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1125B1 -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 - Google Patents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125B1
KR100721125B1 KR1020050031024A KR20050031024A KR100721125B1 KR 100721125 B1 KR100721125 B1 KR 100721125B1 KR 1020050031024 A KR1020050031024 A KR 1020050031024A KR 20050031024 A KR20050031024 A KR 20050031024A KR 100721125 B1 KR100721125 B1 KR 10072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reatment medium
medium
control data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640A (ko
Inventor
박세형
Original Assignee
(주)모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다메디칼 filed Critical (주)모다메디칼
Priority to KR102005003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12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5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640A/ko
Priority to CNA2006800210766A priority patent/CN101203203A/zh
Priority to PCT/KR2006/001385 priority patent/WO2006110012A1/en
Priority to US11/917,753 priority patent/US2008028243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1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between the skin and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사람의 치료점에 레이저, 진동, 주파수, 전기, 향기 등의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은 사람의 몸에 착용 또는 접촉되는 의복에 있어서, 사람의 임의의 치료점에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항상 착용하고 다니는 옷 또는 액세서리 등의 의복에 치료 장치를 내장하여 사용상의 편리를 제공하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치료 매체, 의복, 치료점, 액세서리

Description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 {Clothing for emitting treatment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 몸 전면의 치료점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 몸 후면의 치료점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질병에 상응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의복
150 : 치료 매체 방출 수단
152-1, 152-2, ..., 152-n, 152 : 치료 매체 발생기
153 : 입력 모듈
154 : 컨트롤러
155 : 전원
200, 650 : 리모트 컨트롤러
본 발명은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사람의 치료점에 레이저, 진동, 주파수, 전기, 향기 등의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특정 부위 치료를 위해서 장기간 약을 투약할 경우에는 위장장애 등 의 합병증을 앓을 수 있다. 또한, 주사로 인한 국소 혈종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치료에 주의를 요하는 노인환자 등을 위해서 비자극, 무혈,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이 필요하다.
경구합성약물, 근육주사, 정맥주사 등의 고식적인 치료는 병소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을 투입하지만 전신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테이핑(taping), 크림, 파스 등은 피부에 흡수되므로 접촉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침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전해오는 동양의학의 주요 치료 도구이지만 피부에 자극이나 감염 등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는 직접 한의원 등을 방문해야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질병이 있는 부위만의 치료에 중점을 두고 한 부위 치료 시 다른 부위를 동시에 치료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그나마 신경혈관점, 경혈점, 스트레스 수용체, 근육의 기시종지점, 뇌척수순환, 신경림프계, 두개골, 근육근막, 신경근 등을 동시치료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인체 전면을 시술할 경우 후면은 동시에 치료가 힘들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치료 장비도 개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물리치료의 경우 시간, 공간, 환경 등의 제약을 받는 환자들에게는 내원이 불가능하며, 물리치료를 위한 장비가 있는 장소까지 직접 가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유해환경에 노출되는 일반인들은 실재로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물론, 최근에는 휴대용 물리치료 장치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지만, 의료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은 물리치료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많은 부위를 동시에 치료하기가 곤란하다는 점 등이 있다.
