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7048B1 - 광 신호를 분리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광 신호를 분리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048B1
KR100737048B1 KR1020027013114A KR20027013114A KR100737048B1 KR 100737048 B1 KR100737048 B1 KR 100737048B1 KR 1020027013114 A KR1020027013114 A KR 1020027013114A KR 20027013114 A KR20027013114 A KR 20027013114A KR 100737048 B1 KR100737048 B1 KR 100737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wavelength
radiation
portion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293A (ko
Inventor
폴 클로커
데이비드 에이치. 레스터
존 에이 테자다
제임스 엠. 플로렌스
Original Assignee
레이던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던 컴퍼니 filed Critical 레이던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4000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3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evanescent wave coupling
    • G02B6/29332Wavelength selective couplers, i.e. based on evanescent coupling between light guides, e.g. fused fibre couplers with transverse coupling between fibres having different propagation constant wavelength dependency
    • G02B6/29334Grating-assisted evanescent light guide couplers, i.e. comprising grating at or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the coupling region between the light guides, e.g. with a grating positioned where light fields overlap in the coupl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4Geodesic lenses or integrated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5Bends, branchings or inters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6Liquid crystal optical waveguides or liquid crysta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gating or modulating between optical wave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31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 G02F1/313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02F1/3132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of directional coupler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83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2B2006/12107G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33Functions
    • G02B2006/12145Swit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2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lateral coupling between contiguous fibre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grating
    • G02F2201/307Reflective grating, i.e. Bragg gr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광 신호 처리 장치는 각각이 도파관으로 기능하는 적어도 2개의 엘롱게이트 코어 영역을 구비하는 클래딩 재료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는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도파관을 포함하는데, 이 도파관들은 이들 도파관 부분들 간의 방사선의 결합을 충분히 가능하게 할 정도의 거리로 근접해서 확장된다. 각각 상이한 파장을 갖는 각각의 성분 신호들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구조물물이 제공된다. 결합부는 각각이 방사선의 투과 상태 및 비투과 상태의 2개의 상태들 중 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외부적으로 제어가능한 스위칭 섹션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파관, 클래딩 재료, 라우팅, 파장, 방사선, 광 신호

Description

광 신호를 분리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ND/OR COMBINING OPTICAL SIGN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OPERATING IT}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광 신호를 사용한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제각기 다른 파장을 각각 갖는 다수의 신호 성분들을 포함하는 광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통신(telecommunication)은 지난 20년 동안 급속도로 발전한 분야로서, 부분적으로는 셀룰러 전화, 팩시밀리 기기, 및 인터넷을 사용하는 컴퓨터 통신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발전이 가속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의 발전 때문에, 더 많은 정보 소통 용량을 갖는 전기통신 장비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되었고, 그에 따라 광 신호의 사용을 통해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에 대해 점진적으로 더 많이 주목하게 되었다.
고밀도 파장 분할 멀티플렉싱(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DWDM)과 같은 기존의 기술의 사용에 있어서는, 전기통신 시스템 내의 단일의 광섬유가 제각기 다른 파장의 많은 광 신호 성분을 자주 전달하게 될 것이고, 각각의 광 신호 성분은 개별적인 전화 통화나 다른 진행 중인 통신의 일부를 전달하는 시 분할 다중(TDM) 신호일 것이다. 광 신호가 이러한 방식으로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광 신호의 역다중화, 광 신호의 다중화, 광 신호의 스위칭을 포함하여, 광 신호를 효율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광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많은 기존의 기술은 복잡하고, 비교적 높은 광학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는 어려운 배열 문제가 있는 조립을 수반한다. 다른 시스템은 광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런 다음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다중화, 역다중화, 및 스위칭과 같은 단계들을 수행한 다음, 전기 신호를 다시 광 신호로 변환한다. 이들 대화를 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비는 신호의 처리에 대한 현저한 딜레이를 유발한다. 이들 모든 장치들은 비교적 고가이다.
소정의 광 결합 또는 시준(collimating)을 제거하기 위해 광 섬유를 퓨징(fusing)하는 것이 고려되어 왔지만,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생산하기 어렵다. 또한, 액정, 버블, 또는 MEMS(micro-electro-opto-mechanical devices)를 이용하는 광 스위치도 고려되었지만, 이들 장치들은 수 밀리초 정도의 낮은 응답 속도를 가지며, 비교적 복잡하고 고가이며 비교적 광 손실이 높은 다수의 광 소자를 전형적으로 필요로 한다.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광학적 신호를 처리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의 개략 단편적 상 면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대체 실시예인 장치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
도 3은 도 1의 장치의 다른 대체 실시예인 장치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
도 4는 도 1의 장치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인 장치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
도 5는 도 1의 장치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인 장치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
도 6은 도 1의 장치의 다른 대체 실시예인 장치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
도 7은 도 1의 장치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인 장치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
도 8-10은 도 1의 장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연속적인 단계가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13은 도 1의 장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연속적인 단계가 다른 과정으로 진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전술한 바로부터, 적어도 전술한 몇몇 문제점을 방지하는 광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음이 인식되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제1 및 제2 도파관과, 결합부를 포함하고, 이 결합부는, 제1 도파관을 통하여 트레블하는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고 결합부에 도달하는 제1 파장의 방사선이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트레블 방향으로 제1 도파관을 트레블링하고 결합부에 도달하는 제1 파장과는 다른 제2 파장의 방사선이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도 록 동작가능하다. 결합부는 상호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1 및 제2 파장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 사이의 결합을 허용할 만큼 충분한 간격으로 충분히 근접한 제1 및 제2 부분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동작가능하여 제1 및 제2 파장 중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결합을 실패하게 하는 한편 제1 및 제2 파장 중 다른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된다: 제1 굴절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1 층을 제공하는 단계; 제1 층 상에 제2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엘롱게이트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2 재료는 소정 파장의 방사선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굴절율과는 다른 제2 굴절율을 가짐-; 및 엘롱게이트 섹션 및 제1 층의 노출 부분 상으로 제2 굴절율과는 다른 제3 굴절율을 가진 제3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3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엘롱게이트 섹션은 각각의 도파관의 코어로 기능하고, 제1 및 제2 층의 재료들은 코어용의 클래딩으로서 기능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10)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이다. 도 1은 개략적이고 정확한 축척으로 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1에서 수직과 수평 치수를 위한 단위의 척도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지적하는 데는 적당하다. 이것은 도 1의 좌측 하부에 있는 양단 화살표들로 표시된 예시적인 치수로부터 명 확히 알 수 있다. 또한, 이 장치(10)는 통신 산업에서 통상 사용되는 종류의 근적외선과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선택되는 치수 및 굴절률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적외선 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 장치(10)는 코어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연장된 세그먼트(13, 14)를 내장한 클래딩 재료(12)를 포함한다. 클래딩 재료(12)는 세그먼트(13, 14) 용으로 사용되는 코어 재료의 굴절률과는 다른 굴절률을 가지며, 세그먼트들(13, 14) 각각은 방사용의 각각의 도파관으로서 기능한다. 도 1에서는 세그먼트들(13, 14)의 단면 형상이 보이지 않지만, 이들 세그먼트 각각은 거의 정사각형인 단면 형상을 갖는다.
