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6998B1 -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998B1
KR100716998B1 KR1020050043771A KR20050043771A KR100716998B1 KR 100716998 B1 KR100716998 B1 KR 100716998B1 KR 1020050043771 A KR1020050043771 A KR 1020050043771A KR 20050043771 A KR20050043771 A KR 20050043771A KR 100716998 B1 KR100716998 B1 KR 10071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ncoding
quantization
decoding
part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535A (ko
Inventor
송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998B1/ko
Priority to US11/389,230 priority patent/US7738716B2/en
Priority to EP20060252385 priority patent/EP1729519A3/en
Priority to CN2006100818595A priority patent/CN1870754B/zh
Publication of KR2006012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9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6Scalability techniques involving formatting the layers as a function of picture distortion after decoding, e.g. signal-to-noise [SNR]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4Measured or subjectively estimated visual quality after decoding, e.g. measurement of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being iterative or recursive
    • H04N19/19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being iterative or recursive involving only two p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시에 발생되는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방법은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부호화를 수행하고, 부호화된 영상의 복원 영상을 생성한 후, 생성된 복원 영상의 부분 영상과, 이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값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제2 부호화를 수행하고, 이를 복호화부에서 영상 복원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트량만으로도, 블록 경계 부분의 영상 복원이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복호화시 블록화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Encoder and Decoder for reducing blocking phenomenon,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implement thereof}
도 1은 종래의 디-블록킹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블록 경계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부호화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2 부호화기에서 수행되는 부호화의 부호화 단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2 부호화기에서 수행되는 제2 부호화의 부호화 단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 복호화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MPEG 2, MPEG 4, H.264, VC 1을 비롯한 모든 동영상 코덱들은 블록 단위 처리와 양자화 등의 영향으로 블록화 현상을 겪게 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264나 VC 1은 루프 필터(loop filter)라는 툴을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루프 필터 만으로는 블록화 현상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디코더에 디-블록킹(de-blocking) 또는 디-링잉(de-ringing)과 같은 후처리(post processing)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MPEG 4에서 소개된 후처리 알고리즘 중 디-블록킹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후처리 알고리즘에 따르면, 경계 화소들의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두가지 모드, 즉 DC 오프셋 모드(offset mode) 및 기본 모드(default mode)가 존재한다. DC 오프셋 모드는 작은 DC 오프셋 때문에 블록화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에 적용되며, 다른 경우에는 기본 모드가 적용된다.
이들 두 모드들 중, 어떤 모드를 사용할 지의 여부는 경계 화소의 특성과 임계값에 의해 결정된다. 기본 모드의 경우에는, S0, S1, 및 S2 세블록 영역에 대해 적응적인 신호 처리를 통해 영상의 세밀한 특성을 살리면서 블록화 현상을 제거한다. 하지만, 매우 평탄한 영역에서는 기본 모드로는 블록화 현상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DC 오프셋 모드가 적용된다. DC 오프셋 모드에서는 수평 에지의 화소들에 필터링을 수행한 후, 수직 에지의 화소들에 필터링을 수행한다.
한편, MPEG 4, AVC/H.264 등의 경우는 디블록킹 효과 뿐 아니라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술한 후처리의 디블록킹 필터링 기능부가 인코더의 루프 내에 구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법들의 경우에는, 디블록킹이 임계값에 의존하고, 목표 비트율을 만족시키기 위한 양자화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블록 경계 영역 부분 영상의 오차 정보를 적응적으로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전송 비트량의 과도한 증가 없이, 블록화 현상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참조 영상의 생성시, 블록 경계 영역 부분의 오차를 반영하고, 이에 기초하여 움직임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블록화 현상의 전파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영상의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부분 영상은 상기 영상의 블록의 경계에 해당하는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변환이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양자화에 대응하는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변환에 대응하는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역변환된 영상에 기초하여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차분값에 대해, 제2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차분값에 대해 제2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2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상기 계산된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에만, 상기 제2 부호화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상기 제1 부호화는 양자화 과정을 포함하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방법은 상기 제2 부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과 상기 복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참조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참조 영상에 기초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는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1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영상의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복원 영상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데이터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2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과제는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영상의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이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소정의 영상을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하여 얻어진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값을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영상과 상기 제2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제1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1 양자화에 대응하는 제1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1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2 양자화에 대응하는 제2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2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 방법은 입력 비트스트림을 가변 길이 부호화하고 상기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은 다음 영상의 움직임 보상을 위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는 소정의 영상을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1 복호화부와; 상기 부호화하여 얻어진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값을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2 복호화부와; 상기 제1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영상과 상기 제2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복원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복호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과제는 소정의 영상을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하여 얻어진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값을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영상과 상기 제2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부호화 장치는 제1 부호화부(210), 복원 영상 생성부(220), 제2 부호화부(230), 제1 가변길이 부호화부(240), 및 제2 가변길이 부호화부(250)를 포함한다.
