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7971B1 -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971B1
KR100727971B1 KR1020050081334A KR20050081334A KR100727971B1 KR 100727971 B1 KR100727971 B1 KR 100727971B1 KR 1020050081334 A KR1020050081334 A KR 1020050081334A KR 20050081334 A KR20050081334 A KR 20050081334A KR 100727971 B1 KR100727971 B1 KR 10072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leaning
nozzle
wiper
clea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314A (ko
Inventor
정연건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971B1/ko
Priority to US11/493,906 priority patent/US7731328B2/en
Priority to CNA2006101280537A priority patent/CN1923519A/zh
Publication of KR2007002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002/165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with wiping surface parallel with nozzle plate and mounted on reels, e.g. cleaning ribbon cass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노즐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캐리어;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캐리어에 탑재되어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며, 와이퍼는 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벨트 부재와, 벨트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노즐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벨트 타입의 와이퍼를 이용함으로써 와이퍼의 흡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퍼의 흡수 용량이 증가되므로, 와이퍼의 교체 주기가 길어져 와이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 부재로 흡수된 잉크를 제2가압부 또는 클리닝 롤러를 이용하여 다시 제거함으로써 클리닝 부재의 흡수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교체 시기 또한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Wiper, Cleaning apparatus, an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잉크 카트리지에 마련된 프린트 헤드와 와이핑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트 헤드와 와이핑 블레이드의 접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린트 헤드의 일 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단면도이다.
도 7은 캐리어에 장착시의 와이퍼(wiper)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캐리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구동 풀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프린트 헤드 유니트 106...........프레임
110...........몸체 111...........프린트 헤드
112...........노즐부 114...........지지부재
118............인쇄매체 이송부 130...........제어부
132...........불량 노즐 감지부 140...........적재부
200...........클리닝 장치 230...........구동수단
240...........캐리어 270...........와이퍼
272...........벨트 부재 274...........클리닝 부재
275...........구동 풀리 278...........종동 풀리
285...........제1가압부 290...........혼색 방지부
295...........제2가압부 297...........클리닝 롤러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프린트 헤드의 노즐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왕복주행되는 프린트 헤드(셔틀 방식 프린트 헤드)로부터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근래에는 셔틀 방식 프린트 헤드 대신에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구비한 프린트 헤드(라인 프린팅 방식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여 고속 인쇄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라인 프린팅 방식 프린트 헤드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노즐부가 구비된다. 노즐부의 주위에는 분사되지 않은 잉크방울이 남아 있다. 인쇄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 노즐부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면 노즐부 주위의 잉크방울이 고화될 수 있으며, 공기 중으로부터 노즐부에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화된 잉크나 이물질은 잉크 분사방향을 왜곡시켜 인쇄품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라인 프린팅 방식 프린트 헤드는 셔틀 방식 프린트 헤드에 비해 표면적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어, 노즐부 주위에 많은 양의 잉크방울이 남아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클리닝 장치가 구비되어, 노즐부 표면에 잔류하는 잉크를 닦아낸다.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잉크 카트리지에 마련된 프린트 헤드와 와이핑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트 헤드와 와이핑 블레이드의 접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캐리어(10)에 탑재된 잉크 카트리지(20)의 하단부에는 잉크 액적을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미도시)을 가진 프린트 헤드(30)가 마련된다. 그런데, 이러한 프린트 헤드(30)의 노즐면(32)에는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 또는 이물질 등이 묻기 쉽고, 이에 따라 프린트 헤드(30)의 노즐면(32)을 클리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는 프린트 헤드(30)의 노즐면(32)을 클리닝하기 위한 와이핑 블레이드(40)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40)는 홀더(50)에 의해 지지되며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4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선단부가 약간 휘어진 상태로 프린트 헤드(30)의 노즐면(32)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와이핑 블레이드(40)가 계속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노즐면(32)에 묻어 있는 잉크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라인 프린팅 방식의 프린트 헤드는 클리닝하여야 할 노즐부가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와이핑 블레이드(40)를 이용하여 클리닝시 인접된 노즐열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다른 노즐열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30)의 노즐면(32)에는 일반적으로 잉크 등이 쉽게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수성 코팅막(34)이 형성된다. 