기술적으로, 클래딩 재료(12)는 도파관을 정의하기 위하여 세그먼트(13) 또는 세그먼트(14) 코어 재료와 관련하여 필요하다. 그러나,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는 세그먼트들(13, 14) 각각을 도파관이라 칭할 것이며, 관련된 클래딩 재료(12)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겠다.
도 1의 장치(10)는 패시브형의 광학적 역다중화기로서 기능하며, 이는 광 드롭 멀티플렉서(optical drop multiplexer)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의 좌측에 있는 화살표(17)는 도파관(13)에 공급되며 각각 λ1, λ2, λ3의 파장을 갖는 3개의 광 성분 신호를 포함하는 광 입력 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 신호는 본 기술 분야에서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로서 공지되어 있는 타입의 신호일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화살표(17)로 표시된 신호가 3개의 성분을 갖는 신호로서 설명되지만, 성분 신호의 개수는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장치(10)는 모든 다른 파장을 갖는 성분 신호로부터 파장 λ1을 갖는 성분 신호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분리하여, 파장 λ1을 갖는 성분 신호가 화살표(19)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14)을 통해 이동하도록 라우팅되게 하는 한편, 파장 λ2 및 λ3를 갖는 다른 성분 신호는 화살표(18)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13)을 통해 계속 이동하도록 라우팅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10)는, '결합부'로 칭해지며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포함한다. 도파관(13 및 14) 각각은 결합부(26) 내에 배치된 부분을 각각 가지며, 이 부분들은 도 1에서 각각 참조 번호 27과 28로 표시된다. 도파관(13) 및 도파관(14)은, 그들 각각의 부분(27) 및 부분(28)이 서로 병렬이고 또한 비교적 서로 근접하도록 연장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도 1에서, 도파관(13 및 14)의 나머지 부분들은 서로 멀리 이격되어 있다.
도파관의 부분들(27, 28)은 평행하고 충분한 거리만큼 충분히 접근해 있어, 도파관(13, 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동하는 방사는 그 중 다른 것에서 결합될 것이고, 그 다음 원래 도파관으로 되돌아갈 것이다. 도파관의 부분들(27, 28) 사이에 소량의 클래딩 재료(12)가 배치되긴 하지만, 부분들(27, 28) 사이를 통과하는 현존하는 방사에 대해 임의의 현저한 효과를 갖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사실, 부분들이 서로 인접하도록 적절한 거리, 즉 그들 사이의 공간을 선택하면, 도파관(13)에서 100% 방사는 도파관(14)에서 결합될 것이고, 그 다음에 도파관(13)으로 되돌아갈 것이다.
브래그 격자((Bragg grating;36)는 도파관(13) 내에서, 도파관(13)을 통과한 방사의 이동 방향에서 부분(27)을 따르는 방향의 3/4 위치에 배치된다. 격자(36)는 공지된 형태이고, 도 1의 실시예에서, 파장 λ1에서는 방사로 비전달되고, 다른 파장에서는 방사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41)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 파장 λ1, λ2, λ3의 성분을 갖는 광 신호가 도파관(13)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모든 파장에서의 성분들은 도파관(13)으로부터 도파관(14)을 지나기 위해 (42)에서 결합된다. 부분(27, 28)의 길이로 인해, 세 개의 성분들은 도파관(14)으로부터 도파관(13)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그 다음에 보통은 (46)에서 결합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대로, 격자(36)는 파장 λ1에서의 복사에 대해 비투과성(nontransmissive)이나, 다른 파장의 복사에 대해서는 투과성이다. 결과적으로, 격자(36)은 파장 λ2 및 λ3을 갖는 신호 성분에 대해 효과적으로 투명하며, 이런 성분들은 결합되어 도파관(14)으로부터 도파관(13)으로 돌아가서 (46)에서 만나는데, (47)에서 이들은 도파관(13)을 통해서 계속 전달된다.
대조적으로, 브래그 격자(36)가 파장 λ1에서의 신호 성분에 비투과성이기 때문에 격자(36)는 파장 λ1의 성분에 대해 (46)에서의 결합을 실패시키고, 이 성분은 따라서 도파관(14)으로부터 도파관(13)으로 돌아가서 교차되지 않고, 그 대신에 (48)로 표시된 것처럼 도파관(14)을 통해서 계속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도 1의 우측에서, 화살표(18)는 파장 λ2 및 λ3의 신호 성분이 도파관(13)을 통해 진행하는 것의 종료를 나타내고, 반면에 화살표(19)는 파장 λ1 의 신호 성분이 도파 관(14)을 통해서 진행하는 것의 종료를 나타낸다.
도파관(14)은, 도 1에서 결합 영역(26)내에서 도파관(14)의 영역(28)의 시작부를 나타내는, (56)에서 종단 표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파관(14)이 (57)에서의 파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이 영역(28)의 좌측으로 연장되는 추가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추가 영역(57)은 장치(10)의 작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의 장치(10)에 대한 대안적 실시예인 장치(70)의 개략적 부분도이다. 장치(70)는 장치(10)의 모든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특정 요소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장치(70)는 도 1에서 12로 도시된 것과 균등물인 클래딩 재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 클래딩 재료는 명확화를 위해 도 2에서는 생략되고 있다.
