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4226B1 -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회로 기판, 실장구조체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회로 기판, 실장구조체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226B1
KR100724226B1 KR1020060007335A KR20060007335A KR100724226B1 KR 100724226 B1 KR100724226 B1 KR 100724226B1 KR 1020060007335 A KR1020060007335 A KR 1020060007335A KR 20060007335 A KR20060007335 A KR 20060007335A KR 100724226 B1 KR100724226 B1 KR 10072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ing
base material
electro
termi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602A (ko
Inventor
가즈유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2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5Rockets;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10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 A63H29/16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by steam or compressed 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0Toys with parachutes; Toy parachu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05K1/112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directly combined with via connections
    • H05K1/113Via provided in pad; Pad over filled via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6Cell terminal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88Other aspects of conductors
    • H05K2201/0394Conductor crossing over a hole in the substrate or a gap between two separate substrate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27Layout details of a plurality of traces, e.g. escape layout for Ball Grid Array [BGA] mou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5Conductive through-holes or vias
    • H05K2201/09509Blind vias, i.e. vias having one side clos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74Flip ch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에 우수한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실장 구조체 및 해당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액정 장치(1)의 제조 공정 시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 근방의 회로 기판(3)이 휘는 경우가 있지만,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에 단자(24)가 마련되고, 단자(24)에 접속된 배선(27∼30)이 각각 제 1 면(20a)쪽에 마련되고, 단자(24)에 대응하여 가요성 기재(20)에 형성된 구멍부(23)를 거쳐서 단자(24)에 접속된 배선(31∼34)이 각각 제 1 면(20a)의 반대쪽의 제 2 면(20b)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회로 기판(3)을 검사할 때에, 전자 부품 근방의 회로 기판(3)이 휘어, 회로 기판(3)의 곡률 중심측과는 반대쪽의 배선(27∼30)이 파단되더라도, 곡률 중심측의 배선(31∼34)이 단자(24)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배선의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회로 기판, 실장 구조체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AL DEVICE, SUBSTRATE FOR ELECTRO-OPTICAL DEVICE, CIRCUIT BOARD,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액정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로 기판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액정 장치의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부분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
도 5는 실시예 1의 액정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기판에 구멍부를 형성하는 공정(S3)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기판의 단면도,
도 7은 단자 및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S4)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기판의 단면도,
도 8은 도금을 하는 공정(S5)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기판의 단면도,
도 9는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S6)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기판의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1의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회로 기판의 평면도,
도 11은 실시예 1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이 휘었을 때의 개관 사시도,
도 12는 실시예 1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이 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3은 실시예 2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
도 14는 실시예 2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이 휘었을 때의 개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 1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
도 16은 변형예 2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
도 17은 변형예 3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계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장치 2 : 액정 패널
3 : 회로 기판 11 : 드라이버 IC
20 : 가요성 기재 20a : 제 1 면
20b : 제 2 면 21 : 도전부
22 : 반도체 소자 23 : 구멍부
24(24a, 24b) : 단자 27∼34 : 배선
33, 34 : 절연막 300 : 전자 기기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 및 이들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전기 광학 장치, 실장 구조체,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의 표시 장치로서 액정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 액정 장치는, 예컨대 2장의 대향하는 기판의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액정 패널을 구비하고 있고, 한쪽 기판에는 예컨대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가요성 기판이 접속되어 있다.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에는 반도체 칩에 접속되는 배선이 부설되어 있다. 예컨대 가요성 기판이 구부러져 이용되는 경우에는, 구부러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가요성 기판이 구부러지는 부분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만큼 가요성 기판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요성 기판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가요성 기판을 구부러지기 쉽게 하는 동시에 슬릿을 형성하지 않고 그 만큼 소형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84751호 공보(단락 [0022], 도 1).