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306B1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Google Patents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2306B1 KR100702306B1 KR1020050106889A KR20050106889A KR100702306B1 KR 100702306 B1 KR100702306 B1 KR 100702306B1 KR 1020050106889 A KR1020050106889 A KR 1020050106889A KR 20050106889 A KR20050106889 A KR 20050106889A KR 100702306 B1 KR100702306 B1 KR 100702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level
- low level
- clock
- operation signal
- active oscill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3/356165—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feedback circui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2—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improve response time or to decrease power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에서의 클록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록의 하이 에지와 로우 에지를 디모듈레이터의 출력신호에 각각 동기시켜 출력함으로써 클록을 안정화시키고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RFID 칩의 동작신호인 디모듈레이터의 출력신호의 하이레벨 펄스 폭 구간 동안 동작신호의 하이레벨의 에지에 동작신호를 동기시켜 하이레벨 클록을 생성하고, 출력신호의 로우레벨 펄스 폭 구간 동안 동작신호의 로우레벨의 에지에 동작신호를 동기시켜 로우레벨 클록을 생성하며, 하이레벨 클록과 로우레벨 클록을 합성하여 클록을 생성하도록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generator in an RFID includ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nd to stabilize the clock and minimize current consumption by outputting the high and low edges of the clock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demodulator. Discuss the techniqu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high level clock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igh level edge of the operation signal during the high level pulse width sec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demodulator, the operation signal of the RFID chip, and during the low level pulse width section of the output signal. A low level clock is generated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signal to a low level edge of the operation signal, and a clock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high level clock and the low level clock.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A and 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ata encoding method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의 전체 구성도.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RFID includ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에서의 클록 발생 장치에 관한 구성도. 3 is a block diagram of a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에서의 클록 발생 장치에 관한 동작 타이밍도. 4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a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의 클록 발생 장치에 관한 상세 회로도. FIG.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clock generator of FIG. 3. FIG.
도 6은 도 5의 증폭 구동부 및 합성부에 관한 상세 회로도. 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amplifying driver and synthesis unit of FIG. 5.
본 발명은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에서의 클록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록의 하이 에지와 로우 에지를 디모듈레이터의 출력신호에 각 각 동기시켜 출력함으로써 클록을 안정화시키고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즉,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은 디램(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정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고, 전원의 오프시에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특성 때문에 차세대 기억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In general,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or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eRAM), has a data processing speed of about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memory device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 that data is preserved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have.
이러한 FeRAM은 디램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 기억소자로써 캐패시터의 재료로 강유전체를 사용하여 강유전체의 특성인 높은 잔류 분극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잔류 분극 특성으로 인하여 전계를 제거하더라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The FeRAM is a memory device having a structure almost similar to that of a DRAM, and uses a ferroelectric material as a capacitor material to utilize high residu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ferroelectric material. Due to this residu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data is not erased even when the electric field is removed.
상술된 FeRAM에 관한 기술내용은 본 발명과 동일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1-57275호에 개시된 바 있다. 따라서, FeRAM에 관한 기본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FeRAM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1-57275 filed by the same inventor as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FeRAM and its operation will be omitted.
한편,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 장치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A and 1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data encoding method of a general data processing apparatus.
도 1a는 리더-태그 커뮤니케이션(Interrogator-to-Tag Communication)에서 펄스 간격 인코딩(Pulse Interval Encoding;PIE) 심볼을 나타낸다. 즉, 데이터 '0'은 1Tari의 시간 동안 인가되어 0.5Tari 시간 동안 로우 펄스폭(PW)을 유지하고, 데이터 '1'은 2Tari 시간 동안 인가되어 0.5Tari 시간 동안 로우 펄스폭(PW)을 유지한다. 그리고, 디리미터(Delimiter) 명령이 인가된 이후에 프레임(Frame) 동 기신호 또는 프리앰블(Preamble) 신호가 인가된다. 1A shows a Pulse Interval Encoding (PIE) symbol in Interrogator-to-Tag Communication. That is, data '0' is applied for a time of 1Tari to maintain the low pulse width PW for 0.5Tari time, and data '1' is applied for 2Tari time to maintain the low pulse width PW for 0.5Tari time. . After the delimiter command is applied,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r a preamble signal is applied.
