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523B1 - Prefabricated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she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she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9523B1 KR100719523B1 KR1020050074358A KR20050074358A KR100719523B1 KR 100719523 B1 KR100719523 B1 KR 100719523B1 KR 1020050074358 A KR1020050074358 A KR 1020050074358A KR 20050074358 A KR20050074358 A KR 20050074358A KR 100719523 B1 KR100719523 B1 KR 1007195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ugated steel
- steel sheet
- members
- prefabricated bridge
- face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을 하천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조립식 교량은 하천의 양측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기초부재를 포함한다. 파형강판 구조물은 다수의 파형강판이 아치형의 수로/통로부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수로/통로부의 양측 하단부가 기초부재와 각각 결합된다. 제 2 설치부재는 수로/통로부의 입,출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로/통로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양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서로에 대하여 대응되도록 각각 설치되며, 면벽부재가 직립한 상태로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다수의 파형강판이 조립되어 블록화된 각 부재들의 상호 결합을 통해 교량을 시공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교량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시공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어 시공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각 부재들의 상호 결합에 의한 교량의 시공을 통해 안전성의 확보와 블록화된 각 부재들로 인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constructing a bridge in a rive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prefabricated bridge includes a pair of foundation members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The corrugated steel sheet structure is assembled so that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s are formed to have an arcuate channel / path part, and both lower ends of the channel / path part are respectively coupled with the base member.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s are formed at the inlet and outlet edges of the waterway / path part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waterway / path part, and both ends thereof are horizontally bent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wall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upright state. . Due to this structure, a number of corrugated steel sheets are assembled to construct bridges through mutual coupling of each blocked member, so that the bridge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structed regardless of the season,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cycling construction materials. In addition to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and uniformity of the product due to each block member by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by the mutual coupling of each member.
파형강판, 조립식 교량 Corrugated Steel Sheet, Prefabricated Bridg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4a to 4d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측면도, 그리고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shown in Figure 5, and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 도시된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7a to 7d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60 : 교량 20 : 기초부재10,60: bridge 20: foundation member
22 : 세굴방지부재 22A : 수직부22:
22B : 수평부 24 : 제 1설치부재22B: horizontal portion 24: first mounting member
26 : 제 2설치부재 30 : 파형강판 구조물26: second mounting member 30: corrugated steel sheet structure
32 : 수로/통로부 40 : 면벽부재32: channel / path part 40: face wall member
42 : 면벽마감부재 50 : 면벽보강수단42: face wall finishing member 50: face wall reinforcing means
52 : 면벽보강부재 54 : 보강봉52: face wall reinforcing member 54: reinforcing rod
54A : 나사부 54B : 너트54A: Threaded
55 : 제 1연결고리 56 : 와이어부재55: first connection ring 56: wire member
57 : 제 2연결고리 58 : 장력조절부재57: second connection ring 58: tension control member
본 발명은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파형강판이 조립되어 블록화된 각 부재들의 상호 조립을 통해 교량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rrugated steel sheet which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structed through the mutual assembly of each of the members blocked by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s are assembled.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dge use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교량은 강 또는 하천에 시공되는 구조물의 일종으로서, 차량 및 사람들이 강 또는 하천을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도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옛날부터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다.In general, a bridge is a kind of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in rivers or rivers, and has been widely used since ancient times to provide roads for vehicles and people to cross rivers or rivers safely.
이러한 종래 교량은 하천의 바닥면에 구덩이가 형성되도록 지면을 소정의 깊이로 판 다음, 그 구덩이에 거푸집으로 소정의 틀을 형성한 후,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켜 지주를 시공하고, 지주의 상부에 블록단위의 도로의 판을 지지시키는 시공과정을 통해 완성된다.Such a conventional bridge is to form a pit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a pi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and then form a predetermined frame with formwork in the pit, and then fill the concrete in the form and cure to construct a post, It is completed through the construction process to support the plate of the block unit road on the top of th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교량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하천의 바닥면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소정의 틀을 형성하고, 거푸집의 콘크리트를 채우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위해 일정기간 양생시켜서 지주를 시공하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로 인한 어려움과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을 통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른 동절기 공사가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First, the formwork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iver to form a predetermined frame, and the pillars are constructed by filling the formwork concrete and cur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winter construction due to the curing of concrete.
