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3974B1 - 오디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974B1
KR100753974B1 KR1020060001525A KR20060001525A KR100753974B1 KR 100753974 B1 KR100753974 B1 KR 100753974B1 KR 1020060001525 A KR1020060001525 A KR 1020060001525A KR 20060001525 A KR20060001525 A KR 20060001525A KR 100753974 B1 KR100753974 B1 KR 100753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external device
audio
exter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539A (ko
Inventor
최재순
윤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06000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974B1/ko
Priority to SG200700045-8A priority patent/SG134232A1/en
Priority to TW096100608A priority patent/TWI337710B/zh
Priority to US11/619,802 priority patent/US7743187B2/en
Priority to EP07000205A priority patent/EP1806661B1/en
Priority to EP07025222A priority patent/EP1901175B1/en
Priority to AT07025222T priority patent/ATE493711T1/de
Priority to AT07000205T priority patent/ATE404921T1/de
Priority to DE602007000062T priority patent/DE602007000062D1/de
Priority to CNB2007100023573A priority patent/CN100489822C/zh
Priority to DE602007011547T priority patent/DE602007011547D1/de
Priority to JP2007000431A priority patent/JP4496228B2/ja
Priority to CN2008101814336A priority patent/CN101408869B/zh
Priority to EP07025223A priority patent/EP1901176B1/en
Priority to CN2008101814340A priority patent/CN101408870B/zh
Publication of KR2007007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974B1/ko
Priority to HK07109759.5A priority patent/HK1104630B/xx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장치와 외부장치 간에 신호라인 경로를 설정하며, 오디오 장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외부장치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그 사운드 출력이 오디오 장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USB 접속부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에서 외부 변형이나 별도의 전용 인터페이스를 설치할 필요 없이 다양한 형태의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으며, 통신방식과 인터페이스 모듈의 기구적인 접속규격이 다른 외부장치에 대해 제한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USB 플래시 장치, 어댑터 장치, 오디오 장치, USB 통신, 시리얼 통신

Description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MP3 장치를 리모콘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MP3 장치를 카 오디오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표준 USB를 사용하는 외부장치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는 외부장치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어댑터 장치와 오디오 장치 간의 연결 및 구성을 나타낸 세부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어댑터 장치와 오디오 장치 간의 다른 연결 구성을 나타낸 세부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부장치 101 : 외부장치 접속모듈
200 : 어댑터 장치 201 : 외부접속 콘넥터
202 : USB 콘넥터 300 : 오디오 장치
301 : USB 접속부 302 : 멀티플렉서
303 : 오디오 제어부 304 : USB 컨트롤러
305 : 시리얼 컨트롤러 306 : 메모리
307 : 디코더 308 : 아날로그 출력부
309 : 스피커
본 발명은 오디오 장치와 외부장치 간에 신호라인 경로를 설정하며, 오디오 장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외부장치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그 사운드 출력이 오디오 장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미디어 재생장치가 보편화되면서 차량용 카 오디오나 가정용 오디오 장치의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미디어 재생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곡들을 듣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종래로 미디어 재생장치에 FM 송신기능을 넣어 미디어 재생장치가 재생된 곡을 특정 FM 주파수로 송신하고 오디오 장치는 이를 FM 수신모드에서 주파수 튜닝하여 듣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로 오디오 장치에 Aux-Line을 따로 외부로 뽑아내서 미디어 재생장치의 이어폰 잭을 연결하여 듣는 방식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이처럼 디지탈 미디어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차량용 카 오디오나 가정용 오디오 장치의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USB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콘텐츠를 직접 재생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특허출원인은 '외부 저장장치를 이용한 미디어 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을 2002. 4. 4.자로 출원번호 2003-21307호로 출원하여 2003. 10. 15.자로 등록번호 403,376호로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의 기술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가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직접 판독하여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존의 디지탈 미디어 기술에 적용하는 미디어 저장 또는 미디어 재생장치를 보면 표준 USB를 이용하는 MP3 장치 또는 USB 플래시 장치(UFD)의 제품군과, 인터페이스로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와 IEEE 1394를 이용하는 애플사의 i-POD 제품군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사의 i-POD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핀 콘넥터(11)와 애플 PC에 연결하여 MP3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데 사용하는 IEEE 1394 콘넥터(12)를 구비한 MP3 플레이어(10)를 리모콘에 접속하여 UART 통신방식으로 기기 제어와 곡정보 등의 디스플레이에 활용한다.
