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2866B1 -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866B1
KR100732866B1 KR1020010001029A KR20010001029A KR100732866B1 KR 100732866 B1 KR100732866 B1 KR 100732866B1 KR 1020010001029 A KR1020010001029 A KR 1020010001029A KR 20010001029 A KR20010001029 A KR 20010001029A KR 100732866 B1 KR100732866 B1 KR 10073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main body
stopper
sea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884A (ko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희원밀레니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원밀레니엄(주) filed Critical 희원밀레니엄(주)
Priority to KR102001000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866B1/ko
Priority to PCT/KR2001/001811 priority patent/WO2002034637A1/en
Priority to AU2002212790A priority patent/AU2002212790A1/en
Publication of KR2002005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을 강화시켜 내압이 작용하는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실링 작용이 증대되며, 사용이 편리하고, 입을 대로 마시는 부위에 손이나 기타 다른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개방이 가능하게 하여 위생적인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독성물질이 저장되는 용기인 경우 손을 대기 않고 내용물을 따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와 본체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와, 상기 본체의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끼워지고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용기입구와의 사이에 기밀작용을 수행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씌워지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체용기, 마개, 캡, 고압용기마개, 밀봉캡

Description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cap of storage vess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용기입구 4 : 본체
8 : 회전부재 10 : 작동부재
12 : 보호캡 20 : 격벽
28 : 실링부재 30 : 립부
32 : 삽입홈 34 : 돌기
46 : 가이드홀 50 : 돌출부
본 발명은 유체용기의 개폐 작용을 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할 때 입을 대고 먹는 부위에 손을 댈 필요가 없어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탄산유체 등 내압이 작용하는 물질의 밀폐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용기용 마개는 마개를 유체용기에서 분리한 후 유체를 마시는 일반적인 타입과, 마개가 유체용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방하여 입을 대고 마시는 타입 등이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용기마개가 용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배출구를 개방하여 입을 대고 마시는 타입의 용기마개로서, 용기입구(102)에 나사형태로 돌려서 결합되고, 상측으로 그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그 끝부분에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본체(104)와, 상기 본체(104)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중앙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08)가 형성되는 밀봉캡(110)과, 상기 밀봉캡(110)의 외주면에 씌워지고 보호 캡(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4)는 개방되는 상측 중앙에 원형돌기(1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형돌기(114)의 둘레방향으로 개구되어 유체가 배출된다.
상기 밀봉캡(110)은 그 상측 둘레면에서 연장되어 손으로 잡고 뽑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16)가 형성되고, 그 중앙측에 상기 원형돌기(114)가 끼워져 밀봉 작용하고 원형돌기(114)가 이탈되면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8)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4)의 상측 둘레면에는 걸림돌기(118)가 형성되고 밀봉캡(110)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118)와 걸림 작용되는 스톱퍼(120)가 형성되어 밀봉캡(110)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를 마실 경우 보호캡(112)을 벗겨낸 후 손으로 밀봉캡의 손잡이부(116)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면 본체의 원형돌기(114)에서 밀봉캡의 배출구(108)가 이탈되면서 유체용기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저장된 유체가 배출구(108)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유체 용기용 마개는 밀봉캡의 배출구와 본체의 원형돌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만 밀봉이 되기 때문에 탄산 유체 등 내압이 작용하는 유체용기의 마개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보호캡을 벗겨낸 후 밀봉캡의 손잡이부를 손을 잡고 당겨서 배출구를 개방시키고, 밀봉캡에 입을 대고 마시기 때문에 위생상 불결한 상태에서 유체를 마시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나 야외에서 운동 및 작업 후에 불 결한 손으로 밀봉캡을 당겨야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성을 강화시켜 내압이 작용하는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실링 작용이 증대되며, 사용이 편리한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입을 대로 마시는 부위에 손이나 기타 다른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개방이 가능하게 하여 위생적인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독성물질이 저장되는 용기인 경우 손을 대기 않고 내용물을 따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와 본체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와, 상기 본체의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끼워지고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용기입구와의 사이에 기밀작용을 수행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씌워지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2)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4)와, 이 본체(4)의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6)가 형성되는 회전부재(8)와, 상기 회전부재(8)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회전부재(8)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작동부재(10)와, 상기 본체(4)의 상측에 씌워지며 회전부재(8)를 회전시키는 보호캡(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4)는 용기입구(2)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장착부(16)와, 상기 장착부(16)의 상측으로 그 직경이 장착부(16)에 비해 작게 연장되는 작용부(18)와, 상기 장착부(16)와 작용부(18) 사이에 형성되고 중앙에 유체가 배출되는 관통홀(24)을 갖는 격벽(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16)는 용기입구(2)와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26)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26)는 성형 작업시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강제 빼기식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장착부(16)의 하측에는 용기와 마개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5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스커트(56)는 마개에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입구(2)에 고정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장착부(16)에서 뜯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작동부재(10)가 끼워지는 관통홀(24)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24)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작동부재(10)에 밀착되는 돌출부(5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2)가 접촉되는 부위에 기밀 작용을 하는 실링부재(28)가 부착된다.