둘째, 시공자재의 특성상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시공비용이 상승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can not be recycled because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is lowered.
셋째, 교량의 시공시마다 거푸집으로 소정의 틀을 형성하여 지주를 시공하고, 지주의 상부에 블록단위의 도로의 판을 지지시킴으로써, 교량의 시공시 안전성의 확보와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construction of the pillar by forming a predetermined frame with formwork every time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and by supporting the plate of the road block in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and uniformity of the product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lue of the product fal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파형강판이 조립되어 블록화된 각 부재들의 상호 조립을 통해 교량을 시공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각 부재들의 조립을 통해 교량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시공자재를 재활용하여 시공비용을 줄이며, 시공의 안전성과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 bridge through the mutual assembly of each of a number of corrugated steel plate is assembled and blocked, each, regardless of the season It is to provide a means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quickly and easily constructing bridges through assembly of members,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by recycli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to secure construction safety and uniformity of product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하천의 양측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기초부재;
다수의 파형강판이 아치형의 수로/통로부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상기 수로/통로부의 양측 하단부가 상기 기초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파형강판 구조물; 및
상기 수로/통로부의 입,출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로/통로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양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제 2설치부재가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설치되며, 면벽부재가 직립한 상태로 각각 결합되는 제 2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을 제공한다.A pair of base members installed on both bottom surfaces of the river in parallel to each other;
A corrugated steel shee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s are assembled to form an arcuate channel / path portion, and wherein both lower ends of the channel / path portion are coupled to the base member; And
The inlet / outlet edges of the waterway / path portion are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waterway / path por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horizontally bent so that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s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t provides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comprising a; 2 installation member.
상기와 같은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시공방법은, Prefabricat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as described above,
하천의 양측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기초부재를 시공하는 단계; 및 다수의 파형강판을 조립하여 아치형의 수로/통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로/통로부의 양측 하단부가 상기 기초부재들과 각각 결합되도록 파형강판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수로/통로부의 입,출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로/통로부와 동일한 곡률을 형성되어 양단이 수평하게 절곡되는 제 2설치부재를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설치부재에 상기 면벽부재를 직립한 상태로 각각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Constructing a pair of base member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And assembling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s to form an arched channel / path portion, and constructing a corrugated steel sheet structure such that both lower ends of the channel / path portion are coupled to the base members, respectively. Combining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s having the same curvature with the waterway / pathway at the inlet / outlet edges of the waterway / pathway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coupling the face wall members to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in an upright st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내지 도 4d에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Figure 4a to 4d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10)은, 하천의 양측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기초부재(20), 다수의 파형강판이 아치형의 수로/통로부(32)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기초부재와 결합되는 파형강판 구조물(30),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수로/통로부(32) 입,출구에 직립한 상태로 각각 결합되는 면벽부재(40), 그리고 면벽부재(40)들의 직립한 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면벽보강수단(50)을 포함한다.1 to 3, the
이때, 기초부재(20)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결합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파형강판이 길이방향으로 겹치게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임의의 토목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기초부재(20)는 다수의 파형강판이 조립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기초부재(20)는 하천의 양측 가장자리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도록 각각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상기한 기초부재(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세굴방지부재(22)가 각각 결합된다. 세굴방지부재(22)의 일측에는 기초부재(20)의 양단에 고정되게 결합되기 위한 수평부(22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평부(22A)에 대하여 직각되게 절곡되는 수직부(2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세굴방지부재(22)의 수평부(22A)는 기초부재(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수직부(22B)는 수직한 상태로 하천의 바닥면에 매설된다. 이때, 세굴방지부재(22)의 수직부(22B)는 세굴심도 보다 깊게 하천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여기서 세굴이란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용어로써, 하천의 유속에 의해 흐르는 물이 구조물의 기초에 의해 그 흐름이 방해되어 물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하천의 바닥면이 씻겨서 파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세굴이 심해질 경우에 기초의 마모에 따른 손상은 물론 하천의 바닥면이 씻겨서 파이고, 이에 의해 하천의 바닥면에 의한 기초의 지지력이 약하게 되어 구조물이 불균형을 이룰 수도 있다.Here, the scour is a technical term common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water flowing by the flow velocity of the river is disturbed by the foundation of the structure, causing the water to rotate, thereby causing the vortex phenomenon. The bottom of the river is washed away, which is a pie phenomenon. If such scour becomes severe, damage due to abrasion of the foundation, as well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is washed and thereby, the support strength of the foundation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is weakened, the structure may be imbalanced.