제1 부호화부(210)는 입력 영상에 대해 소정의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한 후, 제1 가변 길이 부호화부(240)로 부호화된 데이터(이하, '제1 부호화된 데이터'라 함)를 출력한다. 제1 부호화부(210)는 MPEG 2, H.264, VC1, MPEG 4 등과 같은 양자화 과정을 포함하는 부호화기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제1 부호화부(210)가 MPEG 2 부호화기 인 경우, 제1 부호화부(210)는 입력 영상을 영상 변환하기 위한 DCT 변환부, 영상 변환된 변환 계수를 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부등을 더 포함한다. 제1 부호화부(21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복원 영상 생성부(220)는 제1 부호화부(210)에서 부호화된 영상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제1 부호화부(210)에서 입력 영상에 대한 영상 변환 및 양자화가 수행된 경우, 복원 영상 생성부(220)는 이에 대응하는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수행한다. 한편, 제1 부호화부(210)가 MPEG 2 부호화기인 경우, 복원 영상 생성부(22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는, MPEG 2 부호화를 위한 참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복원되는 영상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원 영상 생성부(220)는 제1 부호화부(210)에서 부호화된 전체 영상을 복원하지만, 선택적으로 부분 영 상, 예를 들어 블록 경계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만을 복원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부호화부(230)는 복원 영상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복원 영상 중 부분 영상, 예를 들어 블록의 경계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과, 입력된 원 영상 중 복원된 경계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의 차분값을 계산하고, 차분 값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부호화 과정을 수행하고, 부호화된 데이터(이하, '제2 부호화된 데이터'라 함)를 출력한다. 선택적으로, 계산된 부분 영상의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제2 부호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블록 경계 부분 이외에, 복원 영상의 특정 영역과 원 영상의 대응 영역 간의 차이값을 계산해서,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부호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원 영상의 블록 경계의 인접한 화소들 간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부호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가변 길이 부호화 및 출력부(240)는 제1 부호화부(210)로부터 입력된 제1 부호화된 영상을 가변 길이 부호화하고, 가변 길이 부호화된 제1 부호화된 영상과, 제2 가변 길이 부호화부(250)로부터 입력된 제2 부호화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제2 가변 길이 부호화부(250)는 제2 부호화부(230)에서 부호화된 데이터를 가변 길이 부호화하여 제1 가변 길이 부호화 및 출력부(240)로 출력한다. 선택적으로, 제2 가변 길이 부호화부(250)에서 가변 길이 부호화된 제2 부호화된 데이터는, 제1 가변 길이 부호화 및 출력부(240)에서 가변 길이 부호화된 제1 부호화된 데이터와 다중화되지 않고, 별도로 디코더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부호화된 영상은 기본 계층(base layer)으로 전송하고, 제2 부호화된 영상은 향상 계층(enhanced layer)로 전송하여, 복호화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복호화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제2 가변 길이 부호화부(250)는 제2 부호화부(240)내에 위치시키거나, 제2 가변 길이 부호화부(250)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분 영상, 즉 블록 경계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제2 부호화부(230)에서의 부호화의 대상이 되는 화소는 도 3의 짙은 부분이다. 즉, 도 2의 제2 부호화부(230)는 복원 영상 생성부(220)로부터의 복원된 영상 중, 도 2의 블록 경계 화소에 대한 값과, 원 영상의 대응 블록 경계 화소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그 차이값에 대해 제2 부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의 제2 부호화부(2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부호화부(230)는 차분값 계산부(232), 변환부(234),및 제2 양자화부(236)를 포함한다.
차분값 계산부(232)는 복원 영상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복원 영상 중 부분 영상, 예를 들어 블록의 경계 부분에 해당하는 복원 영상의 경계 화소와, 입력된 원 영상 중 복원된 경계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 경계 화소의 차분값을 계산한다.
변환부(234)는 소정의 변환, 예를 들어 DCT, 정수 변환, 하다마드(hadamard) 변환 등에 따라 계산된 차분값을 영상 변환한다.
