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0626B1 -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평면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및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유닛 - Google Patents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평면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및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626B1
KR100720626B1 KR1020040009885A KR20040009885A KR100720626B1 KR 100720626 B1 KR100720626 B1 KR 100720626B1 KR 1020040009885 A KR1020040009885 A KR 1020040009885A KR 20040009885 A KR20040009885 A KR 20040009885A KR 100720626 B1 KR100720626 B1 KR 10072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panel display
opening
display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928A (ko
Inventor
다까따요시끼
오오따유우스께
야마다가쯔아끼
이와모또겐이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6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는 동시에,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을 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는 평면 표시 소자(500) 등의 구성 부재를 지지하는 것으로, 섀시 본체(100)가,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작은 개구부(1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평면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유닛 {CHASSIS FOR A FLAT-PANEL DISPLAY DEVICE, FLAT-PANE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PANEL DISPLAY DEVICE AND CHASSIS UNIT FOR A FLAT-PANEL DISPLAY DEVICE}
본원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평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용되는 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 패널 등의 구성 부재를 지지하는 후방 섀시에 적합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후방 섀시에 도광판, 광학 시트, 액정 표시 패널이 차례로 적층되고, 그 상방으로부터 베젤이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 공지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 섀시로서는 사각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수지 섀시가 공지이지만(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0-68857호), 이러한 수지제의 후방 섀시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약하고, 충격에 의해 내부의 구성 부재가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특히, 상기 후방 섀시는 사각 형상의 개구부가 대향하는 정점을 연결하는 방향(대각선 방향)의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및 파손된다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내충격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사각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수지 섀시에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된 보강용 금속판을 일체화한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1-149251호). 그러나,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수지 섀시 외에 금속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 충격을 받았을 때에 금속판이 변형되어 버리면, 그 후의 사용이 불가능해질 우려도 있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는 동시에,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을 행할 수 있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원 발명에 관한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평면 표시 소자 등의 구성 부재를 섀시 본체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관한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의 특징은, 섀시 본체가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작은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섀시 본체가 개구부를 가지므로, 섀시 본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는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작기 때문에, 섀시 본체는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와 같이 수지 섀시에 보강용 금속판을 설치하는 것(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1-149251호)과 달리 보강용 부재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 개수를 경감하여 비용 절감에 기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이 개구부를 섀시 본체에 복수 형성함으로써, 보다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섀시 본체의 개구부로서는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대략 삼각 형상」이라 함은, 3개의 직선이 각각 교차하여 구성되는 삼각 형상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3개의 만곡선이 교차하여 구성되는 형상이나, 정점 부근에 있어서 만곡부나 굴곡선 등을 갖는 형상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삼각 형상의 개구부는, 대략 삼각 형상의 정점을 구성하는 2변이 연속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삼각형의 정점 부근을 굴곡선 혹은 굴곡 직선으로 연결하는 형상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나 만곡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구부의 대략 삼각 형상의 정점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적확하게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만곡부로서는, 예를 들어 곡률(R)이 다음 식의 범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 < [{(- a + b + c)(a - b + c)(a + b - c)}/{4(a + b + c)}]1/2
