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7389B1 -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 - Google Patents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389B1
KR100727389B1 KR1020050128133A KR20050128133A KR100727389B1 KR 100727389 B1 KR100727389 B1 KR 100727389B1 KR 1020050128133 A KR1020050128133 A KR 1020050128133A KR 20050128133 A KR20050128133 A KR 20050128133A KR 100727389 B1 KR100727389 B1 KR 100727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container
protruding
conveying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조해석
방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389B1/ko
Priority to US11/434,134 priority patent/US7542714B2/en
Priority to CNB200610168695XA priority patent/CN100517124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3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기기의 폐토너 회수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폐토너 회수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가 수납되는 폐토너 수납받이;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에 수납된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폐토너 이송부재; 및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회수통;을 포함한다.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는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폐토너 이송오거;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와 상기 폐토너 회수통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주행하며,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날개들이 형성된 폐토너 이송 벨트;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 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돌출 리브를 가진다.
화상형성기기, 폐토너, 이송장치, 벨트, 리브

Description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Used Toner Collecting Device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폐토너 회수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기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폐토너 회수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폐토너 회수장치에 대한 폐토너 이송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폐토너 이송벨트의 폐토너 배출구 측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폐토너 이송벨트에 설치된 돌출 리브에 대한 상세도로서, 도 6a는 그 측면도이고, 도 6b는 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폐토너 이송벨트에 설치된 다른 돌출 리브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폐토너 회수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폐토너 이송벨트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폐토너 회수장치
210: 폐토너 수납받이
220: 폐토너 이송부재
221: 케이스
222: 폐토너 이송벨트
223: 폐토너 이송오거
230: 폐토너 회수통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의 칼라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토너의 고화 또는 케이크(caking)가 방지되는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기기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LSU)에 의하여 감광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입자를 공급하여 현상된 토너화상을 인쇄용지에 전사시키고 열을 가하여 융착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형성기기는 감광체와 전사유닛 또는 전사유닛과 인쇄용지 사이의 전위 차이를 이용하여 토너화상을 인쇄용지에 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하지만, 감광체로부터 전사유닛으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과정 또는 전사유닛으로부터 인쇄용지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과정 중에 토너화상이 완전하게 전사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는 감광체나 전사유닛에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폐토너는 폐토너 회수장치에 의하여 회수되어 폐토너 회수통에 저장된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40973호에 개시된 종래의 폐토너 회수장치(20)가 구비된 그러한 칼라 화상형성기기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화상형성기기(10)에서는, 토너화상이 감광드럼(11), 전사벨트(14) 및 인쇄용지(P)로 순차적으로 전사되는 과정에서 일부 토너는 감광드럼(11) 또는 전사벨트(14)에 잔류하게 된다. 감광드럼(11)과 전사벨트(14)는 인쇄용지(P)로 토너화상을 전달하기 전에 토너화상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화상수용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2"는 현상기, "15"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 "16"은 전사롤러, "17"은 대전기, 그리고 "18"은 정착기를 나타낸다.
상기 폐토너 회수장치(20)는 감광드럼(11)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 13)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T)를 수납하는 폐토너 하우징(used toner housing, 21), 폐토너 하우징(21)에 쌓인 폐토너(T)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오거(transferring auger, 23), 이송오거(23)에 의해 폐토너가 이송되는 연결통로인 이송덕트(transferring duct, 22) 및 이송덕트(22)를 통해 이송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저장용기(24)를 구비한다.
클리닝 블레이드(13)에 의해 감광드럼(1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T)는 클리닝 블레이드(13)와 폐토너 저장용기(24)의 주입구(24a)와의 높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폐토너 회수장치(20)에 의해 폐토너 저장용기(24)로 이송된다. 상기 폐토너 저장용기(24)는 그 위쪽에 폐토너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폐토너가 주입되는 주입구(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덕트(22)의 내부에는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미도시된 반송코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송코일은 회전축의 외주면에 연속나선모양의 날개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반송코일이 회전하면서 폐토너를 저장용기(24)로 이송한다.