도 2의 장치(70)와 도 1의 장치(10)간의 현저한 차이는 장치(10)의 결합부(26)와는 구별되는 결합부(71)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결합부(71)는 도파관(13, 14)의 부분(27, 28) 사이에 배치되어 액정 재료를 담고 있는 영역(72)을 포함하고 있다. 액정 영역(72)은 스위칭부의 역할을 하며, 예시 생략한 공지 유형의 제어 회로에 의해 알려진 방식으로 2개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들 2개의 상태 각각에서, 액정 영역(72)은 서로 상이한 개별 굴절율을 갖는다. 그 결과, 액정 영역(72)은 이들 개별 상태에서의 관심 파장 전체에 대해 각각 투과성 및 비투과성의 상태가 된다. 비록 영역(72)이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액정재이지만, 이 영역은 리튬 니오브산염(lithium niobate)과 같은 기타 광전 스위칭 재료가 그 대안이 될 수도 있다. 만일 리튬 니오브산염이 스위칭부(72)에 사용되었다면, 스위칭부는 1마이크로초 또는 그 이상의 고속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액정 영역(72)이 투과성이 되는 상태에 있다면, 도파관(13, 14)의 부분(27, 28)사이에서 커플링이 가능해지며 장치(70)는 도 1의 장치(10)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정확히 동작할 수 있다. 특히, 광 입력 신호(17)가 각각의 파장 λ1, λ2 및 λ3에서의 3개의 성분을 포함한다면, 결합부(71)는 파장 λ1에서의 성분이 화살표 19로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도파관(14)을 통해 이동하도록, 그리고, 파장 λ2 및 λ3에서의 성분들이 화살표 18로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도파관(13)을 통해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들 3성분의 루트 설정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액정 영역(72)이 관심 대상인 전체 파장에 대해 비투과성인 상태로 설정되면, 모든 파장 λ1, λ2 및 λ3에서의 신호(17)의 성분이 부분(27)로부터 부분(28)로 연결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따라서, 도파관(13)의 부분(27)을 통해 전파시키기 위한 모든 시도가 지속된다. 격자(36)는 파장 λ2 및 λ3에서의 성분들에 대해 투과성이기 때문에, 화살표 18로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도파관(13)을 통한 이동이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격자(36)는 파장 λ1에서의 성분에 대해 비투과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성분은 도파관(13)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지속하지는 않으며, 또한 액정 영역(72)의 현재 상태로 인해 도파관(14)에 진입할 수도 없다. 따라서, 파장 λ1에서의 성분은 도파관(13) 및 도파관(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우 측으로 전파되지 못하므로 화살표 18이나 19 어디에서도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에 반대 방향으로 도파관(13)을 통해 반사되어 이동하는, 즉 도 2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요약하자면, 파장 λ2 및 λ3에서의 성분은 액정 영역(72)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에 상관없이 도파관(13)을 통해 상시 방향이 설정되며 화살표 18에서 나타나게 된다. 또한, 파장 λ1에서의 성분은 다른 성분으로부터 상시 분리되지만, 액정 영역(72)이 그 투과성 상태에 있는 경우 도파관(14)을 통한 전파를 지속하여 화살표 19로 나타나게 된다. 파장 λ1에서의 성분은 액정 영역(72)이 그 비투과성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출력 18 또는 19 중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장치(70)는 다른 파장에서의 성분들로부터 파장 λ1의 성분을 분리하는 것 뿐만 아니라, 파장 λ1에서의 성분의 투과성을 장치(70)의 출력으로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는 스위치의 기능도 한다.
별도로 예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도 2의 장치의 가능한 변형에서는, 도 2의 액정 영역(72)의 좌측 절반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파장에서의 방사 성분들은 도파관(13)의 부분(27)로부터 도파관(14)의 부분(28)으로 결하될 것이다. 다음에 파장 λ1에서의 성분은 어떠한 환경하에서든 도파관(13)으로 다시 연결되는 것이 격자(36)로 인해 방지되므로, 19에서 나타나도록 항상 도파관(14)을 지나게 된다.
변형된 액정 영역(72)이 투과성의 상태에 있다면, 파장 λ2와 λ3에서의 성분은 부분(28)로부터 다시 부분(27)으로 연결되며, 그후,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비견되는 방식으로 18에서 나타나도록 도파관(13)을 지나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변형된 액정 영역(72)이 비투과성의 상태에 있다면, 파장 λ2와 λ3에서의 성분은 부분(28)으로부터 다시 부분(27)으로 연결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 대신에 파장 λ1에서의 성분을 가지며 도파관(14)을 지나게 됨으로써 2개의 성분 전체가 (19)에 나타나게 된다.
도 3은 도 1과 유사한 개략적 상면도이지만, 장치(10)의 또다른 대안적 실시예인 장치(80)를 보여주고 있다. 장치(80)는 도 1에서 참조부호 12로 나타낸 것과 비견되는 클래딩 재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 클래딩 재료는 단순화를 위해 도 3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장치(80)는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몇몇 구조(arrangement)가 어떻게 직렬로 캐스케이드화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장치(80)는 메인 도파관(81)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도파관은 그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3개의 결합부(82-8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결합부(82-84)는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도 1에 26으로 도시된 결합부와 동일하다. 장치(80)는 결합부(82-84)중의 개별부와 각각 연결되는 도파관(86-88)을 더 포함하고 있다. 결합부(82-84)는 3개의 브래그 격자(91-93)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격자는 그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의 메인 도파관(81)내에 배치되어 있다.
격자(91-93)들은 서로 상이한 개별 도파관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된다. 특히, 격자(91)는 파장 λ1의 방사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으로 구성되고, 다른 파장에 대해서는 투과성으로 구성된다. 격자(92)는 파장 λ2의 방사에 대해서는 비투과성 으로 구성되고, 다른 파장에 대해서는 투과성으로 구성된다. 격자(93)는 파장 λ3의 방사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으로 구성되고, 다른 파장에 대해서는 투과성으로 구성된다.
