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194B1 -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1194B1 KR100621194B1 KR1020040010881A KR20040010881A KR100621194B1 KR 100621194 B1 KR100621194 B1 KR 100621194B1 KR 1020040010881 A KR1020040010881 A KR 1020040010881A KR 20040010881 A KR20040010881 A KR 20040010881A KR 100621194 B1 KR100621194 B1 KR 1006211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rch
- character
- information
- user terminal
- search wor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721701 Lyn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내의 통화기록 저장소, 주소록에 구분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통합하여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작 초기 상태에서 임의의 숫자가 입력되면, 숫자에 상응하는 복수의 검색어(예를 들어, 숫자, 한글 문자, 영어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통화기록 저장소 및 주소록에 상응하여 저장된 저장 정보 중 검색 대상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입력된 숫자 표시 영역 하단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는 단지 몇 개의 숫자만을 입력하여 사용자 단말기 내의 다양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를 한꺼번에 검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tegrating and retrieving phone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a call log storage and an address book in a user terminal. When an arbitrary number is input in an initial state of operation, a plurality of search wor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for example, User terminal that recognizes numbers, Korean characters, and English characters) and searches the search target information among the stor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log storage and address book by using the recognized search word and displays the search result at the bottom of the input number display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storage device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and a user may input only a few numbers to retrieve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various storages in the user terminal at once.
휴대폰, 전화번호, 검색, 주소록, 통화기록 저장소Mobile phone, phone number, search, address book, call history storag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method for retrieving storage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ne number retrieval method using a stor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도.3A is an external view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3B and 3C are exemplary diagrams of a screen display showing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검색 결과 화면을 예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information search result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화면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screen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사용자 단말기100: user terminal
105 : 안테나부105: antenna unit
110 : 무선 송수신부110: wireless transceiver
115 : 음성 처리부115: voice processing unit
120 : 송수화부120: handset
125 : 저장부125: storage unit
130 : 키 입력부130: key input unit
135 : 표시부135: display unit
140 : 검색어 인식부140: query recognition unit
145 : 검색 수행부145: search performer
150 : LED 구동부150: LED driver
155 : 전원 공급부155: power supply
160 : 제어부160: control uni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기에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수행에 관련되어 저장된 정보를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capable of collectively retrieving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execu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 the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과학 기술의 발전과 경제 수준의 향상은 이동 중에도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을 가속화하였다.Advances in technology and economic growth have accelerated the dissemination of mobile terminals that can make phone calls on the go.
최근 제조 판매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종래의 전화 통화 기능 외에도, 주소록 기능, 단문 메시지(SMS)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실시간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더 포함하고 있다. Recently manufactured and sol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telephone call function, and further include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address book function, SMS messaging function,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real-time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이중 대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활용하고 있는 기능 중 하나가 주소록 기능이라 할 것이다.One of the functions used by most mobile terminal users is called an address book function.
주소록 기능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관리하고자 하는 타인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저장한 후, 필요한 시점마다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The address book function is a function for all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o store a name, phone number, etc. of another person that he / she wants to manage, and then search and use it whenever necessary.
예를 들어, 당해 사용자가 임의의 수신자에게 전화 통화를 하고 싶지만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 주소록 기능을 실행한 후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전화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make a phone call to a certain recipient but does not know the recipient's phone number, the user may attempt to make a phone call by executing the address book function and searching the recipient's phone number.
이와 같이, 주소록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자유롭게 검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종래의 방법은 “번지”로 검색하는 방법과 “이름”으로 검색하는 방법이 있다. As such, the phone number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address book function may be freely retriev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 general, there are conventional methods for searching stored phone numbers by searching by "address" and searching by "name".
먼저, “번지”로 검색하는 방법은 주소록 기능(즉, 주소록 기능 중 “번지로 찾기”기능)을 실행하여 단말기 표시부에 저장된 모든 이름 및 전화번호가 디스 플레이되면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해 상하좌우의 방향키를 이용해 각각의 번지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들을 순차적으로 검색하거나 숫자키를 입력하여 해당 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이다.First, search by “address” is performed by executing address book function (that is, “search by address” function of address book function), and when all names and phone numbers stored in the terminal display are displayed, up, down, left and right to search the desired phone number. By using the direction keys of to search the phone number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address sequentially or by entering a numeric key to search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address.
다음으로, “이름”으로 검색하는 방법은 주소록 기능(즉, 주소록 기능 중 “이름으로 찾기”기능)을 실행하여 이름을 입력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입력 공간에 검색하고자 하는 이름(예를 들어, 홍길동)을 입력하여 검색 요청하면, 입력된 이름에 상응하여 저장된 모든 전화번호가 검색되어 단말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방법이다.Next, search by “name” can be done by executing the address book function (that is, the “Find by name” function of the address book function) to search for a name (for example, Hong Gil-dong) in a predetermined input space so that a name can be entered. If a user requests a search by entering), all phone numbers stored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name are searched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은 단말기내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검색을 원하는 사람의 이름을 입력함에 있어 문자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많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hone number search method described above takes a lot of time to search for a desired phone number when there are too many phone numbers stored in the terminal, and is not familiar with text input in inputting a name of a person who wants to search. Those who did not have a lot of inconvenience.