외부로부터 무선 고주파 신호 RF가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면 쇼트키 다이오드의 정류작용과 캐패시터의 차지 펌프 동작에 의해 디모듈레이터의 출력단에서 RFID 칩의 동작 신호 DEMOD가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radio frequency signal RF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ntenna, the operation signal DEMOD of the RFID chip is generated at the output of the demodulator by the rectifying action of the Schottky diode and the charge pump operation of the capacitor.
이러한 동작신호 DEMOD를 클록 발생부의 주파수 특성과 일치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 장치는 외부의 명령신호와 데이터의 동작 주파수가 각각 상이하게 인가되기 때문에, 각각의 동작 주파수에 대응하는 오실레이터를 구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동작 주파수가 서로 다른 디모듈레이터의 출력신호를 클록 발생기의 클록과 동기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operation signal DEMOD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lock generator. However, in the gener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s shown in FIGS. 1A and 1B, since an external command signal and an operating frequency of data are applied differently, an oscillator corresponding to each operating frequency cannot be implement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ynchronize the output signal of demodulators having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with the clock of the clock gener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RFID의 클록 발생기에서 디모듈레이터의 출력인 동작신호의 하이 에지와 로우 에지에서 동작신호와 클록신호를 동기시켜 하이 레벨 클록과 로우 레벨 클록을 별도로 생성함으로써 클록을 안정화시키고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separates the high level clock and the low level clock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clock signal at the high edge and the low edge of the operation signal which is the output of the demodulator in the clock generator of the RFID. The goal is to allow the clock to stabilize and minimize current consum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에서의 클록 발생 장치는, RFID 칩의 동작신호의 하이레벨 펄스 폭 구간 동안 동작신호의 하이레벨의 에지에 동작신호를 동기시켜 하이레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 및 하이레벨 제어신호를 증폭하고, 버퍼링하여 하이레벨 클록을 생성하는 증폭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lock generation device in an RFID includ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igh level edge of the operation signal during the high level pulse width section of the operation signal of the RFID chip. A high level active oscillator for outputting a high level control signal; And an amplifying driver for amplifying and buffering the high level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high level clock.
그리고, 본 발명은 RFID 칩의 동작신호의 로우레벨 펄스폭 구간 동안 동작신호의 로우레벨의 에지에 동작신호를 동기시켜 로우레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 및 로우레벨 제어신호를 증폭하고, 버퍼링하여 로우레벨 클록을 생성하는 증폭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ow level active oscillator for outputting a low level control signal by synchronizing an operation signal to a low level edge of an operation signal during a low level pulse width section of an operation signal of an RFID chip; And an amplifying driver for amplifying and buffering the low level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low level clock.
또한, 본 발명은 RFID 칩의 동작신호의 하이레벨 펄스폭 구간 동안 동작신호의 하이레벨의 에지에 동작신호를 동기시켜 하이레벨 클록을 생성하는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 수단; 동작신호의 로우레벨 펄스폭 구간 동안 동작신호의 로우레벨의 에지에 동작신호를 동기시켜 로우레벨 클록을 생성하는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 수단; 및 하이레벨 클록과 로우레벨 클록을 합성하여 클록을 생성하는 클록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gh level active oscillator means for generating a high level clock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high level edge of the operation signal during the high level pulse width section of the operation signal of the RFID chip; Low level active oscillator means for generating a low level clock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signal to a low level edge of the operation signal during the low level pulse width period of the operation signal; And a clock synthesizing unit configured to synthesize the high level clock and the low level clock to generate a clock.