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1698B1 -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투명 단열재 - Google Patents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투명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698B1
KR100741698B1 KR1020060019596A KR20060019596A KR100741698B1 KR 100741698 B1 KR100741698 B1 KR 100741698B1 KR 1020060019596 A KR1020060019596 A KR 1020060019596A KR 20060019596 A KR20060019596 A KR 20060019596A KR 100741698 B1 KR100741698 B1 KR 10074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acrylate
airgel
aerogel
diacry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전현애
김순원
손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1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6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 제공되는 투명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레이트로 개질된 에어로겔, 광개시제 및 용매 또는 선택적으로 광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 제공되는 투명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공되는 단열재는 이에 따라 제공되는 투명 단열재는 에어로겔의 외부 바인더 없이, 100% 에어로겔로 이루어진 것이거나, 선택적으로 광경화성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한 한 것이며, 이는 투명 유리창의 단열재 또는 유리창 대신 적용 가능함은 물론, 촉매나 촉매 담체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겔, 아크릴레이트, 광중합, 투명 단열재

Description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투명 단열재{Modified Aerogel,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it and Transparent Theraml Insulating Material Therefrom}
본 발명은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레이트로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투명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라 제공되는 단열재는 유리창과 같이 투명한 소재에 단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겔은 기공율이 90%이상이고, 비표면적이 수백~1000m2/g정도인 투명 또는 반투명한 극저밀도의 첨단소재이다. 따라서, 이러한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갖는 에어로겔은 촉매 및 촉매 담체, 방음재 등의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실리카 에어로겔은 높은 투광성과 극저의 열전도도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투명 단열재 로 각광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 냉동기 및 열축적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초단열 재료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모노리스, 필름 또는 입자 형태로 제조되는 에어로겔은 높은 취성으로 인하여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서지는 등 매우 취약한 강도를 보이며, 다양한 두께 및 형태로의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우수한 단열 특성에도 불구하고 에어로겔 단독으로는 단열재로의 응용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로겔과 다른 소재, 즉 바인더와의 복합체 형성을 통한 단열재 제조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부직포 등과 같은 섬유 또는 섬유웹과 에어로겔의 복합체를 형성하여 가요성 에어로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US 2002/0094426, US 5,789,075, WO96/27726, WO97/10188). 이러한 방법은 대부분 섬유 또는 섬유 웹에 졸 상태의 실리카 용액을 함침시킨 후, 겔화 반응을 진행시켜 에어로겔-섬유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섬유재를 사용하여 에어로겔 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에어로겔의 취성으로 인한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섬유재와의 복합체 형성으로 인해 에어로겔 단열재만의 주요 장점인 투명성을 잃게 된다. 또한, 단열재의 크기 및 두께가 증가되는 경우, 에어로겔의 초임계 건조시에 건조시간 증가하고, 대형 초임계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공정상의 어려움, 또한 이로 인한 제조단가의 증가는 에어로겔 복합체의 단열재로서의 응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가요성 에어로겔 시이트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에어로겔 입자에 바인더로써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샌드위치 형태의 복합체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WO98/32709, US2003/0215640), 이 방법도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의 건축물들은 예전에 비해 유리창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손실이 큰 유리창의 단열특성이 크게 요구되는데, 상기한 방법들로는 바인더에 의한 에어로겔 단열재는 투명성이 상실되고, 유리창면에 적용 (코팅)이 어려워 유리창 단열재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으며,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 제공되는 투명 단열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투명 단열재는 유리창과 같은 투명한 소재에 단열 성을 부여하기에 적합한 것이며,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에어로겔 입자를 위한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100% 에어로겔로 이루어진 단열재로서 제공되거나, 첨가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조절함에 따라서 다양한 물성의 투명 에어로겔 코팅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금속 알콕사이드 화합물과 아크릴 함유 실란 화합물을 물 및 산 촉매하에서 반응시켜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겔화 및 숙성시킨 후 초임계 건조에 적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된 에어로겔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개질된 에어로겔, 광개시제 및 용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제가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코팅제가 적용된 투명 단열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투명한 에어로겔 단열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아크릴레이트로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을 단독으로 외부 바인더의 사용없이, 나노 다 공체인 에어로겔의 단열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단열재로써 제조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첨가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조절함에 따라서 다양한 경도 및 유연성을 가진 투명 에어로겔 코팅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있어서, 금속 알콕사이드와 아크릴 함유 실란 화합물을 반응시킨 다음, 이를 겔화 및 숙성시키고, 초임계 건조에 적용함으로써 아크릴레이트로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화 에어로겔을 제조하기 위한 졸겔기술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적합한 졸겔기술[R.K.Colloid Chemistry of Silica and Silicates 1954, chapter 6; C.J. Brinker, G.W. Scherer, Sol-Gel Science, 1990, Chaps 2 and 3을 참고바람]을 기초로 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겔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에어로겔의 표면에 아크릴레이트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와 아크릴 함유 실란 화합물을 적합한 비율로 혼합한 후 물 및 산 촉매하에서 반응시킨다.
