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7197B1 - Elevator control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197B1
KR100727197B1 KR1020057025041A KR20057025041A KR100727197B1 KR 100727197 B1 KR100727197 B1 KR 100727197B1 KR 1020057025041 A KR1020057025041 A KR 1020057025041A KR 20057025041 A KR20057025041 A KR 20057025041A KR 100727197 B1 KR100727197 B1 KR 100727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peed
cage
clock
abnorm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5589A (en
Inventor
아키히로 치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197B1/en
Publication of KR2006006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5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19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elevator)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 제1 및 제2 처리부를 포함한 이중계(二重系)로 실행된다. 제1 처리부에는, 제1 클럭(clock)으로부터의 제1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제2 처리부에는, 제2 클럭으로부터의 제2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클럭 이상(異常) 검출회로에는, 제1 및 제2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클럭 이상 검출회로는,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펄스(pulse) 수(數)를 카운트(count)하여, 펄수 수의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이 검출된다.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the calculation regarding the control of the elevator is executed in a dual system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processing units. A first clock signal from a first clock is input to the first processor. A second clock signal from the second clock is input to the second processor.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re input to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nd the abnorm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is detected from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ulse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ELEVATOR}Elevator Control Unit {CONTROL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클럭(clock)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ing a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based on a clock signal.

종래, 클럭 신호의 이상(異常)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워치도그 타이머(watchdog tim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워치도그 타이머로는, 클럭 주파수의 늘어남이나 클럭 신호의 정지는 검출할 수 있지만, 클럭 주파수의 단축을 검출할 수 없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method of using a watchdog timer is known as a method of detecting an abnormality in a clock signal. However, although the watchdog timer can detect an increase in clock frequency or stop of a clock signal, it cannot detect a decrease in clock frequency.

또한, 특개평8-119553호 공보에는, 주파수가 다른 2개의 클럭 신호를 분주(分周)하고, 그들을 서로의 클럭 카운터(counter) 회로의 리셋(reset) 신호로서 사용하여, 서로의 클럭 펄스 엣지(clock pulse edge)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클럭을 분주하는 것에 의해, 카운트 업(up)하는 기간을 결정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를 위한 회로를 부가할 필요가 있어,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고장률이 상승해 버린다. 또한, 부가된 회로가 정상에서 기능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없어, 신뢰성이 충분하지 않았다.Als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8-119553 divides two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into each other and uses them as reset signals of the clock counter circuits of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the clock pulse edges with each other. A method of detecting an abnormality by counting (clock pulse edge) is disclosed. However, in this method, since the clock is divided to generate a signal for determining the period of counting up, a circuit therefor needs to be added, and the circuit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failure rate is increased. It rises. In addition,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added circuit was functioning normally, and the reliability was not sufficien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can improve reliability with a simple circuit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관한 연산을 이중계(二重系)로 행하는 제1 및 제2 처리부, 제1 처리부에 제1 클럭 신호를 보내는 제1 클럭, 제2 처리부에 제2 클럭 신호를 보내는 제2 클럭, 및 제1 및 제2 클럭 신호가 입력되어,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을 검출하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를 구비하고, 클럭 이상 검출회로는,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펄스 수(數)를 카운트하여, 펄스 수의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을 검출한다.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processing units which perform arithmetic operations on elevator control in a dual system, and a first clock and a second processing unit which send a first clock signal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A second clock for sending a second clock signal and a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for inputting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to detect abnormal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wherein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includes a first clock signal. And the number of pulses of the second clock signal is counted to detect abnormal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from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uls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FIG. 1.

도 3은 도 2의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of FIG. 4. FIG.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6 is a front view of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at the time of operation of FIG. 5. FIG.

도 7은 도 6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driving unit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 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6 of this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7 of this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8 of this invention.

도 15는 도 7의 구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unit of FIG. 7.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Fig. 16 is a 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emergency stop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17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1 of this invention.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 타내는 그래프이다.FIG. 19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 abnormal speed of a car stored in a storage unit of FIG. 18.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20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 abnormality in the car acceler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FIG.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2 of this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3 of this invention.

도 23은 도 22의 로프 고정 장치 및 각 로프 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rope fixing device and each rope sensor of FIG.

도 24는 도 23의 1개의 메인 로프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 main rope of FIG. 23 is broken.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4 of this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5 of this invention.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 및 도어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r and the door sensor of FIG. 26.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r door of FIG. 27 is opened.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6 of this invention.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in FIG. 29.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요부를 나타 내는 블록(block)도이다.Fig. 3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도 31의 클럭 이상 검출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of FIG.

도 33은 도 31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적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FIG. 31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very suit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권상기(hoisting machine)(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메인 로프(4)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는,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5)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작동에 의해 제동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a pair of car guide rails 2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ar 3 is guided to the car guide rail 2 to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1. At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a hoisting machine (not shown) for elevating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not shown) is disposed. The main rope 4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the main rope 4. A pair of emergency stop devices 5 serving as braking means are mounted on the car 3 so as to face each car guide rail 2. Each emergency stop device 5 is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r 3. The car 3 is braked by the operation of each emergency stop device 5.

또,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를 검출하는 엘 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조속기(6)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6)는 조속기 본체(7)와, 조속기 본체(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의 하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텐션 풀리(9)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8)와 텐션 풀리(9)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3)에 연결된 거버너 로프(10)가 감겨져 있다. 거버너 로프(10)의 엘리베이터 칸(3)과의 연결부는,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8) 및 텐션 풀리(9)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된다.Moreover, the governor 6 which is an elevator car speed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lifting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end part of the hoistway 1. The governor 6 has a governor main body 7 and a governor sheave 8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governor main body 7. A rotatable tension pulley 9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hoistway 1. The governor rope 10 connected to the cage | basket | car 3 is wound between the governor sheave 8 and the tension pulley 9. The connection part of the governor rope 10 with the cage | basket | car 3 is reciprocated with the cage | basket | car 3 in the up-down direction. As a result, the governor sheave 8 and the tension pulley 9 are rotated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3.

조속기(6)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조속기(6)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강하 속도가 제1 과속도보다 고속의 제2 과속도(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비상 정지 장치(5)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인 스위치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부(11)는, 회전하는 조속기 쉬브(8)의 원심력에 대응하여 변위되는 과속 레버에 의해 기계적으로 개폐되는 접점부(16)를 갖고 있다. 접점부(16)는, 정전시에도 급전(給電) 가능한 무정전 전원 장치인 배터리(12),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3)에, 각각 전원 케이블(14) 및 접속 케이블(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governor 6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brake device of the hoisting machine when the lifting speed of the car 3 becomes the first overspeed set in advance. Moreover, the governor 6 is an output part which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5, when the falling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becomes the 2nd overspeed (setting overspeed) faster than a 1st overspeed. The switch section 11 is provided. The switch portion 11 has a contact portion 16 which is mechanically opened and closed by an overspeed lever displaced in response to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rotating governor sheave 8. The contact portion 16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2, which i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at can be supplied even during a power failure, and the control panel 13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respectively, to the power cable 14 and the connection cable 15.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엘리베이터 칸(3)과 제어반(13)의 사이에는, 제어 케이블(이동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케이블에는, 복수의 전력선이나 신호선과 함께, 제어반(13)과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포함되어 있다. 배터리(12)로부터의 전력은, 접점부(16)의 폐극(閉極)에 의해 전원 케이 블(14), 스위치부(11),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 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공급된다. 또한, 전송 수단은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 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갖고 있다.A control cable (moving cable) is connected between the car 3 and the control panel 13. The control cable includes an emergency stop wiring 17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panel 13 and each emergency stop device 5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signal lines. The electric power from the battery 12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14, the switch unit 11, the connection cable 15, the control panel 13 by the closed electrode of the contact unit 16, and the like. It is supplied to each emergency stop device 5 via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eans has a connection cable 15, a power supply circuit in the control panel 13, and an emergency stop wiring 17.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5)는 지지 부재(18)에 지지되어 있다. 또,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제동 부재인 쐐기(19)와, 쐐기(19)에 연결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쐐기(19)를 변위시키는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20)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고 액추에이터부(20)에 의해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21)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쐐기(19),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20) 및 한 쌍의 안내부(21)는, 각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5 of FIG. 1,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5 at the time of operation of FIG. In the figure, the support member 18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r 3. The emergency stop device 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8. Moreover, each emergency stop device 5 is connected to the wedge 19 and the wedge 19 which are a pair of braking members which can contact and remove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2, and with respect to the car 3, respectively. A pair of actuator portions 20 for displacing the wedges 19 and a wedge 19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8 and displaced by the actuator portion 20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2. It has a pair of guide parts 21 which guide. The pair of wedges 19, the pair of actuator portions 20, and the pair of guide portions 21 are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ar guide rail 2, respectively.

안내부(2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을 갖고 있다. 쐐기(19)는 경사면(22)에 따라 변위된다.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위쪽의 안내부(21)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인 스프링(23)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電磁力)에 의해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안내부(21)로부터 떨어지도록 쐐기(19)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다.The guide part 21 has the inclined surface 22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2 so that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car guide rail 2 may become small from the upper side. The wedge 19 is displac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2. The actuator part 20 guides against the pressurization of the spring 23 by the spring 23 which is a press part which presses the wedge 19 to the upper guide part 21 side, and the electromagnetic force by electricity supply. It has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which displaces the wedge 19 downward so that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part 21. As shown in FIG.

스프링(23)은, 지지 부재(18)와 쐐기(19)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용 배선(17)은 전자 마그넷(24)에 접속되어 있다. 쐐기(19)에는 전자 마그넷(24)에 대향하는 영구자석(25)이 고정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접점부(16)(도 1 참조)의 폐극에 의해 배터리(12)(도 1 참조)로부터 이루어진다. 접점부(16)(도 1 참조)의 개극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5)는 작동된다. 즉, 한 쌍의 쐐기(19)는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가압된다.The spring 23 is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8 and the wedge 19.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8.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is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A permanent magnet 25 facing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is fixed to the wedge 19.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is made from the battery 12 (refer FIG. 1) by the closed electrode of the contact part 16 (refer FIG. 1). The electric power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is interrupted by the opening of the contact part 16 (refer FIG. 1),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5 is operated. That is, the pair of wedges 19 are displ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r 3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3, and are pressed against the car guide rail 2.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접점부(16)는 폐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는 배터리(1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쐐기(19)는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 흡인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도 2).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normal operation, the contact portion 16 is closed. As a result,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magnet 24 from the battery 12. The wedge 19 is suction-held by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by electricity supply, and is opened from the cage guide rail 2 (FIG. 2).

예를 들면 메인 로프(4)의 절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제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후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과속도로 되면, 접점부(16)가 개극된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차단되며, 쐐기(19)는 스프링(23)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 때, 쐐기(19)는 안내부(21)의 경사면(22)에 접촉하면서 경사면(22)에 따라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2)에의 접촉에 의해, 한층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안내부(21)와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19)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도 3).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rises by the cutting | disconnection of the main rope 4, etc. and becomes 1st overspeed, the brake apparatus of a hoisting machine will operate. Even after operation of the brake device of the hoisting machine, if the speed of the car 3 further rises to become the second overspeed, the contact portion 16 is opened. Thereby,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of each emergency stop device 5 is interrupted | blocked, and the wedge 19 is displ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ge | basket | car 3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spring 2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wedge 19 is displac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2 while contacting the inclined surface 22 of the guide portion 21. By this displacement, the wedge 19 is pressed against the cage guide rail 2. The wedge 19 is displaced further upward by the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2, and is handed in between the car guide rail 2 and the guide part 21. As shown in FIG. As a result, a larg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car guide rail 2 and the wedge 19, and the car 3 is braked (Fig. 3).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을 해제할 때에는, 접점부(16)의 폐극에 의해 전자 마그넷(24)에 통전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쐐기(19)는 아래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다.When the braking of the cage 3 is released, the cage 3 is lift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is energized by the closed electrode of the contact portion 16. As a result, the wedge 19 is displaced downward and opened from the car guide rail 2.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배터리(12)에 접속된 스위치부(11)와 각 비상 정지 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조속기(4)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을 전기적인 작동 신호로서 스위치부(11)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전송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단시간에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비상 정지 장치(5)를 용이하게 동기 작동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전기적인 작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흔들림 등에 의한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switch part 11 connected to the battery 12 and each emergency stop apparatus 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abnormality of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detected by the governor 4 is eliminated. As an electric operation signal, it can transmit from the switch part 11 to each emergency stop device 5, and the cage | basket | car 3 can be braked for a short time after the abnormality of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detected. Thereby, the braking distance of the cage | basket | car 3 can be made small. In addition, each emergency stop device 5 can be synchronously operated easily, and the car 3 can be stably stopped. In addition, since the emergency stop device 5 is operated by an electric opera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shaking of the car 3 or the like.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쐐기(19)를 위쪽의 안내부(21)측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부(20)와, 위쪽으로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면(22)을 포함하는 안내부(21)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하고 있을 때, 쐐기(19)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에 대한 가압력을 확실히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stop device 5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age guide rail 2 with the actuator portion 20 for displacing the wedge 19 toward the upper guide portion 21 and the wedge 19 displaced upward. Since it has the guide part 21 containing the inclined surface 22 which guides in the direction, when the cage | basket | car 3 is descending, the press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cage | basket | car guide rail 2 of the wedge 19 can be reliably increased. Can be.

