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1701B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701B1
KR100761701B1 KR1020060072986A KR20060072986A KR100761701B1 KR 100761701 B1 KR100761701 B1 KR 100761701B1 KR 1020060072986 A KR1020060072986 A KR 1020060072986A KR 20060072986 A KR20060072986 A KR 20060072986A KR 100761701 B1 KR100761701 B1 KR 10076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hort side
folding
long
long 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권
Original Assignee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7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포장용상자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11)의 긴변과 짧은변에 각각의 접힘라인(14,15)을 따라 접혀지는 각각의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이 일체로 성형된 몸체부와; 상기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에 각각 형성된 홈(21) 또는 돌기(22)를 통해 장측면판과 단측면판이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단측면판(13)의 상면중심부와 하면양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된 접힘라인(31,32)을 통해 단측면판(13)을 내측으로 접어주는 접힘부 및; 상기 단측면판(13)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접힘라인(31,32)의 상단부를 각각 감싸 상기 단측면판(13)을 펼침상태로 고정하는 잠금부(40)로 이루어져; 포장용상자의 분해/조립이 연결부의 돌기와 홈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분해/조립에 따른 과정이 단순화되어 사용상 편리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포장용상자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운반 및 보관에 따른 각종 편리성 및 보관비용이 최소화되게 한 것이다.
몸체부, 장측면판, 단측면판, 연결부, 접힘부, 잠금부, 접힘라인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Packing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상자를 도시한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상자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상자의 접힘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상자의 잠금기구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포장용상자 11: 바닥판
12 : 장측면판 13 : 단측면판
14,15 : 접힘라인 21 : 홈
22 : 돌기 31,32 : 접힘라인
40 : 잠금부
본 발명은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포장용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용상자의 접힘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접힘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상자는 탐재물품의 이송 및 보관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탑재물품의 보관상 편리성을 제공할 목적으로 제조된 상자체로서, 이 포장용상자는 종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상으로 성형하여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포장용상자를 종이로 제작하는 경우 물품의 포장목적으로는 반복적인 사용이 어려워 자원낭비의 원인이 되며, 포장용상자를 목재로 제작하는 경우 나사 등의 체결수단들이 필요하므로 제조비용 및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특히 소각 이외에는 마땅한 처리방법이 없었다.
더욱이, 포장용상자를 목재로 제조하여 보관장소에 보관하려는 경우, 목재상자에 구성된 측면판의 높이로 인하여 다량의 상자를 적층할 수 었어 장소적인 측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포장용상자를 다수개 적층하더라고 외부충격 등에 의해 항상 손쉽게 무너질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포장용상자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성형하면서 각 측면판이 접혀지도록 구성한 이른바, 접힘식상자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포장용상자의 각 측면판에 각각의 요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분해/조립에 따른 편리성 및 접힘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킨 상자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접힘식상자는 대부분 측면판의 접힘 및 펼침에 따른 구조 및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자의 구성부품이 복잡함으로 인해 금형비가 증대되어 부대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제작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에 따른 신속성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장용상자의 접힘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접힘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의 긴변과 짧은변에 각각의 접힘라인을 따라 접혀지는 장측면판과 단측면판이 일체로 성형된 몸체부와; 상기 장측면판과 단측면판에 각각 형성된 홈 또는 돌기를 통해 장측면판과 단측면판이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단측면판의 상면중심부와 하면양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된 접힘라인을 통해 단측면판을 내측으로 접어주는 접힘부 및; 상기 단측면판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접힘라인의 상단부를 각각 감싸 상기 단측면판을 펼침상태로 고정하는 잠금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접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잠금기구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의 긴변과 짧은변에 각각의 접힘라인(14,15)을 따라 접혀지는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이 일체로 성형된 몸체부와; 상기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에 각각 형성된 홈(21) 또는 돌기(22)를 통해 장측면판과 단측면판이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단측면판(13)의 상면중심부와 하면양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된 접힘라인(31,32)을 통해 단측면판(13)을 내측으로 접어주는 접힘부 및; 상기 단측면판(13)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접힘라인(31,32)의 상단부를 각각 감싸 상기 단측면판(13)을 펼침상태로 고정하는 잠금부(40)로 이루어진다.
먼저, 포장용상자(1)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장/단측면판(12,13)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몸체부를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잠금부(40) 및, 상기 몸체부를 접어주는 접힘부로 이루어짐을 첨언한다.
여기서, 몸체부는,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되면서 이송물품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이송물품이 탑재되는 사각형상의 바닥판(11)과, 이 바닥판(11)의 긴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접힘라인(14)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장측면판(12) 및, 상기 바닥판(11)의 짧은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접힘라인(15)을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단측면판(13)으로 구성된다.
물론, 몸체부는, 바닥판(11)에서 접힘라인(14,15)을 따라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을 수직방향으로 직립시키는 경우,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이루어 물품의 수용공간을 형성함은 당연하다.
이때, 몸체부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의 갯수를 조절한 삼각형상 또는 오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부는, 몸체부의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을 상호 연결하여 장/단측면판(12,13)의 직립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장측면판(12)의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21)과, 상기 단측면판(13)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홈(21)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돌기(22)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장측면판(12)에 형성된 홈(21)과 상기 단측면판(13)에 형성된 돌기(22)의 위치를 상호 변경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연결부로서 홈과 돌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고리나 후크 등과 같이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을 직립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접힘부(20)는, 몸체부의 단측면판(13)을 내측방향으로 접어주기 위한 것으로서, 단측면판(13)의 상면중심부와 하면모서리부 중 좌측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된 제1접힘라인(31)과, 단측면판(13)의 상면중심부와 하면양모서리부 중 우측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된 제2접힘라인(32)으로 이루어져, 상기 단측면판(13)을 접어주는 경우 대략 삼각형상을 이룬다.
이때, 접힘부(20)의 제1,2접힘라인(31,32)이 단측면판(13)의 상면중심부에서 하면양모서리부를 향해 한 쌍이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단측면판(13)을 내측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접힘라인이라면 모든 접힘라인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잠금부(40)는, 단측면판(13)의 외벽 또는 내벽의 중심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접힘라인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서, 접힘라인(31,32)의 상단부 즉, 제1접힘라인(31)과 제2접힘라인(32)이 마주하는 지점을 감싸 단측면판(13)이 접히는 것으로 방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잠금부(40)는, 접힘라인(31,32)을 강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폭을 갖도록 갖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잠금부(40)로서 후크형식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고리나 걸쇠 등과 같이 접힘라인(31,32)의 접힘을 방지하는 수단이라면 모두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장용상자를 조립하려는 경우, 일단 바닥판(11)을 중심으로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을 수직방향으로 직립시키고, 연결부의 홈(21)과 돌기(22)를 상호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몸체부의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이 연결되어 물품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므로, 단측면판(13)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잠금부(40)를 회동하여 접힘라인(31,32)의 상단부를 감싸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면, 포장용상자가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에 의해 육면체형상으로 세팅됨은 물론, 잠금부(40)에 의해 단측면판(13)의 접힘이 방지되므로 물품적재에 따른 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포장용상자를 접어 보관하려는 경우, 일단 단측면판(13)의 접힘라인(31,32)에 구성된 잠금부(40)의 결합을 해제하면,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의 접힘에 따른 준비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2에서와 같이, 단측면판(13)을 내측방향으로 약간 눌러주면, 단측면판(13)이 접힘라인(31,32)을 따라 오무려짐과 동시에 접힘라인(15)을 따라 접혀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어서, 단측면판(13)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던 장측면판(12)이 접힘라인(15)을 따라 접혀지므로, 포장용상자가 도 2에서와 같이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로 접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상자에 의하면, 포장용상자의 분해/조립이 연결부의 돌기와 홈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분해/조립에 따른 과정이 단순화되어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포장용상자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운반 및 보관에 따른 각종 편리성 및 보관비용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Claims (1)