제2 양자화부(236)는 변환된 차분 값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제2 양자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산된 모든 부분 영상의 차이값에 대해 제2 부호화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선택적으로, 계산된 부분 영상의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제2 부호화 과정이 적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제2 부호화부(230)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한 부분 영상 데이터를 가변 길이 부호화하기 위한 가변 길이 부호화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2의 제2 부호화기(230)에서 수행되는 부호화의 부호화 단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1 부호화기(210)에서 수행되는 부호화 단위가 매크로블록 단위인 경우, 매크로블록내의 블록 경계 영역 화소들의 부호화 단위는 도 5와 같이, 수직 에지에 대한 2개의 2×8 블록, 및 수평 에지에 대한 2개의 2×6 블록들로 분할하고, 이들 분할된 4개의 블록의 화소 차이값에 대해 소정의 영상 변환, 양자화, 및 가변 길이 부호화가 수행된다.
도 6은 도 2의 제2 부호화기(230)에서 수행되는 제2 부호화의 부호화 단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부호화기(210)에서 수행되는 부호화 단위가 매크로블록 단위인 경우, 매크로블록내의 블록 경계 영역 화소들의 부호화 단위는 도 6와 같이, 수직 에지에 대한 4개의 1×8 블록, 및 수평 에지에 대한 4개의 1×6 블록들로 분할하고, 이들 분할된 8개의 블록들의 화소 차이값에 대해 소정의 영상 변환, 양자화, 및 가변 길이 부호화가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부호화 단위 외에도 여러가지 다양한 영역으로 분할하여 부호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매크로블록 또는 블록 단위가 아닌 픽쳐 단위로 경계 영역을 부호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1차원 또는 2차원의 블록에 대해 영상 변환, 양자화, 및 가변 길이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부호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710에서는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부호화를 수행한다. 제1 부호화는 양자화를 포함하는 소정의 코덱, 예를 들어 MPEG 2, H.264, VC1, MPEG 4 등과 같은 코덱의 부호화기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부호화는 입력 영상에 대해 소정의 영상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변환된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20에서는 제1 부호화가 수행된 영상의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양자화에 대응하는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역양자화된 영상에 대해, 제1 변환에 대응하는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부호화기가 MPEG 2 코덱에 따른 부호화기인 경우에는, 제1 부호화를 위해 생성되는 복원 영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730에서는 생성된 복원 영상의 부분 영상과, 복원 영상의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간의 부분 영상 차분 값을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분 영상은 영상의 블록 경계 부분 영상이다. 하지만, 선택적으로 보다 세밀한 부호화 및 복호화가 필요한 특정 부분 영상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740에서는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 값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부호화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2 부호화는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 값에 대해, 제2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변환된 차분값에 대해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2 부호화는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제2 부호화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부호화의 수행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부호화 장치는 MPEG 2 부호화기에 경계 부분 부호화부를 부가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MPEG 2 부호화기에 기초한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지만, 선택적으로 H.264, VC 1, MPEG 4 등과 같은 다른 코덱에 따른 부호화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부호화 장치는 변환부(810), 양자화부(820), 역양자화부(830), 역변환부(840), 프레임 메모리부(850), 움직임 추정/보상부(860), 가산부(870), 감산부(872), 가변길이 부호화부(880), 및 경계 부분 부호화부(890)를 포함한다.
변환부(810)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공간 중복성(spatial redundancy)을 얻기 위해 소정의 블록, 예를 들어 8×8 블록 단위로 영상 변환을 수행한다. 영상 변환에는 DCT 또는 정수 변환과 같은 임의의 변환 방식이 사용 될 수 있다.
양자화부(820)는 변환부(810)에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제1 양자화 계수를 사용하여 양자화한다.
역양자화부(830)는 양자화부(820)에서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양자화한다.
역변환부(840)는 역양자화부(830)에서 역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변환한다.
프레임 메모리부(850)는 역변환부(840)에서 역변환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복원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움직임 추정/보상부(860)는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프레임 메모리부(850)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당 움직임 벡터(MV)를 추정하고,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가산부(870)는 역변환부(840)로부터의 입력 및 움직임 추정/보상부(860)로부터의 입력을 가산하여,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가변길이부호화부(Variable Length Coding)(880)부는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의 통계적 중복성을 제거한다.