또한, 상술한 종래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영역이 주소록으로 한정되어 있어, 검색 결과로서 제시되는 정보의 양이 제한되어 있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lephone number search method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in that an area in which a user can search a telephone number is limited to an address book,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presented as a search result is limited.
또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주소록 등의 검색 공간으로 진입하고 검색어를 입력하여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 등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유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ke a call to a receiver who does not remember the telephone number, the user must enter a search space such as an address book, enter a search word, search for the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then perform a complicated phone call. There was this. In addition, even if a user wants to search for a received message or the lik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form similar steps.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화걸기 초기화면(즉, 전화통화를 위한 초기화면)에서 임의의 숫자를 입력한 경우, 상응하는 정보가 화면상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관련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별도의 공간에 접속할 필요가 없는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at when the user enters a random number on the initial dialing screen (that is, the initial screen for the telephone call), so tha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A storage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in a user terminal that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 separate space to retrieve related information,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는 단지 몇 개의 숫자만을 입력하더라도 사용자 단말기 내의 다양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가 한꺼번에 검색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such that even if a user inputs only a few numbers,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various storages in the user terminal are retrieved and displayed at once.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숫자 정보인 경우에도 자동으로 문자 정보로 변환되어 상응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that can be converted into text information and search for and display corresponding information even whe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numeric information.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내에 저장된 정보 중 임의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완전한 형태의 검색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패턴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정확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an accurate search result using a pattern analysis technique even when a user does not recognize a complete search word capable of searching for arbitrary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 storage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are provide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내의 통화기록 저장소, 주소록에 구분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통합하여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통화기록 저장소는 수신 및 발신 전화번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저장소임-, 동작 초기 상태에서 임의의 숫자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숫자에 상응하는 복수의 검색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기록 저장소 및 상기 주소록에 상응하여 저장된 저장 정보 중 검색 대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여 검색된 하나 이상의 검색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정보의 통합 검색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저장 정보의 통합 검색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는 상기 입력된 숫자 표시 영역과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 영역으로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retrieving the integrated phone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call log storage, the address book in the user terminal-wherein the call log storage is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 A storage for temporarily storing a number, wherein an arbitrary number is input in an initial state of operation; Recognizing a plurality of search wor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Searching for search target information among stor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log storage and the address book using the search word; And displaying a search result including at least one search target information searched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on a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the integrated search method of the stored information. A system, apparatus and a record carrier are provided for enabling this.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the input numerical display area and the search result area for displaying the search result.
상기 검색어는 상기 숫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키 버튼에 상기 숫자에 상응하도록 표시된 임의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rch word may include the letter and any letter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n a key button of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기록 저장소 및 상기 주소록에 상응하여 저장된 검색 대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기록 저장소에 임시로 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 상기 숫자를 포함하는 임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arching of the search target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call log storage and the address book using the search word may include: a temporary telephone including the number among phone numbers temporarily stored in the call log storage using the number; The number may be searched.
또한, 상기 숫자에 상응하는 복수의 검색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숫자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한글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문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키 버튼에 상기 숫자와 함께 표시된 임의의 한글 문자임-; 및 상기 한글 문자를 초성으로 포함하는 검색 대상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조건을 상기 검색어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gnizing of the plurality of search wor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may include: recognizing a predetermined Hangul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wherein the character is any Hangul displayed with the number on a key button of the user terminal. Character; And recognizing a search condition for searching for search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the Hangul characters as the search word.
그리고, 상기 입력된 숫자가 두자리 수 이상의 숫자인 경우, 각각의 숫자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각각의 한글 문자의 순서적 조합에 상응하는 초성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검색 대상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조건을 상기 검색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input number is two or more digits, the search condition for searching for search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a combination of initial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n ordered combination of each Hangul character predetermined to correspond to each number is described. It may be characterized by the recognition as a search word.
상기 검색 대상 정보는 상기 통화기록 저장소에 저장된 임시 전화번호 및 상기 주소록에 상응하여 저장된 검색 대상 이름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대상 이름은 상기 주소록에 상기 검색 대상 이름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등록 전화번호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arch target information includes a temporary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call log storage and a search target nam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ddress book, and the search target name corresponds to a registered phone number stored in the address book to correspond to the search target name. It may be characterized by.
상기 저장 정보의 통합 검색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저장소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문 메시지들 중에서 발신인 정보에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검색 대상 단문 메시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대상 단문 메시지를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retrieval method of the store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short message storage for storing the short message by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search target short tex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corresponds to the sender information among one or more short messages stored in the short message storage. Retrieving the message; And including the search target short message in the search result.
그리고, 상기 검색어는 상기 숫자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키 버튼에 표시된 영어 문자들 중 임의의 영어 문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숫자에 상응하는 복수의 검색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숫자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임 의의 영어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어 문자를 포함하는 검색 대상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조건을 상기 검색어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rch word may further include any English letter among English letters displayed on a key button of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recognizing a plurality of search wor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may include: Recognizing any pre-specified English characters correspondingly; And recognizing a search condition for searching for search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the English letter as the search word.