기초부재(20)에는 니은자(ㄴ) 단면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강형상의 제 1설치부재(24)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제 1설치부재(24)는 기초부재(2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결합된다.The
그리고 파형강판 구조물(30)은 다수의 파형강판이 아치형의 수로/통로부(32)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형성된다.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양측 하단부는 제 1설치부재(24)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파형강판 구조물(30)은 아치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낮은 아치형, 높은 아치형, 반원형, 원형 및 박스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rrugated
수로/통로부(32)의 입,출구 가장자리에는 니은자(ㄴ) 단면 및 수로/통로부(32)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양단이 수평하게 절곡되는 제 2설치부재(26)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제 2설치부재(26)는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수로/통로부(32) 입,출구 가장자리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결합된다.At the inlet and outlet edges of the channel /
또한, 면벽부재(40)는 제 2설치부재(26)와 동일한 폭 및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수로/통로부(32)와 동일한 곡률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파형강판이 조립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면벽부재(40)는 수로/통로부(32)의 입,출구 가장자리에 직립한 상태로 각각 위치되어 하단부가 제 2설치부재(26)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에서, 면벽부재(40)는 다수의 파형강판이 조립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결합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파형강 판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면벽부재(40)의 가장자리에는 마감처리를 위해서 기역자(ㄱ)단면을 갖는 면벽마감부재(42)가 각각 결합된다.To the edge of the
그리고 면벽보강수단(50)은 면벽부재(40)들의 직립한 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면벽부재(4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결합되는 면벽보강부재(52) 및 면벽보강부재(52)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양단이 면벽보강부재(52)의 서로 마주보는 면과 면벽부재(40)로 관통되어 면벽부재(40)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보강봉(54)을 포함한다.And the surface wall reinforcing means 50 is for reinforcing the upright state of the
이때, 면벽보강부재(52)는 면벽부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길이 및 기역자(ㄱ)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면벽부재(4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surface
보강봉(54)은 양단에 나사부(54A)가 각각 형성되며, 이 나사부(54A)가 면벽보강부재(52)와 면벽부재(40)로 각각 관통된다. 이러한 보강봉(54)은 면벽보강부재(52)들의 사이에 다수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면벽보강부재(52)의 서로 마주보는 면과 면벽부재(40)의 외부면에 각각 위치되어 나사부(54A)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54B)를 통해 면벽부재(40)에 각각 결합된다.The reinforcing
이와 같은 구성되는 조립식 교량(10)에서 각 부재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은 볼트와 너트, 리벳, 용접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each member in the
도 4a 및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 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4a and 4d describ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corrugated steel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양측 바닥면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하천의 양측 가장자리 바닥면에 다수의 파형강판을 길이방향으로 겹치게 조립하여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기초부재(20)를 시공한다. 이러한 기초부재(20)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결합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로 시공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4a,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stream is evenly flattened, and then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plate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ri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overlapping the pair of
이때, 기초부재(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굴방지부재(22)를 각각 시공하게 하는데, 세굴방지부재(22)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평부(22A)는 기초부재(20)의 양단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고, 수평부(22A)에 대하여 직각되게 절곡되는 수직부(22B)는 하천의 바닥면에 세굴심도 보다 깊게 매설한다.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scrubbing ends of the
이러한 세굴방지부재(22)를 통해 하천의 유속에 의해 흐르는 물이 기초부재(2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세굴방지부재(22)의 수직부(22B)가 세굴심도 보다 깊게 하천의 바닥면에 매설되어 기초부재(20)의 손상은 물론 하천의 바닥면 손상이 방지되므로 세굴이 방지된다.Water flowing by the flow rate of the river through the scrubbing
그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재(20)들 상면에 니은자(ㄴ) 단면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강 형상의 제 1설치부재(24)를 기초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볼트와 너트로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다수의 파형강판을 겹치게 조립하여 아치형 수로/통로부(32)를 형성하고, 수로/통로부의 양측 하단부를 볼트와 너트로 기초부재에 각각 결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30)을 시공한다.Next, as shown in FIG. 4B, the first mounting
