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8451B1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451B1
KR100738451B1 KR1020030022532A KR20030022532A KR100738451B1 KR 100738451 B1 KR100738451 B1 KR 100738451B1 KR 1020030022532 A KR1020030022532 A KR 1020030022532A KR 20030022532 A KR20030022532 A KR 20030022532A KR 100738451 B1 KR100738451 B1 KR 10073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ngular velocity
equation
magnitude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617A (ko
Inventor
조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3002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4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4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0Arrangements of partition walls in flues of steam boilers, e.g. built-up from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07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 F22B1/181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gas-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PS 시스템에서의 DC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터 단자 전압(VM+)과 모터 단자 전압(VM_)의 차이값으로 구해진 모터 양단 전압(E)이 0보다 큰 경우 모터 단자 전압(VM+)과 모터 단자 전압(VM_)의 크기를 비교하여 모터 전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모터 양단 전압(E)이 0보다 작은 경우 모터 단자 전압(VM_)과 모터 단자 전압(VM_)의 크기를 비교하여 모터 전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모터 양단 전압(E)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DC 모터의 각속도를 0으로 추정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모터 양단 전압의 부호와 크기뿐만 아니라 모터 단자 전압의 크기를 고려하여 모터 전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함으로써 DC 모터의 각속도 추정을 별도의 센서없이 추정할 때 각속도 추정 범위를 확대하고, 추정오차 역시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ANGULAR VELOCITY ESTIMATION METHOD OF DC MOTOR IN EPS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EPS 시스템내 모터 구동을 위한 하드웨어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DC 모터의 각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EPS 시스템에서의 DC 모터의 각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A',B' : 제1~제4 FET M : DC 모터
S : 션트저항 AMP : 증폭기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Electric Power Steering ; 이하, 'EPS'라 칭함) 시스템에서의 DC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 단자 전압의 크기를 고려하여 모터 전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한 EPS 시스템에서의 DC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PS 시스템에서는 모터 구동의 성능향상을 위해 필요한 DC 모터의 각속도 추정을 별도의 센서없이 추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EPS 시스템내 모터 구동 조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제1~제4 FET(A,B,A',B')로 구성된 H-브릿지(Bridge) 회로를 이용하여 DC 모터(M)를 구동하고, 션트(Shunt)저항(S)을 접지와 상기 H-브릿지 회로 사이에 위치시켜 이 션트저항(S)을 통해 검출된 양단 전압을 증폭기(AMP)로 증폭하여 모터의 전류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DC 모터(M)의 각속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모터 양단 전압과 모터의 전류를 이용하게 되는데, 즉 아래와 같은 각속도 추정식을 이용하며, 이 각속도 추정식은 모터 역기전력이 모터 각속도에 비례한다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1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2
여기서, E : 모터 양단 전압(motor supply voltage), I : 모터 전류(motor current), R : 모터 저항값(armature resistance),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3
: 모터 각속도(motor angular velocity), KE : 모터 역기전력(motor back emf constant)이다.
도 2는 종래 DC 모터의 각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종래 DC 모터의 각속도 추정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모터 양단 전압(E)은 모터 단자(M+, M-) 각각의 전압(VM+, VM_)을 검출하여 구해진 차이값(E=VM+-VM_)이 되는데, 이 차이값을 통해 모터 양단 전압의 크기와 모터에 인가된 전압 방향을 추정한다.
