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6985B1 -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985B1
KR100756985B1 KR1020060082778A KR20060082778A KR100756985B1 KR 100756985 B1 KR100756985 B1 KR 100756985B1 KR 1020060082778 A KR1020060082778 A KR 1020060082778A KR 20060082778 A KR20060082778 A KR 20060082778A KR 100756985 B1 KR100756985 B1 KR 10075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relay station
channel information
indexes
re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형
김대관
조면균
김영주
노상민
홍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985B1/ko
Priority to US11/848,099 priority patent/US79616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9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6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단 장치는, 중계국들과의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추정된 채널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하여 인덱스 벡터를 구성하는 인덱스 정렬기와, 상기 인덱스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채널정보를 고려한 중계국 선택 시, 수신단에서 피드백되는 채널정보를 중계국의 인덱스만으로 구성함으로써, 피드백 정보량을 줄여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 중계국, 채널추정

Description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RELAY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중계국 선택을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중계국 선택을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선택시 기지국, 중계국 및 단말의 신호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릴레이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 이하 '4G'라 칭함)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 칭함)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통신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광대역(Broadband) 전송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이라 칭함)/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OFDMA'이라 칭함) 방식을 적용한 통신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 및 무선망 구성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트래픽 분포나 통화 요구량 변화가 심한 무선 환경에서 더욱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중계국(Relay Station) 및 인접 단말을 이용하여 다중 홉(Multi Hop) 중계 형태의 데이터 전달 방식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상기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중계국을 사용함으로써 전송률(Throughput) 개선의 효과가 발생한다. 즉, 기지국와 단말과의 직접 링크 채널이 열악한 경우, 중계국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채널 환경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국 사용 시, 기지국과 중계국 또는 단말과 중계국에서 동일한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 상기 중계국의 적절한 선택을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상기 중계국 선택을 위한 종래 기술은 크게 채널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방식과 상기 채널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채널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방식으로는 기지국에서 후보 중계국들 중 무작위로 선택하는 RS(Random Selection) 방식과 각 단말에 대한 중계국 우선 순위를 미리 정해놓는 FPS(Fixed Priority Seleciton) 방식이 있다. 상기 RS 방식 및 FPS 방식은 채널정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에서의 중계국 선택 절차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적의 중계국 선택을 보장할 수 없다.
상기 채널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채널정보(예 :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를 이용하는 MSS(Maximum received SNR Selection) 방식과,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채널정보 및 중계국과 단말 간의 채널정보를 모두 이용하는 MTS(Maximum Total SNR Selection) 방식이 있다. 즉, 상기 MMS 방식은 기지국에서 중계국과의 채널정보를 직접 측정한 후, 상기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국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MTS 방식은 상기 기지국에서 직접 측정한 중계국과의 채널정보에 더불어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과 중계국의 채널정보를 피드백(Feedback) 받아 이를 고려하여 중계국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MTS 방식은 구성 가능한 모든 중계 채널을 고려하여 최적의 중계국 선택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선택 시, 상기 MTS 방식을 통해 최적의 중계국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MTS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피드백되는 채널정보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가지 채널정보를 조합하여 모든 중계 채널을 고려함으로써, 중계국 선택 과정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단에서의 중계국 선택을 위해 수신단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정보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단에서의 중계국 선택 과정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는, 중계국들과의 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추정된 채널정보들에 따라 상기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하는 인덱스 정렬기와, 상기 정렬된 인덱스들 중 소정 개수 인덱스들의 정보를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송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는, 중계국들과의 선호 채널 순으로 정렬된 각 중계국들의 제 1 인덱스 집합을 생성하는 인덱스 집합 생성기와, 수신단으로부터 상기 중계국들과 수신단 간의 선호 채널 순으로 정렬된 제 2 인덱스 집합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 및 제 2 인덱스 집합을 참조하여 중계국을 선택하는 행렬 검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선택을 위한 수신단의 동작 방법은, 후보 중계국들로부터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된 채널정보들에 따라 상기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하는 과정과, 정렬된 인덱스들 중 소정 개수 인덱스들의 정보를 송신단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선택을 위한 송신단의 동작 방법은, 후보 중계국들로부터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과정과, 추정된 채널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하여 제 1 인덱스 집합을 생성하는 과정과, 수신단으로부터 상기 중계국들과 수신단 간의 채널정보에 따라 정렬된 제 2 인덱스 집합이 피드백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 및 제 2 인덱스 집합을 참조하여 중계국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단과 수신단 간의 신호를 릴레이하기 위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신호 송신을 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 이라 칭함) 및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기반의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러 기반의 통신시스템이라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 처리기(101) ADC(Analog Digital Convertor)(103), OFDM 복조기(105), 복호화기(107), 데 이터 분류기(109), 채널추정기(111), 인덱스 정렬기(113), 메시지 생성기(115), 부호화기(117), OFDM 변조기(119), DAC(Digital Analog Congvertor)(121) 및 RF 처리기(6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 처리기(1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ADC(103)는 상기 RF 처리기(101)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기(105)는 상기 ADC(103)로부터 제공되는 시간 영역 샘플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107)는 상기 OFDM 복조기(10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해당 복조 방식과 미리 정해진 부호율로 복호화하여 해당 비트열로부터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상기 데이터 분류기(109)는 상기 복호화기(107)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채널 추정기(111)에게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채널 추정기(111)는 상기 데이터 분류기(109)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중계국을 선택하는 경우, 다수의 후보 중계국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각 후보 중계국들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n, 이하 SNR이라 칭함)를 측정한다.