입력 신호(95)가 주 도파관(81) 내로 도입되어, 파장 λ1, λ2, λ3, λ4, 및 λ5 각각의 성분을 포함하면, 결합부(82)는 λ1의 성분을 도파관(86) 내로 라우팅함으로써 분리해 내어, 참조 부호(96)에서 나타나게 된다. 파장 λ2 내지 λ5의 나머지 성분은 결합부(82)에 의해 도파관(81)을 통해 결합부(83)로 계속 이동하도록 라우팅될 것이다. 결합부(83)에 의해 파장 λ2의 성분이 도파관(87) 내로 라우팅되어, 참조 부호(97)에서 나타나게 될 것이다. 파장 λ3 내지 λ5의 나머지 성분은 결합부(83)에 의해 주 도파관(81)을 통해 결합부(84)로 계속 이동되도록 라우팅될 것이다. 결합부(84)는 파장 λ3의 성분을 도파관(88) 내로 라우팅시켜 참조 부호(98)에서 나타나게 될 것이다. 파장 λ4 및 λ5의 나머지 성분 신호는 참조 부호(9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84)에 의해 주 도파관(81)을 따라 계속 이동되도록 라우팅될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10)의 다른 실시예인 장치(110)의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4의 장치(110)는 도 1에서 참조 부호(12)로 도시된 것에 상당하는 클래딩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 클래딩 재료는 명료성을 위해 도 4에서 생략되었다. 도 4의 장치(110)는 주 도파관(111)을 포함하며, 이 도파관(111)은 이격된 위치 관계로 배치된 연속하는 3 개의 결합부(116, 117 및 118)를 포함한다. 결합부(117)는 다른 도파관(121)에 연관되며, 도 1에서 도시된 결합부(26)와 구조적으로 기능적으로 동일 하다. 결합부(117)는 도파관(111) 내에 배치되는 브래그 격자(122)를 포함한다.
결합부(116 및 118) 각각은 결합부(117)와 다소 다르다. 이들 각각은 다 도파관(126)의 각 단부에 연관된다. 결합부(116 및 118) 각각은 브래그 격자 또는 등가의 구조체를 갖고 있지 않다. 결합부(116 및 118) 각각은 결합부(117)의 길이보다 작은 이동 방사 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그 결과, 결합부(116)는 방사가 도파관(111)에서 도파관(126)으로 결합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길지만, 그 방사가 도파관(126)에서 도파관(111)으로 역 결합될 정도로 충분히 길지는 않다. 동일하게, 결합부(118)는 방사가 도파관(126)에서 도파관(111)으로 결합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길지만, 그 방사가 도파관(111)에서 도파관(118)으로 역 결합될 정도로 충분히 길지는 않다.
결합부(116)는 도파관(111)과 도파관(126) 사이에 도 2에 관련하여 상술된 액정 영역(72)과 등가인 액정 영역(127)을 포함한다. 특히, 이것은 각각 대상으로 하는 모든 파장의 방사에 대해 투과성이며 비투과성인 상이한 두 상태 사이에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의 좌측의 화살표 131를 참조하면, 각각의 파장 λ1, λ2 및 λ3의 3개의 성분을 갖는 광 방사가 도파관(111)의 좌측단으로 도입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액정 영역(127)이 비투과 상태인 것이라 가정한다. (131)에서 도파관(111)으로 도입된 방사가 도파관을 전환시키지 않고 결합부(116)를 통해 이동되며, 결합부(117)에 도달될 때까지 도파관(111)을 통하여 지속된다. 결합부(117)는 도 1의 결합부(26)에 대해 상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한 신호 성분을 분리 및 라우트하며, 화살표(13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장 λ1의 성분은 도파관(121)을 통해 이동되도록 라우트되며, 파장 λ2 및 λ3의 나머지 성분들은 화살표(133)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파관(111)을 통해 이동되도록 라우트된다.
이제,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액정 영역(127)이 투과성 상태로 전환된다고 가정한다. 이제, 결합부(116)는 파장 λ1- λ3의 모든 성분들이 결합되어 도파관(126)을 통해 이동되어 결합부(117)를 통과한다. 이들 성분의 신호가 결합부(118)에 도달하면, 신호 모두는 도파관(126)으로부터 도파관(111)으로 역 결합되어 파장 λ1 - λ3의 성분이 133에서 모두 나타난다. 이들 성분중 어느 성분도 결합부(117)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성분도 도파관(121)으로 라우트되지 않으므로 (132)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장치(100)는 제1 및 제2 상태를 갖는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제1 상태에서, 파장 λ1의 신호 성분은 분리되어 (132)에서 나타나며, 다른 모든 파장의 신호 성분은 (133)에서 나타난다. 제2 상태에서, 파장 λ1, λ2 및 λ3의 3개의 모든 성분의 신호는 (133)에서 나타나며, 132에서는 어떠한 성분의 신호도 나타나지 않는다.
도 5는 도 1의 장치(10)의 다른 실시예로서, 장치(150)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를 도시한다. 장치(150)는 도 1에서 참조 번호(12)로 도시된 것과 유사한 클래딩 재료를 포함하지만, 클래딩 재료는 간략화를 위해 도 5에서는 생략되었다. 장치(150)는 주 도파관(151) 및 도파관(151)과 또 다른 도파관(156)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152)를 포함한다. 도파관(156)은 결합부(152)의 길이와 동일한 길 이를 갖는다. 또 다른 결합부(157)는 도파관(156)과 또 다른 도파관(158)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156)는 도 1의 결합부(26)와 구조적 기능적으로 동일하며, 도 1에 도시된 격자와 동일한 브래그 격자(161)를 포함한다. 다른 결합부(157)는 도파관(157)에 결합되는 도파관(156)으로 방사가 이동될 수 있도로 하기에 충분히 길지만, 그 후 방사를 도파관(156)으로 역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는 너무 짧은, 도파관쪽의 유효 길이를 갖는다.
