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0298B1 -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298B1
KR100730298B1 KR1020050025293A KR20050025293A KR100730298B1 KR 100730298 B1 KR100730298 B1 KR 100730298B1 KR 1020050025293 A KR1020050025293 A KR 1020050025293A KR 20050025293 A KR20050025293 A KR 20050025293A KR 100730298 B1 KR100730298 B1 KR 10073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isplay
space
cellular phon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562A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102005002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298B1/ko
Priority to US11/389,881 priority patent/US20060246945A1/en
Publication of KR2006010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2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70Instrument provisions for avoiding injuries to vehicle occupants in case of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 함께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및 양자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G.P.S/네비게이션, 디지탈 멀티미디어 방송, 동영상, 게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가능한 휴대폰에 있어서, 하부(14)면에 숫소켓부(30)를 갖는 휴대폰(10), 휴대폰(10)의 하부(14)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42)과 장착공간(42)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숫소켓부(30)에 결합 가능한 암소켓부(32) 및 안내부(34)를 갖는 장착대(40) 및 배면에 장착대(40)와 휴대폰(10) 본체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이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26)을 갖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디스플레이, 본체공간, 소켓부, 장착대, 장착공간, 전원공급장치, 배터리, 메뉴

Description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display connected with cellular phone}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면측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휴대폰 하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일측면에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의 배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폰,
16 : 카메라 렌즈,
20 : 디스플레이,
22 : 디스플레이 전면,
24 : 디스플레이 배면,
26 : 본체공간,
30 : 숫소켓부,
32 : 암소켓부,
40 : 장착대,
42 : 장착공간,
52 : 충전단자,
60 : 전원공급장치.
62 : 배터리,
70 : 메뉴.
본 발명은 휴대폰을 디스플레이에 연결하는 것, 그리고 구성의 간결성을 도모하기 위해 휴대폰을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0)란 현재 국내외 기술 수준에 비추어 휴대폰(10)과 전자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폰의 전자기적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이에 응답하여 화면출력할 수 있는 장비, 예를들어 CRT 모니터, LCD 모니터, OLED, PDP 패널 등을 말한다. 또한,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의 기능 발달에 의해 휴대폰과 연결되면 휴대폰에 부속된 액정화면과 동일한 출력을 나타내거나, 터치 스크린 기능을 할 수 있는 화면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G.P.S란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을 말하며, 네비게이션이란 G.P.S 기능 또는 G.P.S 모듈을 탑재한 휴대폰에서 G.P.S 의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지도데이타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해 길안내, 소도제한구역, 주변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 G.P.S/네비게이션 서비스란 G.P.S 수신기능을 바탕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지탈 미디어 방송(D.M.B) 서비스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탈 방식으로 휴대용 수신기 등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하며, 지상파 D.M.B, 위성 D.M.B, 또는 양자를 혼합한 방식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음성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등에 사용되는 것이 보통인데, 최근에 휴대폰을 사용하여 G.P.S/네비게이션 서비스, 위성 디지털 방송 서비스, 동영상 서비스 등을 제공받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휴대폰의 고기능화에 의해 휴대폰에 G.P.S 모듈을 장착 가능하게 하거나, G.P.S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폰이 G.P.S 수신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로인해 얻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원하는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 경우 위치정보 및 지리 정보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이 전자기적 신호로 휴대폰에 전달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는 휴대폰의 화면에 의해 시각적 수단 또는 스피커 등의 청각적 수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 달되게 된다. 국내에는 휴대폰 기능은 갖지 않으면서 오로지 G.P.S/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장치가 상용되어 있기도 하다.