상기 검색 결과 중 임의의 검색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통화버튼이 선택되면 상응하는 전화번호로 전화통화가 시도되도록 할 수 있다.If a call button is selected while any search item is selected from the search results, a phone call may be attempted to a corresponding phone number.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내의 통화기록 저장소, 주소록에 구분되어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통합하여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통화기록 저장소는 수신 및 발신 전화번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저장소임-, 동작 초기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숫자와 와일드 문자가 입력되는 단계-여기서,상기 와일드 문자는 * 버튼, # 버튼, 메뉴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택시 입력됨-; 상기 숫자 및 와일드 문자에 상응하는 복수의 검색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기록 저장소 및 상기 주소록에 상응하여 저장된 저장 정보 중 검색 대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여 검색된 하나 이상의 검색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정보의 통합 검색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저장 정보의 통합 검색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는 상기 입력된 숫자 표시 영역과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 영역으로 분할되어 표시되고, 상기 와일드 문자는 상기 검색 대상 정보와 상기 검색어의 패턴 일치 판단을 위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ntegrating and retrieving a call record storage and a phone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an address book in a user terminal, wherein the call log storage temporarily stores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At least one number and a wild character are input in an initial state of operation, wherein the wild character is input when at least one of a * button, a # button, and a menu button is selected; Recognizing a plurality of search wor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and wild characters; Searching for search target information among stor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log storage and the address book using the search word; And displaying a search result including at least one search target information searched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on a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the integrated search method of the stored information. A system, apparatus and a record carrier are provided for enabling this.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the input number display area and the search result area for displaying the search result, and the wild character may be used to determine pattern matching between the search target information and the search word. have.
또한, 상기 숫자와 상기 와일드 문자가 제1 숫자, 와일드 문자, 제2 숫자의 순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숫자, 임의의 숫자 및 상기 제2 숫자의 순서로 이루어진 숫자열을 포함하는 임의의 저장 정보와, 상기 제1 숫자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문자, 임의의 문자 및 상기 제2 숫자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문자의 순서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포함하는 임의의 저장 정보가 상기 검색 대상 정보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and the wild character are input in the order of the first number, the wild character, and the second number, any of the numbers including the sequence of the first number, the arbitrary number, and the second number The search target information may include any stored information including stored information and a string consisting of a character designated in advan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number, an arbitrary character and a character specified in advan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number. Can b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mean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method of retrieving storage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안테나부(105), 무선 송수신부(110), 음성 처리부(115), 송수화부(120), 저장부(125), 키 입력부(130), 표시부(135), 검색어 인식부(140), 검색 수행부(145), LED 구동부(150), 전원 공급부(155)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0)는 주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나, 도 1의 특징적인 일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검색어 인식부(140), 검색 수행부(145) 등)가 부가된 컴퓨터, 개인 휴대 장치(PDA)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물 론, 도 1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예를 들어, 검색어 인식부(140), 검색 수행부(145) 등)는 반드시 하드웨어 구성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됨으로써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Referring to FIG. 1, the
안테나부(105)는 무선 송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전송 신호(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등)를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으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송수신부(110)로 전달한다.The
무선 송수신부(110)는 안테나부(105)와 결합되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신호(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를 수신하여 송수화부(120) 또는 저장부(125)로 전달하고, 송수화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 및/또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키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 선택 신호 등을 안테나부(105)를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음성 처리부(115)는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송수화부(1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또한 송수화부(12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무선 송수신부(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송수화부(120)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한다. 마이크는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수단이고, 스피커는 안테나부(105)를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타 사용자의 음성 등을 출력하는 수단이다. The
저장부(125)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사용자 단말기(100)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관련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일련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전화번호 등), 사용자 개인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단문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등), 최근 통화기록(즉, 최근 발신 전화번호, 최근 수신 전화번호) 등을 저장한다. 물론, 저장부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는 독립된 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키 입력부(130)는 복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수신자에 대한 전화번호,통합 검색을 위한 검색 정보(예를 들어, 숫자 정보) 등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 입력부(130)의 기능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능과 하기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표시부(135)는 키 입력부(130)의 입력에 따른 동작 상태, 통합 검색을 위한 검색 정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 현재 시각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35)는 예를 들어 액정 화면일 수 있다.The
