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558B1 - Test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with latch plate - Google Patents
Test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with latch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9558B1 KR100729558B1 KR1020050017314A KR20050017314A KR100729558B1 KR 100729558 B1 KR100729558 B1 KR 100729558B1 KR 1020050017314 A KR1020050017314 A KR 1020050017314A KR 20050017314 A KR20050017314 A KR 20050017314A KR 100729558 B1 KR100729558 B1 KR 1007295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miconductor device
- base plate
- latch
- plate
- inse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생산의 마지막 단계인 패키징 단계 전에 반도체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는 테스트 공정에 적용되어 반도체 소자를 고정시키는 래치 플레이트를 가지는 반도체 검사용 테스트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테스트 핸들러에서 반도체소자의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테스트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소자가 중앙 밑면 일측에 형성된 받침턱에 안착되는 중공의 안착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인서트가 최대로 많은 수가 집적되도록 체결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의 안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홀의 받침턱에 안착된 반도체소자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래치부재가 내측에 체결된 래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tray for semiconductor inspection having a latch plate which is applied to a test process performed to check whether a semiconductor device is operating normally before a packaging step, which is a final step of semiconductor device production, to fix the semiconductor device. A test tray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test tray comprising: a base plate fastened such that a plurality of inserts having hollow seating holes formed on a support base formed at one side of a bottom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re integrated with a maximum number; And a latch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atch member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insert of the base plate and protruding in one direction to support the semiconductor device seated on the support jaw of the mounting hol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side.And a gong.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최대로 많은 수의 인서트의 집적이 가능하여 핸들러가 차지하는 공간은 기존의 핸들러와 별반 차이가 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양의 반도체소자를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aximum number of inserts can be integrated on the base plate,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handler can test a large amount of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making a differenc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 테스트 공정에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st tray used in a semiconductor device test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테스트 트레이의 인서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insert of the test tray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의 래치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plate and the base plate of the test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도 4는 도 3에서의 래치 플레이트의 내측면을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atch plate in FIG.
도 5는 도 3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plate in FIG.
도 6은 도 3에서 래치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plate and the base plate in Figure 3 coupl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에 매치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tch plate is coupled to the test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반도체소자 200. 테스트 트레이100.
300. 베이스 플레이트 310. 테두리300.
311. 가이드부재 312. 결합공311.
316. 후크 320. 구획벽316. Hooks 320. Partition Walls
330. 인서트 체결턱 331. 인서트 삽입공330. Insert
360. 인서트 361. 안착홀360.
366. 체결돌기 400. 래치 플레이트366.
410. 테두리 411. 플레이트 가이드핀410.Edge 411.Plate Guide Pin
416. 체결공 460. 래치부재416. Fastening
461. 지지편461. Supporting Pieces
본 발명은 래치 플레이트(latch plate)를 사용하여 인서트에 안착된 반도체소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독립적인 래치 플레이트를 가지는 반도체소자 검사용 테스트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소자(device) 생산의 마지막 단계인 패키징(packaging) 단계 전에 반도체소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는 테스트 공정에 적용되어 소자의 유동을 방지하는, 독립적인 래치 플레이트를 가지는 반도체소자 검사용 테스트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 테스트 공정에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st tray used in a semiconductor device test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핸들러(test handler)(반도체소자 테스트 장비의 통칭)(도시 안함)에서 반도체소자(1)는 테스트 트레이(10)의 포켓형 반도체소자 안착부인 인서트(11)에 삽입되어 핸들러 뒤쪽에 있는 테스트 챔버(도시 안함)로 이동한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10)가 테스트 챔버에 위치하게 되면, 매치 플레이트(20)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10)를 반도체소자의 검사 장치인 하이-픽스 보드(30)쪽으로 밀어붙이고, 이때 상기 매치 플레이트(20)의 푸셔블럭(11)이 인서트(10)에 삽입되어있는 반도체소자(1)의 상면을 밀어 반도체소자(1)가 하이-픽스 보드(30) 상의 소켓(32)과 접촉하면서 반도체소자(1)의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 1, in a test handl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emiconductor device test equipment) (not shown), the
도 2는 도 1의 테스트 트레이의 인서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ert of the test tray of FIG.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를 위해서 인서트(11)가 체결된 테스트 트레이(10)가 이동할 때 테스트 핸들러 내부의 충격이나 테스트 트레이(10)의 회전에 의해 반도체소자(1)가 인서트(11)의 중공의 안착부(12)에서 빠지지 않도록 반도체소자(1)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래치(latch)(13)이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test tray 10 to which the insert 11 is fastened is moved for testing,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소자(1)가 핸들러의 내부에서 이송 중 인서트(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구장치인 래치(13)와 토글(14)이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인서트(11)상의 공간 활용에 제약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ert 11 because the