수분 내의 음성통화 또는 메시지 전송 등에 휴대폰이 사용될 때 버튼에 의한 입력(번호, 메시지)과 화면 출력(번호, 메시지),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과 스피커를 통한 상대방의 음성출력이 휴대폰에 의해 수행된다. 이 경우 휴대폰 사용자에 의한 입력과 이로 인한 화면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입력 시간과 출력 시간의 크기 또는 시간적인 갭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그 시간도 길지 않은 시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휴대폰의 버튼이 위치한 부위가 사용자가 간이한 동작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하며, 화면 주시 시간이 길지 않아 화면이 작아도 눈의 피로감을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에 휴대폰을 사용하여 G.P.S/네비게이션, 위성 디지털 방송, 동영상 서비스 등을 제공받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경우에는 버튼을 사용하여 서비스와 접속하기 위한 과정을 입력하는 시간은 짧지만, 상기 서비스에 연결된 이후에 통신사의 기지국으로부터 휴대폰으로 신호입력, 그에 의한 출력이 계속 이루어지기에 출력화면은 휴대폰 사용자에 의해 장시간 계속 주시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폰의 소형 액정화면의 장시간 주시에 의해 피로감을 느끼고, 화면이 작아 시청의 만족도가 좋을 수 없다. 또한, 휴대폰 본체와 화면부가 일체형이기에 화면부 위치조절이 용이하지 못해 시계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특 히, 휴대폰을 사용한 G.P.S/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시에는 소형화면에 표시된 미세한 정보에 집중하다 사고의 위험에 직면할 수 있는등 문제점이 커진다.
본 발명은 G.P.S/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에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폰에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휴대폰 부속화면의 정보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 상에 크게 표시되도록 한다. 이로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출력화면 시청의 만족도를 높이고 화면부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시계 확보의 용이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G.P.S/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시 휴대폰 부속의 소형화면에 표시된 미세한 정보에 집중하다 사고의 위험에 직면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휴대폰(10)을 디스플레이(20) 배면에 장,탈착이 가능하여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양자 결합의 간결성, 견고성을 추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면측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휴대폰 하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알측면에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의 배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터치 스크린 방식 디스플레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는 G.P.S/네비게이션, 디지탈 멀티미디어 방송, 동영상, 게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가능한 휴대폰에 있어서, 하부(14)면에 숫소켓부(30)를 갖는 휴대폰(10); 상기 휴대폰(10)의 하부(14)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42), 상기 장착공간(42)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숫소켓부(30)에 결합 가능한 암소켓부(32) 및 안내부(34)를 갖는 장착대(40); 및 배면에 상기 장착대(40)와 상기 휴대폰(10) 본체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이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26)을 갖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외부 전원공급장치(60) 또는 디스플레이 자체에 내장 배터리(62)를 가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은 상부에 카메라와 휴대폰 배면(12)에 충전단자(52)를 갖는다. 카메라 본체(15)는 휴대폰(10)의 상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인 회전안내부(17)와 인접하며, 휴대폰(10)이 디스플레이(10)에 장착된 경우에도 카메라 렌즈(16)가 디스플레이 전면(22)에서 보일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한다. 도 1a에서는 카메라 본체(15)와 회전안내부(17)가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두개의 원통이 상호 인접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외에도 국내 상용화된 카메라 회전 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다. 카메라 본체(15)는 회전안내부(17) 대비 회전이 가능하도 록 구성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15)에 약간의 토크를 가함으로써 휴대폰(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카메라 렌즈(16)를 360°가까이 회전시킬 수 있다. 휴대폰(10)은 휴대폰 본체와 휴대폰 부속 액정화면의 상호 운동이 가능한 폴더형이나 슬라이드형, 또는 휴대폰 본체와 액정화면이 일체형인 플립형 등 대부분의 휴대폰을 포함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소켓부(30)가 휴대폰의 하부(14)면에 위치한다. 숫소켓부(30)는 전기적 신호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얇은 평판 모양의 형상을 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작은 원기둥 모양의 막대가 여러개 돌출된 형상일 수도 있으며, 휴대폰의 출력 신호(예를들어 전력, VGA 신호, 컨트롤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전달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형상, 재료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출력이 표시되는 면이 디스플레이 전면이 되고, 그 반대면이 디스플레이 배면(24)이 된다. 