검색어 인식부(140)는 키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검색 정보(예를 들어, 숫자 정보)에 상응하는 검색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걸기 초기화면(즉, 전화통화를 위한 초기화면으로서, 예를 들어 배경 이미지가 표시된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숫자를 입력한 경우 전환되는 화면)에 “846”이라는 숫자를 입력한 경우, 이를 이용하여 검색어 ‘846’,‘ㅅㄱㄷ’,‘ㅅㄱㅌ’,…,‘ㅎㄱㄷ’,…,‘TGM’등의 검색어를 생성한다.입력된 숫자에 상응하 는 문자를 각 숫자버튼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의 숫자키 ‘4’는 한글 문자 ‘ㄱㅋ’,영문자 ‘GHI’와 대응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보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각각의 키버튼에 이미 표시되어 있다. The search
검색 수행부(145)는 검색어 인식부(140)에 의해 인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전화걸기 초기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검색 수행부(145)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저장된 전화번호(즉, 최근 통화기록 저장소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 해당 숫자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검색(예를 들어, 입력된 숫자가 ‘123’인 경우,‘016-123-4567’등을 검색)하고, 검색어 인식부(140)에 의해 인식된 한글문자를 이름의 초성으로 하여 상응하는 인명정보 및 전화번호를 검색(예를 들어, 인식된 한글문자가 ‘ㅎㄱㄷ’인 경우 ‘홍길동’및 홍길동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며, 또한 인식된 영문자를 이용하여 저장된 이메일을 검색(예를 들어, 인식된 영문자가 ‘abc’인 경우 발신인 이메일 주소가 ‘abc101@ktf.com’을 검색)한다. 물론, 이외에도 검색 수행부(145)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 중 입력된 숫자 정보 또는 인식된 한글문자, 영문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더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정보들을 전화걸기 초기화면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The
LED 구동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화호가 착신된 경우 사용자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LED(도시되지 않음)를 점멸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전원 공급부(155)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155)는 예를 들어 배터리(Battery)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 태양전지 등일 수 있다.The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전화걸기 초기화면에 임의의 숫자를 입력한 경우, 입력된 숫자, 해당 숫자에 상응하는 한글문자 및/또는 영문자를 이용하여 저장부(125)의 다양한 저장소(예를 들어, 최근 통화기록, 주소록 또는 전화번호부, 단문메시지, 이메일, 즐겨찾기 등)에 저장된 정보를 통합 검색하여 표시부(135)에 표시할 수 있도록 안테나부(105), 무선 송수신부(110), 음성 처리부(115), 송수화부(120), 저장부(125), 키 입력부(130), 표시부(135), 검색어 인식부(140), 검색 수행부(145), LED 구동부(150) 및 전원 공급부(155)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user inputs a random number on the initial dialing screen,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a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도이며,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ne number retrieval method using a stor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n external view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GS. 3B and 3C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 showing a phone number search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동작 초기 상태로 전환한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동작 초기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전원을 온(On)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플립을 오픈한 경우나 폴더를 연 경우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동작 초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일반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5)에는 현재 시각 정보, 날짜 정보, 요일 정보와 배경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동작 초기 상태에서 마이메뉴 버튼(301)을 선택하여 마이메뉴(my menu)를 설정하거나, 전화번호부 버튼(303)을 선택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수신자 정보를 검색하거나 새로운 수신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소리/진동 버튼(305)을 선택하여 벨 설정 또는 진동 설정을 할 수 있으며, 멀티메일 버튼(307)을 선택하여 편지 쓰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화버튼(309)을 선택하여 최근 통화기록(발신 번호 및/또는 수신 번호)을 확인하거나 키버튼(130b)을 이용하여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309)을 선택함으로써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기능 수행 도중(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실행 상태)에서는 당해 마이메뉴 버튼(301), 전화번호부 버튼(303), 소리/진동 버튼(305) 및 멀티메일 버튼(307)은 방향키로서도 동작할 수 있다. 물론, 당해 특수 기능키(즉, 마이메뉴 버튼(301), 전화번호부 버튼(303), 소리/진동 버튼(305) 및 멀티메일 버튼(307))의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 이동통신 단말기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Referring to FIG. 2, in
단계 215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숫자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동작 초기 상태에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전화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만일 임의의 숫자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210에서 대기한다.In
그러나, 임의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화기록 저장소(즉, 최근 발신 번호 및/또는 수신 번호가 저장되는 임시 저장소)에서 입력 된 숫자를 포함하는 임시 전화번호를 검색한다(단계 220). 예를 들어, 통화기록 저장소에 발신번호로서 “011-123-4567”,“016-359-5527”과 수신번호로서 “02-321-5500”이 저장되어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4”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011-123-4567”을 검색한다.그리고, 단계 225로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된 숫자에 상응하는 문자를 검색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숫자 “4”에 대응하는 문자가 “ㄱ,ㅋ,G,H,I”로 미리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However, when an arbitrary telephone number is input, the
그리고, 단계 23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계 225를 통해 인식된 문자를 이름의 초성으로 하여 저장되어 있는 수신자 및 저장 전화번호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저장된 수신자 정보가 “홍길동, 019-223-4567”,“김태호, 02-123-9745”이고 입력된 숫자가 “4”인 경우 인식된 문자는 “ㄱ,ㅋ”이므로 “김태호, 02-123-9745”에 상응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물론, 입력된 숫자에 상응하여 인식된 영문자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정보는 모두(즉, 초성으로 제한하지 않고)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수신자 정보가 “STEVEN, 016-365-5017”,“JOHN, 010-985-1764”이고 입력된 숫자가 “4”인 경우, 인식된 문자는 “G,H,I”이므로 “JOHN, 010-985-1764”에 상응하는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In
도 2의 단계 220 내지 단계 230에는 통화기록 저장소, 주소록의 순서로 검색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복수의 저장소에 대해 동시에 검색이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복수의 저장소에 대한 각각의 검색 순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lthough the search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call log storage and the address book in
이후 단계 235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계 220 내지 단계 230을 통해 임시 전화번호 및/또는 저장 전화번호가 검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검색된 경우 단계 240으로 진행하여 검색된 정보를 표시부(135)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단계 245로 진행한다. 그러나, 임시 전화번호 및 저장 전화번호가 모두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245로 즉시 진행한다. Thereafter, in
