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572B1 - Electrical cleaner - Google Patents
Electrical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8572B1 KR100708572B1 KR1020057016359A KR20057016359A KR100708572B1 KR 100708572 B1 KR100708572 B1 KR 100708572B1 KR 1020057016359 A KR1020057016359 A KR 1020057016359A KR 20057016359 A KR20057016359 A KR 20057016359A KR 100708572 B1 KR100708572 B1 KR 1007085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ltraviolet light
- dust collecting
- light source
- odor removing
- ultraviole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KHGUXGNUITLKF-UHFFFAOY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O IKHGUXGNUITL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and finally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6 elastome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UZPPFZMUPKLLV-UHFFFAOYSA-N methane;hydrate Chemical compound C.O VUZPPFZMUPKL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68 redox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냄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집진실(21)}와, 이 집진부{집진실(21)}에 흡입 부압을 작용시키는 전동 송풍기(22)와, 상기 집진부{집진실(21)} 및 전동 송풍기(22)를 설치한 연통 풍로{실시예에서는 집진실(21)이 연통 풍로의 일부}와, 상기 연통 풍로{실시예에서는 집진실(21)이 연통 풍로의 일부} 안에 설치되면서 광 촉매 처리된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와,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자외선을 받아 광을 방출하여 상기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 방출체(42a)를 구비하고, 상기 자외선 광 방출체(42a)는 상기 냄새 제거 부재를 둘러싸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외선 광 방출체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냄새 제거 부재에 그 둘러싸는 방향에서 조사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냄새 제거 부재의 전체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고, 광 촉매의 활성화에 의해 연통 풍로 내의 충분한 냄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cleaner capable of anticipating a sufficient odor removing effect, and the electric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dust collecting chamber 21) for collecting dust and a dust collecting unit (dust collecting chamber 21). } And an electric blower 22 which applies suction negative pressure to the air blower, and a communication air path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unit {dust collecting chamber 21} and the electric blower 22 (in the embodiment,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1 is part of the communication air path). And the odor removing member (photocatalyst filter 41), which is photocatalyzed while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1 is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1 in th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for emitting ultraviolet light, and the light source from the light source. It is provided with an ultraviolet light emitter 42a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odor removing member (photocatalytic filter 41) by receiving ultraviolet light, and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body 42a surrounds the odor removing member. Mold in the shape that can irradiate ultraviolet rays It is. Since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are irradiated to the odor removing member in the surrounding direction thereof, the ultraviolet rays can be irradiated to the entire odor removing member sufficiently, and the activation of the photocatalyst allows sufficient odor removing effect in 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You can exp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 촉매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 내의 냄새 제거 등을 행하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는 집진실의 내벽면이나 집진 봉투에 광 촉매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광 촉매 처리를 행한 부분에 자외선 램프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균 등의 미생물을 살상하거나 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In conventional vacuum cleaners, photocatalytic treatment is per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r a dust bag of a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 portion of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from an ultraviolet lamp to kil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7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70
그러나, 이러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균 등의 미생물을 살상하거나 하는 것은 기대할 수 있지만, 만족할 만한 냄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었다.However, in such an electric cleaner, it is expected to kil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but a satisfactory odor removing effect could not be expected.
그래서, 본 발명은 충분한 냄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can expect a sufficient odor removing effec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와, 이 집진부에 흡입 부압(負壓)을 작용시키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집진부 및 전동 송풍기를 설치한 연통 풍로와, 상기 연통 풍로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광 촉매 처리된 냄새 제거 부재와,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자외선을 받아 광을 방출하여 상기 냄새 제거 부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 방출체를 구비하는 전기 청소기로서, 상기 자외선 광 방출체는 상기 냄새 제거 부재를 둘러싸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ust, an electric blower for applying suction negative pressure to the dust collecting unit, a communication air passage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electric blower, and the air blower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An ultraviolet light cleaner comprising a photocatalyst-treated odor removing member, a light source for emitting ultraviolet light, and an ultraviolet light emitter receiving ultraviole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to emit light to irradiate the ultraviolet light to the odor removing member. The light emitter is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by surrounding the odor removing member.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자외선 광 방출체로부터 광을 방출시키면, 자외선 광 방출체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이 냄새 제거 부재에 그 둘러싸는 방향에서 조사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냄새 제거 부재의 전체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고, 광 촉매의 활성화에 의해 연통 풍로 내의 충분한 냄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is irradiated in the direction surrounding the odor removing member, so that the ultraviolet light can be sufficiently irradiated to the entire odor removing member. By activating a photocatalyst, sufficient odor removal effect in a communication air path can be expected.
