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197B1 - Elevator control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7197B1 KR100727197B1 KR1020057025041A KR20057025041A KR100727197B1 KR 100727197 B1 KR100727197 B1 KR 100727197B1 KR 1020057025041 A KR1020057025041 A KR 1020057025041A KR 20057025041 A KR20057025041 A KR 20057025041A KR 100727197 B1 KR100727197 B1 KR 100727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speed
- cage
- clock
- abnorma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8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3689 Abnormality of move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661 Dyskin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elevator)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 제1 및 제2 처리부를 포함한 이중계(二重系)로 실행된다. 제1 처리부에는, 제1 클럭(clock)으로부터의 제1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제2 처리부에는, 제2 클럭으로부터의 제2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클럭 이상(異常) 검출회로에는, 제1 및 제2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클럭 이상 검출회로는,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펄스(pulse) 수(數)를 카운트(count)하여, 펄수 수의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이 검출된다.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the calculation regarding the control of the elevator is executed in a dual system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processing units. A first clock signal from a first clock is input to the first processor. A second clock signal from the second clock is input to the second processor.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re input to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nd the abnorm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is detected from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ulses.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럭(clock)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ing a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based on a clock signal.
종래, 클럭 신호의 이상(異常)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워치도그 타이머(watchdog tim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워치도그 타이머로는, 클럭 주파수의 늘어남이나 클럭 신호의 정지는 검출할 수 있지만, 클럭 주파수의 단축을 검출할 수 없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method of using a watchdog timer is known as a method of detecting an abnormality in a clock signal. However, although the watchdog timer can detect an increase in clock frequency or stop of a clock signal, it cannot detect a decrease in clock frequency.
또한, 특개평8-119553호 공보에는, 주파수가 다른 2개의 클럭 신호를 분주(分周)하고, 그들을 서로의 클럭 카운터(counter) 회로의 리셋(reset) 신호로서 사용하여, 서로의 클럭 펄스 엣지(clock pulse edge)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클럭을 분주하는 것에 의해, 카운트 업(up)하는 기간을 결정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를 위한 회로를 부가할 필요가 있어,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고장률이 상승해 버린다. 또한, 부가된 회로가 정상에서 기능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없어, 신뢰성이 충분하지 않았다.Als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8-119553 divides two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into each other and uses them as reset signals of the clock counter circuits of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the clock pulse edges with each other. A method of detecting an abnormality by counting (clock pulse edge) is disclosed. However, in this method, since the clock is divided to generate a signal for determining the period of counting up, a circuit therefor needs to be added, and the circuit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failure rate is increased. It rises. In addition,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added circuit was functioning normally, and the reliability was not sufficien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can improve reliability with a simple circuit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관한 연산을 이중계(二重系)로 행하는 제1 및 제2 처리부, 제1 처리부에 제1 클럭 신호를 보내는 제1 클럭, 제2 처리부에 제2 클럭 신호를 보내는 제2 클럭, 및 제1 및 제2 클럭 신호가 입력되어,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을 검출하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를 구비하고, 클럭 이상 검출회로는,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펄스 수(數)를 카운트하여, 펄스 수의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을 검출한다.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processing units which perform arithmetic operations on elevator control in a dual system, and a first clock and a second processing unit which send a first clock signal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A second clock for sending a second clock signal and a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for inputting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to detect abnormal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wherein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includes a first clock signal. And the number of pulses of the second clock signal is counted to detect abnormal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from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uls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FIG. 1.
도 3은 도 2의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of FIG. 4. FIG.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6 is a front view of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at the time of operation of FIG. 5. FIG.
도 7은 도 6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driving unit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 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7 of this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도 15는 도 7의 구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unit of FIG. 7.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Fig. 16 is a 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emergency stop device according to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17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according to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1 of this invention.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 타내는 그래프이다.FIG. 19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 abnormal speed of a car stored in a storage unit of FIG. 18.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20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 abnormality in the car acceler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FIG.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2 of this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도 23은 도 22의 로프 고정 장치 및 각 로프 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rope fixing device and each rope sensor of FIG.
도 24는 도 23의 1개의 메인 로프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 main rope of FIG. 23 is broken.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5 of this invention.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 및 도어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r and the door sensor of FIG. 26.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r door of FIG. 27 is opened.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in FIG. 29.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요부를 나타 내는 블록(block)도이다.Fig. 3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도 32는 도 31의 클럭 이상 검출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of FIG.
도 33은 도 31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적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FIG. 31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very suit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권상기(hoisting machine)(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메인 로프(4)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는,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5)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작동에 의해 제동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또,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를 검출하는 엘 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조속기(6)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6)는 조속기 본체(7)와, 조속기 본체(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의 하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텐션 풀리(9)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8)와 텐션 풀리(9)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3)에 연결된 거버너 로프(10)가 감겨져 있다. 거버너 로프(10)의 엘리베이터 칸(3)과의 연결부는,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8) 및 텐션 풀리(9)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된다.Moreover, the governor 6 which is an elevator car speed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lifting speed of the cage | basket |
조속기(6)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조속기(6)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강하 속도가 제1 과속도보다 고속의 제2 과속도(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비상 정지 장치(5)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인 스위치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부(11)는, 회전하는 조속기 쉬브(8)의 원심력에 대응하여 변위되는 과속 레버에 의해 기계적으로 개폐되는 접점부(16)를 갖고 있다. 접점부(16)는, 정전시에도 급전(給電) 가능한 무정전 전원 장치인 배터리(12),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3)에, 각각 전원 케이블(14) 및 접속 케이블(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엘리베이터 칸(3)과 제어반(13)의 사이에는, 제어 케이블(이동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케이블에는, 복수의 전력선이나 신호선과 함께, 제어반(13)과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포함되어 있다. 배터리(12)로부터의 전력은, 접점부(16)의 폐극(閉極)에 의해 전원 케이 블(14), 스위치부(11),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 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공급된다. 또한, 전송 수단은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 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갖고 있다.A control cable (moving cable) is connected between the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5)는 지지 부재(18)에 지지되어 있다. 또,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제동 부재인 쐐기(19)와, 쐐기(19)에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쐐기(19)를 변위시키는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20)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고 액추에이터부(20)에 의해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21)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쐐기(19),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20) 및 한 쌍의 안내부(21)는, 각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안내부(2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을 갖고 있다. 쐐기(19)는 경사면(22)에 따라 변위된다.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위쪽의 안내부(21)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인 스프링(23)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電磁力)에 의해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안내부(21)로부터 떨어지도록 쐐기(19)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다.The
스프링(23)은, 지지 부재(18)와 쐐기(19)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용 배선(17)은 전자 마그넷(24)에 접속되어 있다. 쐐기(19)에는 전자 마그넷(24)에 대향하는 영구자석(25)이 고정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접점부(16)(도 1 참조)의 폐극에 의해 배터리(12)(도 1 참조)로부터 이루어진다. 접점부(16)(도 1 참조)의 개극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5)는 작동된다. 즉, 한 쌍의 쐐기(19)는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가압된다.The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접점부(16)는 폐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는 배터리(1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쐐기(19)는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 흡인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도 2).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normal operation, the