이외에도, 단기간 많은 환자들을 치료하여야 하는 의료 여건상 진료 시간의 효율적 활용과 치료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의사의 수기치료를 보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도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일상생활에서도 수시로 활용할 수 있는 치료 또는 치료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상 착용하고 다니는 옷 또는 액세서리 등의 의복에 치료 장치를 내장하여 사용상의 편리를 제공하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복에 내장된 미세소형 장치를 통하여 비파괴성, 무해성, 자연성, 무혈, 비침습성, 무자극의 특성을 가지는 의사의 수기치료 등의 치료 보조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질병에 따른 치료점을 자극하는 치료법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혼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질병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람의 몸에 착용 또는 접촉되는 의복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적어도 하나의 치료점에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치료점은 신경근, 스트레스 수용체, 신경혈관반사점, 신경림프반사점, 손반사, 족부반사점, 근육고유수용체, 근육기시종지점, 피부반사점, 경혈점, 근육근막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치료 매체는 레이저, 진동, 주파수, 광선, 전기, 자기장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수단은 별도로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수단은 상기 의복의 안감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사람의 몸에 착용 또는 접촉되는 의복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적어도 하나의 치료점에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치료 매체 발생기; 상기 각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의 실행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모듈은 별도로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는 메모리가 결합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치료매체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특정 질병에 상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 데이터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매체 발생기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사람의 몸에 착용 또는 접촉되는 의복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람의 적어도 하나의 치료점에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치료 매체 발생기; 및 원격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를 방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치료매체 발생기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일 수 있으며, 상기 치료 매체는 레이저, 진동, 주파수, 광선, 전기, 자기장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각 치료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크기의 각 주파수를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임의의 질병에 상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이하에서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은 의복(100) 및 의복의 특정 위치(치료점)에 구비되는 치료 매체를 발생하는 치료 매체 방출 수단(150) 및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의복(100)은 사람의 몸(몸통, 머리, 팔, 다리 등의 전신)에 착용되거나 접촉되는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1에는 겉옷만을 도시하였으나, 겉옷 이외에도 속옷 및 양말 등의 일반 옷뿐만 아니라, 장갑, 헤어 밴드, 아대, 목도리, 허리띠, 스카프, 모자, 신발 등의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사람의 몸에 착용 가능하거나 접촉되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의복(100) 이외에도 사람의 몸에 착용되거나 일시적으로 접촉되는 모든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의복(100)에 아무런 제한 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치료 매체 방출 수단(150)은 레이저, 진동, 주파수, 광선, 전기, 자기장 및 향기 등의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치료 매체 방출 수단(150)은 의복(100) 중 사람의 치료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치료 매체를 방출한다. 즉, 사람이 의복(100)을 착용 또는 접촉하였을 경우, 사람의 치료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것이다. 치료점은 신경근, 스트레스 수용체, 신경혈관반사점, 신경림프반사점, 손반사, 족부반사점, 근육고유수용체, 근육기시종지점, 피부반사점, 경혈점, 근육근막점 및 기타 모든 병소부위를 포함한다. 즉, 타박상, 질병, 상처, 골절 등의 모든 치료를 위한 몸의 위치를 의미한다. 장기-영양-경혈-각종 반사점-신경-혈관-림프계-근육근막 등은 상호 치료적 영향을 준다.
치료 매체 방출 수단(150)은 하나의 치료 매체만을 방출할 수 있거나, 복수의 치료 매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치료 매체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인체의 각종 반사점을 포함하는 치료점들은 서로 다른 자극들(예를 들어, 레이저, 진동, 마찰 등)에 유사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 치료 매체 중 주파수를 이용할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대는 특정 조직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2Hz(헤르쯔)는 신경재생, 7Hz는 골격성장, 10Hz는 인대 치유, 15Hz는 피부괴사 감소, 20Hz는 모세혈관 형성 자극, 72Hz는 섬유아세포 증식, 25 및 50Hz는 신경성장인자 상승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저주파를 환자의 경혈의 기시, 종지부 등의 치료점에 자극을 하면 레이저 전자침 또는 도수 자극의 치료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종지 혈위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 시에는 수지 태핑 (tapping)과 동일한 자극효과가 도수 근육 검사상에 나타나며, 약 5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조사해도 타겟 부위 위치만 정확히 맞추면 동일한 효과를 보인다.
치료 매체 중 전기는 물리치료 장비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기를 이용하여 경혈점 등의 치료점을 자극하는 것이다.
치료 매체 중 펜 라이트(pen-light) 등에서 방출되는 광선도 중금속 중독의 해독치료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자석 또는 전자석을 이용한 자기장도 실제 중금속 중독의 진단이나 해독과정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치료 매체 방출 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니며,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의 작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치료 매체 방출 수단(150) 및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 몸 전면의 치료점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 몸 후면의 치료점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치료점으로 통상 동양 의학에서 말하는 경혈과 경락이 도시되어 있다.