본 발명의 에어로겔 제조에 사용되는 적합한 금속 알콕사이드는 각 알킬기가 1 내지 6개인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것이며, 이러한 화합물로는 특별히 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테트라메톡시실란(TMOS),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sec-부톡사이드, 세륨 이소프로폭사이드, 하프늄 tert-부톡사이드, 마그네슘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이트륨 이소프로폭사이드,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 또는 지르코늄 이소프로폭사이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란 함유 금속알콕사이드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에톡시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아크릴 함유 실란 화합물로는 특별히 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알콕시 실릴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며, 특별히 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3-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질된 에어로겔 단독으로 코팅제를 제조시에는, 프로필기 대신 알킬기의 길이가 4 이상인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등을 갖는 실릴 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3-메톡시실릴부틸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부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펜틸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펜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헥실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헥실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헥실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헥실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헵틸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헵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헵틸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헵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옥틸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옥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옥틸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옥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노닐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노닐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노닐 아크릴레이트, 또는 3-에톡시실릴노닐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와 아크릴 함유 실란 화합물의 혼합 몰비율(mole ratio)은 9:1 ~ 1:9가 바람직하며, 아크릴 함유 실란 화합물의 몰비율이 1이하인 경우에는 광경화 반응이 효율적이지 않아서 코팅제 형성에 제한이 있으며, 아크릴함유 실란 화합물의 몰비율이 9이상인 경우에는 에어로겔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합한 비율로 금속 알콕사이드와 아크릴 함유 실란 화합물을 혼합한 후 물 및 산촉매를 첨가하여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을 거친다. 이때, 사용되는 적합한 산으로는 특별히 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HCl, H2SO4, 또는 HF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HCl이 사용된다. 한편 첨가되는 물의 양은 몰비로 4~10 정도가 바람직하며, 산은 촉매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 알콕사이드와 아크릴계 실란 화합물의 혼합물에 물 및 촉매를 첨가하여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을 거쳐 "졸"상태의 화합물이 형성되며, 상기 졸 상태의 용액을 충분한 시간동안 겔화 및 숙성시켜 겔 화합물을 제조하며, 금속 알콕사이드로서 테트라에톡시실란, 그리고 아크릴계 실란 화합물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경우, 다음과 같은 반응식 1을 거쳐 겔화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6014935451-pat00001
최종적으로, 상기와 같이 졸겔반응을 거친 겔 화합물을 초임계 건조에 적용하여 아크릴레이트로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초임계 건조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초임계 건조 조건은 30~40℃, 100bar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아크릴레이트로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코팅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로 표면 개질된 에어로겔, 광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제가 제공되며, 이를 기재에 코팅한 후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경우 에어로겔의 표면에 부착된 아크릴레이트기가 서로 중합 및 가교되며, 이에 따라, 외부 바인더의 사용없이 100%의 에어로겔로 이루어진 투명 단열재가 제공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의 일성분인, 광개시제로는 특별히 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틸-s-트라이진, 2-p-메톡시스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나프틸-6-트리아진,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부틸티오크산톤,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및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2'-비이미다졸 화합물로 이루 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첨가량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0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첨가량이 3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경화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거나 경화 속도가 너무 느린 반면, 1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경화도가 너무 높아서 취성이 높아지거나, 반응 후 미 반응물로 존재하여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의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과 같은 프로판올 등과 같은 알콜이 바람직하며, 특히 이소프로필 알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개질된 아크릴레이트, 광개시제 및 용매로 이루어진 코팅제에, 선택적으로, 광경화성 수지로써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가지며, 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테트라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헥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에톡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트 페놀 모노아크릴레 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형 트리에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로써,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첨가량은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10 내지 90 부피%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가량이 10 부피% 이하인 경우에는, 