따라서, 래치(13)와 토글(14)을 구성할 공간이 반드시 필요한 인서트(11)에 의해 상기 테스트 트레이(10)의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인서트(11)를 체결하여 보다 많은 반도체소자(1)를 테스트하기가 구조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more inserts 11 are fastened to a limited space of the
또한, 인서트(10)에 반도체소자(1)를 삽입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토글(14)을 눌러주어 래치(13)가 움직여서 반도체소자(1)가 안착 되기 때문에 토글(14)의 이상이나 래치(13)가 열리는 시간의 차이로 인해 반도체소자(1)가 정확히 안착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토글(14)을 누르기 위한 별도의 기구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ert the
또한, 현재 반도체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면서 한 개의 핸들러내에서 될 수 있는 한 많은 수의 반도체소자(1)를 테스트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상기한 종래 기술은 이러한 요구사항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test a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핸들러가 차지하는 공간은 기존의 핸들러와 별반 차이가 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양의 반도체소자를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인서트로부터 래치와 토글이 분리되면서 기존에 사용되었던 테스트 트레이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더 많은 수량의 소자의 적재가 가능해지며 래치나 토글의 동작불량으로 인해 반도체소자가 인서트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테스트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handler can be tested with a latch from the insert so that it is possible to test a large amount of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making a difference. As the toggle is separated, a larger number of devices can be loaded on the base plate of the test tray that has been used previously, and a test tray that can fundamentally prevent the semiconductor device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insert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latch or the toggle To provide.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테스트 핸들러에서 반도체소자의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테스트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소자가 중앙 밑면 일측에 형성된 받침턱에 안착되는 중공의 안착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인서트가 최대로 많은 수가 집적되도록 체결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의 안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홀의 받침턱에 안착된 반도체소자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래치부재가 내측에 체결된 래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를 가지는 반도체소자 검사용 테스트 트레이에 의하여 달성된다. This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st tray for the test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test handler, the plurality of inserts formed with a hollow seating hole that is seated on the supporting jaw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bottom of the semiconductor device Base plate fastened so that the number is integrated, and a plurality of latch members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insert of the base plate to support the semiconductor device seated on the support jaw of the mounting hole so as not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It is achieved by a test tray for inspec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latc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latch plate engage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를 가지는 반도체소자 검사용 테스트 트레이의 일례로서, 다음의 구성과 효과에서 자세히 설명한다.An example of a test tray for inspec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latc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and effec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테스트 핸들러에서 반도체소자의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테스트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소자가 중앙 밑면 일측에 형성된 받침턱에 안착되는 중공의 안착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인서트가 최대로 많은 수가 집적되도록 체결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의 안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홀의 받침턱에 안착된 반도체소자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래치부재가 내측에 체결된 래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test tray for the test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test handler, the semiconductor device is a hollow seated on the supporting jaw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bottom The base plate is fastened so that the maximum number of insert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of the plurality of inserts, and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hole of the insert of the base plate to support the semiconductor device seated on the support jaw of the seating hole is not separated A test tray is provided, comprising a latch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atch members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nd fastened therein.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 플레이트는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의 안착홀의 받침턱에 안착된 반도체소자의 상면과 미세간극으로 이격위치되는 길이를 가진 중공의 'ㄷ'자 형상의 지지편이 돌출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래치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시 인서트내에 안착된 반소체소자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atch plate has a hollow 'c' shaped support having a length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seated on the support jaw of the seating hole of the insert of the base plate by a minute gap. A side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latch plate supports the semi-elementary element seated in the insert when combined with the base pl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est tr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의 래치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의 래치 플레이트의 내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래치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atch plate and a base plate of the test tray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atch plate in FIG. 3,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plate, and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atch plate and a base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FIG. 3.