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51189B1 - 콘텐츠 배송 시스템 및 콘텐츠 배송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배송 시스템 및 콘텐츠 배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189B1
KR100751189B1 KR1020067021078A KR20067021078A KR100751189B1 KR 100751189 B1 KR100751189 B1 KR 100751189B1 KR 1020067021078 A KR1020067021078 A KR 1020067021078A KR 20067021078 A KR20067021078 A KR 20067021078A KR 100751189 B1 KR100751189 B1 KR 10075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e
delivery
portable terminal
cont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974A (ko
Inventor
준코 쓰나사와
케이 오카모토
쿠니히코 고토다
카즈미 엔도
오사무 카토
아키히로 오야마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3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1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6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comprising mechanisms for improved reliability, e.g. status reports
    • H04L12/1877Measures taken prior to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구간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 신뢰성을 향상하여, 보다 확실한 콘텐츠 데이터의 배송을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배송 시스템을 제시한다. 배송 관리 장치(102)는,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예를 들면 MBMS 통신 모드)을 행할 때에,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을 각 휴대단말 장치(104)에 동보 통지한다. 휴대단말 장치(104)는,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중인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시켜 MBMS 통신 모드를 기동한다. 이에 의해, 휴대단말 장치(104)에서는, 충분한 리소스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 모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동보 통지된 콘텐츠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배송 시스템 및 콘텐츠 배송 방법{CONTENT DISTRIBUTING SYSTEM AND CONTENT DISTRIBUTING METHOD}
본 발명은, 서버에 격납된 정보(콘텐츠)를 무선에 의해 휴대단말에 배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강습회나 교실 등에서 청강자나 학생 등의 휴대단말에, 예를 들면 휴대단말 소유자의 요구에 의해, 희망하는 콘텐츠를 배송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로부터 일제히 액세스(access)되기 때문에, 폭주(congestion)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무선 구간상의 트래픽의 과부하로 인해 정보의 취득에 지연이 생기거나 취득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배송 정보를 멀티캐스트(multicast)(특정 다수 동보) 통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2, 3 참조). 이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교사의 지시에 의해, 일제히 콘텐츠가 배송되므로, 무선 구간에서의 트래픽을 경감할 수 있다.
제3세대로 불리는 휴대전화 규격에서는, 이 멀티캐스트 통신을 도입한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구간에서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행하여, 무선 구간에서의 트 래픽 부하를 경감하도록 되어 있다. 이 MBMS를 사용하면, 수업 중에 희망하는 콘텐츠를 학생이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에 일제히 배송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특허공개 2002-305548호 공보
[특허 문헌 2]특허공개 2002-94560호 공보
[특허 문헌 3]특허공개 2001-306435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상술한 멀티캐스트 통신이나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통신과 같이 1대 N형의 통신 방식의 경우, 핸드쉐이크(handshake)를 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때문에, 특히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낮아진다. 즉, 송신측에서 콘텐츠를 배송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콘텐츠가 휴대단말에 도착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구간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 신뢰성을 향상시켜, 보다 확실한 콘텐츠 데이터의 배송을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배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예를 들면 MBMS 통신 모드)을 행하기 전에, 휴대단말 장치에 있어서 동작중인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휴대단말에서는, 충분한 리소스(resource)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모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배송되는 콘텐츠의 수신 처리를 확실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동보(同報) 통지된 콘텐츠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 모드를 행함에 있어서, 미리 배송측으로부터 해당 통신 모드를 기동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각 휴대단말 장치에 동보 통지한다. 이로 말미암아, 각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지 처리 및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 모드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멀티캐스트 송신된 콘텐츠를 더 한층 확실하고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다운로드 할 때에, 무선 구간에서의 수신 신뢰성이 향상하여, 보다 확실한 콘텐츠 데이터의 배송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형태의 배송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실시형태 1의 휴대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실시형태 1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흐름도
도 5는 실시형태 2의 휴대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실시형태 2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흐름도
도 7은 실시형태 3의 휴대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실시형태 3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종료 처리의 설명에 제공하는 흐름도
도 9는 MBMS 통신 개시 요구와 동시에 MBMS 모드를 기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단계적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종료 처리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 4의 휴대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실시형태 4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흐름도
도 13은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실시형태 1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콘텐츠 배송 시스템은, 인터넷(101)에 콘텐츠 서버(100), 배송 관리 장치(102) 및 휴대전화망(103)이 접속되어 있다. 또 복수의 휴대단말 장치(104)가 휴대전화망(103)을 경유하여 인터넷(101)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 장치(104)란, 휴대전화나 퍼스널 컴퓨터, PDA 등을 가리키며, 즉, 무선 통신 기능을 가져, 휴대전화망(103)과 무선으로 접속 가능한 것이다. 배송 관리 장치(102)는, 예를 들면 교사의 탁상에 설치되어, 인터넷(101) 및 휴대전화망(103)을 경유해 휴대단말 장치(104)와 통신을 행하여, 예를 들면 학생의 휴 대단말 장치(104)로의 콘텐츠 배송을 지시하거나, 학생의 휴대단말 장치로부터의 응답 정보의 수집 등을 제어한다.