상기 인덱스 정렬기(113)는 기지국으로 후보 중계국들과의 채널정보를 피드백(Feedback)하기 위해 상기 채널 추정기(111)로부터 제공되는 각 후보 중계국들을 상기 SNR 순으로 정렬한다. 예를 들어, M개의 후보 중계국이 존재하는 경우, 수학식 1과 같이 SNR 크기순으로 각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한 벡터를 구성한다.
Figure 112006062658647-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SS는 정렬된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 벡터, JK(1≤k≤M, k는 정수)는 후보 중계국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상기 메시지 생성기(115)는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중계국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 벡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상기 후보 중계국들과의 채널정보 피드백으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측정한 SNR 값을 제외한 정렬된 인덱스 벡터만으로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벡터 중 상위 N개의 원소만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중계국과 단말 간 SNR 순위가 매우 낮은 중계국이 선택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기 SNR 순위가 매우 낮은 중계국의 인덱스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동일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기(117)는 상기 메시지 생성기(115) 제공받은 데이터를 해당 부호율과 해당 변조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 변조기(119)는 상기 부호화기(117)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시간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DAC(121)는 상기 OFDM 변조기(119)로부터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 처리기(123)는 상기 DAC(12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 처리기(201), ADC(203), OFDM 복조기(205), 복호화기(207), 데이터 분류기(209), 채널추정기(211), 인덱스 정렬기(213), 검색 행렬 생성기(215) 및 행렬 검색기(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 처리기(2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ADC(203)는 상기 RF 처리기(201)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기(205)는 상기 ADC(203)로부터 제공되는 시간 영역 샘플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207)는 상기 OFDM 복조기(20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해당 복조 방식과 미리 정해진 부호율로 복호화하여 해당 비트열로부터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상기 데이터 분류기(209)는 상기 복호화기(207)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실린 메시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제공되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채널 추정기(211)에게 상기 파일럿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덱스 벡터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검색행렬 생성기(215)로 상기 수신된 인덱스 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채널 추정기(211)는 상기 데이터 분류기(209)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중계국을 선택하는 경우, 다수의 후보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각 후보 중계국들의 SNR을 측정한다.
상기 인덱스 정렬기(213)는 중계국 선택을 위한 검색행렬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채널 추정기(211)로부터 제공되는 각 후보 중계국들을 상기 SNR 순으로 정렬한다. 예를 들어, M개의 후보 중계국이 존재하는 경우, 수학식 2과 같이 같이 SNR 크기순으로 각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한 벡터를 구성한다.
Figure 112006062658647-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SD는 정렬된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 벡터, IK(1≤k≤M, k는 정수)는 후보 중계국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상기 검색행렬 생성기(215)는 상기 인덱스 정렬기(213)로부터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SNR로 정렬된 인덱스 벡터를 제공받고, 상기 데이터 분류기(209)로부터 단말과 중계국 간의 SNR로 정렬된 인덱스 벡터를 제공받아 상기 중계국 선택을 위한 검색행렬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M개의 후보 중계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 행렬은 수학식 3과 같이 구성된다.
Figure 112006062658647-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S는 검색행렬, si ,j(1≤i≤M, 1≤j≤M, i,j는 정수)는 상기 행렬 S의 원소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Si ,j는 '0' 또는 '1' 값을 갖는 원소이며 상기 수학식 1의 Jj가 상기 수학식 2의 Ii와 동일한 중계국 인덱스이면 Si ,j는 '1', 동일하지 않으면 Si ,j는 '0'으로 결정된다.