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200)는 상기 반도체소자(100)가 중앙 밑면 일측에 형성된 받침턱(362)에 안착되는 중공의 안착홀(361)이 형성되며 반도체소자(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래치 및 토글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복수개의 인서트(360)가 최대로 많은 수가 집적되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인접체결된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상기 인서트(360)의 안착홀(361)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홀의 받침턱(362)에 안착된 반도체소자(1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래치부재(460)가 내측에 체결되어 반도체소자(100)를 지지하는 래치 기능을 가진 래치 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6, the test tra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seating hole in which the
상기와 같은 인서트 및 래치 플레이트(400)의 구조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한정된 면적에 보다 많은 수의 인서트(360)를 인접체결할 수 있어 한정된 베이스 플레이트(300)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반도체소자(100)를 테스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the structure of the insert and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200)의 래치 플레이트(400)는 테스트 핸들러(도시 안함)내에서 이동시에 기본적으로 테스트 트레이(200)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결합되어 반도체소자(100) 테스트 공정을 거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테두리(310)의 내측을 소정간격으로 구획하는 수개의 구획벽(320)이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310)의 내측면 및 구획벽(32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각각의 인서트(360)가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인접 체결되도록 소정간격으로 연장돌설된 인서트 체결턱(33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인서트 체결턱(330)에 체결되는 인서트(360)의 상면이 상기 테두리(310) 및 구획벽(320)의 상면보다 낮도록 하향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인서트 체결턱(330)에는 인서트삽입공(331)이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360) 내측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중공의 체결돌기(366)가 상기 체결턱의 인서트삽입공(331)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An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 플레이트(400)의 래치부재(460)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인서트(360)의 안착홀(361)에 안착된 반도체소자(100)의 상면과 미세간극으로 이격위치되는 길이를 가진 중공의 'ㄷ'자 형상의 지지편(461)이 돌출형성된다.Preferably, one side of the
즉, 상기 래치 플레이트(400)의 래치부재(460)는 상기 래치 플레이트(400)가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결합될 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인서트(360)에 대응되어 접하도록 래치 플레이트(400) 내측면의 해당 위치에 체결되며 반도체소자(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인서트(360)내에서 반도체소자(360)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461)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미설명부호 313, 317, 368 및 468은 각각 가이드부재(311), 후크(316), 인서트(367) 및 래치부재(460)의 일측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스너(fastener) 또는 핀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테두리(310)의 일측에는 결합공(312)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311)가 타측에는 상방으로 돌설된 후크(316)가 각각 체결되고, 상기 래치 플레이트(400)의 테두리(410)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테두리(310)의 가이드부재의 결합공(312) 및 후크(316)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플레이트 가이드핀(411) 및 체결공(416)이 각각 형성된다.At least one
이를 통해 상기 래치 플레이트(4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상하 승강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0) 상면과 면접되도록 결합된다.Through this, the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200)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래치 플레이트(400)가 결합되면 상기 래치 플레이트(400)의 내측면에 체결된 상기 래치부재(460)들은 그 각각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판형상의 지지편들(461)(지지편들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단부는 상기 인서트(360)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인서트(360) 내에 장착된 반도체소자(100)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That is, whe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테스트 트레이(200)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래치 플레이트(400)가 결합시에 래치부재(460) 지지편(461)의 단부가 반도체소자(100)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테두리(310)와 구획벽(320)의 상면만이 래치 플레이트(400)의 내측면과 면접되기 때문에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인서트(360) 및 인서트내에 안착된 반도체소자(100)에 전달되지 않아 별도의 완충을 위한 탄성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Therefore, wh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에 매치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ch plate is coupled to a test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래치 플레이트(400)가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반도체소자(100)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 반도체소자(100)를 지지하는 래치부재의 지지편(461)에 의해 인서트(360)의 안착홀(361)에 안착된 상태의 반도체소자(100)는 핸들러내에서 이동 중 충격이나 회전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7, a latch member supporting the
이후 매치 플레이트(600)가 상기 래치 플레이트(400)에 접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매치 플레이트(600)의 반도체소자 푸셔블록(610)이 래치부재(460)의 중앙 통공을 통과해 상기 인서트(360)의 안착홀(361)에 삽입되어 반도체소자(100)의 상면에 반도체소자 푸셔블록(610)의 단부가 접촉되면서 밀게 된다.Thereafter, the
따라서, 상기 반도체소자(100)는 매치 플레이트(600)의 반도체소자 푸셔블록(610)에 의해 하이-픽스 보드(도시 안함)상의 소켓(도시 안함)과 접촉하면서 반도체소자(100)의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200)에 매치 플레이트(600)가 결합되면, 반도체소자(100)는 인서트(360)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운동이 제어되게 된다.Therefore, the
미설명부호 620은 매치 플레이트(600)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200)에 결합시에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도록 반도체소자 푸셔블럭(610)과 함께 동시에 삽입되어 인서트(360)를 고정하는 즉, 반도체소자 테스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가이드하는 인서트 가이드핀이다.
