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3991B1 -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991B1
KR100753991B1 KR1020060092343A KR20060092343A KR100753991B1 KR 100753991 B1 KR100753991 B1 KR 100753991B1 KR 1020060092343 A KR1020060092343 A KR 1020060092343A KR 20060092343 A KR20060092343 A KR 20060092343A KR 100753991 B1 KR100753991 B1 KR 10075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cab
bottom plate
frame structure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6009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991B1/ko
Priority to US11/820,665 priority patent/US7445272B2/en
Priority to EP07012140.5A priority patent/EP1903152A3/en
Priority to CN2007101286326A priority patent/CN10114889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991B1/ko
Priority to JP2007236960A priority patent/JP4987644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건설중장비의 전복 등으로 인해 운전실 캡의 구조물에 소형변형이 발생될 정도로 수직 상방향으로의 하중이 상부 프레임에 가해지는 경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된 운전실 캡을 지지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는, 선회링기어가 장착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작업장치가 장착되는 한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장착되며,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좌측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의 측판 측면에 일단이 용접고정되고 좌측 사이드프레임 측면에 타단이 용접고정되며,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보강부재와,
운전실 캡에 수직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 또는 측면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바닥판에 설치되고, 바닥판에 보강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건설중장비, 운전실 캡, 상부 프레임, 센터 프레임, 사이드프레임, 볼트, 용접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upper frame structure of supporting cab of construction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의 측면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의 개략도,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을 분리시킨 상태의 개략도,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센터 프레임에 용접고정되는 좌측 사이드프레임의 평면도,
도 2(d)는 도 2(c)의 A-A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의 상부 프레임에 운전실 캡이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 구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 구조의 요부발췌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 운전실 캡
13; 센터 프레임
13a; 바닥판
13b; 측판
14; 우측 사이드프레임
15; 좌측 사이드프레임
15a; 전방 보강부재
15b; 중앙 보강부재
15c; 후방 보강부재
16; 체결부재
16a; 와셔
17; 결합공
18; 너트부재
18a; 나사공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의 전복 등으로 인해 운전실 캡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 상쇄시킬 수 있는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실 캡의 구조물에 소형변형이 발생될 정도로 수직 상방향으로의 하중이 상부 프레임에 가해지는 경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된 운전실 캡을 지지할 수 있도록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에 탑재되고, 스윙모터, 선회기어 등을 포함하는 구동수단(미도시됨) 구동에 의해 좌,우 양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선회체(2)와,
상부 선회체(2)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 캡(3) 및 엔진실(4)과,
운전실 캡(3)의 일측으로 상부선회체(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붐(5), 아암(6) 및 버킷(7)과, 이들을 각각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8,9,10)로 이루어지는 작업장치(11)와,
엔진실(4)의 후방에 장착되며, 작업시 장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은 등과 같은 중량체가 내장되는 카운터웨이트(12)를 포함한다.
도 2(a,b,c,d)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는, 바닥면에 선회링기어(미도시됨)가 장착 되는 바닥판(13a)과, 바닥판(13a)에 수직으로 용접고정되며, 붐(5) 등을 포함하는 작업장치(11)가 설치되는 한쌍의 측판(13b)을 포함하는 센터 프레임(13)과,
센터 프레임(13)의 우측에 장착되고, 장비의 연료탱크, 유압탱크, MCV 등이 설치되는 우측 사이드프레임(14)과,
센터 프레임(13)의 좌측에 장착되고, 운전실 캡(3)이 장착되는 부위의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을 포함한다. 이때 좌측 사이드 프레임(15)은 운전실 캡(3)이 장착되는 전방 보강부재(15a), 중앙 보강부재(15b) 및 후방 보강부재(15c)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좌측 사이드프레임(15)상에는 진동흡수장치(미도시됨)가 장착됨에 따라, 하부 주행체(1)등으로 부터 운전실 캡(3)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a),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 캡(3)이 장착되는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의 보강부재는 센터 프레임(13)의 측판(13b)에만 용접으로 고정된다. 즉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의 중앙 보강부재(15b) 및 후방 보강부재(15c)의 측면이 센터 프레임(13)의 측판(13b)의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도면에 "B","D"로 각각 표기됨).