또,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쐐기(19)를 하부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쐐기(19)를 변위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actuator part 20 has the spring 23 which presses the wedge 19 upwards, and the electromagnetic magnet 24 which displaces the wedge 19 in the lower part against the pressurization of the spring 23, , The wedge 19 can be displaced in a simple configuration.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본체(27)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13)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출력부(32)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공급된다. 출력부(32)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car 3 has a car body 27 provided with a car door 26 and a car door 2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 door 26. The hoistway 1 is provided with a car speed sensor 31 which is a car spee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car 3. In the control panel 13, the output part 3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ge speed sensor 31 is mounted. The battery 12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32 via a power cable 14. Electric powe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car 3 is supplied from the output part 32 to the car speed sensor 31.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sensor 31 is input to the output part 32.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33)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와 각 비상 정지 장치(33)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과속도일 때에 작동용 전력인 작동 신호가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비상 정지 장치(33)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3, a pair of emergency stop apparatus 33 which is a braking means which brakes the cage | basket | car 3 is mounted. The output part 32 and each emergency stop device 3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From the output part 32, the operation signal which is an electric power for operation is output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when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2nd overspee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is activated by the input of an operation signal.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33)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인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35)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 즉 안내부(36)측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안내부(3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of FIG. 4,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at the time of operation of FIG. 5. In the figure,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includes a wedge 34 which is a braking member that can be contacted and detached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2, an actuator part 35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wedge 34, and a wedge. It is arranged above 34 and has guide portion 36 fixed to car 3. The wedge 34 and the actuator part 35 are provided so that the guide part 36 can move up and down. The wedge 34 is gu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portion 36 contacts the car guide rail 2 by the upward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guide portion 36, that is, the displacement toward the guide portion 36. do.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와, 접촉부(37) 및 작동 기구(38)를 지지하는 지지부(39)를 갖고 있다. 접촉부(37)는, 작동 기구(38)에 의해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쐐기(34)보다 가볍게 되어 있다. 작동 기구(38)는,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시키고 있는 접촉 위치와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시키고 있는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한 가동부(40)와,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구동부(41)를 갖고 있다.The actuator part 35 displaces the contact part 37 in the direction which contacts and separates the cylindrical contact part 37 which can contact and isolate | separate the car guide rail 2, and the car guide rail 2, and is. It has an actuation mechanism 38, the contact part 37, and the support part 39 which supports the actuation mechanism 38. The contact portion 37 is lighter than the wedge 34 so that it can be easily displaced by the operating mechanism 38. The actuation mechanism 38 reciprocates between the contact position which makes the contact part 37 contact the cage guide rail 2, and the opening position which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37 from the cage guide rail 2, and a reciprocation displacement. The movable part 40 and the drive part 41 which displace the movable part 40 are provided.

지지부(39) 및 가동부(40)에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접촉부(37)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촉부(37)는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수반하여 가동 안내구멍(43)에 슬라이딩되며, 지지 안내구멍(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적정한 각도로 접촉 및 분리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되어 안내부(36)측으로 변위된다.The support part 39 and the movable part 40 are provided with the support guide hole 42 and the movable guide hole 43, respectively.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support guide hole 42 and the movable guide hole 43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act portion 37 is slidably mounted in the support guide hole 42 and the movable guide hole 43. The contact portion 37 slides in the movable guide hole 43 with the reciprocating displacement of the movable portion 40 and is displ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guide hole 42. As a result, the contact portion 37 is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car guide rail 2 at an appropriate angle. When the contact portion 37 contacts the cage guide rail 2 when the cage 3 descends, the wedge 34 and the actuator portion 35 are braked and displaced toward the guide portion 36 side.

지지부(39)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수평 안내구멍(47)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안내구멍(4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쐐기(34)는 지지부(39)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39, the horizontal guide hole 47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The wedge 34 is slidably mounted in the horizontal guide hole 47. That is, the wedge 34 is capable of reciprocating displac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39.

안내부(3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경사면(44) 및 접촉면(45)을 갖고 있다. 경사면(4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접촉면(45)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의 안내부(36)에 대한 위쪽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접촉면(45)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The guide part 36 has the inclined surface 44 and the contact surface 45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age guide rail 2 may be interposed. The inclined surface 44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2 so that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car guide rail 2 may become small from the upper side. The contact surface 45 is capable of contacting and detaching with respect to the car guide rail 2. With the upward displacement of the wedge 34 and the actuator portion 35 with the guide portion 36, the wedge 34 is displac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44. As a result, the wedge 34 and the contact surface 45 are displaced so as to b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car guide rail 2 is sandwiched between the wedge 34 and the contact surface 45.

도 7은 도 6의 구동부(4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동부 (41)는 가동부(40)에 장착된 가압부인 접시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해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다.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driving unit 41 of FIG. 6. In the figure, the drive part 41 has the disc spring 46 which is a press part attached to the movable part 40, and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which displaces the movable part 40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by electricity supply.

가동부(40)는, 접시 스프링(46)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46)은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의해 변형된다.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가동부(40)의 변위에 의한 변형에 의해 가동부(40)의 접촉 위치(실선)와 개리 위치(2점 파선) 사이에서 반전되게 되어 있다. 가동부(40)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 각각 유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접촉부(37)의 접촉 상태 및 개리 상태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유지된다.The movable portion 40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c spring 46. The disc spring 46 is deformed by the reciprocating displacement of the movable part 40. The direction of pressurization of the disc spring 46 is reversed between the contact position (solid line) and the open position (two dashed line) of the movable part 40 by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by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part 40. FIG. The movable part 40 is hold | maintained in the contact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respectively, by the press of the disc spring 46. FIG. That is, the contact state and open state of the contact part 37 with respect to the cage guide rail 2 are hold | maintained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disc spring 46. As shown in FIG.

전자 마그넷(48)은, 가동부(40)에 고정된 제1 전자부(49)와, 제1 전자부(49)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전자부(50)를 갖고 있다. 가동부(40)는 제2 전자부(5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48)에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하여 서로 반발된다. 즉, 제1 전자부(49)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가동부(40)와 함께 제2 전자부(5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The electron magnet 48 has the 1st electronic part 49 fixed to the movable part 40, and the 2nd electronic part 50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1st electronic part 49. As shown in FIG. The movable part 40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2nd electronic part 50. As shown in FIG.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is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The 1st electronic part 49 and the 2nd electronic part 50 generate | occur | produce an electromagnetic force by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and repel each other. That is, the 1st electronic part 49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2nd electronic part 50 with the movable part 40 by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또한, 출력부(32)는, 비상 정지 기구(5)의 작동 후의 복귀를 위한 복귀 신호를 복귀시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에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서로 흡인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Moreover, the output part 32 outputs the return signal for the return after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 at the time of return. The first electronic part 49 and the second electronic part 50 are attracted to each other by input of a return signal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접촉부(37)는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the movable part 40 is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contact part 37 is opened from the cage guide rail 2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disc spring 46. In the state where the contact portion 37 is opened from the car guide rail 2, the wedge 34 is maintained from the car guide rail 2 and is spaced from the car guide rail 2.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 후에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 검출된 속도가 제2 과속도로 되면,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작동 신호의 전자 마그넷(48)에의 입력에 의해,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반발된다. 이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가동부(40)는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접촉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접촉 위치에서 가동부(40)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반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된다.When the speed detected by the cage speed sensor 31 becomes the first overspeed, the brake device of the hoisting machine is activated. After this,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rises and the speed detected by the cage | basket | car speed sensor 31 becomes the 2nd overspeed,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part 32 to each emergency stop device 33. As shown in FIG. By in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the first electronic part 49 and the second electronic part 50 are repulsed with each other. By this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the movable part 40 is displaced to the contact position. In connection with this, the contact part 37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which contacts the cage guide rail 2. Until the movable portion 40 reaches the contact position, the direction of pressurization of the disc spring 46 is reversed in the direction of holding the movable portion 40 at the contact position. Thereby, the contact part 37 is pressed against the cage guide rail 2, and the wedge 34 and the actuator part 35 are braked.

엘리베이터 칸(3) 및 안내부(36)는 제동되지 않고 하강하는 것으로부터, 안내부(36)는 아래쪽의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측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 붙여진다. 쐐기(34)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해, 한층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경사면(44)과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34)와의 사이,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접촉면(45)과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며,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Since the car 3 and the guide portion 36 are lowered without being braked, the guide portion 36 is displaced toward the lower wedge 34 and the actuator portion 35. By this displacement, the wedge 34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44, and the car guide rail 2 is sandwiched between the wedge 34 and the contact surface 45. The wedge 34 is displaced further upward by the contact with the cage guide rail 2 and is bitten in between the cage guide rail 2 and the inclined surface 44. As a result, a larg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car guide rail 2 and the wedge 34 and between the car guide rail 2 and the contact surface 45, and the car 3 is braked. .

복귀시에는, 출력부(32)로부터 복귀 신호가 전자 마그넷(48)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흡인되며, 가동부(40)는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개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개리 위치에 이르기까지, 접시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반전하며,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상승되고,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은 해제된다.At the time of return, the retur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utput part 32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As a result, the first electronic part 49 and the second electronic part 50 are attracted to each other, and the movable part 40 is displaced to the open position. In connection with this, the contact part 37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to open with respect to the cage guide rail 2. Until the movable part 40 reaches the opening position, the direction of pressurization of the disc spring 46 is reversed, and the movable part 40 is maintained at the opening position. In this state, the cage 3 is lifted up, and the pressing of the wedge 34 and the contact surface 45 against the cage guide rail 2 is releas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및 거버너 로프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car speed sensor 31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car 3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embodiment, a governor and a governor rope are used. There is no ne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whole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또,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를 갖고 있으므로, 접촉부(37)의 중량을 쐐기(34) 보다 가볍게 함으로써, 작동 기구(38)의 접촉부(37)에 대한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작동 기구(3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7)를 경량으로 하는 것으로, 접촉부(37)의 변위 속도도 크게 할 수 있고, 제동력의 발생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Moreover, the actuator part 35 has the contact part 37 which can contact and isolate | separate the car guide rail 2, and the operation mechanism which displaces the contact part 37 in the direction which contacts and isolate | separates the car guide rail 2 ( Since the weight of the contact part 37 is lighter than the wedge 34, the driv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art 37 of the actuation mechanism 38 can be made small, and the actuation mechanism 38 can be miniaturized. . In addition, by making the contact portion 37 lightweight, the displacement speed of the contact portion 37 can be increased, and the time required for generation of the braking force can be shortened.

또, 구동부(41)는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서 유지하는 접시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해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으므로, 가동부(40)의 변위시만의 전자 마그넷(48)에의 통전으로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혹은 개리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drive part 41 has the disc spring 46 which keeps the movable part 40 in a contact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and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which displaces the movable part 40 by energization, the movable part 40 is carried out. By energizing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only at the time of displacement, the movable part 40 can be reliably held in the contact position or the open position.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인 도어 개폐 센서(58)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개폐 센서(58)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59)가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59)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는 출력부(59)에 입력된다. 출력부(59)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개폐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가 파악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58 which is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car door 28 is provided in the car doorway 26. The output part 59 mounted in the control panel 13 is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58 via a control cable. The car speed sensor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59.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sensor 31 and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58 are input to the output unit 59. In the output part 59,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cage | basket | car doorway 26 are grasped | ascertained by input of a speed detection signal and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출력부(5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59)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 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output part 59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via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The output part 59 is a cage | basket | car 3 in the state in which the cage | basket | car entrance door 26 was opened by the velocity detection signal from the cage | bowl speed sensor 31, and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from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58. FIG.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when the lift is made.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via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센서(58)가 출력부(5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59)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door speed sensor 31 which detects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58 which detect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cage | basket | car door 28 are provided to the output part 59. When the car 3 descends with the car door 26 opened,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59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so that the car door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r 3 from descending when the 26 is open.

또한, 비상 정지 장치(33)를 상하 반대로 한 것을 엘리베이터 칸(3)에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you may attach to the cage | basket | car 3 the thing which made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reverse up and down. By doing in this way, the lift of the cage | basket | car 3 in the state which the cage | basket | car entrance door 26 opened can also be prevented.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메인 로프(4)에는, 메인 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 수단인 절단 검출 도선(61)이 삽통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메인 로프(4)의 절단의 유무는, 미약 전류의 통전의 유무에 의해 검출된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이 절단되면,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차단 신호인 로프 절단 신호가 출력부(62)에 입력된다. 출력부(62)에는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a cutting detection lead 61 which is a rope cutt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cutting of the main rope 4 is inserted into the main rope 4. A weak current flows through the break detection lead 61.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tting | disconnection of the main rope 4 is detec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ergization of a weak electric current. The output part 62 mounted in the control panel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connection detection lead 61. When the cut detection lead 61 is cut off, a rope cut signal that is a cutoff signal of energization of the cut detection lead 61 is input to the output unit 62. The car speed sensor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part 62.

출력부(62)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 어 있다. 출력부(62)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절단 검출 도선(61)으로부터의 로프 절단 신호에 의해, 메인 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과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output part 62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33 via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The output part 62 outputs an operation signal at the time of cutting | disconnection of the main rope 4 by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ge speed sensor 31, and the rope cutting signal from the cut | disconnect detection lead 61. have.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through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메인 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절단 검출 도선(61)이 출력부(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메인 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6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검출 및 메인 로프(4)의 절단의 검출에 의해 이상 속도로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히 제동시킬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car speed sensor 31 which detects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cut detection lead 61 which detects the cutting | disconnection of the main rope 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part 62. When the main rope 4 is disconnected,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section 62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so that the speed of the car 3 is detected and the main rope 4 is cut off. The car 3 which descends at an abnormal speed can be more surely braked by the detection of.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 수단으로서 메인 로프(4)에 삽통된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메인 로프(4)의 텐션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메인 로프(4)의 로프 고정에 텐션 측정기가 설치된다.In the above example, a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ergization of the cut detection lead 61 inserted into the main rope 4 is used as the rope cut detection means, but for example, the tension of the main rope 4 is used. You can also use a method of measuring change. In this case, a tension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ope fixing of the main rope 4.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가감속도 및 정지 층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패턴이 기억된 메모리부(67)를 갖고 있다. 출력부(66)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가 입력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car position sensor 65 which is a car position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r 3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ar position sensor 65 and the car speed sensor 3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put unit 66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13. The output part 66 has the memory part 67 which stored the control pattern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speed, acceleration / deceleration, and the stop floor of the cage | basket | car 3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sensor 31 and the car position signal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65 are input to the output part 66.

출력부(66)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실측치)와, 메모리부(67)에 기억된 제어 패턴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설정치)가 비교되게 되어 있다. 출력부(66)는, 실측치와 설정치와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threshold)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문턱값이란, 엘리베이터 칸(3)이 통상의 제동에 의해 승강로(1)의 단부(end portion)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기 위한 최저한의 실측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output part 66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33 via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In the output section 66, the speed and position (actual value) of the car 3 by the speed detection signal and the car position signal, and the speed of the car 3 by the control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unit 67 And position (set value) are to be compared. The output unit 66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when the deviation between the measured value and the se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Here,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a deviation between the minimum measured value and the set value for stopping the car 3 without colliding with the end portion of the hoistway 1 by normal braking.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66)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실측치와 제어 패턴의 설정치와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output part 66 is an operation signal when the deviation between the actual value from the cage speed sensor 31 and the cage position sensor 65 and the setting value of a control pattern exceede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Since it is output, the collision with the edge part of the hoistway 1 of the cage | basket | car 3 can be prevented.

