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2417B1 -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417B1
KR100752417B1 KR1020060014174A KR20060014174A KR100752417B1 KR 100752417 B1 KR100752417 B1 KR 100752417B1 KR 1020060014174 A KR1020060014174 A KR 1020060014174A KR 20060014174 A KR20060014174 A KR 20060014174A KR 100752417 B1 KR100752417 B1 KR 10075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gin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id
stone
con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903A (ko
Inventor
이문석
한정민
송세현
손세일
김태성
김주일
백승호
원경재
Original Assignee
대원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4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4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81,3-Diazoles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biotin, sorbin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건조감량이 낮은 부형제 및 pH를 낮추는 산성화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조성물 내 마진돌 함량저하를 감소시키고, 높은 온도 및 높은 습도의 극한 조건에서도 조성물 내 마진돌 함량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안정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마진돌 함량저하를 감소시키고 기존의 시판제제보다 안정성이 우수하여 산업상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mazindol having enhanced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내 수분 함량에 따른 마진돌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마진돌의 수용액 pH에 따른 마진돌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마진돌의 HPLC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2.56일 때의 마진돌의 HPLC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6.33일 때의 마진돌의 HPLC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H 9.1일 때의 마진돌의 HPLC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진돌[mazindol; 5-(4-클로로페닐)-2,3-디하이드로-5-하이드록시-5H-이미다조[2,1-a]이소인돌 또는 5-(4-클로로페닐)-2,5-디하이드로-3H-이미다조[2,1-a]이소인돌-5-올]은 1973년 미국 FDA에 승인된 이미다조-이소인돌계의 백색 결정성 분말이다. 마진돌은 비교적 긴 반감기(33 ~ 55 시간)를 갖으며, 교감신경 흥분작용성(sympathomimetic) 아민(카테콜아민계)으로 암페타민(amphetamine)과 유사하고, 작용 역시 암페타민과 유사한 식욕감퇴성(anorectic 또는 anorexigenic) 약물로서 현재 비만 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마진돌은 심장박동수 및 혈압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심장이 나쁜 사람의 경우에는 부정맥, 협심증의 악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신경 및 뇌와 같은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를 자극하는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항콜린(choline) 작용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되는 구갈, 변비, 위의 불쾌감 및 수면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마진돌을 비롯한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되거나 심장박동수 및 혈압을 증가시키거나 중독성 또는 내성이 생기는 약물의 경우 투여형태가 중요하게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약물들이 효과적으로 작용되도록 하는 약물 전달 시스템은 제형화 및 제조가 어렵기 때문에 현재 상업화된 투여형태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제형화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 6,555,136호는 분리막 등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제 1 투여 단위(dosage unit) 및 제 2 투여 단위로 구성되어 시간차를 두고 약물이 투여될 수 있는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와 같은 박동성 약물의 약제학적 투여형태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6,309,669호는 수성 생리학적 환경에서 1 ~ 100일의 광범위한 기간에 걸쳐 약물이 서서히 방출될 수 있는 생체적합적이고 생분해적인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폴리펩타이드의 핵(core) 또는 기타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poly(lactide/glycolide)] 공중합체의 매질(matrix)에 캡슐화된 생리활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미국특허 제 5,486,362호는 폴리(락타이드/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에스테르, 폴리오소에스테르, 폴리락톤, 폴리언하이드라이드 및 폴리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한 PCMS(physical constrain modulation system)에 의한 서방성 제제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이는 약물 중독 치료 또는 금연 등을 목적으로 하는 약물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6,818,226호는 1)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생리활성물질 또는 그의 프로드럭; 2)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피부 침투 증진제; 및 3)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액체로 이루어진 경피투여용 제제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발명의 특징은 휘발성 액체가 피부에서 증발되면서 생리활성물질 또는 그의 프로드럭이 피부 침투 증진제와 형성한 복합체가 피부 내로 침투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래의 제형 기술 및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약품의 제형 기술에 있어서, 사용되는 부형제는 건조감량이 약 10 ~ 25%로 빛 및 수분에 불안정한 마진돌의 경우 제형화 과정에서 역가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건조감량이 낮은 부형제 및 산성화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제제 내 마진돌의 함량저하를 감소시키고, 안정성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마진돌, 부형제 및 산성화제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10786989-pat00001