즉, 센터 프레임(13)의 바닥판(13a) 윗면에 대해 중앙 보강부재(15b) 및 후방 보강부재(15c)의 바닥면은 용접되지않은 상태로 지지된다. 즉 바닥판(13a)에 중앙 보강부재(15b) 및 후방 보강부재(15c)를 직접 용접고정할 경우, 바닥판(13a) 밑면에 장착되는 선회링기어 장착면이 용접으로 인한 휨변형이 발생되는 구조적인 취 약점을 갖는다.
이때, 센터 프레임(13)의 바닥판(13a)은 제조공정상 측판(13b)에 용접된후 이미 기계가공으로 면가공이 완료된 상태이다.
따라서, 장비의 전복 등으로 인해 좌측 사이드프레임(15)에 수직 상방향으로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도 3에 화살표(C)로 표기됨), 측판(13b)에 대한 중앙 보강부재(15b) 및 후방 보강부재(15c)의 용접부위(B,D)에 집중하중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용접부위(B,D)에서의 강도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강도 보강이 절실히 요구된다.
즉, 공사현장에서 굴삭작업중 발생되는 전복사고 등으로 인해 운전실 캡(3)에 소성변형이 발생될 수 있을 정도로 과도한 하중이 수직 상방향으로 상부 프레임에 가해지는 경우, 보강부재(15b,15c)의 용접부위(B,D)의 강도가 충분하지 못해 상부 프레임에서 하중을 분산 또는 상쇄시키지 못한다. 이로 인해 운전실 캡(3)에 하중이 대부분 전달되어 운전실 캡(3)의 소성변형을 초래한다. 또는 운전실 캡(3) 내부에 큰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전복사고 등으로 인해 운전실 캡(3)에 전달되는 큰 하중으로 인해 운전실 캡(3)이 소성변형될 경우, 운전자가 충격으로 인해 상해를 입게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실 캡의 구조물에 소형변형이 발생될 정도로 수 직 상방향으로의 충격이 상부 프레임에 가해지는 경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된 운전실 캡을 지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을 제작할 경우, 용접 및 볼트 체결방식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용접만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구조적인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는, 선회링기어가 장착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작업장치가 장착되는 한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장착되며,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좌측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의 측판 측면에 일단이 용접고정되고 좌측 사이드프레임 측면에 타단이 용접고정되며,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보강부재와,
운전실 캡에 수직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 또는 측면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바닥판에 설치되고, 바닥판에 보강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체결부재는 바닥판의 밑면과 체결부재의 머리부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고정된다.
전술한 체결부재는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부재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바닥판에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부재의 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부재에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의 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부재의 밑면에 너트부재가 용접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보강부재는 좌측 사이드프레임의 중앙 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는 좌측 사이드프레임의 후방 및 중앙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부재는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의 머리부에 와셔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는, 선회링기어가 장착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작업장치가 장착되는 한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센터 프레 임과,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장착되며,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좌측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13)의 측판(13b) 측면에 일단이 용접고정되고 좌측 사이드프레임(15) 측면에 타단이 용접고정되며, 운전실 캡(3)이 장착되는 보강부재(A;15b,15c)와,
