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265B1 - Electrical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67265B1 KR100767265B1 KR1020070073294A KR20070073294A KR100767265B1 KR 100767265 B1 KR100767265 B1 KR 100767265B1 KR 1020070073294 A KR1020070073294 A KR 1020070073294A KR 20070073294 A KR20070073294 A KR 20070073294A KR 100767265 B1 KR100767265 B1 KR 1007672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er
- insulator
- connector
- connection terminal
- outer circumferent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8—End pieces terminating in a prob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끝단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중심부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속단자;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접속단자의 중심부 외주면을 감싸고, 외주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절개된 슬릿이 다수 형성되며, 중심부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체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리테이너;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각 삽입공의 후방 끝단에 상기 리테이너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연체; 내부에 절연체가 삽입되고, 커넥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또는 케이블을 통신기기와 같은 장비에 연결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의 내부에 접속단자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cable, the mounting groove of the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concave; A retainer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slits cut forwar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ormed with a concave fasten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insulator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connection terminals are inserted, and fasten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of the retainer at the rear ends of the insertion holes to protrude inw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an main body portion having an insulator inserted therein and forming a body of the connector,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or is connected to a cable or a device such as a communication device.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또는 케이블을 통신기기와 같은 장비에 연결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의 내부에 접속단자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that can easily connect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able and the cable or connecting the cable to equipment such as communication equipmen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전기 접속 커넥터는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접속소켓이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의 끝단 또는 장비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접속핀이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이때 그 내부에 삽입된 접속핀과 접속소켓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거나 또는 케이블을 장비에 연결시키게 된다.In general,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may be divided into a plug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able and the connection socket is inserted therein, and a receptacle connector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cable or the equipment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in and a connection socket inserted therein are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interconnecting cables or connecting cables to equipment.
이처럼 전기 접속 커넥터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핀과 접속소켓(이하에서는 "접속단자"로 칭함)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어야 하고, 또한 접속단자가 커넥터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처럼 커넥터의 내부에 접속단자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리테이너가 사용되고 있다.As such, the connecting pin and the connecting so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nection terminal")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should be connected to the correct position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terminal should not be detached from the connector arbitrarily. As such, a retainer is generally used to fix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correct position inside the connector.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전기 접속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 접속 커넥터는, 관체 구조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내부 전면에 삽입되는 전방 절연체(20), 전방 절연체(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테이너(30), 리테이너(30)의 이탈 방지를 위해 본체부(10)의 내부 후면에 삽입되는 후방 절연체(40), 그리고 각 절연체(20, 40) 및 리테이너(30)를 관통하는 접속단자(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cludes a