경계 부분 부호화부(890)는 생성된 복원 영상 중 블록의 경계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과, 입력된 원 영상 중 복원된 경계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의 화소 차분값을 계산하고, 차분 값에 대해 소정의 부호화 블록 단위로 제1 양자화 계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선택적으로, 소정의 블록 단위로, 계산된 부분 영상의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 값 이상인 경우에만, 부호화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매크로블록 단위로 계산된 부분 영상의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 경계 부분 부호화부(880)의 기능을 오프(off)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경계 부분 부호화가 적응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호화 장치에서의 과도한 연산량 증가 및 전송 비트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호화된 경계 부분 데이터는 제1 양자화 계수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와는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양자화 계수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는 기본 계층(based layer)로 전송하고, 부호화된 경계 부분 데이터는 향상 계층(enhanced layer)로 전송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는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성능에 따라 적응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호화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향상 계층으로 전송된 경계 부분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블록화 현상이 제거된 영상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가 적응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부호화된 경계 부분 데이터는 제1 양자화 계수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와 함께, 매크로블록 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호화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가 매크로블록 단위로 삽입된 경계 부분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블록화 현상이 제거된 영상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가 적응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서는 경계 영역 부분의 오차 정 보를 적응적으로 부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비트량의 과다한 증가 없이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시의 블록화 현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따른 복호화 장치는 제1 가변 길이 복호화부(910), 제1 복호화부(920), 제2 복호화부(930), 및 복원 영상 생성부(940)를 포함한다.
제1 가변 길이 복호화부(varialbe length decoding unit)(910)는 입력 비트 스트림을 가변 길이 복호화하여 영상 데이터, 움직임 벡터,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가변 길이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움직임 벡터 정보 등은 제1 복호화부(920)으로 입력되고, 추출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는 제2 복호화부(930)으로 입력된다.
제1 복호화부(92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 및 움직임 벡터 정보 등에 기초하여,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제1 양자화 계수에 의해 부호화가 수행된 데이터이다. 제1 복호화부(920)는 도 2에 도시된 제1 부호화부에 대응하는 복호화기, 예를 들어 MPEG 2, H.264, VC 1, MPEG 4 등에 따른 복호화기이다. 제1 복호화부(920)가 MPEG2에 따른 복호화기 인 경우, 도 8의 변환부(810) 및 양자화부(820), 움직임 보상부(860)에 대응하는 역양자화부, 역변환부, 및 움직임 보상부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2 복호화부(930)은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는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에 의해 부호화가 수행된 데이터이다.
복원 영상 생성부(940)는 제1 복호화부(920)로부터 입력된 영상과, 제2 복호화부(930)로부터 입력된 부분 영상 차이값 정보를 사용하여 복원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 (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한다. 즉, 제2 복호화부(930)로부터 전송된 경계 부분 영상 차이값이, 도 3에 도시된 블록 경계 부분 영상에 대한 것인 경우, 제1 복호화부(920)로부터의 영상의 블록 경계 부분 영상 값에 제2 복호화부(930)로부터의 경계 부분 영상 차이값을 반영하여,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한편, 도 2의 '제1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기본 계층, '제2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향상 계층을 통해, 복호화 장치로 전송된 경우, 기본 계층으로 전송된 '제1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제1 가변 길이 복호화부(910)에서의 가변 길이 복호화후, 제1 복호화부(920)에서 복호화된다. 또한, 향상 계층으로 전송된 '제2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제1 가변 길이 복호화부(910)에서 추출되어, 제2 복호화부(930)에서 복호화된다. 복원 영상 생성부(940)는 제2 복호화부(930)에서 복호화된 경계 부분 영상 차이값을 제1 복호화부(920)에서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더하여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향상 계층으로 전송된 '제2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기본 계층으로 전송된 '제1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만으로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도 9의 제2 복호화부(9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 복호화부(930)는 제2 가변 길이 복호화부(1010), 제2 역양자화부(1020), 및 제2 역변환부(1030)를 포함한다.
제2 가변 길이 복호화부(1010)는 도 9의 제1 가변 길이 복호화부(910)로부터 입력된 경계 부분 데이터에 대해 제2 가변 길이 복호화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입력된 경계 부분 데이터에 대해 가변 길이 복호화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이 과정은 스킵될 수 있다.
제2 역양자화부(1020)는 제2 가변 길이 복호화된 부분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2 역양자화를 수행한다. 이때, 제2 역양자화는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에 의한 양자화에 대응한다.