도 2에, 배송 관리 장치(102)의 구성을 나타낸다. 배송 관리 장치(102)는, 인터넷(101)과의 통신을 행하는 전송부(201)와, 조작부(202)와, 표시부(203)를 가지며, 전송부(201)를 경유하여 인터넷(101)으로부터 수중에 넣은 정보를 표시부(203)에 표시한다. 또 사용자의 조작부(202)의 조작에 맞추어 제어부(204)에서 형성된 제어 신호가,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 생성부(205), 배송 데이터 생성부(206) 및 배송 데이터 관리부(207)에 송출된다.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 생성부(205)는, 제어부(20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MBMS 통신 모드를 기동할 것을 지시하는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전송부(201)에 송출한다. 배송 데이터 생성부(206)는, 인터넷(101)과 접속되어 있는 콘텐츠 서버(100)를 제어하여 배송하는 데이터의 편집이나 배송 지시를 행한다. 배송 데이터 관리부(207)는, 배송하는 교재 리스트나 콘텐츠 서버(100)를 관리한다.
이와 같이 배송 관리 장치(102)는,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의 배송 지시가 있으면, 바로 콘텐츠의 배송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휴대단말 장치(104) 앞으로, MBMS 통신 모드를 기동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보낸 후에, 콘텐츠의 배송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휴대단말 장치(104)에서는,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MBMS 통신 모드를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준비를 행한 후에, MBMS 통신 모드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도 3에, 휴대단말 장치(104)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단말 장치(104)는, 휴대 전화망(103)을 통해서 인터넷(101)과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부(301)와, 무선 송수신부(301)를 이용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해독하는 수신 데이터 해독부(305)와, 수신한 콘텐츠 등의 데이터를 보존하는 기억부(302)와, 수신한 콘텐츠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03)와,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4)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7)를 가진다.
이에 추가하여, 휴대단말 장치(104)는, MBMS 모드 기동부(306)를 가진다. MBMS 모드 기동부(306)는, 휴대단말 장치(104)가 배송 관리 장치(102)로부터의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데이터 해독부(305)에 의해 이것을 가리키는 데이터가 얻어지면, 장치 전체를 MBMS 통신 모드로 전환한다. 실제로는, 제어부(304)나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7)에, MBMS 통신 모드를 실행할 것을 지시한다.
이에 의해, 콘텐츠가 배송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7)나 제어부(304)를, MBMS 통신 모드를 여유를 가지고 실행하는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배송된 콘텐츠를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해, 본 실시형태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강습회나 교실 등에서 강사가 청강자나 학생의 휴대전화에 자료, 문제, 연락 사항 등의 데이터를 배송하고 싶을 때나 미리 강의를 시작하기 전 등에, 강사용 배송 관리 장치(102)의 조작부(202)를 이용하여 조작을 행하면,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 생성부(205)에 의해, 휴대단말 장치(104) 앞으로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가 전송부(201)를 경유하여 인터넷(101)에 송출된다(S105).
