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866B1 - Stopper for Fluid Storage Containers - Google Patents
Stopper for Fluid Storage Contai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2866B1 KR100732866B1 KR1020010001029A KR20010001029A KR100732866B1 KR 100732866 B1 KR100732866 B1 KR 100732866B1 KR 1020010001029 A KR1020010001029 A KR 1020010001029A KR 20010001029 A KR20010001029 A KR 20010001029A KR 100732866 B1 KR100732866 B1 KR 1007328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fluid
- main body
- stopper
- sea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을 강화시켜 내압이 작용하는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실링 작용이 증대되며, 사용이 편리하고, 입을 대로 마시는 부위에 손이나 기타 다른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개방이 가능하게 하여 위생적인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독성물질이 저장되는 용기인 경우 손을 대기 않고 내용물을 따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tainer with internal pressure to enhance the airtightness, the sealing effect is increased, it is convenient to use,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without using a hand or other tools to the drinking area as you wear Therefore, the hygienic point has an excellent effec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ntainer in which toxic substances are stored, the purpose of providing a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which can improve safety by following the contents without waiting for a hand.
이러한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와 본체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와, 상기 본체의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끼워지고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용기입구와의 사이에 기밀작용을 수행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씌워지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opper for the fluid storage container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fluid is stored and the upper side is open, the skirt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secure the container and the main body, and rotates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rotat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is formed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an operating member fitted to the outlet of the rotating member and moved up and down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container, and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the sealing member for performing an airtight ac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container is cover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tective cap for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유체용기, 마개, 캡, 고압용기마개, 밀봉캡Fluid container, cap, cap, high pressure container cap, sealing cap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사시도이고,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 A-A선의 단면도이고,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일부 단면도이고,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사용 상태도이다. 6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용기입구 4 : 본체 2: container entrance 4: main body
8 : 회전부재 10 : 작동부재 8: rotating member 10: operating member
12 : 보호캡 20 : 격벽 12: protective cap 20: bulkhead
28 : 실링부재 30 : 립부 28: sealing member 30: lip portion
32 : 삽입홈 34 : 돌기32: insertion groove 34: protrusion
46 : 가이드홀 50 : 돌출부
46: guide hole 50: protrusion
본 발명은 유체용기의 개폐 작용을 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할 때 입을 대고 먹는 부위에 손을 댈 필요가 없어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탄산유체 등 내압이 작용하는 물질의 밀폐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that opens and closes a flui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does not need to touch the mouth when the mouth is opened, thereby improving hygiene and easily sealing a material such as a carbonated fluid with an internal pressure. It relates to a stopper for the fluid storage container made.
일반적으로 유체 용기용 마개는 마개를 유체용기에서 분리한 후 유체를 마시는 일반적인 타입과, 마개가 유체용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방하여 입을 대고 마시는 타입 등이 주로 사용된다. Generally, a stopper for a fluid container is a general type of drinking a fluid after separating the stopper from the fluid container, and a type of drinking by opening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while the stopper is attached to the fluid contai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for a fl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의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용기마개가 용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배출구를 개방하여 입을 대고 마시는 타입의 용기마개로서, 용기입구(102)에 나사형태로 돌려서 결합되고, 상측으로 그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그 끝부분에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본체(104)와, 상기 본체(104)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중앙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08)가 형성되는 밀봉캡(110)과, 상기 밀봉캡(110)의 외주면에 씌워지고 보호 캡(112)으로 구성된다. Conventional fluid storage container stopper is a type of container stopper drinking by opening the discharge port in the state that the container stopper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is screwed to the
상기 본체(104)는 개방되는 상측 중앙에 원형돌기(1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형돌기(114)의 둘레방향으로 개구되어 유체가 배출된다. The
상기 밀봉캡(110)은 그 상측 둘레면에서 연장되어 손으로 잡고 뽑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16)가 형성되고, 그 중앙측에 상기 원형돌기(114)가 끼워져 밀봉 작용하고 원형돌기(114)가 이탈되면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8)가 형성된다. The
상기 본체(104)의 상측 둘레면에는 걸림돌기(118)가 형성되고 밀봉캡(110)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118)와 걸림 작용되는 스톱퍼(120)가 형성되어 밀봉캡(110)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A
이와 같은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를 마실 경우 보호캡(112)을 벗겨낸 후 손으로 밀봉캡의 손잡이부(116)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면 본체의 원형돌기(114)에서 밀봉캡의 배출구(108)가 이탈되면서 유체용기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저장된 유체가 배출구(108)를 통해 배출된다. When the fluid storage container stops the fluid,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유체 용기용 마개는 밀봉캡의 배출구와 본체의 원형돌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만 밀봉이 되기 때문에 탄산 유체 등 내압이 작용하는 유체용기의 마개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losure for the conventional fluid container made as described above is sealed only in such a manner that the outlet of the sealing cap and the circular protrusion of the main body are inserted, it is impossible to use the stopper of the fluid container such as carbonated fluid acting with internal pressure. There is this.