또 이 식에 있어서 a, b, c는, 가상의 삼각형(3개의 직선이 각각 교차하여 구성되는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 중 적어도 1변은 다른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의 1변, 또는 섀시 본체의 외연과 인접하는 동시에 대략 평행인 점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섀시를 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부는 테두리가 아닌 나머지 주변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전체를 두껍게 한 것과 대략 동등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한「주변부」라 함은 두께부로부터 보아 개구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또 섀시 본체는, 예를 들어 수지, 세라믹 등의 소성물 및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섀시 본체를 수지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다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충격을 받아 섀시 본체가 다소 변형되었다고 해도 수지의 복원력에 의해 섀시 본체의 형상이 원상 복귀되므로, 충격을 받은 후에도 평면 표시 장치의 계속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섀시 본체가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섀시 본체를 제조할 때에 필요한 수지량을 경감할 수 있어 보다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섀시 본체가 세라믹 등의 소성물에 의해 구성된 경우에는, 매우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세라믹 등의 소성물의 복사 효율이 좋은 것을 기초로 하여 방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우주 개발 등의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섀시 본체가, 예를 들어 회로 기판 등을 부착하기 위해 삼각형과 다른 대략 다각 형상(예를 들어, 사각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경우가 존재한다. 상기한 대략 다각 형상의 개구부는 평면 방향의 자유도가 높아 대각선 방향의 왜곡이 우려된다. 또한, 이 대략 다각 형상이 복수 포함되는 대략 다각 형상의 개구 영역을 갖는 경우가 존재하여, 이 경우에도 대각선 방향의 왜곡이 우려된다. 이와 같이 이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큰 개구부, 또는 이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큰 개구 영역 중 적어도 1변은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작은 부위에 인접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다각 형상의 개구부 또는 개구 영역 중 적어도 1변이 평면 방향의 자유도가 낮은 부분(예를 들어,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의 1변 또는 섀시 본체의 외연)에 인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평면 방향의 자유도가 높은 부위 중 적어도 1변이 평면 방향의 자유도가 낮은 부분(예를 들어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의 1변 또는 섀시 본체의 외연)에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왜곡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대략 다각 형상의 개구부 또는 개구 영역의 복수의 변이 평면 방향의 자유도가 낮은 부분(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의 1변 또는 섀시 본체의 외연)에 인접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평면 방향의 왜곡을 보다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평면 방향의 자유도가 낮은 부분에 인접하는「개구부 또는 개구 영역의 복수의 변」은 다각형을 구성하는 모든 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또한 1개의 변 이외의 모든 변인 것(예를 들어, 사각 형상의 개구부인 경우에는 3변)도 바람직하고, 또 인접하는 2개의 변 이외의 모든 변(예를 들어, 사각 형상의 개구부인 경우에는 대향하는 3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대략 다각 형상의 개구부 또는 개구 영역은 그 테두리부에 주변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섀시 본체에는, 지지하는 구성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밀접하게 지지하도록 베젤에 대한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합 수단이 베젤에 결합됨으로써, 예를 들어 도광판과 같이 비틀림의 자유도가 낮은 구성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밀접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섀시 본체의 비틀림을 구성 부재에 의해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섀시 본체가 비틀림의 자유도를 가질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구성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에 의해 비틀림의 자유도가 규제되기 때문에, 섀시 본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하는 구성 부재의 두께 수직 방향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섀시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규제 수단에 의해 구성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가 두께 수직 방향(평면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한 파손을 보다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은 섀시는, 평면 표시 장치나 섀시 유닛에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연이 상방으로 수직 상승된 사각 형상의 수지 섀시(100)에 평면 표시 소자인 액정 패널(500) 등의 구성 부재가 적층되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 수단인 반사 시트(200), 도광판(300), 광학 시트(400), 액정 패널(500)이 차례로 적층되고 그 상방으로부터 금속제의 베젤(600)이 피복됨으로써, 각 구성 부재(200, …)가 수지 섀시(100)에 두께 방향으로 밀접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수지 섀시(100)에는, 그 외연의 수직 상승부(110)의 내측에 광원인 냉음극관(700)이 상기 도광판(300)의 테두리부에 대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도4 참조). 또한, 상기 반사 시트(200)는 테두리부(201)가 역ㄷ자형으로 접혀져 있고, 이 접힘 부분(201)이 냉음극관(700)과 수지 섀시(100) 사이에 개재되어 리플렉터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예에서는 L자형의 냉음극관(700)이 2개 배치되어(도시 생략), 도광판(300)의 사방으로부터 빛이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예에서는, 광학 시트(400)는 1매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매 설치하는 것도 적절하게 설계 변경 가능한 사항이다.