이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는, 인터넷(101) 및 휴대 전화망(103)을 경유하여, 학생이 소유하고 있는 각각의 휴대단말 장치(104)에 동보 송신된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는, 휴대단말 장치에서 수신할 수 없는 상황이 있는 것을 고려하여, 1회 송신이 아니라, 연속 송신 및 재송(再送)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휴대단말 장치(104)는 무선 송수신부(301)를 이용하여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수신하여(S101), 수신 데이터 해독부(305)를 이용하여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해독한다. 휴대단말 장치(104)는, MBMS 통신 모드 기동의 지시를 인식하면 MBMS 모드 기동부(306)를 이용하여 스스로를 MBMS 통신 모드로 설정한다(S102).
배송 관리 장치(102)는, 배송 데이터 관리부(207) 및 배송 데이터 생성부(206)를 이용하여, 휴대단말 장치(104)에 대해서 MBMS 통신 모드로 정보 배송을 행하고(S106), 휴대단말 장치(104)는, 무선 송수신부(301)를 이용하여 배송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 데이터 해독부(305)를 이용하여 콘텐츠 등의 배송 정보를 해독하는 수신 처리(S103)를 행한 후, 제어부(304)를 이용하여 표시부(303)에 배송 정보를 표시하고 기억부(302)에 데이터를 보존한다(S104).
이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송측에서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을 각 휴대단말 장치(104)에 동보 통지하고, 휴대단말 장치(104) 는 이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MBMS 통신 모드를 기동하기 위한 준비 및 기동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 장치(104)측에서 아무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배송 관리 장치(102)로부터의 지시로 통신 모드를 자동적으로 바꿀 수 있으므로, 학생 등이 각각의 휴대단말 장치(104)를 조작하여 통신 모드를 설정하지 않아도 강사로부터 강제적으로 통신 모드를 바꾸어 콘텐츠 등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또 휴대단말 장치(104)가 MBMS 통신 모드로 들어갈 때, 준비 기간을 가질 수 있게 되므로, 배송 데이터를 MBMS 통신 모드로 수신할 때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실시형태 2)
도 3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는 도 5에, 본 실시형태의 휴대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단말 장치(400)는, 애플리케이션 정지부(401)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도 3의 휴대단말 장치(10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애플리케이션 정지부(401)는, 휴대단말 장치(400)가 배송 관리 장치(102)로부터의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데이터 해독부(305)에 의해 이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얻어지면,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7)에 있어서 현재 동작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시킨다.
이 때, 본 실시형태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정지부(401)는,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정지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중요한 것은, MBMS 통신 모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리소스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동 작중인 애플리케이션 중 일부 애플리케이션만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해, 본 실시형태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도 6에서는, 도 4와의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휴대단말 장치(400)는, 무선 송수신부(301)를 이용하여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수신하여(S101), 수신 데이터 해독부(305)를 이용하여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해독하면, 애플리케이션 정지부(401)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7)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중인지 아닌지 검출하여(S201),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02로 이동하여 MBMS 모드 기동부(306)를 이용하여 스스로를 MBMS 통신 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대해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202로 이동하여 애플리케이션 정지부(401)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7)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MBMS 통신 모드가 기동될 때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MBMS 통신 모드를 충분한 리소스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배송 데이터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지 처리를 행할 경우는, 각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보유해 둔다. 이에 의해, 배송 데이터의 수신이 종료한 뒤, 중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신속히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이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단말 장치(400)측에서 아무 조작을 행 하지 않아도 배송 관리 장치(102)로부터의 지시(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로 휴대단말 장치(400)의 통신 모드를 자동적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써, 배송 데이터 수신시의 다른 리소스의 점유율이 낮아져, MBMS 통신 모드에서의 배송 데이터의 수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할 때, 배송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지 처리를 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배송 관리 장치(102)의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 생성부(205)(도2)를 이용하여, 배송 개시까지의 시간에 맞추어 요구 레벨이 다른 명령을 생성하여 휴대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이 명령은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부가되어 송신된다. 