그런데, 와이핑 블레이드(40)에 의한 프린트 헤드(30)의 노즐면(32)에 대한 클리닝 작업이 반복되면, 와이핑 블레이드(40)와 노즐면(32)의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소수성 코팅막(34)이 점차 손상되어 그 특성을 잃어 버리게 된다. 이 경우, 프린트 헤드(30)의 노즐면(32)이 폐잉크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고, 이는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와이핑 블레이드(40)는 노즐면(32)에 형성된 소수성 코팅막(34)을 쉽게 마모시켜 그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와이핑 블레이드(40) 대신 롤러 방식의 와이퍼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JP2002-240309에는 롤러 방식의 와이퍼가 개시되어 있다. 롤러 방식의 와이퍼는 클리닝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인쇄 동작이 진행될수록 클리닝 성능이 떨어져 일정 매수를 인쇄한 후에 와이퍼를 교체하여야 한다. 와이퍼를 교체 주기를 길게 하기 위해 롤러의 반경을 증가시켜야 하나, 설치 공간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퍼의 클리닝 용량 및 클리닝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중 제거된 잉크로 인해 다른 노즐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와이퍼는: 복수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벨트 부재; 및 상기 벨트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프린트 헤드의 노즐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다공질 흡수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혼색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혼색 방지부는,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동일한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에만 접촉되도록 분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는: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캐리어에 탑재되어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다공질 흡수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혼색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혼색 방지부는,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동일한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에만 접촉되도록 분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장치에는 상기 클리닝 부재가 상기 노즐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 부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압부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흡수된 잉크를 짜내도록 상기 복수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제2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제2가압부와 서로 대면되게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짜여진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 롤러의 외주에는 다공질 흡수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캐리어에 탑재되어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외 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다공질 흡수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혼색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장치에는, 상기 클리닝 부재가 상기 노즐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 부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흡수된 잉크를 짜내도록 상기 복수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제2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제2가압부와 서로 대면되게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짜여진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 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120)와,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와, 이와 대면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114)와, 인쇄매체(P)를 제1방향(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118)와, 인쇄매체(P)가 배지 후 적재되는 적재부(140), 및 상기 노즐부(112)에 부착되는 잉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미도시 : 도 5 참조)를 구비한다. 또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인쇄매체(P)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다.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후술하는 인쇄매체 이송부(118)에 의해 프린트 헤드(111)를 지나 적재부(140)로 이송된다. 여기서, 적재부(140)는 배지 트레이(tray)와 같이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P)가 배지 후 적재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인쇄매체 이송부(118)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117)와, 보조롤러(116)와, 피딩롤러(115), 및 배지롤러(113)를 구비한다. 인쇄매체 이송부(118)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131)에 의해 구동되며,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원(131)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픽업롤러(117)는 급지카세트(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인출한다. 피딩롤러(115)는 프린트 헤드(111)의 입측에 설치되며, 픽업롤러(117)에 의해 인출된 인쇄매체(P)를 프린트 헤드(111)로 이송시킨다. 피딩롤러(115)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driving roller, 115A)와, 이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는 종동롤러(idle roller, 115B)를 포함한다. 픽업롤러(117)와 피딩롤러(115) 사이에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보조롤러(11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배지롤러(113)는 프린트 헤드(111)의 출측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지시킨다. 배지롤러(113)는 인쇄매체(P)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스타휠(113A)과, 이에 대면되어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3B)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지된 인쇄매체(P)는 적재부(140)에 적재된다.
지지부재(114)는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프린트 헤드(111)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한다.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와의 간격은 약 0.5 ∼ 2.5 mm 정도이다.