또한, 자외선 광 방출체의 「광 방출」이란 광원으로부터의 자외선을 받아 자외선 광 방출체 자신의 발광 현상에 의해 발생된 광이 자외선 광 방출체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및 광원으로부터 자외선 광 방출체에 도입된 자외선이 자외선 광 방출체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을 포함한다. 자외선 광 방출체 자신의 발광 현상에 의해 자외선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광 방출체 자신을 자외선을 받아 자외선을 발광하는 재료로 형성하거나 또는 광 투과성 재료에 자외선을 받아 자외선을 발광하는 재료를 혼입하여 자외선 광 방출체를 형성하거나 또는 자외선 광 방출체의 외표면에 자외선 발광층을 도포함으로써 자외선 발광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자외선 광 방출체에 도입된 자외선이 자외선 광 방출체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자외선 광 방출체를 광 투과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외주면에 시보 가공을 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rm "light emission" of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means that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ssion phenomenon of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itself by receiving ultraviole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to the outside an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Ultraviolet rays are introduced from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to the outside. When ultraviolet light is generated by the light emission phenomenon of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itself,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itself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receives ultraviolet light and emits ultraviolet light, or a material that emits ultraviolet light by receiving ultraviolet light in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 ultraviolet light emitter may be formed by form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er or by apply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layer to an outer surface of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In addition, when ultraviolet rays introduced into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from the light source are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to the outside,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can be formed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irradiation efficiency, time signal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둘러싼다」라고 하는 것은 완전히 둘러싸는 경우 및 불완전하더라도 자외선을 냄새 제거 부재의 전체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고, 광 촉매의 활성화에 의해 연통 풍로 내의 충분한 냄새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 "wraps"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ultraviolet rays are sufficiently irradiated to the entire odor removing member even when completely enclosed or incomplete, and a sufficient odor removing effect in 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can be obtained by activating the photocatalyst. I shall do it.
본 발명은 우선권 주장하고 있는 일본 출원: 특허출원 제2004-159240호(2004년 5월 28일 출원) 및 특허출원 제2004-221142호(2004년 7월 29일 출원)에 기초한 것으로서, 동 출원 내용을 참조하여 본 출원 명세서에 받아들인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ior-claimed Japanese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No. 2004-159240 (filed May 28, 2004) and Patent Application 2004-221142 (filed July 29, 2004). It is taken in this application specification with reference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ic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 도 2b는 광 촉매 필터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leaner body of the electric cleaner brok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photocatalyst filter.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3A is a side view of a part of the cleaner main body shown in FIG. 1 broken away, and FIG. 3B is an enlarged explanatory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FIG. 3A.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덮개를 도시한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of the cleaner body shown in FIG. 3;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4. FIG.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B부의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4.