예를 들면 메인 로프(4)의 절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제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후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과속도로 되면, 접점부(16)가 개극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차단되며, 쐐기(19)는 스프링(23)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 때, 쐐기(19)는 안내부(21)의 경사면(22)에 접촉하면서 경사면(22)에 따라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2)에의 접촉에 의해, 한층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안내부(21)와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19)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도 3).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을 해제할 때에는, 접점부(16)의 폐극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 통전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쐐기(19)는 아래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다.When the braking of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배터리(12)에 접속된 스위치부(11)와 각 비상 정지 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조속기(4)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을 전기적인 작동 신호로서 스위치부(11)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전송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단시간에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비상 정지 장치(5)를 용이하게 동기 작동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전기적인 작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흔들림 등에 의한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switch part 11 connected to the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쐐기(19)를 위쪽의 안내부(21)측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부(20)와, 위쪽으로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면(22)을 포함하는 안내부(21)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하고 있을 때, 쐐기(19)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에 대한 가압력을 확실히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쐐기(19)를 하부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쐐기(19)를 변위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본체(27)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13)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출력부(32)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공급된다. 출력부(32)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33)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와 각 비상 정지 장치(33)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과속도일 때에 작동용 전력인 작동 신호가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비상 정지 장치(33)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33)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인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35)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 즉 안내부(36)측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안내부(3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와, 접촉부(37) 및 작동 기구(38)를 지지하는 지지부(39)를 갖고 있다. 접촉부(37)는, 작동 기구(38)에 의해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쐐기(34)보다 가볍게 되어 있다. 작동 기구(38)는,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시키고 있는 접촉 위치와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시키고 있는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한 가동부(40)와,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구동부(41)를 갖고 있다.The
지지부(39) 및 가동부(40)에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접촉부(37)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촉부(37)는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수반하여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되며, 지지 안내구멍(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적정한 각도로 접촉 및 분리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되어 안내부(36)측으로 변위된다.The
지지부(39)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수평 안내구멍(47)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안내구멍(4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쐐기(34)는 지지부(39)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안내부(3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경사면(44) 및 접촉면(45)을 갖고 있다. 경사면(4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접촉면(45)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의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접촉면(45)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The
도 7은 도 6의 구동부(4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동부 (41)는 가동부(40)에 장착된 가압부인 접시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다.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driving
가동부(40)는, 접시 스프링(46)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46)은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의해 변형된다.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가동부(40)의 변위에 의한 변형에 의해 가동부(40)의 접촉 위치(실선)와 개리 위치(2점 파선) 사이에서 반전되게 되어 있다. 가동부(40)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 각각 유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접촉부(37)의 접촉 상태 및 개리 상태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유지된다.The
전자 마그넷(48)은, 가동부(40)에 고정된 제1 전자부(49)와, 제1 전자부(49)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전자부(50)를 갖고 있다. 가동부(40)는 제2 전자부(5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48)에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하여 서로 반발된다. 즉, 제1 전자부(49)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가동부(40)와 함께 제2 전자부(5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The
또한, 출력부(32)는, 비상 정지 기구(5)의 작동 후의 복귀를 위한 복귀 신호를 복귀시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에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서로 흡인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Moreover, the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접촉부(37)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the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 후에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2 과속도로 되면,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작동 신호의 전자 마그넷(48)에의 입력에 의해,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반발된다. 이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가동부(40)는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접촉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접촉 위치에서 가동부(40)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반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된다.When the speed detected by the
엘리베이터 칸(3) 및 안내부(36)는 제동되지 않고 하강하는 것으로부터, 안내부(36)는 아래쪽의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측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쐐기(34)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해, 한층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경사면(44)과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34)와의 사이,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접촉면(45)과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며,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Since the
복귀시에는, 출력부(32)로부터 복귀 신호가 전자 마그넷(48)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흡인되며, 가동부(40)는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개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개리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반전하며,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상승되고,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은 해제된다.At the time of return, the retur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및 거버너 로프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또,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를 갖고 있으므로, 접촉부(37)의 중량을 쐐기(34) 보다 가볍게 함으로써, 작동 기구(38)의 접촉부(37)에 대한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작동 기구(3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7)를 경량으로 하는 것으로, 접촉부(37)의 변위 속도도 크게 할 수 있고, 제동력의 발생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Moreover, the
또, 구동부(41)는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서 유지하는 접시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해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으므로, 가동부(40)의 변위시만의 전자 마그넷(48)에의 통전으로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혹은 개리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실시 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인 도어 개폐 센서(58)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개폐 센서(58)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59)가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59)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는 출력부(59)에 입력된다. 출력부(59)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개폐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가 파악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출력부(5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59)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 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센서(58)가 출력부(5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59)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또한, 비상 정지 장치(33)를 상하 반대로 한 것을 엘리베이터 칸(3)에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you may attach to the cage | basket |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메인 로프(4)에는, 메인 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 수단인 절단 검출 도선(61)이 삽통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메인 로프(4)의 절단의 유무는, 미약 전류의 통전의 유무에 의해 검출된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이 절단되면,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차단 신호인 로프 절단 신호가 출력부(62)에 입력된다. 출력부(62)에는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출력부(62)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 어 있다. 출력부(62)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절단 검출 도선(61)으로부터의 로프 절단 신호에 의해, 메인 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과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메인 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절단 검출 도선(61)이 출력부(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메인 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6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검출 및 메인 로프(4)의 절단의 검출에 의해 이상 속도로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히 제동시킬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 수단으로서 메인 로프(4)에 삽통된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메인 로프(4)의 텐션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메인 로프(4)의 로프 고정에 텐션 측정기가 설치된다.In the above example, a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ergization of the
실시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가감속도 및 정지 층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패턴이 기억된 메모리부(67)를 갖고 있다. 출력부(66)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가 입력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출력부(66)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실측치)와, 메모리부(67)에 기억된 제어 패턴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설정치)가 비교되게 되어 있다. 출력부(66)는, 실측치와 설정치와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threshold)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문턱값이란, 엘리베이터 칸(3)이 통상의 제동에 의해 승강로(1)의 단부(end portion)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기 위한 최저한의 실측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66)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실측치와 제어 패턴의 설정치와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실시 형태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인 상부 칸 (71)과, 상부 칸(7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인 하부 칸(72)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의 상단부에는, 상부 칸(71) 및 상부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제1 권상기(도시하지 않는다)와, 하부 칸(72) 및 하부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는다)를 승강시키는 제2 권상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1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제2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2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감겨져 있다. 상부 칸(71) 및 상부 칸용 균형추는 제1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리고, 하부 칸(72) 및 하부 칸용 균형추는 제2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승강로(1) 내에는, 상부 칸(71)의 속도 및 하부 칸(72)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상부 칸 속도 센서(73) 및 하부 칸 속도 센서(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상부 칸(71)의 위치 및 하부 칸(72)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또한,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은,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다.Moreover, the cage | basket | car motion detection means has the upper
