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183B1 - Driving device of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head - Google Patents
Driving device of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he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1183B1 KR100701183B1 KR1020050094769A KR20050094769A KR100701183B1 KR 100701183 B1 KR100701183 B1 KR 100701183B1 KR 1020050094769 A KR1020050094769 A KR 1020050094769A KR 20050094769 A KR20050094769 A KR 20050094769A KR 100701183 B1 KR100701183 B1 KR 1007011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outlet
- inlet
- passage
- solenoid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3—Fixed show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자동 개폐 또는 수동 개폐시켜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할 수 있는 절수형 전자 샤워기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수 또는 지수를 제어하는 작동 버튼과; 외부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와; 전자력의 작용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구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작동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방시켜 출수관으로 토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이 상태에서 작동 버튼이 다시 눌러지거나 상기 센서를 통해 정해진 시간 내 연속으로 물체가 감지되지 않거나 정해진 작동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폐쇄시켜 출수관으로 지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아울러 상기 표시 패널이 토수 또는 지수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 전환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device of a water-saving type electronic shower which can control water discharge and water by automatically opening or closing a passage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and comprising: an operation button for controlling water discharge or water; A sensor for sensing an external object; A solenoid valve opened and closed by the action of an electromagnetic force;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riving device;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the solenoid valve opens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control the discharge of water to the outlet pip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to close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let pipe when the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elapses, and to control the display panel to display the water discharge or the water discharge state; And a manual switching lever for manually manipula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Description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가 사용되되 출수 파이프가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된 자동 샤워기의 측면도.1A is a side view of an automatic shower in which a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 a discharge pipe embedded in a wall;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가 사용되되 출수 파이프가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된 자동 샤워기의 정면도.1b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shower in which a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 a discharge pipe embedded in a wall;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가 사용되되 출수 파이프가 노출되어 설치된 자동 샤워기의 측면도.Figure 2a is a side view of the automatic shower installed using the driv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exposed to the discharge pipe.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가 사용되되 출수 파이프가 노출되어 설치된 자동 샤워기의 정면도.Figure 2b is a front view of the automatic shower installed using the driv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exposed to the water outlet pipe.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내 컨트롤 박스의 내부 블록도.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box in a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 작동 버튼이 눌러진 후 작동 버튼이 다시 눌러지는 경우의 작동 타이밍도. 5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again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 작동 버튼이 눌러진 후 센서를 통해 정해진 시간 내 물체가 연속으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의 작동 타이밍도.6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an object is not continuously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a sensor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 작동 버튼이 눌러진 후 정해진 작동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의 작동 타이밍도. 7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elapses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샤워 헤드 200 : 출수 파이프100: shower head 200: water discharge pipe
300 : 구동 장치 310 : 전면 커버300: drive unit 310: front cover
312 : 작동 버튼 314 : 표시 패널 안착홈312
320 : 컨트롤 박스 321 : 센서320: control box 321: sensor
322 : 표시 패널 323 : 컨트롤러322
324 : 정전압 회로부 325 : 저전압 감지부324: constant voltage circuit section 325: low voltage detection section
330 : 컨트롤 박스 체결구 342 : 입수 연결 니플(하)330: control box fastener 342: inlet connection nipple (lower)
344 : 입수 연결 니플(상) 350 : 솔레노이드 밸브344: Inlet connection nipple (upper) 350: Solenoid valve
360 : 수동 전환 레버 370 : 출수관360: manual switch lever 370: water outlet pipe
372 : 출수 연결 니플(하) 374 : 출수 연결 니플(상)372: water outlet connection nipple (bottom) 374: water outlet connection nipple (upper)
380 : 후면 커버 382 : 배터리380: rear cover 382: battery
390 : 벽체 설치용 설치대 392 : 회전 방지용 고무링390: wall mounting bracket 392: anti-rotation rubber ring
400 : 입수 파이프 400: inlet pipe
본 발명은 절수형 전자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자동 개폐 또는 수동 개폐시켜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할 수 있는 절수형 전자 샤워기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수동 샤워기는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는 원수관에 연결되어 구비된 개폐밸브의 수동 조작에 따라 토수 또는 지수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수동 샤워기는 개폐밸브를 급수 조작하였을 경우, 또 다시 개폐밸브를 지수 조작하기 전까지는 계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져서 많은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개폐밸브를 수시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As is well known, a conventional manual shower device is discharged from water or water according to manual operation of an on / off valve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a raw water pipe to which hot or cold water is supplied. However, such a manual shower has a problem in that a continuous water supply is made until water supply operation of the on-off valve is performed again and again, the waste water is wasted,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rate the on-off valve from time to time There is this.