제어부(130)는 화상형성장치의 마더보드(mother board) 상에 마련되며, 노즐부(112)의 분사 동작과, 인쇄매체 이송부(118)의 이송 동작과, 클리닝 장치(미도시 : 도 5 참조)의 동작 등을 제어한다.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는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프린트 헤드(111)와,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되는 노즐부(112), 및 상기 몸체(110)가 장착되는 프레임(106)을 구비한다. 노즐부(112)의 입측에는 피딩롤러(115)가, 출측에는 배지롤러(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는 도 3의 프린트 헤드의 일 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린트 헤드(111)는 제1방향(x 방향)으로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대해 제2방향(y 방향)으로 설치된다. 프린트 헤드(111)에는 노즐부(112)가 구비된다. 노즐부(112)는 인쇄매체(P)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거나, 인쇄매체(P)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노즐부(112)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노즐열(112C, 112M, 112Y, 112K)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112C는 시안 색상의 잉크를, 112M은 마젠타 색상의 잉크를, 112Y는 옐로우 색상의 잉크를, 112K는 블랙 색상의 잉크를 각각 분사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노즐부(112)에 구비된 각 노즐들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한 구동 신호와 잉크 분사를 위한 전력, 화상 데이터 등이 전달되는 구동회로와 케이블이 연결된다. 케이블로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유연한 케이블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몸체(110)에는 노즐부(112)의 각 노즐들과 연통되고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면, 압전 방식의 피에조 소자, 열구동 방식의 히터)이 마련된 챔버와, 몸체(110)에 수용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예를 들면, 오리피스(orifice)), 유로를 통해 유입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는 공통 유로인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각각의 챔버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개별 유로인 리스트릭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린트 헤드 유니트 그 자체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노즐부(112)에는 노즐로부터 분사 후 잔류되는 잉크 또는 이물질이 쉽게 된다. 이는 화상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주므로, 노즐부(112)에 잔류되는 잉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 단면도이며, 도 7은 캐리어에 장착시의 와이퍼(wiper)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캐리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구동 풀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클리닝 장치(200)는 구동수단(230)과, 캐리어(240), 및 와이퍼(270)를 포함한다.
구동수단(230)은 캐리어(240)를 노즐부(11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으로, 정, 역회전하는 구동모터(233)와, 상기 구동모터(233)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231), 및 상기 풀리(231)에 지지되어 제2방향(y 방향)으로 왕복 주행되는 벨트(232)를 구비한다.
캐리어(240)는 노즐부(112)의 길이 방향인 제2방향(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캐리어(240)는 벨트(232)에 연결되며, 구동모터(233)가 회전되면 캐리어(240)는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캐리어(240)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면 (241)이 프레임(260)에 마련된 레일(261)에 지지되어 캐리어(24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캐리어(240)는 구동모터(233)의 정, 역회전에 연동되어 왕복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233)로부터의 구동력이 벨트(232)를 통해 캐리어(240)로 전달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233)로부터의 구동력은 기어 결합을 통해 캐리어(24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캐리어(240)의 내측에는 노즐부(112)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와이퍼(270)가 탑재된다.
도 7 및 도 5를 참조하면, 와이퍼(270)는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벨트 부재(272)와, 벨트 부재(272)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노즐부(112)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노즐부(112)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274)를 구비한다.