상기 마진돌은 통상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 4.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형제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내 수분 함량을 낮추어 상기 제제 내 마진돌의 함량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건조감량이 1% 이하인 또는 건조감량을 1% 이하로 조절한 부형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당, 만니톨, 건조감량을 1% 이하로 조절한 옥수수전분, 무수 인산수소칼슘, 탄산칼슘, 락티톨, 탄산마그네슘, 말티톨, 말토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백당, 자일리톨, 덱스트레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약제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60 ~ 99.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내 수분이 증가하게 되어 마진돌의 함량이 감소하고 이의 분해산물인 유연물질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산성화제는 본 발명에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내 pH를 낮춰 상기 제제 내 마진돌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무기산 또는 무기산 유도체; 유기산 또는 유기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산은 바람직하게 인산,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바람직하게 구연산, 초산, 알긴산, 아스코르빈산, 벤조산, 말산, 에데트산(edetic acid), 푸마르산, 젖산, 프로피온산, 소르빈산, 스테아린산, 주석산, 아스파르트산, 사카린, 호박산 또는 글루탐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성화제는 약제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 60 중량부 포함시켜 바람직하게 pH가 4.0 이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pH가 높아져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내 마진돌의 함량이 감소하고 이의 분해산물인 유연물질의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온도 5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21일 동안 방치한 후 마진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건조감량이 낮은 부형제 및 산성화제를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의 함량변화는 1.0 ~ 3.9%로 산성화제를 포함하지 않거나(9.6 ~ 12.4%) 건조감량이 낮은 부형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16.9 ~ 21.3%)보다 함량변화가 적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안정성이 높다.
또한, 온도 4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6개월 동안 방치한 후 마진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건조감량이 낮은 부형제 및 산성화제를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는 함량변화가 4.1 ~ 4.5%로 시판제제(12.1 ~ 15.4%)보다 함량변화가 적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안정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건조감량이 1% 이하인 부형제 및 pH를 낮추는 산성화제를 함꼐 사용함으로써 마진돌의 안정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온도 40 ~ 50℃, 상대습도 75%의 극한 조건에서도 안정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용 고체 형태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이다. 상기 구성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약제학적 방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 또는 첨가제로는 결합제, 활택제, 계면활성제, 착색제, 교미교취제(taste masking agent/smell masking agent) 등을 들 수 있으며, 결합제로서는 엿, 아라비아고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활택제로서는 카르나우바 납, 경질무수규산,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또는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마진돌의 일일 투여량은 0.5 ~ 6.0 ㎎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3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1
부형제로서 유당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로서 구연산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마진돌 1 g과 유당 164 g을 혼합한 후에 25% 구연산 용액 20 ㎖을 가하고 연합, 제립하였다. 이를 건조, 정립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172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2
부형제로서 만니톨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로서 호박산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마진돌 2 g, 만니톨 130 g, 30호 체를 통과한 호박산 7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204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3
부형제로서 건조감량을 1% 이하로 조절한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였고, 산성화제로 구연산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건조감량을 1% 이하로 조절한 옥수수전분 150 g, 마진돌 2 g, 구연산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80℃에서 건조하여 건조감량을 1% 이하로 낮추고 204 ㎎이 되도록 타정한 후 알루미늄 은박포장하여 보관 중에서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한 인습을 억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3 외에 부형제로서 무수인산수소칼슘, 탄산칼슘, 락티톨, 탄산마그네슘, 말티톨, 말토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백당, 자일리톨, 덱스트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로서 인산, 인사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과 같은 무기산, 초산, 알긴산, 아스코르빈산, 벤조산, 말산, 에데트산, 푸마르산, 젖산, 프로피온산, 소르빈산, 스테아린산, 주석산, 아스파르트산, 사카린, 글루탐산과 같은 유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 3 중 어느 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마진돌 함유 정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본 발명의 마진돌 함유 캡슐제의 제조 1
부형제로서 무수인산수소칼슘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로서 주석산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마진돌 0.5 g과 무수인산수소칼슘 164.5 g을 혼합한 후에 5% 주석산 용액 20 ㎖을 가하고 연합, 제립하였다. 이를 건조, 정립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g을 혼합한 후 166 ㎎이 되도록 경질 캡슐에 충전하였다.