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장치는 크게 아날로그 블럭(100)과, 디지탈 블럭(200) 및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FeRAM;non-volatile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300)를 구비한다.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RFID including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여기서, 아날로그 블럭(100)은 전압 멀티플라이어(Voltage Multiplier;110), 전압 리미터(Voltage Limiter;120), 모듈레이터(Modulator;130), 디모듈레이터 (Demodulator;140), 파워온 리셋부(Power On Reset;150) 및 클록 발생부(160)를 구비한다. The
그리고, 아날로그 블럭(100)의 안테나(10)는 외부의 리더기 또는 라이터기와 RFID 간에 무선 주파수 신호 RF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압 멀티플라이어(110)는 안테나(1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 RF에 의해 RFID의 구동전압인 전원전압 VDD을 생성한다. 전압 리미터(120)는 안테나(10)로부터 인가된 무선 주파수 신호 RF의 전송 전압의 크기를 제한하여 디모듈레이터(140)와 클록 발생부(160)에 출력한다. And, the
또한, 모듈레이터(130)는 디지탈 블럭(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응답 신호 RP를 모듈레이팅하여 안테나(10)에 전송한다. 디모듈레이터(140)는 전압 멀티플라이어(110)와 전압 리미터(120)의 출력전압에 따라 안테나(1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 RF에서 동작 명령 신호를 검출하여 동작신호 DEMOD를 디지탈 블럭(200)에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파워온 리셋부(150)는 전압 멀티플라이어(110)의 출력 전압 VDD을 감지하여 리셋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 온 리셋신호 POR를 디지탈 블럭(200)에 출력한다. 클록 발생부(160)는 전압 멀티플라이어(110)의 출력 전압 VDD에 따라 디지탈 블럭(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록 CLK를 디지탈 블럭(200)에 공급한다. The power-on
또한, 상술된 디지탈 블럭(200)은 아날로그 블럭(100)으로부터 전원전압 VDD, 파워 온 리셋신호 POR, 클록 CLK 및 동작신호 DEMOD를 인가받아 명령신호를 해석하고 제어신호 및 처리 신호들을 생성하여 아날로그 블럭(100)에 해당하는 응 답신호 RP를 출력한다. 그리고, 디지탈 블럭(200)은 어드레스 ADD, 입/출력 데이터 I/O, 제어신호 CTR 및 클록 CLK을 FeRAM(300)에 출력한다. FeRAM(300)은 불휘발성 강유전체 캐패시터 소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리드/라이트 하는 메모리 블럭이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도 3은 도 2의 클록 발생부(160)에 관한 상세 구성도이다.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클록 발생부(160)는 오실레이터부(161)와, 온도 전압 특성 조정부(164) 및 클록 합성부(165)를 구비한다. 여기서, 오실레이터부(161)는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와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 및 증폭 구동부 A1,A2를 포함한다. The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는 디모듈레이터(140)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신호 DEMOD의 하이레벨 구간 동안에 동작신호 DEMOD를 동기시켜 하이레벨 제어신호 /high_s,high_s를 출력한다. 증폭 구동부 A2는 하이레벨 제어신호 /high_s,high_s를 증폭 및 버퍼링하여 하이레벨 클록 CLK_H을 출력한다. The high level
그리고,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는 디모듈레이터(140)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신호 DEMOD의 로우레벨 구간 동안에 동작신호 DEMOD를 동기시켜 로우레벨 제어신호 low_s,/low_s를 출력한다. 증폭 구동부 A1는 로우레벨 제어신호 low_s,/low_s를 증폭 및 버퍼링하여 로우레벨 클록 CLK_L을 출력한다. The low level
온도 전압 특성 조정부(164)는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와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의 전류를 제한하여 온도 보상시 이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클록 합성부(165)는 하이레벨 클록 CLK_H과 로우레벨 클록 CLK_L을 합성 하여 클록 CLK을 출력한다. The temperature voltage characteristic adjusting
도 4는 도 3의 클록 발생부(160)에서 출력되는 클록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4 illustrates a waveform diagram of a clock output from the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는 디모듈레이터(140)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신호 DEMOD의 로우 투 하이 에지(Low to High edge)에 동기하여 하이레벨 클록 CLK_H을 출력한다. 그리고,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는 디모듈레이터(140)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신호 DEMOD의 하이 투 로우 에지(High to Low edge)에 동기하여 로우레벨 클록 CLK_L을 출력한다. The high level