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예컨대 가요성 기판이 구부러지는 경우가 있고, 가요성 기판에 마련된 배선도 마찬가지로 구부러져버려, 구부러진 부분의 특히 전자 부품 근방에서 배선의 단선이 발생하여,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 품과 배선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컨대 검사 공정 등에서 의도하지 않은 굽힘 응력이 가요성 기판에 걸리고, 그 결과로서 기판의 한쪽 면 위에 마련된 배선에 장력이 작용하여, 특히 전자 부품 근방의 배선이 절단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자 부품 근방의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에 우수한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실장 구조체 및 해당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주요 관점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가요성 기재에 마련된 복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통 단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통도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는 평면적으로 겹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 기 도통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관점에 따른 다른 전기 광학 장치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가요성 기재에 마련된 복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땜납 볼을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땜납 볼과 상기 복수의 단자는 평면적으로 겹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땜납 볼 및 상기 복수의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검사 공정 등에서 의도하지 않은 굽힘 응력이 전자 부품 근방의 가요성 기재에 걸리는 경우에, 예컨대 가요성 기재의 곡률 중심측과는 반대쪽의 전자 부품 근방의 제 1 배선에 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더라도, 곡률 중심측의 제 2 배선이 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의 단자와 반대면쪽의 제 2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가요성 기재 상에서 단자와는 별도의 장소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단자가 격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상기 격자 형상의 코너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자가 격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격자 형상의 코너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가요성 기재를 검사할 때에 가요성 기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요성 기재의 코너부가 휘어지고, 격자 형상의 코너에 마련된 단자에 접속된 제 1 배선 또는 제 2 배선에 장력이 작용하여 파단되었다고 해도 어느 하나의 배선에 의해 도통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큰 힘이 작용하기 쉽고, 그 결과 파단이 발생하기 쉽던 격자 형상의 코너의 단자에 접속된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접속 부재를 통해 모든 상기 복수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 2 배선은, 접속 부재를 통해 모든 복수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성 기재의 휘어짐에 의해 파단이 발생되기 쉬운 격자 형상의 코너의 단자에 접속된 배선의 파단 방지에 더하여, 코너의 단자와는 다른 단자에 관해서도 제 1 배선 또는 제 2 배선의 파단을 방지하여,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부터의 상기 제 1 배선의 인출 방향과 해당 단자에 상기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제 2 배선의 인출 방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부터의 제 1 배선의 인출 방향과, 단자에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된 제 2 배선의 인출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예컨대 검사 공정 등에서 가요성 기재가 휘어지더라도 제 1 배선과 제 2 배선에 다른 장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어, 예컨대 제 2 배선의 파단을 방지하여,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부터의 상기 제 1 배선의 인출 방향과, 해당 단자에 상기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제 2 배선의 인출 방향이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부터의 제 1 배선의 인출 방향과, 해당 단자에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된 제 2 배선의 인출 방향이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검사 공정 등에서 가요성 기재가 휘어져버리는 경우에, 제 1 배선과 제 2 배선이 다른 방향이기는 하지만 대략 같은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있는 경우 등에 비해 확실히 제 1 배선에 작용하는 장력과 제 2 배선에 작용하는 장력이 다르게 할 수 있어, 예컨대 제 2 배선의 파단을 방지하여,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제 1 배선과, 해당 단자에 상기 접속부를 거쳐서 접속된 상기 제 2 배선은,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도중에서 다른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접속된 제 1 배선과, 해당 단자에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된 제 2 배선은 동일 방향에서 인출되어 도중에서 다른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을 동일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에 의해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의 길이를 최단으로 함과 동시에, 가요성 기재가 구부러지기 쉬운 부분에서는 제 1 배선과 제 2 배선을 다른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에 의해 구부러지기 쉬운 가요성 기재의 장소에 따라 제 1 배선에 작용하는 힘보다 제 2 배 선에 작용하는 힘을 작게함으로써 제 2 배선의 파단을 방지하여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은,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의 도통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으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이며 또한 상기 도통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회로 기판은,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의 도통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한 회로 기판으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이며 또한 상기 도통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자 근방의 가요성 기재가 구부러지는 경우에, 예컨대 가요 성 기재의 곡률 중심측과는 반대쪽 단자 근방의 제 1 배선이 파단되더라도, 곡률 중심측의 제 2 배선이 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단자의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의 단자와 반대면쪽의 제 2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가요성 기재 상에서 단자와는 별도의 장소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실장 구조체는,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실장 구조체로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가요성 기재에 마련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통 단자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도통 단자와 상기 단자는 평면적으로 겹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도통 단자 및 상기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전자 부품 근방의 가요성 기재가 구부러지는 경우에, 예컨대 가요성 기재의 곡률 중심측과는 반대쪽의 전자 부품 근방의 제 1 배선이 파단되더라도, 곡률 중심측의 제 2 배선이 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단자의 접속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의 단자와 반대면쪽의 제 2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가요성 기재 상에서 단자와는 별도의 장소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에 우수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성능에 우수한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액정 장치, 구체적으로는 반사반투과형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장치, 또한, 그 액정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서의 축척이나 수 등이 다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액정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로 기판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에 실장된 반도체 소자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액정 장치의 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부분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회로 기판은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으로서 액정 장치에 접속된다.
이하, 액정 장치(1)로서 TFT(Thin Film Transistor) 액티브 매트릭스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액정 장치의 구성)
액정 장치(1)는, 액정 패널(2)과, 액정 패널(2)에 접속된 회로 기판(3)을 구비하고 있다. 또, 액정 장치(1)는, 액정 패널(2)을 지지하는 도시를 생략한 프레임 등의 기타 부대 기구가 필요에 따라서 부설되어 있다.