그러나 종래의 칼라 화상형성기기(10)에 장착된 폐토너 회수장치(20)는 큰 설치공간을 차지한다. 최근 칼라 레이저 프린터의 추세가 소형화, 복잡한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설계자는 이전보다 더 작은 설계(layout) 공간 내에서 폐토너 회수장치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소형의 레이저 프린터에서는 설계 공간이 협소하므로, 감광드럼과 전사벨트의 폐토너를 배출하는 공간 역시 제약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소형의 화상형성기기는 이송벨트를 사용하여 폐토너를 배출하는 공간을 축소하고 있다. 그러나 이송벨트를 구비한 폐토너 회수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기기 내에는 폐토너가 쌓이지 않아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지만, 폐토너 회수장치가 감광드럼 쪽에서 밀려오는 폐토너를 원할하게 폐토너 저장용기 쪽으로 배출해 주지 못하면, 폐토너가 조금씩 누적되어서 고화의 원인이 된다. 또한 배출구에서 폐토너 회수통 쪽으로 떨어지는 폐토너 배출구 부위에서 폐토너가 굳어지게(caking)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폐토너 회수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의 이송벨트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폐토너의 이송과정에서 폐토너가 고화되거나 굳어버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상형성기기의 내부 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폐토너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폐토너 회수장치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폐토너 회수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가 수납되는 폐토너 수납받이;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에 수납된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폐토너 이송부재; 및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회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는,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폐토너 이송오거;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와 상기 폐토너 회수통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주행하며,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날개들이 형성된 폐토너 이송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는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 쪽에서 상기 폐토너 회수통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 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돌출 리브를 가진다.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리브는 복수개로 분할된 것이 좋다.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돌출 날개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돌출 리브의 두께는 상기 돌출 날개의 두께(T)의 0.7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3~0.5배의 두께를 가지 는 것이다. 상기 돌출 리브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폐토너 회수통은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의 바로 아래에 폐토너 가이드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기기는, 감광체를 구비한 화상형성 유닛; 및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를 상기 감광체보다 상단에 위치된 폐토너 회수통으로 회수하기 위한 폐토너 회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회수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가 수납되는 폐토너 수납받이; 및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에 수납된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폐토너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는,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폐토너 이송오거;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와 상기 폐토너 회수통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주행하며,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날개들이 형성된 이송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토너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칼라 화상형성기기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기(100)는, 화상형성 유닛(110); 및 감광체(111)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폐토너 회수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 유닛(110)은 본체(101)의 메인 프레임(main frame, 102)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되고, 감광체(111)와 현상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체(111)는 통상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주면에 유기 광도전층(organic photoconductive layer)이 코팅되어 있다. 감광체(111)의 주변에는 감광체(111)를 대전시키는 대전기(117)와, 대전된 감광체(111)에 광을 주사하여 원하는 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5)과, 현상기(112)가 설치된다.
상기 현상기(112)는 감광체(11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옐로우(yellow; Y), 마젠타(magenta; M), 시안(cyan; C), 블랙(black; K)의 4가지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는 4개의 현상기(112Y, 112M, 112C, 112K)로 구성된다.
이러한 화상형성 유닛(110)은 감광체(111)와 현상기(112)를 하나의 모듈(module)로서 기기 내에 분리 장착 가능하다. 이러한 모듈로 구성된 화상형성 유닛은 소형의 화상형성기기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감광체(111)의 일측에는, 현상된 4가지 색상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되게 전사 받아서 인쇄용지(P)에 전사하는 전사유닛(114)과, 인쇄용지(P)를 가열 압착하여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118)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 유닛(110)의 하부에는, 인쇄용지(P)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유닛(119)이 마련된다. 급지유닛(119)에 적재된 인쇄용지(P)는 픽업롤러(119a)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스트 롤러(119b)로 이송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16"은 전사롤러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100)는 감광체(111)의 일측에 폐토너 제거를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113)가 배치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113)는 감광체(111) 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유닛(114)에 전사된 후 감광체(11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긁어낸다. 클리닝 블레이드(113)에 의해 긁어낸 폐토너는 감광체(111) 주변에 설치된 폐토너 회수장치(200)에 의해 폐토너 회수통(230)으로 이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기기(100)로부터 폐토너 회수장치(200)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그 폐토너 회수장치(200)에 대한 폐토너 이송부재(220)의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상기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배출구 측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토너 회수장치(200)는, 폐토너 수납받이(210), 폐토너 이송부재(220) 및 폐토너 회수통(230)을 포함한다.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210)는 감광체(111)의 일측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감광체(111)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감광체(111)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113)에 의해 긁어져 폐토너 수납받이(210)에 쌓인다.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220)는 폐토너 수납받이(210)에 수납된 폐토너를 폐토너 회수통(230)으로 이동시킨다. 폐토너 이송부재(220)는 폐토너 이송오거(223), 케이스(221) 및 폐토너 이송벨트(222)로 구성된다.