상기 전방 절연체(20)에는 리테이너(30) 및 접속단자(50)가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절연체(20)의 관통공(22)에 리테이너(30) 및 접속단자(50)가 후방에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30) 및 접속단자(50)가 관통공(22)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공(22)의 전방 내측면에 이탈 방지턱(24)이 돌출 형성되고, 따라서 관통공(22)의 전면 직경이 후면 직경보다 더욱 좁아지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전방 절연체(20)의 관통공(22)의 후방으로 삽입되는 리테이너(30)는, 접속단자(50)를 커넥터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접속단자(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휘어진 탄성편(3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전방 절연체(20)의 관통공(22)에 삽입된 리테이너(30)는, 관통공(22)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 방지턱(24)으로 인해 관통공(22)의 전방으로는 이탈되지 않지만 후방으로는 이탈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방 절연체(20)의 후면에 후방 절연체(40)가 부착된다. 상기 후방 절연 체(40)에도 전방 절연체(20)의 관통공(22)에 연통되는 관통공(42)이 다수 형성된다. 다만, 후방 절연체(40)의 관통공(42) 직경이 리테이너(30)의 직경보다 더욱 작게 형성되므로, 리테이너(30)가 전방 절연체(20)의 관통공(22)에서 후방으로 이탈될 염려가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이처럼 전방 절연체(20)의 관통공(22)에 리테이너(30)를 삽입하고, 전방 절연체(20)의 후면에 후방 절연체(40)를 부착한 후, 접속단자(50)를 상기 후방 절연체(40)의 관통공(42)과 리테이너(30), 그리고 전방 절연체(20)의 관통공(22)을 통과하도록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50)의 선단부 외주면에 환형 돌기(5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단자(50)의 환형 돌기(52)가 전방 절연체(20)의 관통공(22) 전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턱(24)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접속단자(50)는 전방 절연체(20)의 전면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접속단자(50)는 환형 돌기(52)가 리테이너(30)의 탄성편(32)을 밀어내면서 리테이너(3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접속단자(50)의 환형 돌기(52)가 탄성편(32)을 통과한 후에는 탄성편(32)이 다시 내측으로 오무려지면서 환형 돌기(52)의 후방을 지지하게 되므로, 접속단자(50)가 후방으로 이탈될 염려도 없게 된다.In this way,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기 접속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리테이너(30) 및 접속단자(50)의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절연체의 전후면에 이탈 방지턱(24)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제조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하나의 절연체에 대해 전후면에 이탈 방지턱(24)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결국 종 래에는 절연체를 2개로 분리하여 제조한 후, 다시 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절연체 1개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절연체 2개로 처리하는 종래의 전기 접속 커넥터는 제조 원가가 증가되고, 절연체 2개를 상호 결합시키는 공정이 추가되며, 절연체 부착 과정에서 접착제가 관통공 내부로 흘러들어가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front-rear separation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1개의 절연체에 의해서도 리테이너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tainer is not detached to the outside even by one insul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는, 케이블의 끝단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중심부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속단자;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접속단자의 중심부 외주면을 감싸고, 외주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절개된 슬릿이 다수 형성되며, 중심부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체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리테이너;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각 삽입공의 후방 끝단에 상기 리테이너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연체; 내부에 절연체가 삽입되고, 커넥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the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cable, the receiving terminal is formed recessed groove of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A retainer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slits cut forwar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ormed with a concave fasten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An insulator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connection terminals are inserted, and fasten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of the retainer at the rear ends of the insertion holes to protrude inward; An insulator is inserted therein a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forming a body of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단자는 안착홈을 중심으로 2개로 분리되어 제조된 후, 리테이너가 안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separated into two around the seat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iner is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테이너의 선단부는 절연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tainer is preferably made of a structu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ulato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테이너의 후방 끝단에 걸림턱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직경이 삽입공의 후방 끝단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step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retainer, the diameter of the locking step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hole.
또한 본 발명은, 소정 직경의 환형 구조를 가지는 링 또는 파이프 형태의 리테이너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고, 리테이너의 걸림턱이 상기 리테이너 분리수단의 내부에 압착되면서 삽입됨으로써 절연체의 삽입공에서 리테이너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tainer separating means in the form of a ring or a pipe having an annular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retainer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insulator by being inserted while the retaining jaw of the retainer is pressed into the retainer separat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에 의하면, 1개의 절연체에 의해서도 리테이너 및 접속단자를 커넥터 내부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 수 감소에 따른 제조 원가 절감 및 제조 공정 시간 감축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retainer and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even with one insulator. There i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전기 접속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로 구분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상호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핀 삽입되고, 플러그 커넥터에는 상기 접속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소켓이 삽입된다.In general,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s divided in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cabl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sockets are electrically inserted into the plug connector.