액정 패널(2)은, 기판(4)과, 기판(4)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기판(5)과, 기판(4, 5) 사이에 마련된 밀봉재(6) 및 기판(4, 5)에 의해 밀봉된 도시하지 않은 액정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에는, 예컨대 TN(Twisted Nematic)이 이용되고 있다.
기판(4) 및 기판(5)은, 예컨대 유리나 합성 수지라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 부재이다. 기판(4)의 내측(액정측)에는, 게이트 전극(7), 소스 전극(8),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T) 및 화소 전극(9)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5)의 내면(액정)쪽에는, 공통 전극(5a)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7)은 X 방향으로, 소스 전극(8)은 Y 방향으로, 각각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8)은,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반부가 좌측에, 하반부가 우측에 라우팅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게이트 전극(7) 및 소스 전극(8)의 개수는, 액정 장치(1)의 해상도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T)는, 게이트 전극(7), 소스 전극(8) 및 화소 전극(9)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3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T)는 화소 전극(9), 게이트 전극(7), 소스 전극(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전극(7)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소스 전극(8)으로부터 화소 전 극(9)에 또는 그 반대로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4)은, 기판(5)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영역(이하, 「돌출부」라고 표기함)(4a)을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4a)의 면 상에는,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IC(11, 12, 13)가 실장되어 있다. 드라이버 IC(11, 12, 13)의 도시하지 않은 범프에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용 단자로부터 각각 배선(14, 15, 16)이 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배선(14)은 게이트 전극(7), 배선(15, 16)은 소스 전극(8)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버 IC(11, 12, 13)의 입력측의 접속용 단자(도시 생략함)로부터 배선(17, 18, 19)이 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회로 기판(3)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4a)에 예컨대 접착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면(20a)과 제 1 면(20a)과는 반대쪽의 제 2 면(20b)을 갖는 가요성 기재(20)와,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 등에 마련된 후술하는 배선(27) 등을 포함하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전부(21)를 구비하고 있다.
가요성 기재(20)에는, 드라이버 IC(11)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부품으로서의 반도체 소자(22)나 도시를 생략한 전원 공급용의 반도체 소자 등이 실장되어 있다. 가요성 기재(20)에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면(20a)쪽에서 제 2 면(20b)쪽으로 통하는 구멍부(23)가 예컨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전부(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에 격자 형상으로 마련된 후술하는 단자(24)와, 도 1에 나타내는 후술하는 배선(25, 26)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2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면(20a)쪽에 마련된 도 1에 나타내는 배선(27∼34)과, 단자(24)와 배선(27∼34)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35)와, 배선(27∼30)에 대응하여 제 2 면(20b)쪽에 마련된 배선(31∼34)을 구비하고 있다. 배선(25, 26)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CF 등을 거쳐서 한쪽 단부가 배선(18, 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쪽 단부가 예컨대 도시를 생략한 외부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2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에서 구멍부(23)를 막도록 격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격자 형상의 단자(24)는, 격자 형상의 외주측에 예컨대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된 단자(24b)와, 외주측의 단자(24b)의 내측에 마련된 단자(24a)를 구비하고 있다. 이웃이 되는 단자(24)의 간격은 예컨대 0.5㎜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단자(24)의 바로 아래, 즉 평면적으로 겹치는 위치에 가요성 기재(20)의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24)의 평면 형상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멍부(23)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구멍부(23)의 구멍내 및 후술하는 접속부(32c) 등에 겹치도록 후술하는 접속 부재(35)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24)는 이 접속 부재(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24)의 직경 d1은 가요성 기재(20)의 구멍부(23)를 완전히 피복할 수 있도록 구멍부(23)의 직경 d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24)는, 반도체 소자(22)의 저면에 단자(24)에 대응하여 격자 형상으로 마련된 도통 단자인 땜납 볼(10)에 예컨대 열 압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요성 기재(20)에 반도체 소자(22)가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구멍부(23)는, 단자(24) 및 도통 단자인 땜납 볼(10)과 평면적으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반도체 소자(22)의 도통 단자로서는 땜납 볼 이외에 예컨대 금 범프나 알루미늄 범프 등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여기서, 격자 형상이란, 복수의 단자(24)를 연결하는 가상 직선 또는 대략 직선에 가까운 곡선이 교차하는 형태가 격자 형상인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 가상 직선 또는 대략 직선에 가까운 곡선의 교점에 복수의 단자(24)가 존재하게 된다.