상부 칸(71)의 하부에는, 실시 형태 2에서 사용되는 비상 정지 장치(33)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칸(72)의 하부에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탑재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제어반(13) 내에는 출력부(79)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79)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부 칸 속도 센서(73)로부터의 상부 칸 속도 검출 신호, 하부 칸 속도 센서(74)로부터의 하부 칸 속도 검출 신호, 상부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상부 칸 위치 검출 신호,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하부 칸 위치 검출 신호는, 출력부(79)에 입력된다. 즉, 출력부(79)에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된다.The
출력부(7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 혹은 하부 칸(72)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의 유무, 및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될 때에 작동 신호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The
또한, 감시부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출력부(79)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의 주행 상태는 감시부에 의해 감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monitoring unit has a car motion detecting means and an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부(79)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의 출력부(79)에의 입력에 의해, 상부 칸(71) 혹은 하부 칸 (72)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의 유무, 및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된다. 예를 들면 상부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1 메인 로프의 절단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출력부(79)에서 예측되었을 때, 출력부(79)로부터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제동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부가, 동일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는 출력부(79)를 갖고 있으므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에 이르지 않아도,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될 때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를 작동시킬 수 있어서,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monitoring unit detects an actual movement of each of the
또,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이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으므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age | basket | car motion detection means has the upper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제어반(13) 내에 탑재되어 있으나, 상 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에 출력부(79)를 탑재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는, 상부 칸(71)에 탑재된 출력부(79), 및 하부 칸(72)에 탑재된 출력부(79)의 양쪽 모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양쪽 모두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한쪽에만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출력부(79)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되는 동시에,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움직임의 이상 유무도 판단된다. 작동 신호는,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중 비정상인 움직임을 하는 쪽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에만 출력부(79)로부터 출력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실시 형태 7.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칸(71)에는 출력부인 상부 칸용 출력부(81)가 탑재되고, 하부 칸(72)에는 출력부인 하부 칸용 출력부(82)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는,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상부 칸 위치 센서(7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71)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상부 칸 비상 정지용 배선(83)을 통하여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하부 칸(72)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상부 칸(71) 측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다.The upper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72)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하부 칸 비상 정지용 배선(84)을 통하여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상부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부 칸(71)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하부 칸(72)측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다.The lower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통상시에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하지 않게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운전 제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The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부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1 메인 로프의 절단에 의해 상부 칸(71)이 하부 칸(72)측으로 낙하하고, 상부 칸(71)이 하부 칸(72)에 가까워지면, 상부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되며, 하부 칸용 출력부(82)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하부 칸용 출력부(82)에서는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제동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6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부 칸 속도 센서(73)가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부 칸 속도 센서(74)가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부 칸 속도 센서(73)와 하부 칸용 출력부(82)와의 사이, 및 하부 칸 속도 센서(74)와 상부 칸용 출력부(81)와의 사이에 전기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기 배선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while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sixth embodiment, the upper
실시 형태 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에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칸간(間) 거리 검출 수단인 칸간 거리 센서(91)가 탑재되어 있다. 칸간 거리 센서(91)는, 상부 칸(71)에 탑재된 레이저 조사부와, 하부 칸(72)에 탑재된 반사부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과 하부 칸(72) 사이의 거리는, 레이저 조사부와 반사부 사이의 레이저 광의 왕복 시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간 거리 센서(91)에 의해 구해진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칸간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칸간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upper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The upper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동일하다.The lower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79)가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의 예측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 6∼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3의 도어 개폐 센서(58)를 적용하여 출력부에 개폐 검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되며, 실시 형태 4의 절단 검출 도선(61)을 적용하여 출력부에 로프 절단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The door opening /
또, 상기 실시 형태 2∼8에서는, 구동부는 제1 전자부(49) 및 제1 전자부(50)의 전자 반발력 혹은 전자 흡인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도전성의 반발판(反撥板)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이용하여 구동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마그넷(48)에는 작동 신호로서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가동부(40)에 고정된 반발판(51)에 발생하는 와전류와 전자 마그넷(48)으로부터의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동부(40)가 변위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2-8, the drive part is driven using the electron repulsion force or the electron attraction force of the 1st
또, 상기 실시 형태 2∼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은 승강로(1)에 설치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는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출력부에 전송된다.Moreover, although the car speed detection means is provided in the
실시 형태 9.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5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5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부(156)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쐐기(34)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Fig. 16 is a 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emergency stop device according to
액추에이터부(15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157)와, 각 접촉부(157)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링크 부재(158a, 158b)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를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159)와, 각 접촉부(157), 각 링크 부재(158a, 158b) 및 작동 기구(159)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갖고 있다. 지지부(160)에는, 쐐기(34)를 통과한 수평축(170)이 고정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축(170)에 대하여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각 링크 부재(158a, 158b)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또, 지지부(160)에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의 서로 교차된 부분에서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는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연결부(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Each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또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떨어지 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Each
작동 기구(159)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작동 기구(159)는, 한쪽의 링크 부재(158a)에 연결된 봉 형상의 가동부(162)와,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고정되며 가동부(162)를 왕복 변위시키는 구동부(163)를 갖고 있다.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와 함께, 연결 부재(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가동부(162)는, 구동부(163) 내에 수용된 가동 철심(164)과, 가동 철심(164)과 링크 부재(158a)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165)을 갖고 있다. 또, 가동부(162)는,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구동부(163)는, 가동 철심(164)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166a,166b)와 각 규제부(166a,166b)를 서로 연결하는 측벽부(166c)를 포함하며 가동 철심(164)을 둘러싸는 고정 철심(166)과, 고정 철심(166) 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1 코일(167)과, 고정 철심(166) 내에 수용되고 통전에 의해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2 코일(168)과, 제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의 사이에 배치된 환상의 영구자석(169)을 갖고 있다.The driving
한쪽의 규제부(166a)는, 가동부(162)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규제부(166b)는, 가동부(162)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One
제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은, 가동부(162)를 둘러싸는 환상의 전자 코일이다. 또, 제1 코일(167)은 영구자석(169)과 한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코일(168)은 영구자석(169)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169)의 자속량은, 제2 코일(168)측보다 제1 코일(167)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In the state where the
또,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169)의 자속량은, 제1 코일(167)측보다 제2 코일(168)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In the state where the
제2 코일(168)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2 코일(168)은, 한쪽의 규제부(166a)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7)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복귀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7)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 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The electric power which i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162)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동 철심(164)은 영구자석(169)에 의한 유지력으로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다.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normal operation, the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55)에 출력됨으로써, 제2 코일(168)에 통전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코일(168)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개리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 때, 각 접촉부(15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는 제동된다.Thereafter,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이 후, 안내부(36)는 하강을 계속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에 가까워진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Thereafter, the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제1 코일(167)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코일(167)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64)이 접촉 위치로부터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하여, 쐐기(34) 및 접 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At the time of return, the retur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작동 기구(159)가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통하여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 기구(159)의 수를 줄일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실시 형태 10.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7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7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17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according to