제2 역변환부(1030)은 제2 역양자화된 데이터에 대해 역영상 변환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입력된 경계 부분 데이터에 대해 영상 변환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이 과정은 스킵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복호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1110에서는 소정의 영상을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복호화를 수행한다. 제1 복호화는 양자화를 포함하는 소정의 코덱, 예를 들어 MPEG 2, H.264, VC1, MPEG 4 등과 같은 코덱의 복호화기에 의해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제1 복호화는 제1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1 양자화에 대응하는 제1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제1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1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20에서는 부호화하여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영상의 부분 영상과,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값을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부분 영상 차 분 데이터에 대해 제2 복호화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2 양자화에 대응하는 제2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제2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2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30에서는 제1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영상과 제2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부호화 장치는 도 8의 부호화 장치에 경계 부분 복호화부를 더 부가한 것이며, MPEG 2 부호화기에는 경계 부분 부호화부 및 경계 부분 복호화부를 더 부가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MPEG 2 부호화기에 기초한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지만, 선택적으로 H.264, VC 1, MPEG 4 등과 같은 양자화 과정을 포함하는 다른 코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부호화 장치는 제1 부호화부(1210), 제1 복호화부(1220) 경계 부분 부호화부(1230), 경계 부분 복호화부(1240), 프레임 메모리부(1250), 움직임 추정/보상부(1260), 가변길이 부호화부(1270), 제1 가산부(1280), 제2 가산부(1282), 및 감산부(129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호화부(1210)는 변환부(1212) 및 양자화부(1214)를 포함하며, 제1 복호화부(1220)는 역양자화부(1222) 및 역변환부(1224)를 포함한다.
변환부(1212)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공간 중복성을 얻기 위해 소정의 블 록, 예를 들어 8×8 블록 단위로 영상 변환을 수행한다. 영상 변환에는 DCT 또는 정수 변환과 같은 임의의 변환 방식이 사용 될 수 있다.
양자화부(1214)는 변환부(1212)에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제1 양자화 계수를 사용하여 양자화한다.
역양자화부(1222)는 양자화부(1214)에서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양자화한다.
역변환부(1224)는 역양자화부(1222)에서 역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역변환한다.
제1 가산부(1280)에서는 역변환부(1224)에서 역변환된 영상 데이터와, 움직임 추정/보상부(126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더하여, 복원 영상 데이터(reconstructed image data) R을 생성한다. 생성된 복원 영상 데이터 R은 경계 부분 부호화부(1350)로 입력된다.
경계 부분 부호화부(1230)는 생성된 복원 영상 R 중 블록의 경계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과, 입력된 원 영상(original image) O 중 복원된 경계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의 차분값을 계산하고, 차분 값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경계 부분 복호화부(1240)로 출력한다. 경계 부분 부호화부(1230)의 일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경계 부분 복호화부(1240)는 경계 부분 부호화부(1230)에서 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복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 X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X는 [O- R]'이며, O-R의 양자화/역양자화된 값을 의미한다. 경계 부분 복호화부(1240)의 일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제2 가산부(1282)는 제1 가산부(1280)의 출력 R과, 경계 부분 복호화부(1240)의 출력 X를 가산하여, Y= R + X 를 프레임 메모리부(1370)로 출력한다.
프레임 메모리부(1250)는 제2 가산부(1282)에서 생성된 영상 Y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움직임 추정/보상부(1260)는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프레임 메모리부(1250)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당 움직임 벡터(MV)와 SAD를 추정하고,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감산부(1290)는 입력 영상 및 움직임 추정/보상부(1260)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에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2 가산부(1282)에서 프레임 메모리부(1250)로 입력되는 영상, 즉 Y = R + [O-R]'이다. 한편, [O-R]'는 O-R의 양자화/역양자화된 값이며, 수식의 편의상 원 영상 O와 양자화/역양자화로 인해 변형된 복원 영상 R''의 차로 표현할수 있다. 따라서, Y=R+O-R''이 된다. 또한, 경계 부분 부호화부(1230)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양자화를 수행했기 때문에, R-R''는 거의 0에 가까운 값을 갖게 되므로, Y=O-R-R''≒ O가 성립하게 된다. 즉, 프레임 메모리(1260)로 입력되는 영상 Y는 도 3,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계 부분 영상에 대해서는 거의 원 영상에 가까운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움직임 추정/보상(1250)에서의 움직임 추정 및 보상 과정 및 감산부(1290)에서의 오차 영 상 생성이 블록 경계 부분에서는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블록화 현상을 현격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변길이부호화부(Variable Length Coding)(1270)부는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의 통계적 중복성을 제거한다.
