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9533B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533B1
KR100719533B1 KR1020010024375A KR20010024375A KR100719533B1 KR 100719533 B1 KR100719533 B1 KR 100719533B1 KR 1020010024375 A KR1020010024375 A KR 1020010024375A KR 20010024375 A KR20010024375 A KR 20010024375A KR 100719533 B1 KR100719533 B1 KR 10071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beam
hole
focusing electrode
electrode
foc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094A (ko
Inventor
배민철
홍영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533B1/ko
Priority to US10/134,699 priority patent/US6756748B2/en
Publication of KR2002008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5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96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complex and not provided for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오드 및 제어전극과 스크린전극을 포함하는 삼극부와, 삼극부와 동축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보조렌즈들을 형성하는 제1,2 보조집속전극들과, 제1,2전극들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2집속전극들, 상기 제2집속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1,2집속전극의 각 대향되는 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가장자리에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의 인가시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1,2집속전극들의 대향면과 대응되는 평활면을 가지는 돌출부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도 2는 제1집속전극과 제2집속전극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2집속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제1집속전극과 제2집속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제1,2집속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제1집속전극과 제2집속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2집속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는 제1집속전극과 제2집속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제1,2집속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일부절제 사시도,
도 10는 제1집속전극과 제2집속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2집속전극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라인형으로 배열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들이 개선된 칼라 음 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열전자를 방출하는 것으로, 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에 랜딩되는 상태에 따라 칼라 음극선관의 성능이 좌우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의 형광점에 정확하게 랜딩시킬 수 있도록 포커스 특성과 전자렌즈의 수차를 줄일 수 있는 많은 전자총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최근 음극선관의 전장을 줄이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편향각을 크게하고 전자총의 길이를 줄이고 있는데, 이 경우 형광막의 중앙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포커싱 길이보다 형광막의 주변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포커싱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어 화면 주변부에서의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편향각이 커짐에 따라 형광막에 대한 전자빔의 입사각이 작아짐으로 인하여 전자빔의 왜곡량이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형광막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빔경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셀프 콘버어젼스 방식의 인라인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하기 위해 비균일자계를 형성하는 편향요오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들은 전자총내에 설치된 주렌즈에 의해 빔의 집중 및 편향자계에 의한 핀쿠션형의 수평편향자계 및 배렐형 수직 편향자계로 이루어진 비균일 자계에 의해 화면의 전역에서 콘버젼스 된다.
이와 같이 비균일 자계를 통과한 전자빔은 인라인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중 중앙의 전자빔에 비하여 주변에 위치되는 전자빔이 왜곡을 더 크게 받음으로 주변에 위치된 전자빔의 보정력을 중앙의 전자빔에 비하여 크게하는 것이 포커스 특성 에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빔의 단면과 포커스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종래의 전자총들은 사중극렌즈를 채용하고 있는데,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총의 삼극부로부터 출사된 전자빔이 프리포커스 지점을 지나 사중극렌즈로 도달하였을 때에 사중극렌즈를 이루는 전극에 인가된 다아니믹 전압을 상승시키면, 사중극렌즈를 이루는 전계방향으로 전자빔이 이동되어 수직으로는 발산, 수평으로는 집속되는 방향으로 전자빔을 이루는 전자들이 힘을 받게 된다. 이는 화면 주변부로 편향시 편향자계 및 전자빔의 입사각과 스크린면의 곡율에 의한 전자빔의 왜곡을 상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사중극렌즈를 이루는 전극에 인가된 다이나믹 전압의 상승시 인라인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 간에 초점거리 비점수차 정도가 대구경렌즈의 구경 및 좌우 비율차이로 인한 조정정도의 차이를 갖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빔의 화면의 주변부로 편향시 전자빔의 비점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전자총이 미국특허 4,701,677호와 미국 특허 4,817,6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 4,817,670호에 개시된 전자총은 전자빔의 편향으로 인한 수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포커스 전극을 두 부분을 분할하고 분할된 두 전극중 일측의 전극에 수직방향으로 긴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타측의 전극에 수평방향으로 긴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종래 전자총의 다른 일예가 예가 US5,027,043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자총은 직선패스로부터 전자빔의 변환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수단은 셀프 컨버어젼스 타입 편향요오크에 의해 알려진 수차를 보정하기 사중극렌즈가 이용된다. 사중극렌즈 수단은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 또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전극에 서로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전자총은 인라인상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을 정집중시킴과 아울러 전자빔의 편향을 위한 수직 및 수평편향자계에 의한 단면을 보정할 수 있다.