상기 수지 섀시(100)는 수지의 일체 성형품인 섀시 본체(100)로 구성되어 있고, 이 섀시 본체(100)는 복수(도시예에서는 6개)의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를 갖고 있다. 여기서,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는 모두 대략 직각 삼각 형상을 이루고, 직각을 구성하는 1변은 섀시 본체(100)의 외연[수직 상승부(110)]에 인접하는 동시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대략 삼각 형상의 다른 변은 인접하는 다른 개구부의 1변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는 대략 삼각형의 정점을 구성하는 2변이 연속하도록 상기 정점 부근에 만곡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만곡부(12l)는 곡률(R)이 이하의 식인 것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R < [{(- a + b + c)(a - b + c)(a + b - c)}/{4(a + b + c)}]1/2
또 이 식에 있어서 a, b, c는 가상의 삼각형(3개의 직선이 각각 교차하여 구성되는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섀시 본체(100)는 대략 삼각 형상과 다른 대략 다각 형상의 개구부(130)를 갖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회로 기판 부착용 대략 사각 형상의 개구부(130)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회로 기판 부착용 개구부(130) 중, 한 쪽 개구부(130)는 2개의 변이 각각 섀시 본체(100)의 외연(110)에 인접하는 동시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 개구부(130)는 1개의 변이 섀시 본체(100)의 외연(110)에 인접하는 동시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섀시 본체(100)에는 이 회로 기판 부착용 개구부(130)에 인접하여 2개의 개구부(140)가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개구부(140) 및 2개의 회로 기판 부착용 개구부(130)의 4개의 개구부(130, 140)에 의해 평면 방향의 자유도가 높은 영역, 즉「대략 삼각형과 다른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구부(130, 140)로 이루어지는 대략 다각 형상의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 영역은 2개의 변이 섀시 본체(100)의 외연(110)과 인접하는 동시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다른 2개의 변이 상기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에 인접하는 동시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섀시 본체(100)는, 전술한 개구부(120, 130, 140) 외에 중앙에 대략 원형의 개구부(150) 및 그 양측에 대략 사각 형상의 개구부(160)를 갖는다.
또한, 전술한 개구부(120, …)의 테두리부는 테두리가 아닌 나머지 주변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170)로서 설치되어 있고, 이 두께부(17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시 본체(100)의 바닥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섀시 본체(100)는, 구성 부재(200, …)가 적층되는 표면측은 동일면으로 형성되고, 개구부(120, …)의 테두리부에 있어서 바닥면측을 향해 돌출되어 두께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섀시 본체(100)의 테두리부(110)의 외측면에는 베젤(600)에 대한 결합 수단(1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수단(180)은 섀시 본체(100)의 테두리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8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측이 테이퍼면(18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에 있어서 볼록부(180)는 섀시 본체(100)의 긴 변에 4개, 짧은 변에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젤(600)에는 상기 볼록부(180)에 대응하는 부위에 천공(601)이 형성되어 있다. 섀시 본체(100)에 구성 부재(200, …)가 적층된 후에 베젤(600)을 피복함으로써, 상기 결합 수단(180)과 피결합 수단(601)이 결합하여 베젤(600)에 의해 도광판(300) 등의 구성 부재(200, …)가 섀시 본체(100)측에 압접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게 된다.
또한, 섀시 본체(100)는 도광판(300)의 두께 수직 방향(평면 방향)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190)을 갖고 있다. 이 규제 수단(190)은 섀시 본체(100)의 표면측(구성 부재가 적층되는 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9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300)의 테두리부에 접촉하도록 표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예에 있어서, 이 볼록부(190)는 섀시 본체(100)의 긴 변에 3개, 짧은 변에 2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반사 시트(200)에는 상기 볼록부(190)에 대응하는 부위에 천공(2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190)는 반사 시트(200)의 천공(203)으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도광판(300)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섀시 본체(100)의 대향하는 2개의 코너부에는, 도광판(300)의 각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볼록부(19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용 볼록부(191)에 형성된 함몰부(193)에 의해 도광판(300)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도광판(300)의 테두리부가 상기 규제 수단인 볼록부(190)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섀시 본체(100)의 개구부(120)가 대략 삼각 형상의 형상이므로, 섀시 본체(100)의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작아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강도가 요구되지 않거나, 혹은 보강의 금속판을 별도로 필요로 한 수지 섀시(100)에 의해 구성 부재(200, …)를 지지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경감하여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섀시 본체(100)는 수지로 일체 성형되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개구부(120, …)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섀시 본체(1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수지 재료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의 각 변이 다른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의 1변 또는 섀시 본체(100)의 테두리부(110)에 인접하는 동시에 평행하기 때문에 보다 경량화 및 수지 재료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회로 기판 부착용 대략 사각 형상의 개구부(130)도 섀시 본체(100)의 테두리부(110)에 인접하는 동시에 평행하고, 또한 이 회로 기판 부착용 개구부(130)를 포함하는 개구 