상기 행렬 검색기(217)는 상기 검색행렬 생성기(215)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검색행렬을 이용하여 중계국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구성된 검색행렬에서 상기 수학식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1' 값을 갖는 원소를 검색하여 중계국을 선택한다. 다시 말해, s1 ,1, s2 ,1, s1 ,2, s3 ,1, s2 ,2, s1 ,3, ... , sM ,M의 순서로 i와 j의 합이 적은 원소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1'의 값을 갖는 원소가 발견되면, 상기 '1'의 값을 갖는 원소에 해당되는 중계국을 선택한다. 즉, 만일 원 소 s1 ,1의 값이 '1'인 경우, 이는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의 두 벡터의 첫 번째 원소의 중계국 인덱스가 동일함을 의미하며, 동시에 기지국 입장과 단말 입장에서 상기 중계국의 SNR이 가장 높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술한 순서로 '1'값을 갖는 원소를 검색하면 중계 채널이 가장 우수한 중계국이 가장 먼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국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중계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중계국 선택을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30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국 선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 선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 후, 파일럿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후보 중계국들로부터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파일럿 신호와 함께 각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 벡터도 수신된다.
상기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각 후보 중계국들의 SNR을 측정한다.
상기 각 후보 중계국들의 SNR을 측정한 후, 상기 단말은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측정된 SNR의 크기순으로 상기 각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중계국 인덱스 벡터를 생성한다.
상기 각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한 후, 상기 단말은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정렬된 인덱스 벡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인덱스 벡터 중SNR이 큰 상위 N개의 중계국 인덱스 벡터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중계국과 단말 간 SNR 순위가 매우 낮은 중계국이 선택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기 SNR 순위가 매우 낮은 중계국의 인덱스를 전송하지 않아도 동일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중계국 선택을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401단계에서 중계국의 선택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통신중인 채널 상태가 열악하여 중계국을 이용한 다른 채널로 통신을 해야할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의 선택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기지국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에게 중계국 선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에게 중계국 선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후보 중계국들에게 파일럿 송신 요청 메시지를 방송(Broadcasting)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후보 중계국들로부터 파일럿 신호 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파일럿 신호와 함께 각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 벡터도 수신된다.
상기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각 후보 중계국들의 SNR을 측정한다.
상기 각 후보 중계국들의 SNR을 측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측정된 SNR의 크기순으로 상기 각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2과 같은 중계국 인덱스 벡터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SNR 크기로 정렬된 중계국 인덱스 벡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로부터 중계국 인덱스 벡터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415단계로 진행하여 중계국 선택을 위해 검색행렬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와 같은 두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3과 같은 검색행렬을 생성한다.
상기 검색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4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색행렬을 통해 중계국을 선택한다. 즉,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상기 검색행렬의 각 원소를 검색하여 '1'의 값을 갖는 원소가 발견되면, 상기 '1'의 값을 갖는 원소에 해당되는 중계국을 선택한다. 이때,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중계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선택시 기지국, 중계국 및 단말의 신호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서 하나의 후 보 중계국만 도시되었지만, 다수의 후보 중계국들이 존재하더라도 모든 중계국은 동일한 신호를 교환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510)는 단말(530)과 통신을 중계할 중계국의 선택이 필요함을 확인한다(501단계).
이후, 상기 기지국(510)는 상기 단말(503)에게 중계국 선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503단계).
상기 중계국 선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530)은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505단계).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510)은 후보 중계국(520)에게 파일럿 신호 송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507단계). 이때, 상기 후보 중계국(520)은 최소 하나 이상 존재하며 상기 기지국(510)은 모든 후보 중계국이 상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도록 파일럿 신호 송신 요청 메시지를 방송한다.
상기 파일럿 신호 송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보 중계국(520)은 파일럿 신호 및 중계국 인덱스 벡터를 상기 기지국(510)과 단말(530)에게 방송한다(509단계).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510) 및 단말(530)은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각 후보 중계국들과의 SNR을 측정한다(511단계).