*실시 형태 6.Embodiment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인 상부 칸 (71)과, 상부 칸(7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인 하부 칸(72)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의 상단부에는, 상부 칸(71) 및 상부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제1 권상기(도시하지 않는다)와, 하부 칸(72) 및 하부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는다)를 승강시키는 제2 권상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1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제2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2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감겨져 있다. 상부 칸(71) 및 상부 칸용 균형추는 제1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리고, 하부 칸(72) 및 하부 칸용 균형추는 제2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6 of this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upper compartment 71 which is a 1st cage | basket | car and the lower cage | basket | car 72 which is a 2nd cage | basket | car located below the upper cage | basket | car 71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istway 1. The upper cage 71 and the lower cage 72 are guided by the cage guide rail 2 to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1. On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1, a first hoisting machine (not shown) for elevating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counterweight for the upper compartment (not shown), and a counterweight for the lower compartment 72 and the lower compartment (not shown) are provided. A second hoist (not shown) is provided to lift up and down. A first main rope (not shown)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of the first hoist and a second main rope (not shown)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of the second hoist.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upper compartment counterweight are suspended by the first main rope,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and the lower compartment counterweight are suspended by the second main rope.

승강로(1) 내에는, 상부 칸(71)의 속도 및 하부 칸(72)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상부 칸 속도 센서(73) 및 하부 칸 속도 센서(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상부 칸(71)의 위치 및 하부 칸(72)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hoistway 1, an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and a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which are car spee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speed of the lower compartment 72, are provided. . In the hoistway 1, an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a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which are car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compartment 72 are provided. It is.

또한,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은,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다.Moreover, the cage | basket | car motion detection means has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상부 칸(71)의 하부에는, 실시 형태 2에서 사용되는 비상 정지 장치(33)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칸(72)의 하부에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탑재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mpartment 71,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77 for upper compartments which is a braking means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33 used in Embodiment 2 is mount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cage | basket | car 72, the lower cage | basket | car emergency stop device 78 which is a braking means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77 for upper cage | basket | cars is mounted.

제어반(13) 내에는 출력부(79)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79)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부 칸 속도 센서(73)로부터의 상부 칸 속도 검출 신호, 하부 칸 속도 센서(74)로부터의 하부 칸 속도 검출 신호, 상부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상부 칸 위치 검출 신호,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하부 칸 위치 검출 신호는, 출력부(79)에 입력된다. 즉, 출력부(79)에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된다.The output part 79 is mounted in the control panel 13.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79. The battery 12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79 via a power cable 14. Upper compartment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Lower compartment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Upper compartment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76 is input to the output unit 79. That is, information from the car motion detection means is input to the output unit 79.

출력부(7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 혹은 하부 칸(72)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의 유무, 및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될 때에 작동 신호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된다.The output unit 79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via the emergency stop wiring 17. Moreover, the output part 79 h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llision to the edge part of the hoistway 1 of the upper compartment 71 or the lower compartment 72 by the information from the cage | basket | car motion detection means, and the upper cage | basket | car 71 And the collision between the lower compartment 72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are predicted, and when the collision is predicted,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upp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7 and the low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8.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are operated by input of an operation signal.

또한, 감시부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출력부(79)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의 주행 상태는 감시부에 의해 감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monitoring unit has a car motion detecting means and an output unit 79. The running state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s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부(79)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의 출력부(79)에의 입력에 의해, 상부 칸(71) 혹은 하부 칸 (72)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의 유무, 및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된다. 예를 들면 상부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1 메인 로프의 절단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출력부(79)에서 예측되었을 때, 출력부(79)로부터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제동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output part 79,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llision to the edge part of the hoistway 1 of the upper compartment 71 or the lower compartment 72 by input of the information from the cage motion detection means into the output unit 79, And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s predicted. For example, when the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s predicted by the output unit 79 by the cutting of the first main rope hanging from the upper compartment 71, the output unit 79 is removed from the output unit 79.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As a result,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are operated, and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are brak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부가, 동일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는 출력부(79)를 갖고 있으므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에 이르지 않아도,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될 때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를 작동시킬 수 있어서,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monitoring unit detects an actual movement of each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that elevate the inside of the same hoistway 1 from the car motion detection means and the car motion detection means. Predi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when the collision is predicted, an operation signal is sent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Since the output unit 79 outputs, the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can be predicted even if the speed of each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does not reach a set overspeed. At this time,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can be operated, so that the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can be avoided.

또,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이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으므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age | basket | car motion detection means has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The actual movement of each cell 72 can be detected easily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제어반(13) 내에 탑재되어 있으나, 상 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에 출력부(79)를 탑재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는, 상부 칸(71)에 탑재된 출력부(79), 및 하부 칸(72)에 탑재된 출력부(79)의 양쪽 모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output unit 79 is mounted in the control panel 13, but the output unit 79 may be mounted in each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2,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are mounted in the upper compartment 71.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the output part 79 and the output part 79 mounted in the lower compartment 72, respectively.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양쪽 모두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한쪽에만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출력부(79)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되는 동시에,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각각의 움직임의 이상 유무도 판단된다. 작동 신호는,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 중 비정상인 움직임을 하는 쪽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에만 출력부(79)로부터 출력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output unit 79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both the upp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7 and the low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8, but from the cage motion det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e operation signal may be output to only one of the upp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7 and the low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8.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79 predicts the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and also determines the abnormality of movement of each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do.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79 only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the side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that makes an abnormal movement.

실시 형태 7.Embodiment 7.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칸(71)에는 출력부인 상부 칸용 출력부(81)가 탑재되고, 하부 칸(72)에는 출력부인 하부 칸용 출력부(82)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는,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상부 칸 위치 센서(7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7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upper compartment 71 is equipped with an upper compartment output unit 81 as an output unit,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s equipped with an output unit 82 for a lower compartment as an output unit.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mpartment output unit 81.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and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mpartment output unit 82.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71)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상부 칸 비상 정지용 배선(83)을 통하여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하부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하부 칸(72)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상부 칸(71) 측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다.The upper compartment output unit 8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7 via the upp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wiring 83 which is a transmission means provided in the upper compartment 71. Moreover, the upper compartment output part 81 is each information from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henceforth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art. The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compartment ") predi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llision to the lower compartment 72 of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when the collision is predicted. . In addition, the upper compartment output unit 81 assumes that the lower compartment 72 is traveling toward the upper compartment 71 at the maximum speed during normal operation when the upper compartment detection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upper compartment 71 is us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llision to the lower compartment 72 is predicted.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72)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하부 칸 비상 정지용 배선(84)을 통하여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상부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하부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부 칸(71)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하부 칸(72)측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다.The lower compartment output unit 8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8 through the low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wiring 84 which is a transmission means provided in the lower compartment 72. Moreover, the lower compartment output part 82 is each information from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and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it is "for a lower compartment. Detection information ”), it predi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llision to the upper compartment 71 of the lower compartment 72, and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when the collision is predicted. The lower compartment output section 82 assumes that the upper compartment 71 is traveling toward the lower compartment 72 at the maximum speed during normal operation when the lower compartment detec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llision to the upper compartment 71 is estimated.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통상시에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하지 않게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운전 제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are normally controlled at a sufficient interval from each other so that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do not operate.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six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부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1 메인 로프의 절단에 의해 상부 칸(71)이 하부 칸(72)측으로 낙하하고, 상부 칸(71)이 하부 칸(72)에 가까워지면, 상부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되며, 하부 칸용 출력부(82)에서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하부 칸용 출력부(82)에서는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은 제동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upper compartment 71 falls to the lower compartment 72 side by the cutting of the first main rope that hangs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upper compartment 71 approaches the lower compartment 72, the upper compartment A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s predicted in the bin output unit 81, and a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s predicted in the lower compartment output unit 82. . As a result,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ted to the upp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device 77 at the upper compartment output section 81 and to the lower compartment emergency stop apparatus 78 at the lower compartment output section 82. As a result, the emergency stop device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are operated, and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are brak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6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부 칸 속도 센서(73)가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부 칸 속도 센서(74)가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부 칸 속도 센서(73)와 하부 칸용 출력부(82)와의 사이, 및 하부 칸 속도 센서(74)와 상부 칸용 출력부(81)와의 사이에 전기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기 배선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while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sixth embodiment,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is electrically connected only to the upper compartment output unit 81, and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is an output unit for the lower compartment ( Since only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to 82, electrical wiring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and the lower compartment output 82, and between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and the upper compartment output 81. Since there is no nee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electrical wiring can be simplified.

실시 형태 8.Embodiment 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칸(71) 및 하부 칸(72)에는, 상부 칸(71)과 하부 칸(72)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칸간(間) 거리 검출 수단인 칸간 거리 센서(91)가 탑재되어 있다. 칸간 거리 센서(91)는, 상부 칸(71)에 탑재된 레이저 조사부와, 하부 칸(72)에 탑재된 반사부를 갖고 있다. 상부 칸(71)과 하부 칸(72) 사이의 거리는, 레이저 조사부와 반사부 사이의 레이저 광의 왕복 시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간 거리 센서(91)에 의해 구해진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8 of this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are mounted with a compartment distance sensor 91 which is a compartment distanc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t is. The compartment distance sensor 91 has the laser irradiation part mounted i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reflecting part mounted in the lower compartment 72.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is determined by the car compartment distance sensor 91 by the round trip time of the laser light between the laser irradiation section and the reflecting section.

상부 칸용 출력부(81)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칸간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칸용 출력부(82)에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칸간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the compartment distance sensor 9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mpartment output unit 81. An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a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a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and a compartment distance sensor 9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mpartment output unit 82.

상부 칸용 출력부(81)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상부 칸 위치 센서(75) 및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상부 칸(71)의 하부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상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The upper compartment output part 81 is each information from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upp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5, and the compartment distance sensor 91 (following this embodiment). In this ca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llision to the lower compartment 72 of the upper compartment 71 is predicted by the " upper compartment detection information ", and an operation signal is sent to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77 for the upper compartment when the collision is predicted. To print.

하부 칸용 출력부(82)는, 상부 칸 속도 센서(73), 하부 칸 속도 센서(74), 하부 칸 위치 센서(76) 및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칸용 검출 정보」라 한다)에 의해, 하부 칸(72)의 상부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며,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하부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동일하다.The lower compartment output unit 82 is each piece of information from the upper compartment speed sensor 73, the lower compartment speed sensor 74, the lower compartment position sensor 76 and the compartment distance sensor 91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esence of a collision to the upper compartment 71 of the lower compartment 72 is predict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lower compartment, and an operation signal is sent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78 for the lower compartment when the collision is predicted. Will output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seventh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79)가 칸간 거리 센서(91)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부 칸(71)과 하부 칸(72)과의 충돌의 유무의 예측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output part 79 predi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llision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the lower compartment 72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ompartment distance sensor 91, the upper compartment 71 And prediction of the collision with the lower compartment 72 can be made more certain.

또한, 상기 실시 형태 6∼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3의 도어 개폐 센서(58)를 적용하여 출력부에 개폐 검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되며, 실시 형태 4의 절단 검출 도선(61)을 적용하여 출력부에 로프 절단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or 58 of Embodiment 3 may be applied to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6 to 8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may be input to the output unit. It may apply so that a rope cutting signal may be input to an output part.

또, 상기 실시 형태 2∼8에서는, 구동부는 제1 전자부(49) 및 제1 전자부(50)의 전자 반발력 혹은 전자 흡인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도전성의 반발판(反撥板)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이용하여 구동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마그넷(48)에는 작동 신호로서 펄스 전류가 공급되고, 가동부(40)에 고정된 반발판(51)에 발생하는 와전류와 전자 마그넷(48)으로부터의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동부(40)가 변위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2-8, the drive part is driven using the electron repulsion force or the electron attraction force of the 1st electronic part 49 and the 1st electronic part 50, For example, a conductive repulsion plate It may be driven by using the eddy current generated i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5, the pulse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as an operation signal, and the eddy curren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reaction board 51 fixed to the movable part 40, and the magnetic field from the electromagnetic magnet 48 are shown. The movable part 40 is displaced by interaction with.

또, 상기 실시 형태 2∼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은 승강로(1)에 설치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는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출력부에 전송된다.Moreover, although the car speed detection means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in the said Embodiment 2-8, it may be mounted in the car. In this case,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detection means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portion via the control cable.

실시 형태 9.Embodiment 9.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5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5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부(156)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쐐기(34)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Fig. 16 is a 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emergency stop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emergency stop device 155 has a wedge 34, an actuator portion 156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edge 34, and a guide disposed above the wedge 34 and fixed to the cage 3. It has a portion 36. The actuator part 156 is movable up and down with the wedge 34 with respect to the guide part 36.

액추에이터부(15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157)와, 각 접촉부(157)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링크 부재(158a, 158b)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를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159)와, 각 접촉부(157), 각 링크 부재(158a, 158b) 및 작동 기구(159)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갖고 있다. 지지부(160)에는, 쐐기(34)를 통과한 수평축(170)이 고정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축(170)에 대하여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actuator portion 156 includ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157 that can be conta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car guide rail 2, a pair of link members 158a and 158b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s 157, respectively. An operating mechanism 159 which displaces one link member 158a with respect to the other link member 158b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157 contacts and separates the car guide rail 2, and each contact portion 157 ), Each link member 158a, 158b, and a support portion 160 for supporting the actuation mechanism 159. The horizontal shaft 170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wedge 34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160. The wedge 34 is capable of reciprocating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1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각 링크 부재(158a, 158b)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또, 지지부(160)에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의 서로 교차된 부분에서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링크 부재(158a)는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연결부(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Each link member 158a, 158b intersects with each other in the par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Moreover, the support part 160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161 which connects each link member 158a, 158b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in the mutually intersecting part of each link member 158a, 158b. Moreover, one link member 158a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other link member 158b about the connection part 161. As shown in FIG.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또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떨어지 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Each contact portion 157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2 by being displac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link members 158a and 158b are close to each other. Moreover, each contact part 157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falling from the cage guide rail 2 by displacing each other end part of the link members 158a and 158b from each other.

작동 기구(159)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작동 기구(159)는, 한쪽의 링크 부재(158a)에 연결된 봉 형상의 가동부(162)와,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고정되며 가동부(162)를 왕복 변위시키는 구동부(163)를 갖고 있다.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와 함께, 연결 부재(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actuation mechanism 159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link members 158a and 158b. Moreover, the operating mechanism 159 is supported by each link member 158a, 158b. In addition, the actuating mechanism 159 is a rod-shaped movable portion 162 connected to one link member 158a and a driving portion 163 fixed to the other link member 158b and reciprocally displacing the movable portion 162. Have The actuation mechanism 159 is rotatable around the coupling member 161 together with the link members 158a and 158b.