도 5의 좌측의 화살표(162)를 참조하여, 광신호는 도파관(151)의 좌측 말단으로 도입되고, 각 파장 λ1, λ2, λ3의 3개의 성분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광신호가 결합부(152)에 도착하면, 결합부(152)는 도 1의 결합부(26)에 대해 상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성분 신호의 라우팅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파장 λ1, λ2의 성분 신호는 도파관(156), 그 후에 다시 도파관(151)으로 결합되며, 여기서, 파장 λ1의 성분은 도파관(151)으로부터 도파관(156)으로 결합되지만, 격자(161)에 의해 도파관(151)으로 다시 결합되는 것이 방해받는다. 따라서, 파장 λ1의 성분은 결합부(157)에 이르기까지 계속하여 도파관(156) 내에서 전파되며, 도파관(156)으로부터 도파관(158)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파장 λ1의 성분은 결국 화살표(163)로 표시된 것처럼 도파관(158)을 통해 이동하고, 파장 λ2-λ3의 성분은 결국 화살표(164)로 표시된 것처럼 도파관(151)을 통해 이동한다.
도 6은 도 1의 장치의 다른 대체 실시예인 장치(210)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이다. 장치(210)는 도1의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클래딩 재료를 포함하지만, 간 략히 하기 위해서 도6에는 클래딩 재료를 생략한다. 도6의 장치는 광학적 애드/드롭(add/drop) 멀티플렉서(OADM)로 통상적으로 알려진 타입의 장치이다. 장치(210)는 주 도파관(211)과, 그 도파관(211)을 따라가며 이격된 개소들에 제공된 2개의 결합부(213, 214)를 포함한다. 결합부(213)는 도파관(211)과 또다른 도파관(217)을 커플링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결합부(213)는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도 1의 26에 도시된 결합부와 동등하다. 이러한 점에서, 이것은 도파관(211)내에 배치된 브래그 격자(218)를 포함하고 있다.
또다른 결합부(214)는 도파관(211)과 또다른 도파관(223)을 결합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도파관(233)은 도 6의 결합부(214)의 좌단에서 단면을 가지며, 브래그 격자(22)의 이 단면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있다. 브래그 격자(222)는 파장 λ4의 방사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이고 다른 파장의 방사에 대해서는 투광성이다. 결합부(214)는 도파관(211)을 진행하는 광이 도파관(223)으로 결합되고 도파관(211)내로 다시 들어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만, 그 이후에 광이 도파관(211)으로부터 다시 도파관(223)으로 결합되도록 너무 짧지는 않다.
결합부(213)는 선택적으로, 도 2의 액정 영역(72)에 비교될 수 있는 액정 영역(219)을 도파관(211)과 도파관(217) 사이에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부(214)는 선택적으로, 도 2의 액정 영역(72)에 비교될 수 있는 액정 영역(224)을 도파관(211)과 도파관(223) 사이에 포함할 수도 있다.
액정 영역(219 및 224) 둘다는 장치(210)로부터 생략되는 것을 처음부터 가정한다. 또한, 도 6의 왼쪽으로의 화살표(231)를 참조하여, 광신호가 도파관(211) 의 왼쪽 종단으로 유입되고, 각각 λ1, λ2 및 λ3 파장의 3개의 성분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각종의 성분들이 도 1의 결합부(26)에 대해 상기에 언급된 것에 필적하는 방식으로 루트가 정해진 결합부(213)에 광신호가 도달할 때까지, 이 광신호는 도파관(211)을 통해 이동한다. 특히, 파장 λ1 성분은 도파관(211)으로부터 도파관(217)로 연결되고, 격자(218)에 의해 도파관(211)으로 다시 연결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화살표(232)로 나타낸 것처럼 도파관(217)을 따라 계속된다. 대조적으로, 격자(218)이 다른 파장에는 투과성이므로, 파장 λ2 및 λ3의 성분은 도파관(211)으로부터 도파관(217)으로 연결되어 도파관(217)으로부터 도파관(211)으로 다시 연결됨으로써 도파관(211)을 따라 결합부(214)로 계속된다.
화살표(233)로 나타난 광신호는 파장 λ4을 갖고, 도파관(223)을 통해 이동한다. 결합부(214)에서, 도파관(223)으로부터 도파관(211)으로 연결되어 도파관(211)으로부터 도파관(223)으로 다시 연결되는 경향이지만, 브래그 격자(222)는 파장 λ4로의 방사가 도파관(223)으로 다시 연결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도파관(211)은 화살표(234)로 나타난 것처럼, 파장 λ2, λ3 및 λ4의 성분을 전송하는 것으로 끝난다.
상기의 언급에서 도파관(223)은 파장 λ4로 하나의 신호만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도파관(223)은 각각 다른 파장으로 몇몇 성분 신호를 교대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고, 이들 모든 성분들은 도파관(21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부가적인 브래그 격자는 브래그 격자(222)의 인접한 도파관(223)내에 제공될 것이고, 각각 다른 파장으로의 방사에 대해 비투과성인 도 파관(223)내의 각각의 브래그 격자는 (233)에서 도파관(223)으로 유입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액정 영역에 대한 설명에서, 액정 영역(219)이 결합부(213)내에 제공된다면, 파장 λ1의 성분 신호가 도파관(217)으로 루트가 정해지거나 232에 나타나는 것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유사하게, 액정 영역(224)이 결합부(214)내에 제공된다면, 파장 λ4의 성분 신호가 도파관(223)으로부터 도파관(211)으로 연결되거나, 이 성분 신호가 234에 나타나는 것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장치(10)의 또 다른 실시예인 장치(250)의 개략 단편적 상면도이다. 장치(250)는 도 1의 12로 도시된 것과 유사한 클래딩 재료를 포함하지만, 도 7에서의 클래딩 재료는 간략화를 위하여 생략되었다. 장치(250)는 2개의 도파관(251 및 252) 및 2개의 도파관(251 및 252) 사이의 각 부분 사이를 접속시키는 결합부(256)를 포함한다. 처음에는, 결합부(256)가 도 1의 결합부(26)와 유사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2개의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우선, 결합부(256)가 브래그 격자(257)를 포함하더라도, 격자(257)는 결합부(256)로 방사가 진행되는 도파관(251) 내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도파관(252)에 대신 제공된다. 격자(257)는 파장 λ1에서의 방사에 대해 비투과성이 되도록 구성되고, 파장 λ2 및 λ3을 포함한 다른 파장에서의 방사에 대해 투과성이 되도록 구성된다. 두번째 차이점은 결합부(256)는 도파관(251)으로부터 도파관(252)내로의 방사 결합을 하기에 충분히 길지만, 도파관(252)으로부터 도파관(251)으로 다시 방사 결합되기에는 너무 짧은 방사 전달 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도 7의 좌측 상의 화살표(261)에 대해, 광학 신호가 도파관(251)의 좌측 단으로 도입되고, λ1, λ2 및 λ3의 각 파장에서의 3개의 성분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각종 요소로 된 신호는 도파관(251)을 통해 결합부(256)로 전달될 것이다. 격자(257)는 파장 λ1에서의 방사에 대해 비투과성이기 때문에, 파장 λ1에서의 성분은 도파관(251)으로부터 도파관(252)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파장 λ1에서의 성분 신호는 262에서 가리킨 바와 같이 도파관(251)을 따라 이어질 것이다. 반면에, 격자(257)는 파장 λ2 및 λ3 에서의 성분 신호에 대해서는 투과성이며, 따라서 이들 성분 신호는 도파관(251)으로부터 결합부(256)내의 도파관(252)으로 결합될 것이다. 그러나, 결합부(256)는 너무 짧아서 이후 도파관(251)으로 다시 결합될 수 없으며, 화살표 263에서 가리킨 바와 같이 도파관(252)을 통해 이어질 것이다.
