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035A - Auto flushing toilet valve system - Google Patents
Auto flushing toilet valv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6035A KR20100116035A KR1020090034745A KR20090034745A KR20100116035A KR 20100116035 A KR20100116035 A KR 20100116035A KR 1020090034745 A KR1020090034745 A KR 1020090034745A KR 20090034745 A KR20090034745 A KR 20090034745A KR 20100116035 A KR20100116035 A KR 201001160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flush valve
- storage tank
- controller
- partition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04B1/0346—Hand-held transmit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자동 세척 대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cleaning toilet that is beautiful in appearance bu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본 발명에 따르면, 변좌(4)가 구비된 대변기(2)의 배면부에 외부의 배관과 연통되며 대변기와 접속되는 플러시밸브(15) 또는 저수탱크가 구비되는 대변기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밸브(15) 또는 저수탱크와 대변기(2) 사이에는 배치되는 칸막이벽체(10)와, 상기 플러시밸브(15) 또는 저수탱크에는 장착되며 이들 플러시밸브(15)와 저수탱크의 개폐밸브를 개폐조작하는 액츄에이터(17)와, 상기 칸막이벽체(1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인체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부(18)와, 상기 감지부(18)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17)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20)와, 상기 칸막이벽체(1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버튼(22)을 포함하는 자동세척 대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ilet provided with a flush valve 15 or a storage tank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pip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ipe at the rear part of the toilet 2 provided with the toilet seat 4, the flush valve 15 Alternatively, a partition wall 10 dispos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toilet 2 and an actuator 17 mounted to the flush valve 15 or the water storage tank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lush valve 15 and the on / off valves of the water storage tank 17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partition wall 10 to the outside and control the actuator 17 to operate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or 18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or 18. 20 and an automatic washing toilet including a touch button 22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partition wall 10 to the out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세척 대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점 더 상세히는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 세척 대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cleaning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cleaning toilet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ile the appearance is beautiful.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플러시밸브타입 자동세척 대변기를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4)가 구비된 대변기(2)의 배면부에 외부의 배관과 연통되며 대변기(2)에 접속되는 플러시밸브(5)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플러시밸브(5)는 밸브바디(6)와 이 밸브바디(6)의 일측에서 수평연장되는 조작레버(9)가 구비되고, 이 밸브바디(6)의 상부에는 액츄에이터유닛(7)이 장착된다. 이 액츄에이터유닛(7)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이 구비되고 액츄에이터유닛(7)의 전면에는 인체감지센서(8)가 구비되어, 사람이 변좌(4)에 앉거나 변좌(4)로부터 일어나는 것을 검출하여, 액츄에이터유닛(7)이 플러시밸브(5)를 작동하여 고압의 물이 대변기(2)로 분출되어 세척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체감지센서(8)에 의한 플러시밸브(5) 의 작동과 별개로,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레버(9)의 조작에 의해 수동식으로 플러시밸브(5)를 작동시킬 수 있다.Figure 1 shows a flush valve type automatic washing toilet used in the prior art, as shown, the flush valve is connected to the toilet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pipe to the rear portion of the toilet (2) equipped with a toilet seat (4) (5) is provided. The flush valve 5 is provided with a
그런데 이러한 플러시밸브 타입의 자동세척 대변기는 건물의 벽체로부터 분리된 밸브바디(6)의 상부에 액츄에이터유닛(7)이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이 액츄에이터유닛(7)에 인체감지센서(8)가 내장되므로, 이러한 액츄에이터유닛(7)과 인체감지센서(8)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의 연결이 곤란하여 불가피하게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빈번한 교체로 인한 유지관리비용의 증가와, 배터리의 빈번한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flush valve type automatic washing toilet has an actuator unit 7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또한, 종래의 이러한 플러시밸브 타입의 자동세척 대변기는 조작레버가 기계적 스위치로 구성되어, 밸브의 개폐조작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들므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용이하게 조작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utomatic flush toilet of the flush valve type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lever is composed of a mechanical switch,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open and close the operation of the valve, it is difficult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o easily operate.