상기 폐토너 이송오거(223)는 폐토너 수납받이(210)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폐토너 이송오거(223)는 외주면에 회전시 폐토너를 폐토너 수납받이(210)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나선돌출부(223b)를 구비한 오거 샤프트(auger shaft, 223a)로 구성된다. 오거 샤프트(223a)는 감광체의 구동모터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구동롤러(225)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221)는 폐토너 수납받이(210)의 일측과 폐토너 회수통(230)의 상부를 연결한다. 따라서 폐토너 이송부재(220)는 폐토너 수납받이(210) 쪽에서 폐토너 회수통(230)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케이스(221)는 폐토너 이송오거(223)에 의해 폐토너 수납받이(210)의 일측에 모여진 폐토너를 폐토너 이송벨트(222)가 폐토너 회수통(230)으로 이송시킬 때 폐토너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케이스(221)의 상단 하부에는 폐토너 회수통(230)에 폐토너를 배출하는 배출구(221a)가 형성된다.
상기 폐토너 이송벨트(222)는 케이스(221) 내에서 구동롤러(225)와 종동롤러(224)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롤러(225)는 오거 샤프트(223a)에 연결된다. 폐토너 이송벨트(222)는 외측 표면에 폐토너를 폐토너 수납받이(210)에서 폐현상 회수통(230)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돌출 날개(222a)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칼라 화상형성기기(10)에서의 폐토너 회수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1)에서 배출되는 폐토너 배출 위치가 폐토너 회수통(23)의 주입구보다 낮게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칼라 화상형성기기(10)의 구조적인 약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폐토너 이송벨트(222)가 이송오거(223) 쪽에서 페토너 회수통(230) 쪽으로 폐토너를 끌고 올라가 폐토너를 자유낙하시키도록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외주면에 다수의 돌출 날개(222a)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 날개(222a)들은 단순히 폐토너를 끌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감광체(111) 쪽에서 배출되는 폐토너의 최대 배출량보다 폐토너 이송벨트(222)에 의해 이송되는 배출양이 많도록 폐토너 이송오거(223)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돌출 날개(222a)들은 일정 피치(pitch)로 가지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토너 회수장치(200)는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외주면에 단순히 돌출 날개(222a)만 설치하지 않고, 상기 돌출 날개(222a)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돌출 리브(226)를 가진다. 상기 돌출 리브(226)는 폐토너 이송벨트(222)와 동일한 탄성부재, 예컨대 고무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돌출 리브(2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21)의 배출구(221a)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 날개(222a)에 돌출 리브(226)가 마련되면, 케이스(221)의 배출구(221a) 주위 내벽을 쓸어주게 되므로, 이 부분에서 폐토너의 고화가 진행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출 리브(226)는 폐토너 배출구(221a) 부분에서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진행 방향으로 돌출 리브(226)가 탄성에 의해 튕겨주기 때문에 폐토너가 굳어지는 케이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그러한 돌출 리브들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상기 폐토너 이송벨트에 설치된 제1실시예에 따른 돌출 리브에 대한 상세도로서, 도 6a는 그 측면도이고, 도 6b는 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폐토너 이송벨트에 설치된 다른 제2실시예에 따른 돌출 리브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돌출 리브(226)는 돌출 날개(222a)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돌출 날개(222a)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 리브(226)의 두께(T)는 돌출 날개(222a)보다 작은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 돌출 리브(226)는 돌출 날개(222a)의 두께(T)의 0.7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돌출 날개의 두께(T)의 0.3~0.5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돌출 리브(226)가 돌출 날개(222a)에 비하여 너무 두껍거나 너무 얇으면, 탄성력이 미흡하여 탄성에 의한 유효한 진동을 폐토너 이송벨트(222)에 부여하기 곤란하다.