그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수로/통로부(32) 입,출구 가장자리에 니은자(ㄴ) 단면 및 수로/통로부(32)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양단이 수평하게 절곡되는 제 2설치부재(26)를 볼트와 너트로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제 2설치부재(26)와 동일한 폭 및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수로/통로부(32)와 동일한 곡률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파형강판을 겹치게 조립하여 면벽부재(40)를 형성하고, 면벽부재(40)의 하단부를 볼트와 너트를 통해 제 2설치부재(26)에 직립한 상태로 결합하여 면벽부재(40)를 시공한다. 이때, 면벽부재(40)의 가장자리에 마감처리를 위해 기역자(ㄱ)단면을 갖는 면벽마감부재(42)를 볼트와 너트로 각각 결합한다.Next, as shown in FIG. 4C, the channel /
그 다음,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벽부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길이 및 기역자(ㄱ) 단면을 갖도록 면벽보강부재(52)를 형성하여 면벽부재(4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볼트와 너트로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양단에 나사부(54A)가 형성되는 보강봉(54)을 형성하여 면벽보강부재(52)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면벽보강부재(52)의 서로 마주보는 면과 면벽부재(40)로 관통시키고, 면벽보강부재(52)의 서로 마주보는 면과 면벽부재(40)의 외부면에 각각 위치되어 나사부(54A)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54B)를 통해 보강봉(54)을 면벽부재(40)에 각각 조립하여 면벽보강수단(50)을 시공하면 교량(10)이 완성되는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 4D, the surface
이와 같은 완성된 교량(10)의 면벽부재(40)들 사이에는 토사를 채워서 다지거나, 아스팔트를 포장한다.Between th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파형강판을 이용 한 조립식 교량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a 내지 도 7d에는 도 5에 도시된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시공과정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shown in FIG. 5. 7A to 7D illustrate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shown in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60)은, 하천의 양측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기초부재(20), 다수의 파형강판이 아치형의 수로/통로부(32)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기초부재와 결합되는 파형강판 구조물(30),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수로/통로부(32) 입,출구에 직립한 상태로 각각 결합되는 면벽부재(40), 그리고 면벽부재(40)들의 직립한 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면벽보강수단(50)을 포함한다.5 and 6, the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60)은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10)의 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However, the
즉, 본 실시 예에서의 면벽보강수단(50)은,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연결고리(55)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와어어부재(56) 및 양단이 와이어부재(56)의 타단과 면벽부재(4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2연결고리(57)에 각각 연결되는 장력조절부재(58)를 포함한다.That is, the surface wall reinforcing means 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때, 제 1연결고리(55)는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상부 양측에 면벽부재(4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각각 형성되고, 제 2연결고리(57)는 면벽부재(4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위치하도록 면벽부재(40)들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그리고 장력조절부재(58)는 통상적인 턴버클로 이루어진다.An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60)의 구조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 (10)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structure of the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7A to 7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양측 바닥면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하천의 양측 가장자리 바닥면에 다수의 파형강판을 길이방향으로 겹치게 조립하여 서로 평행하도록 한 쌍의 기초부재(20)를 시공한다. 이러한 기초부재(20)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결합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로 시공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7A, the bottom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stream are evenly flattened, and then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s are assembl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overlap the bottom edges of the streams. Construct it. The
이때, 기초부재(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굴방지부재(22)를 각각 시공하게 하는데, 세굴방지부재(22)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평부(22A)는 기초부재(20)의 양단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고, 수평부(22A)에 대하여 직각되게 절곡되는 수직부(22B)는 하천의 바닥면에 세굴심도 보다 깊게 매설한다.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scrubbing ends of the
이러한 세굴방지부재(22)를 통해 하천의 유속에 의해 흐르는 물이 기초부재(2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세굴방지부재(22)의 수직부(22B)가 세굴심도 보다 깊게 하천의 바닥면에 매설되어 기초부재(20)의 손상은 물론 하천의 바닥면 손상이 방지되므로 세굴이 방지된다.Water flowing by the flow rate of the river through the scrubbing
그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재(20)들 상면에 니은자(ㄴ)단면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형강형상의 제 1설치부재(24)를 기초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볼트와 너트로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다수의 파형강판을 겹치게 조립하여 아치형 수로/통로부(32)를 형성하고, 수로/통로부의 양측 하단부를 볼트와 너트로 기초부재에 각각 결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30)을 시공한다.Next, as shown in FIG. 7B, the first mounting