영역도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의 1변 또는 섀시 본체(100)의 테두리부(110)에 인접하는 동시에 평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위의 강도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 및 수지 재료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20, …)의 테두리부에는 두께부(17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체를 두껍게 한 것과 대략 동등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구성에 의해 상술한 이점을 갖는 것이었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즉,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표시 패널(500)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평면 표시 장치나 평면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섀시나 이 섀시에 광원 등의 구성 부재가 일체화된 섀시 유닛 등도 본원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섀시 본체(100)의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의 각 정점 부근에 만곡부(12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정점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적확하게 회피할 수 있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었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점 부근을 굴곡 직선(123)으로 연결하는 형상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대략 삼각 형상의 정점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평면 방향의 자유도가 작은 개구부로서는 원형의 개구부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섀시 본체(100)가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를 6개 갖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에 있어서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가 2개인 것도 본원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대략 직각 삼각형의 개구부(120)를 채용하였지만,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개구부(120)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략 직각 삼각형의 개구부(120)를 채용한 경우라도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원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120)의 수나 배치는 적절하게 설계 변경 가능한 사항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섀시(100)가 수지 성형품인 섀시 본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섀시 본체(100)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나 세라믹 등의 소성물로 구성되는 것, 그리고 금속과 수지와 세라믹 등의 소성물 중 적어도 2개로 구성되는 것도 본원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섀시 본체(100)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섀시 본체(100)가 일체의 수지 성형품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섀시 본체(100)가 복수의 부품이 용접 및 나사 고정, 계지 등에 의해 일체가 된 것도 본원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이다. 또, 이들 부품은 수지, 금속, 소성물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의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작아 섀시 본체가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어 종래의 보강용 금속판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경감하여 비용 절감에 기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개구부가 섀시 본체에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2 및 도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섀시의 설명도로, 도2는 평면도, 도3은 바닥면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주요부 확대 단면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지 섀시, 섀시 본체
110 : 외연, 수직 상승부
120, 130, 140, 150, 160 : 개구부
121 : 만곡부
170 : 두께부
180 : 결합 수단
181 : 테이퍼면
190 : 규제 수단, 볼록부
191 : 볼록부
193 : 함몰부
200 : 반사 시트
201 : 외연, 접힘 부분
300 : 도광판
400 : 광학 시트
500 : 액정 패널
600 : 베젤
601 : 천공, 피결합 수단
700 : 냉음극관

Claims (14)

  1. 평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평면 표시 소자 등의 구성 부재를 섀시 본체에 의해 지지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이며,
    상기 섀시 본체는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작은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는 대략 삼각형의 정점을 구성하는 2변이 연속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부에는 그 주변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본체는 복수의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를 갖고 있고,
    상기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 중 적어도 1변은 다른 대략 삼각 형상의 개구부의 1변, 또는 섀시 본체의 외연에 인접하는 동시에 대략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본체는 수지, 세라믹 등의 소성물 및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본체는 단일 개체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본체는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큰 개구부를 갖고 있고,
    이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큰 개구부, 또는 이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큰 개구 영역 중 적어도 1변은 평면 방향의 왜곡의 자유도가 작은 부위에 인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본체에는 지지하는 구성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밀접하게 지지하도록 베젤에 대한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본체에는 지지하는 구성 부재의 두께 수직 방향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12. 제1항에 기재된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13. 제1항에 기재된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에 기재된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유닛.