배선(25, 26)은,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 2 면(20b)쪽에 마련되어 있다. 배선(25, 26)의 일 단부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ACF 등을 거쳐서 배선(18, 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25, 26)의 다른쪽 단부는 도시를 생략한 외장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27∼30)은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에 마련되어 있다. 배선(27, 28)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예컨대 6열 마련되어 있고, 배선(29, 30)은 X 방향으로 예컨대 2행 마련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27)의 일단부, 배선(28∼30)의 일단부는, 격자 형상으로 마련된 단자(2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27)의 다른쪽 단부는, 예컨대 구멍부(23)와 동일한 구조의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제 2 면(20b)쪽에 마련된 도 1에 나타내는 후술하는 배선(31)에 이 구멍부 내에 마련된 도시를 생략한 접속 부재를 통해 전기 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배선(31)은 ACF 등을 거쳐서 배선(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28∼30)의 다른쪽 단부는 도시를 생략한 외부 장치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24a)에 접속 부재(35)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27a, 28a) 등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X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일단 인출되고, 다시 외주측 단자(24b)의 외측에 X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배선(31∼34)은, 예컨대 도 1,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기재(20)의 제 2 면(20b)쪽에 각각 배선(27∼30)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선(31, 32)은, 도 1,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27, 28)에 대응하여 Y 방향으로 예컨대 6열 마련되어 있고, 배선(33, 34)은 배선(29, 30)에 대응하여 X 방향으로 예컨대 2행 마련되어 있다.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31∼34)의 일단부에 마련된 접속부(31c, 32c, 33c, 34c)는, 단자(24)에 각각 대응하여 단자(24)의 바로 아래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31c, 32c, 33c, 34c)는, 각각 도 2에 나타내는 접속 부재(35)를 거쳐서 단자(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32)의 접속부(32c), 배선(33)의 접속부(33c), 배선(34)의 접속부(34c) 등은 각각 다른 접속 부재(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31∼34)의 다른쪽 단부는 반도체 소자(22)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예컨대 배선(31)의 다른쪽 단부는 배선(27)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ACF 등을 거쳐서 배선(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24a)에 접속 부재(35)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31a, 32a)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X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일단 인출되고, 다시 외주측 단자(24b)의 외측에 X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접속 부재(3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 방향으로 제 1 면(20a)에서 제 2 면(20b)에 걸쳐 단자(24)의 바로 아래에 가요성 기재(20)의 구멍부(23) 내에 예컨대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접속 부재(35)는 구멍부(23) 내 및 배선(31∼34)의 접속부(31c, 32c, 33c, 34c) 위 등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 부재(35)는 예컨대 구멍부(23)의 내주면을 대략 피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접속 부재(35)의 일 단부는 단자(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는 배선(31∼34)의 접속부(31c, 32c, 33c, 34c)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부재(35)의 구성재료에는, 예컨대 동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면(20a)쪽의 단자(24)와 제 2 면측의 배선(31∼34)이, 각각 접속 부재(35)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단자(24)를 노출시키는 개구(36)가 형성된 레지스트제의 절연막(37)에 의해 덮여 있다.
가요성 기재(20)의 제 2 면(20b)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전면이 예컨대 배선(31∼34) 및 접속 부재(35)를 피복하는 폴리이미드제 등의 절연막(38)에 의해 덮여 있다. 또, 도 3 및 도 4에서는, 절연막(3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에, 액정 장치(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1의 액정 장치(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가요성 기재(20)에 구멍부(23)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기판(3)의 단면도, 도 7은 단자(24)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기판(3)의 단면도, 도 8은 도금을 행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기판(3)의 단면도, 도 9는 절연막(37, 38)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기판(3)의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2)의 제조 공정(S1)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고, 회로 기판(3)측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 제 2 면(20b)쪽에 각각 제 1 도전층(39), 제 2 도전층(40)을 형성한다(S2). 다음에, 예컨대 제 2 면(20b)쪽에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제 2 도전층(40) 및 가요성 기재(20)를 연통하는 구멍부(23)를 격자 형상으로 형성한다(S3). 이 때, 예컨대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쪽과는 반대쪽의 제 1 도전층(39)의 가요성 기재(20)쪽의 면이 노출되고, 제 1 도전층(39)이 남도록 구멍부(23)를 형성한다. 즉, 스루홀과는 다른 오목 형상의 구멍부(23)를 형성한다. 또한, 예컨대 에칭에 의해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쪽의 제 2 도전층(40)에 예컨대 각각 접속부(31c, 32c, 33c, 34c)를 갖는 배선(31, 32, 33, 34)을 형성한다. 또, 구멍부(23)를 형성하기 전에 배선(31∼34)을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제 1 면(20a)쪽의 제 1 도전층(39)을 에칭함으로써 구멍부(23)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도전층(39)을 남기고 구멍부(23)를 막는 원형 형상의 단자(24)를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단자(24)에 접속된 배선(27∼30)을 형성한다(S4). 이 때, 원통형의 구멍부(23)의 직경 d2보다, 단자(24)의 직경 d1이 커지도록 한다. 따라서 구멍부(23)는 단자(24)와 평면적으로 겹친 위치에 마련되어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도금에 의해 구멍부(23) 내 및 접속부(31c, 32c, 33c, 34c) 위 등에 단자(24)와 배선(31∼34)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35)를 형성한다(S5). 접속 부재(35)는, 원통형 형상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구멍부(23) 내에 도금에 의해 접속 부재(35)의 구성 재료인 동이 충전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제 1 면(20a)쪽의 배선(27) 및 제 2 면(20b)쪽의 배선(31)이 동일한 단자(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28, 32)은 동일한 단자(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29, 33)은 동일한 단자(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30, 34)은 동일한 단자(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제 1 면(20a)쪽을 레지스트로 덮어 절연막(37)을 형성한다. 이 때, 포토 레지스트 기술을 이용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자 형상으로 개구(36)를 형성하여 단자(24)를 노출시킨다. 이어서, 제 2 면(20b)쪽의 전면을 폴리이미드 등으로 덮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막(38)을 형성한다(S6).