본 발명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커넥터"로 통칭하 고, 또한 접속핀과 접속소켓 역시 "접속단자"로 통칭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both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Hereinafter,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onnector", and the connecting pin and the connection socket are also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connector terminal".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3 to 5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는, 케이블의 끝단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단자(90)와, 다수의 접속단자(90)가 삽입되는 절연체(70), 접속단자(90)를 절연체(70) 내부에 고정시키는 리테이너(80), 그리고 절연체(70)가 삽입되고 커넥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5,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접속단자(90)는 케이블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도선이 전기적으로 삽입되는 접속핀 및/또는 접속소켓을 나타낸다. 여기서, 접속핀과 접속소켓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고, 플러그 커네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될 때, 상기 접속핀과 접속소켓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에서, 상기 접속단자(90)의 중심부 외주면에는 소정 길이의 안착홈(92)이 주위보다 오목하게 형성되고, 리테이너(80)가 상기 안착홈(92)에 삽입되어 접속단자(90)의 중심부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90)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92)에 리테이너(80)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접속단자(90)는 안착홈(92)을 중심으로 2개로 분리되어 제조된 후, 리테이너(80)가 안착홈(9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order to easily couple the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80)는 접속단자(90)를 절연체(70)에 고정시켜서 접속단자(90)가 절연체(7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접속단자(90)의 정확한 접점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접속단자(90)의 중심부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92)에 삽입되어 접속단자(90)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리테이너(80)는, 외주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절개된 슬릿(86)이 다수 형성되고, 중심부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체결홈(82)이 주위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며, 후방 끝단에는 걸림턱(84)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80)의 선단부는 절연체(7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 예를 들면 원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테이너(80)의 후단부는 다수의 슬릿(86)에 의해 직경이 가변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80)의 선단부는 절연체(70)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72)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반면 리테이너(80)의 후단부는 절연체(70)의 삽입공(72)을 통과할 수 없게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the tip end of the
그리고 본체부(60)에 내장되는 절연체(70)에는 상기 리테이너(80)가 결합된 접속단자(9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7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접속단자(90)가 삽입되는 입구, 즉 각 삽입공(72)의 후방 끝단에는 상기 리테이너(80)의 체결홈(82)에 삽입되는 체결돌기(7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돌기(74)가 형성된 삽입공(72)의 후방 끝단은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체결돌기(7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부터는 삽입공(72)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90)의 안착홈(92)에 리테이너(80)를 결합한 후 접속단자(90)를 절연체(70)의 삽입공(72)에 후방으로 삽입시키 면, 리테이너(80)의 각 슬릿(86)이 탄력적으로 오무려지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리테이너(80)의 선단부가 삽입공(72)의 후방 끝단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when the
그리고 리테이너(80)의 선단부가 삽입공(72)의 후방 끝단을 통과한 후, 삽입공(72)의 후방 끝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74)가 리테이너(80)의 체결홈(82)에 안착된다. 이처럼 삽입공(72)의 체결돌기(74)가 리테이너(80)의 체결홈(82)에 안착되면, 리테이너(80)는 삽입공(72)의 후방 끝단에 고정되고, 또한 리테이너(80)와 결합된 접속단자(90) 역시 삽입공(72)에 고정된다. 이때, 리테이너(80)의 후방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84)은 삽입공(72)의 후방 끝단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삽입공(72)의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고 삽입공(72)의 외부 벽면, 즉 절연체(70)의 후면에 접하게 된다.After the front end of the
한편, 리테이너(80)의 선단부가 삽입공(72)의 체결돌기(74)를 통과하는 순간에는 각 슬릿(86)이 탄력적으로 내측으로 오무려지게 되지만, 리테이너(80)의 선단부가 체결돌기(74)를 완전히 통과하여 체결돌기(74)가 체결홈(82)에 안착되는 순간에는 내측으로 오무려진 각 슬릿(86)이 다시 원래의 상태, 즉 외측 방향으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을 발산하게 되므로, 체결돌기(74)와 체결홈(82)이 더욱 밀착하게 되고, 그로 인해 리테이너(80)가 삽입공(72)의 외부로 이탈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end of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는 절연체(70)의 삽입공(72)에 결합된 리테이너(80) 및 접속단자(90)를 분해시키기 위한 리테이너 분리수단(88)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리테이너 분리수단(88)의 구조 및 사용에 대해 살펴본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retainer separation means 88 for dismantling the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의 분해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6 shows a disassembly proces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리테이너(80)를 절연체(70)의 삽입공(72)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리테이너 분리수단(88)은, 소정 직경의 환형 구조를 가지는 링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리테이너(80)의 후방에서 접속단자(9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접속단자(90)와 분리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retainer separating means 88 for separating the
