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9526B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526B1
KR100719526B1 KR1020000048541A KR20000048541A KR100719526B1 KR 100719526 B1 KR100719526 B1 KR 100719526B1 KR 1020000048541 A KR1020000048541 A KR 1020000048541A KR 20000048541 A KR20000048541 A KR 20000048541A KR 100719526 B1 KR100719526 B1 KR 10071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ocus
electron beam
hole
focus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440A (ko
Inventor
배민철
홍영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526B1/ko
Priority to US09/839,593 priority patent/US6456018B1/en
Publication of KR2002001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5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2,3,4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4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5,6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6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도 1은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도시한 것으로 전압 인가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도 3은 제1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2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제2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의 주변부로 주사될 때에 전극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렌즈를 가시화시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8은 비균일 편향자계에 의한 자계의 분포 및 이에 의한 빔의 왜곡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라인형으로 배열설치되며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자빔 통과공이 개량된 칼라 음극선관 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열전자를 방출하는 것으로, 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에 랜딩되는 상태에 따라 음극선관의 성능이 좌우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의 형광점에 정확하게 랜딩시킬 수 있도록 포커스 특성과 전자렌즈의 수차를 줄일 수 있는 많은 전자총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최근 음극선관의 전장을 줄이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편향각을 크게하고 전자총의 길이를 줄이고 있는데, 이 경우 형광막의 중앙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포커싱 길이보다 형광막의 주변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포커싱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어 화면주변부에서의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편향각이 커짐에 따라 형광막에 대한 전자빔의 입사각이 작아짐으로 인하여 전자빔의 왜곡량이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형광막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빔경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셀프 콘버어젼스 방식의 인라인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하기 위해 비균일자계를 형성하는 편향요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들은 전자총내에 설치된 주렌즈에 의해 빔의 집중 및 편향자계에 의한 핀쿠션형의 수평편향자계 및 배렐형 수직 편향자계로 이루어진 비균일 자계에 의해 화면의 전역에서 콘버젼스 된다. 이와 같이 비균일 자계를 통과한 전자빔은 각 비점수차를 받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빔이 과집속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일예가 US4,814,670 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자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포커스 전극(11)의 출사측면에 세 개의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1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2포커스전극(13)의 입사측면에는 세 전자빔이 공히 통과하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포커스 전극(11)에는 정전압인 포커스 전압(VF)이 인가되고, 상기 제2포커스 전극(13)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D)이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총은 제2포커스 전극(13)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14)이 단일의 횡장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2포커스 전극(11)(13)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렌즈의 중앙부와 양측의 세기 즉, 배율이 달라 스크린의 좌우측에 랜딩되는 전자빔 스포트의 크기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제2포커스전극(13)에 횡장형의 단일 전자빔 통과공(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치구를 이용한 전자총의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포커스 전극(13)의 입사측면에 형성된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14)에 의해 수직 집속력이 약하여지므로 설정된 수직 집속력을 얻기 위해서 전극에 다이나믹 전압을 높게 걸어주어야 한다.
그리고 전자총의 다른 일예가 US5,027,043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자총은 직선패스로부터 전자빔의 변환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수단은 셀프 컨버어젼스 타입 편향요오크에 의해 알려진 수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사중극렌즈가 이용된다. 사중극렌즈 수단은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 또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전극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전자총은 인라인상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을 정집중시킴과 아울러 전자빔의 편향을 위한 수직 및 수평편향자계에 의한 단면을 보정할 수 있다. 음극선관을 광편향각화 및 평면화 하면서 화면주변에서 화면 중앙주변의 초점거리차가 증가하고 편향요오크에 의한 비점수차의 발생은 더욱 커지게 되므로 전자총은 강한 비점수차 보정력과 초점거리 보정력이 필요하게 된다.