아울러, 종래의 이러한 플러시밸브 자동세척 대변기는 기능적 형태를 취하는 밸브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바람직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센서나 밸브를 임의로 부정 조작함으로써 고장발생의 우려가 높았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flush valve automatic washing toilet has a functional appearance of the valve itself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s not desirable in appearance, there is a high risk of failure by arbitrarily tampering the sensor or valv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세척 대변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밸브바디가 벽체 내부에 은폐되어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세척 대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지 않아서, 배터리의 완전 소모에 의한 작동불량 등의 우려가 없고, 배터리 교체에 관련한 유지보수의 노력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자동세척 대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washing toile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lve body concealed inside the wall and beautiful appearance, but the handicapped or the elderly and the like to operate conveniently without great force It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automatic washing toilet that can be us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battery as a power source, there is no fear of malfunction due to the complete consumption of the battery, and provides a new structure of automatic cleaning toilet that can reduce the maintenance effort or cost associated with battery replacement. I would like to.
또한, 아울러 건물의 층수나 계절 등에 따라 자동세척 대변기의 토출시간이나 감지거리 등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자동세척 대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the automatic cleaning toilet that can easily adjust the discharge time or the sensing distance of the automatic cleaning toil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oors and seasons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변좌(4)가 구비된 대변기(2)의 배면부에 외부의 배관과 연통되며 대변기와 접속되는 플러시밸브(15) 또는 저수탱크가 구비되는 대변기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밸브(15) 또는 저수탱크와 대변기(2) 사이에는 배치되는 칸막이벽체(10)와, 상기 플러시밸브(15) 또는 저수탱크에는 장착되며 이들 플러시밸브(15)와 저수탱크의 개폐밸브를 개폐조작하는 액츄에이터(17)와, 상기 칸막이벽체(1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인체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부(18)와, 상 기 감지부(18)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17)를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20)와, 상기 칸막이벽체(1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버튼(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대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ilet provided with 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11)와 무선연결되어 사용자의 감지거리 또는 세척수의 토출량에 대한 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리모컨(30)의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부(18)의 감지거리 및 플러시밸브(15) 또는 저수탱크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대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벽체(10)에는 상기 컨트롤러(2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4)는 상기 컨트롤러(10)에서 설정된 감지거리 또는 토출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대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이상세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세척 대변기의 플러시밸브(15) 또는 저수탱크가 칸막이벽체(10) 내부에 은폐되므로 화장실의 외관이 미리하면서도,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조작레버 대신에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터치버튼(22)에 의해 세 척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자동세척 대변기를 제공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시밸브(15)나 저수탱크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17)가 칸막이벽체(1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기적 배선을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배터리의 소모에 따른 빈번한 교체로 인한 번거로움이나 배터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함으로 인해 배터리의 완전 소모로 인한 작동불량 등의 우려가 없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아울러, 리모컨(30)을 이용하여 대변기(2)의 감지부(18)의 감지거리나 토출량을 계절이나 층수 등의 변동요인을 고려하여 최적의 수준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감지거리나 토출량 조절을 위해 대변기 장치를 번거롭게 분해할 필요가 없어서 대단히 편리하고 항상 최적의 작동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로 도시된 칸막이벽체(10)의 외측에는 변좌(4)가 구비된 대변기(2)가 배치되고, 이 칸막이벽체(10)의 내측에는 플러시밸브(15)가 배치되어 외부의 배관(14)과 연결되고 대변기(2)와의 사이에도 연결관(16)으로 연결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As shown, a
플러시밸브(15)의 상부에는 이 플러시밸브(15)를 작동조작하는 액츄에이터(17)가 일체로 장착된다. 그리고 칸막이벽체(10)의 외부면에는 대변기(2)의 바로 위쪽 위치에 인체를 감지하도록 된 감지부(1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 감지부(18)의 일측의 칸막이벽체(10)에는 대변기(15)의 플러시밸브(15)를 임의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터치버튼(22)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18)와 터치버튼(22)은 콘트롤러(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 콘트롤러(20)의 출력단은 상기 플러시밸브(15)에 일체로 구비되는 액츄에이터(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액츄에이터(17)는 전형적으로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구성된다.At the top of the