긴 알킬 그룹을 가진 아크릴기로 에어로겔을 개질하지 않았을 경우, 경화 후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첨가량이 90 부피% 이상인 경우에는 에어로겔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9~9:1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선택적으로 광경화성 수지가 첨가되는 경우에는, 최종 코팅제 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의 첨가량은 코팅제의 물성에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코팅제는 투명한 기재에 도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재로는 특별히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PET, TAC,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플라스틱 시이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를 상기와 같은 투명기재에 바코팅 및 스핀코팅, 딥코팅, 스프레이코팅 등의 방법으로 코팅하고, 250-420nm의 파장범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최종 투명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코팅기술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투명 단열재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에어로겔 바인더의 사용이 필요없는, 100% 에어로겔로 이루어진 것이며, 투명하기 때문에 유리창의 단열재나 유리창을 대체할 수 있으며, 촉매나 촉매 담체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와 테트라에톡시실란을 혼합하고 여기에 물을 혼합물과 6:1의 몰비율로 첨가한 후 염산을 첨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교반하여 졸용액을 제조하고 염기촉매 NH4OH를 사용하여 겔화시켰으며, 그 후 밀봉하여 50℃에서 24시간 숙성시켰다. 숙성 후 습윤겔의 용매치환을 실시하였으며 35℃, 100bar에서 초임계 건조하였다. 이에 따라 표면이 아크릴레이트로 개질된 에어로겔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어로겔 10g을 이소프로필알콜 100ml에 첨가한 후 교반기를 통해 혼합하여 용매 내에 고루 분산된 에어로겔을 형성한다. 다음 트리에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5.8g,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0.2g 및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4g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에어로겔-아크릴 코팅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혼합액을 바-코팅법으로 PET판 위에 0.1~1㎜두께로 코팅하였다. 코팅한 PET판을 주파장 325nm의 UV경화장치 내에서 20초간 경화시 켜 에어로겔-아크릴 투명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에어로겔 아크릴계 단열재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80%이상의 투광도를 보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투명 단열재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에어로겔 바인더의 사용이 필요없는, 100% 에어로겔로 이루어진 것이며, 투명하기 때문에 유리창의 단열재나 유리 대체물질로 사용가능하며, 촉매나 촉매 담체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테트라메톡시실란(TMOS) 및 테트라-n-프로폭시실란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금속 알콕사이드 화합물과 아크릴 함유 실란화합물을 물 및 산 촉매하에서 반응시켜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겔화 및 숙성시킨 후 초임계 건조에 적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된 에어로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 화합물은 테트라에톡시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된 에어로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함유 실란 화합물은 3-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 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부틸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부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펜틸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펜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헥실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헥실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헥실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헥실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헵틸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헵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헵틸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헵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옥틸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옥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옥틸 아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옥틸 아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노닐 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실릴노닐 메타크릴레이트, 3-메톡시실릴노닐 아크릴레이트, 또는 3-에톡시실릴노닐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된 에어로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와 상기 아크릴 함유 실란화합물의 혼합비율은 9:1~1:9 몰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된 에어로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는 HCl, H2SO4, 또는 H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된 에어로겔.
  7. 청구항 제 1항 및 청구항 3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질된 에어로겔, 광개시제 및 용매로 이루어지는 에어로겔 함유 코팅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온,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틸-s-트라이진, 2-p-메톡시스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나프틸-6-트리아진,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부틸티오크산톤,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및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2'-비이미다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겔 함유 코팅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겔 함유 코팅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겔 함유 코팅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테트라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헥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에톡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트 페놀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형 트리에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 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겔 함유 코팅제.
  12. 청구항 7항의 코팅제가 기재에 적용된 투명 단열재.
  13. 청구항 10항의 코팅제가 기재에 적용된 투명 단열재.