도 7은 도 1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 회로도.7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electric cleaner of FIG. 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광 촉매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hotocatalyst of the electric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Fig. 9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주요부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9;
도 11은 도 9, 도 10에 도시된 자외선 광 방출체의 평면도.FIG. 11 is a plan view of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shown in FIGS. 9 and 10.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1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도 1에 도시된 전기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1)와, 이 청소기 본체(11)의 앞부분의 호스 접속구(21a; 도 2 참조)에 한 쪽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집진 호스(12) 등을 구비하고, 이 집진 호스(12) 타단의 손잡이 조작 파이프(13)에는 연장관(14)이 자유자재로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되며, 이 연장관(14)의 선단에는 흡입구체(15)가 자유자재로 착탈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The
또한, 도 1에 있어서, 13a는 손잡이 조작 파이프(13)에 설치된 조작 패널이다. 이 조작 패널(13a)에는 발광체 점등용 스위치(13b)와, 「약/중」 흡입 풍량 전환용 스위치(S1)와, 「강」 흡입 풍량용 스위치(S2)와, 「꺼짐」용 스위치(S3) 등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FIG. 1, 13a is an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청소기 본체(11)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0)와, 이 본체 케이스(20)의 상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덮개(30)를 갖고 있다.2 and 3A, the
본체 케이스(20)의 앞부분에는 상측이 개구되는 동시에, 집진 호스(12)에 연통하는 접속구(21a)를 가진 내부 공간인 집진실(집진부; 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한, 본체 케이스(20)의 뒷부분에는 집진실(21)에 연통하는 동시에, 이 집진실(21)에 흡입 부압을 작용시키는 전동 송풍기(22)가 내장된 내부 공간인 전동기실(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front part of the
또한, 이 집진실(21)과 전동 송풍기(22)는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21a)와 도시하지 않은 청소기 본체(11)의 배기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연통하는 연통 풍로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체 케이스(20)의 측면에는 한 쌍의 차륜(23; 다른 쪽은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저면에는 선회륜(SR)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wheels 23 (not shown on the other side)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또한, 집진실(21) 내에는 종이 팩 필터 등의 집진 봉투(F)가 장착되어 있고, 이 집진 봉투(F)에는 집진 호스(12)로부터 빨아 들여지는 먼지가 포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집진 봉투(F)에는 광 촉매 처리가 되어 있다.In the
덮개(30)는 집진실(21)의 개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집진실(21)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덮개(30)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30a)가 설치되어 있다.The
또한, 덮개(30)에는 청소기 본체(11)에 형성된 내부 공간인 집진실(21)을 향하는 부분에 창(31)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창(31)은 덮개(30)에 형성된 개구이다.Moreover, the
덮개(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투명한 창 커버(33)가 자유자재로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창 커버(33)가 덮개(30)의 창(31)을 덮 고 있어, 창(31)에 직접 창 커버를 설치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창 커버(33)의 전측에는 상측으로 들어 올려 벗길 때 손가락을 거는 손가락 걸이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창 커버(33)는 창(31)의 바깥쪽의 주연부에 마련된 환상의 유지 오목부(32d)에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On the front side of the
또한, 창(31)의 집진실(21)측의 주연부에는 전측에 유지 돌기(32a)가 마련되고, 후측에 유지 리브(32b)가 마련되어 있다.Moreover, the holding |
유지 돌기(32a)는 창(3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청소기 본체(11)의 좌우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 돌기(32a)의 선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holding |
한편, 유지 리브(32b)는 청소기 본체(11)의 좌우 방향(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마련되어 설치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전후 방향의 길이)이 위로 갈수록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유지 리브(32b)의 전단 상부, 즉 창(31)의 근방에 유지 오목부(32c)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ding
그리고, 유지 돌기(32a) 및 유지 리브(32b)에 자유자재로 착탈할 수 있도록 광 촉매체(냄새 제거 구조체; 40)가 유지되어 창(31)에 대향하는 동시에 집진실(연통 풍로; 21)에 배치되어 있다.Then, the photocatalyst body (odor removal structure; 40) is held so as to be freely attached to the holding
광 촉매체(4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와, 이 광 촉매 필터(41)를 유지하는 프레임체(42)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광 촉매 필터(41)는 광 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광 촉매 시트(광 촉매 부재; 41a)와, 죽탄(대나무 숯) 물질을 포함하는 죽탄 시트(41b)가 거의 교대로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광 촉매 시트(41a)가 파형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광 촉매 필터(41)는 허니컴 구조로 되어 있다(도 2b 참조).The