이때, 모터 전류는 모터의 전류방향을 알 수 없으므로 모터 양단 전압의 부호로써 판단하고, 전류 크기는 검출된 션트저항(S)의 양단 전압을 증폭하여 인식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 양단 전압(E)이 0이거나 큰 경우에는(S1) 상기 수학식1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S2), 모터 양단 전압(E)이 0보다 작은 경우에는(S3) 상기 수학식2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며(S4), 모터 양단 전압(E)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DC 모터의 각속도를 0으로 추정한다(S5).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DC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의 경우,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모터의 각속도에 의해 모터 양단 전압이 변동되면 모터의 전류방향을 잘못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속도 추정오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의 특성상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R)이 변화하기 때문에 모터 저항값(R)을 상수값으로 사용하면 작은 전류에서도 각속도 추정의 오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EPS 시스템에 있어서, 모터 양단 전압의 부호와 크기뿐만 아니라 모터 단자 전압의 크기를 고려하여 모터 전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함으로써 DC 모터의 각속도 추정을 별도의 센서없이 추정할 때 각속도 추정 범위를 확대하고, 추정오차 역시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EPS 시스템에서의 DC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EPS 시스템에서의 DC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은, 모터 단자 전압(VM+)과 모터 단자 전압(VM_)의 차이값으로 구해진 모터 양단 전압(E)이 0보다 큰 경우 모터 단자 전압(VM+)과 모터 단자 전압(VM_)의 크기를 비교하여 모터 전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모터 양단 전압(E)이 0보다 작은 경우 모터 단자 전압(VM_)과 모터 단자 전압(VM_)의 크기를 비교하여 모터 전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모터 양단 전압(E)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DC 모터의 각속도를 0으로 추정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EPS 시스템에서의 DC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DC 모터 각속도 추정방법은 도 1에 도시된 EPS 시스템내 모 터 구동 조향장치에서 이루어지는데, 즉 도 1에 도시된 EPS 시스템의 모터 구동 조향장치에 있어서 H-브릿지 회로로 DC 모터(M)를 구동하는 경우 제1~제4 FET(A,B,A',B')의 온/오프(On/Off) 패턴이 다양하게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된 패턴은 제1,제3 FET(A,A')와 제2,제4 FET(B,B')를 동시에 온/오프함으로써 DC 모터(M)의 전류방향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터 양단 전압(E) 역시 종래와 동일하게 모터 단자(M+, M-) 각각의 전압(VM+, VM_)을 검출하여 구해진 차이값(E=VM+-V M_)이 되는데, 이 차이값을 통해 모터 양단 전압의 크기와 모터에 인가된 전압 방향을 추정한다.
그리고, 모터 전류는 모터 양단 전압의 부호 및 모터 단자 전압의 크기로써 판단하고, 검출된 션트저항(S)의 양단 전압을 증폭하여 인식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한다.
또한, 종래 DC 모터의 각속도 추정방법에 적용되었던 각속도 추정식을 그대로 적용하여 DC 모터의 각속도를 추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EPS 시스템에서의 DC 모터의 각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DC 모터의 각속도 추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 구동 조향장치에서 검출된 모터 양단 전압(E)이 0보다 큰 경우(S11) 모터 단자(M+) 전압(VM+)과 모터 단자(M-) 전압(VM_)을 비교하여 모터 단자 전압(VM+)이 모터 단자 전압(VM_)보다 크면(S12) 모터 구동 조향장치에서 검출된 모 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4
)과 같거나 큰지를 판단한다(S13).
상기 단계(S13)의 판단 결과,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5
)보다 작다면 모터 저항값(R)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S14) 상기 수학식1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S15), 상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6
)과 같거나 크다면 바로 상기 수학식1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한다(S15).
한편, 상기 모터 단자 전압(VM+)이 모터 단자 전압(VM_)보다 작으면(S12) 모터 구동 조향장치에서 검출된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7
)과 같거나 큰지를 판단한다(S16).
상기 단계(S16)의 판단 결과,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8
)보다 작다면 모터 저항값(R)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S17) 상기 수학식2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S18), 상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09
)과 같거나 크다면 바로 상기 수학식2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한다(S18).
그리고, 모터 구동 조향장치에서 검출된 모터 양단 전압(E)이 0보다 작은 경우(S21) 모터 단자(M+) 전압(VM+)과 모터 단자(M-) 전압(VM_)을 비교하여 모터 단자 전압(VM_)이 모터 단자 전압(VM+)보다 크면(S22) 모터 구동 조향장치에서 검출된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10
)과 같거나 큰지를 판단한다(S23).
상기 단계(S23)의 판단 결과,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11
)보다 작다면 모터 저항값(R)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S24) 상기 수학식2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S25), 상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12
)과 같거나 크다면 바로 상기 수학식2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한다(S25).
한편, 상기 모터 단자 전압(VM_)이 모터 단자 전압(VM+)보다 작으면(S22) 모터 구동 조향장치에서 검출된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13
)과 같거나 큰지를 판단한다(S26).
상기 단계(S26)의 판단 결과,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14
)보다 작다면 모터 저항값(R)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S27) 상기 수학식1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S28), 상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3012632359-pat00015
)과 같거나 크다면 바로 상기 수학식1로 언급한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한다(S28).
그리고, 모터 양단 전압(E)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DC 모터의 각속도를 0으로 계산한다(S31).