액추에이터부(176)는, 실시 형태 9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작동 기구(159)와, 작동 기구(159)의 가동부(162)의 변위에 의해 변위되는 링크 부재(177)를 갖고 있다.The
작동 기구(159)는, 가동부(162)가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1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180)은 작동 기구(159)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기점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를 가지며, 링크 부재(177)의 전체 형상으로서는, 대략 へ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링크부(179)는 제1 링크부(178)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제1 링크부(178)의 길이는, 제2 링크부(179)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제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182)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의 하부에는, 긴 구멍(18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된 슬라이드 핀(183)이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쐐기(3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링크부(179)의 선단부에는, 가동부(162)의 선단부가 연결 핀(18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The length of the
링크 부재(177)는, 쐐기(34)를 안내부(36)의 아래쪽에서 개리시키고 있는 개리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안내부(36)의 사이에 쐐기(34)를 파고들게 하고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162)는, 링크 부재(177)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부터 돌출되며, 링크 부재(177)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 후퇴되어 있다.The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링크 부재(177)는 가동부(162)의 구동부(163)로의 후퇴에 의해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부터 개리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normal operation, the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75)에 출력되고 가동부(162)가 전진된다. 이것에 의해,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안내부(36)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며,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파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은 제동된다.Thereafter,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175)에 전송되며, 가동부(162)가 후퇴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켜서,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쐐기(34)가 파고든 것을 해제한다.At the time of return, the retur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lso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effect similar to
실시 형태 11.Embodiment 11.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인 권상기(101)와, 권상기(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02)이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01)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103)와, 복수 개의 메인 로프(4)가 감겨지고 구동장치 본체(10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04)를 갖고 있다. 권상기(101)에는, 각 메인 로프(4)가 감겨진 디플렉터 쉬브(105)와, 엘리베이터 칸(3)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감속용 제동 장치)(10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각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권상기(101)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1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upper part of the
비상 정지 장치(33),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는 감시 장치(1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다.The
또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갖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계측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코더, 직선적인 움직임의 변위량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니어 인코더, 혹은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에 설치된 투광기 및 수광기와,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반사판을 가지며, 투광기의 투광으로부터 수광기의 수광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학식의 변위 측정기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means 112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elevator includes a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기준(설정 데이터)이 미리 기억된 기억부( 메모리부)(113)와,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의 각각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출력부(연산부)(114)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부(113)에 기억되어 있다.The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한쪽의 종단 층과 다른 쪽의 종단 층 사이의 구간)에는, 한쪽 및 다른 쪽의 종단 층 근방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가감속되는 가감속 구간과, 각 가감속 구간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3)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정속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FIG. 19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 abnormal speed of a car stored in the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인 통상 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1 이상 레벨)(116)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17)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In the cage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 three-step detection pattern is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정속 구간에서는 일정치가 되도록, 가감속 구간에서는 종단 층 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의 차이,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의 차이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The normal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인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1 이상 레벨)(119)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20)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FIG. 20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bnormality of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stored in the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은, 정속 구간에서는 제로 값이 되도록, 한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정(+)의 값이 되도록, 다른 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부(-)의 값이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의 차이,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의 차이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The normal
즉, 기억부(113)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 (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고,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어 있다.That is, the normal
출력부(114)에는, 비상 정지 장치(33), 제어반(102),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각각 경시적으로 계속하여 입력된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가속도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The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권상기(101)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신호를 제어반(102)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가 속도 검출 패턴(120)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고,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since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 (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가속도 설정치(119)를 넘은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Moreover, even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가속도 설정치(120)를 넘은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Moreover, even after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을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라고 하는 복수 종의 이상 판단 요소의 이상의 유무가 감시 장치(108)에 의해 각각 별개로 판단되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또,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113)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의 이상 유무의 판단 기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설계 변경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보다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includes a normal
또,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20)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includes a normal
또,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에 대응시켜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가감속 구간에서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의 값이 작으므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동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normal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도출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구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도출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2회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구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114)는 각 이상 판단 요소인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 하게 되어 있으나,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이상 판단 요소마다 미리 결정해 두어도 된다.Further, in the above example, the
실시 형태 12.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층의 승강장에는 복수의 승강장 호출 버튼(12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 내에는, 복수의 행선 층 버튼(1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 장치(127)는 출력부(114)를 갖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하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각 행선 층 버튼(126)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에는, 출력부(114)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엘리베이터 칸(3)이 각 층의 사이를 승강하는 모든 경우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기억하는 기억부(메모리부)(12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1개씩 기억부(129)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출력부(114)에 출력하는 생성부(130)를 갖고 있다.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각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19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2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In each cage | basket |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detection pattern of three steps similar to the cage | basket |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standard shown in FIG. 19 of Embodiment 11 is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생성부(13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를 산출하며,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목적 층을 산출하게 되어 있다. 또, 생성부(130)는, 산출된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을 한쪽 및 다른 쪽의 종단 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다.The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en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부(130)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출력부(114)를 통하여 위치 검출 신호가 상시 입력되고 있다.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 중 어느 한쪽이 예를 들면 승객 등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버튼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생성부(130)에 입력되면, 생성부(130)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 및 호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이 산출되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하나씩 선택된다. 이 후, 생성부(130)에서는, 선 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출력부(114)에 출력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is always input into the