사람의 몸에는 14개의 경락(經絡, meridian system of meridians and collaterals)과 대략 361개의 경혈(經穴, meridian point)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경락은 기가 흐르는 통로이며, 경혈은 그 중간에 있는 기가 모이는 곳으로 침이나 뜸을 뜨기에 적당한 위치를 말한다. 따라서, 경혈은 치료점이 될 수 있으며, 물론 경혈 이외에도 치료에 도움에 되는 신체의 위치가 모두 치료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양 의학에서는 경혈을 주로 침이나 뜸을 이용하여 자극을 줌으로써 질병 등을 치료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일정 주파수, 진동, 레이저, 전기, 자기장 등의 치료 매체를 통해서도 동일한 또는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체와 하체의 치료점은 주로 내의 또는 겉옷 등의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이 사용될 수 있으며, 손은 장갑, 발은 신발, 목은 목도리 또는 폴라티, 머리는 모자 등에 따라 각각의 치료점에 대응되도록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치료점에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치료 매체 방출 수단(15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치료 매체 방출 수단(150)은 n 개의 치료 매체 발생기(152-1, 152-2, ..., 152-n, 이하 152), 입력 모듈(153), 컨트롤러(154) 및 전원(155)을 포함한다.
각 치료 매체 발생기(152)는 각각의 대응되는 치료점에 레이저, 진동, 주파수, 광선, 전기, 자기장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의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치료점에 대응되도록 하나의 치료 매체 발생기(1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개의 치료 매체 발생기(15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치료점에 자극을 주기 위한 치료 매체는 극히 미량의 크기만으로도 치료의 큰 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치료점이 치료 매체 발생기(152)보다 클 수 있으므로, 하나의 치료점에 복수의 치료 매체 발생기(152)가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치료 매체 발생기(152)가 하나의 치료점에 대응될 경우에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숫자를 제어함으로써 치료 매체의 강약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치료 매체 발생기(152)는 경혈과 같은 사람의 모든 치료점에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나, 특정 질병을 위한 치료점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 매체 발생기(152)는 작동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어 전자파와 같은 불필요한 자극을 치료점 및 인체에 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료 매체 발생기(152)는 비침습적, 무자극, 무통, 무혈의 이상적인 치료 또는 치료 보조 기능을 위해서, 사람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보다는 의복 의 안감, 즉 천과 천 사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모듈(153)은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RF 수신기 또는 적외선 수신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자체에 구비되는 버튼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54)는 입력 모듈(15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트롤러(154)는 치료 매체 발생기(152)로 전선 등과 같은 유선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또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무선으로도 치료 매체 발생기(152)를 제어할 수 있음은 쉽게 유추될 수 있다.
컨트롤러(154)는 입력 모듈(153)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상응하도록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 및 해당 치료 매체 발생기(152)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입력 모듈(15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상응하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54)는 치료점 및 각 치료점에 대응되는 각각의 치료 매체 발생기(152)에 대한 정보(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각각의 치료 매체 발생기(152)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155)은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위한 전력은 전원(155)으로부터 직접 공급될 수 있 으나, 다른 방법으로는 컨트롤러(154)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154)로부터 제어 신호와 함께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전원(155)은 일반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열 에너지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원은 일반 배터리 및 초미세 배터리 등을 포함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은 메모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는 각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질병에 상응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54)가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집합일 수 있다. 즉, 입력 모듈(153)로부터 질병명(질병을 인식할 수 있는 식별 정보) 및 치료 실행 명령을 입력 받은 컨트롤러(154)는 질병명(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제어 데이터에 상응하도록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질병명 만을 입력함으로써 편리하게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을 통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상황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 데이터를 통해 치료 매체 방출을 수시로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의복에 컨트롤러(154)와 함께 구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154)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구비된 메모리의 제어 데이터에 따른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 모듈(153)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은 제어 데이터 입력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 입력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입력 받으며, 이를 인식한 컨트롤러(154)는 입력된 제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제어 데이터 입력 모듈은 랜 통신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 등의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멀리 떨어진 장소에 있는 의사로부터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는 원격에서도 의사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치료 매체 방출 의복에 구비된 컨트롤러(154) 및 메모리 등의 기능을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의복에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152)만이 구비되며, 치료 매체 발생기(152)의 작동은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방출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따르면,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입력부(210), 송신부(220), 제어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명령을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상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 방식 및 터치 스크린 방식과 같은 개 