또한, 애플사의 i-PO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10)의 32-핀 콘넥터(11)와 카 오디오(20)에 추가로 설치한 32-핀 콘넥터(21)를 접속하여 UART 통신방식으로 카 오디오(20) 측에서 곡 정보를 제공받고, MP3 플레이어(10) 측으로는 기기 조작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공하는 32-핀 콘넥터를 활용한 카 오디오 패키지를 제공하여 왔다. 이러한 카 오디오를 iPOD-ready라고 하며, 참고로 아날로그 오디오는 Aux-Line으로 별도 연결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카 오디오 등에 USB 콘넥터가 장착되는 추세이고, 그에 따라 iPOD-ready를 구현하거나 UART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확장 콘넥터와 USB 콘넥터를 모두 구비해야 함으로써 공간의 부족과 디자인 상의 문제가 유발된다.
이는 최근 애플사의 i-POD 제품이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UART 통신을 하는 재생장치는 확장 콘넥터와 USB 콘넥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카 오디오의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구성하지 않는다면 종래의 방식을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소비자들이 애플사의 i-POD 제품 또는 UART 통신용 제품을 많이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음에도 그 효용도에 있어서는 높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장치가 사용하는 통신이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속모듈의 규격에 제한없이 오디오 장치와 외부장치 간에 신호라인 경로를 설정하며, 오디오 장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외부장치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그 사운드 출력이 오디오 장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디오 시스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으로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접속 콘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으로 USB 콘넥터를 구비하여 양단간에 신호 접속을 제공하는 어댑터 장치; 및 직접 접속하는 외부장치 또는 어댑터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장치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SB 접속부와,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USB 접속부에 대해 USB 신호라인 또는 시리얼 신호라인 중 하나를 경로 설정하는 멀티플렉서와, USB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USB 통신으로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디코딩 처리를 통해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USB 컨트롤러와,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어댑터 장치를 통해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그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시리얼 컨트롤러와, USB 접속부를 통해 외부장치의 연결시 기기식별에 따른 선택제어신호를 멀티플렉서로 제공하며 외부장치가 USB 장치이면 USB 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제공되도록 하고, 외부장치가 USB 장치가 아니면 시리얼 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 로 제공하여 외부장치가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으로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접속 콘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으로 USB 콘넥터를 구비하여 양단간에 신호 접속을 제공하는 어댑터 장치; 및 직접 접속하는 외부장치 또는 어댑터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장치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SB 접속부와, USB 접속부와 USB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USB 통신으로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디코딩 처리를 통해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USB 컨트롤러와, USB 접속부와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어댑터 장치를 통해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그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시리얼 컨트롤러와, USB 접속부를 통해 외부장치의 연결시 USB 또는 시리얼 통신 수행 결과에 따라 외부장치의 기기식별에 따른 USB 또는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를 설정하며 외부장치가 USB 장치이면 USB 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제공되도록 하고, 외부장치가 USB 장치가 아니면 시리얼 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제공하여 외부장치가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오디오 제어부는 USB 접속부로 외부장치 연결시 USB 또는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 수행 결과에 따 라 외부장치가 USB에 따른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시리얼 통신은 UAR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어댑터 장치는 확장형 외부접속 콘넥터와 USB 콘넥터의 신호라인 접속을 통해 UART 신호가 USB 콘넥터를 통해 송수신 되도록 함으로써 확장 콘넥터를 갖는 외부장치와 USB 접속부를 갖는 오디오 장치 간에 신호 접속을 제공토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표준 USB를 사용하는 외부장치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는 외부장치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어댑터 장치와 오디오 장치 간의 연결 및 구성을 나타낸 세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100)를 수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어댑터 장치(200) 및 오디오 장치(300)를 포함한다.