한편, 선택적으로 경계 부분 부호화부(1230)는 생성된 부호화된 데이터를 가변 길이 부호화부(1270)로 출력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소정의 블록 단위로, 계산된 부분 영상의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이 적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매크로블록 단위로 계산된 부분 영상의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 경계 부분 부호화부(1230) 및 경계 부분 복호화부(1240)의 기능을 오프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와 같이, 경계 영역 부분의 오차를 적응적으로 반영하여 참조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비트량의 증가 없이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시의 블록화 현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블록 경계 부분의 블록화 현상이 전파(propagation)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복호화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부호화 장치에 대응하는 복호화 장치로서, 예를 들어 MPEG 2, H.264, VC 1, MPEG 4 등에 따른 복호화기에 경계 부분 복호화부가 추가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 장치는 제1 가변 길이 복호화부(1310), 역양자화부(1320), 역변환부(1330), 경계 부분 복호화부(1340), 프레임 메모리부(1350), 움직임 보상부(1360), 및 가산부(1370,1372)를 포함한다.
제1 가변 길이 복호화부(1310)는 부호화된 입력 스트림을 가변 길이 복호화하여 영상 데이터, 움직임 벡터, 부호화된 경계 부분 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가변 길이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역양자화부(1320)으로 입력되고, 추출된 부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는 경계 부분 복호화부(1340)으로 입력되고, 움직임 벡터 정보는 움직임 보상부(1360)으로 입력된다.
역양자화부(1320)는 제1 양자화 계수에 의해 양자화된 데이터에 대해, 이에 대응하는 역양자화를 수행한다.
역변환부(1330)는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역변환을 수행한다.
경계 부분 복호화부(1330)은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는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에 의해 부호화가 수행된 데이터이다. 경계 부분 복호화부(1340)의 일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가산부(1370,1372)는 역변환부(1330), 움직임 보상부(1360), 및 경계 부분 복호화부(1340)으로부터의 입력값을 가산하여, 도 12에서 설명된 출력값 Y, 즉 R+X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R은 움직임 보상부(1360)의 출력값 및 역변환부(1330)의 출력값을 더한 값이고, X는 경계 부분 복호화부(1340)의 출력값이다.
도 12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뒤따르는 영상의 복호화를 위해 저장되는 영상 중 경계 부분의 영상이 보다 정확하게 얻어지므로, 블록화 현상의 감소 및 블록화 현상의 전파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서는, 블록 경계 부분의 오차 정보를 별도로 부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적은 비트량만으로도 블록화 현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 경계 부분 오차 정보 생성시, 오차 정도에 따라 경계 부분 부호화를 적응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부호화 및 복호화부에서의 연산량 및 전송 비트량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보다 정밀한 영상 복원이 요구되는 특정 영역에 대해 적용하는 경우, 적은 비트량 만으로도 동일한 화면의 특정 영역의 영상 화질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 경계 부분이 정정된 참조 영상을 사용함으로써,움직임 보상 및 오차 영상 생성이 블록 경계 부분에서는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블록화 현상의 전파 방지 및 복호화시 블록화 현상을 현격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4)

  1.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영상의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상은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블록의 경계에 해당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변환이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양자화에 대응하는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변환에 대응하는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역변환된 영상에 기초하여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차분값에 대해, 제2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차분값에 대해 제2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2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된 영상 및 상기 제2 부호화된 영상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된 영상 및 제2 부호화된 영상은 별도로 가변 길이 부호화되고,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양자화된 차분값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2 부호화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는 양자화 과정을 포함하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과 상기 복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참조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참조 영상에 기초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11. 영상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1 부호화부와;
    상기 부호화된 영상의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복원 영상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데이터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제2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상은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블록의 경계에 해당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부는
    입력 영상에 대해 제1 변환을 수행하는 제1 변환부와;
    상기 제1 변환이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제1 양자화를 수행하는 제1 양자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제1 양자화에 대응하는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역양자화부와;
    상기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상기 제1 변환에 대응하는 역변환을 수행하는 역변환부와;
    상기 역변환된 영상에 기초하여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복원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부는
    상기 계산된 차분값에 대해, 제2 변환을 수행하는 제2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차분값에 대해 제2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2 양자화를 수행하는 제2 양자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된 영상 및 상기 제2 부호화된 영상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를 수행하는 가변 길이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된 영상 및 제2 부호화된 영상은 별개의 가변 길이 부호화부에서 가변 길이 부호화되고,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부는