상술한 수동 샤워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 감지식 샤워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자 감지식 샤워기는 기본적으로 작동 버튼과, 작동 버튼의 터치 신호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서 발생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력의 작용으로 작동하여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 버튼이 눌러지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자동으로 개방시킴으로써 토수가 이루어지고, 작동 버튼이 다시 눌러지거나, 토수 중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통로를 자동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지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In order to remedy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the manual shower, an electronic sensor shower has been developed. Such an electronically-sensing shower is basically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button, a touch signal of the operation button, and acting by an electromagnetic for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to automatically open a passage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It is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to open and close by. So,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the solenoid valve automatically opens the passageway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and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again, a certain time in the jetting water is passed, or the user is not detected, the solenoid The index is achieved by automatically closing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valve is opened.
그런데, 이러한 전자 감지식 샤워기의 컨트롤러는 여러 종류의 회로 부품들 이 기판상에 실장되어 구성됨으로써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부품이 소손되어 고장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컨트롤러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샤워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 감지식 자동 샤워기에 있어서 설령 컨트롤러나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수동 조작에 의해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By the way, the controller of the electronic sensing shower has a variety of circuit components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mponents are damaged due to various causes, the failure. Thus, when the controller is not normally operated, the solenoid valve is not op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use the shower. Therefore, even if the controller or the solenoid valve does not operate normally in the electronically-sensing automatic shower, there is a need to control the water discharge and the water by manual opera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 버튼을 누름에 따른 전자력의 작용 또는 수동 조작으로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폐시켜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링이 끼워진 구동 장치 설치용 설치대, 배터리에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전압 회로부 및 배터리를 적기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저전압 감지부를 구비하며, 또한 구동 장치가 대기 중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전자 샤워기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by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by the action or manual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cording to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can control the water discharge and the water, and also prevent rotation It is equipped with a rubber ring-mounted mounting device for the drive unit, a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for supplying constant power to the battery, and a low voltage detection unit for replacing the battery in a timely manner, and the drive unit can switch to the power saving mode during standb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ing device of a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전자 샤워기의 구동 장치는,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폐시켜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할 수 있는 절수형 전자 샤워기의 구동 장치로서, 토수 또는 지수를 제어하는 작동 버튼과; 외부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와; 전자력의 작용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구동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작동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방시켜 출수관으로 토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이 상태에서 작동 버튼이 다시 눌러지거나 상기 센서를 통해 정해진 시간 내 연속으로 물체가 감지되지 않거나 정해진 작동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폐쇄시켜 출수관으로 지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아울러 상기 표시 패널이 토수 또는 지수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 전환 레버와; 구동 장치를 벽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 방지용 고무링이 일단에 끼워진 벽체 설치용 설치대와; 구동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사용하되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정전압 회로부와; 상기 배터리가 일정 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표시 패널을 통해 배터리의 교체 알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저전압 상태를 알려주는 저전압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버튼이 눌러져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방시켜 출수관으로 토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가 주기적으로 기동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외부 물체를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타임 체크 후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iving device of the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ing device of the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which can control the water discharge and the wat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 operation button for controlling; A sensor for sensing an external object; A solenoid valve opened and closed by the action of an electromagnetic force;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riving device;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the solenoid valve opens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control the discharge of water to the outlet pip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to close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let pipe when the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elapses, and to control the display panel to display the water discharge or the water discharge state; A manual switching lever for manually manipula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ssag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wall mounting mount for fixing the driving device to a wall, the anti-rotation rubber ring being fitted at one end thereof; A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which uses a battery as a driving power source and supplies a constant power to the controller; When the