강한 비점수차 보정력을 위해서는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간에 걸리는 큰 전위차이가 발생하여야 하고 화면주변의 초점거리 보정력 또한 커야 하므로 화면 주변에 높은 전압 발생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높은 전압의 필요는 회로상의 신뢰성 문제와 전자총 전극간의 내전압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화면의 주변에서 입사할 경우 주렌즈에 근접한 사중극렌즈의 작용중 수평으로는 집속하고 수직으로는 발산하는 작용에 의해 화면 주변부에서는 화면에 입사하는 빔의 입사각이 수평은 작고 수직은 커짐으로 인한 화면 주변에서 수평경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광편향각을 갖는 음극선관의 주변부에서 빔의 왜곡현상을 낮은 전압으로 보상하기 위해 전압에 민감한 사중극렌즈를 구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중극렌즈를 이루는 통과공을 작게 형성할수록 유효하다. 하지만 조립되는 다른 전극들보다 빔 통과공들의 크기가 작으면 빔 통과공을 이용하여 전자총을 조립하는 공정의 특성상 조립이 매우 어렵게 되고 정밀도나 제작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현실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향각의 광각화에 따라 형광막의 주변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스폿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편향요오크의 편향자계에 의한 전자빔 단면의 왜곡를 보상하고 조립성이 양호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켜 형광막 주변부에서의 해상도와 내전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2,3,4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4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5,6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6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사중극렌즈는 상기 제3포커스 전극의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4포커스 전극의 입사측면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사중극렌즈는 상기 제4포커스 전극의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5포커스 전극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6포커스 전극의 입사측면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2 포커스 전극 및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제3포커스 전극 및 입사측면과 출사측면에 각각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제4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4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며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제5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5포커스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렌즈를 이루는 제6포커스 전극과,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전극과 제2포커스 전극에는 정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3,5포커스 전극에는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4포커스 전극과 제6포커스 전극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파라볼라형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은 삼극부를 이루는 것으로, 인라인상으로 배열된 세 개의 캐소오드(31), 제어전극(32) 및 스크린전극(33)과, 보조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제1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2,3,4,포커스전극(34 -37)과, 상기 제4포커스 전극(37)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제2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5,6포커스 전극(38)(39)과, 상기 제6포커스 전극(39)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40)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총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에는 전자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독립된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 또는 세 전자빔이 공히 통과하는 대구경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포커스 전극(36)의 출사측면에는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제4포커스 전극(37)의 입사측면에는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2)이 형성되어 제1사중극렌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4포커스 전극(37)의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3)이 형성되고, 제5포커스 전극(38)에는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4)이 형성되며, 상기 제6포커스 전극(39)의 입사측면에는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55)이 형성된다.
상기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과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의 형상은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소정의 깊이로 인입된 인입부가 형성되어 키홀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데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사중극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포커스 전극(37)의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3)을 형성하고, 상기 제5포커스 전극(38)과 제6포커스 전극(39)의 입사측면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4)(5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중극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6포커스 전극(37)(39)의 출사측면과 입사측면에 각각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53)(55)을 