칼라 음극선관이 광편향각화 및 평면화 되면서 화면주변와 화면 중앙주변의 초점거리차가 증가하고 편향요오크에 의한 비점수차의 발생은 더욱 커지게 되므로 전자총은 강한 비점수차 보정력과 초점거리 보정력이 필요하게 된다.
강한 비점수차 보정력을 위해서는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간에 걸리는 큰 전위차이가 발생하여야 하고 화면주변의 초점거리 보정력 또한 커야 하므로 화면 주변에서는 높은 전압 발생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높은 전압의 필요는 회로상의 신뢰성 문제와 전자총 전극간의 내전압 문제를 야기 시킨다. 또한 화면의 주변에서 입사할 경우 주렌즈에 근접한 사중극렌즈의 작용중 수평으로는 집속하고 수직으로는 발산하는 작용에 의해 화면 주변부에서는 화면에 입사하는 빔의 입사각이 수평은 작고 수직은 커짐으로 인한 화면 주변에서 수평경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자빔의 편향에 따른 비점수차는 편향요오크에 의한 전자빔의 편향각이 넓어짐에 따라 심화되고, 콘버어젼스 특성 또한 저하되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사중극렌즈를 가진 칼라 음극선관이 미국 특허 번호 6,051,91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의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들의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플레이트 전극들의 플레이트 길이를 양측 전자빔측 보다 중앙의 전자빔 측이 길게 형성하여 화면의 주변부에서 콘버어젼스와 비점수차 보정을 위해 중앙의 전자빔을 강하게 포커싱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중극렌즈를 갖는 음극선관은 전자빔의 편향각이 광각화 됨에 따라 화면 주변부에서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에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압이 높아지는데, 이 다이나믹 전압이 높아짐에 따라 화면주변부에서 인라인으로 배열된 중앙의 전자빔과 주변의 전자빔의 비점수차 보정효과의 차이로 인해 화면의 주변부에서 포커스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주렌즈에 대구경을 채용한 전자총 있어서 심하게 나타나난다. 즉, 대구경 전극에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할 경우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 /수평으로의 정전렌즈 변화 비율이 양측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 수평 변화율 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앙의 전자빔이 통과하는 영역은 수직 방향의 등전위선에 비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완만한 등전위선의 분포가 되어 정전렌즈의 유효경이 수직방향의 유효경보다 크게 때문에 다이나믹 전압의 변화로 인한 주렌즈의 강도변화시 수직방향의 변화율이 수평방향의 변화율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측의 전자빔은 대구경의 편측에 위치되므로 다이나믹 전압의 변경시 수평방향의 등전위선 변화효과가 중앙보다 크게 발생하여 전자빔의 수평방향 으로 그 형태가 동시에 변화되의 전자빔의 종장형화 율이 중앙의 전자빔 변화율보다 적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양측 전자빔을 화면주변부로 편향하기 위한 다이나믹 전압은 중앙의 전자빔의 편향을 위한 다이나믹 전압에 비해 더 높은 전압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다른 실시예가 미국 특허 4,764,70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전자총은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두 전극에 형성된 버링부를 각각 상하부측과 좌우측부를 절개하여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전계의 비원형성을 보정하고, 전자빔 통과공에 따른 사중극렌즈 극대화 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총은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들의 버링부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버링부의 절개에 따른 가공의 신뢰성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향각의 광각화에 따라 형광막의 주변부에 랜딩되는 세 전자빔의 편향요오크에 의한 비점수차 보정 및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켜 전 형광막에 균일한 전자빔 스폿을 형성할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오드 및 제어전극과 스크린전극을 포함하는 삼극부와, 삼극부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2집 속전극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2집속전극의 각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가장자리에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의 인가시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1,2집속전극들의 대향면과 대응되는 평면부를 가지는 돌출부들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집속전극에는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에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3,4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2돌출부의 제1,2평활면들과, 상기 3,4돌출부의 제3,4평활면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다른 특징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오드 및 제어전극과 스크린전극을 포함하는 삼극부와, 삼극부와 동축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보조렌즈들을 형성하는 제1,2 보조집속전극들과, 제1,2전극들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2집속전극들, 상기 제2집속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1,2집속전극의 각 대향되는 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가장자리에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의 인가시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1,2집속전극들의 대향면과 대응되는 평활면을 가지는 돌출부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은 세 전자빔이 공히 통과하는 대구경 렌즈를 채용한 것으로, 세 전자빔이 편향요오크에 의한 편향시 세 전자빔에 작용하는 사중극렌즈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집속력과 발산력을 가변시켜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킴으로써 편향요오크의 불균일자계에 따른 편향비점수차 보정효과와, 다이나믹 포커스 저압의 변화에 따른 콘버어젼스 조정이 