가동부(162)는, 구동부(163) 내에 수용된 가동 철심(164)과, 가동 철심(164)과 링크 부재(158a)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165)을 갖고 있다. 또, 가동부(162)는,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movable part 162 has the movable iron core 164 accommodated in the drive part 163, and the connecting rod 165 which connects the movable iron core 164 and the link member 158a mutually. Moreover, the movable part 162 reciprocates between the contact position which each contact part 157 contacts the cage guide rail 2, and the opening position which each contact part 157 opens from the cage guide rail 2, Displacement is enabled.

구동부(163)는, 가동 철심(164)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166a,166b)와 각 규제부(166a,166b)를 서로 연결하는 측벽부(166c)를 포함하며 가동 철심(164)을 둘러싸는 고정 철심(166)과, 고정 철심(166) 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1 코일(167)과, 고정 철심(166) 내에 수용되고 통전에 의해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2 코일(168)과, 제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의 사이에 배치된 환상의 영구자석(169)을 갖고 있다.The driving unit 163 includes a pair of restricting portions 166a and 166b for restricting displacement of the movable iron core 164 and sidewall portions 166c for connecting the restricting portions 166a and 166b to each other. A fixed iron core 166 surrounding the 164, a first coil 167 accommodated in the fixed iron core 166 and displacing the movable iron core 164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one of the restricting portions 166a by energization; A second coil 168 accommodated in the fixed iron core 166 and displacing the movable iron core 164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other restricting portion 166b by energization, a first coil 167 and a second coil ( It has the annular permanent magnet 169 arrange | positioned between 168.

한쪽의 규제부(166a)는, 가동부(162)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규제부(166b)는, 가동부(162)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One limitation part 166a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movable iron core 164 may contact when the movable part 162 is in an opening position. Moreover, the other restricting part 166b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movable iron core 164 may contact when the movable part 162 is in a contact position.

제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은, 가동부(162)를 둘러싸는 환상의 전자 코일이다. 또, 제1 코일(167)은 영구자석(169)과 한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코일(168)은 영구자석(169)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coil 167 and the second coil 168 are annular electromagnetic coils surrounding the movable portion 162. The first coil 167 is dispos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69 and one regulating part 166a, and the second coil 168 is formed of the permanent magnet 169 and the other regulating part 166b. It is arranged in between.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169)의 자속량은, 제2 코일(168)측보다 제1 코일(167)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In the state where the movable iron core 164 is in contact with one of the restricting portions 166a, a space that becomes a magnetoresistance exists between the movable iron core 164 and the other restricting portion 166b, so that the permanent magnet 169 ), The magnetic flux amount of the) increases on the first coil 167 side than on the second coil 168 side, and the movable iron core 164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one of the restricting portions 166a.

또,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169)의 자속량은, 제1 코일(167)측보다 제2 코일(168)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In the state where the movable iron core 164 is in contact with one of the restricting portions 166b, a space that becomes a magnetoresistance exists between the movable iron core 164 and the other restricting portion 166a. The magnetic flux amount of 169 increases on the second coil 168 side than on the first coil 167 side, and the movable iron core 164 is kept in contact with the other restricting portion 166b.

제2 코일(168)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2 코일(168)은, 한쪽의 규제부(166a)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7)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복귀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7)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 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The electric power which i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utput part 32 is input to the 2nd coil 168. Moreover, the 2nd coil 168 produces | generates the magnetic flux which opposes the force which hold | maintains the contact of the movable iron core 164 to one control part 166a by input of an operation signal. Moreover, the electric power which is a return signal from the output part 32 is input into the 1st coil 167.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1st coil 167 produces | generates the magnetic flux which opposes the force which keeps the contact of the movable iron core 164 to the other control part 166b by input of a return signal.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162)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동 철심(164)은 영구자석(169)에 의한 유지력으로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다. 가동 철심(164)이 한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normal operation, the movable portion 162 is located at an opening position, and the movable iron core 164 is in contact with one of the restricting portions 166a with a holding force by the permanent magnet 169. In the state where the movable iron core 164 is in contact with one of the restricting portions 166a, the wedge 34 is maintained from the cage guide rail 2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36.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55)에 출력됨으로써, 제2 코일(168)에 통전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코일(168)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개리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 때, 각 접촉부(15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는 제동된다.Thereafter,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32 to the emergency stop devices 155, so that the second coil 168 is energized. As a result, magnetic flux is generated around the second coil 168, and the movable iron core 164 is displac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ther restricting portion 166b, and is displaced from the opening position to the contact position. At this time, each contact portion 157 is displac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nd contacts the car guide rail 2. As a result, the wedge 34 and the actuator portion 155 are braked.

이 후, 안내부(36)는 하강을 계속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에 가까워진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Thereafter, the guide portion 36 continues to descend, and approaches the wedge 34 and the actuator portion 155. As a result, the wedge 34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44, and the car guide rail 2 is sandwiched between the wedge 34 and the contact surface 45. Thereafter, the car 3 is brak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제1 코일(167)에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코일(167)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64)이 접촉 위치로부터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하여, 쐐기(34) 및 접 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At the time of return, the retur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utput part 32 to the first coil 167. As a result, magnetic flux is generated around the first coil 167, and the movable iron core 164 is displaced from the contact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fter that, the pressure on the car guide rails 2 of the wedge 34 and the contact surface 45 is relea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작동 기구(159)가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통하여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 기구(159)의 수를 줄일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actuating mechanism 159 displaces the pair of contact portions 157 through the respective link members 158a and 158b, the operating mechanism 159 exhibits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at the same time a pair of contact portions ( The number of actuation mechanisms 159 for displacing 157 can be reduced.

실시 형태 10.Embodiment 10.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7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7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17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showing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emergency stop device 175 is provided with a wedge 34, an actuator part 176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wedge 34, and an upper part of the wedge 34 and fixed to the car 3. It has a guide part 36.

액추에이터부(176)는, 실시 형태 9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작동 기구(159)와, 작동 기구(159)의 가동부(162)의 변위에 의해 변위되는 링크 부재(177)를 갖고 있다.The actuator portion 176 has an operating mechanism 159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ninth embodiment, and a link member 177 displac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portion 162 of the operating mechanism 159.

작동 기구(159)는, 가동부(162)가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1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180)은 작동 기구(159)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The operating mechanism 159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r 3 so that the movable part 162 may reciprocate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ar 3. The link member 177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ixed shaft 180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r 3. The fixed shaft 180 is disposed below the operating mechanism 159.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기점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를 가지며, 링크 부재(177)의 전체 형상으로서는, 대략 へ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링크부(179)는 제1 링크부(178)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link member 177 has a first link portion 178 and a second link portion 179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fixed shaft 180 as a starting point, respectively,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link member 177 is approximately へ. It is shaped like a child. That is, the second link portion 179 is fixed to the first link portion 178, and the first link portion 178 and the second link portion 179 can be integrally rotated around the fixed shaft 180. It is supposed to be done.

제1 링크부(178)의 길이는, 제2 링크부(179)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제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182)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의 하부에는, 긴 구멍(18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된 슬라이드 핀(183)이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쐐기(3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링크부(179)의 선단부에는, 가동부(162)의 선단부가 연결 핀(18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link portion 178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portion 179. Moreover, the long hole 182 i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1st link part 178. As shown in FIG. The slide pin 183 slidably passed through the long hole 182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wedge 34. That is, the wedge 34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1st link part 178. As shown in FIG.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movable portion 16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link portion 179 via the connecting pin 181.

링크 부재(177)는, 쐐기(34)를 안내부(36)의 아래쪽에서 개리시키고 있는 개리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안내부(36)의 사이에 쐐기(34)를 파고들게 하고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162)는, 링크 부재(177)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부터 돌출되며, 링크 부재(177)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 후퇴되어 있다.The link member 177 makes the wedge 34 open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art 36, and the operation which makes the wedge 34 dig between the cage guide rail and the guide part 36. It is possible to reciprocate displacement between positions. The movable part 162 protrudes from the drive part 163 when the link member 177 is in the open position, and is retracted to the drive part 163 when the link member 177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링크 부재(177)는 가동부(162)의 구동부(163)로의 후퇴에 의해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부터 개리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normal operation, the link member 177 is located at an opening position by retreating the movable portion 162 to the drive portion 163. At this time, the wedge 34 maintains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guide part 36, and is opened from the cage guide rail.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75)에 출력되고 가동부(162)가 전진된다. 이것에 의해,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34)는 안내부(36)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며,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파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은 제동된다.Thereafter,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32 to each emergency stop device 175 and the movable unit 162 is advanced. As a result, the link member 177 is rotated about the fixed shaft 180 to be displaced to the operating position. As a result, the wedge 34 contacts the guide portion 36 and the car guide rail, and digs in between the guide portion 36 and the car guide rail. As a result, the car 3 is braked.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175)에 전송되며, 가동부(162)가 후퇴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켜서,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쐐기(34)가 파고든 것을 해제한다.At the time of return, the retur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utput part 32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175, and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part 162 is retracted. In this state, the cage 3 is lifted to release the wedge 34 from the guide portion 36 and the cage guide rail.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lso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effect similar to Embodiment 2 can be exhibited.

실시 형태 11.Embodiment 11.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인 권상기(101)와, 권상기(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02)이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01)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103)와, 복수 개의 메인 로프(4)가 감겨지고 구동장치 본체(10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04)를 갖고 있다. 권상기(101)에는, 각 메인 로프(4)가 감겨진 디플렉터 쉬브(105)와, 엘리베이터 칸(3)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감속용 제동 장치)(10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각 메인 로프(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권상기(101)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1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is provided with the hoist 101 which is a drive apparatus, and the control panel 10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ist 101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The hoist 101 includes a drive main body 103 including a motor, and a drive sheave 104 in which a plurality of main ropes 4 are wound and rotated by the drive main body 103. The hoisting machine 101 includes a deflector sheave 105 in which each main rope 4 is wound, and a brake means for braking which is a braking means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4 to decelerate the car 3. For braking device 106 is provided.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107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the respective main ropes 4.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107 raise and lower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by the drive of the hoist 101.

비상 정지 장치(33),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는 감시 장치(1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다.The emergency stop device 33,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the control panel 1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onitoring device 108 that constantly monitors the state of the elevator. The monitoring device 108 includes a car position sensor 109 which is a car posi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r 3, and a car speed sensor that is a car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speed of the car 3. 110 and the car acceleration sensor 111 which is the car acceleration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are electrically connected, respectively. The car position sensor 109, the car speed sensor 110, and the car acceleration sensor 111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또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갖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계측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코더, 직선적인 움직임의 변위량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니어 인코더, 혹은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에 설치된 투광기 및 수광기와,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반사판을 가지며, 투광기의 투광으로부터 수광기의 수광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학식의 변위 측정기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means 112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elevator includes a car position sensor 109, a car speed sensor 110, and a car acceleration sensor 111. In addition, the car position sensor 109 measures an amount of rotation of a rotating body that follows the movement of the car 3 to thereby measure an encode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r 3 and measures the amount of linear movement displacement. The linear encoder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or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for example installed in the hoistway 1, and the reflector plate installed in the cage | basket | car 3 are provided, and the projection of a transmitter to the receiver of a receiver An optical displacement meter etc. which detect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by measuring the time taken are mentioned.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기준(설정 데이터)이 미리 기억된 기억부( 메모리부)(113)와,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의 각각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출력부(연산부)(114)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부(113)에 기억되어 있다.The monitoring device 108 includes a storage unit (memory unit) 113 in which plural types (two types in this example), which ar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an elevator is abnormal, are stored in advance; It has the output part (operation part) 114 which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an elevator by the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means 112 and the memory | storage part 113, respectively. In this example,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which is an abnormality criterion for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criterion, which is the abnormality criterion for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3. I remember.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한쪽의 종단 층과 다른 쪽의 종단 층 사이의 구간)에는, 한쪽 및 다른 쪽의 종단 층 근방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가감속되는 가감속 구간과, 각 가감속 구간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3)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정속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FIG. 19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 abnormal speed of a ca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3 of FIG. 18. In the drawing, in the lifting section (section between one end layer and the other end layer) of the car 3 in the hoistway 1, the car 3 is located near one end and the other end layer. A constant speed section in which the car 3 moves at a constant speed is set between this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ction to be accelerated and decelerated.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인 통상 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1 이상 레벨)(116)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17)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In the cage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 three-step detection pattern is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ge 3. That is, in the cage | basket |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normal level) 115 which is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and the 1st abnormality which became a value larger than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The speed detection pattern (1st abnormal level) 116 and the 2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2nd abnormal level) 117 which became a value larger than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are respectively the cage | basket | car 3 Is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정속 구간에서는 일정치가 되도록, 가감속 구간에서는 종단 층 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의 차이,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의 차이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the fir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and the seco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become constant values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and continuously decrease toward the terminal layer i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ction, respectively. It is set.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and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and the fir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are the lifting sections. Each is set to be almost constant at all positions of.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인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1 이상 레벨)(119)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20)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FIG. 20 is a graph showing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bnormality of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3 of FIG. 18. In the figure, the three-step detection pattern is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in the cage | basket |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at is, in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first abnormality which becomes a value larger than the 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normal level) 118 which is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and the 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8 is normal. The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first abnormal level) 119 and the second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second abnormal level) 120 having a value larger than the first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are each a car 3. Is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은, 정속 구간에서는 제로 값이 되도록, 한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정(+)의 값이 되도록, 다른 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부(-)의 값이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의 차이,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의 차이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The 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8, the first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and the second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20 have a positive value in on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ction so that they become zero values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In the other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ction, each is set so as to be a negative valu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and the 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8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20 and the first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are the lifting sections They are each set to be approximately constant at all positions of.

즉, 기억부(113)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 (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고,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어 있다.That is,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and the 2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are memorize | stored in the memory | storage part 113 as a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is carried out. The pattern 118, the first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and the second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20 are stored as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출력부(114)에는, 비상 정지 장치(33), 제어반(102),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각각 경시적으로 계속하여 입력된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가속도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The emergency stop device 33, the control panel 102, the brake device 106 for the hoisting machine, the detection unit 112, and the storage unit 11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11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14 has a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a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sensor 110, and an accelera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acceleration sensor 111. Each is input continuously over time. In the output part 114,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of a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based on each input of a speed detection signal and an acceleration detection signal,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computed as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element of several types (two types in this example), respectively.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권상기(101)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신호를 제어반(102)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가 속도 검출 패턴(120)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exceeded the 1st abnormality speed detection pattern 116, or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exceeded the 1st abnormality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the output part 114 is a thing. At this time, an operation signal (trigger signal) is output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4. Moreover, the output part 114 outputs the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drive of the hoist 101 to the control panel 102 simultaneously with the out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oist brake device 104. Moreover, the output part 114 has the 2nd abnormal acceleration speed detection pattern 120 when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exceeded the 2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or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was carried out. When exceeding,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brake device 104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for hoisting machines. That is, the output part 114 determines the braking means which outputs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of the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car 3.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sensor 110, and the accelera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acceleration sensor 111 are input to the output unit 114, the output is output. In the unit 114, the position,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car 3 are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of each detection signal. Subsequently, in the output unit 114, the car 3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respectively obtained from the storage unit 113 and the car 3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of each detection signal are obtained. Speed and acceleration are compar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abnormality of the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car 3 is detected.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고,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since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becomes a value substantially the same as a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and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becomes a value substantially the same as a 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in the output part 114,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each of the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car 3, an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ontinued.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 (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rises abnormally and exceeds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for some reason, it is the output part 114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cage | basket | car 3 speed | rate. Are detected and the stop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panel 102 from the output unit 114,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hoisting machine 101 is stopped, and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operated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4.