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입력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송신부(220)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의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외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메모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230)의 작동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임시 메모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입력부(210)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부(220)를 통해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각 구성요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TV, 비디오, 오디오 등의 전자제품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랜, 이동통신 모듈과 같이 무선망을 통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술한 무선 랜, 이동통신 모듈 이외에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의사와 같이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으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제어 데이터는 저장부(240)에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제어부(230)에 의해 판독되어 송신부(220)를 통해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의 치료 매체 발생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에 따르면, 치료 매체 방출 의복(600)의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은 하나 이상의 치료 매체 발생기만을 구비한다.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은 치료 매체 발생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되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러(65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상응하여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이 제어된다. 즉, 현재에도 개발되고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에 따라 치료 매체 발생기 자체가 각각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무선으로도 각각의 치료 매체 발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전원을 공급해주지 않아도 각 치료 매체 발생기가 치료 매체를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치료 매체 발생기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 태그는 어떻게 동력을 공급 받는가에 따라 수동적 태그(Passive tag), 반능동적 태그(Semi-active tag) 및 능동적 태그(Active tag)로 구분되는데, 이는 배터리 등에 의해 내부적으로 동력을 공급 받는지, 혹은 외부의 RF 신호에 의해 유발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 중 수동적 태그는 메모리를 장착한 칩과 제한된 양의 로직, 안테나, 그리고 일종의 칩과 안테나가 탑재된 기판으로 구성되며, 특정 신호로부터 에너지를 확보하고, 이 에너지를 이용해 칩에 동력을 제공하며 아울러 자신의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수동적 태그를 이용하면 외부의 기기(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특정 신호(주파수)를 수신함에 따라 에너지를 확보하여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것이다. 물론 에너지의 양이 극히 미세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의 치료 매체 발생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매체 발생기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600)에 별도로 구비된 태양열 에너지 발생 기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치료 매체 발생기가 태양열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태양열 에너지의 확보에 따른 방식은 현재 많은 개발이 이루어졌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치료 매체 발생기가 상술한 RFID 태그를 이용하면,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에 반응하도록 각각의 치료 매체 발생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치료 매체 발생기 중 리모트 컨트롤러(650)로부터 방출되는 특정 주파수대의 RF신호에 상응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만이 치료 매체를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650)를 이용하여 원하는 치료점에 치료 매체를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 부위에 위치한 치료점에 치료 매체를 방출하고자 할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650)를 이용하여 상기 치료점에 대응되는 치료 매체 발생기의 반응 주파수대를 인식하여 상기 주파수대의 주파수를 방출하여 상기 치료 매체 발생기를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치료 매체 발생기는 자체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리모트 컨트롤러가 아닌 특정 서버로부터 작동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른 실시예로, 주파수대를 통해 작동할 치료 매체 발생기를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각 치료 매체 발생기가 식별정보(예를 들어, 일련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650)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리모트 컨트롤러(650)는 주파수 발생장치(651), 제어장치(653), 입력장치(655), 저장장치(657)를 포함한다. 상기 각 장치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송신부(220), 제어부(230), 입력부(210), 저장부(2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주파수 발생장치(651)는 RF 신호를 방출한다. 또한, 저장장치(657)는 각 치료 매체 발생기에 대응되는 주파수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제어장치(653)를 통해 주파수 발생장치(651)가 각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주파수를 생성한다.
또한, 도5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리모트 컨트롤러(650)는 복수의 치료 매체 방출 의복(600)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의복 선택 모드를 구비하여 모자, 티셔츠, 바지, 양말 등의 복수의 치료 매체 방출 의복(600) 중 하나의 치료 매체 방출 의복(600)을 선택하여 치료 매체를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리모트 컨트롤러(650)는 각 치료 매체 방출 의복(600)에 대한 치료점 또는 그에 상응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 방출 수단은 의복에 구비되기 때문에, 의복의 세탁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 있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일반 가전제품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PC, 휴대폰, PCS, PDA 등과 같은 단말기에 그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상술한 단말기와 같이 통신 기능이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는 특정 서버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상응하도록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중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특정 질병 또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서버는 그에 상응하도록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치료 매체 발생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질병에 상응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제어 데이터는 질병명 필드(710), 치료 매체 발생기 필드(715), 치료 매체 필드(720) 및 작동 시간 필드(725)를 포함한다.