형성하고, 상기 제5포커스 전극(38)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4)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주렌즈를 형성하는 상기 제6포커스 전극(39)의 출사측과 최종가속전극(40)의 입사측은 각각 대구경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외부전극부재(39a)(40a)와, 상기 외부전극부재(39a)(40a)의 내부에 설치되며 독립된 세 개의 전자빔통과공(56,57)이 형성된 판상의 내부전극부재(39b)(40b)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전극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크린전극(34)과 제2포커스 전극(35)에 소정의 정전압(VS)이 인가되고, 상기 제 1,3,5포커스 전극(34)(36)(38)에는 상기 정전압(VS)보다 높은 포커스 전압(VF)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제4,6포커스 전극(37)(39)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파라볼라형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FD)이 인가되고, 상기 최종가속전극(40)에는 고압의 에노우드 전압(VE)이 인가된다. 상기 에노우드 전압(VE)은 28 내지 35kV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포커스 전압(VF)은 에노우드 전압(VE)의 28% 정도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FD)은 에노우드 전압의 28+3%의 내외로 상기 포커스 전압(VF)을 기저전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이루는 전극에 소정의 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각 전극들의 사이에는 전기력선 및 등전위선에 의한 전자렌즈가 형성되는데, 이를 전자빔이 형광막의 중앙부에 주사될 때와 주변부에 주사될 때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빔이 형광막의 중앙부로 주사되는 경우 포커스 전압(VF)를 기저전압으로 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FD)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전극(33)과 제1포커스 전극(34)의 사이에는 프리 포커스 렌즈가 형성되고, 상기 제2,3포커스 전극(35)(36)의 사이에는 보조렌즈가 형성되며, 상기 제6포커스 전극(39)과 최종가속전극(40)의 사이에는 주렌즈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캐소오드(31)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프리포커스 렌즈에 의해 예비집속 및 가속된 후 주렌즈에 의해 최종집속 및 가속되어 형광막의 중앙부에 랜딩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의 주변부로 주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4포커스 전극(37)과 제6포커스전극(39)에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스크린전극(33)과 제1포커스 전극(34)의 사이에는 프리포커스 렌즈가 형성되고, 제1,2포커스 전극(34)(35)의 사이에는 포커스 전압(VF)과 정전압(VS)에 의한 전기력선과 등전위선에 의해 보조렌즈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포커스 전극(36)과 제4포커스전극(37)의 사이에는 제1사중극렌즈(QL1)가 형성되고, 상기 제4,5,6포커스 전극(37)(38)(39)들의 사이에는 제2사중극렌즈(QL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6포커스 전극(39)와 최종가속전극(40)의 사이에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FD)이 인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배율이 약화된 주렌즈(ML)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가 형성된 상태에서 캐소오드(31)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프리 포커스 렌즈와 보조렌즈를 통과하면서 예비집속 및 가속된 후 제1사중극렌즈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제1사중극렌즈는 제3포커스 전극(36)의 출사측면에 형성된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1)과 제4포커스 전극(37)의 입사측에 형성된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2)에 의해 형성되며 제4포커스 전극(37)에 상대적으로 높은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FD)이 인가되므로 수직방향으로 집속렌즈가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는 발산렌즈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를 통과한 전자빔은 수직방향으로 집속력을 받게 되고 수평방향으로 발산력을 받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속 및 발산된 전자빔은 제4,5,6 포커스 전극(37)(38) (39)에 의해 형성되는 제2사중극렌즈를 통과하게되는데, 상기 제2사중극렌즈는 제4전극의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53)이 형성되고, 상기 제5포커스전극(38)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38)이 형성되며, 상기 제6포커스 전극(39)에 편향 신호에 동기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므로 수직방향으로는 발산렌즈가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는 집속렌즈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사중극렌즈(QL1)를 이루는 집속렌즈부를 통과하면서 집속된 수직전자빔은 제2사중극렌즈(QL2)를 이루는 발산렌즈로의 입사각이 작아져 중앙부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제1사중극렌즈를 이루는 발산렌부를 통과하면서 발산된 수평방향의 전자빔은 제2사중극렌즈를 이루는 집속렌즈부의 가장자리를 통과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구면수차를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사중극렌즈를 통과한 전자빔의 단면은 종장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단면이 종장형을 이룬 전자빔은 제6포커스 전극(39)와 최종가속전극(40)에 의해 형성된 주렌즈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제6포커스 전극(39)에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VDF)이 인가되므로 상기 최종가속전극(40)과 제6포커스 전극(39)의 전압차가 작아져 랜즈의 배율이 상대적으로 약한 주렌즈가 형성된다. 따라서 주렌즈를 통과하는 전자빔은 상대적으로 적은 구면수차를 받게 되고, 초점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장형화된 전자빔은 편향요오크의 불균일 편향자계(DL)에 의해 편향되어 형광막의 주변부로 랜딩된다.