돌출 리브(226)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그러한 돌출 리브(226a, 226b, 226c)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에서, 돌출 리브(226a, 226b, 226c)는 3개로 나뉘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돌출 리브(226a, 226b, 226c)는 제1실시예에 따른 돌출 리브(226)에 비하여 보다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폐토너 저장통(230)은 폐토너 수납받이(210)에서 폐토너 이송벨트(222)에 의해 이송된 폐토너(T)를 저장한다. 폐토너 회수통(230)은 케이스(221)의 단부에 탈착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폐토너 회수통(230)의 내부에는 케이스(221)의 배출구(221a) 바로 아래에 폐토너의 낙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231)가 설치된다. 또 폐토너 회수통(230)은 폐토너 회수통(230)을 화상형성 유닛(11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폐토너 회수통(230)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232)를 구비한다. 따라서 폐토너 회수통(230) 내에 폐토너(T)가 가득찰 경우, 화상형성 유닛(110)을 제거할 필요없이 폐토너 회수통(230)만 화상형성 유닛(110)으로부터 분리하여 폐토너(T)를 수거하거나 다른 폐토너 회수통(23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폐토너 회수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폐토너 회수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폐토너 이송벨트에 대한 확대도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칼라 화상형성기기(100)에서는, 감광체(11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유닛(114)에 전사된 후, 감광체(11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가 클리닝 블레이드(113)에 의해 긁어져 폐토너 수납받이(210) 내에 쌓이게 된다. 폐토너 수납받이(210)에 쌓인 폐토너(T)는 이송오거(223)에 의해 폐토너 이송벨트(222) 쪽으로 밀려 이송된다.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하단으로 이송된 폐토너(T)는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구동에 따라 돌출 날개(222a)들에 의해 폐토너 회수통(230)으로 이송된다. 또한 돌출 날개(222a)의 끝단에 형성된 돌출 리브(226)도 폐토너(T)의 이송을 더 확실하게 도와준다.
또, 돌출 리브(226)는 케이스(221)의 내벽을 따라 주행하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리브(226)가 그 주변의 폐토너 이송벨트(222)를 약간 들어올린다. 이 상태로 폐토너 이송벨트(222)가 주행하다가 도 8b와 같이, 돌출 리브(226)가 배출구(221a)에 이르게 되면, 돌출 리브(226)는 배출구(221a)로 들어가는 동시에, 폐토너 이송벨트(222)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서 순간적으로 폐토너 이송벨트(222)가 탄성에 의해 튕기며 진동을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에 의해 폐토너 이송벨트(222)에 묻어 있던 폐토너를 폐토너 이송벨트(222)로부터 확실하게 떨어뜨릴 수 있다.
통상 폐토너 이송오거(223)는 감광체(111)로부터 긁어낸 폐토너를 다량으로 폐토너 이송부재(220) 쪽으로 밀어 넣는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돌출 리브(226)가 없다면, 폐토너 회수통(230)의 배출구(221a) 주위의 내벽에 폐토너가 조금씩 달라붙어 고화가 진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 상태가 계속 되면, 폐토너 이송벨트(222)가 폐토너를 깨끗하게 쓸어 내지는 못한다. 실제 확인한 바에 따르면, 폐토너 이송벨트(222)에 돌출 리브(226)가 없는 경우, 배출구(221a)에서 고화가 진행되는 폐토너를 털어줄 수가 없다. 또한 폐토너 케이스(221)의 내부는 폐토너가 배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폐토너가 쌓여 고화로 진행된 후, 결국 폐토너 이송벨트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 돌출 리브(226)는 배출구(221a)를 통과하면서 배출구(221a)의 하단 주변에 쌓여져 굳어버릴 수 있는 폐토너까지 말끔히 제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폐토너 회수장치(200)는 폐토너 이송벨트(222)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 날개(222a)에 돌출 리브(226)가 마련됨으로써, 폐토너 회수통(230) 쪽의 케이스(221)의 내벽을 쓸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이 부분에서 고화가 진행되는 폐토너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토너 회수장치에 따르면, 폐토너 이송벨트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폐토너 고화 및 케이킹 현상을 없앨 수 있고, 화상형성기기 내의 폐토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가 수납되는 폐토너 수납받이;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에 수납된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폐토너 이송부재; 및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폐토너 회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는,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폐토너 이송오거;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와 상기 폐토너 회수통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주행하며,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날개들이 형성된 폐토너 이송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 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는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 쪽에서 상기 폐토너 회수통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복수개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돌출 날개의 두께(T)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돌출 날개의 두께(T)의 0.7배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돌출 날개의 두께(T)의 0.3~0.5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회수통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배출구의 바로 아래에 폐토너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토너 회수장치.