운전실 캡(3)에 수직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 또는 운전실 캡(3)에 측면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바닥판(13a)에 설치되고, 바닥판(13a)에 보강부재(15c)를 고정하는 체결부재(16)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 프레임에 수직 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체결부재(16)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켜 측판(13b)과 보강부재(15c)의 용접부위(D)에 발생되는 모멘트로 인한 전단력을 최소화시키도록 바닥판(13a)의 밑면과 체결부재(16)의 머리부(16a)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전술한 체결부재(16)는 바닥판(13a)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부재(16)가 끼워지는 결합공(17)이 바닥판(13a)에 장공 또는 구멍(hol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부재(16)의 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부재(15c)에 나사공(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6)의 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부재(15c)의 밑면에 나사공(18a)이 형성된 너트부재(18)(일예로서, 나사공이 형성된 원통형 보스가 사용됨)가 용접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보강부재(A)는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의 중앙(중앙 보강부재(15b)) 또는 후방(후방 보강부재(15c))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A)는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의 중앙 및 후방(15b,15c)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부재(16)는 바닥판(13a)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일예로서, 하나의 체결부재(16)가 설치됨). 체결부재(16)의 머리부(16a)에 와셔(16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머리부(16a)와 분리되는 와셔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측판(13b)에 용접고정되고(도 4에 "D"로 표기됨),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보강부재(15c)에만 체결부재(16)가 고정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측판(13b)에 용접고정되고(도 4에 "B"로 표기됨),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보강부재(15b)에도 체결부재(미도시됨)가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의 전복 등으로 인해 운전실 캡(3)이 소성변형될 정도로 수직 상방향으로의 큰 하중(P)이 상부 프레임에 가해지는 경우, 또는 토사 붕괴 등으로 인해 측면방향으로 큰 하중이 운전실 캡(3)에 가해질 경우에도, 운전실 캡(3)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 상쇄시켜 운전실 캡(3)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 캡(3)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센터 프레임(13)의 측판(13b) 외측면에 밀착되는 보강부재(A)(일예로서, 후방 보강부재(15c)를 말함)의 측면을 용접고정한다(도면에 "D"로 표기됨).
또한, 센터 프레임(13)의 바닥판(13a) 가장자리에 장공으로 형성된 결합공(17)에 체결부재(16)를 끼운후, 체결부재(16)의 나사부를 보강부재(15c)의 바닥면에 용접고정된 너트부재(18)의 나사공(18a)에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부재(16)는 이의 머리부(16a)와 바닥판(13a)의 바닥면사이에 갭이 확보되도록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15c)를 센터 프레임(13)의 바닥판(13a)에 볼트로서 체결함에 따라, 선회링기어(미도시됨)가 장착되는 바닥판(13a)에 보강부재(15c)를 용접할 경우 발생되는 바닥판(13a)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을 제작공정시 센터 프레임(13)의 바닥판(13a)에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의 보강부재(15c)의 측면만을 용접고정할 경우 용접부위(D)의 강도가 떨어지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실 캡(3)이 장착되는 좌측 사이드프레임(15)에 수직 상방향으로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도 6에 화살표 "C"로 표기됨), 센터 프레임(13)의 측판(13b)에 보강부재(15c)의 측면이 용접고정됨에 따라(D로 표기됨), 좌측 사이드프레임(15)에 장착되는 운전실 캡(3)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프레임(13)의 바닥판(13a)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체결부재(16)에 의해 보강부재(15c)를 바닥판(13a)에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좌측 사이드프레임(15)의 가장자리측에 작용하는 하중(화살표 "C"로 표기됨)으로 인해 측판(13b)과 보강부재(15c)의 용접부위(D)에 발생되는 모멘트로 인한 전단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비의 전복 등으로 인해 운전실 캡(3)의 소성변형을 초래할 수 있을 정도의 큰 하중이 상부 프레임에 수직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체결부재(16)의 머리부(16a)가 바닥판(13a)의 바닥면에 접촉되면서 하중을 상쇄시킨다. 이로 인해 측판(13b)과 보강부재(15c)의 용접부위(D)에 발생되는 모멘트로 인한 전단력을 최소화시켜 용접부위(D)에서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에 큰 하중(P)이 수직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센터 프레임(13)의 측판(13b)과 보강부재(15c)측면의 용접(도면에 "D"로 표기됨)에 의한 고정력과, 보강부재(15c)를 센터 프레임(13)의 바닥판(13a)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6)에 의해 운전실 캡(3)을 상부 프레임에 지지할 수 있다.