프레임체(42)는 광 촉매 필터(41)의 주위를 둘러싸는 투명 수지제의 환상 유지 프레임(자외선 광 방출체; 42a)과, 유지 프레임(42a)의 하부에 걸쳐 놓여진 복수의 적재 프레임(42b)을 갖고 있다. 광 촉매 필터(41)는 허니컴 구조의 구멍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 프레임(42a) 내에 배치되어 적재 프레임(42b) 위에 적재되어 있다.The
또한, 유지 프레임(42a)은 투명한 아크릴 부재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주면에 시보 가공 등이 행해져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이 유지 프레임(42a)의 일부로부터 내부에 조사되었을 때에 유지 프레임(42a) 전체에서 자외선이 방출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또한, 유지 프레임(42a)의 외주면 상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한 걸림 돌기부(43)가 전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전측의 유지 프레임(42a)의 걸림 돌기부(43)가 덮개(30)의 유지 돌기(32a)에 자유자재로 착탈할 수 있도록 걸어 맞춰지고, 후측의 유지 프레임(42a)의 걸림 돌기부(43)가 유지 리브(32b)의 오목부(32c)에 자유자재로 착탈할 수 있도록 걸어 맞춰짐으로써, 광 촉매체(40)가 덮개(30)에 자유자재로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engaging
또한, 이 유지 프레임(42a)의 상단면에는 완충 부재(44)가 마련되어 있고, 이 완충 부재(44)에 의해 광 촉매체(40)를 덮개(30)에 부착했을 때에, 창(31)의 주 연부에 프레임체(42)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Moreover, when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42a)의 걸림 돌기(43)에 근접시켜 접하도록 바람직한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자외선 발광원; 50)이 덮개(30)에 부착되고, 이 광원(50)에 접속된 리드선(51, 52)에 단자(51a, 52a)가 접속되어 있다. 이 광원(50)으로서는 자외선 램프 등이 이용된다.As shown in Fig. 4, a light source (ultraviolet light emitting source) 50 which emits ultraviolet rays which is preferable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또한, 단자(51a, 52a)는 수지제의 단자대(53)에 부착되고, 이 단자대(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의 선단부에 부착한 브래킷(54)에 유지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체 케이스(20)의 전단 상부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으로 노출되는 단자(51b, 52b)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3a와 같이 덮개(30)를 폐쇄했을 때에, 덮개(30)의 단자(51a, 52a)는 도 3b와 같이 본체 케이스(20)의 단자(51b, 52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B,
이 단자(51b, 52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갖는 제어 회로(5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회로(55)에는 조작 패널(13a)의 스위치(13b, S1, S2, S3)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전동 송풍기(22) 및 광원(50)이 접속되어 있다.These
[작용][Action]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전기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손잡이 조작 파이프(13)에 설치된 스위치(S1) 또는 스위치(S2)를 넣으면, 제어 회로(55)는 전동 송풍기(22)를 구동시킨다. 전동 송풍기(22)가 구동하면 흡입 부압이 발생하고, 집진실(21), 집진 호스(12), 손잡이 조작 파이프(13), 연장관 (14)을 통해 흡입구체(15)의 흡입실(도시하지 않음)에 흡입 부압이 작용한다. 이 흡입 부압에 의해 흡입구체(15)의 저면에 마련된 흡입실의 흡입 개구로부터 피청소면 위의 먼지 및 공기가 빨아 들여지고, 연장관(14), 손잡이 조작 파이프(13), 집진 호스(12)를 통해 청소기 본체(11)의 집진실(21)로 빨아 들여지게 된다.When the switch S1 or switch S2 provided in the
집진실(21)로 빨아 들여진 먼지는 집진실(21) 내에 설치된 집진 봉투(F)에 포집되고, 공기는 전동기실 내의 전동 송풍기(22)에 빨아 들여진 후에 청소기 본체(11)의 도시하지 않은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다.The dust sucked into the
한편, 집진실(21)에는 먼지나 공기와 같이 세균 등이 유입되어 집진 봉투(F) 등으로부터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악취 성분을 발산한다. 이 악취 성분은 집진실(21)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30)에 설치된 광 촉매체(40)의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에 의해 분해되고, 탈취된다. 또한, 세균 자체도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에 의해 살균, 분해된다.On the other hand, bacteria, such as dust and air, flow into the
또한, 이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에 의해 악취 성분 등이 분해되는 구조는 이하와 같다.In addition, the structure by which the odor component etc. decompose | disassemble by this photocatalyst filter (odor removal member) 41 is as follows.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의 광 촉매 시트(41a)가 갖고 있는 광 촉매 물질은 예컨대 이산화티탄(TIO2)이다.The photocatalyst material possessed by the
이 이산화티탄은 광(자외선)이 닿으면, 그 표면에서 전자가 튀어나와 정공(홀)이라 불리는 플러스 전하를 띤 구멍이 형성된다. 이 정공은 강한 산화력을 갖고 있고, 주위의 유기물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되고자 한다.When light (ultraviolet rays) reach this titanium dioxide, electrons stick out from the surface to form a positively charged hole called a hole. These holes have a strong oxidizing power and are intended to be electrically stable by taking electrons from surrounding organic matter.