상기 실시예 4 외에 부형제로서 유당, 만니톨, 건조감량을 1% 이하로 조절한 옥수수전분, 탄산칼슘, 락티톨, 탄산마그네슘, 말티톨, 말토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백당, 자일리톨, 덱스트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로서 인산,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 같은 무기산, 구연산, 초산, 알긴산, 아스코르빈산, 벤조산, 말산, 에데트산, 푸마르산, 젖산, 프로피온산, 소르빈산, 스테아린산, 아스파르트산, 사카린, 호박산 또는 글루탐산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의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마진돌 함유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본 발명의 마진돌 함유 과립제의 제조 1
부형제로서 탄산칼슘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로서 에데트산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마진돌 1 g과 탄산칼슘 164 g을 0.2% 에데트산 용액 20 ㎖로 연합하였다. 이를 제립, 건조한 후 18호 제로 정립하여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5 외에 부형제로서 유당, 만니톨, 건조감량을 1% 이하로 조절한 옥수수전분, 무수인산수소칼슘, 락티톨, 탄산마그네슘, 말티톨, 말토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백당, 자일리톨, 덱스트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로서 인산,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과 같은 무기산, 구연산, 초산, 알긴산, 아스코르빈산, 벤조산, 말산, 푸마르산, 젖산, 프로피온산, 소르빈산, 스테아린산, 주석산, 아스파르트산, 사카린, 호박산, 글루탐산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5의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마진돌 함유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산성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1
부형제로서 유당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마진돌 1 g과 일반 유당(약 4%) 164 g을 혼합한 후에 정제수를 가하고 연합, 제립하였다. 이를 건조, 정립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167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산성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2
부형제로서 만니톨을 사용하고, 산성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마진돌 2 g과 만니톨 200 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204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은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1
산성화제로서 구연산을 사용하고,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마진돌 1 g과 건조감량을 조절하지 않은 옥수수전분 164 g을 혼합한 후에 25% 구연산 용액 20 ㎖을 가하고 연합, 제립하였다. 이를 건조한 후 건조감량 측정 결과 4.6%였다. 이를 정립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172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은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2
산성화제로서 구연산을 사용하고,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하기와 같이 마진돌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마진돌 0.5 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172.5 g, 구연산 25 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200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일반적인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1
마진돌 2 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120 g 및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0 g을 혼합한 후에 정제수를 가하고 연합, 제립하였다. 이를 건조, 정립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182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6> 일반적인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2
마진돌 3 g과 인산수소칼슘2수화물 151 g,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칼슘 26 g을 혼합한 후에 정제수를 가하고 연합, 제립하였다. 이를 건조, 정립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을 혼합한 후 182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7> 시판중인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1
마진돌 1 g과 유당 105 g, 황산칼슘 36 g, 붕해제로서의 옥수수전분 22 g을 혼합하였다. 한편 포비돈 5 g을 에탄올 20 ㎖에 녹인 후 상기 혼합물에 투입하고 연합하였다. 이를 건조, 정립하고 탈크 4 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g과 혼합한 후 174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8> 시판중인 마진돌 함유 정제의 제조 2
마진돌 1 g과 유당 85 g, 붕해제로서의 옥수수전분 50 g, 황산칼슘 20 g을 혼합하였다. 한편 옥수수전분 2 g을 정제수 20 ㎖에 넣어 호화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투입하고 연합하였다. 이를 제립, 건조, 정립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g과 혼합한 후 160 ㎎이 되도록 타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수분 함량에 따른 마진돌의 함량 변화 측정
마진돌을 포함하는 조성물 내 수분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수분 함량 변화에 따른 마진돌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마진돌에 무수메탄올을 가하여 마진돌 함량이 400 ㎍/㎖로 하고, 여기에 마진돌 무수메탄올 용액의 용량에 대하여 0, 5, 10, 15, 20, 30, 40 또는 50%의 정제수를 가하였다. 이를 40℃에서 6시간 방치한 후 마진돌의 함량 및 발생되는 마진돌의 분해산물인 유연물질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함량변화를 계산하였다.