그 다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수로/통로부(32) 입,출구 가장자리에 니은자(ㄴ)단면 및 수로/통로부(32)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양단이 수평하게 절곡되는 제 2설치부재(26)를 볼트와 너트로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제 2설치부재(26)와 동일한 폭 및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수로/통로부(32)와 동일한 곡률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파형강판을 겹치게 조립하여 면벽부재(40)를 형성하고, 면벽부재(40)의 하단부를 볼트와 너트를 통해 제 2설치부재(26)에 직립한 상태로 결합하여 면벽부재(40)를 시공한다. 이때, 면벽부재(40)의 가장자리에 마감처리를 위해 기역자(ㄱ)단면을 갖는 면벽마감부재(42)를 볼트와 너트로 각각 결합한다.Then, as shown in Figure 7c, the channel /
그 다음,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판 구조물(30)의 상부 양측에 면벽부재(40)들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제 1연결고리(55)를 각각 형성하여 와이어부재(56)의 일단을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면벽부재(4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 2연결고리(57)를 각각 형성하여 와이어부재(56)의 타단과 제 2연결고리(57)에 장력조절부재(58)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고, 장력조절부재(58)로 와이어부재(56)의 장력을 조절하여 면벽보강수단(50)을 시공하면 교량(60)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장력조절부재(58)는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D, the first connecting
이와 같은 완성된 교량(60)의 면벽부재(40)들 사이에는 토사를 채워서 다지거나, 아스팔트를 포장한다.Betwe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은 다수의 파형강판이 조립되어 블록화된 각 부재들을 상호 결합하여 교량을 시공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각 부재들의 간단한 결합을 통해 교량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시공자재의 재활용을 통해 시공비용을 줄임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bridges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bridge by combin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 is assembled and blocked blocks, simple coupling of each member regardless of the seas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bridges quickly and easily,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improved 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through recycling of construction materials.
또한, 각 부재들의 결합을 통해 시공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블록화된 제품의 균일성으로 품질확보를 가져와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each member to ensure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as well as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uniformity of the blocked product to improve the value of the produc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can make a variety of variations.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358A KR100719523B1 (en) | 2005-08-12 | 2005-08-12 | Prefabricated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she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CT/KR2006/003182 WO2007021113A1 (en) | 2005-08-12 | 2006-08-14 | Prefabricated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plat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358A KR100719523B1 (en) | 2005-08-12 | 2005-08-12 | Prefabricated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she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408A KR20070019408A (en) | 2007-02-15 |
KR100719523B1 true KR100719523B1 (en) | 2007-05-17 |
Family
ID=3775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4358A Active KR100719523B1 (en) | 2005-08-12 | 2005-08-12 | Prefabricated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she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9523B1 (en) |
WO (1) | WO2007021113A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161B1 (en) | 2007-08-22 | 2009-07-03 | 정병삼 | Corrugated Steel Sheet Structure Using Wire Rope |
CN102359058A (en) * | 2011-07-15 | 2012-02-22 | 广东冠生土木工程技术有限公司 | Combination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0467424Y1 (en) * | 2013-03-25 | 2013-06-17 | (주) 렉스틸 | Pre-fabricated Box type Corrugated Steel Structure Brid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945B1 (en) * | 2009-02-09 | 2009-05-25 | 김영관 | Concrete arch bridge with channel and construction method |
KR200466593Y1 (en) * | 2010-12-16 | 2013-04-30 | 주식회사 에스코 이엠씨 | Temporary installation bridge with bending resistibility |
EP2812491B1 (en) * | 2012-02-06 | 2016-05-25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Concrete bridge system |
CN103758048B (en) * | 2014-01-23 | 2016-05-04 | 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 Adopt steel corrugated plating to reinforce the method for unsafe bridge |
CN105464006B (en) * | 2015-12-31 | 2017-07-14 | 长安大学 | A kind of masonry arch bridge ruggedized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08416116B (en) * | 2018-02-09 | 2021-10-22 | 广西交通科学研究院有限公司 | Method for determining arch crown weight during arch springing enlarged section reinforcing parabolic arch |