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가속도 설정치(119)를 넘은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Moreover, even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rises abnormally and exceeds the 1st abnormal acceleration set value 119, an operation signal and a stop signal are output part 114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the control panel 102. Are respectively outputted, and rotation of the driving sheave 104 is braked.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when the speed of the car 3 further increases and exceeds the second abnormal speed set value 117, the out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maintained. Then,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part 114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As a result,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is operated, and the car 3 is braked by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가속도 설정치(120)를 넘은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Moreover, even after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further rises and exceeds the second or more acceleration set value 120, the out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output. While holding,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part 114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to operate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을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라고 하는 복수 종의 이상 판단 요소의 이상의 유무가 감시 장치(108)에 의해 각각 별개로 판단되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monitoring apparatus 108 acquires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112 which detects the state of an elevator, and acquired the elevator When the abnormality of any one of the speed of the cage 3 and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3 is judged,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at least one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The abnormality detection of the elevator by the monitoring apparatus 108 can be made earlier and more reliably, and the time taken until the braking force to the cage | basket | car 3 generate | occur | produces after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generate | occur | produces can be made shorter. That is, sin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abnormality determination elements such as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is judged separately by the monitoring device 108, the elevator by the monitoring device 108 is determined. The abnormality detection can be made earlier and more reliably, and the time taken for the braking force to the car 3 to occur after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in the elevator can be shortened.

또,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113)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의 이상 유무의 판단 기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설계 변경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108 determines a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peed of the car 3, and a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judging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is abnormal. Since it has the memory | storage part 113 which the reference | standard is memorize | stored, the criterion of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ity of each of the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can be changed easily, and a design change of an elevator, etc. can be responded easily.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보다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includes a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a fir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having a larger value than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and a fir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When the seco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is set to a value larger than), and the speed of the car 3 exceeds the fir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the brake for the hoist from the monitoring device 108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device 106, and when the speed of the car 3 exceeds the seco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the brake device 106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for the hoist ( Since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33), the car 3 can be braked in stages in accordance with an abnormal magnitude of the speed of the car 3. Therefore, the frequency of giving a big impact to the car 3 can be reduced, and the car 3 can be stopped more reliably.

또,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20)을 넘었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includes a 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8, a first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having a value larger than the 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8, and a first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When the second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20 is set to a value larger than), and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exceeds the first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119, the brake for the hoist from the monitoring device 108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device 106, and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exceeds the seco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20, the brake device 106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for the hoist (from the monitoring device 108) Since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33), the car 3 can be braked in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abnormality of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Usually, since an abnormality arises in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before an abnormality arises in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the frequency which gives a big shock to the cage | basket | car 3 can further be reduced, and (3) can be stopped more reliably.

또,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에 대응시켜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가감속 구간에서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의 값이 작으므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동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and the 2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are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is carried out. Each of the pattern 116 and the seco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can be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at all positions of the lifting section of the car 3. Therefore, especially i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ction, since the value of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is small, each of the fir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and the seco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can be set to a relatively small value. The impact on the cage 3 due to braking can be reduc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도출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구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car speed sensor 110 is used to allow the monitoring device 108 to acquire the speed of the car 3, but the car speed sensor 110 is not used and the car speed sensor 110 is used. The speed of the car 3 may be derived from the position of the car 3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109. In other words, the speed of the car 3 may be determined by differentiating the position of the car 3 calcula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도출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2회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구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car acceleration sensor 111 is used so that the monitoring device 108 acquires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but the car acceleration sensor 111 is not used, and the car is not used. The acceleration of the car 3 may be derived from the position of the car 3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109. That is,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may be calculated | required by differentiating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calcula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sensor 109 twice.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114)는 각 이상 판단 요소인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 하게 되어 있으나,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이상 판단 요소마다 미리 결정해 두어도 된다.Further, in the above example, the output unit 114 determines the braking means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gree of abnormality of the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car 3 which is each abnormality determination element, but outputs the operation signal. The braking means to be determined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for each abnormality determination element.

실시 형태 12.Embodiment 12.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층의 승강장에는 복수의 승강장 호출 버튼(12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 내에는, 복수의 행선 층 버튼(1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 장치(127)는 출력부(114)를 갖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하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각 행선 층 버튼(126)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에는, 출력부(114)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2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platform call buttons 125 are provided in the platform of each floor. Moreover, in the cage | basket | car 3, the some destination floor button 126 is provided. 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127 has an output unit 114.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reference generation device 128 for generating a cage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standard and a cage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stand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114.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reference generation device 12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s 125 and each of the destination floor buttons 126. The position determination signal is input to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reference generation device 128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via the output unit 114.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엘리베이터 칸(3)이 각 층의 사이를 승강하는 모든 경우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기억하는 기억부(메모리부)(12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1개씩 기억부(129)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출력부(114)에 출력하는 생성부(130)를 갖고 있다.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reference generation device 128 stores a plurality of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and a plurality of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which ar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for all cases in which the car 3 moves up and down between floors. The storage unit (memory unit) 129,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re selected one by one from the storage unit 129, and the selected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and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are determined. The generation unit 130 outputs the reference to the output unit 114.

각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19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2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In each cage | basket |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detection pattern of three steps similar to the cage | basket |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standard shown in FIG. 19 of Embodiment 11 is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each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detection pattern of three steps similar to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shown in FIG. 20 of Embodiment 11 is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r 3.

생성부(13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를 산출하며,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목적 층을 산출하게 되어 있다. 또, 생성부(130)는, 산출된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을 한쪽 및 다른 쪽의 종단 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다.The gener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car 3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and from at least one of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125 and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126.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target floor of the car 3 is calculated. In addition, the generation unit 130 selects a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a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each of which has the calculated detection position and the target floor as one and the other end layers.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en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부(130)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출력부(114)를 통하여 위치 검출 신호가 상시 입력되고 있다.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 중 어느 한쪽이 예를 들면 승객 등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버튼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생성부(130)에 입력되면, 생성부(130)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 및 호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이 산출되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하나씩 선택된다. 이 후, 생성부(130)에서는, 선 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출력부(114)에 출력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is always input into the generation unit 130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via the output unit 114. When either of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125 and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126 is selected by a passenger etc., for example, and a call signal is input into the generation | generation part 130 from the selected button, in the generation part 130, Based on the input of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call signal, the detection position and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car 3 are calculated, and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and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are selected one by one. Thereafter, the generation unit 130 outputs the selected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o the output unit 114.

출력부(114)에서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게 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9와 동일하다.In the output part 114, like the 11th embodime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abnormality of the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detected. The subsequent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ninth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가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 층 버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판단 기준을 생성하게 되어 있으므로, 목적 층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목적 층이 선택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부터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generating device generates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car acceleration determination criterion based 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platform call button 125 and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126.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a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floor, and even if another target floor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taken from the occurrence of the elevator abnormality to the braking force generation. Can b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기억부(129)에 기억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부터 생성부(130)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으나, 제어반(102)에 의해 생성된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속도 패턴 및 통상 가속도 패턴에 의거하여 이상 속도 검출 패턴 및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을 각각 직접 생성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gener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from the plurality of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and the plurality of car accelera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9. Although the selection criteria are selected one by one, the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and the abnormal acceleration detection pattern may be directly generated based on the normal speed pattern and the normal acceleration pattern of the car 3 generated by the control panel 102, respectively.

실시 형태 13.Embodiment 13.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 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각 메인 로프(4)는 로프 고정 장치(13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로프 고정 장치(131)에 설치되고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각각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부인 복수의 로프 센서(132)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로프 센서(132)를 갖고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3 of this invention. In this example, each main rope 4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3 by the rope fixing device 131. As shown in FIG. The monitoring device 108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3. The output section 114 is provided with a car position sensor 109, a car speed sensor 110, and a rope fixing device 131, and a rope cutting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eak of each main rope 4,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ope sensors 132, which are detection uni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detection means 112 has a car position sensor 109, a car speed sensor 110, and a rope sensor 132.

각 로프 센서(132)는,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파단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메인 로프(4)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로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Each rope sensor 132 outputs a break detection signal to the output unit 114 when the main rope 4 breaks. In addition, the memory | storage part 113 memorize | stores the cage | basket |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similar to Embodiment 11 shown in FIG.

로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1 이상 레벨과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2 이상 레벨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In the rop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first abnormal level in which the at least one main rope 4 is broken and the second abnormal level in which all the main ropes 4 are broken are set, respectively.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파단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In the output part 114,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computed based on the input of a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based on each input of a speed | detection signal and a break signal, the speed and the main of the cage | basket | car 3 are obtained. The state of the rope 4 is computed as an abnormality judgment element of multiple types (two types in this example), respectively.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The output part 114 is a brake for a hoisting machine when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exceeded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FIG. 19), or when the at least 1 main rope 4 broke. The operation signal (trigger signal) is output to the device 104. Moreover, the output part 114 is a brake for a hoisting machine when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exceeded the 2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FIG. 19), or when all the main ropes 4 broke.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device 104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That is, the output part 114 determines the braking means which outputs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abnormality of each state of the main rope 4, respectively.

도 23은 도 22의 로프 고정 장치(131) 및 각 로프 센서(13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24는 도 23의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고정 장치(131)는, 각 메인 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3)에 접속하는 복수의 로프 접속부(134)를 갖고 있다. 각 로프 접속부(134)는, 메인 로프(4)와 엘리베이터 칸(3)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스프링(133)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각 메인 로프(4)에 대한 위치는, 각 탄성 스프링(133)의 신축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FIG. 2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rope fixing device 131 and each rope sensor 132 of FIG. 22. 24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by which one main rope 4 of FIG. 23 was broken. In the figure, the rope fixing device 131 has a plurality of rope connecting portions 134 for connecting each main rope 4 to the car 3. Each rope connection part 134 has an elastic spring 133 interposed between the main rope 4 and the car 3.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main rope 4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displaceable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each elastic spring 133. As shown in FIG.

로프 센서(132)는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되어 있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기이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에 대응한 측정 신호를 출력부(14)에 상시 출력하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탄성 스프링(133)의 복원에 의한 신장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의 측정 신호가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 또한, 각 메인 로프(4)의 텐션을 직접 측정하는 저울 장치를 로프 센서로서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해도 된다.The rope sensor 132 is provided at each rope connection part 134. Each rope sensor 132 is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xtension of the elastic spring 133. Each rope sensor 132 always outputs the measure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extension of the elastic spring 133 to the output unit 14. The measurement signal at the time when the amount of elongation due to the restoration of the elastic spring 133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is input to the output unit 114 as the break detection signal. Moreover, you may install the scale apparatus which directly measures the tension of each main rope 4 in each rope connection part 134 as a rope sensor.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en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각 로프 센서(131)로부터의 파단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로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sensor 110, and the break detection signal from each rope sensor 131 are input to the output part 114, an output part is outputted. In 114, the position of the car 3,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number of breaks of the main rope 4 are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of each detection signal. After that, in the output unit 114, the speed of the car 3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rop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respectively obtained from the storage unit 113, and the input of each detection signal, The number of breaks of the main rope 4 is compar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in each of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state of the main rope 4 is detected.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메인 로프(4)의 파단 개수가 제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In normal operation, the speed of the car 3 is approximately the same value as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and since the number of breaks of the main rope 4 is zero,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output unit 114 are determined.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each state of the main rope 4, an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ontinued.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rises abnormally and exceeds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FIG. 19) for some reason, it is output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age | basket | car 3 speed | rate. The operation signal is detected by the unit 114, and the stop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14 to the control panel 102,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hoisting machine 101 is stopped, and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operated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4.

또, 적어도 1개의 메인 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In addition, even when at least one main rope 4 is broken, an operation signal and a stop signal ar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14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the control panel 102, respectively, to drive the sheave 104. Rotation is braked.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when the speed of the car 3 further increases and exceeds the second abnormal speed set value 117 (FIG. 19),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determined.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the output section 114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As a result,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is operated, and the car 3 is braked by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모든 메인 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In addition, even when all the main ropes 4 are broken 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the emergency stop is stopped from the output unit 114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device 33 to activate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메인 로프(4)의 상태의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메인 로프(4)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으며,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monitoring apparatus 108 acquires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state of the main rope 4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112 which detects the state of an elevator, and acquired the elevat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y one of the speed of the compartment 3 and the state of the main rope 4 is abnormal,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at least one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Therefore, the number of abnormality detection targets increases, and not only the abnormality of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but also the abnormality of the state of the main rope 4 can be detected, and the abnormality detection of the elevator by the monitoring apparatus 108 is detected earlier. You can also be more certain. Therefore, the time taken until the braking force to the cage | basket | car 3 generate | occur | produces after abnormality of an elevator generate | occur | produces can be shorten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131)에 로프 센서(132)가 설치되어 있으나, 균형추(107)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로프 센서(132)를 설치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rope sensor 132 is provided in the rope fixing device 131 provided in the cage | basket | car 3 in the said example, you may provide the rope sensor 132 in the rope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counterweight 107. As shown in FIG. .

또, 상기의 예에서는, 메인 로프(4)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에 각각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으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승강로(1) 내의 구조물에 접속된 메인 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 현수용 쉬브(suspension sheave) 및 균형추 현수용 쉬브에 각각 감아서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로프 센서는, 승강로(1) 내의 구조물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설치된다.In the above exampl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4 are connected to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107, respectively, and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107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vator device of the type, the main rope 4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tructure in the hoistway 1 is wound on a suspension sheave and a balance weight suspension sheave, respectively. You may apply this invention to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type which hangs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counterweight 107 in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rope sensor is installed in the rope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structure in the hoistway 1.