도 8-10은 도 1의 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저렴한 공정의 연속 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단면도는 도 1의 섹션 라인(10-10)에 대응한다. 도 8을 참조로 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진 타입의 유리 또는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 평면 기판(301)이 제공된다. 기판(301)은 이하에 설명할 바와 같이 궁극적으로는 클래딩 재료의 일부가 될 것이기 때문에, 도 1의 클래딩 재료(12)에 적합한 굴절율을 갖는다.
그 다음에, 기판(301)의 상부에 예를 들어 피착 또는 그 상부에 스피닝하여 층(302)을 형성한다. 층(302)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타입의 유리 또는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다. 층(302)은, 이하에 설명할 바와 같이 도파관(13 및 14)이 층(302) 으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도 1의 도파관(13 및 14)의 코어 재료에 적합한 굴절율을 갖는다.
즉, 도파관(13 및 14)으로서 기능할 부분 이외의 층(302)의 재료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패터닝된 에치가 층(302)에서 수행된다. 이 에치 공정에 후속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1)의 상부에 도파관(13 및 14)이 남겨진다.
다음에, 도파관(13) 내에 브래그 격자(36)(도 1)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파관(13)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패터닝된 포토리소그래피가 수행된다. 이 공지된 기술은 포토마스크를 적용한 다음에, 자외선 레이저의 광선을 마스크를 통하여 도파관(13)에 방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 마스크는 코어 재료 내의 분자 결합을 변경시켜 격자(36)를 생성시키기 위해 주기적인 방법으로 레이저광을 분포시킨다. 그 후에, 도 10에 도시된 장치를 얻기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구조 상부에 클래딩 오버코트(306)가 도포된다. 클래딩 오버코트(306)는 피착 또는 그 위에 스피닝하는 것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오버코트(306)는 기판(301)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판(301)과 오버코트(306)는 도파관(13 및 14)으로서 기능하는 코어 재료용의 클래딩(12)(도 1)으로서 함께 기능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8 내지 도 10과 연관되어 상술한 공정의 다른 실시예인 저렴한 공정에서의 연속적인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여기에 있어서, 도 11은 도 8의 층(301)으로써 이용하기 위해 상술된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 루어진다. 따라서, 기판(320)은 적합한 굴절율을 포함하여, 클래딩 재료로써 이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기판 내에 그루브(321 및 322)가 형성되어, 기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기판(320) 속으로 개방된다. 그루브(321 및 322)는 크기와 형상에 있어서 도 1의 도파관(13과 14)에 대응한다. 그루브(321 및 322)는, 기판(320)을 에칭함으로써, 또는 열의 적용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뜨거운 롤링 공정을 통하여, 기판(320)의 상부 표면을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후에, 기판(320)의 그루브(321 및 322)는 도 8의 층(302)에 이용되기 위해 상술된 재료와 동일한 재료일 수 있는 다른 유리 또는 폴리머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그루브(321 및 322) 내의 유리 또는 폴리머 재료는 적절한 굴절율을 가져서 도파관의 코어 재료로써 이용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며, 실제로, 그루브(321 및 322) 내의 재료는 도파관(13 및 14)으로서 기능한다. 그루브 내에 놓여지지 않은 임의의 여분의 코어 재료를 제거하기 위하여, 결과 구조의 상부 표면은 공지의 평탄화 기술을 이용하여 평탄화된다.
그 후, 도 9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패터닝된 포토리소그래피를 사용하여 도파관(13) 내에서 브래그 격자(36)(도 1)가 형성된다. 그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래딩 오버코트(326)가 결과 구조 위에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오버코트(326)는 상기 기판(320)과 동일한 유리 혹은 폴리머 재료이며, 퇴적을 통해 혹은 그 위의 스피닝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320) 및 오버코트(326)는 도파관(13 및 14)으로서 기능하는 코어 재료용의 클래딩으로서 함께 기능한다.
상기에서 논의된 각 디바이스에서, 광 입력 혹은 출력 섬유는 예를 들어, 공지된 레이저 퓨징 기술에 의해 도파관의 코어 재료의 단부에 그것을 간단히 퓨징함으로써 개시된 도파관들 중 어느 하나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시준된 광 혹은 다른 복잡한 광 혹은 기계적 어셈블리를 사용할 필요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많은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나의 기술적 장점으로, 도파관 분리에 영향을 주기 위해 브래그 격자와 같은 구조의 조합에서 도파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간단히 접근할 수 있다. 이것은 고밀도 파장 분할 멀티플렉싱(DWDM)과 같은 기술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다른 존재하는 방법에서 발생되는 복잡성 및 정렬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현존하는 구성에서 문제시되는 상기 복잡성 및 정렬은 또한, 비교적 높은 광 손실을 유발시키는 경항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광 손실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간단하다.