디스플레이(20)는 시청의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가로:세로의 비율이 4:3 ~ 16:9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임의의 비율을 가질 수 있으며, 크기는 2.5" ~ 12"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는 도 5를 참조한 아래 설명과 같이 터치 스크린 방식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0)는 배면에 장착대(40)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는 배면부위에 휴대폰(10)이 장착 대(40)에 장착된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돌출되지 않고 외형적으로 평탄함을 유지하기 위한, 배면의 평탄 부위에 비해 함몰된 형태인 휴대폰 본체공간(26)을 갖는다. 휴대폰 본체공간(26)은 휴대폰(10) 본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배면부위의 임의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배면부위의 양측 또는 중앙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대(40)는 휴대폰(10)의 하부(14)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42)을 갖는다. 암소켓부(32) 및 안내부(34)는 장착공간(42)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휴대폰(10)의 숫소켓부(30)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장착대(40)는 디스플레이 배면부위에 형성된다. 장착대(40)는 디스플레이 배면부위에 일체형 또는 분리가 가능한 형으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20)의 전원 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6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공급된 전원은 디스플레이(20)와 휴대폰(10) 가동 또는 휴대폰(10) 충전에 쓰인다. 자동차의 경우 차량용 배터리 또는 알터네이타가 전원공급장치(6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는 자체적인 배터리(62)를 내장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장치(60)의 이용이 어려운 경우, 내장 배터리(62)가 상기의 전원 공급장치(60)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디스플레이(20)에 부가하여 음성출력 수단으로서 5.1 채널과 같은 고음질의 스피커를 별도로 장착할 수 있게 하여 고품질의 음성 출력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 의 배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은 디스플레이 배면(24)의 양측중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의 세로 방향 모서리를 경유하여 휴대폰(10)을 장, 탈착할 수 있어 사용에 있어 편리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배면(24)에 있어서, 측면부위보다 중앙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구조형성에 있어 용이하고 공간 활용측면에서 유용하다. 휴대폰(10)은 본체공간(26)에 수납되어 전체적으로 휴대폰(10)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배면 부위는 평탄한 형상을 갖는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폰(10)은 디스플레이 배면(24)의 중앙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의 상단 가로방향 모서리를 중간을 경유하여 휴대폰(10)을 장, 탈착할 수 있다.
도 5는 터치 스크린 방식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소정의 소프트 웨어와 터치판넬 등을 사용하여 휴대폰(10) 버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70)가 화면상에 나타나도록 하여 폴딩이 완료되었을 때에도 휴대폰(10) 버튼을 쓰지 않고 디스플레이(20) 화면상의 메뉴(70)만을 조작하여 휴대폰(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은 상부에 카메라를 가지며 카메라는 회전안내부 (17), 수평회전수단(80), 및 카메라 렌즈(16)를 갖는 수직회전수단(82)를 갖는다.
회전안내부(17)는 휴대폰(10)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원판 모양이다.
수평회전수단(80)은 회전안내부(17)의 카메라(10) 상부와 인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인접하여 회전안내부(17)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휴대폰(10)의 세로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안내부(17) 대비 360°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수직회전수단(82)은 카메라 렌즈(16)를 가지며, 수평회전수단(80)의 중심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고, 수평회전수단(80)에 의해 지지되며, 원통의 형상을 갖고, 원주를 이루는 표면에는 부드러운 치형을 갖는 스프로켓처럼 볼록부위와 오목부위가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의 중심선 또는 수평회전수단(80)에 위치한 두개의 지지점을 잇는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수평회전수단(80) 대비 360°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 디스플레이(20)는 휴대폰(10)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시각적 출력을 화면상에 보여주는 기능을 하는데, 결과적으로 휴대폰 부속의 소형 화면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나, 화면의 크기가 커서 사용자는 시청의 편리성, 만족성을 갖게 된다. 디스플레이 배면부위에 형성된 본체공간(26)은 휴대폰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소켓부(30. 32)는 휴대폰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디스플레이 (20)로 통과하는 커넥터 기능을 한다. 또한, 암소켓부(32) 및 안내부(34)와 휴대폰의 숫소켓부(30)의 결합에 의해 장착후에 휴대폰이 넘어지지 않도록 기계적인 힘을 발생시킨다.
장착대(40)는 장착공간(42) 및 결합된 소켓부(30, 32, 34)와 더불어 휴대폰(10)을 장착하는 경우 지지, 고정 기능을 수행한다.