외부장치(100)는 오디오 장치(300)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어댑터 장 치(200) 또는 오디오 장치(300)에 접속하는 외부장치 접속모듈(101)을 구비하며, 각종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제어하여 재생한다.
이러한 외부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USB를 외부장치 접속모듈(101)로 구성하는 UFD(USB Flash Disk) 또는 MP3 플레이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외부장치(100)는 확장 콘넥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핀 콘넥터를 외부장치 접속모듈(101)로 구성하는 UART 통신의 MP3 플레이어가 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MP3 플레이어로는 대표적으로 애플사의 i-POD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 장치(200)는 일단으로 외부장치(100)의 외부장치 접속모듈(101)과 대응하여 접속하는 확장형 외부접속 콘넥터(201)를 구비하고 타단으로 USB 콘넥터(202)를 구비하여 외부장치(100)와 오디오 장치(300) 양단간에 신호 접속을 제공한다.
이러한 어댑터 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형 외부접속 콘넥터(201)와 USB 콘넥터(202)의 신호라인 접속을 통해 UART 신호가 USB 콘넥터(202)를 통해 송수신 되도록 함으로써 32-핀 콘넥터를 갖는 외부장치(100)와 USB 접속부(301)를 갖는 오디오 장치(300) 간에 신호 접속을 제공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하는 어댑터 장치(200)의 일단에 형성한 외부접속 콘넥터(201)는 32-핀을 수용하는 확장 콘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장치(100)가 구비하는 외부장치 접속모듈(101)의 확장 콘넥터 핀 수에 따라 대응하여 변경되고 접속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리고, 오디오 장치(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접속부(301)와, 멀티플렉서(302)와, 오디오 제어부(303)와, USB 컨트롤러(304)와, 시리얼 컨트롤러(305)를 구비하며, 이러한 오디오 장치(300)는 하나의 USB 접속부(301) 만을 설치하고 있으며 호스트 플레이어(Host Player) 기능과 애플사의 i-POD MP3 플레이어의 제어를 모두 포함한다.
USB 접속부(301)는 직접 접속하는 외부장치(100) 또는 어댑터 장치(200)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장치(100)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멀티플렉서(302)는 오디오 제어부(303)로부터 제공되는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USB 접속부(301)에 대해 USB 신호라인 또는 시리얼 신호라인 중 하나를 경로 설정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300)에 표준 USB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USB 플래시 장치(UFD)가 직접 접속되는 경우를 보면, 카 오디오 상에 접속된 USB 플래시 장치의 내부 저장공간으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데이터)을 업-로드하여 오디오 장치(300)에서 디코딩 처리를 수행하고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오디오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는 하기에서 기술되는 오디오 장치(300)가 USB 호스트 기능을 구비함은 물론,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USB 플래시 장치의 플래시 메모리를 액세스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를 리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는 외부장치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며, 예로서 애플사의 i-POD 제품군의 MP3 플레이어가 32-핀의 확장 콘넥터를 통해 접속되고, 시리얼 통신 중에서 UART로 곡 정보와 기기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오디오 제어부(303)는 USB 접속부(301)를 통해 외부장치(100)의 연결시 기기식별에 따른 선택제어신호를 멀티플렉서(302)로 제공하며 외부장치(100)가 USB 장치이면 USB 컨트롤러(304)를 통해 외부장치(10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제공되도록 하고, 외부장치(100)가 USB 장치가 아니면 시리얼 컨트롤러(305)를 통해 외부장치(100)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100)로 제공하여 외부장치(100)가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한다.