용이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에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10)은 전자빔 방출원인 캐소오드(11), 제어전극(12) 및 스크린 전극(13)으로 이루어진 삼극부와, 상기 삼극부와 동축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전자빔을 예비 집속 및 가속시키기 위한 제1,2보조집속전극(14)(15)과, 적어도 하나의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2집속전극(20)(30)과, 상기 제2집속 전극(30)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세 전자빔이 공히 통과하는 대구경의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집속전극(16)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총(10)을 이루는 각각의 전극에는 하나 또는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각각 형성되며, 특히 대구경 주렌즈를 이루는 제2집속전극(30)과 출사측과 최종 집속전극(16)의 입사측은 각각 세 전자빔이 공히 통과하는 대구경 전자빔 통과공(30H1)(16H1)이 형성된 외부전극부재(30a)(16a)와, 상기 외부전극부재(30a)(16a)의 내부에 설치되며 독립된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30H2)(16H2)이 형성된 판상의 내부전극부재(30b)(16b)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2집속 전극(20)(30)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들에 의해 형성되는 사중극렌즈의 수평 및 수직 발산력을 다르게 하여 전자빔의 단면을 보정하는 평활면을 가진 돌출부들로 이루어진 보정수단이 설치된다.
이하에 보정수단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정수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속전극(20)의 출사측면에 사중극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21)의 수평방향 가장자리에 제1,2돌출부(41)(42)가 설치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30)에 형성된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31)의 수직방향 가장자리에 제3,4돌출부(43)(44)가 형성된다.
상기 제1,2,3,4돌출부(41)(42)(43)(44)는 판상의 부재가 크랭크 형상으로 절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제1집속전극(20) 또는 제2집속전극(30)의 대응되는 면에 접합되는 기부(41a)(42a)(43a)(44a)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1b)(42b)(43b)(44b)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2집속전극(20)(30)과 대응면 즉, 출사측면 및 입사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활면(41c)(42c) (43c)(44c)을 가진다. 상기 기부와 평활면을 연결하는 연장부는 수직을 이루거나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1)(42)(43)(44)들의 평활면은 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평활면(41c)(42c) (43c)(44c)들의 단부는 원호, 타원형의 호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사중극렌즈의 형성에 간섭을 주지 않은 범위내에서 제1,2집속전극(20)(30)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는 제1,2집속전극(20)(30)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22)(32)을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2,3,4돌출부(41-44)들에 의해 사중극렌즈가 형성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 6 및 도 7에는 사중극렌즈의 집속 및 발산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보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집속전극(20)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33)의 수직방향 상하부에 제5,6돌출부(45)(46)들이 형성되고, 이 제5,6돌출부(45)(46)가 상기 제1집속전극(20)의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23)에 삽입되어 제5,6돌출부(45)(46)의 평활면(45a)(46a)이 제1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공(23)의 형성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집속전극(20)의 내부에는 사중극렌즈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61)이 형성된 판전극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보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집속전극(20)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30)에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34)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속전극(30)의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 방향 가장자리에 제2집속전극(3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7,8돌출부(47)(48)와, 상기 제1집속전극(20)의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24)의 수평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2집속전극(30)의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9, 10돌출부(49)(50)를 구비하여 제7,8돌출부(47)(48)의 평활면(47c)(48c)과 제9 10 돌출부(49)(50)의 평활면(49c)(50c)이 제2집속전극(3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2집속전극(30)에 형성된 제 7,8돌기가 전자빔 통과공의 가장자리가 절개(랜싱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제2집속전극(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보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속전극(20)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30)에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35)이 형성되며, 제1집속전극(20)의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25)의 수평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2집속전극(30)의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35)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1, 12돌출부(51)(52)를 구비한다.