상기와 같이 형광막에 랜딩되는 전자빔은 제1사중극렌즈에 의한 발산 및 집속렌즈부를 통과하는 전자빔의 출사각 차이를 줌으로서 제2사중극렌즈의 집속 및 발산렌즈부에 의해 발생되는 화면주변에 랜딩되는 빔의 입사각 차이를 줄여 보상함으로써 주렌즈 및 제2사중극렌즈에 의해 전자빔의 집속각의 차이 및 편향자계에 의한 전자빔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사중극렌즈(QL1)(QL2)를 형성하는 전자빔 통과공중 제6포커스 전극(39)의 입사측면에는 원형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사중극렌즈는 수직 집속력을 갖는 것 뿐만아니라 사중극렌즈의 작용을 과도하게 강하게 할 때에 수직으로 발산각의 증대 뿐만아니라 수평으로 집속각도 커진다. 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전극에 다이나믹 전압의 인가시 빔의 별꼬리 모양의 할로가 수평방향으로 발생하여 화면 주변에서의 해상도를 열화시키게 되는데, 상기 원형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수평포커스 수차의 조정효과를 가져와 빔이 화면주변에서 수평의 집속각이 너무 켜져 발생하는 화면 주변에서의 빔의 수평 할로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은 종래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에 비하여 20% 이상 낮출수 있을 뿐만아니라 전자총의 조립에 보다 유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제1사중극렌즈에 의한 집발산력에 의해 변화된 전자빔의 단면이 편향요오크의 불균일 자계에 의해 편향시 화면에 입사되는 수평 수직빔의 입사각을 조정함으로써 제2사중극렌즈에 의해 과도하게 입사각 차이가 나는 것을 보상시켜 전자빔의 수평경 확대 및 빔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중극에서의 빔의 사중극렌즈의 영역을 넓힘으로써 사중극효과를 강화하여 작은 사중극통과공형태 이상의 사중극렌즈 효과를 확보하여 조립성을 확보 할수 있다. 더욱이 제2사중극렌즈에 횡장형이 아닌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을 사용하여 수평방향의 할로의 발생을 억제하고, 형광막 주변부에서 포커스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형광면에서 균일한 전자빔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1,2,3,4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4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사중극렌즈를 형성하는 제5,6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6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주렌즈를 이루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3포커스 전극의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4포커스 전극의 입사측면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포커스 전극의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5포커스 전극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6포커스 전극의 입사측면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포커스 전극의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5포커스 전극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6포커스 전극의 입사측면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포커스 전극의 출사측면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5포커스 전극에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6포커스 전극의 입사측면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삭제
  8.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 전극과, 상기 스크린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2 포커스 전극 및 출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제3포커스 전극 및 입사측면과 출사측면에 각각 종장형과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제4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4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며 종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제5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5포커스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며 입사측면에 횡장형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제6포커스 전극과, 상기 제6포커스 전극과 인접되게 설치되는 최종가속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전극과 제2포커스 전극에는 정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3,5포커스 전극에는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4포커스 전극과 제6포커스 전극에는 편향신호에 동기하는 파라볼라형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이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20000048541A 2000-08-22 2000-08-22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41A KR100719526B1 (ko) 2000-08-22 2000-08-22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09/839,593 US6456018B1 (en) 2000-08-22 2001-04-23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41A KR100719526B1 (ko) 2000-08-22 2000-08-22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440A KR20020015440A (ko) 2002-02-28
KR100719526B1 true KR100719526B1 (ko) 2007-05-17

Family

ID=1968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5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9526B1 (ko) 2000-08-22 2000-08-22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56018B1 (ko)
KR (1) KR100719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44B1 (ko) * 2001-09-24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중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EP1581960A1 (en) * 2002-12-30 2005-10-05 LG. Philips Displays Electron gun having a main lens
JP2004265604A (ja) * 2003-01-15 2004-09-24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陰極線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091A (ko) * 1997-04-04 1998-11-25 모리가즈히로 컬러수상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249A (ja) 1984-10-18 1986-05-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受像管装置
US5027043A (en) 1989-08-11 1991-06-2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n gun system with dynamic convergence control
JPH0721936A (ja) * 1993-06-30 1995-01-24 Hitachi Ltd 陰極線管
JPH0831333A (ja) * 1994-07-19 1996-02-02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091A (ko) * 1997-04-04 1998-11-25 모리가즈히로 컬러수상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7654A1 (en) 2002-04-25
US6456018B1 (en) 2002-09-24
KR20020015440A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5202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US5162695A (en) Electron gun assembly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KR100274880B1 (ko) 칼라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10071952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59544B1 (ko) 이중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19980020321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0452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EP1037251A1 (en) Cathode ray tube
KR10071953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52106B1 (ko) 전자총의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08636B1 (ko) 전극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5763991A (en) Electron gun for a color picture tube
KR10077771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7656Y1 (ko) 다단 집속형 전자총의 전극 구조체
KR10051301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525494B2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77771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19087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KR10075130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1952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69099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6162958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10018887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27411A (ko) Q2렌즈의 수직발산을 강화시킨 전자총의 전압결선 및전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