실시 형태 14.Embodiment 14.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부로서의 로프 센서(135)는, 각 메인 로프(4)에 매입된 도선으로 되어 있다. 각 도선은, 메인 로프(4)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도선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출력부(1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도선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각 도선에의 통전의 각각의 차단이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4 of this invention. In this example, the rope sensor 135 as the rope break detection unit is a conductor wire embedded in each main rope 4. Each conducting wir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rope 4.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lea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part 114, respectively. A weak current flows through each wire. The cutoff of the energization to each conducting wire is input to the output part 114 as a break detection signal.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3과 동일하다.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메인 로프(4)에 매입된 도선에의 통전의 차단에 의해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을 검출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감속에 의한 각 메인 로프(4)의 텐션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각 메인 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breakage of each main rope 4 is detected by the interruption of the energization to the conducting wires embedded in the main ropes 4, the main ropes due to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car 3 (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reak of each main rope 4 can be detected more reliabl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tension change of 4).

실시 형태 15.Embodiment 15.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출입구 개폐 검출부인 도어 센서(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도어 센서(140)를 갖고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5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door part 140 which is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part which detect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sensor 109, the cage | basket | car speed sensor 110, and the cage | basket | car entrance and exit 26 is shown in the output part 114. FIG.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detection means 112 has a car position sensor 109, a car speed sensor 110, and a door sensor 140.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 닫힘 상태일 때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은,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또한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를 비정상으로 하는 이상 판단 기준이다.The door sensor 140 outputs the door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output unit 114 when the car door 26 is in the door closing state. In addition, in the storage unit 113, the doorway state abnormality judgment, which i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in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a and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car doorway 26, as in the el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The criteria are remembered. The doorway stat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is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which makes the state in which the cage | basket | car 3 lifts and raises, and makes a door abnormal.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고,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문 닫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In the output part 114,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of a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based on each input of a speed detection signal and the door closing detection signal. And the state of the cage | basket | car entrance 26 are computed as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element of multiple types (two types in this example), respectively.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었을 때, 혹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The output part 114 has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when the cage | basket | car 3 is elevating | lif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age | basket | car doorway 26 is not closed, or the cage | basket | car 3 is the speed | rate). When exceeding FIG. 19),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brake device 104 for hoisting machines. Moreover, when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exceeded the 2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FIG. 19), the output part 114 is provided to the brake device 104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for hoisting machines.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3) 및 도어 센서(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26)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부에,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폭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센서(140)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8) 각각의 문 닫힘 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며, 출력부(114)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FIG. 2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r 3 and the door sensor 140 of FIG. 26.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way 26 of the car of FIG. 27 is open. In the figure, the door sensor 140 is disposed above the car doorway 26 and in the center of the car doorway 26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3. The door sensor 140 detects the displacement of each pair of car doors 28 to the door closing position, and outputs a door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output unit 114.

또한, 도어 센서(140)로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고정된 고정부에 접촉됨으로써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접촉식 센서, 혹은 비접촉으로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 승강장 출입구(141)에는, 승강장 출입구(14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 어(142)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 층에 착지되어 있을 때, 계합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계합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함께 변위된다.Moreover, as the door sensor 140, the contact sensor which detects the door closed state by contacting the fixed part fixed to each car door 28, or the proximity sensor which detects the door closed state non-contacted, etc. are mentioned. . Moreover, the boarding point entrance and exit 141 is provided with a pair of boarding point doors 142 which open and close the boarding point entrance and exit 141. Each landing door 142 is engaged with each cage door 28 by an engaging device (not shown) when the cage 3 is landed on the elevator floor, and each cage door 28. Is displaced with.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en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센서(140)로부터의 문 닫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출입구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상태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sensor 110, and the door closing detection signal from the door sensor 140 are input to the output unit 114, the output unit is output. In 114, the position of the car 3,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state of the car doorway 26 are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of each detection signal. Subsequently, in the output unit 114, the speed of the car 3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door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respectively obtained from the storage unit 113, and the input of each detection signal, and The state of each car door 28 is compar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in each of the state of the car 3 and the state of the car doorway 26 is detected.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는 닫힘 상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since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becomes a value substantially the same as a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and the cage | basket | car doorway 26 when the cage | basket | car 3 is going up and down is closed, an output part ( In 114,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each of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state of the car doorway 26, an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ontinued.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 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rises abnormally and exceeds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FIG. 19) for some reason, it is the thing that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abnormal. The output signal 114 is detected so that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a stop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panel 102 from the output 114. As a result, the hoisting machine 101 is stopped, and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operated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4.

또,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이상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며,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car doorway 26 is not closed when the car 3 is being raised and lowered, the abnormality of the car doorway 26 is detected by the output unit 114, and an operation signal. And a stop signal are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14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the control panel 102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4.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when the speed of the car 3 further increases and exceeds the second abnormal speed set value 117 (FIG. 19),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determined.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14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As a result,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is operated, and the car 3 is braked by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 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고,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monitoring apparatus 108 acquires and acquires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state of the cage | basket | car doorway 26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112 which detects the state of an elevat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hoist brake device 106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when it is determined that either the speed of the car 3 or the state of the car door 26 is abnormal. Since the number of objects to be detected in the abnormality of the elevator increases, not only the abnormality of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3 but also the abnormality of the state of the car doorway 26 can be detected, and the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y the monitoring device 108 can be detected. The index finger can be made earlier and more surely. Therefore, the time taken until the braking force to the cage | basket | car 3 generate | occur | produces after abnormality of an elevator generate | occur | produces can be shorten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만이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 및 승강장 출입구(141) 각각의 상태를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승강장 도어(142)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가,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와 함께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승강장 도어(142)를 서로 계합시키는 계합 장치 등이 고장나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만이 변위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only the state of the car doorway 26 is detected by the door sensor 140, but the state of each of the car doorway 26 and the landing doorway 141 is indicated by the door sensor 140. You may make it detect by. In this case, the displacement to the closed position of each landing door 142 is detected by the door sensor 140 with the displacement to the closed position of each car door 28. In this way, for example, an abnormality in the elevator can be detected even when a door lock device 28 and the landing door 142 engage with each other and the like, and only the car door 28 is displaced. .

실시 형태 16.Embodiment 16.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1)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권상기(101)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권상기(101)에는 제어반(102)의 제어에 의해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통하여 구동 전력이 공급된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ypically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6 of this invention. 3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1 in FIG. 29. In the figure, the power supply cable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ist 101. The hoisting machine 101 is supplied with driving power via the power supply cable 15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102.

전력 공급 케이블(150)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 으로써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는 구동장치 검출부인 전류 센서(151)가 설치되어 있다. 전류 센서(151)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의 전류치에 대응하는 전류 검출 신호(구동장치 상태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류 센서(151)는 승강로(1)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류 센서(151)로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측정하는 변류기(CT) 등을 들 수 있다.The power supply cable 150 is provided with a current sensor 151 which is a driv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hoist 101 by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supply cable 150. The current sensor 151 outputs a current detection signal (driving device stat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cable 150 to the output unit 114. In addition, the current sensor 151 i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1. Moreover, as the current sensor 151, the current transformer CT etc. which measure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the power supply cable 150 are mentioned.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전류 센서(15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전류 센서(151)를 갖고 있다.The car position sensor 109, the car speed sensor 110, and the current sensor 15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11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etection means 112 has a car position sensor 109, a car speed sensor 110, and a current sensor 151.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권상기(101)의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113 stores the same car speed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s in the el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19 and a drive devic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at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in the state of the hoisting machine 101.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즉,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치인 통상 레벨과, 통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레벨과, 제1 이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The detection pattern of three steps is set to the drive apparatus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at is, the driv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includes a normal level which is a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power supply cable 150 during normal operation, a first abnormal level that is larger than the normal level, and a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abnormal level. Two or more levels are set.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 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In the output part 114, th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computed based on the input of a position detection signal, and based on each input of a speed detection signal and a current detection signal,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state of the hoist 101 is calculated as a plurality of types of abnormality determination elements (two types in this example).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1 이상 레벨의 값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넘었을 때, 혹은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의 값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의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대응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The output unit 114 determines that the drive device is abnormal when the speed of the car 3 exceeds the fir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FIG. 19) or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supply cable 150. When the value of the first abnormal level in the reference is exceeded, an operation signal (trigger signal) is output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4. Moreover, the output part 114 is a drive apparatus when the speed | rate of the cage | basket | car 3 exceeded the 2nd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7 (FIG. 19), or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the electric power supply cable 150. When the value of the second abnormality level in the abnormality criterion is exceeded,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4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In other words, the output section 114 determines the braking means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sign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degree of abnormality of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state of the hoist 101.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leventh embodiment.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센서(151)로부터의 전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 내의 전류의 크기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 내의 전류의 크기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position sensor 109, th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speed sensor 110, and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from the current sensor 151 are input to the output unit 114, the output unit ( At 114, the position of the car 3,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 the power supply cable 150 are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of each detection signal. Subsequently, in the output unit 114, the car 3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drive stat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respectively obtained from the storage unit 113 and the car 3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of each detection signal are obtained. The speed 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 the power supply cable 150 are compar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each of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state of the hoist 101 is detected.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도 19)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통상 레벨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In normal operation, the speed of the car 3 is approximately the same value as that of the 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5 (FIG. 19), 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supply cable 150 is a normal level. In 114,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each of the speed of the car 3 and the state of the hoist 101, and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ontinued.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넘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고,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rises abnormally and exceeds the 1st abnormal speed detection pattern 116 (FIG. 19) for some reason, it is output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age | basket | car 3 speed | rate. The unit 114 detects the operation signal, and outputs the stop signal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from the output unit 114 to the control panel 102. As a result, the hoisting machine 101 is stopped, and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operated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4.

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1 이상 레벨을 넘은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Moreover, even when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the power supply cable 150 exceeds the 1st abnormal level in the drive stat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stop signal are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the control panel 102. Are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output part 114, and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4 is braked.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치(117)(도 19)를 넘은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 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After operation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when the speed of the car 3 further increases and exceeds the second abnormal speed set value 117 (FIG. 19),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determined.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14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As a result,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is operated, and the car 3 is braked by the same operation as that in the actual form 2.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을 넘은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Moreover, even when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the electric power supply cable 150 after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exceeds the 2nd abnormal level in the drive state abnormality determination criterion,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is carried out. The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section 114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while the output of the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is operat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monitoring apparatus 108 acquires the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state of the hoisting machine 101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means 112 which detects the state of an elevator, and acquired the cage | basket | ca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y one of the speed of (3) and the state of the hoisting machine 101 is abnormal,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to at least one of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and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The number of objects to be detected in the abnormality of an elevator increases, and the time taken until the braking force to the cage | basket | car 3 generate | occur | produces after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generate | occur | produces can be shorten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151)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어 있으나, 권상기(10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state of the hoist 101 is detected using a current sensor 151 that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supply cable 150, but the temperature of the hoist 101 is measured.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used to detect the state of the hoist 101.

또, 상기 실시 형태 11∼16에서는, 출력부(114)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3)에 비상 정지 장치(33)와는 별개로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균형추(107)에 탑재되고 균형추(107)를 안내하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균형추(107)를 제동하는 균형추 브레이크, 혹은 승강로(1) 내에 설치되고 메인 로프(4)를 구속함으로써 메인 로프(4)를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에, 출력부(114)에 의해 작동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11-16, before the output part 114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stop apparatus 33, it outputs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oisting brake device 106, but the car 3 ) I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emergency stop device 33 and mounted on the car brakes and counterweights 107 for braking the car 3 by sandwiching the car guide rails 2 and guiding the counterweights 107. To the counterweight brake for braking the counterweight 107 by sandwiching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provided therebetween, or the rope brake provided in the hoistway 1 and for restraining the main rope 4 by restraining the main rope 4. 114), the operation signal may be output.

또, 상기 실시 형태 1∼16에서는, 출력부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에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송 수단으로서 전기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출력부에 설치된 발신기와 비상 정지 기구에 설치된 수신기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용해도 된다.In the first to sixteenth embodiments, although an electric cable is used as a transmission means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output unit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ransmitter provided in the output unit and a receiver provided in the emergency stop device is used. You may also Moreover, you may use the optical fiber cable which transmits an optical signal.

또, 상기 실시 형태 1∼16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게 되어 있으나, 이 비상 정지 장치가 상하 반대로 된 것을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고, 위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s 1-16, the emergency stop device brakes with respect to the overspeed (moving) of the car to the downward direction, However, when this emergency stop device was reversed up and down, it attached to the car and moved upwards. You may make it brake with respect to the overspeed (movement) to a direction.

실시 형태 17.Embodiment 17.

다음으로,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기기(203) 및 복수의 안전장치 기기(206)를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안전장치 기기(206)를 제어하는 데에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중계의 회로구성이 채용되어 있다.Next, FIG. 31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by Embodiment 17 of this invention. This elevator apparatus controls the controller 203 and the some safety device apparatus 206 of several elevator. In particular, a dual system circuit configuration is employed to ensure sufficient reliability for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206.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CPU(처리부)(201, 202)가 사용되고 있다. 제1 CPU(201)는, 제어기기(203) 및 제1 출력 인터페이스(출력부)(204)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2 CPU(202)는, 제어기기(203)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출력부)(205)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the first and second CPUs (processing units) 201 and 202 are used. The first CPU 201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203 and the first output interface (output unit) 204. The second CPU 202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203 and the second output interface (output unit) 205.

제어기기(203)는, 제1 및 제2 CPU(201, 202)로부터 같은 모양의 제어신호를 받을 때에, 그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기(203)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구동장치의 모터, 구동장치의 브레이크, 및 도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The controller 20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when receiving the same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and second CPUs 201 and 202. Examples of the controller 203 include a motor of the drive device, a brake of the drive device, a door device, and the like a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제1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는, 제1 및 제2 CPU(201, 20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안전장치 기기(206)를 구동·제어한다. 안전장치 기기(206)는, 제1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로부터 작동신호(지령신호)를 받으면, 엘리베이터를 안전상태로 이행시키도록 동작한다.The first and second output interfaces 204 and 205 drive and control the safety device 206 based on control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CPUs 201 and 202. The safety device 206 operates to transfer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upon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command signal)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interfaces 204 and 205.