출력부(114)에서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게 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9와 동일하다.I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가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판단 기준을 생성하게 되어 있으므로, 목적 층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목적 층이 선택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부터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generating device generates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car acceleration determination criterion based 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기억부(129)에 기억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부터 생성부(130)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으나, 제어반(102)에 의해 생성된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속도 패턴 및 통상 가속도 패턴에 의거하여 이상 속도 검출 패턴 및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을 각각 직접 생성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실시 형태 13.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 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각 메인 로프(4)는 로프 고정 장치(13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로프 고정 장치(131)에 설치되고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각각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부인 복수의 로프 센서(132)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로프 센서(132)를 갖고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각 로프 센서(132)는,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파단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메인 로프(4)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로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Each
로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1 이상 레벨과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2 이상 레벨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In the rop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first abnormal level in which the at least one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파단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In the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The
도 23은 도 22의 로프 고정 장치(131) 및 각 로프 센서(13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24는 도 23의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고정 장치(131)는, 각 메인 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3)에 접속하는 복수의 로프 접속부(134)를 갖고 있다. 각 로프 접속부(134)는, 메인 로프(4)와 엘리베이터 칸(3)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스프링(133)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각 메인 로프(4)에 대한 위치는, 각 탄성 스프링(133)의 신축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FIG. 2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로프 센서(132)는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되어 있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기이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에 대응한 측정 신호를 출력부(14)에 상시 출력하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탄성 스프링(133)의 복원에 의한 신장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의 측정 신호가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 또한, 각 메인 로프(4)의 텐션을 직접 측정하는 저울 장치를 로프 센서로서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해도 된다.The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en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각 로프 센서(131)로부터의 파단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로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제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In normal operation, the speed of the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또,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In addition, even when at least one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In addition, even when all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의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메인 로프(4)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으며,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131)에 로프 센서(132)가 설치되어 있으나, 균형추(107)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로프 센서(132)를 설치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메인 로프(4)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에 각각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으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승강로(1) 내의 구조물에 접속된 메인 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 현수용 쉬브(suspension sheave) 및 균형추 현수용 쉬브에 각각 감아서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로프 센서는, 승강로(1) 내의 구조물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설치된다.In the above exampl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실시 형태 14.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부로서의 로프 센서(135)는, 각 메인 로프(4)에 매입된 도선으로 되어 있다. 각 도선은, 메인 로프(4)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도선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출력부(1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도선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각 도선에의 통전의 각각의 차단이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3과 동일하다.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메인 로프(4)에 매입된 도선에의 통전의 차단에 의해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을 검출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감속에 의한 각 메인 로프(4)의 텐션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breakage of each
실시 형태 15.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출입구 개폐 검출부인 도어 센서(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도어 센서(140)를 갖고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 닫힘 상태일 때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은,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또한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를 비정상으로 하는 이상 판단 기준이다.The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고,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문 닫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In the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The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3) 및 도어 센서(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26)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부에,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폭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센서(140)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8) 각각의 문 닫힘 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며, 출력부(114)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FIG. 2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또한, 도어 센서(140)로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고정된 고정부에 접촉됨으로써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접촉식 센서, 혹은 비접촉으로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 승강장 출입구(141)에는, 승강장 출입구(14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 어(142)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 층에 착지되어 있을 때, 계합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계합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함께 변위된다.Moreover, as the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en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센서(140)로부터의 문 닫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출입구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상태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는 닫힘 상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since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 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또,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이상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며,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 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고,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만이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 및 승강장 출입구(141) 각각의 상태를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승강장 도어(142)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가,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와 함께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승강장 도어(142)를 서로 계합시키는 계합 장치 등이 고장나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만이 변위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only the state of the
실시 형태 16.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1)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권상기(101)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권상기(101)에는 제어반(102)의 제어에 의해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통하여 구동 전력이 공급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전력 공급 케이블(150)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 으로써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는 구동장치 검출부인 전류 센서(151)가 설치되어 있다. 전류 센서(151)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의 전류치에 대응하는 전류 검출 신호(구동장치 상태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류 센서(151)는 승강로(1)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류 센서(151)로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측정하는 변류기(CT) 등을 들 수 있다.The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전류 센서(15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전류 센서(151)를 갖고 있다.The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권상기(101)의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The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즉,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치인 통상 레벨과, 통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레벨과, 제1 이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The detection pattern of three steps is set to the drive apparatus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at is, the driv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includes a normal level which is a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 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In the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1 이상 레벨의 값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의 값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의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대응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The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en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센서(151)로부터의 전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 내의 전류의 크기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 내의 전류의 크기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도 19)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통상 레벨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In normal operation, the speed of the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고,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1 이상 레벨을 넘은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Moreover, even when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the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 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을 넘은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Moreover, even when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the electric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151)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어 있으나, 권상기(10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state of the hoist 101 is detected using a
또, 상기 실시 형태 11∼16에서는, 출력부(114)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3)에 비상 정지 장치(33)와는 별개로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균형추(107)에 탑재되고 균형추(107)를 안내하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균형추(107)를 제동하는 균형추 브레이크, 혹은 승강로(1) 내에 설치되고 메인 로프(4)를 구속함으로써 메인 로프(4)를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에, 출력부(114)에 의해 작동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11-16, before the
또, 상기 실시 형태 1∼16에서는, 출력부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에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송 수단으로서 전기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출력부에 설치된 발신기와 비상 정지 기구에 설치된 수신기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용해도 된다.In the first to sixteenth embodiments, although an electric cable is used as a transmission means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output unit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ransmitter provided in the output unit and a receiver provided in the emergency stop device is used. You may also Moreover, you may use the optical fiber cable which transmits an optical signal.