그리고, 보호캡을 벗겨낸 후 밀봉캡의 손잡이부를 손을 잡고 당겨서 배출구를 개방시키고, 밀봉캡에 입을 대고 마시기 때문에 위생상 불결한 상태에서 유체를 마시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나 야외에서 운동 및 작업 후에 불 결한 손으로 밀봉캡을 당겨야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And, after peeling off the protective cap to hold the handle portion of the sealing cap to pull the opening to open the outlet, drinking the fluid in the hygienic dirty state because you drink on the sealing ca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hildren or outdoors after exercise and work, you need to pull the sealing cap with improper hands, an unsanitary problem occur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성을 강화시켜 내압이 작용하는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실링 작용이 증대되며, 사용이 편리한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the airtightness can be applied to a container with internal pressure, the sealing action is increased, and provides a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easy to use There is.
다른 목적은 입을 대로 마시는 부위에 손이나 기타 다른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개방이 가능하게 하여 위생적인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독성물질이 저장되는 용기인 경우 손을 대기 않고 내용물을 따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urpose is to open the container without using hands or other tools to drink at the mouth, which has an excellent hygienic effect, especially in containers where toxic substances are sto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which can improve safety.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와 본체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와, 상기 본체의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끼워지고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용기입구와의 사이에 기밀작용을 수행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씌워지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luid storage container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fluid is stored and the upper side is fix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main body A rotating member that is rotatably fitted to the skirt,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action of the contain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let of the rotating member and moved up and down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And a sealing membe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perform an airtight action between the container inlet, and a protective cap which is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rotates the rotating member.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결합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of the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본 발명의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2)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4)와, 이 본체(4)의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6)가 형성되는 회전부재(8)와, 상기 회전부재(8)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회전부재(8)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작동부재(10)와, 상기 본체(4)의 상측에 씌워지며 회전부재(8)를 회전시키는 보호캡(12)으로 구성된다. The stopper for the fluid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상기 본체(4)는 용기입구(2)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장착부(16)와, 상기 장착부(16)의 상측으로 그 직경이 장착부(16)에 비해 작게 연장되는 작용부(18)와, 상기 장착부(16)와 작용부(18) 사이에 형성되고 중앙에 유체가 배출되는 관통홀(24)을 갖는 격벽(20)으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장착부(16)는 용기입구(2)와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26)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26)는 성형 작업시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강제 빼기식으로 성형된다. The
그리고 장착부(16)의 하측에는 용기와 마개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5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스커트(56)는 마개에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입구(2)에 고정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장착부(16)에서 뜯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And below the
상기 격벽(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작동부재(10)가 끼워지는 관통홀(24)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24)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작동부재(10)에 밀착되는 돌출부(5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2)가 접촉되는 부위에 기밀 작용을 하는 실링부재(28)가 부착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상기 관통홀(24)은 작동부재(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각형 타입으로 형성된다. The
즉, 관통홀(24)은 작동부재(10)의 회전을 방지토록 작동부재(10)가 걸림되는 십자형태 또는 육각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여기에서, 실링부재(28)는 격벽(20)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용기입구(2)의 상측면과 밀착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러버 타입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러버 타입 이외에 본체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는 립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sealing