안전장치 기기(206)로서는,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 16에 나타낸 비상 정지 장치(직동(直動) 비상 정지)(5, 33, 77, 78)를 들 수 있다. 또한, 안전장치 기기(206)는, 조속기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고,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한 전자 거버너(직동 로프 캐치)로 하여도 좋다.As the safety device apparatus 206, the emergency stop device (direct acting emergency stop) 5, 33, 77, 78 shown in Embodiment 1-16 is mentioned, for example. The safety device 206 may be provided at or near the governor, and may be an electronic governor (direct rope catch) including an actuator portion that grips the governor rope 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제1 및 제2 CPU(201, 202)에는, 양자간의 데이터 수수(授受)를 행하기 위한 2 포트 RAM(209)이 접속되어 있다. 제1 CPU(201)에는, 제1 와치도그 타이머(210)가 접속되어 있다. 제2 CPU(202)에는, 제2 와치도그 타이머(211)가 접속되어 있다.Two-port RAM 209 for carrying data between them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PUs 201 and 202. The first watchdog time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PU 201. The second watch dog timer 2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PU 202.

제1 CPU(201)에는, 제1 및 제2 엔코더(encoder)(212, 21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2 CPU(202)에도, 제1 및 제2 엔코더(212, 21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엔코더(212, 213)로부터의 신호는, CPU(201, 202)에서 연산처리되고,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도 1)의 속도 및 위치가 구해진다. 즉, 엔코더(212, 213)는, 속도 센서겸 위치 센서로서 기능한다.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212 and 213 are input to the first CPU 201. The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212 and 213 are also input to the second CPU 202. The signals from the encoders 212 and 213 are computed by the CPUs 201 and 202, whereby the speed and position of the car 3 (Fig. 1) are obtained. In other words, the encoders 212 and 213 function as speed sensors and position sensors.

엔코더(212, 213)는,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조속기 등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CPU(201, 202)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도 입력된다.The encoders 212 and 213 ar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governor shown in the said embodiment. In addition, a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s, signals from the various sensors used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apparatus are also input to the CPUs 201 and 202.

제1 CPU(201)에는, 제1 클럭(214)으로부터의 제1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제2 CPU(202)는, 제2 클럭(215)으로부터의 제2 클럭 신호가 입력된다.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같게 설정되어 있다.The first clock signal from the first clock 214 is input to the first CPU 201. The second CPU 202 is input with a second clock signal from the second clock 215.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re set equal to each other.

제1 및 제2 클럭 신호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에도 입력된다.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는,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여, 펄스 수의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을 검출한다.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re also input to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nd detects abnormal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from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ulses.

제1 및 제2 CPU(201. 202)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무결성(無缺性)을 체크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test mode) 신호(217, 218)를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송신한다. 또한, 제1 및 제2 CPU(201, 202)는, 클럭 이상 검출을 개시하기 위한 검출개시 지령 신호(219, 220)를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송신한다.The first and second CPUs 201 and 202 may include test mode signals 217 and 218 for checking the integrity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Send to The first and second CPUs 201 and 202 also transmit detection start command signals 219 and 220 to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for starting clock abnormality detection.

또한,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는, 클럭 이상을 검출할 때에 에러(error) 신호(221, 222)를 제1 및 제2 CPU(201, 202)에 입력한다.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also inputs error signals 221 and 222 to the first and second CPUs 201 and 202 when detecting a clock abnormality.

도 32는 도 31의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에는, 제1 클럭 신호의 펄스 엣지를 카운트하는 제1 감시 카운터(231) 및 제1 피감시 카운터(232)와, 제2 클럭 신호의 펄스 엣지를 카운트하는 제2 감시 카운터(233) 및 제2 피감시 카운터(234)가 설치되어 있다.3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of FIG.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includes a first monitoring counter 231 and a first monitored counter 232 that count pulse edges of a first clock signal, and a second monitoring counter that counts pulse edges of a second clock signal. The counter 233 and the second monitored counter 234 are provided.

제1 클럭 신호는, 제1 셀렉터(selector)(235)를 통하여 제1 피감시 카운터(232)로 입력된다. 제1 셀렉터(235)에서는, 통상 회로와 테스트 회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회로에서는, 제1 클럭 신호가 그대로 제1 피감시 카운터(232)로 입력된다. 테스트 회로에서는, 제1 클럭 신호가 제1 체배(遞倍;점차 배가 되어 증가함)회로(236)로 체배된 후, 제1 피감시 카운터(232)로 입력된다. 테스트 회로로의 전환은, 제1 CPU(201)로부터의 테스트 모드 신호(217)가 제1 셀렉터(235)로 입력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The first clock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monitored counter 232 through a first selector 235. In the first selector 235, the normal circuit and the test circuit can be switched. In the normal circuit, the first clock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monitored counter 232 as it is. In the test circuit, the first clock signal is multiplied by the first multiplying circuit 236 and then input to the first monitored counter 232. Switching to the test circuit is performed by inputting the test mode signal 217 from the first CPU 201 to the first selector 235.

마찬가지로, 제2 클럭 신호는, 제2 셀렉터(237)를 통하여 제2 피감시 카운터(234)로 입력된다. 제2 셀렉터(237)에서는, 통상 회로와 테스트 회로와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회로에서는, 제2 클럭 신호가 그대로 제2 피감시 카운터(234)에 입력된다. 테스트 회로에서는, 제2 클럭 신호가 제2 체배 회로(238)로 체배된 후, 제2 피감시 카운터(234)로 입력된다. 테스트 회로로의 전환은, 제2 CPU(202)로부터의 테스트 모드 신호(218)가 제2 셀렉터(237)로 입력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Similarly, the second clock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monitored counter 234 through the second selector 237. In the second selector 237, switching between a normal circuit and a test circuit is possible. In the normal circuit, the second clock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monitored counter 234 as it is. In the test circuit, the second clock signal is multiplied by the second multiplication circuit 238 and then input to the second monitored counter 234. Switching to the test circuit is performed by inputting the test mode signal 218 from the second CPU 202 to the second selector 237.

제1 및 제2 피감시 카운터(232, 234)로부터의 리플 캐리 아웃풋(ripple carry output) 신호, 즉 에러 신호(221, 222)는, 제1 및 제2 랫치(latch)부(239, 240)에서 랫치된다. 제1 및 제2 랫치부(239, 240)는, 제1 및 제2 CPU(201, 202)로부터의 랫치 해제신호(241, 242)를 받아 랫치 상태를 해제한다. The ripple carry output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monitored counters 232 and 234, that is, the error signals 221 and 222, are first and second latch units 239 and 240. Is latched on. The first and second latch units 239 and 240 release the latch state by receiving the latch release signals 241 and 242 from the first and second CPUs 201 and 202.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부터의 에러 신호가 CPU(201, 202)로 입력되면, CPU(201, 202)로부터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로 이상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로부터 안전장치 기기(206)로 작동신호가 출력되어, 안전장치 기기(206)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안전상태로 이행된다.When the error signal from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is input to the CPUs 201 and 202,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CPUs 201 and 202 to the output interfaces 204 and 205. Then, an oper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interfaces 204 and 205 to the safety device 206, and the safety device 206 transfers the elevator to the safe state.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를 구하기 위한 프로그램(program), 및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은, CPU(201, 202)에 접속된 기억부인 ROM(도시 생략)에 격납되어 있다. 실시 형태 17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도 31에 나타낸 CPU(201, 202)나 ROM을 가진 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The program for obtain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3, the program for determining the abnormality of the elevator, and the like are stored in a ROM (not shown) which is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CPUs 201 and 202. hav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of the seventeenth embodiment includes a computer (microcomputer) having CPUs 201 and 202 and a ROM shown in FIG.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코더(212, 213)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는, CPU(201, 202)에 입력된다. 그리고, CPU(201, 202)의 각각에 의해, 펄스 신호가 연산처리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가 구해진다. 구해진 위치 및 속도는, 2 포트 RAM(209)을 통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설정값(기준값)과 비교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pulse signals output from the encoders 212 and 213 are input to the CPUs 201 and 202. Each of the CPUs 201 and 202 calculates and processes a pulse signal, and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3 are obtained. The obtained position and speed are compared with a set value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an abnormality by comparing with each other via the two-port RAM 209.

그리고, 과속도나 위치 이상 등의 이상이 검출되면, 출력 인터페이스(204, 205)를 통하여 안전장치 기기(206)가 구동·제어되어, 엘리베이터가 안전상태로 이행된다. 안전상태로의 이행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을 급정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안전상태로의 이행 후, 필요에 따라 제어기기(203)도 제어된다.When an abnormality such as an overspeed or a positional abnormality is detected, the safety device 206 is driven and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interfaces 204 and 205, and the elevator enters the safe state. The transition to the safe state is to suddenly stop the car 3, for example. After the transition to the safe state, the controller 203 is also controlled as necessary.

또한, CPU(201, 202)의 연산결과가 서로 다르게 되면, CPU(201, 202)중 어느 한쪽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어, 역시 엘리베이터가 안전상태로 이행된다.When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CPUs 201 and 20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determined that either of the CPUs 201 and 202 has an abnormality, and the elevator also enters a safe state.

또한, 구해진 위치 및 속도에 이상이 없으면, 엘리베이터 장치를 운전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제어기기(203)로 출력된다.In addition,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obtained position and speed,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elevator apparatus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controller 203.

CPU(201, 202)에서는, 일정 시간 내에 입력되는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구하는 연산이 실행된다. 그리고, 그 「일정시간」을 담당하는 타이머는, 클럭(214, 215)으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의해 생성되고 있다. 따라서,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매우 중요하다.In the CPUs 201 and 202, calculations for the car speed are executed by counting pulse signal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timer responsible for the "constant time" is generated by the clock signals from the clocks 214 and 215. Therefore, the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is very important.

특히, 주파수가 높게 되는 이상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과속도를 감시하는 데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10ms 마다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하등(下等)의 고장에 의해 클럭 신호의 주기가 반으로 나눠지면, 실제로는 5ms 마다 카운트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이 경우, CPU(201, 202)로 구해진 엘리베이터 속도는, 실제의 엘리베이터 속도의 반으로 오인식되어 버리고, 과속도가 검출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In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monitoring the over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about the abnormality which becomes high frequency.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ulse signal is counted every 10 ms, and if the cycle of the clock signal is divided in half due to a failure, it is actually counted every 5 ms. In this case, the elevator speed determined by the CPUs 201 and 202 is misrecognized at half of the actual elevator speed, and the overspeed cannot be detected.

이것에 대하여, 실시 형태 17에서는, 제1 및 제2 클럭(214, 215)으로부터의 클럭 신호가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입력되어, 클럭 신호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감시되고 있다.In contrast, in the seventeenth embodiment, clock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clocks 214 and 215 are input to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and monitored for abnormalities in the clock signal.

다음으로, 클럭 이상 감시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원 리셋 시에는, 각 디바이스(device)가 안정한 다음, 카운터(231 ~ 234)에 의해 클럭 펄스의 카운트가 바로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에러 신호(221, 222)가 랫치되지만, CPU(201, 202)에서는, 처음에는 이 에러 신호(221, 222)가 무시된다.Next, the details of the clock abnormality monitor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t the time of power supply reset, after each device is stabilized, the count of clock pulses is immediately started by the counters 231 to 234. As a result, the error signals 221 and 222 are latched, but in the CPUs 201 and 202, the error signals 221 and 222 are initially ignored.

이 후, 검출 개시 지령신호(219, 220)로 하이(high) 신호가 부여되어, 다음으로 랫치 해제신호(241, 242)가 CPU(201, 202)로부터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보내진다.Thereafter, a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detection start command signals 219 and 220, and the latch release signals 241 and 242 are then sent from the CPU 201 and 202 to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

검출개시 지령 신호(219, 220)가 하이(high)로 됨으로 최초의 감시 카운터(231, 233)로부터의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로, 각 카운터(231 ~ 234)의 프리셋 데이터(preset data) 값이 각 카운터(231 ~ 234)로 로드(load)되어, 카운트 업이 개시된다. 프리셋 데이터 값은, 카운터(231 ~ 234)에서 카운트를 개시할 때의 카운트 값이다.Since the detection start command signals 219 and 220 are high, they are ripple carry output signals from the first monitoring counters 231 and 233, and the preset data values of the respective counters 231 to 234 are each. It is loaded into the counters 231 to 234 to start counting up. The preset data value is a count value at the start of counting in the counters 231 to 234.

피감시 카운터(232, 234)의 프리셋 데이터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0이 미리 설정된다. 또한, 감시 카운터(231, 233)의 프리셋 데이터 값으로서는, 클럭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문턱값이 미리 설정된다. 감시 카운터(231, 233)의 프리셋 데이터 값은, 피감시 카운터(232, 234)의 프리셋 데이터 값보다도 큰 수치, 여기서는 4가 설정된다.As preset data values of the monitored counters 232 and 234, for example, 0 is set in advance. In addition, as preset data values of the monitoring counters 231 and 233, a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a clock abnormality is set in advance. The preset data value of the monitoring counters 231 and 233 is set to a value greater than the preset data value of the monitored counters 232 and 234, where 4 is set.

감시 카운터(231, 233)는, 피감시 카운터(232, 234)보다도 짧은 범위에서 펄스 수를 반복하여 카운트하고, 캐리 오버(carry over) 할 때에 피감시 카운터(232, 234)를 리셋한다. 피감시 카운터(232, 234)도 펄스 수를 반복하여 카운트하도록 하는 것이나, 정상시에는, 피감시 카운터(232, 234)가 캐리 오버 하기 전에 감시 카운터(231, 233)가 캐리 오버하여 피감시 카운터(232, 234)가 리셋된다.The monitoring counters 231 and 233 repeatedly count the number of pulses in a range shorter than the monitored counters 232 and 234, and reset the monitored counters 232 and 234 when carrying over. The monitored counters 232 and 234 also repeatedly count the number of pulses. In normal operation, the monitored counters 231 and 233 carry over before the monitored counters 232 and 234 carry over, and the monitored counters are carried over. (232, 234) are reset.

이와 같은 프리셋 데이터 값은,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를 예를 들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임의로 설정가능하다.Such preset data values can be arbitrarily set by configuring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with, for example,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2개의 클럭(214, 215)이 정상인 때는, 피감시 카운터(232, 234)가 캐리 오버 하여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 즉 에러 신호(221, 222)를 출력하는것 보다도 4정도 작은 카운터 값으로, 감시 카운터(231, 233)의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에 의해 리셋되기 때문에, 에러 신호(221, 222)는 출력되지 않는다.When the two clocks 214 and 215 are normal, the watch counter is 4 smaller than the watch counters 232 and 234 carry over to output the ripple carry output signal, that is, the error signals 221 and 222. Since the reset signal is reset by the ripple carry output signal of 231 and 233, the error signals 221 and 222 are not output.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제1 클럭(214)의 주파수가 높게 되는 이상이 일어난 경우, 제2 감시 카운터(233)의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가 제1 피감시 카운터(232)를 리셋하기 전에, 제1 피감시 카운터(232)의 리플 캐리 아웃풋 신호, 즉 에러 신호(221)가 출력되어, 랫치부(239)에 의해 에러 신호(221)가 래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normality which the frequency of the 1st clock 214 becomes high, for example, before the ripple carry output signal of the 2nd monitoring counter 233 resets the 1st monitored counter 232, The ripple carry output signal of one monitored counter 232, that is, the error signal 221 is output, and the latch signal 239 latches the error signal 221.