컬럼: Waters spherisorb® 5 ㎛, CN-RP, 4.6×450 ㎜
이동상 : 0.01 M 제2인산암모늄(dibasic ammoniumphosphate):MeOH = 2:8
유속 : 1.5 ㎖/min
검출기 : UV 254 nm
주입량 : 20 ㎕
결과는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정제수(%) 마진돌 함량(%) 유연물질(%)
0 100.0 0
5 91.5 7.9
10 64.5 33.4
15 41.9 37.5
20 26.1 71.7
30 13.5 85.9
40 5.4 92.0
50 0.6 98.4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탄올에서는 안정하지만 수분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마진돌의 함량이 낮아지고 유연물질의 함량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진돌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안정성은 조성물 내 수분 함량에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pH에 따른 마진돌의 함량 변화 측정
마진돌을 포함하는 조성물 내 pH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pH 변화에 따른 마진돌 함량의 변화를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마진돌에 무수메탄올을 가하여 마진돌 함량이 400 ㎍/㎖로 제조한 용액과 pH를 1.90, 2.56, 3.28, 4.50, 5.64, 6.33, 7.12, 8.43 또는 9.10으로 달리한 인산염 완충액을 1:1로 혼합하였다. 이를 40℃에서 2시간 방치한 후 마진돌의 함량 및 발생되는 마진돌의 분해산물인 유연물질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함량변화를 계산하였다.
컬럼: Waters spherisorb® 5 ㎛, CN-RP, 4.6×450 ㎜
이동상: 0.01M 제2인산암모늄:MeOH = 2:8
유속: 1.5 ㎖/min
검출기: UV 254 nm
주입량: 20 ㎕
결과는 표 2 및 도 2 ~ 도 6에 나타내었다.
완충용액의 pH 마진돌 함량(%) 유연물질(%)
1.90 96.2 2.4
2.56 93.4 5.0
3.28 91.7 6.7
4.50 75.1 21.8
5.64 49.0 46.3
6.33 23.6 71.9
7.12 8.3 89.3
8.43 4.9 94.4
9.10 4.1 94.6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제수의 비율이 50%인 조건 하에서 pH가 낮아질수록 마진돌의 함량이 증가하고 유연물질의 함량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진돌을 포함하는 조성물 내 pH가 낮아질수록 마진돌의 안정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 ~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성물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마진돌의 함량은 감소하고, 마진돌 외에 기타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을 HLPC 측정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시간에 따른 본 발명의 조성물 내 마진돌 함량의 변화 측정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5, 비교예 1 ~ 6에서 제조한 제제를 온도 5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21일간 방치한 후, 조성물 내 마진돌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초기 함량(%) 21일 경과 후 함량(%) 함량 변화(%)
실시예 1 98.5 95.7 2.8
실시예 2 99.3 97.1 2.2
실시예 3 99.0 98.0 1.0
실시예 4 100.3 98.7 1.6
실시예 5 101.4 97.5 3.9
비교예 1 98.4 86.0 12.4
비교예 2 99.9 89.6 10.3
비교예 3 101.2 91.6 9.6
비교예 4 101.1 90.7 10.4
비교예 5 97.9 81.0 16.9
비교예 6 100.5 79.2 21.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진돌, 산성화제 및 건조감량이 낮은 부형제로 이루어진 실시예 1 ~ 5의 함량 변화는 3.9% 감소 이하였으나, 산성화제가 사용되지 않고 마진돌과 건조감량이 낮은 부형제로만 이루어진 비교예 1 및 2는 12.4% 이하, 부형제가 사용되지 않고 마진돌과 산성화제로만 이루어진 비교예 3 및 4는 10.4%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인 처방인 비교예 5 및 6은 21% 이하로 함량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시간에 따른 본 발명의 제제 내 마진돌 함량의 변화 측정 2
본 발명의 제제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3과 조건을 달리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2, 비교예 7 ~ 8에서 제조한 제제를 온도 4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6개월간 방치한 후, 조성물 내 마진돌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초기 함량(%) 6개월 경과 후 함량(%) 함량 변화(%)
실시예 1 98.5 94.0 4.5
실시예 2 99.3 95.2 4.1
비교예 7 97.8 85.7 12.1
비교예 8 95.7 81.3 14.4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진돌, 산성화제 및 건조감량이 낮은 부형제로 이루어진 실시예 1 및 2의 함량 변화가 각각 4.5% 및 4.1%였으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제인 비교예 7 및 8의 함량 변화는 각각 12.1% 및 15.4%로 상당한 함량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제보다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건조감량 이 낮은 부형제 및 pH를 낮추는 산성화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조성물 내 마진돌 함량저하를 감소시키고, 높은 온도 및 높은 습도의 극한 조건에서도 조성물 내 마진돌 함량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안정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마진돌 함량저하를 감소시키고 기존의 시판제제보다 안정성이 우수하여 산업상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마진돌 0.1 중량부, 건조감량이 1% 이하인 부형제로 옥수수 전분 73.5 중량부 및 산성화제로 구연산 24.5 중량부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28994700-pat0000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pH가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제제가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제제가 캡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제제가 과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60014174A 2006-02-14 2006-02-14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174A KR100752417B1 (ko) 2006-02-14 2006-02-14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174A KR100752417B1 (ko) 2006-02-14 2006-02-14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03A KR20070081903A (ko) 2007-08-20