그리고 리테이너(80)가 절연체(70)의 삽입공(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 분리수단(88)을 리테이너(80)의 후방 끝단에 밀어 넣으면, 리테이너(80)의 후방 끝단에 형성되어 삽입공(72)에 삽입되지 않은 걸림턱(84)이 리테이너 분리수단(88)의 내부에 압착되면서 삽입된다. 이때, 리테이너 분리수단(88)에 의해 걸림턱(84)이 압착되기 때문에, 리테이너(80)의 각 슬릿(86)이 더욱 오므려지면서 리테이너(80)의 체결홈(82)과 삽입공(72)의 체결돌기(74) 사이의 밀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단자(90)를 삽입공(72)의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접속단자(90) 및 리테이너(80)가 절연체(70)의 삽입공(72)에서 분리된다.When the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도 1 및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전기 접속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결합도.1 and 2 are exploded views and coupling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분해 단면도.3 and 4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60; 본체부 70; 절연체60;
72; 삽입공 74; 체결돌기72;
80; 리테이너 82; 체결홈80;
84; 걸림턱 86; 슬릿84; Hanging
88; 리테이너 분리수단88; Retainer Separation Means
90; 접속단자 92; 안착홈90;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3294A KR100767265B1 (en) | 2007-07-23 | 2007-07-23 | Electrical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3294A KR100767265B1 (en) | 2007-07-23 | 2007-07-23 | Electrical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67265B1 true KR100767265B1 (en) | 2007-10-17 |
Family
ID=3881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3294A Active KR100767265B1 (en) | 2007-07-23 | 2007-07-23 | Electrical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6726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937Y1 (en) * | 2011-09-01 | 2013-03-25 | (주)테크리더월드 | Connector |
CN111478059A (en) * | 2020-03-18 | 2020-07-31 | 东莞市日新传导科技有限公司 | Welding terminal and connector socket |
KR20210094738A (en) * | 2020-01-22 | 2021-07-30 | 한국프레틀(주) | Cable assembly for camera |
WO2022220319A1 (en) * | 2021-04-15 | 2022-10-20 | 주식회사 세코닉스 | Cable assembly for camera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3297A (en) | 1997-02-10 | 1998-08-21 | Dai Ichi Denshi Kogyo Kk | Single waterproof crimp connector |
KR200224438Y1 (en) | 1999-05-08 | 2001-05-15 | 김광찬 | Circuit connecting pin socket |
JP2002203635A (en) * | 2000-12-28 | 2002-07-19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connector |
WO2006002803A1 (en) | 2004-07-05 | 2006-01-12 | Tyco Electronics Amp Gmbh | Connecting arrangement and contact pin |
-
2007
- 2007-07-23 KR KR1020070073294A patent/KR1007672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3297A (en) | 1997-02-10 | 1998-08-21 | Dai Ichi Denshi Kogyo Kk | Single waterproof crimp connector |
KR200224438Y1 (en) | 1999-05-08 | 2001-05-15 | 김광찬 | Circuit connecting pin socket |
JP2002203635A (en) * | 2000-12-28 | 2002-07-19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connector |
WO2006002803A1 (en) | 2004-07-05 | 2006-01-12 | Tyco Electronics Amp Gmbh | Connecting arrangement and contact pi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937Y1 (en) * | 2011-09-01 | 2013-03-25 | (주)테크리더월드 | Connector |
KR20210094738A (en) * | 2020-01-22 | 2021-07-30 | 한국프레틀(주) | Cable assembly for camera |
KR102428798B1 (en) * | 2020-01-22 | 2022-08-04 | 한국프레틀(주) | Cable assembly for camera |
CN111478059A (en) * | 2020-03-18 | 2020-07-31 | 东莞市日新传导科技有限公司 | Welding terminal and connector socket |
WO2022220319A1 (en) * | 2021-04-15 | 2022-10-20 | 주식회사 세코닉스 | Cable assembly for camer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59655B (en) |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 |
US20150024628A1 (en) | Coaxial plug connector arrangement | |
US6945805B1 (en) | Self-locking rotatable electrical coupling | |
US10103483B2 (en) | Coaxial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 |
US9692163B1 (en) | Crush rib housing for postive lock receptacle | |
JP5062863B2 (en) | Small round connector assembly | |
US6364721B2 (en) | Wire connector | |
JP2008530754A (en) | Snap lock connection terminal | |
CN105680263A (en) | Rapid abutting joint of grounding wire | |
JPH026194B2 (en) | ||
JP2006253148A (en) | Coaxial connector having cable gripping part | |
JP2019515457A (en) | Plug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plug connector | |
JP2019515457A5 (en) | ||
KR100767265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1035565A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 | |
JP2019504460A (en) | Plug connector | |
CN216928964U (en) | Cable assembly for high-voltage connector and high-voltage connector | |
US9065203B2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a connection of a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 |
CN106803629B (en) | Anti-mismatching structure of connector | |
JP2007502518A (en) | Triaxial bulkhead connector | |
US2418457A (en) | Electrical coupling plug | |
US20020182924A1 (en) | Connector for electronic appliance | |
JP2003086300A (en) | Blind type insertion plug socket | |
JP2018160393A (en) | Electric connector | |
KR200420046Y1 (en) | Joint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7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9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7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