또한, 클록 합성부(165)는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로부터 인가되는 하이레벨 클록 CLK_H과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로부터 인가되는 로우레벨 클록 CLK_L을 합성하여 클록 CLK을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도 5는 도 3의 클록 발생부(160)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는 복수개의 PMOS트랜지스터 P7~P11와 복수개의 NMOS트랜지스터 N8~N13를 구비하여 발진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는 동작신호 DEMOD의 활성화시 NMOS트랜지스터 N12가 활성화되어 하이레벨 제어신호 /high_s,high_s가 출력된다. The high level
그리고,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는 복수개의 PMOS트랜지스터 P1~P6와 복수개의 NMOS트랜지스터 N1~N7를 구비하여 발진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로우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는 동작신호 DEMOD의 활성화시 PMOS트랜지스터 P1, NMOS트랜지스터 N1에 의해 동작신호 /DEMOD가 비활성화된다. 그리고, 동작신호 DEMOD의 비활성화시 PMOS트랜지스터 P1, NMOS트랜지스터 N1에 의해 동작신호 /DEMOD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NMOS트랜지스터 N6가 활성화되어 로우레벨 제어신호 /low_s,low_s가 출력된다.The low level
또한, 증폭 구동부 A1는 로우레벨 제어신호 /low_s가 네가티브(-) 단자로 입력되고, 로우레벨 제어신호 low_s가 포지티브(+) 단자로 입력되어 로우레벨 클록 CLK_L을 출력한다. 증폭 구동부 A2는 하이레벨 제어신호 /high_s가 네가티브(-) 단자로 입력되고, 하이레벨 제어신호 high_s가 포지티브(+) 단자로 입력되어 하이레벨 클록 CLK_H을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amplifying driver A1 inputs the low level control signal / low_s to the negative (-) terminal and the low level control signal low_s to the positive (+) terminal to output the low level clock CLK_L. The amplification driver A2 inputs the high level control signal / high_s to the negative (-) terminal and the high level control signal high_s to the positive (+) terminal to output the high level clock CLK_H.
또한, 온도 전압 특성 조정부(164)는 저항 R1~R3과, 불휘발성 강유전체 캐패시터 FC1~FC4 및 NMOS트랜지스터 N14~N17를 구비한다. The temperature voltage
여기서, 저항 R1과 NMOS트랜지스터 N14는 전원전압단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NMOS트랜지스터 N14는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공통 연결된다. NMOS트랜지스터 N15는 NMOS트랜지스터 N8과 저항 R2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가 저항 R1과 연결된다. NMOS트랜지스터 N16는 NMOS트랜지스터 N16과 NMOS트랜지스터 N17 사이에 연결되어 게이트 단자가 NMOS트랜지스터 N15와 공통 연결된다. Here, the resistor R1 and the NMOS transistor N14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and the drain terminal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NMOS transistor N14. The NMOS transistor N15 is connected between the NMOS transistor N8 and the resistor R2 so that the gat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1. The NMOS transistor N16 is connected between the NMOS transistor N16 and the NMOS transistor N17 so that the gate terminal is commonly connected with the NMOS transistor N15.
또한, 불휘발성 강유전체 캐패시터 FC4는 NMOS트랜지스터 N13와 접지전압단 사이에 연결된다. 저항 R2는 NMOS트랜지스터 N15와 NMOS트랜지스터 N17 사이에 연결된다. 불휘발성 강유전체 캐패시터 FC2는 저항 R2와 병렬 연결된다. NMOS트랜지스터 N17는 저항 R2와 저항 R3 사이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불휘발성 강유전체 캐패시터 FC1에 연결된다. 불휘발성 강유전체 캐패시터 FC3는 저항 R3과 병렬 연결된다. 합성부(165)는 로우레벨 클록 CLK_L과 하이레벨 클록 CLK_H을 합성하여 클록 CLK을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capacitor FC4 is connected between the NMOS transistor N13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Resistor R2 is connected between NMOS transistor N15 and NMOS transistor N17.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capacitor FC2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R2. NMOS transistor N17 is connected between resistor R2 and resistor R3 and its gate terminal is connected to nonvolatile ferroelectric capacitor FC1. The nonvolatile ferroelectric capacitor FC3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R3. The
도 6은 도 5의 증폭 구동부 A1,A2와 합성부(165)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amplifier drivers A1 and A2 and the
증폭 구동부 A1는 저항 R4,R5과, PMOS트랜지스터 P12,P13 및 NMOS트랜지스터 N18,N19를 포함하는 로우 레벨 증폭부와, 저항 R6~R8과, PMOS트랜지스터 P14,P15 및 NMOS트랜지스터 N20,N21를 포함하는 로우 레벨 버퍼부를 구비한다. The amplification driver A1 includes a low level amplifier including resistors R4, R5, PMOS transistors P12, P13, and NMOS transistors N18, N19, resistors R6-R8, PMOS transistors P14, P15, and NMOS transistors N20, N21. And a low level buffer portion.