KR1020040009885A 2003-02-17 2004-02-16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평면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및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유닛 Expired - Fee Related KR100720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38887 2003-02-17
JP2003038887 2003-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928A KR20040074928A (ko) 2004-08-26
KR100720626B1 true KR100720626B1 (ko) 2007-05-21

Family

ID=3352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8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0626B1 (ko) 2003-02-17 2004-02-16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평면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및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30005B2 (ko)
KR (1) KR100720626B1 (ko)
CN (1) CN1551057B (ko)
TW (1) TWI3562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700B1 (ko) * 2007-07-06 2009-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가지는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6603B (en) * 2004-09-21 2006-06-11 Quanta Comp Inc Combination frame for fixing flat panel display module
EP1677587B1 (en) * 2004-12-30 2008-10-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 sealed chassis, a seal and a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sealed chassis
KR100696832B1 (ko) * 2005-08-30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TWI344571B (en) * 2006-12-06 2011-07-01 Au Op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module
KR100849337B1 (ko) * 2007-01-04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보강 장치
JP4350762B2 (ja) * 2007-03-19 2009-10-2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式コンピュータ
WO2009008617A2 (en) 2007-07-06 2009-01-15 Lg Innotek Co., Ltd Display device
JP4945724B2 (ja) * 2007-07-27 2012-06-06 Hoya株式会社 液晶パネル用取付部材
CN102404959A (zh) * 2010-09-16 2012-04-0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该电子装置的金属壳体的制造方法
JP5660314B2 (ja) * 2011-02-10 2015-0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8988629B2 (en) * 2011-11-18 2015-03-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CN102345836B (zh) * 2011-11-18 2015-02-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板、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US20130128350A1 (en) * 2011-11-18 2013-05-2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JP2014092173A (ja) * 2012-10-31 2014-05-19 Toshiba Corp 支持装置、支持具、および電子機器
KR102094969B1 (ko) 2013-08-13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8819A (ja) * 1996-11-18 1998-06-0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202789A (ja) * 1997-12-30 1999-07-30 Samsung Electron Co Ltd 一体形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JP2002107700A (ja) * 2000-09-29 2002-04-10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2116710A (ja) * 2000-10-11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44A (ja) * 1995-04-20 1997-01-10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3889090B2 (ja) 1996-08-28 2007-03-07 株式会社東芝 シート保持装置
JPH11102160A (ja) * 1997-09-29 1999-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パネルモジュール及び当該液晶パネルモジュールを用い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3943682B2 (ja) 1997-11-17 2007-07-11 株式会社東芝 平面表示装置
JP2000181362A (ja) * 1998-12-17 2000-06-30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0307258A (ja) *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部付き携帯電子機器
JP2003167235A (ja) * 2001-12-03 2003-06-13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の組み立て構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8819A (ja) * 1996-11-18 1998-06-0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269943B1 (ko) * 1997-03-03 2000-10-16 윤종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
JPH11202789A (ja) * 1997-12-30 1999-07-30 Samsung Electron Co Ltd 一体形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JP2002107700A (ja) * 2000-09-29 2002-04-10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2116710A (ja) * 2000-10-11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69943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700B1 (ko) * 2007-07-06 2009-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가지는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0708A (en) 2005-01-01
TWI356218B (en) 2012-01-11
US20040263713A1 (en) 2004-12-30
CN1551057B (zh) 2013-05-01
US7130005B2 (en) 2006-10-31
KR20040074928A (ko) 2004-08-26
CN1551057A (zh)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26B1 (ko)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평면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및 평면 표시 장치용 섀시 유닛
US11455007B2 (en) Support plates, display apparatuses and electronic devices
US9563078B2 (en) Fram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00177259A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same
US10031281B2 (en) Display apparatus
US6724445B2 (en) Display element frame for a portable device
EP3844548B1 (en) Micromirror actuator assembly
JP4312625B2 (ja) 平面表示装置用シャーシ、平面表示装置、および、平面表示装置用シャーシユニット
EP2837963B1 (en) Backlight unit for display device
KR20190056472A (ko) 인쇄회로기판, 표시 패널, 이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US20060290833A1 (en) Top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590493C (zh) 液晶显示装置
US7712947B2 (en) Backlight module
US12222538B2 (en) Display devices and tiled display devices
US20090080179A1 (en)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306686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N210925298U (zh)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9603267B2 (en) Bracket and frame body having the same
CN109410770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13143204A1 (zh) 液晶显示装置及其一背光模块
US10732346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058090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back light not more than 7mm in thickness
US20060221607A1 (en) Backlight assembly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4368265B2 (ja) 表示装置用フレーム、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US10191210B2 (en) Optical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