또, 상기 실시 형태 1∼16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게 되어 있으나, 이 비상 정지 장치가 상하 반대로 된 것을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고, 위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s 1-16, the emergency stop device brakes with respect to the overspeed (moving) of the car to the downward direction, However, when this emergency stop device was reversed up and down, it attached to the car and moved upwards. You may make it brake with respect to the overspeed (movement) to a direction.
실시 형태 17.
다음으로,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기기(203) 및 복수의 안전장치 기기(206)를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안전장치 기기(206)를 제어하는 데에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중계의 회로구성이 채용되어 있다.Next, FIG. 31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by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CPU(처리부)(201, 202)가 사용되고 있다. 제1 CPU(201)는, 제어기기(203) 및 제1 출력 인터페이스(출력부)(204)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2 CPU(202)는, 제어기기(203)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출력부)(205)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the first and second CPUs (processing units) 201 and 202 are used. The
제어기기(203)는, 제1 및 제2 CPU(201, 202)로부터 같은 모양의 제어신호를 받을 때에, 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기(203)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구동장치의 모터, 구동장치의 브레이크, 및 도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The
제1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는, 제1 및 제2 CPU(201, 20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안전장치 기기(206)를 구동·제어한다. 안전장치 기기(206)는, 제1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로부터 작동신호(지령신호)를 받으면, 엘리베이터를 안전상태로 이행시키도록 동작한다.The first and
안전장치 기기(206)로서는,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 16에 나타낸 비상 정지 장치(직동(直動) 비상 정지)(5, 33, 77, 78)를 들 수 있다. 또한, 안전장치 기기(206)는, 조속기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고,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한 전자 거버너(직동 로프 캐치)로 하여도 좋다.As the
제1 및 제2 CPU(201, 202)에는, 양자간의 데이터 수수(授受)를 행하기 위한 2 포트 RAM(209)이 접속되어 있다. 제1 CPU(201)에는, 제1 와치도그 타이머(210)가 접속되어 있다. 제2 CPU(202)에는, 제2 와치도그 타이머(211)가 접속되어 있다.Two-
제1 CPU(201)에는, 제1 및 제2 엔코더(encoder)(212, 21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2 CPU(202)에도, 제1 및 제2 엔코더(212, 21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엔코더(212, 213)로부터의 신호는, CPU(201, 202)에서 연산처리되고,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도 1)의 속도 및 위치가 구해진다. 즉, 엔코더(212, 213)는, 속도 센서겸 위치 센서로서 기능한다.Signals from the first and
엔코더(212, 213)는,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조속기 등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CPU(201, 202)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도 입력된다.The
제1 CPU(201)에는, 제1 클럭(214)으로부터의 제1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제2 CPU(202)는, 제2 클럭(215)으로부터의 제2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같게 설정되어 있다.The first clock signal from the
제1 및 제2 클럭 신호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에도 입력된다.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는,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여, 펄스 수의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을 검출한다.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re also input to the clock
제1 및 제2 CPU(201. 202)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무결성(無缺性)을 체크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test mode) 신호(217, 218)를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송신한다. 또한, 제1 및 제2 CPU(201, 202)는, 클럭 이상 검출을 개시하기 위한 검출개시 지령 신호(219, 220)를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송신한다.The first and
또한,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는, 클럭 이상을 검출할 때에 에러(error) 신호(221, 222)를 제1 및 제2 CPU(201, 202)에 입력한다.The clock
도 32는 도 31의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에는, 제1 클럭 신호의 펄스 엣지를 카운트하는 제1 감시 카운터(231) 및 제1 피감시 카운터(232)와, 제2 클럭 신호의 펄스 엣지를 카운트하는 제2 감시 카운터(233) 및 제2 피감시 카운터(234)가 설치되어 있다.3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lock
제1 클럭 신호는, 제1 셀렉터(selector)(235)를 통하여 제1 피감시 카운터(232)로 입력된다. 제1 셀렉터(235)에서는, 통상 회로와 테스트 회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회로에서는, 제1 클럭 신호가 그대로 제1 피감시 카운터(232)로 입력된다. 테스트 회로에서는, 제1 클럭 신호가 제1 체배(遞倍;점차 배가 되어 증가함)회로(236)로 체배된 후, 제1 피감시 카운터(232)로 입력된다. 테스트 회로로의 전환은, 제1 CPU(201)로부터의 테스트 모드 신호(217)가 제1 셀렉터(235)로 입력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The first clock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마찬가지로, 제2 클럭 신호는, 제2 셀렉터(237)를 통하여 제2 피감시 카운터(234)로 입력된다. 제2 셀렉터(237)에서는, 통상 회로와 테스트 회로와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회로에서는, 제2 클럭 신호가 그대로 제2 피감시 카운터(234)에 입력된다. 테스트 회로에서는, 제2 클럭 신호가 제2 체배 회로(238)로 체배된 후, 제2 피감시 카운터(234)로 입력된다. 테스트 회로로의 전환은, 제2 CPU(202)로부터의 테스트 모드 신호(218)가 제2 셀렉터(237)로 입력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Similarly, the second clock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제1 및 제2 피감시 카운터(232, 234)로부터의 리플 캐리 아웃풋(ripple carry output) 신호, 즉 에러 신호(221, 222)는, 제1 및 제2 랫치(latch)부(239, 240)에서 랫치된다. 제1 및 제2 랫치부(239, 240)는, 제1 및 제2 CPU(201, 202)로부터의 랫치 해제신호(241, 242)를 받아 랫치 상태를 해제한다. The ripple carry output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monitored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부터의 에러 신호가 CPU(201, 202)로 입력되면, CPU(201, 202)로부터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로 이상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로부터 안전장치 기기(206)로 작동신호가 출력되어, 안전장치 기기(206)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안전상태로 이행된다.When the error signal from the clock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를 구하기 위한 프로그램(program), 및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은, CPU(201, 202)에 접속된 기억부인 ROM(도시 생략)에 격납되어 있다. 실시 형태 17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도 31에 나타낸 CPU(201, 202)나 ROM을 가진 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The program for obtain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코더(212, 213)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는, CPU(201, 202)에 입력된다. 그리고, CPU(201, 202)의 각각에 의해, 펄스 신호가 연산처리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가 구해진다. 구해진 위치 및 속도는, 2 포트 RAM(209)을 통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설정값(기준값)과 비교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pulse signals output from the
그리고, 과속도나 위치 이상 등의 이상이 검출되면,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를 통하여 안전장치 기기(206)가 구동·제어되어, 엘리베이터가 안전상태로 이행된다. 안전상태로의 이행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을 급정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안전상태로의 이행 후, 필요에 따라 제어기기(203)도 제어된다.When an abnormality such as an overspeed or a positional abnormality is detected, the