그리고, 증폭 구동부 A2는 저항 R9,R10과, PMOS트랜지스터 P16,P17 및 NMOS트랜지스터 N22,N23를 포함하는 하이 레벨 증폭부와, 저항 R11~R13과, PMOS트랜지스터 P18,P19 및 NMOS트랜지스터 N24,N25를 포함하는 하이 레벨 버퍼부를 구비한다. The amplification driver A2 includes a high level amplifier including resistors R9 and R10, PMOS transistors P16, P17 and NMOS transistors N22 and N23, resistors R11 to R13, PMOS transistors P18, P19 and NMOS transistors N24 and N25. It includes a high level buffer unit.
또한, 합성부(165)는 로우레벨 클록 CLK_L과 하이레벨 클록 CLK_H을 앤드연산하여 클록 CLK을 출력하는 앤드게이트 AND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RFID의 디모듈레이터(140)를 통해 동작신호 DEMOD가 인가될 경우 NMOS트랜지스터 N12가 턴온되어, 동작신호 DEMOD의 하이 레벨 에지에서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가 활성화된다. 이때, 로우 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는 PMOS트랜지스터 P1와 NMOS트랜지스터 N1로 이루어진 인버터에 의해 NMOS트랜지스터 N6가 턴오프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하이레벨 제어신호 /high_s,high_s가 활성화되어 하이 레벨 증폭부가 동작하게 된다. First, when the operation signal DEMOD is applied through the
여기서, 하이 레벨 증폭부의 저항 R9,R10은 전류 제한 저항 소자로서 증폭 구동부 A2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하이 레벨 버퍼부는 하이 레벨 증폭부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하이레벨 클록 CLK_H을 생성한다. 이때, 하이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는 오실레이터의 동작시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항 R9~R13은 저항값이 큰 저항소자를 사용하여 증폭 구동부 A2에 1㎂ 이하의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Here, the resistors R9 and R10 of the high level amplifier section limi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driver A2 as a current limiting resistor element. The high level buffer unit buffers the output of the high level amplifier unit to generate the high level clock CLK_H. At this time, the high level
반면에, RFID의 디모듈레이터(140)를 통해 동작신호 DEMOD가 인가될 경우 NMOS트랜지스터 N6가 턴온되어 동작신호 DEMOD의 로우 레벨 에지에서 로우 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가 활성화된다. 이때, 동작신호 DEMOD가 로우 레벨이 되어 NMOS트랜지스터 N12가 턴오프되어 하이 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로우레벨 제어신호 /low_s,low_s가 활성화되어 로우 레벨 증폭부가 동작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signal DEMOD is applied through the
여기서, 로우 레벨 증폭부의 저항 R4,R5은 전류 제한 저항 소자로서 증폭 구동부 A1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로우 레벨 버퍼부는 로우 레벨 증폭부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로우레벨 클록 CLK_L을 생성한다. 이때, 로우 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는 오실레이터의 동작시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항 R9~R13은 저항값이 큰 저항소자를 사용하여 증폭 구동부 A2에 1㎂ 이하의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Here, the resistors R4 and R5 of the low level amplifier unit limi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driver A1 as a current limiting resistor. The low level buffer unit buffers the output of the low level amplifier to generate the low level clock CLK_L. In this case, the low level
이때, 온도 전압 특성 조정부(164)는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하며, 전류 제한 저항 소자 R1~R3를 통해 하이 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2)와 로우 레벨 액티브 오실레이터(163)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항 R1~R3은 저항값 이 큰 저항소자를 사용하여 온도 전압 특성 조정부(164)에 1㎂ 이하의 작은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불휘발성 강유전체 캐패시터 FC1~FC4는 온도 전압 특성의 조정시 이를 안정화시키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voltage
다음에, 합성부(165)는 로우레벨 클록 CLK_L과 하이레벨 클록 CLK_H을 앤드연산하여 합성된 클록 CLK을 생성하게 된다. Next,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모듈레이터의 출력인 동작신호의 하이 레벨에서 동작하는 오실레이터와 로우 레벨에서 동작하는 오실레이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동작신호의 변경시 각 클록을 다시 셋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클록의 위상 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된 클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e oscillator operating at a high level and an oscillator operating at a low level of an operation signal that is an output of a demodulator, so that each clock can be reset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changed. As a result, the phase difference of the clock can be minimized, a stable clock can be generated, and the current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substitutions and additions throug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the following claims It should be seen as belonging to a range.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6889A KR100702306B1 (en) | 2005-11-09 | 2005-11-09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6889A KR100702306B1 (en) | 2005-11-09 | 2005-11-09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2306B1 true KR100702306B1 (en) | 2007-03-30 |