이후, 상기 단말(530)은 상기 측정한 SNR의 크기에 따라 각 후보 중계국의 인덱스를 정렬하여, 상기 정렬된 후보 중계국의 인덱스 벡터를 상기 기지국(510)으로 전송한다(513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정렬된 후보 중계국의 인덱스 벡터를 수신한 기지국(510)은 상기 수신된 인덱스 벡터 및 측정한 SNR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3과 같은 검색행렬을 생성한 후,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를 통해 중계국을 선택한다(515단계).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채널정보를 고려한 중계국 선택 시, 수신단에서 피드백되는 채널정보를 중계국의 인덱스만으로 구성함으로써, 피드백 정보량을 줄여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 벡터를 이용하여 검색행렬을 생성하여 중계국을 선택함으로써, 검색 과정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중계국들과의 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상기 추정된 채널정보들에 따라 상기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하는 인덱스 정렬기와,
    상기 정렬된 인덱스들 중 소정 개수 인덱스들의 정보를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정렬기는,
    상기 중계국들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인덱스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중계국들과의 선호 채널 순으로 정렬된 각 중계국들의 제 1 인덱스 집합을 생성하는 인덱스 집합 생성기와,
    상기 중계국들과 상대 노드 간의 채널 정보들을 크기 순으로 정렬하여 생성된 제 2 인덱스 집합을 상기 상대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 및 제 2 인덱스 집합을 참조하여 중계국을 선택하는 행렬 검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집합 생성기는,
    중계국들과의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와,
    추정된 채널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하여 제 1 인덱스 벡터를 구성하는 인덱스 정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정렬기는,
    상기 중계국들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인덱스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행렬 검색기는,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 및 제 2 인덱스 집합을 이용하여 검색행렬을 생성하는 검색행렬 생성기와,
    상기 검색행렬을 통해 중계국을 선택하는 행렬 검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행렬은,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의 i번째 중계국 인덱스와 상기 제 2 인덱스 집합의 j 번째 중계국 인덱스의 동일 여부를 (i,j) 위치의 원소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행렬은,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Figure 112006062658647-pat00004
    여기서, M은 후보 중계국의 개수를 나타내고, si ,j는(1≤i≤M, 1≤j≤M, i,j는 정수) 상기 제 1 인덱스 벡터의 i 번째 원소와 상기 제 2 인덱스 벡터의 j 번째 원소가 동일하면 '1', 동일하지 않으면 '0'으로 설정됨.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행렬 검색기는,
    상기 검색행렬에서 i와 j의 합이 적은 원소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최초 인덱스가 일치되는 중계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선택을 위한 수신단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후보 중계국들로부터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된 채널정보들에 따라 상기 후보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하는 과정과,
    정렬된 인덱스들 중 소정 개수 인덱스들의 정보를 송신단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들의 정렬은, 상기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내림차 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선택을 위한 송신단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중계국들로부터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과정과,
    추정된 채널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국들의 인덱스를 정렬하여 제 1 인덱스 집합을 생성하는 과정과,
    수신단으로부터 상기 중계국들과 수신단 간의 채널정보에 따라 정렬된 제 2 인덱스 집합이 피드백(Feedback)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 및 제 2 인덱스 집합을 참조하여 중계국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집합은, 상기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내림차 순으로 정렬된 인 덱스들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 및 제 2 인덱스 집합을 참조하여 중계국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 및 제 2 인덱스 집합을 이용하여 검색행렬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행렬을 통해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행렬은, 상기 제 1 인덱스 집합의 i번째 중계국 인덱스와 상기 제 2 인덱스 집합의 j 번째 중계국 인덱스의 동일 여부를 (i,j) 위치의 원소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행렬은,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112006062658647-pat00005
    여기서, M은 후보 중계국의 개수를 나타내고, si ,j는(1≤i≤M, 1≤j≤M, i,j는 정수) 상기 제 1 인덱스 벡터의 i 번째 원소와 상기 제 2 인덱스 벡터의 j 번째 원소가 동일하면 '1', 동일하지 않으면 '0'으로 설정됨.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선택은,
    상기 검색행렬에서 i와 j의 합이 적은 원소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최초 인덱스가 일치되는 중계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82778A 2006-08-30 2006-08-30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5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778A KR100756985B1 (ko) 2006-08-30 2006-08-30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11/848,099 US7961670B2 (en) 2006-08-30 2007-08-30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relay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778A KR100756985B1 (ko) 2006-08-30 2006-08-30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985B1 true KR100756985B1 (ko) 2007-09-07

Family

ID=3873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7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6985B1 (ko) 2006-08-30 2006-08-30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61670B2 (ko)
KR (1) KR100756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453B1 (ko) 2009-09-08 2011-10-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홉 협동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155505B1 (ko) 2010-11-03 2012-06-15 한국과학기술원 유기적 토폴로지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9848B2 (en) * 2007-12-03 2012-05-15 Polytechnic Institute Of New York University Video multicast using relay devices defined by a channel quality parameter hierarchy
KR101490351B1 (ko) * 2008-05-29 2015-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모드 선택을 위한장치 및 방법
US8599728B2 (en) * 2008-07-11 2013-12-03 Nokia Siemens Networks Oy Recovery schemes for group switching procedures for multi-group frequency division duplex wireless networks
KR101497929B1 (ko) * 2008-11-03 201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중계기 기반의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
US8886113B2 (en) * 2008-12-30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ntrol of relay operation
KR101556163B1 (ko) 2009-04-30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신호 중계 방법