상기 제11,12돌기부(51)(52)들은 상기 제1집속전극의 원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방향 가장자리가 랜싱 가공되어 제1집속전극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전자총의 전극에는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데, 제1집속전극(30)에는 스테틱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40)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여 화면 주변으로의 빔 편향시 전압이 증가하는 파라볼라형의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이루는 전극에 소정의 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각 전극들의 사이에는 전기력선 및 등전위선에 의한 전자렌즈가 형성되는데, 이를 전자빔이 형광막의 중앙부에 주사될 때와 주변부에 주사될 때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빔이 형광막의 중앙부로 주사되는 경우 제1,2집속전극(20)(30)에 의해 사중극렌즈가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캐소오드(11)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스크린 전극(13)과 제1보조집속전극(14)에 형성된 프리포커스 렌즈와 제1,2보조 집속전극(14)(15)에 의해 형성된 보조렌즈에 의해 예비집속 및 가속된 후 제2집속렌즈(30)과 최종가속전극(16)에 사이에 형성되는 주렌즈에 의해 최종집속 및 가속되어 형광막의 중앙부에 랜딩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음극선관의 형광막의 주변부로 주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집속전극(30)에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고 제1집속전극(20)에 상대적으로 낮은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됨으로서 이들 사이에는 다이나믹 사중극렌즈가 되며 제2집속전극(30)과 최종가속전극 (16)의 사이에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배율이 약화된 대구경의 주렌즈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가 형성된 상태에서 캐소오드(11)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프리 포커스 렌즈와 보조렌즈를 통과하면서 예비집속 및 가속된 후 사중극렌즈들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사중극렌즈들을 이루는 제1,2집속전극(20)(30)의 각 대향되는 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대향되는 선단면이 전자빔 통과공의 형상을 이루는 제1,2,3,4돌출부(41-4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한 사중극렌즈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중극렌즈의 수직 전계발산 전계가 강해져 전자빔의 단면을 종장황화 시키는 보정작용이 중앙의 전자빔이 통과하는 사중극렌즈의 보장작용보다 강해진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중극렌즈를 이루는 전계의 수직 방향분력과 수평방향분력의 차가 강할수록 전기장의 왜곡이 커지고 사중극렌즈를 강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빔의 보정작용으로 전자빔의 종장형화가 심화되어 주렌즈와 편향요오크의 불균일 자계에 의한 전자빔의 왜곡이 보정되고 나아가서는 전형광막에 균일한 전자빔의 스폿을 이루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집속전극(30)에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고 최종집속전극(16)과의 전압차가 작아져 주랜즈의 배율이 상대적으로 약화됨으로써 이를 통과한 구면수차를 받게 되고, 초점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집속전극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중극렌즈 효과를 강화시켜 전자빔의 비점수차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사중극렌즈들에 의한 집발산력에 의해 변화된 각 전자빔의 단면이 편향요오크의 불균일 자계에 의해 편향시 수평경 확대 및 빔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화면의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균일한 포커스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오드 및 제어전극과 스크린전극을 포함하는 삼극부와, 삼극부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2집속전극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2집속전극의 각 대향되는 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가장자리에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의 인가시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1,2집속전극들의 대향면과 대응되는 평활면을 가지는 돌출부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속전극에는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에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방향 양측 제1,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방향의 양측에 제3,4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2돌출부의 제1,2평활면들과, 상기 3,4돌출부의 제3,4평활면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돌출부의 단부 형상이 원호, 타원,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통과공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속전극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방향으로 제 5,6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집속전극의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에 삽입되어 돌출부의 평활면과 제1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공 형성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속전극의 내부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판전극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속전극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속전극의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 방향 가장자리에 제2집속전극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7,8돌출부와,
    상기 제1집속전극의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2집속전극의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9 10돌출부를 구비하여 제7,8돌출부의 평활면과 제9 10 돌출부의 평활면에 제2집속전극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속전극에 형성된 제 7,8돌기가 전자빔 통과공의 가장자리가 랜싱가공되어 제2집속전극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9.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속전극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집속전극의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제2집속전극의 횡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1, 12돌출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1,12돌기부들이 상기 제1집속전극의 원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방향 가장자리가 랜싱가공되어 제1집속전극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1.