KR100752417B1 true KR100752417B1 (ko) 2007-08-28

Family

ID=3861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1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2417B1 (ko) 2006-02-14 2006-02-14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868A (ko) 2015-03-13 2016-09-22 대원제약주식회사 마진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안정성이 개선된 약제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1483A1 (en) 2010-03-31 2013-01-10 Supernus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s of mazindol
CA3016852C (en) 2016-03-09 2021-03-23 Nls-1 Pharma Ag A mazindol ir/sr multilayer tablet and its use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0057A (en) * 1996-02-19 1998-07-14 Jagotec Ag Pharmaceutical tablet characterized by a showing high volume increase when coming into contact with biological fluids
US6383471B1 (en) * 1999-04-06 2002-05-07 Lipocin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delivery of ionizable hydrophobic therapeutic agents
KR20030056474A (ko) * 2001-12-28 2003-07-04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카르비도파/레보도파 서방정의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0057A (en) * 1996-02-19 1998-07-14 Jagotec Ag Pharmaceutical tablet characterized by a showing high volume increase when coming into contact with biological fluids
US6383471B1 (en) * 1999-04-06 2002-05-07 Lipocin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delivery of ionizable hydrophobic therapeutic agents
KR20030056474A (ko) * 2001-12-28 2003-07-04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카르비도파/레보도파 서방정의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868A (ko) 2015-03-13 2016-09-22 대원제약주식회사 마진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안정성이 개선된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03A (ko) 2007-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3831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ES2393640T3 (es) Comprimidos bucodisgregables
EP2842549B1 (en)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053865B2 (ja) 口腔内崩壊性固形製剤の製造法
JP5777170B2 (ja) 速溶性固体剤形
EP3549585B1 (en)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of edoxaban tosylate hydrate
JP2007507548A (ja) 速崩壊型製剤
JP2008285434A (ja) 口腔内速崩壊錠
KR20150002453A (ko) 타다라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저작정 제제
KR100752417B1 (ko) 안정성이 증진된, 마진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604034B1 (ko) 암로디핀 유리염기를 함유한 구강 속붕해정 및 그의 조성물
US20090269393A1 (en) Chewable Bilayer Tablet Formulation
KR101046789B1 (ko) 안정성이 개선된 암로디핀 속붕해성 정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332063A (ja) ポビドンヨードを含有する口腔内崩壊型固形製剤
AU2012241189A1 (en) Fast Dissolving Solid Dosage Form
KR20220054211A (ko)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정 및 이의 제조방법
EP2571484A2 (en) Effervescent formulations
KR101244627B1 (ko) 올란자핀을 함유하는 확산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정제
EP2571485B1 (en) Effervescent antihistamine formulations
WO2003075919A1 (fr) Comprime contenant du chlorhydrate de pilsicainide (voie seche)
JP3935539B2 (ja) フマル酸ケトチフェン含有医薬組成物
WO2022153334A1 (en) Transmucosal dosage forms of foscarnet
KR20140122017A (ko) 엔테카비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속붕해성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HU204997B (en) Process for producing carrier system suitable for ensuring controlled biological access to dihydropyridines, as well as new oral dosage form ensuring improved biological access
EP2609911A1 (en) 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orally disintegrating flurbiprofen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8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52417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828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08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82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