단계 245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숫자가 추가로 또는 새로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숫자가 추가로 또는 새로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215로 다시 진행한다.In
이제까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화번호 검색 과정은 도 3b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phone number search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3B to 3C.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각각의 저장소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는 아래의 표 1에 상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3B and 3C, it is assumed that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each store corresponds to Table 1 below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표 1.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Table 1. Stored phone number information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아무런 키버튼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표시부(135)에는 동작 초기 상태(310)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Referring to FIG. 3B, when the user does not input any key button, the screen of the operation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숫자 “8”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전화걸기 초 기화면(320)으로 전환하면서 표시부(135)에 입력된 숫자 “8”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된 숫자 “8”및 숫자 “8”에 상응하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한다. 숫자 “8”에 상응하는 검색어는 숫자 “8”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한글문자(즉,“ㅅ,ㅎ”) 및 영어 문자(즉, “T,U,V”)이며, 숫자 정보는 통화기록 저장소에서 상응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이고, 상응하는 문자는 주소록에서 상응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로 이용된다. 즉, 통화기록 저장소에 저장된 임시 전화번호들 중 숫자 “8”을 포함하는 임시 전화번호(예를 들어, 011-823-4567, 02-253-0128 등)를 검색(330a)하고, 주소록에 저장된 이름 정보 중 “ㅅ,ㅎ,T,U,V”를 포함하는 이름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 홍두깨, 성민이)를 검색(330b)하는 것이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puts the number “8”,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number “8” input on the
그리고, 검색된 전화번호 정보 및/또는 이름 정보를 전화걸기 초기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한다. 해당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은 각 저장소별로 검색된 정보를 집합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검색된 정보는 각 저장소 표시 영역 내에 검색된 차례대로 표시하거나 사전의 기재 순서대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검색된 정보가 너무 많은 경우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면상에는 저장소 폴더와 검색 수량만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특수 기능키를 이용하여 특정 폴더를 선택한 경우,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서브 폴더(예를 들어, 친구목록, 가족목록 등)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earched phone number information and / or name information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initial dialing screen.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search result may collectively display the information searched for each of the stores, and the search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search in each store display area or in the order of a prior description. Of course, if there is too much searched information, only the storage folder and the search quantit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o facilitate the user's selection. If the user selects a specific folder by using a special function key, detailed information is displayed or the subfolder is displayed. (E.g., friends list, family list, etc.) may be displayed.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검색 정보로 특수 기능키를 이용하여 이동한 후, 통화버튼(309)을 선택함으로써 전화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를 전화걸기 초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320 내지 340)을 각각 독립된 단계처럼 도시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사용자가 특정 숫자를 입력한 순간 검색 결과가 표시부(135)에 디스플레이된다. In this way, the user can move to a certain search information using a special function key, and then try to make a phone call by selecting the
이제까지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검색 결과 표시 방법은 하나의 숫자만이 입력된 경우로서 표시되는 검색 결과가 지나치게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보다 간결하고 정확하게 표시하고자 하여 하나의 숫자를 더 입력한 경우를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when only one number is input, the search result displayed may be too many. Therefore, a case in which the user inputs one more number in order to display the search result more concisely and accuratel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C.
사용자가 숫자 “8”을 입력하고 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상태(360)에서 숫자 “4”를 추가로 입력한 경우(370)를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화기록 저장소에서 숫자 “84”를 포함하는 전화번호(예를 들어, 016-842-1234 등)를 검색하고, 주소록에서 숫자 “84”에 상응하는 문자(즉, “ㅅㄱ”,“ㅅㅋ”,“ㅎㄱ”,“ㅎㅋ”,“TG”등)에 상응하는 초성 배열을 가지는 이름(예를 들어, “박수근”,“살쾡이”,“홍길동”등)을 검색(380a, 380b)한다. 그리고, 검색된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전화걸기 화면의 검색 결과 표시 화면을 갱신(390)한다. 이때, 검색되는 이름은 반드시 이름의 첫 글자부터 해당 초성 배열을 가지지 않더라도 해당 초성 배열만을 순서대로 가지면 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화면 390을 통해 표시되는 검색 결과는 화면 370을 통해 표시된 검색 결과 중 일부의 검색 결과일 것(예를 들어, 저장된 정보 중 숫자 8을 포함하는 1차 검색 결과내에서 숫자 84를 포함하는 2차 검색 결과)은 자명하다. 다만, 예시로서 제시된 화면 370 및 화면 390간의 검색 결과의 일부 불일치가 존재하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 방법이 다양한 저장소의 정보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음을 표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Suppose a user inputs the number “8” and additionally inputs the number “4” while the corresponding search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60 (370). 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에 상응하여 다양한 저장소에 분산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실시간 검색하여 화면상에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주소록 등)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홍길동”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자 할 때 전화걸기 초기화면에서 이름의 초성 “ㅎㄱㄷ”에 상응하는 숫자 “846”을 입력함으로써 족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application (for example, an address book, etc.) to search for a phone number by displaying a phone number distributed and stored in various stor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entered by the user in real time. There is no need to run it. That is, the user is satisfied by inputting the number “846”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ㅎㄱㄷ” of the name in the initial dialing screen when searching for the phone number of “Hong Gil Dong”.