질병명 필드(710)는 질병에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치료 매체 발생기 필드(715)는 복수의 치료 매체 발생기 중 하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번호)를 가지고, 치료 매체 필드(720)는 치료 매체 종류 정보, 작동 시간 필드(725)는 치료 매체가 방출되는 시간 정보이다.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입력 모듈(153)을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질병명을 인식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해당 치료 매체 발생기로 치료 매체와 작동시간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만일 치료 매체 발생기가 하나의 치료 매체만을 방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각 치료 매체 발생기마다 고유의 치료 매체를 발생하기 때문에 치료 매체 필드(720)는 필요 없다.
도 8에 따르면, 제어 데이터는 치료점 필드(750), 치료 매체 필드(755), 작동 시간 필드(760) 및 세기 필드(765)를 포함한다. 각 치료점에 따른 일련번호(식별번호)가 치료점 필드(750)에 기입되며, 치료 매체 필드(755)는 방출된 치료 매체 정보를, 작동 시간 필드(760)는 치료 매체가 방출되는 시간 정보를 가지며, 세기 필드(765)는 치료점에 방출되는 치료 매체의 세기 정보를 갖는다. 세기 정보는 하나의 치료 매체 발생기로부터 방출되는 치료 매체의 세기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치료점에 복수의 치료 매체 발생기가 대응될 경우, 치료 매체를 방출할 치료 매체 발생기의 숫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8의 예)에 따른 제어 데이터는 치료점 02에 대응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가 5의 세기를 갖도록 레이저를 5초간 방출하는 것이다.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 데이터는 각각의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각각의 필드를 조합한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 데이터가 상술한 형식과는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사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벗어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매체 방출 의복의 사용예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의사는 PC(개인용 컴퓨터), PDA, 이동 단말기 등의 통신 단말기(910)를 이용하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치료 정보를 임의의 환자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930)로 전송한다. 환자는 리모트 컨트롤러(930)를 통해 수신된 치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를 통해 자신이 착용하고 있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95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의사를 직접 만나지 않고서도 수시로 치료를 받을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며, 보다 빠른 회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도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일상생활에서도 수시로 활용할 수 있는 치료 또는 치료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상 착용하고 다니는 옷 또는 액세서리 등의 의복에 치료 장치를 내장하여 사용상의 편리를 제공하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복에 내장된 미세소형 장치를 통하여 비파괴성, 무해성, 자연성, 무 혈, 비침습성, 무자극의 특성을 가지는 의사의 수기치료 등의 치료 보조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각 질병에 따른 치료점을 자극하는 치료법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혼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질병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의사로부터 원격으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행함으로써, 전문가의 치료를 수시로 받을 수 있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감염의 우려가 없이 진동, 레이저, 전기 등의 치료 매체를 통해 침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사람의 몸에 착용 또는 접촉되는 의복에 있어서,
    입력 모듈;
    상기 사람의 하나 이상의 치료점에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치료 매체 발생기;
    상기 치료 매체 발생기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식별 정보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각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 정보는 특정 질병에 따라 미리 지정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점은 신경근, 스트레스 수용체, 신경혈관반사점, 신경림프반사점, 손반사, 족부반사점, 근육고유수용체, 근육기시종지점, 피부반사점, 경혈점, 근육근막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매체는 레이저, 진동, 주파수, 광선, 전기, 자기장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별도로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매체 발생기는 상기 의복의 안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데이터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데이터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제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매체 발생기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질병명, 작동할 치료 매체 발생기, 방출될 치료 매체 및 작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치료점, 방출될 치료 매체, 작동 시간 및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2. 사람의 몸에 착용 또는 접촉되는 의복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임의의 치료점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특정 주파수를 수신함에 따라 상응하는 치료 매체를 상기 치료점에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치료 매체 발생기를 포함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매체 발생기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매체는 레이저, 진동, 주파수, 광선, 전기, 자기장 및 향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5. 제 12항에 있어서,
    원격에서 주파수를 방출하여 상기 각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입력부;
    상기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임의의 질병에 상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응하는 치료 매체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크기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질병명, 작동할 치료 매체 발생기, 방출될 치료 매체 및 작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치료점, 방출될 치료 매체, 작동 시간 및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매체 방출 의복.