JP5515558B2 (ja) 2009-09-25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5405348B2 (ja) * 2010-02-19 2014-02-05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中継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1148391A2 (en) * 2010-05-26 2011-12-01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Cewit) Indoor personal relay
JP5672779B2 (ja) * 2010-06-08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制御装置、および送信制御方法
US8718627B1 (en) 2010-10-08 2014-05-06 Sprint Spectrum L.P. Method of transmitting reverse link signals from multiple mobile stations to improve reception quality
AR084519A1 (es) * 2010-12-23 2013-05-22 Sensus Usa Inc Capacidad de canal multibanda para redes de medidores
US9155002B2 (en) * 2011-07-15 2015-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dur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9143222B2 (en) * 2011-10-27 2015-09-22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y station
US9049668B2 (en) 2012-09-06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D2D relays as an underlay in LTE uplink
US9072000B2 (en) 2012-10-19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relay discovery protocol
US20140171062A1 (en) * 2012-12-19 2014-06-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s,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Handling Relay Assist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641237B2 (en) 2013-01-11 2017-05-02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Indoor personal relay
US9900931B2 (en) 2013-05-02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relay selection
US9461729B2 (en) * 2013-12-13 2016-10-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oftware-defined network infrastructure having virtual range extenders
FR3017015B1 (fr) * 2014-01-30 2017-06-23 Sagem Defense Securite Procede de relayage mis en œuvre dans 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 et terminal pour la mise en œuvre dudit procede.
CN104113365B (zh) * 2014-07-10 2017-06-16 广西师范大学 协同通信系统中多天线中继节点的选择方法
US9585159B2 (en) * 2014-12-19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dual-band relay
US10609601B2 (en) 2016-03-16 2020-03-31 Sony Corpor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minal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integrated circuitry and methods
CN106656379B (zh) * 2016-12-27 2020-10-20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中继携能通信系统的传输速率优化方法及装置
US11558145B2 (en) 2018-04-17 2023-01-17 Kyocera Corporation Robust relay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origin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858A (ja) * 1992-03-23 1995-07-28 Oki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の中継局選択方式
KR970031477A (ko) * 1995-11-08 1997-06-26 정장호 주파수 공용통신시스템에서의 휴대기의 최적중계국 파악방법
KR20050013023A (ko) * 2003-07-26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고속 프레임의 전송 방법
KR20060014113A (ko) * 2004-08-10 2006-02-15 (주)지에스텔레텍 채널주파수 선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4676C2 (de) * 2000-03-24 2002-02-07 Polytrax Inf Technology Ag Datenübertragung über ein Stromversorgungsnetz
SE0303602D0 (sv) * 2003-12-30 2003-12-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self-organizing cooperative network
JP4772038B2 (ja) * 2005-03-30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858A (ja) * 1992-03-23 1995-07-28 Oki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の中継局選択方式
KR970031477A (ko) * 1995-11-08 1997-06-26 정장호 주파수 공용통신시스템에서의 휴대기의 최적중계국 파악방법
KR20050013023A (ko) * 2003-07-26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고속 프레임의 전송 방법
KR20060014113A (ko) * 2004-08-10 2006-02-15 (주)지에스텔레텍 채널주파수 선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453B1 (ko) 2009-09-08 2011-10-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홉 협동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155505B1 (ko) 2010-11-03 2012-06-15 한국과학기술원 유기적 토폴로지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1670B2 (en) 2011-06-14
US20080056199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985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83319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users in a system with multiple polarized antennas
CN106899336B (zh) 多输入多输出(mimo)系统的下行链路信道参数的确定
EP2843849B1 (en) User pai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hieving user scheduling
US7920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multi-user superposition coding in a wireless relay system
US201301839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enhancing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019510A1 (e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US8583055B2 (en) Beam forming method and multiple antenna system using the same
KR100895576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 랜 환경에서 안테나를 선택하여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CN101507135B (zh) 用于多站点和多波束传输的空间-时间/空间-频率编码
KR20100119443A (ko)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신호 중계 방법
CN101632252A (zh) 具有双向信道的多天线中继站
US20110228730A1 (en) Scheduling simultaneous transmissions in wireless network
KR200900486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동국
EP3972144B1 (en)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EP3091775B1 (en) Bas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4971173B2 (ja) 通信システム
KR20080085323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시스템
US85040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202003584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preading sequence codebooks
KR100951822B1 (ko) 다중 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장치및 방법
KR10136580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20120163284A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lay-Sensitive Routing
KR101405498B1 (ko)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화 장치 및방법
KR10143821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