또한, 제2 클럭(215)의 주파수가 높게 되는 이상이 일어난 경우는, 마찬가지로 제2 피감시 카운터(234)로부터 에러 신호(222)가 출력되고, 랫치부(240)에 의해 에러 신호(222)가 랫치된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econd clock 215 becomes high, the error signal 222 is similarly output from the second monitored counter 234, and the latch unit 240 causes the error signal 222. Is latched.

더욱이, 클럭(214, 215)이 정지한 경우에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도 검출가능하지만, 워치도그 타이머(210, 211)가 효과적이고 강제적으로 리셋하기 때문에, 위험상태로 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more, when the clocks 214 and 215 are stopped,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can also detect it, but the watchdog timers 210 and 211 are effectively and forcibly reset.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클럭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전용 클럭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이중계의 CPU(201, 202)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클럭(214, 215)을 그대로 사용하여 클럭 이상을 검출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하드웨어 자원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dedicated clock for detecting a clock abnormality, and the clock abnormality is detected by using the clocks 214 and 215 used for the dual CPUs 201 and 202 as they are. This enables efficient use of hardware resources. Therefore, th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by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또한, 카운터(231 ~ 234)의 프리셋 데이터 값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크리티컬(critical)한 주파수의 어긋남도 검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안전장치 기기(206)를 구동·제어하기까지의 동작 지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보다 안전성 높은 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t data values of the counters 231 to 234 can be arbitrarily set, the critical frequency deviation can be detected. Thereby, the operation delay time until driving and controlling the safety device apparatus 206 can be shortened, and a safer design can be realized.

또한, 4개의 카운터(231 ~ 234)와 워치도그 타이머(210, 211)를 조합시켜서 사용하므로, 주파수가 높게 되는 이상이 클럭(214, 215)의 어느 것에 발생하는 지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ur counters 231 to 234 and the watch dog timers 210 and 211 are used in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pecify which of the clocks 214 and 215 occurs when the frequency becomes high.

다음으로,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무결성 체크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 CPU(201)로부터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로 테스트 모드 신호(217)가 송신되면, 셀렉터(235)에 의해 회로가 테스트 회로로 전환되고, 제1 클럭 신호가 제1 체배 회로(236)로 체배된다. 즉, 제1 피감시 카운터(232)에 입력된 제1 클럭 신호가 고의로 이상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가 정상으로 되면, 제1 피감시 카운터(232)로부터 에러 신호(221)가 출력되는 것으로 된다.Next, the integrity check function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test mode signal 217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PU 201 to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the circuit is switched to the test circuit by the selector 235, and the first clock signal is the first clock signal. The multiplication circuit 236 is multiplied. That is, the first clock signal input to the first monitored counter 232 intentionally becomes an abnormal state. For this reason, when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becomes normal, the error signal 221 is output from the 1st monitored counter 232.

따라서, CPU(201)에서는, 테스트 모드 신호(217)의 송신에 대하여 에러 신호(221)가 수신되는 것에 의해,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클럭(215) 측도 무결성을 체크할 수 있다.Therefore, the CPU 201 can confirm the integrity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by receiving the error signal 221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of the test mode signal 217. Similarly, the second clock 215 side can also check the integrity.

이와 같은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무결성 체크 기능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의 최종출력 핀(pin)이 정상측으로 고착하는 등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고,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By adding the integrity check function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as described above, a failure such as that the final output pin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is fixed to the normal side can be detected. The reli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도 33은 도 31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적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구동장치(권상기)(251) 및 디플렉터 쉬브(25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51)는, 구동 쉬브(251a)와, 구동 쉬브(251a)를 회전시키는 모터부(구동장치 본체)(251b)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부(251b)에는, 구동 쉬브(251a)의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Here, FIG. 33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applied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a drive device (a hoist) 251 and a deflector sheave 252 are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drive device 251 includes a drive sheave 251a and a motor portion (drive body) 251b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251a. The motor portion 251b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ic brake device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251a.

구동 쉬브(251a) 및 디플렉터 쉬브(252)에는, 주 로프(253)가 감겨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54) 및 균형추(255)는, 주 로프(25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져 있다.The main rope 253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251a and the deflector sheave 252. The car 254 and the counterweight 255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by the main rope 253.

엘리베이터 칸(254)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에 끼워 맞춰서 엘리베이터 칸(254)을 비상정지시키기 위한 기계식의 비상 정지 장치(256)가 탑재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조속기 쉬브(257)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는, 텐션 풀리(258)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57) 및 텐션 풀리(258)에는, 조속기 로프(259)가 감겨 걸려져 있다. 조속기 로프(259)의 양단부는, 비상 정지 장치(256)의 작동 레버(256a)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 쉬브(257)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주행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r 254, a mechanical emergency stop device 256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ar 254 for emergency stop of the car 254 by fitting to a guide rail (not shown). The governor sheave 257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The tension pulley 258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The governor rope 259 is wound around the governor sheave 257 and the tension pulley 258. Both ends of the governor rope 259 a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256a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56. Accordingly, the governor sheave 257 is rotated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254.

조속기 쉬브(257)에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212, 213)가 설치되어 있다. 엔코더(212, 213)로부터의 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60)로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60)의 구성은, 도 31과 마찬가지이다.The governor sheave 257 is provided with encoders 212 and 213 for outputting signals for detect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254. The signals from the encoders 212 and 213 are input to the elevator controller 260.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260 is the same as that of FIG.

승강로의 상부(조속기 쉬브(257) 또는 그 근방)에는, 조속기 로프(259)를 움 켜 쥐어 그 순환을 정지시키는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로프 캐치)(261)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261)는, 조속기 로프(259)를 파지하는 파지부(261a)와, 파지부(261a)를 구동하는 전자 액추에이터(261b)를 포함하고 있다.A governor rope gripping device (rope catch) 261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the governor sheave 257 or its vicinity) to grasp the governor rope 259 and stop its circulation. The governor rope gripping apparatus 261 includes a gripping portion 261a for gripping the governor rope 259 and an electromagnetic actuator 261b for driving the gripping portion 261a.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60)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261)로 입력되면, 전자 액추에이터(261b)의 구동력에 의해 파지부(261a)가 변위되어, 조속기 로프(259)의 이동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259)가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254)의 이동에 의해 작동 레버(256a)가 조작되어, 비상 정지 장치(256)가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254)이 급정지된다.When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elevator control device 260 is input to the governor rope gripping device 261, the gripping portion 261a is displac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61b, and the movement of the governor rope 259 is stopped. . When the governor rope 259 is stopped, the operation lever 256a is op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car 254, the emergency stop device 256 operates, and the car 254 is suddenly stopp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과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261)에 동작신호가 입력되어, 엘리베이터 칸(254)이 급정지된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when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such as an overspeed of the cage 254, is detected,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governor rope gripping apparatus 261, and the cage 254 is suddenly stopped.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60)의 클럭 이상 검출회로(216)에 의해 클럭 신호의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안전상태로 이행된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f a clock signal is detected by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216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260, an elevator enters a safe state.

안전상태로의 이행방법으로서는, 구동 쉬브(251a)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엘리베이터 칸(254)을 곧 바로 정지시키는 방법, 또는 조속기 로프 파지장치(26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54)을 급정지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이상이 검출되지 않는 측의 클럭 및 CPU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54)의 위치제어가 가능하게 되면, 구동장치(251)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254)을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킨 후에 정지시키는 방법도 있다.As a method for shifting to a safe state, a method of immediately stopping the car 254 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251a, or a method of suddenly stopping the car 254 by the governor rope gripping device 261, etc. There is this.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car 254 can be controlled by the clock and the CPU on the side where no abnormality is detected, the driving device 251 is controlled to move the car 254 to the nearest floor and then stop. There is also a way.

또한, 실시 형태 17에서는, 2개의 CPU를 사용한 이중계의 회로구성을 나타내 지만, 3개 이상의 CPU를 사용한 다중계의 회로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Embodiment 17, although the circuit system of the dual system which used two CPU is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the circuit system of the multiple system which used three or more CPU.

또한, 실시 형태 17에서는, 제어기기(203) 및 안전장치 기기(206)를 공통의 CPU에서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안전장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어기기용 제어부와 안전장치용 제어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본 발명의 클럭 이상 검출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venteenth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ler 203 and the safety device 206 are controlled by a common CPU is shown. good. In this case,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control unit and the safety unit control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ing a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based on a clock signal.

Claims (6)

엘리베이터(elevator)의 제어에 관한 연산을 이중계(二重系)로 행하는 제1 및 제2 처리부,First and second processing units that perform arithmetic on control of an elevator in a dual system; 상기 제1 처리부로 제1 클럭(clock) 신호를 보내는 제1 클럭,A first clock for sending a first clock signal to the first processor, 상기 제2 처리부로 제2 클럭 신호를 보내는 제2 클럭, 및A second clock for sending a second clock signal to the second processor, and 상기 제1 및 제 2 클럭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異常)을 검출하는 클럭 이상 검출회로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which inputs the said 1st and 2nd clock signal, and detects the abnormality of the said 1st and 2nd clock signal.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클럭 이상 검출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펄스(pulse) 수(數)를 카운트(count)하며, 펄스 수의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nd controls the elevator to detect abnormal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from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ulse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클럭 이상 검출회로는,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 중 어느 한쪽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피감시 카운터(counter)와,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 중 다른 한쪽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감시 카운터를 포함하고,A monitored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and a monitoring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clock signals; 상기 피감시 카운터로 카운트를 개시할 때의 카운트 값인 프리셋 데이터(preset data) 값은, 상기 감시 카운터로 카운트를 개시할 때의 카운트 값인 프리셋 데이터 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The preset data value, which is a count value when starting counting with the monitored counter,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reset data value, which is count value when starting counting with the monitoring counter, 상기 감시 카운터가 캐리 오버(carry over) 하면, 상기 피감시 카운터의 카운트 수가 리셋(reset)되고,When the monitoring counter carries over, the count number of the monitored counter is reset, 상기 피감시 카운터가 캐리 오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이 검출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 which the abnormality of the said 1st and 2nd clock signal is detected by carrying over of the to-be-monitored coun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클럭 이상 검출회로는,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제1 감시 카운터와,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제2 감시 카운터와,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제1 피감시 카운터와,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제2 피감시 카운터를 갖고,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includes a first monitoring counter that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first clock signal, a second monitoring counter that count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second clock signal, and a pulse number of the first clock signal. A first monitored counter for counting, and a second monitored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lses of the second clock signal; 상기 제1 피감시 카운터로 카운트를 개시할 때의 카운트 값인 프리셋 데이터 값은, 상기 제1 감시 카운터로 카운트를 개시할 때의 카운트 값인 프리셋 데이터 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The preset data value, which is a count value when starting counting with the first monitored counter, is set larger than the preset data value, which is count value when starting counting with the first monitoring counter, 상기 제1 감시 카운터가 캐리 오버 하면, 상기 제1 피감시 카운터의 카운트 수가 리셋되고,When the first monitoring counter carries over, the count number of the first monitored counter is reset, 상기 제1 피감시 카운터가 캐리 오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클럭 신호의 이상이 검출되고,When the first monitored counter carries over, an abnormality of the first clock signal is detected, 상기 제2 피감시 카운터로 카운트를 개시할 때의 카운트 값인 프리셋 데이터 값은, 상기 제2 감시 카운터로 카운트를 개시할 때의 카운트 값인 프리셋 데이터 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The preset data value, which is a count value when starting counting with the second monitored counter,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reset data value, which is count value when starting counting with the second monitoring counter, 상기 제2 감시 카운터가 캐리 오버 하면, 상기 제2 피감시 카운터의 카운트 수가 리셋되고,If the second monitoring counter carries over, the count number of the second monitored counter is reset, 상기 제2 피감시 카운터가 캐리 오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클럭 신호의 이상이 검출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 which the abnormality of the said 2nd clock signal is detected by carrying over of a said 2nd monitored count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감시 카운터의 프리셋 데이터 값은, 임의로 설정가능한 것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An elevator control device, wherein the preset data value of the monitoring counter can be arbitrarily se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테스트 모드(test mode)일 때는, 상기 피감시 카운터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 를 고의로 이상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클럭 이상 검출회로의 무결성(無缺性)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In the test mode, an elevator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the integrity of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by intentionally setting an abnormal state of a clock signal input to the monitored counter.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클럭 이상 검출회로는, 상기 테스트 모드일 때에 상기 피감시 카운터로 입력된 클럭 신호를 체배(遞倍, multiply)하는 체배 회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And the clock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includes a multiplication circuit for multiplying a clock signal input to the monitored counter in the test mode.
KR1020057025041A 2005-12-27 2004-04-27 Elevator control Expired - Fee Related KR100727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041A KR100727197B1 (en) 2005-12-27 2004-04-27 Elevator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041A KR100727197B1 (en) 2005-12-27 2004-04-27 Elevator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89A KR20060065589A (en) 2006-06-14
KR100727197B1 true KR100727197B1 (en) 2007-06-13

Family

ID=3716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0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7197B1 (en) 2005-12-27 2004-04-27 Elevator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19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553A (en) * 1994-10-24 1996-05-14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equipment
JP2002538061A (en) * 1999-03-04 2002-11-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Elevator safety system
JP2004029992A (en) * 2002-06-24 2004-01-29 Denso Corp Electronic control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553A (en) * 1994-10-24 1996-05-14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equipment
JP2002538061A (en) * 1999-03-04 2002-11-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Elevator safety system
JP2004029992A (en) * 2002-06-24 2004-01-29 Denso Corp Electronic contro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89A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886B1 (en) Elevator device, and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JP4664288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4658045B2 (en) Elevator rope slip detection device and elevator device
KR100949632B1 (en) Rope slip detection device of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JP2010254480A (en) Elevator device
CN100439226C (en) Elevator device
JP4712696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5079326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792082B1 (en) Rope slip detection device of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KR100727197B1 (en) Elevator control
KR100683987B1 (en) Elevator control
KR100681591B1 (en) Elevator device
KR100807934B1 (en) Elevator device
KR100804917B1 (en) Elevator control
KR100775182B1 (en) Elevator counterweight
KR100727198B1 (en) Elevator device
KR100745928B1 (en) Elevator counterweight
KR100878381B1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