  11. 감광체를 구비한 화상형성 유닛; 및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를 상기 감광체보다 상단에 위치된 폐토너 회수통으로 회수하기 위한 폐토너 회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회수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폐토너가 수납되는 폐토너 수납받이;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폐토너를 이송하는 폐토너 이송오거;
    상기 폐토너 수납받이와 상기 폐토너 회수통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주행하며,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날개들이 형성된 이송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날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 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기기.
  12. 삭제
KR1020050128133A 2005-12-22 2005-12-22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2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133A KR100727389B1 (ko) 2005-12-22 2005-12-22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
US11/434,134 US7542714B2 (en) 2005-12-22 2006-05-16 Used toner collecting devic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B200610168695XA CN100517124C (zh) 2005-12-22 2006-12-22 废调色剂收集装置和具有该装置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133A KR100727389B1 (ko) 2005-12-22 2005-12-22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389B1 true KR100727389B1 (ko) 2007-06-12

Family

ID=3818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1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7389B1 (ko) 2005-12-22 2005-12-22 폐토너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칼라 화상형성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42714B2 (ko)
KR (1) KR100727389B1 (ko)
CN (1) CN1005171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62B1 (ko) * 2007-07-02 200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5049677B2 (ja) * 2007-07-10 2012-10-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廃棄トナー回収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5359211B2 (ja) 2007-12-17 2013-12-04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354093A (zh) * 2011-09-28 2012-02-1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打印碳粉的废粉收集袋
JP6593148B2 (ja) * 2015-12-18 2019-10-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搬送速度制御方法
CN107065477A (zh) * 2017-02-14 2017-08-18 珠海泛能打印机耗材有限公司 一种连续供粉硒鼓
KR20230152865A (ko) * 2022-04-27 2023-11-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운반 부재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폐토너 분산 부재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447A (ko) * 1997-12-27 1999-07-15 윤종용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20050003872A (ko) * 2003-07-04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7758A1 (de) * 1975-12-20 1977-07-07 Agfa Gevaert Ag Reinigungseinrichtung fuer elektrofotografische kopiergeraete
JPH03235982A (ja) * 1990-02-13 1991-10-21 Nec Corp 残留トナーのクリーニング装置
US5259717A (en) * 1992-04-03 1993-11-09 Astec Industries, Inc. Conveying apparatus for asphaltic mix and the like
US5614996A (en) * 1994-03-03 1997-03-25 Kyocera Corporation Toner storage unit, residual toner collect unit, toner container with thes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toner container
JPH09138579A (ja) * 1995-11-13 1997-05-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9138535A (ja) 1995-11-13 1997-05-27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JP3281595B2 (ja) * 1997-06-19 2002-05-13 株式会社沖データ 電子写真記録装置
KR100252770B1 (ko) 1997-06-30 2000-04-15 김영환 링오실레이터
JPH11327401A (ja) 1998-05-15 1999-11-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搬送装置
JP2000330440A (ja) 1999-05-18 2000-11-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265188A (ja) 2000-03-16 2001-09-28 Ricoh Co Ltd 回収トナー搬送装置
US20070081839A1 (en) * 2005-10-12 2007-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convey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conveying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447A (ko) * 1997-12-27 1999-07-15 윤종용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KR20050003872A (ko) * 2003-07-04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7124C (zh) 2009-07-22
US20070147918A1 (en) 2007-06-28
US7542714B2 (en) 2009-06-02
CN1987683A (zh)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6824B2 (ja) 回収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83357B2 (en) Powder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494148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75956A (ja) 粉体搬送装置、トナー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29332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CN105301932A (zh) 图像形成装置
US12346061B2 (en) Developing device provided with a toner trapping mechanism
JP2013195855A (ja) 廃トナー搬送ユニット
US8559863B2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176270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42714B2 (en) Used toner collecting devic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494092B1 (en)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dopting the same
KR100529334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CN1637654A (zh) 图像形成装置
JP64890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300635A (ja) 廃棄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10410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廃トナー回収ボックス
JP528897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79264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5180976A (ja) トナー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411913B2 (ja) 粉粒物回収装置
KR100553903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7086732B2 (ja) 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944710B2 (ja) 廃現像剤回収装置
JP5229656B2 (ja) 現像剤回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