또한, 오디오 제어부(303)는 USB 접속부(301)로 외부장치(100)의 연결시 USB 또는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수행 결과에 따라 외부장치(100)가 USB에 따른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선택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멀티플렉서(302)로 제공한다. 이때의, 시리얼 통신은 UART 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서 어댑터 장치와 오디오 장치 간의 다른 연결 구성을 나타낸 세부구성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멀티플렉서(302)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오디오 시스템의 특징은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의 다른 예로서, 오디오 제어부(303)는 USB 접속부(301)를 통해 외부장치(100)의 연결 시 USB 컨트롤러(304) 또는 시리얼 컨트롤러(305)에 셀렉트 신호를 제공하는 통신 수행 결과에 따라 외부장치(100)의 기기식별에 따른 USB 또는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를 설정한다.
여기서, 셀렉트 신호는 상호 배타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USB 컨트롤러(304) 또는 시리얼 컨트롤러(305) 중 하나와 먼저 통신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신호라인의 경로가 설정된다.
이때, 셀렉터 신호를 이용한 통신 수행 결과가 USB 이면 USB 접속부(301)와 USB 컨트롤러(304) 사이에 USB 신호라인의 경로가 설정되고, 통신 수행 결과가 USB가 아니면 USB 접속부(301)와 시리얼 컨트롤러(305) 사이에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가 설정된다.
USB 컨트롤러(304)는 USB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USB 통신으로 외부장치(100)와 접속하여 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디코딩 처리를 통해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한다.
시리얼 컨트롤러(305)는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어댑터 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100)와 접속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그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연결되는 외부장치(100)가 USB 장치인 경우와, USB 장치가 아닌 경우에 대해 각각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USB 접속부(301)에 외부장치(100)가 접속되면 오디오 제어부(303)는 USB 또는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고 그 통신 수행 결과에 따라 외부장치(100)가 USB에 따른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선택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멀티플렉서(302)로 제공한다.
이어서, 멀티플렉서(302)는 제공받은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USB 접속부(301)에 대해 USB 신호라인 또는 시리얼 신호라인 중 하나를 경로 설정한다. 이때, 멀티플렉서(302)가 USB 신호라인의 경로를 설정하면 USB 접속부(301)와 USB 컨트롤러(304)가 연결되고,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를 설정하면 USB 접속부(301)와 시리얼 컨트롤러(305)가 연결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하는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은 도 6에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상술한 오디오 제어부(303)를 통해서도 설정될 수 있으며, 신호라인 경로 설정의 방식만을 달리 구현하는 것이므로 이하의 동작은 생략한다.
오디오 제어부(303)는 외부장치(100)가 USB 장치이면 USB 컨트롤러(304)를 통해 외부장치(100)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오디오 제어부(303)의 제어에 의해 USB 컨트롤러(304)에 제공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은 메모리(306)에 저장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로딩되어 디코더(307)에서 디코딩 처리된 후 아날로그 출력부(308)와 스피커(309)를 거쳐 오디오 사운드가 출력된다.
한편, 오디오 제어부(303)는 외부장치(100)가 USB 장치가 아니면 시리얼 컨트롤러(305)를 통해 외부장치(100)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설정된 시리얼 신호라인을 통해 외부장치(100)로 제공한다.