  1. 바닥판(11)의 긴변과 짧은변에 각각의 접힘라인(14,15)을 따라 접혀지는 각각의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이 일체로 성형된 몸체부와;
    상기 장측면판(12)과 단측면판(13)에 각각 형성된 홈(21) 또는 돌기(22)를 통해 장측면판과 단측면판이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단측면판(13)의 상면중심부와 하면양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된 접힘라인(31,32)을 통해 단측면판(13)을 내측으로 접어주는 접힘부 및;
    상기 단측면판(13)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접힘라인(31,32)의 상단부를 각각 감싸 상기 단측면판(13)을 펼침상태로 고정하는 잠금부(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060072986A 2006-08-02 2006-08-02 포장용 상자 Active KR10076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986A KR100761701B1 (ko) 2006-08-02 2006-08-02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986A KR100761701B1 (ko) 2006-08-02 2006-08-02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701B1 true KR100761701B1 (ko) 2007-09-28

Family

ID=3873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986A Active KR100761701B1 (ko) 2006-08-02 2006-08-02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6173A (zh) * 2022-08-11 2022-10-18 金华盛科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箱转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4059A (ko) * 1993-10-22 1995-11-17 데니스 제이. 테일러 미세입자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체(fine particle handling)
KR19990064252A (ko) * 1995-10-16 1999-07-26 비. 다이아몬드 조지 박형 콘테이너 내에 살균가능한 식용품을 패키징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패키지
KR20190000920A (ko) * 2009-07-02 2019-01-03 톰슨 라이센싱 적응적 트리 선택을 사용한 이진 집합의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4059A (ko) * 1993-10-22 1995-11-17 데니스 제이. 테일러 미세입자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립체(fine particle handling)
KR19990064252A (ko) * 1995-10-16 1999-07-26 비. 다이아몬드 조지 박형 콘테이너 내에 살균가능한 식용품을 패키징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패키지
KR20190000920A (ko) * 2009-07-02 2019-01-03 톰슨 라이센싱 적응적 트리 선택을 사용한 이진 집합의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6173A (zh) * 2022-08-11 2022-10-18 金华盛科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箱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8562A (en) Container
MX2012003283A (es) Marco de refuerzo para una caja o una tarima de transporte.
KR102023451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100627177B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KR100761701B1 (ko) 포장용 상자
CN209009104U (zh) 可折叠箱
KR20140091370A (ko)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접힘장치
KR20200075263A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KR102417237B1 (ko) 내측면의 자체적인 복원력을 가지는 접이식 폴딩박스
KR200457548Y1 (ko) 절첩식 상자
KR200393366Y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JPH0880937A (ja) 包装箱
KR200420680Y1 (ko) 휴대폰 포장용 상자
KR200363603Y1 (ko) 접철식 포장 박스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KR102096712B1 (ko) 포장용 상자
CN202863898U (zh) 周转箱
JP2002370727A (ja) 梱包箱
KR102518781B1 (ko) 접철식 포장 박스
JP5257230B2 (ja) 梱包箱セット及び梱包箱セットの構成方法
KR200373835Y1 (ko)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KR200430540Y1 (ko) 접이형 포장박스
KR200420681Y1 (ko) 휴대폰 포장용 상자
KR200410505Y1 (ko) 컨테이너 박스 고정용 끼움 부재
KR200277846Y1 (ko) 조립식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