그리고 휴대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수신한 명령에 의해 표시되는 요구 레벨에 맞추어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지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5와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는 도 7에, 본 실시형태의 휴대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단말 장치(500)는, 요구 레벨 카운터(counter)(501)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도 5의 휴대단말 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휴대단말 장치(500)는, 요구 레벨 카운터(501)의 카운터값에 맞추어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종료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운터값이 클수록 강제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요구 레벨 카운터(501)는,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부가되어 있는 요구 레벨에 맞추어 카운터값을 증가시킨다. 또 요구 레벨 카운터(501)는 타이머를 더 가지며, 최초의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시간 마다(예를 들면 몇분마다) 카운터값을 인크리먼트(increment) 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말미암아,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좀처럼 수신할 수 없을만한 무선 전파(傳播) 환경하에서도, 콘텐츠의 배송 타이밍이 가까워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지 요구를 높일 수가 있다. 또 한번만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송신하면, 콘텐츠의 배송 타이밍이 가까워짐에 따라,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모드로 순차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종료 처리를 나타낸다. 도 8의 처리는, 도 6의 스텝 S202의 처리에 상당한다. 휴대단말 장치(50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종료 처리(S300)에 들어가면, 계속되는 스텝 S301에서 빈 리소스가 규정값 미만인지 아닌지, 즉 MBMS 통신 모드를 실행하는데 충분한 빈 리소스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여, 빈 리소스가 부족하다고 판단한 경우는 스텝 S302로 이동하여 요구 레벨 카운터값을 보고, 카운터값에 맞추어 스텝 S303-1~S303-N 중 어느 한가지의 처리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요구 레벨이 제1 단계인 때에는, 강의 개시전인 취지의 팝 업(pop-up) 표시를 하여 사용자 자신에게 애플리케이션 동작의 종료를 재촉하는 것으로 하고(S303-1), 제2 단계가 되면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상에 종료를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하여 가이드를 따라 사용자에게 순서대로 종료시키는 것으로 하고(S303-2), 최종 단계에 있어서는, 필요 최소한의 상태를 보유하고 강제적으로 종료시켜 버리는 것으로 한다(S303-N). 여기서 1~N는, 카운터값을 나타낸다.
이어지는 스텝 S304에서는, 카운터값을 갱신(즉 인크리먼트)한다. 실제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구 레벨이 갱신된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소정 시간마다 카운터값을 인크리먼트 한다.
그 후, 스텝 S301로 돌아와, 빈 리소스가 규정값 미만인 경우는, 갱신한 카운터값에 기초하여 스텝 S302, S303-1~S303-N의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전회보다도 카운터값은 커져 있으므로, 전회의 애플리케이션 종료 처리보다도 강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배송 타이밍이 가까워질수록 카운터값이 커지고, 카운터값이 커질수록, 강제적인 애플리케이션 종료 처리를 행한다.
도 9에, MBMS 통신 개시 요구(즉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것과 동시에, 각 휴대단말 장치가 MBMS 통신 모드를 기동하는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경우, 각 휴대단말 장치는, MBMS 통신 개시 요구를 수신하면, MBMS 통신 모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리소스가 확보되도록, 강제적으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도 10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송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카운터값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냈다. 도 10에서는, 휴대단말 A만이 최초로 송신된 MBMS 통신 개시 요구(1/N)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하고, 휴대단말 B는 2회째에 송신된 MBMS 통신 개시 요구(2/N)를 수신할 수 있던 것으로 하고, 휴대단말 C는 최후(N회째)에 송신된 MBMS 통신 개시 요구(N/N)를 수신할 수 있던 것으로 한다.
휴대단말 A는 배송까지의 시간이 충분히 있으므로, 강제도가 낮은 애플리케이션 종료 처리 1(도 8의 스텝 S303-1)을 행하고 MBMS 통신 모드로 이행한다. 휴대단말 B는 배송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종료 처리 2(도 8의 스텝 S303-2)를 행하고 MBMS 통신 모드로 이행한다. 이에 대해서, 휴대단말 C는 배송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강제도가 가장 높은 애플리케이션 종료 처리 N(도 8의 스텝 S303-N)을 행하고 바로 MBMS 통신 모드로 이행한다.