벨트 부재(272)는 복수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한다. 본 실시예의 벨트 부재(27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풀리(275)(278) 및 제1가압부(285)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 주행한다. 벨트 부재(272)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풀리(275)(278)와 맞물리는 톱니(cog, 27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벨트 부재(272)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톱니를 갖는 벨트 부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및 도 7을 참조하면, 벨트 부재(272)의 내주면에는 벨트 부재(272)를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와 제1가압부(28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 부재(272)가 구동 풀리(275)와 종동 풀리(278)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풀리(275)는, 일측에 피니언(259)이 결합된 구동축(276)과 결합된다. 피니언(259)은 프레임(260)에 마련된 랙기어(262)와 맞물린다. 구동모터(233)가 회전되면 구동력이 벨트(232)에 의해 캐리어(240)로 전달된다. 이때, 랙기어(262)와 맞물린 피니언(259)이 회전되고 구동 풀리(275)가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 풀리(275)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 부재(272)가 노즐부(112)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며 노즐부(112)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게 된다. 벨트 부재(272)로 구동 풀리(275)의 회전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구동 풀리(275)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벨트 부재의 톱니(cog, 273)와 상보적으로 맞물리는 톱니(277)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동 풀리(275)는 타이밍 풀리(timing pulley)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동 풀리(idle pulley, 278)는 구동 풀리(275)와 나란하게 캐리어(240)에 설치된다. 즉, 종동 풀리(278)가 장착된 종동축(279)이 캐리어(240)에 마련된 결합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종동 풀리(278)의 외주면에도 톱니(28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와이퍼(270)에 텐션(tension)을 주기 위해 종동축(279)에는 구동축(27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이어스 수단으로는 인장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종동축(279)의 일측에도 전술한 랙기어 (262)와 맞물리도록 피니언이 결합될 수 있다.
클리닝 부재(274)는 노즐부(112)의 노즐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노즐면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한다. 따라서, 클리닝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리닝 부재(274)가 노즐부(112)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가압부(285)는 캐리어(240)에 설치되는 것으로, 클리닝 부재(274)가 노즐부(112)에 밀착되도록 벨트 부재(272)의 내주면을 노즐부(112) 쪽으로 가압한다. 예를 들어, 와이퍼(270)의 두께보다 제1가압부(285)와 노즐부(112) 사이의 거리가 가깝도록 제1가압부(285)가 캐리어(240)에 설치된다면, 클리닝 부재(274)가 노즐부(112)를 가압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부착된 잉크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가압부(285)의 일측에 제1가압부(285)를 노즐부(112) 측으로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 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가압부(285)는 와이퍼(27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롤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274)는 노즐부(112)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노즐부(112)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한다. 일 실시예로서, 클리닝 부재(274)는 잉크의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공질 흡수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고분자 흡수체가 클리닝 부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클리닝 부재(274)는 노즐부(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즐부(112)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잉크를 제거한다. 따라서,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될 수 있다. 혼색 방지부(290)는 클리닝 부재(274)의 노즐부(112)에 접촉되는 면에 구비되어,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 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색 방지부(290)는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290-1)(290-2)(290-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274C는 시안 노즐열(112C)을, 274M은 마젠타 노즐열(112M)을, 274Y은 옐로우 노즐열(112Y)을, 274K는 블랙 노즐열을 클리닝한다. 이때, 각 노즐열에서 제거된 잉크는 클리닝 부재(274)에 마련된 홈(290-1)(290-2)(290-3)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274)는 동일한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에만 접촉되도록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슷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즐부(112)에서 제거된 잉크는 클리닝 부재(274)에 흡수된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270)의 흡수 용량을 늘리기 위해 벨트 타입의 와이퍼(270)를 채택하였다. 즉, 무한궤도를 순환 주행하는 벨트 타입의 클리닝 부재(274)를 이용하여 와이퍼(270)의 클리닝 용량을 증가시켰다. 클리닝 부재(274)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클리닝 부재(274)로 흡수된 잉크를 다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 조번호로 인용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클리닝 부재(274)로 흡수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제2가압부(295)가 구비된다. 제2가압부(295)는 클리닝 부재(274)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흡수된 잉크(I)를 짜내도록(squeezing) 복수의 풀리(275)(278)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제2가압부(295)는 클리닝 부재(274)로 흡수된 잉크(I)를 다시 제거하도록 그 외주면에 다공질 흡수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274)로 흡수된 잉크를 제2가압부(295)를 이용하여 다시 제거함으로써 클리닝 부재(274)의 흡수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교체 시기 또한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클리닝 부재(274)로 흡수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제2가압부(295)가 구비된다. 제2가압부(295)는 클리닝 부재(274)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흡수된 잉크(I)를 짜내도록 복수의 풀리(275)(278)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클리닝 롤러(297)는 제2가압부(295)와 서로 대면되게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제2가압부(295)에 의해 짜인 잉크를 제거한다. 