이제까지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통화기록 저장소 및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전화번호 이외의 정보까지 함께 검색하여 표시하는 방법과 검색 화면을 설정하는 방법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retrieving the stored information in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method of retrieving the phone numbers stored in the call log storage and the address book. However,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various repositories may be searched and displayed in an integrated manner. Hereinafter, a method of search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ther than a telephone number and a method of setting a search scree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검색 결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화면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information search result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screen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걸기 초기화면에 입력된 숫자에 상응하는 정보를 단문 메시지 저장소, 이메일 저장소, 즐겨찾기(예를 들어, 웹브라우져의 즐겨찾기) 등에서도 함께 검색하여 각 영역별로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입력된 숫자에 상응하는 문자를 초성으로 또는 이메일 주소 내에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방향키(예를 들어, 상술한 특수 기능키)를 이용하여 표시된 검색 결과 중에서 원하는 검색 항목으로 이동한 후, 통화버튼 또는 웹 접속 버튼 등을 이용하여 통화 시도 또는 웹 접속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아래 방향키를 이용하여 특정 항목으로 이동한 후 오른쪽 방향키를 선택함으로써 상세 정보(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보기, 이메일 내용 보기)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결과를 표시함에 있어 각 검색 항목이 어떤 영역에서 검색되었는지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응하는 아이콘, 저장영역 명칭 등 중 하나 이상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entered on the initial dialing screen is also searched for in a short message store, an e-mail store, a favorite (for example, a favorite in a web browser) and displayed for each area. You may.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number is displayed by searching for information including the initial or e-mail address. Then, the user moves to a desired search item among the search results displayed by using the direction key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special function key) of the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수신자에 상응하는 정보를 최소한의 단계에 의해서도 통합하여 검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선 인터넷 이용시의 웹 접속 편의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In this way, a user can not only search and integ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ceiver with a minimum of steps, but also facilitate web access whe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또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메뉴 설정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된 숫자 정보에 상응하여 어떤 저장소를 검색할 것인지, 표시 순서 및 표시 형태는 어떻게 할 것인지를 지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designate which store to search, display order, and display form according to the input numeric information using the menu setting screen shown in FIG. 5.
검색 대상, 표시 순서 및 표시 형태를 지정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specifying a search object, a display order, and a display form will be described below by way of example.
먼저, 사용자는 검색 화면 설정 메뉴에서 임의의 검색 대상 항목으로 위/아래 방향키를 이용하여 이동한 후, 검색 대상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경우 숫자 “0”을 눌러 체크 표시(즉, 검색 대상에 포함)를 수행하고, 표시 순서를 지정하기 위해 숫자키를 입력한다. 이후, 임의의 숫자에 대한 검색 결과가 너무 많은 경우 검색 결과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저장소, 그룹 등에 상응하는 서브폴더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숫자 “0”을 눌러 체크 표시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브 폴더를 이용하지 않을 때 검색되는 검색 결과가 50개라면 해당 검색 결과들이 차례대로 나열되어 표시되나, 서브 폴더를 이용하면 “주소록 (25), 통화기록 (20), 문자 메시지(4), 이메일(1)”등으로 단순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임의의 폴더를 선택하면 해당 폴더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만이 차례대로 나열되어 표시되거나 서브 폴더(예를 들어, 친구그룹(15), 가족 (10))를 이용하여 다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지정한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First, the user moves to any search target item in the search screen setting menu by using the up / down arrow keys, and if it is to be included in the search target by pressing the number “0”, that is, included in the search target. And enter the numeric keys to specify the display order. After that, when there are too many search results for a random number, if a user wants to use a subfolder corresponding to a storage, a group, etc. so as to simplify the search result, the check mark is displayed by pressing the number “0”. For example, if a user does not use a subfolder and the search results are 50, the search results are listed one after the other. When using a subfolder, “Address Book (25), Call Log (20), Text Messages (4), e-mails (1) ”, etc., and when a folder is selected, only the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that folder are listed one after another, or a subfolder (for example, a friend group ( 15), family (10) can be used to display again. Then, by selecting the OK button, the user can save the specified setting.