상기 립 타입 실링부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0)의 둘레방향으로 립부(30)가 돌출되는 형태로 본체(4)와 일체로 성형되어 용기입구(2)를 밀착시키면 립부(30)가 격벽(20)에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lip-type seal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상기 회전부재(8)는 본체 작용부(18)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 통로 역할을 하는 배출구(6)에는 상기 작동부재(10)가 나선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측면은 외측 둘레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본체 작용부(18)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The rotating
그리고, 회전부재(8)의 상측면에는 상기 보호캡(12) 회전시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보호캡(1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32)에 삽입되는 돌기(34)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And,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이러한 회전부재(8)는 본체 작용부(1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부재(8)의 외측면에는 걸림턱(36)이 형성되고, 본체 작용부(18)의 내측면에는 띠홈(38)이 형성되어, 회전부재(8)가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본체 작용부(18)에 끼워진다. The rotating
상기 작동부재(10)는 상기 격벽(20)의 안쪽면에 밀착되어 밀봉작용을 하는 원형의 밀봉시트(40)와, 상기 밀봉시트(40)의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둘레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8)의 배출구(6)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나선부(42)와, 상기 나선부(42)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6)에 삽입되어 기밀작용을 하는 기밀돌기(44)로 구성된다. The
여기에서, 나선부(42)는 그 길이방향으로 유체가 통과하는 가이드홀(46)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46)은 격벽(20)의 관통홀(24)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그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직경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24)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된다. Here, the
그리고, 밀봉시트(40)는 그 외측 둘레방향으로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돌출부(50) 둘레방향으로 끼워져 기밀 작용을 한다. The
상기 보호캡(12)은 회전부재(8)의 상측면에서 씌워지도록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이며, 그 외측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요철이 형성되고, 보호캡(12)을 회전시키면 회전부재(8)도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측면에 회전부재(8)의 돌기(34)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이 형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보호캡(12)이 닫혀 있을 때 본체(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캡(12)의 하단 내주면에는 걸림돌기(60)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60)가 끼워져 걸림되도록 본체(4)의 외주면에 걸림홈(62)이 형성된다. When the
이러한 보호캡(12)은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for the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stopper for a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호캡(12)을 손으로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호캡의 삽입홈(32)에 삽입된 회전부재(8)의 돌기(34)가 걸림되어 회전부재(8)가 같이 회전된다. Holding the
이때, 회전부재(8)는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36)이 본체의 띠홈(38)에 걸림되기 때문에 이탈되지 않고 회전운동만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그러면, 회전부재(8)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작동부재(10)가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나선부(42)가 회전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작동부재(10)는 그 둘레측이 관통홀(24)에 걸림된 상태에서 회전부재(8)와 나선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Then, the operating
이와 같이, 작동부재(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부재의 밀봉시트(40)와 격벽(20) 사이에 벌어지면서서 유체가 배출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기밀돌기(44)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출구(6)에서 이탈된다. As such, when the operating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캡(12)을 벗겨낸 후 유체 저장용기에 일정 힘을 가하 거나 유체용기를 기울이면 유체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배출구(6)를 통해 배출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즉, 유체 저장용기에 저장된 유체는 작동부재의 밀봉시트(40)와 격벽의 관통홀(24)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고 작동부재의 가이드홈(46)을 따라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배출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at is, the fluid stored in the fluid storage container is discharged into a gap between the sealing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마개와 용기 사이에 스커트부를 형성하여 마개와 용기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와 용기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밀봉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밀봉 성능을 강화시키고, 내압이 작용하는 용기의 마개로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범위를 보다 폭넓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opper for the fluid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acted as described above forms a skirt portion between the stopper and the container to improve the fixing property of the stopper and the container, and the structure of the seal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tainer inlet. It can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pressure, and can be used as a stopper of the container with the internal pressure acting, thereby widening the use range.