Family
ID=4156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68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2306B1 (en) | 2005-11-09 | 2005-11-09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230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5489B1 (en) | 2007-01-04 | 2008-06-0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KR100865707B1 (en) | 2007-05-25 | 2008-10-28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ck Generators for Microwave RDF Tag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43535A (en) * | 1995-05-24 | 1996-12-23 | 리 패치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multi-phase shift clock using a set of minimum-phase crosstalk signals |
KR19990078063A (en) * | 1998-03-23 | 1999-10-25 | 가네코 히사시 | Clock generation apparatus |
KR20000032874A (en) * | 1998-11-18 | 2000-06-15 | 윤종용 |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clock signal of low frequency |
-
2005
- 2005-11-09 KR KR1020050106889A patent/KR1007023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43535A (en) * | 1995-05-24 | 1996-12-23 | 리 패치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multi-phase shift clock using a set of minimum-phase crosstalk signals |
KR19990078063A (en) * | 1998-03-23 | 1999-10-25 | 가네코 히사시 | Clock generation apparatus |
KR20000032874A (en) * | 1998-11-18 | 2000-06-15 | 윤종용 |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clock signal of low frequenc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5489B1 (en) | 2007-01-04 | 2008-06-0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KR100865707B1 (en) | 2007-05-25 | 2008-10-28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ck Generators for Microwave RDF Tag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7114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demodulation of PWM signal | |
KR100909801B1 (en) | RDF tag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0929296B1 (en) | RFID tag device | |
US20100277282A1 (e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 |
KR20050073489A (en) | Current integrating sense amplifier for memory modules in rfid | |
KR20090127641A (en) | RFID device | |
JP4384515B2 (en) | hearing aid | |
KR100702306B1 (en)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
KR100649832B1 (en) | RFID Devices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
US20150071394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ctivation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JP2008071129A (en) | Wireless IC tag device | |
KR100811420B1 (en)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
KR101139491B1 (en) | RFID device | |
US8274369B2 (e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hav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
KR101031404B1 (en) | RFID tag with power supply voltage adjustment function | |
KR100835489B1 (en) | Clock generator in RFID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
KR100881823B1 (en) | RFID Devices Includ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 |
KR20150127859A (en) | Envelop Detector for RF Communication | |
KR20090001243A (en) | Pulse transducer and RFID device using same | |
JP2001237684A (en) | Power-on reset circuit | |
JP2003016390A (en) | Contactless ic card reader writer | |
KR101067886B1 (en) | RFID device | |
KR101218280B1 (en) | RFID device | |
JP4250005B2 (en) | Non-contact IC card | |
KR101102000B1 (en) | RFI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