KR1020050031024A 2005-04-14 2005-04-14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 KR100721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024A KR100721125B1 (ko) 2005-04-14 2005-04-14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
CNA2006800210766A CN101203203A (zh) 2005-04-14 2006-04-14 用于发射治疗媒介的衣服
PCT/KR2006/001385 WO2006110012A1 (en) 2005-04-14 2006-04-14 Clothing for emitting treatment medium
US11/917,753 US20080282437A1 (en) 2005-04-14 2006-04-14 Clothing For Emitting Treatment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024A KR100721125B1 (ko) 2005-04-14 2005-04-14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640A KR20050055640A (ko) 2005-06-13
KR100721125B1 true KR100721125B1 (ko) 2007-05-22

Family

ID=3708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024A KR100721125B1 (ko) 2005-04-14 2005-04-14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82437A1 (ko)
KR (1) KR100721125B1 (ko)
CN (1) CN101203203A (ko)
WO (1) WO20061100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026B1 (ko) 2007-11-27 2011-12-23 (주)고을 치료장치 및 그 치료장치를 구비한 의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3283A1 (en) * 2005-09-28 2007-03-29 Gomes David W Medical energy manipulation device and method
SE529656C2 (sv) * 2006-05-23 2007-10-16 Vibsec Ab Metod och system för övervakning av manuell styrning av dynamiska system
AT504713B1 (de) * 2007-01-09 2011-02-15 Lingg Gerhard Vorrichtung zum applizieren von gespeicherten frequenzinformationen
WO2008083848A2 (de) 2007-01-09 2008-07-17 Gerhard Lingg Vorrichtung zum applizieren von gespeicherten frequenzinformationen
DE102007014136B4 (de) * 2007-03-23 2011-08-25 Dr. Oestreich + Partner GmbH, 50670 Vorrichtung zur medizinischen Versorgung eines Patienten in einem Notfall
EP2280617A2 (en) * 2008-05-02 2011-02-09 Douglas James Heel Garments
WO2011041423A2 (en) * 2009-09-30 2011-04-07 Miral Kotb Self-contained, wearable light controller with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WO2011055161A1 (es) * 2009-11-09 2011-05-12 Luis Angel Rodriguez-Marcos Sistema de manipulacion muscular mediante vibraciones
CN101926727A (zh) * 2010-07-26 2010-12-29 张宏伟 一种电磁脉冲穴位刺激网套衣服
US20120143285A1 (en) * 2010-10-07 2012-06-07 Jian Wang Handheld excitation terminal and emf emitter providing dynamic optimization of emission and therapeutic effect and remote therapeutic system
WO2013088202A1 (es) * 2011-12-14 2013-06-20 Hincapie Castillo Erika Elena Chaleco masajeador con imanes y/o motores eléctricos
US20140038149A1 (en) * 2012-08-04 2014-02-06 Ramiro C. De La Cruz Chinese Meridian Health Apparel with Strips and Circles
WO2016131926A1 (de) * 2015-02-18 2016-08-25 Wearable Life Science Gmbh Benutzerschnittstelle zur verwendung mit einem elektrostimulations-system
US20190183724A1 (en) * 2015-12-02 2019-06-20 Daniel Joseph Sifferli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scle Vibration Training, Tremor Inhibition and Rehabilitation
CN106096220B (zh) * 2016-02-29 2018-12-07 夏玉雷 一种穴位信息展示方法、相关设备及系统
EP3437695A4 (en) * 2016-03-29 2019-12-04 Double H Ltd. PORTABLE DEVICE FOR REDUCING BODILY GREASE USING LIGHT EMITTING DIOD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WO2018022075A1 (en) * 2016-07-29 2018-02-01 32805.93 Patent Application Trust Smart autism shirt