한편, 본 발명에서 있어서, 각속도 추정에 사용되는 상기 모터 저항값(R)은 전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야 하고, 모터 전류의 크기에 맞게 조정되어 사용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EPS 시스템에 있어서, 모터 양단 전압의 부호와 크기뿐만 아니라 모터 단자 전압의 크기를 고려하여 모터 전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모터 전류의 크기에 따라 모터 저항값을 달리하여 각속도를 추정함으로써 DC 모터의 각속도 추정을 별도의 센서없이 추정할 때 각속도 추정 범위를 확대하는 동시에 추정오차 역시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EPS 시스템에서 DC 모터의 각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터 단자 전압 VM+이 모터 단자 전압 VM_보다 크면 모터 구동 조향장치에서 검출된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1
    )과 같거나 큰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2
    )보다 작다면 모터 저항값(R)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 수학식1의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 상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3
    )과 같거나 크다면 바로 수학식1의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모터 단자 전압 VM+이 모터 단자 전압 VM_보다 작은 경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4
    )과 같거나 큰지를 판단하여, 모터 전류 (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5
    )보다 작다면 모터 저항값(R)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 수학식2의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 상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6
    )과 같거나 크다면 바로 수학식2의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제1과정과;
    모터 단자 전압 VM_이 모터 단자 전압 VM+ 보다 크면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7
    )과 같거나 큰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8
    )보다 작다면 모터 저항값(R)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 수학식2의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 상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39
    )과 같거나 크다면 바로 수학식2의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모터 단자 전압 VM_이 모터 단자 전압 VM+ 보다 작은 경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40
    )과 같거나 큰지를 판단하여, 모터 전류 (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41
    )보다 작다면 모터 저항값(R)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 수학식1의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고, 상기 모터 전류(I)의 크기가 일정값(
    Figure 112007011099876-pat00042
    )과 같거나 크다면 바로 수학식1의 같은 각속도 추정식을 통해 DC 모터의 각속도를 구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제2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DC 모터 각 속도 추정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7011099876-pat00043
    [수학식 2]
    Figure 112007011099876-pat00044
    여기서 , E : 모터 양단 전압(motor supply voltage), I : 모터 전류(motor current), R : 모터 저항값(armature resistance),
    Figure 112007011099876-pat00045
    : 모터 각속도(motor angular velocity), KE : 모터 역기전력(motor back emf constant)
  2. 삭제
  3. 삭제
KR1020030022532A 2003-04-10 2003-04-1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3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532A KR100738451B1 (ko) 2003-04-10 2003-04-1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532A KR100738451B1 (ko) 2003-04-10 2003-04-1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17A KR20040088617A (ko) 2004-10-20
KR100738451B1 true KR100738451B1 (ko) 2007-07-11

Family

ID=3737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5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8451B1 (ko) 2003-04-10 2003-04-1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06B1 (ko) * 2003-07-21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422A (ja) * 1995-09-25 1997-03-31 Nippon Seiko Kk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422A (ja) * 1995-09-25 1997-03-31 Nippon Seiko Kk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17A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10452A1 (en) Position-of-magnetic-pole detecting device and method
JP2006256609A (ja) バッテリ残存容量推定装置
US20060181237A1 (en) Method of stall detection for stepper motor system
US20100109589A1 (en) Brushless motor, brushless motor control system, and brushless motor control method
JPH1084688A (ja) モータの異常状態感知装置及び異常状態感知方法
WO2004019269A3 (en) Position estimation and demagnetization detection of a permanent magnet motor
US7466094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and initial driving method for three-phase motor
US20090289587A1 (en) Apparatus for estimating rotor position of brushless motors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rt-up of brushless motors
JP3183759B2 (ja) 負荷測定装置
TWI735693B (zh) 用於永久磁鐵同步馬達的轉子位置感測系統
US7489096B2 (en) Rotor position detection of a brushless DC motor
KR100738451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US20020125851A1 (en) Rotor position estimation f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s
US5811668A (en) Method of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 DC motor,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method of calculating inductive voltage thereof
US9294023B2 (en) Method or system for minimizing the impact of back EMF sampling for motor resistance profiling
US123348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the anisotrophy of an electric three-phase machine
KR100764206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디씨 모터 각속도추정방법
US20090146597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rotor
KR20080078441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dc 모터 각속도 추정장치
JP2005328635A (ja) スイッチトリラクタンスモータの制御装置
KR102152635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모터의 회전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0382678B1 (ko) 전자 파워 조향 장치의 직류 모터 구동 상태 감지 장치
CN110611473A (zh) 用于确定转子的温度的方法和设备
WO2022201631A1 (ja) モータ制御装置
JPH07213100A (ja) 抵抗変動補償付きセンサレス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4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