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5329B1 -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329B1
KR100735329B1 KR1020060070832A KR20060070832A KR100735329B1 KR 100735329 B1 KR100735329 B1 KR 100735329B1 KR 1020060070832 A KR1020060070832 A KR 1020060070832A KR 20060070832 A KR20060070832 A KR 20060070832A KR 100735329 B1 KR100735329 B1 KR 10073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destination
phone
input wind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철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3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32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처 입력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창에 제1식별자 및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폰 북으로부터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리딩하는 과정과, 상기 리딩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상기 수신처 입력창에 자동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처 즉, 수신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할 때 전화번호의 가입자 번호나 단축번호를 입력하여 간단하게 수신처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리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putting a destination of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nd displaying a destination input window to transmit the data when a user requests a data transmission; and when a first identifier and a shortcut number are input to the input window, a phone book is inputted from the phone book. And reading the tele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number 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read tele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to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puts a destination to which data is to be transmitted, that is, a receiving phone number or an e-mail address, the user can easily input a destination by entering a subscriber number or a shortcut number of the phone number, thereby greatl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hav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DESTINATION IN PORTABLE TERMINAL}How to enter the destination on your mobile device {METHOD FOR INPUTTING DESTINATION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폰 북으로부터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리딩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ading a telephone number including a subscriber number from a phone book in the operation of FIG. 2 in detail.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4 (a) to 4 (d)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시 수신처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putting a destin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facilitating input of a destination during data transmission of a portable terminal.

오늘날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 및 편리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에게 없어 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관리, 메모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Today's portable terminals are indispensable for modern people because of their simplicity and convenience. Such a mobile terminal has a function of inputting a contact, a phone number, a schedule management, a memo, and the like, as well 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o another mobile terminal.

한편, 현재 휴대 단말기에서는 메시지나 이메일, 영상 데이터 등을 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때 사용자가 수신처 즉, 수신인을 지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mobile terminal generally uses the following two methods to specify the destination, that is, the recipient when transmitting a message, email, image data, etc.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첫 번째 방법은 수신처 입력창에 사용자가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모두 입력하는 방법이다.In the first method, the user inputs both a phone number or an e-mail address in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두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메뉴를 통해 폰 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불러오는 방법이다.The second method is to retrieve a 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stored in the phone book through the search menu.

하지만 상기 첫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상기 두 번째 방법은 메뉴를 찾아가는데 몇 단계를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first method wa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enter all the phone numbers, the second method was inconvenient to go through a few steps to go to the menu.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시 수신처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veniently inputting a destination during data transmission of a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처 입력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창에 제1식별자 및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폰 북으로부터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리딩하는 과정과, 상기 리딩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상기 수신처 입력창에 자동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a destina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nd displaying a destination input window to which the data is to be transmitted when a user requests a data transmission; and a first identifier and a shortcut in the input window. If a number is input, the method includes reading a phone number or an e-mail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peed dial number from a phone book, 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read 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to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thod for inputting a dest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메모리(140), 무선송수신부(150) 및 오디오처리부(160)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key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controller 130, a memory 140,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50, and an audio processor 160.

키입력부(11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특수키와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The key input unit 110 has a key matrix structure (not shown) and includes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a special key, various function keys, and an external volume key to control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20)는 LCD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unit 120 may us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o output various displa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20 may store an LCD controller and image data. It is desirable to have a memory and an LCD display element.

또한 표시부(120)는 무선송수신부(150)로 수신되는 각종 정보들을 출력하며, 영상처리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outpu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50, and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n image processor (not shown) and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30.