도시된 실시예는 플러시밸브 타입 자동세척 대변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플러시밸브 대신에 저수탱크를 사용하는 대변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액츄에이터(17)는 도시안된 저수탱크의 개폐밸브를 조작하도록 구비될 것이다.Although the illustrat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flush valve type automatic washing toile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toilet using a storage tank instead of a flush valve. In this case, the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플러시밸브(15)가 칸막이벽체(10) 내부에 은폐되므로 화장실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고, 감지부(18)의 검출작동과 별개로 기계적 조작레버 대신에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터치버튼(22)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세척수를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세척 후에도 잔변이 남거나 정상적인 배변행위가 아닌 경우에 임의적으로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 장애인이나 노약자도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세척수를 토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플러시밸브(15)가 칸막이벽체(10)에 의해 은폐되므로, 배선(24)에 의해 액츄에이터(17)나 감지부(18) 또는 컨트롤러(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배터리의 소모에 따른 코스트상승이나 배터리 교체를 위한 번거로운 유지관리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감지부(11)와 무선연결되어 사용자의 감지거리 또는 세척수의 토출량에 대한 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30)을 더 포함한다. 리모컨(30)과 감지부(11)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는 감지부(11)가 인체를 검출하기 위해 수신하는 신호와는 그 주파수의 대역이나 종류를 달리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칸막이벽체(10)에는 감지부(18)와 별도로 병렬적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3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리모컨(30)의 조절신호에 따라 감지부(18)의 감지거리 및 플러시밸브(15)의 토출량 또는 저수탱크 방식인 경우에는 저수탱크의 토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계절적 요인이나 건물의 층수에 따른 변동요인에도 불구하고 대변기의 감지거리나 토출량을 간편하게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감지부(18)의 감지거리나 플러시밸브(15)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경우에, 그 조절상태를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설정 또는 조절되는 감지거리나 토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치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이러한 조절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도 1은 종래의 자동세척 대변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automatic washing toile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부분절단 사시도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4745A KR20100116035A (en) | 2009-04-21 | 2009-04-21 | Auto flushing toilet valv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4745A KR20100116035A (en) | 2009-04-21 | 2009-04-21 | Auto flushing toilet valv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6035A true KR20100116035A (en) | 2010-10-29 |
Family
ID=4313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4745A Ceased KR20100116035A (en) | 2009-04-21 | 2009-04-21 | Auto flushing toilet valv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1603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96105A (en) * | 2014-09-01 | 2014-12-10 | 孙续畅 | Toilet bowl rigid connection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
CN108999255A (en) * | 2018-07-12 | 2018-12-14 | 刘倩 | Intelligence based on network share can push and pull partially embedded toilet |
-
2009
- 2009-04-21 KR KR1020090034745A patent/KR2010011603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96105A (en) * | 2014-09-01 | 2014-12-10 | 孙续畅 | Toilet bowl rigid connection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
CN108999255A (en) * | 2018-07-12 | 2018-12-14 | 刘倩 | Intelligence based on network share can push and pull partially embedded toil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46113B2 (en) | Toilet equipment | |
EP2862981B1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flush toilet | |
US20150020298A1 (en) | Smart urinal with multi sensing electric fields | |
JP2007321440A (en) | Sanitary washing device and toilet apparatus | |
US20180245323A1 (en) | System for controlling flushing of a cistern | |
KR20100116035A (en) | Auto flushing toilet valve system | |
KR101023764B1 (en) | Non-powered automatic flushing device of flush valve direct type toilet using human body detection unit | |
KR101327834B1 (en) | The automatic chamber | |
CA2665791A1 (en) | Dual flush electronic flush valve | |
KR101889987B1 (en) | Toilet flush valve | |
KR20120046524A (en) | Automatic flush device for toilet bowl | |
JP6966880B2 (en) | Automatic faucet mode switching operation device | |
KR101817725B1 (en) | Sensor system for cleaning toilet and method for automated cleaning of toilet | |
KR101023763B1 (en) | Non-powered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toilet and human body detection unit | |
JP6483045B2 (en) | Flush toilet | |
JP2008031784A (en) | Water pressure control device and flushing valve unit for flush toilet bowl | |
KR102029295B1 (en) | A device that can be used both Automatic and manual for watering down the urinal | |
KR20180134187A (en) | A urinal using the automatic door | |
KR101221835B1 (en) | Toilet bowl capable of water saving | |
CN201424689Y (en) | A toilet auxiliary flushing system | |
KR20160069103A (en) | Urinal | |
KR101020101B1 (en) | Water supply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automatic flushing device of toilet bowl by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human body load | |
KR20110129236A (en) | Toilet deodorization system | |
KR20090131416A (en) | Toilet seat | |
KR20100007498U (en) | Toilet tank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