KR1020060019596A 2006-02-28 2006-02-28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투명 단열재 Expired - Fee Related KR10074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596A KR100741698B1 (ko) 2006-02-28 2006-02-28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투명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596A KR100741698B1 (ko) 2006-02-28 2006-02-28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투명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698B1 true KR100741698B1 (ko) 2007-07-23

Family

ID=3849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5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1698B1 (ko) 2006-02-28 2006-02-28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투명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6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03B1 (ko) 2007-01-11 2008-06-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영구적 소수성을 갖는 에어로겔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에어로겔
KR100869384B1 (ko) 2007-07-09 2008-1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내구성이 개선된 에어로겔 모노리스 투광성 단열재 및 이로제조된 복층유리
KR101135500B1 (ko) 2010-11-25 2012-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80018401A (ko) *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에어로겔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8049A (ja) * 1994-10-20 1998-08-04 ヘキスト・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エーロゲルを含む組成物、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
US20040087670A1 (en) * 1999-10-21 2004-05-06 Lee Kang P. Rapid aerogel production process
US20050192366A1 (en) * 2004-01-06 2005-09-01 Aspen Aerogels, Inc. Ormosil aerogels containing silicon bonded polymethacryl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8049A (ja) * 1994-10-20 1998-08-04 ヘキスト・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エーロゲルを含む組成物、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使用
US20040087670A1 (en) * 1999-10-21 2004-05-06 Lee Kang P. Rapid aerogel production process
US20050192366A1 (en) * 2004-01-06 2005-09-01 Aspen Aerogels, Inc. Ormosil aerogels containing silicon bonded polymethacrylat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03B1 (ko) 2007-01-11 2008-06-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영구적 소수성을 갖는 에어로겔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에어로겔
KR100869384B1 (ko) 2007-07-09 2008-1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내구성이 개선된 에어로겔 모노리스 투광성 단열재 및 이로제조된 복층유리
KR101135500B1 (ko) 2010-11-25 2012-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80018401A (ko) *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에어로겔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KR101896846B1 (ko) 2016-08-09 2018-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이로 제조된 에어로겔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4360B2 (ja) アルコキシシラン基で修飾したシリカ/ラテックスハイブリッドからなるモノリシックキセロゲル及びエーロゲルの臨界未満の条件下における製造方法。
US6635735B1 (en) Coating composition
Wen et al. Organic/inorganic hybrid network materials by the sol− gel approach
Chu et al. Use of (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as a binder in colloidal silica coatings
JP5179115B2 (ja) 低屈折率被膜形成用樹脂組成物、低屈折率被膜、反射防止基材
RU241448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рганосилсесквиоксанов
US8592496B2 (en) Telechelic hybrid aerogels
JPH10512538A (ja) 変性エーロゲ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KR100741698B1 (ko) 개질된 에어로겔,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투명 단열재
KR20070114668A (ko) 에폭시로 개질된 에어로겔 및 그 제조방법
KR100867466B1 (ko) 입경 및 밀도가 증대되고 영구적 소수성을 갖는 에어로겔분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에어로겔 분말
EP2230277B1 (en)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composites
KR20080101264A (ko) 표면이 친수성 개질된 에어로겔 제조방법
KR100741699B1 (ko) 아크릴레이트 개질된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에어로겔
JP6994562B2 (ja) 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をコーティング層として含む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KR101463860B1 (ko) 2액형 유ㆍ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2192136B1 (en) Sol-gel-polymer nanocomposite and methods thereof
KR20200081820A (ko) 하드코팅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록산 수지 및 이의 경화물을 코팅층으로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CN102695752B (zh) 有机-无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光学元件
KR100953667B1 (ko) 플라스틱 기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US20200407231A1 (en) Aerogel precursor and aerogel produced using same
JP2005536617A (ja) ハイブリッド複合材料製造用の反応性かつゲル−フリー組成物
CN114702899A (zh) 一种水性单组份烘烤型聚硅氧烷涂料及其制备方法
KR100869384B1 (ko) 내구성이 개선된 에어로겔 모노리스 투광성 단열재 및 이로제조된 복층유리
KR100840793B1 (ko) 내구성이 개선된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투광성 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