battery is less than a certain voltage has a low voltage detection unit for indicating a low voltage state to the controller to display a battery replacement notification through the display panel,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so that the solenoid valv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In the case where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outlet pipe by opening the passage, the controller periodically starts to control the sensor to detect an external object, and to switch to the power saving mode after the time che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가 사용되되 출수 파이프가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된 자동 샤워기의 측면도이고,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가 사용되되 출수 파이프가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된 샤워기의 자동 정면도이며,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가 사용되되 출수 파이프가 노출되어 설치된 자동 샤 워기의 측면도이고,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가 사용되되 출수 파이프가 노출되어 설치된 샤워기의 자동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내 컨트롤 박스의 내부 블록도이다. 1A is a side view of an automatic shower in which a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the outlet pipe is embedded in the wall, and FIG. 2A is a side view of an automatic shower apparatus in which a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the extraction pipe is exposed, and FIG. 2B is an automatic front view of a shower unit in which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the extraction pipe is expos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box in the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부호 100은 샤워 헤드, 200은 출수 파이프, 300은 구동 장치, 400은 입수 파이프를 나타낸다. In the drawings,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300)가 사용된 전자 감지식 샤워기는 샤워 헤드(100)와 구동 장치(300)를 연결하는 출수 파이프(200)가 벽체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거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lectronic sensing shower in which the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300)는 크게 전면 커버(310)와, 전면 커버(310)의 내측에 설치되고 표시 패널(322)이 부착된 컨트롤 박스(320)와, 컨트롤 박스(320)가 체결되는 컨트롤 박스 체결구(330)와, 컨트롤 박스(320)에 소정의 커넥터로 연결되며 전자력의 작용으로 작동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50)와, 수동으로 전환하여 조작하기 위한 수동 전환 레버(360)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50)의 작용으로 개폐되는 유출구에 연결되는 출수관(370)과, 전면 커버(310)가 조립되는 후면 커버(380)와, 후면 커버(380)에 체결되며 벽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대(39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전면 커버(310)에는 사용자가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하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작동 버튼(312)이 끼워지고, 상기 컨트롤 박스(320)에 부착된 표시 패널(322) 형상의 표시 패널 안착홈(314)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컨트롤 박스(32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작동 버튼(312)이 눌러지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5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표시 패널(322)을 통해 현재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컨트롤 박스(320)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상기 컨트롤 박스 체결구(330)는 체결 브라켓으로서 컨트롤 박스(320)를 체결하여 상기 후면 커버(380)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The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50)는 전기적인 스위치의 변화에 의해 작동하는데, 상기 컨트롤 박스(3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력의 작용으로 입수 연결 니플(342)(344)을 통해 입수 파이프(400)가 연결되는 유입구와 출수관(370)의 일단이 연결되는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폐시켜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한다. 즉, 입수 파이프(400)와 출수 연결 니플(372)(374)을 통해 출수관(370)의 타단이 연결되는 출수 파이프(200) 간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다. The
상기 수동 전환 레버(360)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50)의 측면에 설치되는데 수동 조작에 의해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폐시키는데 사용된다. 즉, 컨트롤 박스(320)나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고장나서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자가 수동 조작에 의한 기구적인 방법으로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폐시켜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The
상기 후면 커버(380)는 상기 컨트롤 박스(320), 및 솔레노이드 밸브(350)와 수동 전환 밸브(360)의 조립체가 체결된 상태로 전면 커버(310)에 조립된다. 그리고, 후면 커버(380)에는 컨트롤 박스(3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382)가 장착된다. The
상기 설치대(390)는 상기 후면 커버(380)에 조립되어 구동 장치(300)를 벽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에는 회전을 방지시킬 수 있는 소정의 고무링(392)이 끼워져 있다. The mounting table 390 is assembled to the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300)의 컨트롤 박스(320)는 전자 감지식 샤워기를 보다 바람직하게 구현시킬 수 있도록 센서(321)와, 표시 패널(322)과, 컨트롤러(323)와, 정전압 회로부(324)와, 저전압 감지부(325)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센서(321)는 외부의 물체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데, IR 송신부 및 IR 수신부를 구비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322)은 일종의 LED 패널로서 구동 장치(300)의 현재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The
상기 컨트롤러(323)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작동 버튼(312)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작동하여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방시키도록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통로가 개방되어 토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작동 버튼(312)이 다시 눌러지거나 상기 센서(321)를 통해 정해진 시간(예컨대, 5초) 내에 연속하여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정해진 작동 시간(예컨대, 2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폐쇄시키도록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아울러, 상기 표시 패널(322)이 현재의 토수 또는 지수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When the
또한, 상기 작동 버튼(312)이 눌러져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절전을 위해 상기 컨트롤러(323)가 주기적으로 기동하여 상기 센서(321)가 외부 물체를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타임을 체크한 후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 정전압 회로부(324)는 배터리(382)의 전압 감소에 따른 센서(321)의 감지 거리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컨트롤러(323)에 배터리(382)의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저전압 감지부(325)는 배터리(382)를 적기에 교체할 수 있도록 배터리(382)가 일정 전압 이하가 되면 컨트롤러(323)에 이를 알려줌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322)을 통해 배터리(382)의 교체 시기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stant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 작동 버튼이 눌러진 후 작동 버튼이 다시 눌러지는 경우의 작동 타이밍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 작동 버튼이 눌러진 후 센서를 통해 정해진 시간 내 연속으로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의 작동 타이밍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 작동 버튼이 눌러진 후 정해진 작동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의 작동 타이밍도이다. 