US10307330B1 (en) * 2017-11-16 2019-06-04 Filip Sedic Skincare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20190307182A1 (en) 2018-04-04 2019-10-10 Marta Wiley Article of Clothing with Magnets
WO2020041228A1 (en) * 2018-08-20 2020-02-27 Safavi Abbasi Sam Neuromuscular enhancement system
CN109350864A (zh) * 2018-10-29 2019-02-19 信咚企业股份有限公司 穿戴式穴位刺激设备
CN109394521A (zh) * 2018-11-28 2019-03-01 艾炳蔚 一种激光刺激穴位组合的穴位刺激服及其运行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502A (en) 1988-01-15 1990-12-25 Hunt Troy T Combined massage and heating devices
KR200269771Y1 (ko) 2001-12-13 2002-03-25 테-차이 치앙 진동 안마 조끼
KR20020055558A (ko) * 2000-12-28 2002-07-09 조영만 조끼식 안마기
KR200345221Y1 (ko) 2003-12-17 2004-03-18 오국근 안마조끼
KR20040096916A (ko) * 2004-10-07 2004-11-17 박세준 다목적온열의복
KR200373014Y1 (ko) 2004-10-05 2005-01-15 장홍기 기능성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902A1 (en) * 1994-03-21 2003-06-19 Prescott Marvin A. Laser therapy for foot conditions
US5616140A (en) * 1994-03-21 1997-04-01 Prescott; Marvi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apeutic laser treatment
US7081128B2 (en) * 2002-03-04 2006-07-25 Hart Barry M Phototherapy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50122205A (ko) * 2003-03-06 2005-12-28 애퍼런트 코퍼레이션 인체밸런스와 보행 향상 및 발부상 방지를 위한 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502A (en) 1988-01-15 1990-12-25 Hunt Troy T Combined massage and heating devices
KR20020055558A (ko) * 2000-12-28 2002-07-09 조영만 조끼식 안마기
KR200269771Y1 (ko) 2001-12-13 2002-03-25 테-차이 치앙 진동 안마 조끼
KR200345221Y1 (ko) 2003-12-17 2004-03-18 오국근 안마조끼
KR200373014Y1 (ko) 2004-10-05 2005-01-15 장홍기 기능성 의류
KR20040096916A (ko) * 2004-10-07 2004-11-17 박세준 다목적온열의복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5555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026B1 (ko) 2007-11-27 2011-12-23 (주)고을 치료장치 및 그 치료장치를 구비한 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82437A1 (en) 2008-11-20
WO2006110012A1 (en) 2006-10-19
KR20050055640A (ko) 2005-06-13
CN101203203A (zh)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125B1 (ko) 치료 매체를 방출하는 의복
CN208525375U (zh) 具有随机共振振动的个人按摩仪
CN105307719B (zh) 局部神经刺激仪
KR102089634B1 (ko) 광선치료용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장치
US201602359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ed energy therapeutics
CN107427679A (zh) 患者治疗系统和方法
CA2425224A1 (en) Health monitoring
CN108814570A (zh) 一种理疗仪及参数确定方法
CN109498409A (zh) 面膜仪
CN110237426A (zh) 一种石墨烯智能针灸穴位贴
CN205084212U (zh) 可刺激穴位的穿戴装置
KR101551550B1 (ko) 스마트 전열식 뜸 시술 장치
KR200423283Y1 (ko) 신체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의복
CN106074152B (zh) 一种基于手机物联网的砭灸治疗仪
KR20210090810A (ko) 이혈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309642Y1 (ko) 애완동물 질병예방 및 치료 의복
KR20070109024A (ko) 신체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의복
KR20200058629A (ko) 웨어러블 미세전류 전기자극기 및 제어방법
TWM552811U (zh) 循經感傳穴位電療裝置
TWM517619U (zh) 可刺激穴位之穿戴裝置
KR20200131502A (ko) 복합자극을 통한 뇌 운동 장치
CN202876101U (zh) 一种能量转换仪
KR100496197B1 (ko) 향기치료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TWI640309B (zh) Circulating acupoint electrotherapy device
CN106993856A (zh) 具有量子芯片的佩戴式饰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2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