    상기 제2 양자화된 차분값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를 수행하는 가변 길이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부는 상기 계산된 차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2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는 양자화 과정을 포함하는 소정의 코덱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와;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과 상기 복호화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참조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참조 영상에 기초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21.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영상을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하여 얻어진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값을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영상과 상기 제2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상은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블록의 경계에 해당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1 양자화에 대응하는 제1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1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2 양자화에 대응하는 제2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2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입력 비트스트림을 가변 길이 부호화하고 상기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은 다음 영상의 움직임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27. 영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영상을 제1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1 복호화부와;
    상기 부호화하여 얻어진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영상의 부분 영상과, 상기 부분 영상에 대응하는 원 영상의 차분 값을 상기 제1 양자화 계수 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양자화 계수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2 복호화부와;
    상기 제1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영상과 상기 제2 복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원 영상을 생성하는 복원 영상 생성부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상은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블록의 경계에 해당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호화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해 제1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1 양자화에 대응하는 제1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제1 역양자화부와;
    상기 제1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1 역변환을 수행하는 제1 역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호화는
    상기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제2 양자화 계수를 사용한 제2 양자화에 대응하는 제2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제2 역양자화부와;
    상기 제2 역양자화가 수행된 영상에 대해, 제2 역변환을 수행하는 제2 역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2 복호화부는
    상기 입력된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를 수행하는 가변 길이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입력 비트스트림을 가변 길이 부호화하고 상기 부분 영상 차분 데이터를 추출하는 가변 길이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원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복원 영상을 다음 영상의 움직임 보상을 위해 사용하는 움직임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3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4.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50043771A 2005-05-24 2005-05-24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71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71A KR100716998B1 (ko) 2005-05-24 2005-05-24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1/389,230 US7738716B2 (en) 2005-05-24 2006-03-27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locking phenomen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EP20060252385 EP1729519A3 (en) 2005-05-24 2006-05-05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reduction
CN2006100818595A CN1870754B (zh) 2005-05-24 2006-05-17 减少分块现象的编/解码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71A KR100716998B1 (ko) 2005-05-24 2005-05-24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535A KR20060121535A (ko) 2006-11-29
KR100716998B1 true KR100716998B1 (ko) 2007-05-10

Family

ID=3711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7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6998B1 (ko) 2005-05-24 2005-05-24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38716B2 (ko)
EP (1) EP1729519A3 (ko)
KR (1) KR100716998B1 (ko)
CN (1) CN18707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0957B2 (en) * 2005-01-14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Optimal weights for MMSE space-time equalizer of multicode CDMA system
RU2402885C2 (ru) * 2005-03-10 2010-10-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Классификация контент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данных
US8879856B2 (en) 2005-09-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 driven transcoder that orchestrates multimedia transcoding using content information
US8654848B2 (en) * 2005-10-17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hot detection in video streaming
US8948260B2 (en) * 2005-10-17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GOP structure in video streaming
US20070206117A1 (en) * 2005-10-17 2007-09-06 Qualcomm Incorporated Motion and apparatus for spatio-temporal deinterlacing aided by motion compensation for field-based video
US20070171280A1 (en) * 2005-10-24 2007-07-26 Qualcomm Incorporated Inverse telecine algorithm based on state machine
US9131164B2 (en) * 2006-04-04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Preprocessor method and apparatus
JP5056348B2 (ja) * 2007-10-29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41903B1 (ko) * 2008-10-16 2014-09-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참조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344238B2 (ja) 2009-07-31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2285111A1 (en) * 2009-08-07 2011-02-1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ending compressed data representing a digital image and corresponding device
WO2011090790A1 (en) 2010-01-22 2011-07-28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ampling -based super resolution vido encoding and decoding
JP5805665B2 (ja) 2010-01-22 2015-11-04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Example−based超解像を用いたビデオ圧縮のためのデータプルーニング