미설명부호 367, 467은 상기 인서트 가이드핀(620)이 통과 및 삽입되는 인서트(360) 및 래치부재(46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홀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실시 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bvious that it belongs to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체결되는 인서트에 고정된 래치를 분리하여 별도의 독립된 래치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인서트의 래치가 차지하고 있던 베이스 플레이트상의 공간에 반도체소자를 더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 즉,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최대로 많은 수의 인서트의 집적이 가능하여 핸들러가 차지하는 공간은 기존의 핸들러와 별반 차이가 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양의 반도체소자를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est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loaded with a semiconductor device in the space on the base plate occupied by the latch of the insert in the prior art by having a separate independent latch plate by separating the latch fixed to the insert fastened on the base plate In other words, since a large amount of inserts can be accumulated on the base plate, the space occupied by the handler can test a large amount of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any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hand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는 인서트에 래치나 토글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독립된 래치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구조로, 래치 플레이트의 래치부재 지지편의 단부가 반도체소자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고 반도체소자의 상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즉, 미세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래치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순간에 지지편의 단부에 의해 반도체소자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래치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 반도체소자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충격완화를 위한 탄성부재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est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sert is not provided with a latch or a toggle, and an independent latch plate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so that the end of the latch member support piece of the latch plat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semiconductor device. Since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e., a minute ga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ck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emiconductor element by the end of the support piece at the moment when the latch plate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the latch plate to the base plate Since the shock is not transmitted to the semiconductor device when combined, there is no effect that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elastic member for the shock mitigation.
또한, 인서트에 래치나 토글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래치나 토글의 동 작불량으로 인해 반도체소자가 인서트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ert is not provided with the latch or the toggl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semiconductor device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insert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latch or the toggl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7314A KR100729558B1 (en) | 2005-03-02 | 2005-03-02 | Test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with latch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7314A KR100729558B1 (en) | 2005-03-02 | 2005-03-02 | Test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with latch pl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6641A KR20060096641A (en) | 2006-09-13 |
KR100729558B1 true KR100729558B1 (en) | 2007-06-18 |
Family
ID=3762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7314A Expired - Lifetime KR100729558B1 (en) | 2005-03-02 | 2005-03-02 | Test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with latch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955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40251A (en) | 2006-11-02 | 2008-05-08 | (주)테크윙 | Test Tray for Test Handler |
KR100925120B1 (en) * | 2007-06-07 | 2009-11-05 | 미래산업 주식회사 | A test tray, a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
KR101028774B1 (en) * | 2008-11-13 | 2011-04-14 | 미래산업 주식회사 | Test Tray Latch Release Unit |
KR101469200B1 (en) * | 2013-08-06 | 2014-12-10 | 주식회사 티에프이 | Plate assembly enable to be detachally combined with object and latch open plate assembly using the same |
KR102637464B1 (en) * | 2016-11-17 | 2024-02-16 | 세메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opening latches of insert assembli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8959A (en) * | 1997-04-30 | 1998-11-25 | 박주천 |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Tray |
-
2005
- 2005-03-02 KR KR1020050017314A patent/KR10072955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8959A (en) * | 1997-04-30 | 1998-11-25 | 박주천 |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Tr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6641A (en) | 2006-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9388B1 (en) | Vertical Probe Card | |
EP1907868B1 (en) | Integrated circuit test socket | |
KR101039857B1 (en) |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est handler and test handler using the same | |
CN108885227A (en) | Test bench unit | |
KR20090068645A (en) | Inspection socket for semiconductor chip test | |
JP2009236915A (en) | Insert opening unit for test tray and install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element using the same | |
KR100729558B1 (en) | Test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on with latch plate | |
KR101442704B1 (en) | Insert socket for semiconductor component inspection | |
KR101505955B1 (en) | Opening apparatus for test handler | |
KR100608094B1 (en) | Insert module and test tray for test handler | |
KR200456967Y1 (en) | Universal Adapter for BA Package Test Socket | |
KR101077940B1 (en) | Semiconductor Package Insert Device | |
TWM588798U (en) | Test structure and probe device including plural test structures | |
KR101957961B1 (en) | Socket board assembly | |
KR20070062082A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emiconductor package insert and test socket | |
KR102471835B1 (en) | Insert for test handler | |
KR100693766B1 (en) | Latch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est tray and test tray insert | |
TW200913110A (en) | Opener and buffer table for test handler | |
KR100291382B1 (en) | Tray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
KR20200056309A (en) | Insertion/extraction mechanism and method for replacing block member | |
KR100822281B1 (en) | Carrier module for semiconductor device test handler | |
KR100629262B1 (en) | Test Tray of Semiconductor Device Test Equipment | |
KR100632804B1 (en) | Feed slow board mounting structure of burn-in tester for semiconductor inspection | |
KR101494176B1 (en) | Test system of semiconductor device | |
KR20170132755A (en) | Semiconductor insp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1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3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