워서 취급이 편리한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타이어 외면을 감싸는 본체직물부와 상기 본체직물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로 된 타이어체인에 있어서,
    상기 본체직물부(10)는 타이어(T) 외면에 밀착되는 내피층(40)과, 노면에 접하는 외피층(20)과, 내피층(40)과 외피층(20) 간을 연결하는 중간층(30)이 경편기(100)에 의해 한번에 제직 형성된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W)로 구성하고, 상기 외피층(20)에는 다수 개의 중공부(20a)를 배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직물부(10)는, 그 원주를 타이어(T) 최대 원주길이의 85∼103%가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20a)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중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최장 중공길이를 2∼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직물부(10)는, 합성 필라멘트사로 제직 형성하되, 내피층(20)은 50∼400데니어, 중간층(30)은 20∼150데니어, 외피층(40)은 70∼1,000데니어 굵기의 합성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서, 본체직물부(10)의 두께가 2∼8㎜가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직물부(10)의 내향측 외주면 전체를 둘러가며 탄성밴드로 형성된 조임부(14)를 재봉 구성하고, 상기 본체직물부(10)의 외향측 외주면 전체를 둘러가며 비탄성밴드로 형성된 고정부(1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6)는, 그 원주를 타이어(T)의 최대 원주길이의 10∼90%가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14)와 본체직물부(10) 간에는 날개부(12)를 더 구비하되, 상기 날개부(12)는 본체직물부(10)보다 2 내지 10% 더 큰 신축률을 갖는 직물을 사용하고 5∼15㎝의 폭으로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직물부(10)는, 2∼15%의 신축률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KR1020070040994A 2007-03-30 2007-04-26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KR100767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800053374A CN101622140B (zh) 2007-03-30 2008-03-24 由具有三层结构的硬机织织物制成的轮胎链
US12/525,840 US20100206448A1 (en) 2007-03-30 2008-03-24 Tire chain made of hard woven fabric having triple-layer structure
EP08723675A EP2129535B1 (en) 2007-03-30 2008-03-24 Tire chain made of hard woven fabric having triple-layer structure
CA002677317A CA2677317A1 (en) 2007-03-30 2008-03-24 A slip-over anti-skid cover for vehicle tires made of a three-layered structure
JP2009550087A JP4503100B2 (ja) 2007-03-30 2008-03-24 3重層構造の経編織物からなるタイヤチェーン
DE602008004827T DE602008004827D1 (de) 2007-03-30 2008-03-24 Reifenkette aus hartgewebtem stoff mit dreischicht-struktur
PCT/KR2008/001639 WO2008120884A1 (en) 2007-03-30 2008-03-24 Tire chain made of hard woven fabric having triple-layer structure
AT08723675T ATE497450T1 (de) 2007-03-30 2008-03-24 Reifenkette aus hartgewebtem stoff mit dreischicht-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833 2007-03-30
KR20070031833 2007-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841B1 true KR100767841B1 (ko) 2007-10-18

Family

ID=3881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994A KR100767841B1 (ko) 2007-03-30 2007-04-26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206448A1 (ko)
EP (1) EP2129535B1 (ko)
JP (1) JP4503100B2 (ko)
KR (1) KR100767841B1 (ko)
CN (1) CN101622140B (ko)
AT (1) ATE497450T1 (ko)
CA (1) CA2677317A1 (ko)
DE (1) DE602008004827D1 (ko)
WO (1) WO20081208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727B1 (ko) 2011-07-13 2012-09-19 주식회사 욱성 안전화용 경편직물과 그를 이용한 안전화
KR101221027B1 (ko) * 2012-06-29 2013-01-10 백운산 타이어용 넌슬립 커버
KR101413308B1 (ko) 2013-03-08 2014-08-01 모아알앤디주식회사 스노우 체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6041A1 (de) * 2009-04-02 2010-10-07 Itg Automotive Safety Textiles Gmbh Textiles Flächengebild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102010032627A1 (de) 2010-07-29 2012-02-02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Textile Gleitschutzvorrichtung mit Traktionsfaden in Maschenbindung
CN102218979A (zh) * 2011-05-15 2011-10-19 山东鲁普耐特新材料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轮胎防滑网
US20130026812A1 (en) * 2011-07-26 2013-01-31 Joseph Palermo Skateboard wheel modification apparatus
TWM434693U (en) * 2011-10-07 2012-08-01 Jing-Huang Cai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tire
JP2013199148A (ja) * 2012-03-23 2013-10-03 Toyo Rubber Shokufu Kk 車両用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US8397772B1 (en) * 2012-06-27 2013-03-19 Husain S. A. Faridoon Emergency tire support device for low air pressure tire
US20140035352A1 (en) * 2012-08-02 2014-02-06 Jonathan Michael Waller Quick release skateboard wheel
CN103158455A (zh) * 2013-03-09 2013-06-19 周峰 一种用于自行车的防滑带
CN103158452A (zh) * 2013-03-09 2013-06-19 周峰 一种用于轮胎的增摩带
JP5658299B2 (ja) * 2013-03-22 2015-01-21 東洋ゴム織布株式会社 車両用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FR3111844B1 (fr) 2020-06-24 2022-10-21 Patrick Herbault Bande de roulement comportant un tissu espaceur 3D tridimensionnel