이제까지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 초기 상태에서 임의의 검색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상응하는 검색 결과를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So far, the method of displaying a corresponding search result on the same screen by inputting one or more numbers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search word in an initial state of operation of the
상술한 방법들은 대부분 입력된 숫자 또는 당해 숫자에 상응하는 문자들의 순서적 조합에 따라 일치하는 저장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들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기록 저장소에 저장되어있는 “011-123-4567”이라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0”,“01”또는 “456”등의 등의 숫자를 입력하면 족하고,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홍길동”의 전화번로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ㅎㄱㄷ”,“ㅎㄱ”또는 “ㄱㄷ”등에 상응하는 숫자인 “846”,“84”또는 “46”등을 입력함으로써 족하다. 물론, 상술한 예는 각 문자의 순서적 배열이 적용되어 검색하 는 경우이나, 검색시 순서적 배열이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ㅎㄱ”에 상응하는 문자 “84”가 입력된 경우에 “홍길동”뿐 아니라 “김홍도”,“김명희”등을 더 검색할 수도 있다. Most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relate to a method of retrieving matching st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input number or an ordered combination of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For example, in order to search for the telephone number “011-123-4567” stored in the call log storage, a user enters a number such as “0”, “01” or “456”, and enters the address book. To search the stored phone number of “Hong Gil-dong”, it is enough to enter “846”, “84” or “46” which correspond to the number such as “ㅎㄱㄷ”, “ㅎㄱ” or “ㄱㄷ”.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example may be applied when the ordered arrangement of each character is applied or may not be applied when searching. For example, if the letter “84” corresponding to “ㅎㄱ” is entered, “Hong Gil-dong” as well as “Kim Hong-do” and “Kim Myung-hee” can be searched more.
그러나, 상술한 경우와 달리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확실한 기억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수신자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주소록에는 “홍길동, 011-123-4567”로 저장되어 있으나, 사용자는 해당 수신자의 이름이 “홍길동”임을 기억하지 못하고, “홍동동”인지 “홍말동”인지 혼동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홍동동”에 상응하는 숫자인 “866”이나 “홍말동”에 상응하는 숫자인 “806”을 입력하더라도 원하는 정보인 “홍길동”의 전화번호를 찾을 수 없게 된다. However, unlike the above-described case, the user may not be able to securely remember the information to be searched. For example, although the actual user wants to search, the address book of the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원하는 검색 결과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와일드 문자(예를 들어, *, #)를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ld characters (for example, * and #) may be applied in such a case so that the desired search result can be easily found.
즉,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수신자의 이름 전체 또는 전화번호의 연결된 부분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숫자 또는 문자와 연결되지 않은 와일드 문자를 사용자 단말기(110)의 전화걸기 초기 화면에 숫자와 함께 입력하는 것이다. 이때 와일드 문자 “*”는 임의의 한글자에 대응되는 것으로, 와일드 문자 “#”는 한글자 이상의 글자들에 대응되는 것으로 미리 지정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remember the entire name of the receiver or the connected part of the telephone number to be searched, a wild character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number or letters is inputted together with the number on the initial dialing screen of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주소록에 저장된 “홍길동, 011-123-4567”을 검색하고자 하지만, 해당 이름 중 가운데 글자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홍동동”, “홍말동”등)에는 “홍0동”에 상응하는 숫자인 “8*6 ”을 입력하면, “홍길동, 011-123-4567”이 검색되어 검색되어 표시부(135)에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홍동동”, “홍말동”의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함께 검색되어 디스플레이된다.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search “Hong Gil-dong, 011-123-4567” stored in the address book of the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주소록에 저장된 “엘리자베스, 016-555-8888”을 검색하고자 하지만, 해당 이름 중 처음 글자와 마지막 글자만을 기억하는 경우에는 “엘000스”에 상응하는 숫자인 “0#8”을 입력하면 “엘리자베스, 016-555-8888”이 검색되어 표시부(135)에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엘지스”,“멜로디스”등의 정보들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숫자에 대응되는 문자이고, 또한 와일드 문자의 규칙을 만족하기 때문에 함께 검색되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search for "Elizabeth, 016-555-8888" stored in the address book of the
또한, 이제까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 초기 상태에서 입력한 하나 이상의 숫자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함에 있어, 입력된 당해 숫자, 당해 숫자에 상응하는 한글 문자, 당해 문자에 상응하는 영어 문자 등이 검색을 위한 검색어에 해당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In addition, in performing a search using one or more numbers inputted by the user in the initial operation state of the
그리고, 당해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입력된 당해 숫자를 이용하여 통화기록 저장소를 검색하고, 당해 숫자에 상응하는 한글 문자 및 영어 문자를 이용하여 주소록, 단문 메시지 저장소, 이메일 저장소, 즐겨찾기 저장소 등을 검색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즉, 입력된 숫자 자체는 통화기록 저장소에 임시로 저장된 임시 전화번호의 검색시에만 사용되는 것처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설명 방법은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임의로 구분한 것에 지 나지 않으며, 당해 숫자 자체를 이용하여 주소록, 단문 메시지 저장소, 이메일 저장소 등을 더 검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는, 이름은 모르지만 전화번호의 일부만 아는 경우 주소록에서 검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는 발신인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단문 메시지 저장소에는 당해 단문 메시지의 발신인으로 이름이 아닌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메일을 발송한 발신인의 아이디가 숫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performing a search using the search word, the call log storage is searched using the inputted number, and the address book, the short message storage, the email storage, and the like using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his article focuses on how to search the favorite repository. That is, the input number itself is described as used only when retrieving the temporary phone number temporarily stored in the call log storage. However, the above-described explan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arbitrarily divid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it is obvious that the number itself can be further searched for an address book, a short message store, an e-mail store, and the like. This means that if you don't know the name but know only part of the phone number, you'll need to search the address book, and if the sender who's not stored in the address book sends a short message, the short message store will list the phone number as the sender of the short message. Because it will be. This is because the ID of the sender who sent the e-mail may include a number.
