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5337B1 -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337B1
KR100725337B1 KR1020050060163A KR20050060163A KR100725337B1 KR 100725337 B1 KR100725337 B1 KR 100725337B1 KR 1020050060163 A KR1020050060163 A KR 1020050060163A KR 20050060163 A KR20050060163 A KR 20050060163A KR 100725337 B1 KR100725337 B1 KR 10072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passenger
airbag
inflator
tong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3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쿠션을 텅과 함께 모듈화해 웨빙과의 박음질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면서 승객의 가슴과 복부부위를 이중으로 보호하여 충돌시 웨빙의 압박에 의한 부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가 차체 필라 저부 부위로 내장된 리트랙터(2)로부터 인출되어 텅(5)을 매개로 시트부위 차체 측면에 구비된 버클(3)과 결합되어, 시트에 착석한 승객(P)의 상부 신체를 구속하는 웨빙(1,1')과 ;
차체 필라 상부 부위로 내장된 ACU(Airbag Control Unit)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웨빙(1,1')을 따라 팽창되면서 웨빙(1,1')을 감싸 승객(P)과 웨빙(1,1')간의 구속력을 약화시켜주도록 상기 텅(5)과 일체로 형성된 에어백유니트(4);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Seat belt dual typed air bag device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유니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의 전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웨빙 2 : 리트랙터
3 : 버클 4 : 에어백유니트
5 : 텅 6 : 하우징
7 : 인플레이터 8,8' : 에어백쿠션
9 : ACU
P : 승객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시 관성력에 의한 시트벨트의 승객 신체 압박을 완화하면서 부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승객이 탑승해서 안락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차실 내부의 전후방으로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여 시트에 착석할 경우에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으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 시트에는 시트벨트(또는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통상적으로 차실내의 좌·우측 하단부에 고정되어 웨빙을 탄력적으로 감아 수용하는 리트렉터와, 이 리트렉터로부터 인축된 웨빙을 좌·우측 트림부에 걸어주는 앵커, 이 앵커를 통과한 웨빙에 섭동가능하게 끼워진 텅부재, 이 텅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웨빙이 탑승자 의 신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버클로 구성되어진다.
이에 따라, 시트에 착석한 승객을 상기 리트렉터로부터 신장되어 앵커를 거친 웨빙에 끼워진 텅부재를 자신의 가슴부위로 지나도록 한 다음 시트의 측부에 고정된 버클에 체결시키게 되면, 승객의 신체가 상기 웨빙에 의해 시트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시 승객의 신체부위(즉, 머리 아래의 가슴부분)로 가해지는 부상을 방지하도록 시트벨트로부터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이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에어백 쿠션은 통상적으로 시트벨트를 이루면서 승객의 신체를 구속하는 웨빙(Webbing)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감싸면서, 작동되는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통해 팽창되어 승객과 웨빙간 사이에서 강한 충격을 팽창된 에어백 쿠션으로 완화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승객의 가슴부분과 웨빙간에 작용하는 강한 압박을 완화시켜 주는 에어백 쿠션은 통상, 웨빙을 감싸면서 에어백 쿠션을 내장하는 커버를 사용하게 되고 이는, 제조상 에어백 쿠션과 이를 감싸면서 내장하는 커버가 별도로 제작된 후 이들을 웨빙에 박음질이나 융착등으로 고정하는 작업이 추가되는 불편이 있게 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과 독립적으로 제작되는 커버는 접은 상태의 쿠션과 웨빙을 서로 고정한 상태에서 감싸도록 해야 하는데, 이때 접은 쿠션과 웨빙이 서로 따로 놀기 때문에 이들을 제 위치에서 고정하는 작업이 어려운 불편이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에어백 쿠션이 통상 승객의 가슴부분만을 보호하게 되므로, 승객의 복부부분에 대한 보호가 취약하여 웨빙에 의한 복부의 강한 압박에 따른 부상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는 위험성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에어백 쿠션을 텅과 함께 모듈화 해 웨빙과의 박음질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면서 승객의 가슴과 복부부위를 이중으로 보호하여 충돌시 웨빙의 압박에 의한 부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함 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벨트 에어백 장치가 차체 필라 저부 부위로 내장된 리트랙터로부터 인출되어 텅을 매개로 시트부위 차체 측면에 구비된 버클과 결합되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상부 신체를 구속하는 웨빙과;