본 발명은 광 신호에 대하여 모든 처리를 직접 행할 수 있어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고, 전기 신호를 처리하고 그 후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다시 전환할 필요가 없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전기 및 광 신호 사이의 전환은 느려서, 이들 전환을 피함으로써 본 발명은 고속의 작업 처리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액정 재료, 리튬 니오베이트 등과 같은 전기-광 재료로 이뤄진 스위칭부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광 신호의 처리가 예를 들어 어드레싱가능하거나 혹은 재구성가능한 광 라우터 혹은 애드/드롭 멀티플렉서를 재구성하는 선택적인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어떠한 재료에 대해서는, 본 발명은 다른 광-기계 구조를 가지고 버블, 마이크로 전기 광학 기계 디바이스(MEMS), 혹은 액정 재료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광 스위칭에 대한 임의의 다른 현존하는 기술보다 훨씬 빠른, 대략 1 ㎲ 이하의 상대적으로 빠른 응답 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섬유가 시준된 광 혹은 다른 복잡한 어셈블리용 수단 없이 예를 들어 퓨징함으로써, 디바이스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반도체 웨이퍼 처리용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기술 및 장비를 사용하여, 간단하면서도 고용량으로 빠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몇 개의 선택된 실시예가 상세히 예시되었으나,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4)

  1. 제1 및 제2 도파관과 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하여 트레블하는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제1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트레블 방향으로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해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제1 파장과는 다른 제2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부분 -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인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됨 - 을 각각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및
    상기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동작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결합을 실패하게 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다른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브래그 격자(Bragg grating)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그 격자는 좁은 파장 밴드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파장 결합을 실패시키고, 상기 좁은 파장 밴드의 외부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파장 결합을 허용하며, 상기 좁은 파장 밴드는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상기 하나의 파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파장을 제외시키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그 격자는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삭제
  4. 제1 및 제2 도파관과 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하여 트레블하는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제1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트레블 방향으로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해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제1 파장과는 다른 제2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부분 -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인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됨 - 을 각각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및
    상기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동작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결합을 실패하게 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다른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제1 도파관 내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파장은 상기 제2 파장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파장은 상기 제1 파장이며,
    상기 제1 파장의 상기 방사선은 상기 제1 도파관을 계속하여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제2 파장의 상기 방사선은 상기 제2 도파관을 계속하여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파관 내의 상기 구조물은 브래그 격자를 포함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는 상기 방사선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는 결합하나,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 결합된 방사선이 다시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으로는 결합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그 격자는 상기 제2 도파관 내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파장은 상기 제1 파장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파장은 상기 제2 파장이며,
    상기 제1 파장의 방사선은 상기 제1 도파관을 계속하여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제2 파장의 방사선은 상기 제2 도파관을 계속하여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는 상기 방사선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는 결합하나,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 결합된 방사선이 다시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부분으로는 결합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장치.
  10. 제1 및 제2 도파관과 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하여 트레블하는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제1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트레블 방향으로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해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제1 파장과는 다른 제2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부분 -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인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됨 - 을 각각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및
    상기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동작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결합을 실패하게 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다른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상기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되고, 제1 및 제2 동작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는 스위칭부 -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어느 한 파장의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각각 허가 또는 금지함 - 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브래그 격자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그 격자는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 내에 배치되는 장치.
  13. 제1 및 제2 도파관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하여 트레블하는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제1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트레블 방향으로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해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제1 파장과는 다른 제2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부분 -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인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됨 - 을 각각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및
    상기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동작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결합을 실패하게 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다른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제3 부분 -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중 선택된 하나에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인접하여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중 상기 하나에서 트레블하는 방사선이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3 부분으로의 결합이 허가됨 - 을 포함하는 제3 도파관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 및 제2 도파관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하여 트레블하는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제1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트레블 방향으로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해 트레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제1 파장과는 다른 제2 파장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도파관에서 트레블링하도록 라우팅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부분 -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인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됨 - 을 각각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및
    상기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동작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하나의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결합을 실패하게 하는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다른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이격된 위치를 따라 제3 및 제4 부분을 갖는 제3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파관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각각이 이격되고 대향측에 배치된 제5 및 제6 부분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어느 한 파장을 갖는 방사선이 상기 제5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3 및 제5 부분은 인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어느 한 파장을 갖는 방사선이 상기 제4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6 부분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4 및 제6 부분은 인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5 부분 사이에 구비되고, 제1 및 제2 동작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치될 수 있는 스위칭부 -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어느 한 파장의 방사선의 상기 제3 및 제5 부분 사이의 결합을 각각 허가 또는 금지함 - 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제3 부분을 갖는 제3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4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3 도파관을 투과하는 선택된 파장에서 방사선이 상기 제3 부분에서 상기 제4 부분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3 및 제4 부분은 인접하여 서로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되는 장치.