이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송 측에서 배송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명령을 송신하고, 휴대단말 장치(500)가 배송까지의 남은 시간에 따라 단계적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종료 처리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동작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불필요하게 정지시키지 않아도 되게 된다. 즉, 배송까지의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소정 조작을 거친 뒤 정지시킬 수 있게 되어, 또 시간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정지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MBMS 통신 모드에 필요한 리소스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4)
도 5와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는 도 11에, 본 실시형태의 휴대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단말 장치(600)는, 위치 정보 검출부(601)를 가지는 점과, MBMS 모드 기동부(306)와 애플리케이션 정지부(401)가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 정보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점이, 도 5의 휴대단말 장치(400)와 다르다.
위치 정보 검출부(601)는, 휴대전화망(103)의 기지국 혹은 위성 시스템 등을 이용해 자장치의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 정보 검출부(601)는, 자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시 검출하고 있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강습회의 회장이나 교실 등의 특정 에리어에 들어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휴대단말 장치(600)는, 위치 정보 검출부(601)를 이용하여 특정의 에리어에 들어간 것을 검출하면, 이것을 MBMS 모드 기동부(306) 및 애플리케이션 정지부(401)에 통지한다.
MBMS 모드 기동부(306) 및 애플리케이션 정지부(401)는,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 대신에, 위치 정보 검출부(601)로부터의 특정 에리어에 들어간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트리거(trigger)로 하여 실시형태 1이나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MBMS 통신 모드의 기동 처리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지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송 관리 장치(102)로부터 MBMS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송신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도 12를 이용해, 본 실시형태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도 6과의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단말 장치(600)는,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 수신 확인 처리(스텝 S101)를 대신하여, 위치 정보 검출부(601)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교실내로 이동했는지를 검출하는 처리(스텝 S401)를 행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교실내로 이동한 것을 확인하면, 이하,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이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송이 행해지는 특정 에리어에 들어간 것을 검출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601)를 설치하여, 특정 위치에 들어간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지 처리 및 MBMS 통신 모드 기동 처리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 장치(600)나 배송 관리 장치(102)에서 아무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통신 모드를 자동적으로 바꿀 수 있으며 또, 휴대단말 장치(600)상에서 동작중인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시킴으로써 리소스의 점유율이 낮아져 MBMS 통신 모드의 데이터의 수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에 적용해도 좋다.
도 13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접속할 수 있으며, 또, 인터넷(101)과 접속된 LAN(703)과 무선 LAN에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전화, 퍼스널 컴퓨터, PDA등의 휴대단말 장치(705)와, 배송 관리 장치(704)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콘텐츠 서버(702)를 가진다. 또 배송 관리 장치(704)는 인터넷(101)에 접속되어 있어, 인터넷(101)을 경유하여 콘텐츠 서 버(702)와는 다른 콘텐츠 서버(100)의 정보도 수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송 관리 장치(704)는, 상술한 배송 관리 장치(102)와 마찬가지로, 멀티캐스트 통신에 의해 각 휴대단말 장치(705)에 배송 데이터(콘텐츠)를 동보 배송한다.