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오드 및 제어전극과 스크린전극을 포함하는 삼극부와, 삼극부와 동축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보조렌즈들을 형성하는 제1,2 보조집속전극들과, 제1,2전극들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2집속전극들, 상기 제2집속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1,2집속전극의 각 대향되는 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가장자리에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의 인가시 전자빔의 단면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1,2집속전극들의 대향면과 대응되는 평활면을 가지는 돌출부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속전극에는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집속전극에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종장형 전자빔 통과공의 수평방향 양측 제1,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방향의 양측에 제3,4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2돌출부의 제1,2평활면들과, 상기 3,4돌출부의 제3,4평활면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돌출부의 단부 형상이 원호, 타원,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20010024375A 2001-05-04 2001-05-04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375A KR100719533B1 (ko) 2001-05-04 2001-05-04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10/134,699 US6756748B2 (en) 2001-05-04 2002-04-30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375A KR100719533B1 (ko) 2001-05-04 2001-05-04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094A KR20020085094A (ko) 2002-11-16
KR100719533B1 true KR100719533B1 (ko) 2007-05-17

Family

ID=1970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3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533B1 (ko) 2001-05-04 2001-05-04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56748B2 (ko)
KR (1) KR100719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244B1 (ko) * 2008-05-20 2014-07-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전자빔 집속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자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5604A (ja) * 2003-01-15 2004-09-24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陰極線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982A (ko) * 1989-08-21 1991-03-29 윌리암 에프. 마쉬 공정 부하 팽창기를 사용하는 천연가스의 액화 방법
US5300855A (en) * 1991-11-26 1994-04-05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Electron gun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721936A (ja) * 1993-06-30 1995-01-24 Hitachi Ltd 陰極線管
JPH11144641A (ja) * 1997-09-05 1999-05-28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1677A (en) 1984-07-30 1987-10-20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S6199249A (ja) 1984-10-18 1986-05-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受像管装置
US4764704A (en) 1987-01-14 1988-08-16 Rca Licensing Corporatio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US4877998A (en) * 1988-10-27 1989-10-31 Rca Licensing Corp. Color display system having an electron gun with dual electrode modulation
US5027043A (en) 1989-08-11 1991-06-2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n gun system with dynamic convergence control
JP3339059B2 (ja) * 1991-11-14 2002-10-28 ソニー株式会社 陰極線管
JPH0831332A (ja) 1994-07-13 1996-02-02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KR100274880B1 (ko) * 1998-12-11 2001-01-15 김순택 칼라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100334073B1 (ko) * 1999-10-19 2002-04-26 김순택 음극선관용 전자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982A (ko) * 1989-08-21 1991-03-29 윌리암 에프. 마쉬 공정 부하 팽창기를 사용하는 천연가스의 액화 방법
US5300855A (en) * 1991-11-26 1994-04-05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Electron gun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721936A (ja) * 1993-06-30 1995-01-24 Hitachi Ltd 陰極線管
JPH11144641A (ja) * 1997-09-05 1999-05-28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244B1 (ko) * 2008-05-20 2014-07-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전자빔 집속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전자총
US8912505B2 (en) 2008-05-20 201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 beam focusing electrode and electron gun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63291A1 (en) 2002-11-07
KR20020085094A (ko) 2002-11-16
US6756748B2 (en) 200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5202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US649842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dynamic focus electron gun having elongated beam passing hole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n beam distortion
KR94000815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1953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70008565B1 (ko) 전자총
US6456018B1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94000444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GB2281657A (en) Electron gun with astigmatism correction
KR10029192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38893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0452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US6525494B2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3967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2000157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52106B1 (ko) 전자총의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92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60012415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10026939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610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7771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446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5922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1923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66100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구체
KR20010018887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5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