그리고, 액정 패널(2)과 회로 기판(3)을 접착제 등에 의한 접속 등을 행하여 액정 장치(1)를 제조한다(S7).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검사 공정 등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힘 F가 회로 기판(3)의 전자 부품 근방에 작용할 때 회로 기판(3)이 휘는 경우가 있지만,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에 단자(24)가 마련되고, 단자(24)에 접속된 배선(27∼30)이 각각 제 1 면(20a)쪽에 마련되고, 단자(24)에 대응하여 가요성 기재(20)에 형성된 구멍부(23)에 마련된 접속 부재(35)를 거쳐서 단자(24)에 접속된 배선(31∼34)이 각각 제 1 면(20a)의 반대쪽의 제 2 면(20b)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가요성 기재(20)의 곡률 중심측과는 반대쪽의 배선(30)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력 S가 작용하여 파단되더라도, 곡률 중심측의 배선(34)이 단자(24)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배선(34)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의 단자와 제 2 면(20b)쪽의 배선의 도통을 도모하는 경우에, 예컨대 단자(24)의 장소와는 별도의 가요성 기재(20) 상의 장소에 관통 구멍을 형성했었지만, 가요성 기재(20)에는 단자(24)의 바로 아래에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고, 구멍부(23) 내에 마련된 접속 부재(35)에 의해 단자(24)와 배선(31)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쓸데없는 공간이 불필요해져 실장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선(31∼34)은, 절연막(38)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각 배선(31∼34)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액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 이후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재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예 2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 도 14는 실시예 2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이 휘었을 때의 개관 사시도이다. 또, 도 13에서는 절연막(3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기재(20)의 제 2 면(20b)쪽의 배선이 실시예 1과는 달리, 제 2 면(20b)쪽에는 격자 형상의 단자(24)의 코너의 단자(24b)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31b, 32b)이 마련되어 있다. 즉, 격자 형상의 단자(24) 중 코너의 단자(24b)와는 다른 단자(24a)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은, 제 2 면(20b)쪽에 마련되어 있지 않다. 격자 형상의 단자(24) 중 코너의 단자(24b)의 바로 아래에만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 부재(35)를 통해 단자(24b)가 각각 배선(31b, 3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격자 형상의 단자(24) 중 코너의 단자(24b)와는 다른 단자(24a) 등의 바로 아래에는,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접속부(31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31b)은, 제 1 면(20a)쪽의 배선(27)에 대응하여(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3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32b)는, 제 1 면(20a)쪽의 배선(28)에 대응(대향)하여(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격자 형상으로 마련된 단자(24) 중 코너에 마련된 단자(24b)에 배선(27b), 배선(31b)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단 자(24b)에 배선(28b, 32b)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회로 기판(3)을 검사할 때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3)에 외력 F가 작용했을 경우에 가요성 기재(20)의 제 1 면(20a)쪽의 배선(28b) 등이 신장하도록 전자 부품 근방의 회로 기판(3)이 휘어지고, 특히 휘어짐이 큰 장력 S가 작용하는 격자 형상의 코너의 단자(24b)에 연결되는 배선(27b)이 파단될 가능성이 있지만, 배선(27b)이 파단되더라도 배선(31b)에 의해 도통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은 배선(31b, 32b)에 의해 파단이 발생되기 쉬운 코너의 단자(24b)에 접속된 배선(32b) 등의 파단을 방지하여,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 2 면(20b)쪽의 배선(31b)이, 가요성 기재(20)를 거쳐서 제 1 면(20a)쪽의 배선(27a)에 대응(대향)하여(따르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대응(대향)하여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배선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격자 형상의 코너의 단자(2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31b, 32b)만 제 2 면(20b)쪽에 마련되어 있고, 코너의 단자(24b)와 다른 단자(24)의 바로 아래에는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땜납 재료나 배선 등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15는 변형예 1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이다. 또, 이하의 각 변형예에서는, 절연막(3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요성 기재(20)의 제 2 면(20b)쪽의 배선이 실시예 1과는 달리, 제 2 면(20b)쪽에는 격자 형상 단자(24)의 코너 단자(24b)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45)이 마련되어 있고, 코너 단자(24b)에 접속된 배선(27b)과, 이것과 동일한 단자(2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45)의 단자(24b)로부터의 인출 방향이 다르다. 예컨대, 배선(45)은, 반도체 소자(22)의 외형보다 외측에 Y 방향으로, 배선(27b)의 인출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인출되고, 배선(27b)에 대략 평행이 되도록 X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마련되어 있다. 배선(45)의 다른쪽 단부는, 실시예 1의 구멍부(23)와 동일한 구조의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제 1 면(20a)쪽의 배선(27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ACF 등을 거쳐서, 예컨대 배선(17) 등에 접속되어 있다. 격자 형상의 단자(24) 중 코너의 단자(24b)와는 다른 단자(24a)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은, 제 2 면(20b)쪽에 마련되어 있지 않다. 