여기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스템에 이용하는 휴대단말 장치(705)에 있어서는, 도 3, 도 5, 도 7, 도 11의 무선 송수신부(301)를 공중 휴대전화망이 아니라 학교나 회장에 설치된 무선 LAN 휘하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위치 정보 검출부(601)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해 위치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배송 관리 장치(704)의 구성은, 도 2의 배송 관리 장치(102)와 동일하면 되는데, 인터넷(101)에 접속되는 무선 LAN 휘하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송 관리 장치(102)로부터의 통신 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단말 장치가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MBMS 통신 모드로 바꾸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정지 처리 및 통신 모드 전환 처리의 타이밍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휴대단말에 미리 시간표를 등록해 둠으로써 해당 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정지 처리 및 통신 모드 전환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나, 이수(履修)과정이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단말에 등록하여, 이수의 진척 상황이나 이해도에 맞추어 다음 교재를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에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정지 처리 및 통신 모드 전환 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MBMS 통신 모드에 의해 데이터 다운로드를 행하는 시스템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말하자면, 핸드쉐이크를 행하지 않는 1대 N형의 콘텐츠 배송 시스템, 즉 멀티캐스트를 사용한 데이터 다운로드 시스템에 널리 적용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4년 4월 13일에 출원한 특허 출원 2004-118285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그 내용은 모두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교실 등에서 학생의 휴대단말 장치에, 교사가 배송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일제히 콘텐츠를 배송하는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Claims (7)

  1.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단말과, 콘텐츠 서버에 격납된 콘텐츠 데이터의 배송을 제어하여, 무선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배송하는 배송 관리 장치를 가지는 콘텐츠 배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송 관리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에, 멀티캐스트를 사용한 데이터 다운로드의 통신모드를 기동할 것을 지시하는 통신모드 기동 지시 신호를 생성하는 통신모드 기동 지시 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신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 모드를 기동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모드 기동 수단과, 상기 통신모드 기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하는 애플리케이션 정지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배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지 수단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모드를 개시하는데 충분한 리소스가 확보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하는 콘텐츠 배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장치는, 상기 통신모드 기동 지시 신호로서 배송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배송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정지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 배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배송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에 기초하여 카운트값이 증가해 나가는 요구 레벨 카운터를 구비하여, 해당 요구 레벨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정지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 배송 시스템.
  5.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콘텐츠 서버에 격납된 콘텐츠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휴대단말 장치로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하는 애플리케이션 정지 수단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정지된 후에,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 모드를 기동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 모드 기동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자단말이 특정의 위치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지 수단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검출 결과가 얻어진 때,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모드 기동 수단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검출 결과가 얻어진 때, 멀티캐스트 데이터 다운로드 통신 모드를 기동하는 휴대단말 장치.
  7. 배송 관리 장치가, 휴대단말에 멀티캐스트를 사용한 데이터 다운로드의 통신 모드를 기동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스텝과,
    휴대단말이, 상기 통신 모드를 기동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 모드를 기동하는 스텝과,
    상기 배송 관리 장치가, 배송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통신 모드로 배송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콘텐츠 배송 방법.
KR1020067021078A 2004-04-13 2005-03-31 콘텐츠 배송 시스템 및 콘텐츠 배송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51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8285 2004-04-13
JP2004118285A JP4160924B2 (ja) 2004-04-13 2004-04-13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PCT/JP2005/006256 WO2005101699A1 (ja) 2004-04-13 2005-03-31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974A KR20060131974A (ko) 2006-12-20
KR100751189B1 true KR100751189B1 (ko) 2007-08-22

Family

ID=3515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0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51189B1 (ko) 2004-04-13 2005-03-31 콘텐츠 배송 시스템 및 콘텐츠 배송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64636B2 (ko)
JP (1) JP4160924B2 (ko)
KR (1) KR100751189B1 (ko)
WO (1) WO2005101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142B1 (ko) 2006-06-08 200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4743540B2 (ja) * 2006-11-29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
EP1983702B8 (en) * 2007-04-17 2012-03-21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ceiving efficiency of a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2224442B (zh) * 2008-11-26 2014-12-10 肯特克斯有限公司 光学扫描仪
US20100161384A1 (en) * 2008-12-18 2010-06-24 Wells Matthew D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EP3396983A1 (en) 2012-04-10 2018-10-31 Alcatel Lucent Optimizing backhaul and wireless link capaci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467A (ko) * 1996-09-10 1998-07-06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Ds-cdma 셀룰러 전화를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