클리닝 롤러(297)의 외주에는 다공질 흡수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274)로 흡수된 잉크를 클리닝 롤러(297)를 이용하여 다시 제거함으로써 클리닝 부재(274)의 흡수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교체 시기 또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벨트 타입의 와이퍼를 이용함으로써 와이퍼의 흡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퍼의 흡수 용량이 증가되므로, 와이퍼의 교체 주기가 길어져 와이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 부재의 외주면에 클리닝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와이퍼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 부재로 다공질 흡수체를 이용함으로써 와이퍼의 흡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 부재로 흡수된 잉크를 제2가압부 또는 클리닝 롤러를 이용하여 다시 제거함으로써 클리닝 부재의 흡수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교체 시기 또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 부재에 혼색 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제거된 폐토너가 다른 노즐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복수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벨트 부재; 및
    상기 벨트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프린트 헤드의 노즐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클리닝 부재는 다공질 흡수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혼색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색 방지부는,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동일한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에만 접촉되도록 분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6.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캐리어에 탑재되어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클리닝 부재는 다공질 흡수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혼색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색 방지부는,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동일한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에만 접촉되도록 분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가 상기 노즐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 부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흡수된 잉크를 짜내도록 상기 복수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제2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와 서로 대면되게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짜여진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의 외주에는 다공질 흡수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6.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캐리어에 탑재되어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부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부에 부착된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클리닝 부재는 다공질 흡수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클리닝 동작 중 제거된 잉크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혼색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가 상기 노즐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 부재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흡수된 잉크를 짜내도록 상기 복수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와 대면되게 설치되는 제2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와 서로 대면되게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짜여진 잉크를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81334A 2005-09-01 2005-09-01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KR10072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334A KR100727971B1 (ko) 2005-09-01 2005-09-01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US11/493,906 US7731328B2 (en) 2005-09-01 2006-07-27 Wiper and cleaning device, an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A2006101280537A CN1923519A (zh) 2005-09-01 2006-09-01 擦拭器和清除机构以及包括这二者的喷墨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334A KR100727971B1 (ko) 2005-09-01 2005-09-01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314A KR20070025314A (ko) 2007-03-08
KR100727971B1 true KR100727971B1 (ko) 2007-06-14

Family

ID=3780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334A KR100727971B1 (ko) 2005-09-01 2005-09-01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31328B2 (ko)
KR (1) KR100727971B1 (ko)
CN (1) CN19235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2382B2 (en) * 2007-04-24 2011-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head wiping
JP4553035B2 (ja) * 2008-05-26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の制御方法
US7988256B2 (en) 2008-08-28 2011-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eb
US8118392B2 (en) 2008-08-28 2012-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vable web support and cap
US8051773B2 (en) * 2008-10-14 2011-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voting print units
JP4730446B2 (ja) * 2009-02-12 2011-07-20 ソニー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10184447A (ja) * 2009-02-12 2010-08-26 Sony Corp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の制御方法
KR101808358B1 (ko) 2010-05-17 2017-12-12 멤젯 테크놀로지 엘티디 프린터 내에서 유체 및 가스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US20110279539A1 (en) 2010-05-17 2011-11-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aintenance system having waste container for printhead
JP6007534B2 (ja) * 2012-03-22 2016-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US9067415B2 (en) * 2012-11-30 2015-06-30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6115139B2 (ja) * 2013-01-11 2017-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JP2014188900A (ja) * 2013-03-27 2014-10-06 Seiko Epson Corp ワイパー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CN105358267B (zh) 2013-07-22 2020-03-1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一种擦拭装置及其使用方法