격자 형상의 단자(24) 중 코너의 단자(24b)의 바로 아래에만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 부재(35)를 통해 코너의 단자(24b)가 각각 배선(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격자 형상의 단자(24) 중 코너의 단자(24b)와는 다른 단자(24a) 등의 바로 아래에는,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 2 면(20b)쪽에는 격자 형상 단자(24)의 코너의 단자(24b)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45)이 마련되고, 코너의 단자(24b)에 접속된 배선(28b)과, 같은 단자(24b)에 접속된 배선(45)의 단자(24b)로부터의 인출 방향이 다르다, 즉, 배선(45)은, 예컨대 반도체 소자(22)의 외형보다 외측에 Y 방향으로, 배선(28b)의 인출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인출되고, 배선 (28b)에 대략 평행이 되도록 X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가요성 기재(20)를 검사할 때에, 전자 부품 근방의 배선(28b)과 가까운데서 가요성 기재(20)가 휘고 배선(45)과 가까운데서 가요성 기재(20)가 휘지 않을 경우에는, 배선(28b)이 파단되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지만, 배선(45)에 작용하는 힘이 배선(28b)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아져, 배선(45)의 파단을 방지하여, 배선(45)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6은 변형예 2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요성 기재(20)의 제 2 면(20b)쪽의 배선이 실시예 1과는 달리, 제 2 면(20b)쪽에는 격자 형상의 단자(24)의 코너의 단자(24b)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46)이 마련되어 있다. 격자 형상의 단자(24) 중 코너 단자(24b)의 바로 아래에만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 부재(35)를 거쳐서 단자(24b)가 각각 배선(4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46)의 일 단부는 접속 부재(35)를 통해 단자(24)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46)은, 예컨대 단자(24)로부터 X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배선(27b, 28b)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반도체 소자(22)의 외형보다 외측으로 인출되고, 배선(27b, 28b)에 대략 평행이 되도록 X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마련되어 있다. 배선(46)의 다른쪽 단부는, 실시예 1의 구멍부(23)와 마찬가지 구조의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제 1 면(20a)쪽의 배선(27b, 28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예컨대 액정 패널(2)쪽으로 인출된 배선(46)은 ACF 등을 거쳐서 예컨대 배선(17) 등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면(20b)쪽에는 격자 형상의 단자(24)의 코너의 단자(24b)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46)이 마련되고, 단자(24b)에 접속된 배선(27b)과, 단자(24b)에 접속된 배선(46)의 단자(24b)로부터의 인출 방향이 다르게 되어 있는, 즉, 배선(46)은, 예컨대 단자(24)로부터 X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배선(27b, 28b)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반도체 소자(22)의 외형보다 외측으로 인출되고, 배선(27b, 28b)에 대략 평행이 되도록 X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예 1과 같이 배선이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선 공간이 Y 방향으로 커지는 데 대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배선(46)의 배선 공간 및 배선의 길이를 억제하면서 배선(46)의 파단을 방지하여, 배선(46)의 전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선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변형예 3)
도 17은 변형예 3의 액정 장치의 회로 기판의 저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요성 기재(20)의 제 2 면(20b)쪽의 배선이 실시예 1과는 달리, 제 2 면(20b)쪽에는 격자 형상의 단자(24)의 코너 단자(24b)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47)이 마련되어 있다. 격자 형상의 단자(24) 중 코너 단자(24b)의 바로 아래에만 구멍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 부재(35)를 통해 단자(24b)가 각각 배선(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47)은, 예컨대 단자(24)로부터 소정의 방향, 예컨대 도 17의 X 방향으로 배선(27b, 28b)에 대략 평행하게 반도체 소자(22)의 외형보다 외 측으로 인출되고, 도중에서 소정의 방향, 예컨대 도 17의 Y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구부러져 마련되고, 다시 소정의 방향, 예컨대 도 17의 X 방향으로 배선(27b, 28b)에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라우팅되어 마련되어 있다. 배선(47)의 다른쪽 단부는, 실시예 1의 구멍부(23)와 동일한 구조의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제 1 면(20a)쪽의 배선(27b, 28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예컨대 액정 패널(2)쪽으로 인출된 배선(47)은 ACF 등을 거쳐서 예컨대 배선(17) 등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자(24b)에 접속된 배선(27b)과, 이것과 동일한 단자(24b)에 접속된 배선(47)은, X 방향으로 인출되어 도중에서 Y 방향으로 라우팅되고 다시 X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배선(27b) 및 배선(47)을 동일한 X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에 의해 배선(27b) 및 배선(47)의 길이를 최단으로 함과 동시에, 가요성 기재(20)의 구부러지기 쉬운 부분에서는 배선(27b)과 배선(47)을 다른 방향으로 라우팅하기 때문에, 전자 부품 근방의 배선(27b)과 가까운데서 가요성 기재(20)가 휘고 배선(47)과 가까운데서 가요성 기재(20)가 휘지 않는 경우에는, 배선(27b)에 작용하는 힘보다 배선(47)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져, 배선(47)의 파단을 방지하여 배선(47)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3·전자 기기)
다음에, 상술한 액정 장치(1)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계의 전체구성의 개략 구성도이다.
전자 기기(300)는 표시 제어계로서 예컨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2) 및 표시 제어 회로(390) 등을 구비하고, 그 표시 제어 회로(390)는 표시 정보 출력원(391), 표시 정보 처리 회로(392), 전원 회로(393) 및 타이밍 생성기(394) 등을 갖는다.
또한, 액정 패널(2)에는 표시 영역(I)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IC(11)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361)를 갖는다.