KR20030002303A (ko) * 2001-06-28 2003-01-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데이터 방송 시스템, 수신 단말 장치, 콘텐츠 제공 서버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30046661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패킷 통신방법
KR20030071819A (ko) * 2001-01-16 2003-09-0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신기, 휴대 단말, 및 수신 시스템
KR20040026153A (ko) * 2002-09-23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의 공유채널을 통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980A (en) * 1994-05-27 1998-05-0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configuring a computer system
US6507562B1 (en) * 1998-06-30 2003-01-14 Sun Microsystems, Inc. Dynamic optimization for receivers using distance between a repair head and a member station in a repair group for receivers having a closely knit topological arrangement to locate repair heads near the member stations which they serve in tree based repair in reliable multicast protocol
US6526022B1 (en) * 1998-06-30 2003-02-25 Sun Microsystems Detecting congestion by comparing successive loss of packets in windows to provide congestion control in reliable multicast protocol
US6539000B1 (en) * 1998-07-21 2003-03-25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cast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093026B2 (en) 2000-02-14 2006-08-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ssion system
JP4511059B2 (ja) 2000-02-14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4341161B2 (ja) 2000-09-12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2133302A (ja) 2000-10-18 2002-05-10 Ntt Communications Kk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サーバ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305548A (ja) 2001-04-06 2002-10-18 Sony Corp 通信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02351680A (ja) * 2001-05-29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装置と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
JP2003134566A (ja) * 2001-10-24 2003-05-09 Aicon:Kk プッシュ型データ配信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移動通信端末、呼出サーバー装置
ATE429078T1 (de) * 2002-02-19 2009-05-15 Alcatel Lucent Telekommunikationsendgerät, verfahren zum senden und empfangen und sendungssystem
JP3992513B2 (ja) 2002-02-28 2007-10-17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実行可能な情報通信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3928852B2 (ja) 2002-04-08 2007-06-13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
KR100434054B1 (ko) * 2002-04-26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디오 링크 콘트롤의 폴링방법
JP2003186679A (ja) 2002-10-28 2003-07-04 Nec Access Technica Ltd プログラムダウンロード方法、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移動端末装置
EP1528723A1 (en) * 2003-10-31 2005-05-04 Siemens Mobile Communications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mass software downloa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mass software download
US8230097B2 (en) * 2004-10-05 2012-07-24 Vectorma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multimedia data
JP4524215B2 (ja) * 2005-03-24 2010-08-11 富士通株式会社 マルチキャスト通信方法及びホームエージェント及び移動ノード
JP4509863B2 (ja) * 2005-05-27 2010-07-21 株式会社東芝 無線基地局と無線端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467A (ko) * 1996-09-10 1998-07-06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Ds-cdma 셀룰러 전화를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
KR20030071819A (ko) * 2001-01-16 2003-09-0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신기, 휴대 단말, 및 수신 시스템
KR20030002303A (ko) * 2001-06-28 2003-01-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데이터 방송 시스템, 수신 단말 장치, 콘텐츠 제공 서버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30046661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패킷 통신방법
KR20040026153A (ko) * 2002-09-23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의 공유채널을 통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01699A1 (ja) 2005-10-27
US7764636B2 (en) 2010-07-27
JP4160924B2 (ja) 2008-10-08
US20080019296A1 (en) 2008-01-24
JP2005303744A (ja) 2005-10-27
KR20060131974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6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DLL linking of software upgrades for a wireless mobile station
EP1742432B1 (en) Mobile terminal, contents delivery system and contents reproduction program
US8260879B2 (en) Continuous application execu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KR20040075370A (ko) 서버와 상호작용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화형 스크린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300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심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EP2227066A1 (en) Message service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CN106912034A (zh) 一种短消息处理方法、系统及终端
KR100751189B1 (ko) 콘텐츠 배송 시스템 및 콘텐츠 배송 방법
CN103986646A (zh) 一种消息传输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03019120A (zh) 移动终端远程启动控制家庭媒体设备的方法及移动终端
KR20220103146A (ko)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 방법, 전송 처리 방법 및 관련 장치
CN104125134A (zh) 一种网络交互方法及装置、系统
CN105245556A (zh) 智能手机远程控制方法及装置
KR101664222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주변 기기 간 단말 기능 전이 장치 및 방법
KR101606249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중에서 미디어의 조정된 공유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834894A (zh) 远程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1301173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3414931A (zh) 对媒体文件进行播放控制的方法及装置
KR100812330B1 (ko) 이동 단말에서 데이터 서비스 재접속 방법
CN102858031A (zh) 一种实现无线接入点提供内容服务的方法
CN102710989A (zh) 一种电视应用的通知处理方法及装置
US201801095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nterrupted Learning
KR2008010376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 접속 방법
CN113114447A (zh) 传输控制信号的方法、用户终端及网络侧设备
JP3953013B2 (ja) 無線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8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81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