CN108487088B (en) * | 2018-02-09 | 2020-07-31 | 广西交通科学研究院有限公司 | Method for determining reasonable disassembly and assembly process of catenary arch-arch upper building |
CN110578287B (en) * | 2019-09-29 | 2024-06-11 | 浙江师范大学 | Assembled earthing corrugated steel plate-prestressed concrete combined arch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1424551B (en) * | 2020-04-08 | 2021-08-10 | 江西省高速公路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 Construction process of 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d arched steel plate and steel beam |
CN111676836A (en) * | 2020-04-22 | 2020-09-18 | 青海路拓工程设施制造集团有限公司 |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of existing old small bridges and culverts |
CN111549664A (en) * | 2020-05-28 | 2020-08-18 |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 Pedestrian suspension bridge profiled steel sheet combined bridge deck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11504A (en) * | 1976-06-24 | 1980-07-08 | Sivachenko Eugene W | High strength corrugated metal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US4318635A (en) * | 1980-07-07 | 1982-03-09 | Bethlehem Steel Corporation | Culvert structure having corrugated ribbing support |
KR200296004Y1 (en) | 2002-08-30 | 2002-11-22 |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 Multiple corrugated matter plates structure bridge |
-
2005
- 2005-08-12 KR KR1020050074358A patent/KR100719523B1/en active Active
-
2006
- 2006-08-14 WO PCT/KR2006/003182 patent/WO200702111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11504A (en) * | 1976-06-24 | 1980-07-08 | Sivachenko Eugene W | High strength corrugated metal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US4318635A (en) * | 1980-07-07 | 1982-03-09 | Bethlehem Steel Corporation | Culvert structure having corrugated ribbing support |
KR200296004Y1 (en) | 2002-08-30 | 2002-11-22 |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 Multiple corrugated matter plates structure bridg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161B1 (en) | 2007-08-22 | 2009-07-03 | 정병삼 | Corrugated Steel Sheet Structure Using Wire Rope |
CN102359058A (en) * | 2011-07-15 | 2012-02-22 | 广东冠生土木工程技术有限公司 | Combination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0467424Y1 (en) * | 2013-03-25 | 2013-06-17 | (주) 렉스틸 | Pre-fabricated Box type Corrugated Steel Structure B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7021113A1 (en) | 2007-02-22 |
KR20070019408A (en) | 2007-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9523B1 (en) | Prefabricated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she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94922B1 (en) | Beam Clean Slope Dam with H-beam and Screen | |
KR101633431B1 (en) | Expandable bridge sidewal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109594663B (en) | Reinforced concrete induction belt structure for post-pouring belt pos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4092078A (en) |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847726B1 (en) |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170327B1 (en) | A sidewalk enlargement installation using slabe | |
JP4477467B2 (en) | Bridge structure and its replacement method | |
JP2015101948A (en) | Avalanche prevention facility | |
CN218911182U (en) | Flexible falling-stone-preventing shed tunnel | |
CN218346208U (en) | Permanent side slope supporting structure based on reinforced concrete pile | |
KR200452943Y1 (en) | Butler's Square Dam with Mixed Screen | |
KR200406615Y1 (en) | Tee type precast concrete panel | |
KR101322420B1 (en) | Precast block wall, Cantilevered slab bridge using precast block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56395B1 (en) | Prefabricated storage tan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orage tank structure | |
KR101920789B1 (en) | Bridges of scour prevention structure | |
KR100949868B1 (en) | Basic section expansion method of bridge using pipe guide and formwork | |
KR20070019410A (en) | Prefabricated foundation of civi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JP3895339B2 (en) | Approach structure of multilevel crossov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07291801A (en) | Elevated roa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485480B1 (en) | Diaphragm-wall connecting system | |
KR101059539B1 (en) | Block for road extension | |
CN216809531U (en) | Riverbed scouring comprehensive protection structure | |
KR200212405Y1 (en) | Precast concrete segment for arch type culvert | |
CN214194677U (en) | Post-cast strip technical structure of column p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