버클과 결합되는 텅을 구비하면서 승객의 가슴부위를 구속하는 웨빙에 일체로 이어진 허리부분 구속용 웨빙이 관통되도록 속이 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빈 공간 내부로 수용되어 ACU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점화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웨빙을 따라 부풀면서 팽창·전개되는 에어백쿠션으로 이루어진 에어백유니트;로 구성된 시트벨트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웨빙의 관통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웨빙이 지나지 않는 하우징 공간으로 위치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웨빙을 각각 감싸면서 하우징내부에서 적층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통해 독립적으로 팽창·전개될 때, 승객의 가슴부위를 충분히 덮어 줄 수 있는 전개 길이를 갖고 웨빙을 따라 팽창하는 에어백쿠션과, 승객의 허리부분을 충분히 덮어 줄 수 있는 전개 길이를 갖고 웨빙을 따라 팽창하는 에어백쿠션으로 각각 분리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와 ACU를 연결하여 점화신호를 보내는 제어선은 차체 필라 상부부위로 구비된 ACU로부터 웨빙을 따라 인플레이터쪽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는 차체 필라 저부 부위로 내장된 리트랙터(2)로부터 인출되어 텅(5)을 매개로 시트부위 차체 측면에 구비된 버클(3)과 결합되어, 시트에 착석한 승객(P)의 상부 신체를 구속하는 웨빙(1,1')과 ;
차체 필라 상부 부위로 내장된 ACU(9,Airbag Control Unit)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웨빙(1,1')을 따라 팽창되면서 웨빙(1,1')을 감싸 승객(P)과 웨빙(1,1')간의 구속력을 약화시켜주도록 상기 텅(5)과 일체로 형성된 에어백유니트(4);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유니트(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3)과 결합되는 텅(5)을 구비함과 더불어 승객(P)의 가슴부위를 구속하는 웨빙(1)과 일체로 이어진 허리부분을 구속하는 웨빙(1')이 관통되도록 속이 빈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의 빈 공간 내부로 수용되어 ACU(9)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점화되는 인플레이터(7) 및 상기 하우징(6)내를 관통하는 웨빙(1,1')을 각각 감싸면서 인플레이터(7)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웨빙(1,1')을 따라 부풀면서 팽창·전개되는 에어백쿠션(8,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쿠션(8,8')은 승객(P)의 가슴부위를 구속하는 웨빙(1)을 따라 팽창하는 에어백쿠션(8)과, 승객(P)의 허리부분을 구속하는 웨빙(1')을 따라 팽창하는 에어백쿠션(8')으로 각각 분리되고, 상기 에어백쿠션(8,8')으로는 각각 인플레이터(7)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통해 독립적으로 팽창·전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쿠션(8,8')은 에어백유니트(4)의 하우징(6)으로 관통되는 웨빙(1,1')을 감싼 형태로 상기 하우징(6)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에어백쿠션(8,8')의 전개 시 웨빙(1,1')을 따라 길게 팽창되도록 적층된 상태로 내장되는데, 이와 같이 팽창되도록 적층시키는 방법은 전개되는 부위를 팽창 방향으로 적층하여 통상적으로 구현되어진다.
또한, 상기 에어백쿠션(8,8')은 웨빙(1,1')이 승객(P)의 신체를 구속하는 길이를 충분히 덮어 줄 수 있는 전개 길이를 갖으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6)내에서 적층 된 상태로 내장되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6)내에 구비된 인플레이터(7)는 웨빙(1,1')의 관통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웨빙(1,1')이 지나지 않는 하우징(6) 공간으로 고정(접착재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거나 하우징(6)내로 안착부를 형성하여 삽입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위치된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7)를 점화시키는 ACU(9)로 연결되는 제어선은 통상적으로, 차체 필라 상부부위로 구비된 ACU(9)로부터 웨빙(1)을 따라 인플레이터(7)쪽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웨빙(1,1')의 작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인플레이터(7)로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플레이터(7)는 차량의 충돌 시 임팩트 센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측정된 충격량에 따라 각각 70%와 30% 정도의 가스를 분출시키도록 2개 부위로 구분되어진 듀얼 인플레이터로서 즉, 상기 임팩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충격량이 소정 치 보다 작을 경우 상기 듀얼 인플레이터는 70%의 가스만을 분출시키고, 측정된 충격량이 소정 치 이상일 경우 100%의 가스를 분출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충돌 시 각기 다른 양의 가스를 분출시켜 팽창되는 쿠션에 의해 탑승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착석한 승객(P)이 시트벨트를 착용 즉, 리트랙터(2)로부터 웨빙(1,1')을 인출해 텅(5)을 버클(3)에 결합해 승객(P)의 상부부위와 허리부위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빙(1,1')이 각각 구속해주는 통상적인 시트벨트기능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 텅(5)이 구비된 에어백유니트(4)는 버클(3)에 결합된 텅(5)과 함께 상기 버클(3)부위로 위치되므로, 상기 에어백유니트(4)에 의한 승객(P)의 불편이 전혀 없게 된다.
그러나, 차량 충돌이 발생하여 임펙트센서의 신호를 받은 ACU(9)가 승객(P)보호를 위해 에어백유니트(4)를 작동시켜주는 경우, 상기 ACU(9)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에어백유니트(4)의 하우징(6)내에 내장된 인플레이터(7)가 점화되면서 가스를 방출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7)로부터 방출되는 가스는 에어백쿠션(8,8')을 웨빙(1,1')을 따라 부풀면서 팽창·전개되어진다.