표시 정보 출력원(391)은,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와, 자기 기록 디스크나 광 기록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토리지 유닛과,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시 정보 출력원(391)은, 타이밍 생성기(394)에 의해 생성된 각종 클럭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의 형태로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392)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정보 처리 회로(392)는 시리얼-패러랠 변환 회로, 증폭· 반전 회로, 로테이션 회로, 감마 보정 회로, 클램프 회로 등의 주지의 각종 회로를 구비하고,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여, 그 화상 정보를 클럭 신호 CLK와 동시에 구동 회로(361)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 회로(393)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에 각기 소정의 전압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선의 신뢰성에 우수한 액정 장치(1)를 구 비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성능에 우수한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전자 기기로서는,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에 액정 장치가 탑재된 터치 패널, 프로젝터, 액정 텔레비젼이나 뷰 파인더형,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각종 전자 기기의 표시부로서, 상술한 예컨대 액정 장치(1)가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하고 어느 실시예 및 변형예로도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1 등에서는 TFT형의 액정 장치(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TFD(Thin Film Diode) 액티브 매트릭스형, 패시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장치이더라도 좋다. 또한, 반투과형으로 한저외지 않고 반사형, 투과형이더라도 좋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방출 소자를 이용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및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등) 등의 각종 전기 광학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회로 기판(3)의 배선(27∼30)을, Y 방향으로 6열, X 방향으로 2행이 되도록 라우팅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X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자(24)끼리의 사이에 단자(24a)에 접속된 배선을 Y 방향으로 인 출(인회)하고, X 방향으로 4행, Y 방향으로 4열이 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단자(24)가 4행 4열로 16개 마련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들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24) 형성 공정(S4) 후에 도금 공정(S5)을 실시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금 공정(S5) 후에 단자(24) 형성 공정(S4)을 실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제 1 도전층(39), 제 2 도전층(40)이 양면에 마련되어 있는 가요성 기재(20)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전층이 기재중에 마련된 가요성 기재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의 전기적인 신뢰성에 우수한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실장 구조체 및 해당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가요성 기재에 마련된 복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통 단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도통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는 평면적으로 겹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도통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된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 성 기재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가요성 기재에 마련된 복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땜납 볼을 갖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땜납 볼과 상기 복수의 단자는 평면적으로 겹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땜납 볼 및 상기 복수의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격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상기 격자 형상의 코너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선은 상기 접속 부재를 통해 모든 상기 복수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부터의 상기 제 1 배선의 인출 방향과 해당 단자에 상기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제 2 배선의 인출 방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부터의 상기 제 1 배선의 인출 방향과 해당 단자에 상기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제 2 배선의 인출 방향이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제 1 배선과, 해당 단자에 상기 접 속 부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제 2 배선은,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고 도중에서 다른 방향으로 라우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의 도통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으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이며 또한 상기 도통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9.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의 도통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한 회로 기판으로서,
    상기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이며 또한 상기 도통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10. 가요성 기재와, 상기 가요성 기재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실장 구조체로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가요성 기재에 마련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통 단자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가요성 기재의 일면쪽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도통 단자와 상기 단자는 평면적으로 겹쳐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기재는,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일면쪽에 마련된 제 1 배선과, 상기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요성 기재에 형성된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마련된 접속 부재를 통해 상기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기재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마련된 제 2 배선을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도통 단자 및 상기 단자와 평면적으로 겹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실장 구조체.