또한, CPU(201, 202)의 연산결과가 서로 다르게 되면, CPU(201, 202)중 어느 한쪽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어, 역시 엘리베이터가 안전상태로 이행된다.When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또한, 구해진 위치 및 속도에 이상이 없으면, 엘리베이터 장치를 운전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제어기기(203)로 출력된다.In addition,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obtained position and speed,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elevator apparatus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CPU(201, 202)에서는, 일정 시간 내에 입력되는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구하는 연산이 실행된다. 그리고, 그 「일정시간」을 담당하는 타이머는, 클럭(214, 215)으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의해 생성되고 있다. 따라서,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매우 중요하다.In the
특히, 주파수가 높게 되는 이상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과속도를 감시하는 데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10ms 마다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하등(下等)의 고장에 의해 클럭 신호의 주기가 반으로 나눠지면, 실제로는 5ms 마다 카운트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이 경우, CPU(201, 202)로 구해진 엘리베이터 속도는, 실제의 엘리베이터 속도의 반으로 오인식되어 버리고, 과속도가 검출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In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monitoring the overspeed of the cage | basket |
이것에 대하여, 실시 형태 17에서는, 제1 및 제2 클럭(214, 215)으로부터의 클럭 신호가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입력되어, 클럭 신호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감시되고 있다.In contrast, in the seventeenth embodiment, clock signals from the first and
다음으로, 클럭 이상 감시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원 리셋 시에는, 각 디바이스(device)가 안정한 다음, 카운터(231 ~ 234)에 의해 클럭 펄스의 카운트가 바로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에러 신호(221, 222)가 랫치되지만, CPU(201, 202)에서는, 처음에는 이 에러 신호(221, 222)가 무시된다.Next, the details of the clock abnormality monitor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t the time of power supply reset, after each device is stabilized, the count of clock pulses is immediately started by the
이 후, 검출 개시 지령신호(219, 220)로 하이(high) 신호가 부여되어, 다음으로 랫치 해제신호(241, 242)가 CPU(201, 202)로부터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보내진다.Thereafter, a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detection
검출개시 지령 신호(219, 220)가 하이(high)로 됨으로 최초의 감시 카운터(231, 233)로부터의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로, 각 카운터(231 ~ 234)의 프리셋 데이터(preset data) 값이 각 카운터(231 ~ 234)로 로드(load)되어, 카운트 업이 개시된다. 프리셋 데이터 값은, 카운터(231 ~ 234)에서 카운트를 개시할 때의 카운트 값이다.Since the detection
피감시 카운터(232, 234)의 프리셋 데이터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0이 미리 설정된다. 또한, 감시 카운터(231, 233)의 프리셋 데이터 값으로서는, 클럭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문턱값이 미리 설정된다. 감시 카운터(231, 233)의 프리셋 데이터 값은, 피감시 카운터(232, 234)의 프리셋 데이터 값보다도 큰 수치, 여기서는 4가 설정된다.As preset data values of the monitored
감시 카운터(231, 233)는, 피감시 카운터(232, 234)보다도 짧은 범위에서 펄스 수를 반복하여 카운트하고, 캐리 오버(carry over) 할 때에 피감시 카운터(232, 234)를 리셋한다. 피감시 카운터(232, 234)도 펄스 수를 반복하여 카운트하도록 하는 것이나, 정상시에는, 피감시 카운터(232, 234)가 캐리 오버 하기 전에 감시 카운터(231, 233)가 캐리 오버하여 피감시 카운터(232, 234)가 리셋된다.The monitoring counters 231 and 233 repeatedly count the number of pulses in a range shorter than the monitored
이와 같은 프리셋 데이터 값은,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를 예를 들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임의로 설정가능하다.Such preset data values can be arbitrarily set by configuring the clock
2개의 클럭(214, 215)이 정상인 때는, 피감시 카운터(232, 234)가 캐리 오버 하여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 즉 에러 신호(221, 222)를 출력하는것 보다도 4정도 작은 카운터 값으로, 감시 카운터(231, 233)의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에 의해 리셋되기 때문에, 에러 신호(221, 222)는 출력되지 않는다.When the two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제1 클럭(214)의 주파수가 높게 되는 이상이 일어난 경우, 제2 감시 카운터(233)의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가 제1 피감시 카운터(232)를 리셋하기 전에, 제1 피감시 카운터(232)의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 즉 에러 신호(221)가 출력되어, 랫치부(239)에 의해 에러 신호(221)가 래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normality which the frequency of the
또한, 제2 클럭(215)의 주파수가 높게 되는 이상이 일어난 경우는, 마찬가지로 제2 피감시 카운터(234)로부터 에러 신호(222)가 출력되고, 랫치부(240)에 의해 에러 신호(222)가 랫치된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더욱이, 클럭(214, 215)이 정지한 경우에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도 검출가능하지만, 워치도그 타이머(210, 211)가 효과적이고 강제적으로 리셋하기 때문에, 위험상태로 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more, when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클럭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전용 클럭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이중계의 CPU(201, 202)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클럭(214, 215)을 그대로 사용하여 클럭 이상을 검출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하드웨어 자원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dedicated clock for detecting a clock abnormality, and the clock abnormality is detected by using the
또한, 카운터(231 ~ 234)의 프리셋 데이터 값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크리티컬(critical)한 주파수의 어긋남도 검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안전장치 기기(206)를 구동·제어하기까지의 동작 지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보다 안전성 높은 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t data values of the
또한, 4개의 카운터(231 ~ 234)와 워치도그 타이머(210, 211)를 조합시켜서 사용하므로, 주파수가 높게 되는 이상이 클럭(214, 215)의 어느 것에 발생하는 지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ur
다음으로,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무결성 체크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 CPU(201)로부터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테스트 모드 신호(217)가 송신되면, 셀렉터(235)에 의해 회로가 테스트 회로로 전환되고, 제1 클럭 신호가 제1 체배 회로(236)로 체배된다. 즉, 제1 피감시 카운터(232)에 입력된 제1 클럭 신호가 고의로 이상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가 정상으로 되면, 제1 피감시 카운터(232)로부터 에러 신호(221)가 출력되는 것으로 된다.Next, the integrity check function of the clock
따라서, CPU(201)에서는, 테스트 모드 신호(217)의 송신에 대하여 에러 신호(221)가 수신되는 것에 의해,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클럭(215) 측도 무결성을 체크할 수 있다.Therefore, the
이와 같은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무결성 체크 기능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최종출력 핀(pin)이 정상측으로 고착하는 등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By adding the integrity check function of the clock