한편,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2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by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display unit 120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처 입력창을 생성하여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데이터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는 물론, 사용자가 작성한 단문 메시지나 이메일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전자 메일 주소 등도 포함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a data transmiss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destination input window for transmitting the data and displays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120. The data may be not only data stored in the memory 140 but also a short message or an e-mail written by a user. In addition, the destination is preferably a telephone number of a terminal to receive the data, but also includes an e-mail address.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창에 제1식별자 및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폰 북으로부터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리딩하여 상기 입력창에 자동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first identifier and the speed dial number are input to the input window, the controller 130 reads a phone number or an e-mail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peed dial number from the phone book stored in the memory 140 and controls the input window to be automatically input to the input window. .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창에 제2식별자 및 가입자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폰 북으로부터 상기 가입자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리딩하여 상기 입력창에 자동 입력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identifier and the subscriber number are input to the input window, the controller 130 reads out the phone number including the subscriber number from the phone book and controls the automatic input to the input window.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식별자는 "*"키 즉, "*"기호이며, 제2식별자는 "#"키 즉, "#"기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번호는 전화번호의 끝에서 4자리 숫자 즉, 통신사업자 식별번호와 국번을 제외한 나머지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예컨대, 전화번호가 "016-345-6789"이면 가입자 번호는 "6789"가 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dentifier is a "*" key, that is, a "*" symbol, and the second identifier uses a "#" key, that is, a "#" symbol. In addition, the subscriber number means a 4-digit number at the end of the phone number, that is, the remaining phone number except for the carrier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station number. For example, if the telephone number is "016-345-6789", the subscriber number is "6789".

제어부(130)는 무선송수신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50 to transmit the data to a phone number or an e-mail address entered in the input window.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The memory 140 may be configured as a program memory, a data memory, and the like to stor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emory 140 store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한편, 메모리(130)는 단축번호별로 대응되어 이름,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로 구성된 폰 북 데이터를 하기 표 1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mory 130 may store the phone book data consisting of the name, phone number and email address corresponding to each shortcut number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단축번호Shortcut number 이름name 전화번호Phone number 이메일 주소Email Address 000000 AA 016-1234-5678016-1234-5678 abc@daum.netabc@daum.net 001001 BB 016-3333-0000016-3333-0000 def@daum.netdef@daum.net 002002 CC 011-2000-1111011-2000-1111 aaa@daum.netaaa@daum.net 003003 DD 019-900-5656019-900-5656 -- 004004 EE 017-212-3478017-212-3478 123@daum.net123@daum.net

무선송수신부(150)는 RF(Radio Frequency)부로서,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The radio transmitter / receiver 150 is an RF (Radio Frequency) unit, which means a comprehensive component of a high frequency processor, an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or, and a baseband processor, and includes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Responsible for sending and receiving

오디오처리부(16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15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or 160 modulates the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voice data. The audio processor 160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5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

또한 오디오처리부(160)는 무선송수신부(15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덱들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제어부(1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60 may include a codec for converting and playing a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50 into an analog signal 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into a digital audio signal. desirable.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codecs may be separately provided or included in the controller 13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지 체크한다(S110). 상기 데이터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예컨대, 영상 데이터, 폰 북 데이터 등)는 물론, 사용자가 작성한 단문 메시지나 이메일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전자 메일 주소 등도 포함된다.1 and 2,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re is a user data transmission request (S110). The data may be not only data stored in the memory 140 (eg, image data, phone book data, etc.) but also a short message or e-mail written by a user. In addition, the destination is preferably a telephone number of a terminal to receive the data, but also includes an e-mail address.

제어부(130)는 상기 대이터 전송 요청이 있으면 수신처 입력창을 생성하여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 한다(S120). 이 때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처 입력창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re is a request for data transmission,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destination input window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120 (S12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so that a user may input at least one destination.

제어부(130)는 키입력부(110)를 통해 제1식별자 및 단축번호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1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식별자는 "*"키 즉, "*"기호이다. 이 때 상기 제1식별자 및 단축번호는 입력순서에 상관없이 제1식별자가 입력된 후 단축번호가 입력될 수도 있고, 단축번호가 입력된 후 제1식별자가 입력되어도 무방하다.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first identifier and the shortcut number are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S13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dentifier is a "*" key, that is, a "*" symbol. In this case, the first identifier and the shortcut number may be input after the first identifier is input regardless of the input order, or the first identifier may be input after the shortcut number is input.

제어부(130)는 상기 제1식별자 및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메모리(140)의 폰 북에서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리딩한다(S140). 즉, 제어부(130)는 단축번호와 함께 상기 제1식별자가 입력되면 상기 수신처 입력창에 단축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폰 북에 상기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가 모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identifier and the shortcut number are input, the controller 130 reads the stored 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number from the phone book of the memory 140 (S140). That is, when the first identifier is input together with the shortcut number,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shortcut number is input to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In addition, when both the phone number and the e-mail address are stored in the phone book, the controller 130 preferably requests the user to select either the phone number or the e-mail address.