  11.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07335A 2005-01-24 2006-01-24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회로 기판, 실장구조체 및 전자 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24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5449 2005-01-24
JP2005015449 2005-01-24
JPJP-P-2006-00009991 2006-01-18
JP2006009991A JP4285484B2 (ja) 2005-01-24 2006-01-18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用基板、回路基板、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602A KR20060085602A (ko) 2006-07-27
KR100724226B1 true KR100724226B1 (ko) 2007-05-31

Family

ID=3669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3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4226B1 (ko) 2005-01-24 2006-01-24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회로 기판, 실장구조체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32451B2 (ko)
JP (1) JP4285484B2 (ko)
KR (1) KR100724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69B1 (ko) * 2006-08-03 2013-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304901B1 (ko) * 2007-01-26 2013-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4670855B2 (ja) 2007-11-08 2011-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時計
JP5428299B2 (ja) * 2008-03-18 2014-0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064353B2 (ja) * 2008-10-27 2012-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装置、携帯電子機器、並びに全地球測位システム装置
JP2010223690A (ja) * 2009-03-23 2010-10-07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452290B2 (ja) * 2010-03-05 2014-03-26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パネル
JP5796309B2 (ja) * 2011-03-15 2015-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711570B2 (en) 2011-06-21 2014-04-29 Apple Inc. Flexible circuit routing
KR20130071863A (ko) * 2011-12-21 2013-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CA150941S (en) * 2012-11-06 2014-06-0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ler for electronic device
CA151691S (en) * 2013-02-19 2014-06-0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ler for electronic device
KR102307432B1 (ko) * 2013-12-09 2021-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48646B1 (ko) * 2014-12-30 2021-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70039025A (ko) * 2015-09-30 2017-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876727B2 (ja) * 2016-06-10 2021-05-26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光学ディスプレイ装置
JP6797042B2 (ja) * 2017-02-02 2020-12-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082976B (zh) * 2019-05-14 2022-08-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US20220200652A1 (en) * 2020-12-18 2022-06-23 Innolux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5986A (ja) * 1994-08-04 1996-02-16 Sharp Corp パネルの実装構造並びに集積回路搭載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6744A (en) * 1993-09-03 1995-07-25 Motorola Inc.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driver circuit and display electrodes formed on opposite sides of folded substrate
US6169530B1 (en) * 1995-04-20 2001-01-02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of its driving circuit
US6639155B1 (en) * 1997-06-11 2003-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packaging platform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476524B1 (ko) * 1997-12-31 2005-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모듈용테이프캐리어패키지
JP2001284751A (ja) 2000-01-26 2001-10-12 Casio Micronics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モジュール
US6399892B1 (en) * 2000-09-19 2002-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TE compensated chip interpo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5986A (ja) * 1994-08-04 1996-02-16 Sharp Corp パネルの実装構造並びに集積回路搭載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5484B2 (ja) 2009-06-24
US7432451B2 (en) 2008-10-07
KR20060085602A (ko) 2006-07-27
US20060164586A1 (en) 2006-07-27
JP2006227602A (ja)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226B1 (ko)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기판, 회로 기판, 실장구조체 및 전자 기기
US11309500B2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51129B2 (ja)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3696512B2 (ja) 表示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3979405B2 (ja) 電気光学装置、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CN100571482C (zh) 电光装置及其基板、电路基板、装配结构体和电子设备
JP4894477B2 (ja) 電気光学装置、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JP2007258518A (ja) 半導体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09184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JP4396563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7214164A (ja) 電気光学装置、半導体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6269583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JP2008172117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用基板、半導体素子、及び電子機器
JP4107348B2 (ja) 電気光学装置、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US12204210B2 (en) Liquid crystal module
JP2007256724A (ja) 電気光学装置、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708611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95315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用基板、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JP4779399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KR20070106261A (ko) 액정표시장치
JP2007264230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4539268B2 (ja) 実装構造体
JP2006019370A (ja) 半導体素子の実装構造及び電気光学装置
JP2007057641A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6267542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用基板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