5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again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time determined by the sensor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an object is not continuously detected, and FIG. 7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elapses after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6,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구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5, 6, and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riving state of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312)이 눌러지면 터치를 알리는 펄스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포워드(forward) 방향으로 작동하여 토수가 이루어지면서 표시 패널(322)에 토수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작동 버 튼(312)이 다시 눌러지면 터치를 알리는 펄스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표시 패널(322)에 지수 상태를 표시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리버스(reverse) 방향으로 작동하여 지수가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312)이 눌러지면 터치를 알리는 펄스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포워드 방향으로 작동하여 토수가 이루어지면서 표시 패널(322)에 토수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작동 버튼(312)이 다시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예컨대 5초)이 경과하도록 센서(321)를 통해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표시 패널(322)에 지수 상태를 표시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리버스 방향으로 작동하여 지수가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312)이 눌러지면 터치를 알리는 펄스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포워드 방향으로 작동하여 토수가 이루어지면서 표시 패널(322)에 토수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작동 버튼(312)이 다시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정해진 작동 시간(예컨대 2분)이 경과하게 되면 표시 패널(322)에 지수 상태를 표시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350)가 리버스 방향으로 작동하여 지수가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전자 샤워기의 구동 장치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ile the driving device of the water-saving type electronic sh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a limited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로 구동 장치에 유입구와 유출구 간의 통로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 전환 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수동 조작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로 구동 장치 설치용 설치대에 회전 방지용 고무링을 구비함으로써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drive device is provided with a manual switching lever for manually operating a passage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thereby enabling use by manual operation even when the solenoid valve is not normally operated. Second, the rotation prevention can be prevented by providing the anti-rotation rubber ring on the mounting table for driving device installation.
셋째로 구동 장치에 정전압 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센서의 물체 감지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넷째로 구동 장치가 대기 중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로 배터리의 교환 시기를 알려줌으로써 배터리를 적기에 교환할 수 있다. Third, by providing a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in the driving device, the object sensing distance of the sensor can be kept constant. Fourth,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urrent consumption by switching the power saving mode while the drive device is in the standby. Fifth, the battery can be replaced in a timely manner by inform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4769A KR100701183B1 (en) | 2005-10-10 | 2005-10-10 | Driving device of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he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4769A KR100701183B1 (en) | 2005-10-10 | 2005-10-10 | Driving device of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hea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1183B1 true KR100701183B1 (en) | 2007-03-29 |
Family
ID=4156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47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1183B1 (en) | 2005-10-10 | 2005-10-10 | Driving device of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he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118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6449A (en) * | 2016-12-09 | 2018-06-19 | 신종현 | A shower |
KR20210042567A (en) * | 2019-10-10 | 2021-04-20 | 손정우 | Faucet system having water-saving fun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0419A (en) * | 2004-02-09 | 2005-08-12 | 김영식 | Automatic shower device |
-
2005
- 2005-10-10 KR KR1020050094769A patent/KR10070118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0419A (en) * | 2004-02-09 | 2005-08-12 | 김영식 | Automatic shower devic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20050080419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6449A (en) * | 2016-12-09 | 2018-06-19 | 신종현 | A shower |
KR20210042567A (en) * | 2019-10-10 | 2021-04-20 | 손정우 | Faucet system having water-saving function |
KR102319129B1 (en) * | 2019-10-10 | 2021-10-28 | 진명홈바스(주) | Faucet system having water-saving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99879B2 (en) | Kitchen waste disposal system | |
US8127782B2 (en) | Multi-mode hands free automatic faucet | |
US20140246099A1 (en) | Automatic faucets | |
JP5532628B2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toilet equipment | |
EP2739794B1 (en) | Automatic faucets | |
JP5486194B2 (en) | Water discharge device | |
KR100701183B1 (en) | Driving device of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head | |
CN220204851U (en) | Electronic induction waterway mechanism | |
KR100780385B1 (en) | Electronic shower controller and its control method | |
JPS63111383A (en) | Automatic faucet device | |
KR101817725B1 (en) | Sensor system for cleaning toilet and method for automated cleaning of toilet | |
JP2003119854A (en) | Faucet implement | |
KR20120046524A (en) | Automatic flush device for toilet bowl | |
KR100456447B1 (en) | A control apparatus for foam washable toilet | |
KR200412884Y1 (en) | Water-saving Electronic Shower Head | |
KR200412363Y1 (en) | water tap | |
KR200402556Y1 (en) | Water saving device using touch sensor | |
JP3997457B2 (en) | Water heater with power saving function | |
JP2003129536A (en) | Automatic faucet | |
CN222923852U (en) | Microwave device | |
CN221300118U (en) | Stop valve | |
KR200345840Y1 (en) | A control apparatus for foam washable toilet | |
KR102109470B1 (en) | Automation of faucet switches using gestures and ambient light sensors | |
JP2580533Y2 (en) | Automatic faucet | |
KR20100116035A (en) | Auto flushing toilet valv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