제어부(130)는 상기 리딩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수신처 입력창에 자동 입력한다(S150). 즉, 제어부(130)는 상기 리딩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수조를 상기 수신처 입력창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한다.The controller 130 automatically inputs the read tele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into a destination input window (S150). That is, the controller 130 inputs and displays the read telephone number or e-mail tank into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수신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160).If the user inputs the confirmation key,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data to the input destination (S160).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S130 과정에서 제1식별자 및 단축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2식별자 및 가입자 번호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17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식별자는 "#"키 즉, "#"기호를 사용하며, 상기 제2식별자 및 가입자 번호는 입력순서에 상관없이 제2식별자가 입력된 후 가입자 번호가 입력될 수도 있고, 가입자 번호가 입력된 후 제2식별자가 입력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가입자 번호는 전화번호의 끝에서 4자리 숫자 즉, 통신사업자 식별번호와 국번을 제외한 나머지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Meanwhile, if the first identifier and the shortcut number are not input in step S130,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second identifier and the subscriber number are input (S17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dentifier uses a "#" key, that is, a "#" symbol, and the second identifier and the subscriber number may be input after the second identifier is input regardless of the input order. The second identifier may be input after the subscriber number is input. In addition, the subscriber number means a 4-digit number at the end of the phone number, that is, the remaining phone number except for the carrier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station number.

제어부(130)는 상기 제2식별자 및 가입자 번호가 입력되면 메모리(140)의 폰 북에서 상기 가입자 번호 즉, 전화번호의 끝에서 4자리 숫자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리딩한다(S180). 즉, 제어부(130)는 가입자 번호와 함께 상기 제2식별자가 입력되면 상기 수신처 입력창에 가입자 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180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hen the second identifier and the subscriber number are input, the controller 130 reads the subscriber number, that is, a telephone number including a four-digit number at the end of the telephone number, in the phone book of the memory 140 (S180). That is, when the second identifier is input together with the subscriber number,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subscriber number is input in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The process of S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제어부(130)는 키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제2식별자 및 가입자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폰 북에서 검색한다(S210). 상기 폰 북에는 통신사업자 식별번호와 국번은 상이하나, 가입자 번호가 동일한 전화번호가 있을 수도 있다.When the second identifier and the subscriber number are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the controller 130 searches for a phone number including the entered subscriber number in the phone book (S210). The phone book may have a telephone number different from the service provider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station number but the same subscriber number.

제어부(130)는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적어도 두 개인지 체크한다(S220).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searched phone number is at least two (S220).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한 개이면 검색된 전화번호를 리딩한다(S230).The control unit 130 reads the searched phone number if the searched phone number is one (S230).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적어도 두 개이상이면 상기 검색된 적어도 두 개의 전화번호를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 한다(S240).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화번호 중에서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searched at least two telephone numbers on the display unit 120 if the searched telephone number is at least two (S240).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telephone number from the at least two telephone numbers.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는지 체크한다(S250). 이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전호번호를 모두 선택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30 checks which one of the displayed telephone numbers is selected (S250).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all displayed telephone numbers.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리딩한다(S260). If at least one telephone number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30 reads the selected telephone number (S260).

제어부(130)는 상기 도 3의 과정을 통해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리딩한 후, 리딩된 전화번호를 수신처 입력창에 자동 입력한다(S190).The controller 130 reads the telephone number including the subscriber number through the process of FIG. 3 and automatically inputs the read telephone number into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S190).

이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수신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160).Subsequently, when the user inputs a confirmation key,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data to the input destination (S160).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이다.4A to 4D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도 4(a)는 휴대 단말기가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한 수신처 입력창에 사용자가 제1식별자(예컨대, "*")와 단축번호 "3"을 입력한 화면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4A, FIG. 4A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a user inputs a first identifier (eg, “*”) and a shortcut number “3” in a destination input window generated and displayed by a mobile terminal. .