즉, 상기 에어백쿠션(8,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7)로부터 방출되는 가스를 공급받게 되면, 한 쪽 에어백쿠션(8)은 승객(P)의 가슴부위를 구속하는 웨빙(1)을 따라 웨빙(1)을 감싸면서 팽창하고, 다른 쪽 에어백쿠션(8')은 승객(P)의 허리부분을 구속하는 웨빙(1')을 따라 웨빙(1)을 감싸면서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팽창·전개되는 에어백쿠션(8,8')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P)의 가슴부위와 허리부위로 위치된 웨빙(1,1')을 따라 팽창되므로, 상기 웨빙(1,1')과 승객(P)사이로 에어백쿠션(8,8')이 접촉되어 충돌에 따른 관성력 에 의해 이동되는 승객(P)에 가해지는 웨빙(1,1')의 압박감이 제거 즉, 상기 에어백쿠션(8,8')을 통해 완화·흡수되어 충격으로부터 승객(P)의 가슴부위와 허리 부위를 모두 보호해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 시 승객 관성에 따른 시트벨트에 의한 강한 압박감이 에어백쿠션을 통해 흡수·완화됨과 더불어 시트벨트가 위치되는 승객의 가슴부위와 허리부위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어 안정성을 더욱 향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벨트에 의한 압박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도록 시트벨트를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이 텅 부위에 모듈화 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에어백 쿠션을 시트벨트 상으로 박음질이나 융착등으로 고정하는 작업이 없는 편리성이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차체 필라 저부 부위로 내장된 리트랙터(2)로부터 인출되어 텅(5)을 매개로 시트부위 차체 측면에 구비된 버클(3)과 결합되어, 시트에 착석한 승객(P)의 상부 신체를 구속하는 웨빙(1,1')과 ;
    버클(3)과 결합되는 텅(5)을 구비하면서 승객(P)의 가슴부위를 구속하는 웨빙(1)에 일체로 이어진 허리부분 구속용 웨빙(1')이 관통되도록 속이 빈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의 빈 공간 내부로 수용되어 ACU(9)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점화되는 인플레이터(7) 및 상기 인플레이터(7)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웨빙(1,1')을 따라 부풀면서 팽창·전개되는 에어백쿠션(8,8')으로 이루어진 에어백유니트(4);로 구성된 시트벨트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7)는 웨빙(1,1')의 관통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웨빙(1,1')이 지나지 않는 하우징(6) 공간으로 위치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쿠션(8,8')은 웨빙(1,1')을 각각 감싸면서 하우징(6)내부에서 적층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7)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통해 독립적으로 팽창·전개될 때, 승객(P)의 가슴부위를 충분히 덮어 줄 수 있는 전개 길이를 갖고 웨빙(1)을 따라 팽창하는 에어백쿠션(8)과, 승객(P)의 허리부분을 충분히 덮어 줄 수 있는 전개 길이를 갖고 웨빙(1')을 따라 팽창하는 에어백쿠션(8')으로 각각 분리되며,
    상기 인플레이터(7)와 ACU(9)를 연결하여 점화신호를 보내는 제어선은 차체 필라 상부부위로 구비된 ACU(9)로부터 웨빙(1)을 따라 인플레이터(7)쪽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시트벨트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060163A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2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163A KR100725337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163A KR100725337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337B1 true KR100725337B1 (ko) 2007-12-11

Family

ID=3913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1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5337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7872A (zh) * 2020-10-16 2021-01-29 潘占国 一种具有增大安全带受力辅助连接装置
KR20220000128A (ko) * 2020-06-25 2022-0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용 에어백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192A (ja) * 1995-10-26 1997-05-06 Takata Kk 車両乗員の保護装置
US5924726A (en) 1997-05-23 1999-07-20 Tina Chen Fasten-o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JP2004058698A (ja) 2002-07-24 2004-02-26 Autoliv Japan Ltd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192A (ja) * 1995-10-26 1997-05-06 Takata Kk 車両乗員の保護装置
US5924726A (en) 1997-05-23 1999-07-20 Tina Chen Fasten-o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JP2004058698A (ja) 2002-07-24 2004-02-26 Autoliv Japan Ltd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28A (ko) * 2020-06-25 2022-0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용 에어백장치
KR102685539B1 (ko) 2020-06-25 2024-07-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용 에어백장치
CN112277872A (zh) * 2020-10-16 2021-01-29 潘占国 一种具有增大安全带受力辅助连接装置
CN112277872B (zh) * 2020-10-16 2022-02-18 金康 一种具有增大安全带受力辅助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641B2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US11498512B2 (en)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JP5582292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101241157B1 (ko) 내장 에어백 장치
JP5120999B2 (ja) 車両用選択的展開エアバッグ装置
US5375908A (en) Integral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538219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5390952A (en) Integral inflatable occupant restraint system
KR100571888B1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KR20170131129A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US20090179406A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CN112339698B (zh) 安全气囊装置
JP2009154812A (ja) 乗員保護装置
CN102649415B (zh) 乘员保护装置
US11498509B2 (en) Roof mounted passenger airbag
JP4161482B2 (ja) 乗員保護装置
KR102685539B1 (ko) 시트벨트용 에어백장치
JP2014196014A (ja) 側面衝突用乗員保護装置
CN113459987A (zh) 一种安全气囊装置
KR20120019622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725337B1 (ko) 차량용 시트벨트 이중 에어백 장치
JP2008143273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CN111688624A (zh) 气囊装置
JP7327375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0025546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