충전단자(52)에 의해 휴대폰 충전이 수행되고, 전원공급장치(60) 및 배터리(62)는 디스플레이(20) 또는 휴대폰(10)으로의 전원공급 기능을 한다.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한 메뉴(70)는 휴대폰(10)의 입력 버튼과 같거나 유사한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디스플레이(20)로서 CRT, LCD 모니터가 아닌 다른 디스플레이, 예를들어 유기 EL 등의 표시소자를 사용하는 것 등은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변경일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디스플레이(20)는 휴대폰(10) 부속의 소형 화면과 같은 정보를 큰 화면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G.P.S/네비게이션 서비스, 위성 디지털 방송(D.M.B) 서비스, 동영상 서비스 등을 받는 경우와 같이, 장시간 화면을 주시해야 하는 경우에도 휴대폰(10) 부속의 소형화면과 달리 사용자는 시청의 편리성, 만족성을 갖게 된다. 특히, 휴대폰(10)을 사용한 G.P.S/네비게이션 서비스 이 용시에 화면의 정보를 어는 정도의 거리에서도 일시에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휴대폰(1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을 주위 사람도 볼 수 있어 고가의 상기 서비스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로서, G.P.S/네비게이션 서비스, 위성 디지털 방송(D.M.B) 서비스 등을 받는 경우, 화면이 작음에 의한 사용자의 눈의 피로감, 시청 불만족, 자동차 사고 위험성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휴대폰(10)에 디스플레이(20)가 더 추가된다. 그리고, G.P.S/네비게이션 서비스, 위성 디지털 방송(D.M.B) 서비스 등을 받는 경우 서비스와 접속하기 위해 휴대폰(10) 버튼을 사용한 입력이 필요하지만, 그 후에는 굳이 버튼을 갖는 휴대폰(10) 본체의 전면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이유가 없다. 이 경우에 휴대폰(10)과 디스플레이(20)가 케이블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만되고 서로 분리된 위치에 있다면 공간의 비효용성이 발생하고, 짧은 순간에 휴대폰을 찾을 수 없는 등 불편함이 생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휴대폰(10)을 디스플레이(20) 배면에 장,탈착이 가능하게 하면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전체적인 양자 결합의 간결성, 견고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전중에도 전화가 온 경우 쉽게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독립한 전원공급수단(60, 62)과 휴대폰 충전수단의 도입으로 전력 사용의 효용성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 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부(14)면에 숫소켓부(10)를 갖는 휴대폰(10);
    배면에 휴대폰(10) 본체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이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26)을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 전원공급장치(60) 또는 내장 배터리(62)를 선택적 또는 증첩적으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20); 및
    상기 휴대폰(10)의 하부(14)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42)과, 상기 장착공간(42)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숫소켓부(30)에 결합 가능한 암소켓부(32) 및 안내부(34)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20) 배면부위의 양측면 또는 중앙에 형성되는 장착대(40);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폰(10)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원판 모양의 회전안내부(17);
    상기 회전안내부(17)의 카메라 본체(15) 상부와 인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인접하며, 상기 회전안내부(17)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상기 휴대폰(10)의 세로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안내부(17) 대비 360° 회전이 가능한 수평회전수단(80);
    상기 카메라 렌즈(16)를 가지며, 상기 수평회전수단(80)의 중심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회전수단(80)에 의해 지지되며, 원통의 형상을 갖고, 원주를 이루는 표면에는 부드러운 치형을 갖는 스프로켓처럼 볼록부위가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의 중심선 또는 수평회전수단(80)에 위치한 두 개의 지지점을 잇는 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수평회전수단(80) 대비 360°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수직회전수단(8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50025293A 2005-03-28 2005-03-28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73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93A KR100730298B1 (ko) 2005-03-28 2005-03-28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US11/389,881 US20060246945A1 (en) 2005-03-28 2006-03-27 Display connected with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93A KR100730298B1 (ko) 2005-03-28 2005-03-28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562A KR20060103562A (ko) 2006-10-04
KR100730298B1 true KR100730298B1 (ko) 2007-06-21

Family

ID=3723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0298B1 (ko) 2005-03-28 2005-03-28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46945A1 (ko)
KR (1) KR100730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8867A1 (en) 2011-12-09 2013-08-01 Z124 A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Devices Providing Authorized Power Transfer and Facility Access
US9507930B2 (en) 2003-04-25 2016-11-29 Z124 Physical key secure peripheral interconnection
KR100899655B1 (ko) * 2007-09-03 2009-05-27 (주)디코인 회전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통신 및 디브이알 기능을 구비한네비게이션 장치 및 시스템
CN101751362A (zh) * 2008-12-10 2010-06-23 钜瞻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系统
FR2953950B1 (fr) * 2009-12-16 2014-08-29 Valeo Etudes Electroniques Ecran tactile pour vehicule automobile
ITMI20101151A1 (it) * 2010-06-25 2011-12-26 Ambrosio Francesco D Installazione per veicolo adibito al trasporto di persone e/o cose, particolarmente per la fruizione di contenuti multimediali e per la telecomunicazione multimediale