도 4(a)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휴대 단말기는 폰 북(예컨대, 표 1)에서 상기 단축번호 "3"에 대응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즉, "0199005656"를 리딩하여 도 4(b)와 같이 수신처 입력창에 입력한 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도 4(b)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When the user inputs a confirmation key on the screen of FIG. 4A,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stored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ed dial number "3" in the phone book (for example, Table 1), that is, "0199005656" and FIG. Input it in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as shown in b) and display it. When the user inputs a confirmation key on the screen of FIG. 4 (b),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도 4(c)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처 입력창에 제2식별자(예컨대, "#")와 가입자 번호 "3478"을 입력한 화면을 나타낸다. FIG. 4C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user inputs a second identifier (eg, "#") and a subscriber number "3478" in a destination input window.

도 4(c)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휴대 단말기는 폰 북(예컨대, 표 1)에서 상기 가입자 번호 "3478"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즉, "0172123478"을 리딩하여 도 4(d)와 같이 수신처 입력창에 입력한 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도 4(d)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확인키를 입력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When the user inputs a confirmation key on the screen of FIG. 4 (c), the mobile terminal reads a telephone number including the subscriber number "3478", that is, "0172123478" in the phone book (for example, Table 1), and FIG. Input it in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as shown in) and display it. When the user inputs a confirmation key on the screen of FIG. 4 (d),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처 즉, 수신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할 때 전화번호의 가입자 번호나 단축번호를 입력하여 간단하게 수신처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리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puts a destination to which data is to be transmitted, i.e., a receiving phone number or an e-mail address, the user can easily input a destination by entering a subscriber number or a shortcut number of the telephone number, thereby greatl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It is effective.

Claims (6)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destination inpu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처 입력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Generating and displaying a destination input window to transmit the data when a user requests a data transmission; 상기 입력창에 제1식별자 및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폰 북으로부터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리딩하는 과정과,Reading a 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number from a phone book when a first identifier and a shortcut number are input in the input window; 상기 리딩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상기 수신처 입력창에 자동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폰 북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read tele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into the destination input window.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And the data is data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는 단문 메시지 또는 이메일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And the data is either a short message or an e-m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ading process 상기 입력창에 제2식별자 및 가입자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폰 북으로부터 상기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리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And reading a phone number including the subscriber number from the phone book when a second identifier and a subscriber number are input to the input window.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ading step 상기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상기 폰 북에서 검색하는 단계와,Retrieving a phone number in the phone book including the subscriber number;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가 적어도 두 개일 경우 상기 검색된 적어도 두 개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Displaying the searched at least two phone numbers when the searched phone numbers are at least two; 상기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리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And reading at least one telephone number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displayed telephone number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KR1020060070832A 2006-07-27 2006-07-27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3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32A KR100735329B1 (en) 2006-07-27 2006-07-27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32A KR100735329B1 (en) 2006-07-27 2006-07-27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329B1 true KR100735329B1 (en) 2007-07-04

Family

ID=3850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329B1 (en) 2006-07-27 2006-07-27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32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151A (en)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Message tranceiv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phone terminal
KR20010059872A (en)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method for character input using keypad
KR20030013628A (en) * 2001-08-08 200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of e-mail using a short dialing in mobile phone
KR20050045035A (en) * 2003-11-10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xecuting of multi abbreviated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060129735A (en)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151A (en)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Message tranceiv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phone terminal
KR20010059872A (en)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method for character input using keypad
KR20030013628A (en) * 2001-08-08 200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of e-mail using a short dialing in mobile phone
KR20050045035A (en) * 2003-11-10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xecuting of multi abbreviated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20060129735A (en)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663B1 (en)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872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recipient for transmission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US20070263843A1 (en) Communication identifier list configuration
EP1950939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managing communication history
KR101253161B1 (en) Method for transmiting of messag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0308663B1 (en) Message transmitt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phone terminal
KR100621194B1 (en)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KR10033863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35329B1 (en)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JP4493617B2 (en) Telephone
US750274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850991B1 (en) Method for input receiver number of messaging services using shortening dial
KR101195305B1 (en) Method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record of mobile terminal
KR100754655B1 (en)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606766B1 (en) How to handle short messages
KR100839838B1 (en) How to send a short message
KR100863442B1 (en) How to input incoming phone number
KR100591820B1 (en) Text message managemen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phone book
KR200401102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hort message using phone book
KR20040041862A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using priority
KR100881219B1 (en) Phone number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function number and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KR2006006103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orting function by name of short message and its method
KR100662102B1 (en) Portable terminal with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KR100874096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specific ke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50024597A (en) Method of SMS transmission by receiver's n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