이와 같이 이산화티탄의 산화 환원 작용에 의해 전자를 빼앗긴 유기물은 분해되고, 최종적으로는 이산화탄소나 물 등이 되어 대기 중으로 발산하게 된다. 또한, 죽탄 시트(41b)는 흡착력을 갖고 있어 악취 성분을 흡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organic matter deprived of electrons is decomposed by the redox effect of titanium dioxide, and finally, carbon dioxide, water, and the like are emitted into the atmosphere. In addition, the
여기서, 이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는 덮개(30)에 형성된 창(31)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창(3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자외선)에 충분히 닿을 수 있어 높은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Here, since the photocatalyst filter (odor removal member) 41 is provided along the
또한, 광 촉매 필터(41)가 그 허니컴 구조의 구멍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체(42)에 마련되기 때문에, 광 촉매 시트(41a) 및 죽탄 시트(41b) 사이를 악취 성분이 통과하여 탈취 작용을 여기(勵起)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또한, 집진실(21) 내로 유입된 공기는 덮개(30)의 창(31)을 따라 설치한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를 통과하는 일이 거의 없고, 집진실(21) 내로 빨아 들여진 먼지가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에 부착되어 버리는 일이 거의 없다.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이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는 덮개(30)에 자유자재로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가령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에 먼지가 부착된 경우라도, 용이하게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가 설치된 광 촉매체(40)를 벗겨 세정 또는 교환할 수 있다.And since this photocatalyst filter (odor removal member) 41 is attached to the lid | cover 30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eely, even if dust adheres to the photocatalyst filter (odor removal member; 41), it will be easy. Thus, the
또한,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는 허니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창(31)으로부터 도입되는 외광이 허니컴형의 간극으로부터 집진 봉투(F)에 도달하여 외광의 자외선이 광 촉매 처리된 집진 봉투(F)에 작용하고, 집진 봉투(F)의 광 촉매 처리된 부분에 의해 악취 성분이 분해된다.In addition, since the photocatalyst filter (odor removal member) 41 has a honeycomb type, external light introduced from the
한편, 광 방출체 점등용 스위치(13b)를 ON시키면, 제어 회로(55)는 광원(50)을 점등시킨다. 이 광원(50)으로부터 발광되는 자외선은 유지 프레임(42a) 내로 입사되어 유지 프레임(42a) 전체에서 자외선을 방출시켜 유지 프레임(42a) 전체에서 자외선을 방사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emitting
이 자외선은 일부가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에 조사되어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에 의해 악취 성분이 분해된다.Part of this ultraviolet light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st filter (odor removal member) 41, and the odor component is decomposed by the photocatalyst filter (odor removal member) 41.
또한, 다른 자외선의 일부는 광 촉매 처리가 된 집진 봉투(F)에 조사되어 집진 봉투(F) 내의 악취 성분이 분해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other ultraviolet rays is irradiated to the dust collecting bag F subjected to the photocatalyst treatment, whereby the odor component in the dust collecting bag F is decomposed.
또한, 자외선의 일부가 창(31)을 투과하여 외부 상측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창(31)이 흐릿한 보라색으로 빛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따라, 집진실(21) 내의 냄새 제거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야간 등의 사용시에 냄새 제거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since part of the ultraviolet ray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또한, 광 촉매체(40)를 항상 청결하게 해 둘 수 있기 때문에, 광 촉매체(40)에 부착된 먼지에 의해 분해 작용이 저해되는 일이 없게 되어 충분한 탈취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광 촉매체(40)를 용이하게 세정 또는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촉매 필터(41)를 집진실(21) 내에 노출시켜도 탈취 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광 촉매 필터(41)가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높은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주간에는 외광을 창(31)으로부터 도입하여 외광에 포함된 자외선을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 및 집진 봉투(F) 등에 조사하게 하여 악취 성분을 분해시킨다. 한편, 창(31)으로부터 도입되는 외광이 적은 야간에는 광원(50)을 발광하게 하여 자외선을 출사시킴으로써, 자외선을 유지 프레임(42a) 내로 유도하여 유지 프레임(42a) 전체에서 자외선을 방사시키고, 광 촉매 필터(냄새 제거 부재; 41) 및 집진 봉투(F) 등에 의해 악취 성분을 분해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주간과 야간에 외광에 포함된 자외선과 유지 프레임(42a)의 광 방출에 의한 자외선을 구별하여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의 쓸데없는 소비를 하지 않고, 집진실(21)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daytime, external light is introduced from the
(변형예 1)(Modification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지 프레임(42a)의 외주면에 시보 가공을 행하여 유지 프레임(42a) 전체에서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time signal processing was perform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42a)의 하단에 렌즈부(56)를 설치하고, 이 렌즈부(56)로부터 자외선을 아래쪽으로도 조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자외선은 유지 프레임 하단의 렌즈부(56)를 통해 집진 봉투(F)에 조사되어 악취 봉투 내의 악취 성분을 분해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변형예 2)(Modification 2)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유지 프레임(42a)을 자외선 광 방출체로 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 example in which the holding