KR101529992B1 (ko) 2010-04-05 2015-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US20130170564A1 (en) 2010-09-10 2013-07-04 Thomson Licensing Encoding of a picture in a video sequence by example-based data pruning using intra-frame patch similarity
WO2012033972A1 (en) 2010-09-10 2012-03-15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pruning decision optimization in example-based data pruning compression
JP5741092B2 (ja) * 2011-03-15 2015-07-01 富士通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装置
KR101538010B1 (ko) * 2012-08-31 2015-07-22 주식회사 에이투텍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영상 복호화 장치 및 영상 복호화 방법
US9978156B2 (en) * 2012-10-03 2018-05-2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High-throughput image and video compression
KR101627193B1 (ko) * 2014-10-29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603693B1 (ko) * 2015-03-12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626450B1 (ko) * 2015-03-12 201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626449B1 (ko) * 2015-03-12 201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603695B1 (ko) * 2015-03-12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974138B1 (ko) * 2018-03-12 2019-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픽셀 그룹별 픽셀값 보상을 위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468A (ko) * 1991-08-30 1993-03-23 다니이 아끼오 적응 dct/dpcm부호기에 의한 영상신호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KR940006349A (ko) * 1992-07-02 1994-03-23 모리시타 요이찌 적응에너지부 강화필터를 지닌 영상신호 부호화 복호화장치
KR970078648A (ko) * 1996-05-14 1997-12-12 배순훈 동영상 복호기의 블록화 현상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03726A (ko) * 1997-06-19 1999-01-15 장익훈 가중 창함수를 이용한 블록 부호화 영상에서의 블록화 현상 제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51276A (en) * 1985-03-20 1989-03-14 Toshio Koga Method and arrangement of coding digital image signals utilizing interframe correlation
US5001559A (en) * 1989-10-12 1991-03-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form coding using coefficient prediction techniques
GB9022326D0 (en) * 1990-10-15 1990-11-28 British Telecomm Signal coding
GB2253318B (en) 1991-02-27 1994-07-20 Stc Plc Image processing
JP2919685B2 (ja) * 1992-11-02 1999-07-12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識別回路
US6487317B1 (en) * 1996-01-16 2002-11-26 Eastman Kodak Company Conjugate-channel compression of images to be multitoned
US5933542A (en) * 1996-04-24 1999-08-0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effect reduction in images by post-processing in the spatial domain
JP3920356B2 (ja) * 1996-12-10 2007-05-30 ブリティッシュ・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ビデオコーディング
JPH10224790A (ja) 1997-02-07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縮伸張された画像中のブロック状ノイズを除去する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方法
US6144772A (en) * 1998-01-29 2000-11-07 Canon Kabushiki Kaisha Variable compression encoding of digitized images
KR100525785B1 (ko) 2001-06-15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화소 필터링 방법
KR100643453B1 (ko) 2001-11-17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브젝트 기반 비트율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468A (ko) * 1991-08-30 1993-03-23 다니이 아끼오 적응 dct/dpcm부호기에 의한 영상신호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KR940006349A (ko) * 1992-07-02 1994-03-23 모리시타 요이찌 적응에너지부 강화필터를 지닌 영상신호 부호화 복호화장치
KR970078648A (ko) * 1996-05-14 1997-12-12 배순훈 동영상 복호기의 블록화 현상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03726A (ko) * 1997-06-19 1999-01-15 장익훈 가중 창함수를 이용한 블록 부호화 영상에서의 블록화 현상 제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30005468
1019940006349
1019970078648
10199900037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9519A2 (en) 2006-12-06
KR20060121535A (ko) 2006-11-29
US20060269149A1 (en) 2006-11-30
US7738716B2 (en) 2010-06-15
CN1870754A (zh) 2006-11-29
CN1870754B (zh) 2010-06-09
EP1729519A3 (en)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998B1 (ko) 블록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76803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using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US86494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by using filtered prediction block
KR101446771B1 (ko) 영상 부호화장치 및 영상 복호화장치
JP5061179B2 (ja) 照明変化補償動き予測符号化および復号化方法とその装置
US20100254450A1 (en) Video coding method, video decoding method, video coding apparatus, video decod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CN102138326B (zh) 反量化图像的方法和设备以及解码图像的方法和设备
JP4417919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2009531980A (ja) デジタルビデオエンコーダの内部予測及びモード決定処理の計算を低減する方法
KR101482896B1 (ko) 최적화된 디블록킹 필터
JPWO2006070787A1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250157A (ja) 静止映像及び動映像を符号化/復号化するための変換係数の最適走査方法
JP2006211152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用プログラム、画像復号用プログラム
KR101375667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827091B1 (ko) 동영상 복호화시 손실 은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호화장치
KR20120117613A (ko)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9432694B2 (en) Signal shaping techniques for video data that is susceptible to banding artifacts
US200701475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694137B1 (ko) 동영상 부호화 장치, 동영상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050085730A (ko) 탄력 저장
KR101223780B1 (ko) 압축 화상 노이즈 제거 장치와 재생 장치
KR101419689B1 (ko) H.264/avc 복호기에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수행하는 복호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호화 방법
KR20100136907A (ko)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부호화 모드 보상 적응적 인루프 필터링 방법과 그 장치
US20060181650A1 (en) Encoding method and device
JPH09289642A (ja) ビデオ信号符号化方法、ビデオ信号復号化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