WO2012045084A2 (en) * 2010-10-01 2012-04-05 Imerj, Llc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user interfaces for dock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711552B2 (en) * 2010-10-06 2014-04-29 Compal Electronics Inc. Modular system having expandable form factor
EP2636278B1 (en) 2010-11-01 2018-12-12 Mitab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smartphone
KR200454809Y1 (ko) * 2011-02-10 2011-07-28 정준엽 휴대 단말기 결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GB201119623D0 (en) * 2011-11-14 2011-12-28 Rawlin Internat Inc Case for display device
US9244491B2 (en) 2011-08-31 2016-01-26 Z124 Smart dock for auxiliary devices
US9383770B2 (en) 2011-08-31 2016-07-05 Z124 Mobile device that docks with multiple types of docks
EP2608165A1 (en) * 2011-12-21 2013-06-26 Count R GmbH Method for exchanging a ticket with chips at a gaming table in a casino
WO2014187024A1 (en) * 2013-05-19 2014-11-27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Reconfigurable mobile electronic devices with detachable computing and display units
KR20200091522A (ko) 2019-01-22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D1081639S1 (en) 2023-02-15 2025-07-01 Alo Beauty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USD1081638S1 (en) 2023-02-15 2025-07-01 Alo Beauty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ttachable display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9200A (ja) 1998-09-21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SE516510C2 (sv) * 1999-09-21 2002-01-22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el kommunikationsapparat med första och andra användargränssnitt, samt en tillbehörsanordning innefattande en knappsats och en display för en portabel radiotelefon
CA2299572C (en) * 1999-11-18 2004-05-04 Xybernaut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or
JP2001245267A (ja) * 2000-02-28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付き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2281142A (ja) * 2001-03-19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US20020158812A1 (en) * 2001-04-02 2002-10-31 Pallakoff Matthew G. Phone handset with a near-to-eye microdisplay and a direct-view display
US6999792B2 (en) * 2001-09-20 2006-02-14 Peter Warren Input-output device with universal phone port
JP3672194B2 (ja) * 2002-02-12 2005-07-13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040204192A1 (en) * 2002-08-29 2004-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obile dashboard display interface for facilitating the interactive operator input/output for a standard wireless telephone detachably mounted in the automobile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TWM241908U (en) * 2003-09-09 2004-08-21 High Tech Comp Corp Rotatable image cat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9200A (ja) 1998-09-21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562A (ko) 2006-10-04
US20060246945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298B1 (ko) 휴대폰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US880543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356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2914941B (zh) 3d相机组件和具有该3d相机组件的移动终端
KR101646508B1 (ko) 휴대용 단말기
US20110143769A1 (en) Dual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40066236A (ko)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디바이스
CN111601148B (zh) 信息展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20060062840A (ko)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CN105911694B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其移动终端
JP200400428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で用いられる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JP2002261889A (ja) 携帯端末
KR101540090B1 (ko) 위젯 알람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212411112U (zh) 电子设备及主机
CN114125101B (zh) 电子设备
KR2014011187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20124610A (ko) 스마트폰 착탈전용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포함한 충전겸용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시스템
US201600212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lternate Form-Factor Handheld Smart Phone Device
JP2001189783A (ja) 携帯型通信装置
KR10169417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20068877A (ko) 핸드헬드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다킹시스템
KR100689533B1 (ko) 휴대용 삼각 거치대
CN201230311Y (zh) 一种立体拍播手机电路结构
KR200384478Y1 (ko) 핸드폰용 착탈식 대형 lcd
KR200443625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및 휴대용 단말기 화면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