다만, 이름의 초성 배열과 전화번호에 포함된 숫자가 일치하는 경우(예를 들어, 홍길동, 011-123-0846)에는 중복되는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경우로서 사용자의 신속한 확인이 곤란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만을 표시(예를 들어, 주소록에 기재된 이름으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어떤 저장소를 우선할 것인지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initial arrangement of names and the numbers included in the phone number match (for example, Hong Gil-dong, 011-123-0846), duplicate search results are displayed.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only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of (e.g., display on the display with the name described in the address book).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et which storage to be prioritized by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화걸기 초기화면(즉, 전화통화를 위한 초기화면)에서 임의의 숫자를 입력한 경우, 상응하는 정보가 화면상에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관련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별도의 공간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an arbitrary number on the initial dialing screen (i.e., the initial screen for a telephone call), a method for retrieving the stored information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are corresponding.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eliminating the need to access separate spaces to retrieve relat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는 단지 몇 개의 숫자만을 입력하더라도 사용자 단말기 내의 다양한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가 한꺼번에 검색되어 표시되 도록 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inputs only a few number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various stores in the user terminal to be searched and displayed at on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숫자 정보인 경우에도 자동으로 문자 정보로 변환되어 상응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numeric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text information to search for and display correspond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내에 저장된 정보 중 임의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완전한 형태의 검색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패턴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정확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obtain an accurate search result using a pattern analysis technique even when the user does not recognize a complete search word capable of searching for arbitrary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2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0881A KR100621194B1 (en) | 2004-02-19 | 2004-02-19 |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0881A KR100621194B1 (en) | 2004-02-19 | 2004-02-19 |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459A KR20050082459A (en) | 2005-08-24 |
KR100621194B1 true KR100621194B1 (en) | 2006-09-13 |
Family
ID=3726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0881A KR100621194B1 (en) | 2004-02-19 | 2004-02-19 |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119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67869A1 (en) * | 2010-11-16 | 2012-05-24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
US8515984B2 (en) | 2010-11-16 | 2013-08-20 | Microsoft Corporation | Extensible search term suggestion engine |
US10073927B2 (en) | 2010-11-16 | 2018-09-1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Registration for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
US10346479B2 (en) | 2010-11-16 | 2019-07-0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1145B1 (en) * | 2006-06-05 | 2013-06-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
KR100782504B1 (en) * | 2006-07-24 | 2007-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Integrated search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WO2008025126A1 (en) * | 2006-09-01 | 2008-03-06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Integrated dialing |
WO2008056845A1 (en) * | 2006-11-06 | 2008-05-15 | Dreamsoft Co., Ltd | Data retrieval method, mobile terminal and system |
KR101582152B1 (en) * | 2009-06-23 | 2016-0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04
- 2004-02-19 KR KR1020040010881A patent/KR10062119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67869A1 (en) * | 2010-11-16 | 2012-05-24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
US8515984B2 (en) | 2010-11-16 | 2013-08-20 | Microsoft Corporation | Extensible search term suggestion engine |
US9037565B2 (en) | 2010-11-16 | 2015-05-1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
US10073927B2 (en) | 2010-11-16 | 2018-09-1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Registration for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
US10346478B2 (en) | 2010-11-16 | 2019-07-0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Extensible search term suggestion engine |
US10346479B2 (en) | 2010-11-16 | 2019-07-0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459A (en) | 2005-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50017B2 (en) | Phone dialer with advanced search feature and associated method of searching a directory | |
US8271020B2 (en) | Cellular telephon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 |
EP2140667B1 (en) |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earching items of different types | |
EP1924064B1 (en) | Portable telephone | |
JP2004536499A (en) | Communication reference by partial character string input in communication device | |
KR10048722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recipient for transmission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 |
KR100621194B1 (en) | A method for retrieving stored information in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 |
US8069189B2 (en) | Portable terminal | |
JP4889803B2 (en) | mobile phone | |
KR100581827B1 (en) | How to retrieve phone number of mobile terminal | |
KR100881219B1 (en) | Phone number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function number and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 |
KR20040041862A (en) |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using priority | |
JPH10190812A (en) | Electronic telephone directory an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KR100735329B1 (en) | Destination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 |
CN101512464A (en) | Method for accessing contact information | |
JP2005175721A (en) | Telephone number search method and telephone directory | |
KR20010048013A (en) | Method for classficating kinds of tele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JP2005278048A (en) | Port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JPH1174961A (en) | Abbreviated number registration device | |
KR20050078963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phone number list in terminal and the same | |
KR20050112678A (en) | Method for searching phonebook | |
KR20060110967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earch function using initials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20050004402A (en) |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for mobile phone | |
KR20060010443A (en) | Phone Number Search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07312A (en) | How to Accumulate Phone Numbers of Mobile Phon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