예컨대,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이 도 9에 있어서 창(31)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이 창 커버(33)의 창(31)을 향하는 부분에는 상측으로 만곡 팽출되는 단면 원호형의 커버 돌기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돌기부(33a)의 앞부분은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움푹 패어 오목부(33b)로 되어 있다.For example, you may comprise as FIG. 9, FIG. In FIG. 9, the
덮개(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31)을 따라 환상으로 연장되는 유지 오목부(32d)가 마련되어 있다. 이 유지 오목부(32d)는 창(31)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시킨 내외 2중의 환상 플랜지(32d1, 32d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의 환상 플랜지(32d1)는 환상 기립부(d1a)와, 이 환상 기립부(d1a)에 대하여 내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내측 돌출부(d1b)를 갖는다.The
또한, 덮개(30)의 창(31)을 따르는 가장자리(30b)는 환상 기립부(d1a)로부터의 돌출량이 매우 작게 형성되고, 환상 내측 돌출부(d1b)는 환상 기립부(d1a)로부터의 돌출량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Further, the
이 환상 내측 돌출부(d1b)와 덮개(30)의 창(31)을 따르는 가장자리(30b) 사이에는 환상 기립부(d1a)에 탄성적으로 접합시킨 투명 수지제의 환상 자외선 광 방출체(57)가 유지되어 있다. 이 자외선 광 방출체(57)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환상으로 성형한 환상 광 방출부(광 방출체; 57a)와, 환상 광 방출부(57a) 뒷부분에 돌출 설치한 자외선 입사용 돌기부(57b)를 갖는다.Between this annular inner projection d1b and the
이 돌기부(57b)의 후단에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자외선 광원; 5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광원(58)도 도 7에 도시된 제어 회로(55)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어된다.At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광원(58)을 발광하게 하여 광원(58)으로부터의 자외선을 돌기부(57b)에 입사시킴으로써 이 입사된 자외선이 환상 광 방출부(57a)에 입사되어 전체에서 자외선을 방출시킨다. 이 환상 광 방출부(57a)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냄새 제거 부재인 광 촉매 필터(41)에 경사진 상측 주위로부터 전체적으로 조사되며, 광 촉매 필터(41)에 의해 악취가 분해된다.Then, the
또한, 이 때, 자외선은 커버 돌기부(33a)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 광 방출체(57)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since the ultraviolet rays can be seen from the
(변형예 3)(Modification 3)
또한, 전술한 커버 돌기부(33a) 부분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광 방출체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부(33a)에 다리부(33c)를 설치하고, 이 다리부(33c)의 단부면에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33d)을 요구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커버부(33a) 전체에서 자외선이 광 촉매 필터(41)에 주위에서부터 조사되게 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변형예 4)(Modification 4)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광 방출체(57)는 처음부터 환상으로 성형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환상으로 성형한 것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즉, 환상 내측 돌출부(d1b)와 덮개(30)의 창(31)을 따르는 가장자리(30b) 사이에 투명 수지제이며 직선형인 광 방출체를 환상으로 만곡시켜 설치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외선 광 방출체(59)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자외선 광 방출체(59)의 각 단부(59a, 59b)에 제1 광원(60) 및 제2 광원(61)을 각각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자외선 광 방출체(59)는 원통 형상의 불소수지 튜브 내에 엘라스토머재를 충전한 구조의 유연성이 있는 라이트 가이드가 이용되고 있다.That is, a transparent resin and linear light emitter is formed to be annularly curved between the annular inner projection d1b and the
이 경우, 제1 광원(60) 및 제2 광원(61)을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으로 하면, 자외선 광 방출체(59) 내로 입사되는 자외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자외선 광 방출체(59)의 중앙부에서의 광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또한, 제1 광원(60)을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으로 하고, 제2 광원(61)을 가시광 예컨대 청색의 광을 발광하는 광원으로 하여 제1, 제2 광원(60, 61)을 동시에 발광시키면, 자외선 광 방출체(59)는 전체에서 자외선이 방출되는 동시에, 자외선 광 방출체(59)의 전체에서 청색 가시광이 방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 청색 가시광은 창(31)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청색 가시광이 창(31)에서 보일 때에는 자외선 광 방출체(59)로부터 자외선이 방출되고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Since this blue visible light can be confirmed by the
또한, 제2 광원(61)은 청색 가시광을 발광하는 광원으로 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광원(61)은 청색 이외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광원이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2n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기 청소기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집진실(21)}와, 이 집진부{집진실(21)}에 흡입 부압을 작용시키는 전동 송풍기(22)와, 상기 집진부{집진실(21)} 및 전동 송풍기(22)를 설치한 연통 풍로{실시예에서는 집진실(21)이 연통 풍로의 일부}와, 상기 연통 풍로{실시예에서는 집진 실(21)이 연통 풍로의 일부}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광 촉매 처리된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와,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자외선을 받아 자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 33a, 5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 33a, 59)는 상기 냄새 제거 부재를 둘러싸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dust collecting chamber 21) for collecting dust, an electric blower (22) for applying suction negative pressure to the dust collecting unit (dust collecting chamber 21), and A communication air path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unit {dust collection chamber 21} and an electric blower 22 (in the embodiment, the