JP6299330B2 (ja) * 2014-03-27 2018-03-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US10137690B2 (en) * 2016-01-29 2018-11-2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JP6746954B2 (ja) * 2016-03-01 2020-08-26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を吐出する装置
CN108068313B (zh) * 2016-11-10 2020-12-15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清洁功能的三维列印机
JP7069813B2 (ja) * 2018-02-22 2022-05-18 株式会社リコー 払拭装置、ヘッドメンテナンス装置、液体を吐出する装置
JP7023774B2 (ja) * 2018-04-11 2022-02-22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JP7483385B2 (ja) * 2020-01-21 2024-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払拭装置、記録装置及び吐出口面の払拭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992B2 (ja) * 1990-02-02 1998-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816902B2 (ja) * 1990-12-10 1998-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1189A (ja) 1996-12-20 1999-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盗難防止装置付き自転車
JP2000198210A (ja) * 1999-01-06 2000-07-1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270136A (ja) * 2000-01-19 2001-10-02 Seiko Instruments Inc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機構
KR20040111186A (ko) * 2003-06-20 2004-12-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폐기액량 검지장치와 액체토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2655A (ja) * 1984-02-03 1985-08-24 Nec Corp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
JP3070639B2 (ja) * 1992-08-26 2000-07-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221927A (ja) 1998-02-06 1999-08-17 Hitachi Koki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ワイピング機構
DE10028318B4 (de) * 1999-06-28 2017-02-16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Druckkopfes eines Tintenstrahldruckers
KR100341812B1 (ko) 2000-02-21 2002-06-24 윤종용 잉크젯 프린터의 와이퍼 클리닝 장치
CN1230305C (zh) 2000-04-06 2005-12-0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清洁装置及喷墨打印机
JP4945843B2 (ja) 2001-02-21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6692100B2 (en) * 2002-04-05 2004-0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for for cleaning an inkjet print head
DE10221794A1 (de) 2002-05-15 2003-11-27 Heidelberger Druckmasch Ag Falzapparat in einer Rollenrotationsdruckmaschine
US6869163B2 (en) 2002-05-21 2005-03-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6866361B2 (en) * 2002-10-02 2005-03-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of ink-jet head included in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6866362B2 (en) * 2003-03-25 2005-03-1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maintenance means for cleaning an ink jet recording head
JP3966261B2 (ja) * 2003-09-26 2007-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7044580B2 (en) * 2003-11-18 2006-05-16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head maintenance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006082428A (ja) * 2004-09-16 2006-03-30 Fuji Xerox Co Ltd 液体吸収部材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694121B1 (ko) * 2005-06-02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노즐부 클리닝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992B2 (ja) * 1990-02-02 1998-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816902B2 (ja) * 1990-12-10 1998-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1189A (ja) 1996-12-20 1999-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盗難防止装置付き自転車
JP2000198210A (ja) * 1999-01-06 2000-07-1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270136A (ja) * 2000-01-19 2001-10-02 Seiko Instruments Inc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機構
KR20040111186A (ko) * 2003-06-20 2004-12-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폐기액량 검지방법 및 폐기액량 검지장치와 액체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31328B2 (en) 2010-06-08
CN1923519A (zh) 2007-03-07
KR20070025314A (ko) 2007-03-08
US20070046724A1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971B1 (ko) 와이퍼,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화상형성장치
EP1405725B1 (en) Maintenance method for an ink-jet printhead
JP4349411B2 (ja) 液体吐出装置
US20050264601A1 (en) Inkjet printer
US7735959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08155623A (ja) 液体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9990014295A (ko) 잉크젯 프린터
JP5899968B2 (ja) 画像形成装置
JP422217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これに備えられ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6418207B2 (ja) 液体噴射装置
JP534732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9990014150A (ko) 잉크젯 프린터
JP404655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91974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087165A (ja) 液体噴射装置
JP2871023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3885776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0638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ベルト搬送機構
JP476597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988792A (en) Ink jet apparatus and cartridge having a structure for rubbing a cleaning blade
JP3922222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21427A (ko) 클리닝 유닛을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JP200413069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5153182A (ja)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クリーニング機構、液体吐出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JP481678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ベルト搬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