그러면, 외부장치(100)는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선택된 오디오 파일의 디코딩 처리를 수행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게 되고 그 출력 사운드는 도 6에 도시한 Aux 라인을 통해 아날로그 출력부(308)로 제공되며 스피커(309)를 거쳐 오디오 사운드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디오 시스템은, 카 오디오 상에 설치된 USB 접속부(301) 만으로도 접속되는 외부장치(100)의 통신이나 인터페이스 모듈의 규격에 관계없이 특정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생한 기기제어신호를 외부장치(100)로 제공하고, 외부장치(10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디코딩 처리를 통해 카 오디오의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오디오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카 오디오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오디오 장치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USB 접속부로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특정 통신에 따라 오디오 장치와 외부장치 간에 신호라인의 경로를 설정하고, 오디오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장치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그 사운드 출력이 오디오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시스템에 따르면, USB 통신의 USB 콘넥터를 사용하거나 시리얼 통신의 확장 콘넥터를 사용하는 외부장치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따라 외장을 변경하거나 전용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외부장치를 수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일단으로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접속 콘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으로 USB 콘넥터를 구비하여 양단간에 신호 접속을 제공하는 어댑터 장치; 및
    직접 접속하는 외부장치 또는 상기 어댑터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장치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SB 접속부와,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USB 접속부에 대해 USB 신호라인 또는 시리얼 신호라인 중 하나를 경로 설정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USB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USB 통신으로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디코딩 처리를 통해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USB 컨트롤러와, 상기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상기 어댑터 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그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시리얼 컨트롤러와, 상기 USB 접속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시 기기식별에 따른 상기 선택제어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제공하며 상기 외부장치가 USB 장치이면 상기 USB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USB 장치가 아니면 상기 시리얼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제어부는 상기 USB 접속부로 외부장치 연결시 USB 또는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가 USB에 따른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3. 외부장치를 수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일단으로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접속 콘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으로 USB 콘넥터를 구비하여 양단간에 신호 접속을 제공하는 어댑터 장치; 및
    직접 접속하는 외부장치 또는 상기 어댑터 장치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장치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SB 접속부와, 상기 USB 접속부와 USB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USB 통신으로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디코딩 처리를 통해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USB 컨트롤러와, 상기 USB 접속부와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 설정시 상기 어댑터 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그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시리얼 컨트롤러와, 상기 USB 접속 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시 USB 또는 시리얼 통신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의 기기식별에 따른 USB 또는 시리얼 신호라인의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외부장치가 USB 장치이면 상기 USB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USB 장치가 아니면 상기 시리얼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곡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기기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기기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오디오 제어부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통신은 UAR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장치는 확장형 외부접속 콘넥터와 USB 콘넥터의 신호라인 접속을 통해 UART 신호가 상기 USB 콘넥터를 통해 송수신 되도록 함으로써 확장 콘넥터를 갖는 외부장치와 상기 USB 접속부를 갖는 오디오 장치 간에 신호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KR1020060001525A 2006-01-05 2006-01-05 오디오 시스템 Active KR100753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525A KR100753974B1 (ko) 2006-01-05 2006-01-05 오디오 시스템
TW096100608A TWI337710B (en) 2006-01-05 2007-01-04 Audio system
US11/619,802 US7743187B2 (en) 2006-01-05 2007-01-04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SG200700045-8A SG134232A1 (en) 2006-01-05 2007-01-04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CNB2007100023573A CN100489822C (zh) 2006-01-05 2007-01-05 音频系统
AT07025222T ATE493711T1 (de) 2006-01-05 2007-01-05 Audiosystem und gemeinsames usb/uart- kommunikationssystem dafür
AT07000205T ATE404921T1 (de) 2006-01-05 2007-01-05 Audiosystem und gemeinsames usb/uart- kommunikationssystem dafür
DE602007000062T DE602007000062D1 (de) 2006-01-05 2007-01-05 Audiosystem und gemeinsames USB/UART-Kommunikationssystem dafür