상기 관통홀(24)은 작동부재(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각형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관통홀(24)은 작동부재(10)의 회전을 방지토록 작동부재(10)가 걸림되는 십자형태 또는 육각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실링부재(28)는 격벽(20)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용기입구(2)의 상측면과 밀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러버 타입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러버 타입 이외에 본체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는 립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립 타입 실링부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0)의 둘레방향으로 립부(30)가 돌출되는 형태로 본체(4)와 일체로 성형되어 용기입구(2)를 밀착시키면 립부(30)가 격벽(20)에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8)는 본체 작용부(18)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 통로 역할을 하는 배출구(6)에는 상기 작동부재(10)가 나선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측면은 외측 둘레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본체 작용부(18)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부재(8)의 상측면에는 상기 보호캡(12) 회전시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보호캡(1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32)에 삽입되는 돌기(34)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부재(8)는 본체 작용부(1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부재(8)의 외측면에는 걸림턱(36)이 형성되고, 본체 작용부(18)의 내측면에는 띠홈(38)이 형성되어, 회전부재(8)가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본체 작용부(18)에 끼워진다.
상기 작동부재(10)는 상기 격벽(20)의 안쪽면에 밀착되어 밀봉작용을 하는 원형의 밀봉시트(40)와, 상기 밀봉시트(40)의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둘레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8)의 배출구(6)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나선부(42)와, 상기 나선부(42)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6)에 삽입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기밀돌기(4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나선부(42)는 그 길이방향으로 유체가 통과하는 가이드홀(46)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46)은 격벽(20)의 관통홀(24)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그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직경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24)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밀봉시트(40)는 그 외측 둘레방향으로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돌출부(50) 둘레방향으로 끼워져 기밀 작용을 한다.
상기 보호캡(12)은 회전부재(8)의 상측면에서 씌워지도록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이며, 그 외측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되고, 보호캡(12)을 회전시키면 회전부재(8)도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측면에 회전부재(8)의 돌기(34)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12)이 닫혀 있을 때 본체(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캡(12)의 하단 내주면에는 걸림돌기(60)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60)가 끼워져 걸림되도록 본체(4)의 외주면에 걸림홈(62)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캡(12)은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보호캡(12)을 손으로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호캡의 삽입홈(32)에 삽입된 회전부재(8)의 돌기(34)가 걸림되어 회전부재(8)가 같이 회전된다.
이때, 회전부재(8)는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36)이 본체의 띠홈(38)에 걸림되기 때문에 이탈되지 않고 회전운동만 이루어진다.
그러면, 회전부재(8)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작동부재(10)가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나선부(42)가 회전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작동부재(10)는 그 둘레측이 관통홀(24)에 걸림된 상태에서 회전부재(8)와 나선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와 같이, 작동부재(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부재의 밀봉시트(40)와 격벽(20) 사이에 벌어지면서서 유체가 배출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기밀돌기(44)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출구(6)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캡(12)을 벗겨낸 후 유체 저장용기에 일정 힘을 가하 거나 유체용기를 기울이면 유체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배출구(6)를 통해 배출된다.