  16. 제1 및 제2 도파관과,
    제1 및 제2 부분 - 선택된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파장 중 하나를 통하여 트래블하는 방향으로 트래블링하는 방사선이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인접하여 상호 평행하게 미리 정해진 길이로 연장됨 - 을 각각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장치이며,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상기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되고, 제1 및 제2 동작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는 스위칭부 -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선택된 파장의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각각 허가 또는 금지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1 및 제2 동작 상태인 각각의 경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선택된 파장과는 다른 파장에서의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각각 허가 또는 금지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1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동작가능하여 상기 다른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서의 결합을 실패하게 하는 한편 상기 선택된 파장을 갖는 방사선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1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를 통해 트래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선택된 파장에서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도파관에서 트래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을 통해 트래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다른 파장에서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의 도파관을 통해 트래블링하도록 라우팅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1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를 통해 트래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선택된 파장에서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도파관에서 트래블링하도록 라우팅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하나의 도파관을 통해 트래블링하고 상기 결합부에 도달하는 상기 다른 파장에서의 방사선이 상기 결합부를 출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다른 하나의 도파관을 통해 트래블링하도록 라우팅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제1 및 제2 도파관 중 하나에 구비되는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브래그 격자를 포함하는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27013114A 2001-04-30 2002-04-23 광 신호를 분리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 KR100737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46,102 2001-04-30
US09/846,102 US6456765B1 (en) 2001-04-30 2001-04-30 Apparatus for separating and/or combining optical sign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operat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293A KR20040000293A (ko) 2004-01-03
KR100737048B1 true KR100737048B1 (ko) 2007-07-09

Family

ID=2529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114A KR100737048B1 (ko) 2001-04-30 2002-04-23 광 신호를 분리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56765B1 (ko)
EP (2) EP1632798A3 (ko)
KR (1) KR100737048B1 (ko)
CN (1) CN1308714C (ko)
WO (1) WO20020888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617500A0 (en) * 2000-03-10 2000-04-06 Telstra R & D Management Pty Ltd A 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FR2817357A1 (fr) * 2000-11-24 2002-05-31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de commutation optique d'un rayonnement comprenant une surface dotee de guides de rayonnement dont les deux plus petites dimensions sont inferieures aux longueurs d'onde de ce rayonnement
US6718085B1 (en) * 2002-10-07 2004-04-06 Agilent Technologies, Inc. Stable optical switch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20040076363A1 (en) * 2002-10-16 2004-04-22 Schroeder Dale W. Optical switch with increased operational stability
KR100986730B1 (ko) * 2008-11-11 2010-10-08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판 및 그 스크린판의 제조방법
WO2014023804A2 (en) * 2012-08-08 2014-02-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 V. Directional coupler and optical waveguide
CN103197387B (zh) * 2013-04-11 2015-10-07 浙江工业大学 基于光折变长周期波导光栅的光分插复用器
DE102015222328A1 (de) * 2015-11-12 2017-05-18 Baker Hughes Inteq Gmbh Optische Komponen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10197818B2 (en) * 2016-10-24 2019-02-05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hermo-optic optical switch
US10436991B2 (en) * 2017-05-19 2019-10-08 Adolite Inc. Optical interconnect modules based on glass substrate with polymer wavegu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1203A (en) * 1979-05-31 1980-12-15 Ricoh Co Ltd Photocoupling device
JPH0346603A (ja) * 1989-07-14 1991-02-27 Nec Corp 導波形光分波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4427A (en) * 1979-05-07 1984-10-02 Canadian Patents & Development Limited Optical fiber reflective filter
US4737007A (en) * 1986-02-24 1988-04-12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Narrow-band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coupler
US4900119A (en) * 1988-04-01 1990-02-13 Canadian Patents & Development Ltd.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devices using optical directional coupler
US5016967A (en) * 1989-12-26 1991-05-2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ulti-core optical waveguide Bragg grating light redirecting arrangement
US5104209A (en) * 1991-02-19 1992-04-14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Communications Method of creating an index grating in an optical fiber and a mode converter using the index grating
US5271024A (en) * 1992-07-27 1993-12-1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ptical fiber amplifier and laser with flattened gain slope
US5309260A (en) * 1992-12-23 1994-05-03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for forming distributed bragg reflectors in optical media
US5459801A (en) * 1993-10-29 1995-10-17 Rutgers University Coupler used to fabricate add-drop devices, dispersion compensators, amplifiers, oscillators, superluminescent devices, and communications systems
GB9324456D0 (en) * 1993-11-29 1994-01-12 Univ Southampton Waveguide coupler
EP0850430A1 (en) 1995-08-29 1998-07-01 Orroyo Optics Inc. Wavelength selective grating assisted optical couplers
US5875272A (en) 1995-10-27 1999-02-23 Arroyo Optics, Inc.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devices
US5764831A (en) * 1997-04-15 1998-06-09 Institut National D'optique Grating assisted fused fiber filter
JP3183223B2 (ja) * 1997-07-30 2001-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回路
US6002823A (en) * 1998-08-05 1999-12-14 Lucent Techolonogies Inc. Tunable directional optical waveguide couplers
US6360038B1 (en) * 1999-05-12 2002-03-19 Sabeus Photonics, Inc. Wavelength-selective optical fiber components using cladding-mode assisted coupling
JP2001021744A (ja) * 1999-07-07 2001-01-26 Shin Etsu Chem Co Ltd 光導波路基板の製造方法
GB2355078A (en) * 1999-10-07 2001-04-11 Kymata Ltd Waveguide with composite cladding la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1203A (en) * 1979-05-31 1980-12-15 Ricoh Co Ltd Photocoupling device
JPH0346603A (ja) * 1989-07-14 1991-02-27 Nec Corp 導波形光分波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8714C (zh) 2007-04-04
EP1632798A3 (en) 2007-12-19
EP1399778A2 (en) 2004-03-24
EP1632798A2 (en) 2006-03-08
KR20040000293A (ko) 2004-01-03
WO2002088838A2 (en) 2002-11-07
CN1650203A (zh) 2005-08-03
WO2002088838A3 (en) 2003-12-31
US6456765B1 (en) 200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2709A (en) Optical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US6947624B2 (en) MEMS optical latching switch
JP2004239991A (ja) 光機能デバイス
WO2000036446A1 (en)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routers
JP2001154122A (ja) 可動光スイッチング部材を用いた光信号伝達装置および方法
KR100737048B1 (ko) 광 신호를 분리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
JP5471446B2 (ja) 波長選択スイッチ、波長選択装置及び光学モジュール
WO2012121850A2 (en) Adjustable multiple-channel optical switch
JP2004046021A (ja) 光導波路装置、光合波分波装置及び光波長多重伝送装置
JPWO2009060754A6 (ja) 波長フィルタ、波長選択スイッチ、波長選択装置及び光学モジュール
JP3651876B2 (ja) 波長多重光信号の合分波方式
US20170227712A1 (en) Rib type optical waveguide and optical multiplexer / demultiplexer using same
US8055106B2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digital optical switch
US6801690B1 (en) Grating-based wavelength selective switch
JP4350044B2 (ja) 光スイッチ装置
US7796847B2 (en) Electrical stimuli of MEMS devices
TW391088B (en) Wavelength selective switching element
US20050265720A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add/drop system employing optical switches and interleavers
CN1427571A (zh) 光上下路分插复用器件
JP2015043018A (ja) 光信号処理装置
JP4748514B2 (ja) 波長選択スイッチ
US20030016911A1 (en) Random access optical add/drop switch
JP2004126088A (ja) プログラマブル光回路
Ogawa et al. 32ch reconfigurable optical add multiplexer using technique for stacked integration of chip-scale-package PDs on silica-based PLC
JP4680810B2 (ja) 光波長合分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8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8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129

Appeal identifier: 2005101006021

Request date: 2005090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100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6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9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9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100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62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930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08

Effective date: 200701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1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50908

Decision date: 20070129

Appeal identifier: 2005101006021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