여기서, 도 33은 도 31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적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구동장치(권상기)(251) 및 디플렉터 쉬브(25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51)는, 구동 쉬브(251a)와, 구동 쉬브(251a)를 회전시키는 모터부(구동장치 본체)(251b)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부(251b)에는, 구동 쉬브(251a)의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Here, FIG. 33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applied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a drive device (a hoist) 251 and a
구동 쉬브(251a) 및 디플렉터 쉬브(252)에는, 주 로프(253)가 감겨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54) 및 균형추(255)는, 주 로프(25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져 있다.The
엘리베이터 칸(254)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에 끼워 맞춰서 엘리베이터 칸(254)을 비상정지시키기 위한 기계식의 비상 정지 장치(256)가 탑재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조속기 쉬브(257)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는, 텐션 풀리(258)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57) 및 텐션 풀리(258)에는, 조속기 로프(259)가 감겨 걸려져 있다. 조속기 로프(259)의 양단부는, 비상 정지 장치(256)의 작동 레버(256a)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 쉬브(257)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주행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조속기 쉬브(257)에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212, 213)가 설치되어 있다. 엔코더(212, 213)로부터의 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60)로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60)의 구성은, 도 31과 마찬가지이다.The
승강로의 상부(조속기 쉬브(257) 또는 그 근방)에는, 조속기 로프(259)를 움 켜 쥐어 그 순환을 정지시키는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로프 캐치)(261)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261)는, 조속기 로프(259)를 파지하는 파지부(261a)와, 파지부(261a)를 구동하는 전자 액추에이터(261b)를 포함하고 있다.A governor rope gripping device (rope catch) 261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the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60)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261)로 입력되면, 전자 액추에이터(261b)의 구동력에 의해 파지부(261a)가 변위되어, 조속기 로프(259)의 이동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259)가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254)의 이동에 의해 작동 레버(256a)가 조작되어, 비상 정지 장치(256)가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254)이 급정지된다.When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과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261)에 동작신호가 입력되어, 엘리베이터 칸(254)이 급정지된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when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such as an overspeed of the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60)의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에 의해 클럭 신호의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안전상태로 이행된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f a clock signal is detected by the clock
안전상태로의 이행방법으로서는, 구동 쉬브(251a)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엘리베이터 칸(254)을 곧 바로 정지시키는 방법, 또는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26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54)을 급정지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이상이 검출되지 않는 측의 클럭 및 CPU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54)의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되면, 구동장치(251)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254)을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킨 후에 정지시키는 방법도 있다.As a method for shifting to a safe state, a method of immediately stopping the
또한, 실시 형태 17에서는, 2개의 CPU를 사용한 이중계의 회로구성을 나타내 지만, 3개 이상의 CPU를 사용한 다중계의 회로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또한, 실시 형태 17에서는, 제어기기(203) 및 안전장치 기기(206)를 공통의 CPU에서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안전장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어기기용 제어부와 안전장치용 제어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본 발명의 클럭 이상 검출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venteenth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ing a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based on a clock signal.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25041A KR100727197B1 (en) | 2005-12-27 | 2004-04-27 | Elevator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25041A KR100727197B1 (en) | 2005-12-27 | 2004-04-27 | Elevator contr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5589A KR20060065589A (en) | 2006-06-14 |
KR100727197B1 true KR100727197B1 (en) | 2007-06-13 |
Family
ID=3716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50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7197B1 (en) | 2005-12-27 | 2004-04-27 | Elevator contr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7197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9553A (en) * | 1994-10-24 | 1996-05-14 | Hitachi Ltd | Elevator control equipment |
JP2002538061A (en) * | 1999-03-04 | 2002-11-12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Elevator safety system |
JP2004029992A (en) * | 2002-06-24 | 2004-01-29 | Denso Corp | Electronic control unit |
-
2004
- 2004-04-27 KR KR1020057025041A patent/KR1007271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9553A (en) * | 1994-10-24 | 1996-05-14 | Hitachi Ltd | Elevator control equipment |
JP2002538061A (en) * | 1999-03-04 | 2002-11-12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Elevator safety system |
JP2004029992A (en) * | 2002-06-24 | 2004-01-29 | Denso Corp | Electronic control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5589A (en) | 2006-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2886B1 (en) | Elevator device, and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 |
JP4664288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JP4658045B2 (en) | Elevator rope slip detection device and elevator device | |
KR100949632B1 (en) | Rope slip detection device of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 |
JP2010254480A (en) | Elevator device | |
CN100439226C (en) | Elevator device | |
JP4712696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JP5079326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KR100792082B1 (en) | Rope slip detection device of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 |
KR100727197B1 (en) | Elevator control | |
KR100683987B1 (en) | Elevator control | |
KR100681591B1 (en) | Elevator device | |
KR100807934B1 (en) | Elevator device | |
KR100804917B1 (en) | Elevator control | |
KR100775182B1 (en) | Elevator counterweight | |
KR100727198B1 (en) | Elevator device | |
KR100745928B1 (en) | Elevator counterweight | |
KR100878381B1 (en) | Eleva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1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