또한, 보호캡을 회전시켜 저장용기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회전부재의 상측면에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아도 되므로 위생성능을 향상시키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rage container is made by rotating the protective cap, there is no need to directly touch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member to improve hygiene performanc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1029A KR100732866B1 (en) | 2001-01-08 | 2001-01-08 | Stopper for Fluid Storage Containers |
AU2002212790A AU2002212790A1 (en) | 2000-10-27 | 2001-10-26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everage vessel |
PCT/KR2001/001811 WO2002034637A1 (en) | 2000-10-27 | 2001-10-26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everage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1029A KR100732866B1 (en) | 2001-01-08 | 2001-01-08 | Stopper for Fluid Storage Contain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9884A KR20020059884A (en) | 2002-07-16 |
KR100732866B1 true KR100732866B1 (en) | 2007-06-27 |
Family
ID=2769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01029A KR100732866B1 (en) | 2000-10-27 | 2001-01-08 | Stopper for Fluid Storage Contain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286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1495A (en) * | 2018-04-18 | 2019-10-28 | 김명호 | Pressure-Open type Required Quantity Supply Ca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7979B1 (en) * | 2015-08-25 | 2016-09-20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prevention of liquid splash |
KR101855948B1 (en) * | 2017-07-10 | 2018-05-09 | 김명호 | Bottle Cap with 2-way Check Valve |
KR101855954B1 (en) * | 2017-07-10 | 2018-05-09 | 김명호 | Bottle Cap with 2-way Duckbill Valv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5488U (en) * | 1977-12-15 | 1979-07-05 | ||
JPS56135450U (en) * | 1980-03-14 | 1981-10-14 | ||
JPS6062058U (en) * | 1983-09-30 | 1985-04-30 |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 Cap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
JPS60175058U (en) * | 1984-04-26 | 1985-11-20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liquid dispensing cap |
JPH06321247A (en) * | 1993-04-30 | 1994-11-2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Pour spout |
JPH07330009A (en) * | 1994-06-08 | 1995-12-19 | Nifco Inc | Cap |
JPH0912025A (en) * | 1995-06-28 | 1997-01-14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ischarging port for liquid carton |
KR970009587A (en) * | 1995-08-03 | 1997-03-27 | 한충열 | Sauce with a sauc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
-
2001
- 2001-01-08 KR KR1020010001029A patent/KR10073286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5488U (en) * | 1977-12-15 | 1979-07-05 | ||
JPS56135450U (en) * | 1980-03-14 | 1981-10-14 | ||
JPS6062058U (en) * | 1983-09-30 | 1985-04-30 |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 Cap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
JPS60175058U (en) * | 1984-04-26 | 1985-11-20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liquid dispensing cap |
JPH06321247A (en) * | 1993-04-30 | 1994-11-2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Pour spout |
JPH07330009A (en) * | 1994-06-08 | 1995-12-19 | Nifco Inc | Cap |
JPH0912025A (en) * | 1995-06-28 | 1997-01-14 | Dainippon Printing Co Ltd | Discharging port for liquid carton |
KR970009587A (en) * | 1995-08-03 | 1997-03-27 | 한충열 | Sauce with a sauc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1495A (en) * | 2018-04-18 | 2019-10-28 | 김명호 | Pressure-Open type Required Quantity Supply Cap |
KR102136588B1 (en) * | 2018-04-18 | 2020-07-22 | 김명호 | Pressure-Open type Required Quantity Supply Ca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9884A (en) | 2002-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42851A (en) | Dripless faucet for beverage containers | |
KR100807212B1 (en) | Anti-lost container with connection member | |
US6138290A (en) | Movable fitting members for use with drain fittings | |
US4383623A (en) | Dispensing closure with stationary axial plug | |
RU2481259C2 (en) | Push pull lock for drinking reservoir | |
KR200361671Y1 (en) | Cosmetic cream container | |
KR200265059Y1 (en) | Can cap | |
CN107249996A (en) | Container with button openings | |
US20100108724A1 (en) | Twist open/twist close Closure | |
US10723537B2 (en) | Cartridge pump | |
US7641065B2 (en) | Canteen | |
KR960031292A (en) | Sparkling water bottle cap | |
KR100732866B1 (en) | Stopper for Fluid Storage Containers | |
CA2422684A1 (en) |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 |
US7513388B2 (en) | Retractable straw device | |
US3007614A (en) | Dispenser closure | |
WO2009028809A2 (en) | Tubular receptacle having retractable outlet | |
KR100696676B1 (en) | Stopper for liquid material container | |
WO2001049583A1 (en) |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osure receptacle for fluid | |
KR100755035B1 (en) | Stopper for fluid containers | |
KR200145564Y1 (en) |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liquid container | |
KR20080100019A (en) | Container | |
JP2009525924A (en) |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 |
KR100755036B1 (en) | Stopper for fluid containers | |
RU22937U1 (en) | COO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08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1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