운전실 캡(3)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하중을 분산, 상쇄시킴에 따라, 운전실 캡(3)의 소성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 캡(3)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운전실 캡의 구조물에 소형변형이 발생될 정도로 수직 상방향으로의 충격이 상부 프레임에 가해지는 경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된 운전실 캡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여 중장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에 대해 운전실 캡을 장착하는 경우 용접 및 볼트 체결방식을 선별적으로 적용하고, 용접만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극복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선회링기어가 장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작업장치가 장착되는 한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센터 프레임과,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 장착되며,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좌측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의 측판 외측면에 일단이 용접고정되고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 측면에 타단이 용접고정되며, 상기 운전실 캡이 장착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운전실 캡에 수직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 또는 측면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에 보강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바닥판의 밑면과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상기 바닥판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의 밑면에 너트부재가 용접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측 사이드프레임의 후방 및 중앙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에 와셔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KR1020060092343A 2006-09-22 2006-09-22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KR100753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343A KR100753991B1 (ko) 2006-09-22 2006-09-22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US11/820,665 US7445272B2 (en) 2006-09-22 2007-06-20 Upper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cab of construction machinery
EP07012140.5A EP1903152A3 (en) 2006-09-22 2007-06-21 Upper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cab of construction machinery
CN2007101286326A CN101148896B (zh) 2006-09-22 2007-07-09 用于支撑建工机械驾驶室的上部车架结构
JP2007236960A JP4987644B2 (ja) 2006-09-22 2007-09-12 建設機械の運転室を支持する上部フレーム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343A KR100753991B1 (ko) 2006-09-22 2006-09-22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991B1 true KR100753991B1 (ko) 2007-08-31

Family

ID=3861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343A KR100753991B1 (ko) 2006-09-22 2006-09-22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45272B2 (ko)
EP (1) EP1903152A3 (ko)
JP (1) JP4987644B2 (ko)
KR (1) KR100753991B1 (ko)
CN (1) CN1011488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358A (ko) * 2017-02-28 2018-09-0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캐빈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1877A1 (en) * 2006-05-11 2008-01-17 United Equipment Sales, Inc. Drywall spraying assembly
US8235156B2 (en) * 2007-05-26 2012-08-07 Micheal James Koss Retrofitable ROPS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ab raiser interface
JP4740290B2 (ja) * 2008-06-27 2011-08-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GB0815344D0 (en) * 2008-08-22 2008-10-01 Chem Europ Bv Ag Agriculture application machine
JP5077330B2 (ja) * 2009-11-09 2012-11-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アッパーフレーム
DE102010015163A1 (de) * 2010-04-16 2011-10-20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Baumaschine oder Umschlaggerät
RU2013113177A (ru) * 2010-08-26 2014-10-10 Хитачи Констракшн Машинери Ко., Лтд. Стро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DE102011109080A1 (de) * 2011-07-27 2013-01-31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Drehbühnenelement für eine Baumaschine
JP2013087455A (ja) * 2011-10-14 2013-05-13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
DE102012002041A1 (de) * 2011-12-01 2013-06-06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Arbeitsgerät mit einem Ausleger
JP5582167B2 (ja) * 2012-05-18 2014-09-0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4105499A (ja) * 2012-11-28 2014-06-09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アッパーフレーム
JP6012043B2 (ja) * 2013-04-26 2016-10-25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旋回フレームおよび作業機械
JP6174969B2 (ja) * 2013-10-29 2017-08-0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キャブ支持構造
JP6260284B2 (ja) * 2014-01-09 2018-01-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サイドフレーム