이 구성에 따르면, 자외선 광 방출체로부터 자외선을 방출시키면,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 33a, 59)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이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조사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의 전체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고, 연통 풍로{실시예에서는 집진실(21)이 연통 풍로의 일부} 내의 충분한 냄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ultraviolet rays are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s,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가 설치되는 연통 풍로를 집진실(21)로 하고 있지만, 이 연통 풍로는 전동 송풍기(22)가 설치되는 송풍기실, 전동 송풍기 하류의 배기실 등이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communication air path in which the odor removal member (photocatalyst filter 41) is provided is 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기 청소기의 상기 자외선 광 방출체는 상기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방광체{유지 프레임(42a), 환상의 자외선 광 방출체(57)}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자외선 광 방출체로부터 자외선을 방출시키면,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 59)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이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조사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의 전체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고, 연통 풍로{실시 예에서는 집진실(21)이 연통 풍로의 일부} 내의 충분한 냄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dder (hol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기 청소기의 상기 자외선 광 방출체는 상기 냄새 제거 부재를 둘러싸도록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42a)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지 프레임(42a; 자외선 광 방출체)을 발광시키면, 유지 프레임(42a; 자외선 광 방출체)으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이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조사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의 전체에 충분히 조사할 수 있고, 연통 풍로{실시예에서는 집진실(21)이 연통 풍로의 일부} 내의 충분한 냄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violet light emitter of the electric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상기 연통 풍로{실시예에서는 집진실(21)이 연통 풍로의 일부}의 상기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를 향하는 부분에 투명창{창(31)을 덮는 투명한 창 커버(3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at a portion facing the odor removing member (photocatalytic filter 41) of 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in the embodiment, the
이 구성에 따르면 주간에는 투명창{창(31)을 덮는 투명한 창 커버(33)}을 통해 집진실(21) 내로 입사되는 외광의 자외선이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에 작용하여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에 의해 집진실(21) 내의 악취가 충분히 분해된다.According to this constitution, ultraviolet rays of external light incident into the
또한, 야간에서는, 자외선 광 방출원인 광원(33d, 50)을 발광시킴으로써 광원(33d, 50)으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이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 33a, 59) 내로 유도되어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 33a) 전체에서 자외선이 방사되고, 이 방사되는 자외선이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에 작용하여 냄새 제거 부재{광 촉 매 필터(41)}에 의해 집진실(21) 내의 악취가 충분히 분해된다.In addition, at night,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또한, 창 커버(33) 내에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가 있는 경우에는 투명창{창(31)을 덮는 투명한 창 커버(33)}에서 창 커버(33) 내의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 59)로부터의 자외선의 방출이 보이기 때문에, 자외선 광 방출체(42a, 57, 59) 및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 또는 창 커버(33)에 자외선 광 방출체{커버 돌기부(33a)}가 있는 경우에는, 창 커버(33)의 자외선 광 방출체{커버 돌기부(33a)}로부터 자외선이 방출되기 때문에, 창 커버(33)의 자외선 광 방출체{커 버돌기부(33a)} 및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ultraviole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상기 자외선 광 방출체(59)는 상기 투명창{창(31)을 덮는 투명한 창 커버(33)}의 주연부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광 방출체(59)의 한 쪽 단부로 자외선을 발광하는 상기 광원이 제1 광원(60)으로서 향하고 있고, 상기 자외선 광 방출체(59)의 다른 쪽 단부로 제2 광원(61)이 향하고 있다.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광원(60) 및 제2 광원(61)이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인 경우, 자외선 광 방출체(59)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의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또한, 제1 광원(60)이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인 동시에, 제2 광원(61)이 가시광을 발광하는 광원인 경우, 투명창{창(31)을 덮는 투명한 창 커버(33)}에서 창 커버(33) 내의 자외선 광 방출체(59)의 가시광에 의한 광이 보이기 때문에, 자외선 광 방출체(59) 및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1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상기 제2 광원(61)은 가시광을 발광할 수 있는 광원으로 하고 있다.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이 구성에 따르면, 투명창{창(31)을 덮는 투명한 창 커버(33)}에서 창 커버(33) 내의 자외선 광 방출체(59)의 가시광에 의한 발광이 보이기 때문에, 가시성이 높아 자외선 광 방출체(59) 및 냄새 제거 부재{광 촉매 필터(41)}가 동작하고 있는 것 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light emitted by the visible light of the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159240 | 2004-05-28 | ||