즉, 유체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체는 작동부재의 밀봉시트(40)와 격벽의 관통홀(24)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고 작동부재의 가이드홈(46)을 따라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배출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마개와 용기 사이에 스커트부를 형성하여 마개와 용기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와 용기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밀봉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밀봉 성능을 강화시키고, 내압이 작용하는 용기의 마개로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범위를 보다 폭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캡을 회전시켜 저장용기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회전부재의 상측면에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아도 되므로 위생성능을 향상시키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와 본체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와, 상기 본체의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끼워지고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용기입구와의 사이에 기밀작용을 수행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씌워지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측에 스커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의 입구에 나선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용부와, 상기 장착부와 작용부 사이에 형성되고 중앙에 유체가 배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격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홀은 밀봉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입구가 접촉되는 부위에 기밀 작용을 하는 실링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격벽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용기입구의 상측면과 밀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러버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격벽의 둘레방향으로 본체와 일체로 립부가 둘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입구를 밀착시키면 립부가 격벽에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 저장용기용 마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유체 통로 역할을 하고 상기 작동부재가 나선 방식으로 결합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측면은 외측 둘레방향으로 본체 작용부에 삽입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측면에는 상기 보호캡 회전시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보호캡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그 하측에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밀착되도록 상측으로 그 둘레면이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밀봉시트와, 상기 밀봉시트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나선부와, 상기 나선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배출구의 밀봉작용을 하는 밀봉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에 일정 틈새를 두고 끼워짐과 아울러 유체가 배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1020010001029A 2000-10-27 2001-01-08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Expired - Fee Related KR10073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29A KR100732866B1 (ko) 2001-01-08 2001-01-08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PCT/KR2001/001811 WO2002034637A1 (en) 2000-10-27 2001-10-26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everage vessel
AU2002212790A AU2002212790A1 (en) 2000-10-27 2001-10-26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everage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29A KR100732866B1 (ko) 2001-01-08 2001-01-08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884A KR20020059884A (ko) 2002-07-16
KR100732866B1 true KR100732866B1 (ko) 2007-06-27

Family

ID=2769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0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2866B1 (ko) 2000-10-27 2001-01-08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95A (ko) * 2018-04-18 2019-10-28 김명호 압력 개폐식 정량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979B1 (ko) * 2015-08-25 2016-09-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체 튐 방지 장치
KR101855948B1 (ko) * 2017-07-10 2018-05-09 김명호 2웨이 체크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KR101855954B1 (ko) * 2017-07-10 2018-05-09 김명호 2웨이 덕빌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CN115818008A (zh) * 2022-12-19 2023-03-21 昆山家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厨房级食品类瓶装密封盖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5488U (ko) * 1977-12-15 1979-07-05
JPS56135450U (ko) * 1980-03-14 1981-10-14
JPS6062058U (ja) * 1983-09-30 1985-04-30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液体容器のキヤツプ装置
JPS60175058U (ja) * 1984-04-26 1985-11-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キヤツプ
JPH06321247A (ja) * 1993-04-30 1994-11-22 Dainippon Printing Co Ltd 注出口
JPH07330009A (ja) * 1994-06-08 1995-12-19 Nifco Inc キャップ
JPH0912025A (ja) * 1995-06-28 1997-01-14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カートンの注出口
KR970009587A (ko) * 1995-08-03 1997-03-27 한충열 소스내장형 국수, 그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5488U (ko) * 1977-12-15 1979-07-05
JPS56135450U (ko) * 1980-03-14 1981-10-14
JPS6062058U (ja) * 1983-09-30 1985-04-30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液体容器のキヤツプ装置
JPS60175058U (ja) * 1984-04-26 1985-11-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キヤツプ
JPH06321247A (ja) * 1993-04-30 1994-11-22 Dainippon Printing Co Ltd 注出口
JPH07330009A (ja) * 1994-06-08 1995-12-19 Nifco Inc キャップ
JPH0912025A (ja) * 1995-06-28 1997-01-14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カートンの注出口
KR970009587A (ko) * 1995-08-03 1997-03-27 한충열 소스내장형 국수, 그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495A (ko) * 2018-04-18 2019-10-28 김명호 압력 개폐식 정량캡
KR102136588B1 (ko) * 2018-04-18 2020-07-22 김명호 압력 개폐식 정량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884A (ko) 200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851A (en) Dripless faucet for beverage containers
ES2367570T3 (es) Cierre de recipiente del tipo de empuje-tracción.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US4383623A (en) Dispensing closure with stationary axial plug
KR200361671Y1 (ko) 화장 크림 용기
RU2481259C2 (ru) Нажимно-вытяжной затвор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питья
CN1232771A (zh) 饮料容器的盖体
KR200265059Y1 (ko) 용기 마개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CN107249996A (zh) 具有按钮开口的容器
US20100108724A1 (en) Twist open/twist close Closure
US7641065B2 (en) Canteen
KR100732866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960031292A (ko) 탄산수 병뚜껑
US7513388B2 (en) Retractable straw device
CA2422684A1 (en)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US3007614A (en) Dispenser closure
WO2009028809A2 (en) Tubular receptacle having retractable outlet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WO2001049583A1 (en)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osure receptacle for fluid
KR100755035B1 (ko) 유체 용기용 마개
KR200145564Y1 (ko)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KR20080100019A (ko) 용기마개
JP2009525924A (ja) 容器用の分与閉鎖体
KR100755036B1 (ko) 유체 용기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0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