JP6297905B2 (ja) * 2014-04-22 2018-03-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262118B2 (ja) * 2014-10-17 2018-01-17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6392167B2 (ja) * 2015-05-14 2018-09-19 株式会社クボタ フロントローダ
JP6654788B2 (ja) * 2016-07-15 2020-02-26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エンジン支持方法およびエンジン支持構造
JP6687979B2 (ja) * 2016-07-15 2020-04-2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エンジン支持構造
JP6588419B2 (ja) * 2016-12-20 2019-10-09 日立建機株式会社 分解型作業機械
JP6712671B2 (ja) * 2019-09-12 2020-06-24 日立建機株式会社 分解型作業機械
CN112496616B (zh) * 2020-11-20 2022-06-21 安徽铭大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汽车防撞梁焊接熔孔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924A (ja) 1997-01-20 1998-08-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JP2001193103A (ja) 2000-01-13 2001-07-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運転室支持装置
KR20040051504A (ko) * 2002-12-11 2004-06-1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캡지지구조
KR20060030593A (ko) * 2004-10-06 2006-04-1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의 하중지지장치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589A (ja) * 1993-11-26 1995-06-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
JP2001040706A (ja) * 1999-08-03 2001-02-13 Komatsu Ltd 建設機械の旋回台
JP2001317084A (ja) * 2000-05-02 2001-11-1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4150486B2 (ja) * 2000-05-18 2008-09-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3634723B2 (ja) * 2000-05-31 2005-03-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2061226A (ja) * 2000-08-14 2002-02-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3082705A (ja) * 2001-09-10 2003-03-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23718A (ja) * 2003-07-01 2005-01-27 Komatsu Ltd 建設機械
KR101053078B1 (ko) * 2003-07-01 2011-08-0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
SE526115C2 (sv) * 2003-08-25 2005-07-05 Volvo Constr Equip Holding Se Anordning vid en hytt hos ett fordon
KR100702179B1 (ko) * 2005-05-06 2007-04-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 보호구조
KR100689292B1 (ko) * 2005-06-01 2007-03-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에 장착되는 운전자 보호구조물
KR100689293B1 (ko) * 2005-07-25 2007-03-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 구조
JP4655815B2 (ja) * 2005-08-12 2011-03-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ビン
JP2007106286A (ja) * 2005-10-14 2007-04-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キャ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924A (ja) 1997-01-20 1998-08-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JP2001193103A (ja) 2000-01-13 2001-07-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運転室支持装置
KR20040051504A (ko) * 2002-12-11 2004-06-1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캡지지구조
KR20060030593A (ko) * 2004-10-06 2006-04-1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의 하중지지장치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358A (ko) * 2017-02-28 2018-09-0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캐빈 조립체
KR102644709B1 (ko) 2017-02-28 2024-03-06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캐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75445A (ja) 2008-04-03
CN101148896A (zh) 2008-03-26
CN101148896B (zh) 2011-11-16
EP1903152A2 (en) 2008-03-26
US7445272B2 (en) 2008-11-04
EP1903152A3 (en) 2014-06-18
US20080073938A1 (en) 2008-03-27
JP4987644B2 (ja)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991B1 (ko)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EP1748113B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an upper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abin
KR100483337B1 (ko) 프레임형 트랙터
KR100702179B1 (ko) 중장비 운전실 보호구조
US20100300778A1 (en) Structure for Attaching Rear Work Machine to Tractor
JP5582167B2 (ja) 建設機械
KR101837220B1 (ko) 건설 기계의 선회 프레임
KR100910169B1 (ko) 굴삭기의 상부프레임
JP4657212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5996122B2 (ja) 作業車両のキャ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9570B2 (ja) 建設機械のフレーム構造
KR20080093582A (ko) 빔형상의 보강부재가 구비된 굴삭기의 상부프레임
JP2008201328A (ja) トラクタの後作業機装着フレーム構造。
JP2007063839A (ja) 建設機械用保護構造物及び建設機械用キャブ
KR100689294B1 (ko) 용접변형 방지구조물이 설치된 건설기계의 보강형 캡 지지상부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JP2010059681A5 (ko)
JP4675925B2 (ja) トラクタの補強枠構造
KR20050046582A (ko) 건설 기계
WO2016108271A1 (ja) 建設機械
JP4711867B2 (ja) 作業車
JP2000233701A (ja) 掘削作業車の運転部保護構造
JP2538210Y2 (ja) 建設機械のスイングフレーム
JP2012012858A (ja) スキッドステアローダの車体構造
JP2002206255A (ja) 建設機械
JP2012219532A (ja) 作業機械の支柱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