JPJP-P-2004-00159240 | 2004-05-28 | ||
JPJP-P-2004-00221142 | 2004-07-29 | ||
JP2004221142 | 2004-07-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8357A KR20060038357A (en) | 2006-05-03 |
KR100708572B1 true KR100708572B1 (en) | 2007-04-19 |
Family
ID=3545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16359A KR100708572B1 (en) | 2004-05-28 | 2005-05-27 | Electrical clean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489075B2 (en) |
KR (1) | KR100708572B1 (en) |
RU (1) | RU2330600C1 (en) |
WO (1) | WO2005115214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5516B1 (en) | 2007-11-27 | 2013-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Nozzle assembly having a UV generating uni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09147A1 (en) * | 2006-03-10 | 2007-09-13 | Bissell Homecare, Inc. | Vacuum Cleaner with Motor Cooling Air Filtration |
KR100778701B1 (en) | 2006-04-27 | 2007-11-22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Sterilizer for cleaners and cleaners having same |
ITMI20071306A1 (en) * | 2007-06-29 | 2008-12-30 | Gisowatt S P A Ind Elettrodome | VACUUM CLEANER METHOD AND EQUIPMENT WITH GERMICIDAL ACTION |
CN103845000A (en) * | 2012-12-04 | 2014-06-11 |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 Dust collec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2049A (en) * | 1995-11-06 | 1997-05-13 | Sharp Corp | Electric vacuum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00370A (en) * | 1999-06-22 | 2001-01-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Vacuum cleaner and accessory for vacuum cleaner |
JP3822511B2 (en) * | 2002-03-12 | 2006-09-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Vacuum cleaner |
JP4017453B2 (en) * | 2002-06-24 | 2007-12-05 | 三洋電機株式会社 | Electric vacuum cleaner |
-
2005
- 2005-05-27 WO PCT/JP2005/009766 patent/WO200511521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5-27 KR KR1020057016359A patent/KR10070857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5-27 RU RU2006141849/11A patent/RU2330600C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5-27 JP JP2006519566A patent/JP448907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2049A (en) * | 1995-11-06 | 1997-05-13 | Sharp Corp | Electric vacuum clean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09122049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5516B1 (en) | 2007-11-27 | 2013-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Nozzle assembly having a UV generating uni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05115214A1 (en) | 2008-03-27 |
KR20060038357A (en) | 2006-05-03 |
RU2330600C1 (en) | 2008-08-10 |
WO2005115214A1 (en) | 2005-12-08 |
JP4489075B2 (en) | 2010-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36548B2 (en) | Vacuum cleaner | |
JP3146752U (en) | Intelligent purification trash | |
KR100899785B1 (en) | Cleaner with sterilization device | |
WO2013100131A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0708572B1 (en) | Electrical cleaner | |
KR20090049144A (en) | Vacuum cleaner | |
KR20120106387A (en) | Toothbrush wit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 |
CN109700387A (en) | Cleaning robot with disinfection device | |
CN214679084U (en) | Vibrating Electric Toothbrush | |
CN100405963C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2013090833A (en) |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 |
CN214198329U (en) | Sterilizing panel lamp | |
JP2004061077A (en) | Air cleaner | |
JP2013135814A (en) | Vacuum cleaner | |
JP2006217941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2002306580A (en) | Air cleaning method and device as well as refrigerator with air cleaning device | |
JPH01146518A (en) | Electric cleaner | |
JP2006043236A (en) | Dust collection bag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is dust collection bag | |
CN215687470U (en) | Sterilization type cleaning machines people | |
CN111248176B (en) | Multifunctional mosquito killing device | |
KR200151244Y1 (en) | vacuum cleaner | |
CN211484341U (en) | Mite-killing dust collector | |
CN216293917U (en) | Be applied to dust box of robot of sweeping floor | |
JP2004058030A (en) | Air cleaner | |
JP7366405B2 (en) | photocatalyt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9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