EP07000205A EP1806661B1 (en) 2006-01-05 2007-01-05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DE602007011547T DE602007011547D1 (de) 2006-01-05 2007-01-05 Audiosystem und gemeinsames USB/UART-Kommunikationssystem dafür
JP2007000431A JP4496228B2 (ja) 2006-01-05 2007-01-05 オーディオシステム、そのためのusb/uart共用通信システム
CN2008101814336A CN101408869B (zh) 2006-01-05 2007-01-05 音频系统以及用于音频系统的usb/uart公共通信系统
EP07025223A EP1901176B1 (en) 2006-01-05 2007-01-05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CN2008101814340A CN101408870B (zh) 2006-01-05 2007-01-05 音频系统以及用于音频系统的usb/uart公共通信系统
EP07025222A EP1901175B1 (en) 2006-01-05 2007-01-05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HK07109759.5A HK1104630B (en) 2006-01-05 2007-09-07 Audio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525A KR100753974B1 (ko) 2006-01-05 2006-01-05 오디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39A KR20070073539A (ko) 2007-07-10
KR100753974B1 true KR100753974B1 (ko) 2007-08-31

Family

ID=3850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525A Active KR100753974B1 (ko) 2006-01-05 2006-01-05 오디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3974B1 (ko)
CN (3) CN1014088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52433B (zh) * 2007-11-30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复用接口的识别装置和方法
CN103678226A (zh) * 2012-09-24 2014-03-26 炬力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种芯片的通用输入输出gpio端口复用电路及方法
CN104731734B (zh) * 2015-03-17 2018-08-03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信号的输出方法和装置
US10241953B2 (en) * 2015-08-07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data-link selection over common physical interface
CN107436853B (zh) * 2016-05-28 2020-06-19 深圳市京泉华科技股份有限公司 USB Type-C/PD连接器的控制方法
CN110888046A (zh) * 2019-11-25 2020-03-1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系统级芯片及其测试方法、存储介质、终端
CN111339013A (zh) * 2020-02-28 2020-06-26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usb与uart线路切换方法和装置
CN113747279A (zh) * 2020-09-01 2021-12-03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扩展底座、音箱和系统
CN112509608B (zh) * 2020-11-25 2022-03-08 广州朗国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usb设备随通道录音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552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현원 다이렉트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3895Y1 (ko) 2005-09-16 2005-12-14 시스템베이스 주식회사 유에스비-시리얼 통신 변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1542C (zh) * 2003-03-31 2006-04-12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模块与终端之间的接口装置
CN2657322Y (zh) * 2003-12-10 2004-11-17 上海维华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手持式移动通信终端设备的通讯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552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현원 다이렉트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3895Y1 (ko) 2005-09-16 2005-12-14 시스템베이스 주식회사 유에스비-시리얼 통신 변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39A (ko) 2007-07-10
CN101004730A (zh) 2007-07-25
CN101408869A (zh) 2009-04-15
CN101408870B (zh) 2011-07-27
CN101408869B (zh) 2010-08-11
CN101408870A (zh) 2009-04-15
CN100489822C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1175B1 (en)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KR20080070202A (ko) Usb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0489822C (zh) 音频系统
GB2452597A (en) Synchronizing Digital Audio and Analog Video from aPortable Media Device
JP2009104459A (ja) 音声信号出力装置、プログラムの更新方法
KR200302150Y1 (ko)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US20080167738A1 (en) Media connect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351585B1 (ko) A/v 시스템과 휴대형 기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및 방법
EP1942409B1 (en) Media connect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662036B1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기타의 음향 입출력시스템및 음향 입출력 방법
CN100545937C (zh) 媒体连接装置和使用该媒体连接装置的系统
JP2008003826A (ja) 車載用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グラム更新システム
KR100719320B1 (ko) 미디어 연결장치 및 시스템
KR100283801B1 (ko) 통신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가요반주 시스템
JP5418567B2 (ja) 受信装置
KR101046584B1 (ko) 오디오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87268B1 (ko) 외부 엠피쓰리데이터 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JP2008172331A (ja) メディア接続装置及びシステム
KR10048652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엠피 쓰리 덩글
CN106293594A (zh) 一种用于usb声卡的音频数据传输方法
HK1104630B (en) Audio system
JP4581203B2 (ja) オーディオインターフェース変換装置
HK1119287B (en) Media connect device,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20037580A (ko)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시스템
KR20090082997A (ko) Most 프로토콜 기반의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기능을가지는 dvd 체인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