US20220072917A1 (en) * 2020-09-04 2022-03-10 Lemmell Brown Removable Sanitary Cover for Mobitity Assistance Equipment
IT202200025092A1 (it) * 2022-12-06 2024-06-06 Agripool S R L Dispositivo antiscivolamento per ruote di un veicolo e relativo processo di produzione
ES2953436A1 (es) * 2023-03-02 2023-11-13 Isse Safety S L Funda para la cobertura de ruedas de vehiculos y un metodo de fabricacion de una funda para la cobertura de ruedas de vehiculo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7105A (ja) * 1990-08-29 1992-04-08 Tobishima Corp 骨材用サイロとそのプラント
KR20020073369A (ko) * 2001-06-25 2002-09-26 (주)신종 스노우체인
JP2003054232A (ja) 2001-08-21 2003-02-26 Taro Takagi 車両の雪道用簡易滑り止め(タイヤに装着する器具)
EP1745948A1 (en) 2005-07-22 2007-01-24 Gima S.r.l. Textile and elastic anti-skid device for vehicle tyres
KR100658558B1 (ko) 1999-04-06 2007-03-08 오토속 에이에스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2907A (en) * 1951-10-03 1954-07-06 Max E Krueger Traction increasing means for tires
US2777497A (en) * 1952-02-09 1957-01-15 Vernon H Hildebrant Abrasively coated anti-skid cover for tire casings
US3335776A (en) * 1965-08-23 1967-08-15 Peterson Glen Means for improving the traction of wheeled vehicles
US5624509A (en) * 1991-12-23 1997-04-29 Stanley; Corby H. Wheel traction device
CA2117953C (en) 1993-10-14 2001-12-11 Tasuku Honjo Human stromal derived factor 1 alpha and 1 beta and dnas encoding the same
GB9918334D0 (en) 1999-08-04 1999-10-06 Mothercare U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acer fabrics
CN2410151Y (zh) * 2000-02-21 2000-12-13 史振军 汽车轮胎防滑带
DE102004013532A1 (de) * 2004-03-19 2005-10-06 Velotex Gmbh Gleitschutz aus einem textilen Gewebe
CN2709223Y (zh) * 2004-06-10 2005-07-13 赵建德 轻型汽车轮胎防滑套
DE102005029755A1 (de) * 2005-06-24 2006-12-28 Heinrich Essers Gmbh & Co. Kg Formangepasste Abstandsgewirk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TBS20050114A1 (it) * 2005-10-06 2007-04-07 Agripol S R L Dispositivo antislittamento per veicoli
EP2006127B1 (en) * 2006-03-22 2010-01-06 Toyo Boseki Kabushiki Kasisha Tire chain made of texti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7105A (ja) * 1990-08-29 1992-04-08 Tobishima Corp 骨材用サイロとそのプラント
KR100658558B1 (ko) 1999-04-06 2007-03-08 오토속 에이에스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기
KR20020073369A (ko) * 2001-06-25 2002-09-26 (주)신종 스노우체인
JP2003054232A (ja) 2001-08-21 2003-02-26 Taro Takagi 車両の雪道用簡易滑り止め(タイヤに装着する器具)
EP1745948A1 (en) 2005-07-22 2007-01-24 Gima S.r.l. Textile and elastic anti-skid device for vehicle tyr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727B1 (ko) 2011-07-13 2012-09-19 주식회사 욱성 안전화용 경편직물과 그를 이용한 안전화
KR101221027B1 (ko) * 2012-06-29 2013-01-10 백운산 타이어용 넌슬립 커버
KR101413308B1 (ko) 2013-03-08 2014-08-01 모아알앤디주식회사 스노우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17874A (ja) 2010-05-27
US20100206448A1 (en) 2010-08-19
CN101622140B (zh) 2011-05-18
EP2129535B1 (en) 2011-02-02
DE602008004827D1 (de) 2011-03-17
ATE497450T1 (de) 2011-02-15
WO2008120884A1 (en) 2008-10-09
EP2129535A4 (en) 2010-04-14
JP4503100B2 (ja) 2010-07-14
CN101622140A (zh) 2010-01-06
EP2129535A1 (en) 2009-12-09
CA2677317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841B1 (ko) 3중층 구조의 경편직물로 구성한 타이어체인
ES2250025T3 (es) Dispositivo antideslizante textil para ruedas de vehiculo.
ES2312139T5 (es) Dispositivo antiderrape para vehículos
US20100018620A1 (en) Adhesion chain for the wheel of an automotive vehicle
BRPI0617928A2 (pt) pneumático
EP2006127B1 (en) Tire chain made of textile
JP5028401B2 (ja) たるみなく配置されたベルトを有する滑り止め装置
WO2008126853A1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5357929B2 (ja) 帽子
JP2012501905A (ja) 高耐用性アンチスキッド装置
JP4052354B2 (ja) 編物製タイヤチェーン
KR101091836B1 (ko) 스노우 체인
KR101181450B1 (ko) 스노우 체인
JP2012522902A (ja) 織物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4948723B2 (ja) 消防ホース
US7097208B2 (en) Reinforced splash guard
JP6617568B2 (ja)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
JP2015105029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48544A1 (ja) 車両用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WO2013141378A1 (ja) 車両用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KR20160033851A (ko) 공기입 타이어 및 섬유직물 벨트
ES2366097T3 (es) Neumático.
JP2005271712A (ja) 弾性クローラとクローラ式走行装置
KR930021420A (ko) 카카스를 보강한 고속주행용 공기입 타이어
ITBS20120031A1 (it) Copertura antiscivolo per pneumatic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