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7026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026B1
KR100697026B1 KR1020050060345A KR20050060345A KR100697026B1 KR 100697026 B1 KR100697026 B1 KR 100697026B1 KR 1020050060345 A KR1020050060345 A KR 1020050060345A KR 20050060345 A KR20050060345 A KR 20050060345A KR 100697026 B1 KR100697026 B1 KR 10069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hortcut
function
setting
menu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3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5177A (en
Inventor
황인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026B1/en
Publication of KR2007000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026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키와 기능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에 대한 바로가기 메뉴 또는 단축기능을 변경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대해 사용빈도가 낮은 바로가기/단축 설정을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 또는 메뉴로 변경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키버튼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으로 바로가기/단축 설정을 변경설정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ompris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including a movement key and a function key, and changing a shortcut menu or a shortcut function for the movement key and a function key. It can be configured to change the shortcut / short cut setting for frequently used movement keys or function keys to a frequently used function or menu, and to prevent wasting of key buttons and to use the frequently used function. By changing and setting the shortcut / shortcut setting, the user's convenience is greatly increased.

이동통신 단말기, 단축키, 바로가기, 메뉴이동 Mobile terminal, shortcut key, shortcut, menu move

Description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short-key and its operating metho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a shortcut key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shortcut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어부 11: 키입력 설정부10: control unit 11: key input setting unit

12: 입출력제어부 20: 키입력부12: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20: key input unit

30: 표시부 40: 메모리30: display unit 40: memory

50: 통신모듈50: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기능키에 설정된 바로가기 설정을 변경하여 임의의 단축키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for changing a shortcut setting set to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to enable an arbitrary shortcut key setting.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버튼 이 구비되며, 또한, 다수의 기능키 및 상하좌우의 이동키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소정의 기능 구현을 위한 메뉴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inputting numbers or letters, and also ha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up, down, left, and right navigation keys for inputting data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plemen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Menu selection is possibl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다수의 키버튼에 대해 바로가기 기능이 설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메뉴에 대해 사용자 임의로 바로가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hortcut function for a plurality of key button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ows a user to set a shortcut arbitrarily for each menu.

특히, 상기 다수의 기능키 및 이동키의 경우, 한번의 조작 또는 장시간 누름조작을 통해 설정된 메뉴로 바로 이동하는 바로가기 기능이 설정되거나, 특정 기능이 즉시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진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moving keys, a shortcut function for directly moving to a set menu through a single operation or a long press operation is set, or a specific function is set to be executed immediately.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키 및 이동키에 대해, 바로가기 및 단축키 설정이 단말기 제조시 지정되며, 제품이 완성된 이후에는 사용자에 의한 임의 변경이 불가능하다. Howe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rtcut and shortcut key settings for the function key and the mobile key are designat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terminal, and after the product is completed, arbitrary changes by the user are not possible.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호 기 능이 상이하고, 사용패턴이 다양하므로 상기 기능키 및 이동키에 설정되는 바로가기 기능 및 단축설정 중 사용되지 않는 기능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바로가기 기능 및 단축설정이 설정된 상기 기능키 및 이동키에 대한 버튼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different preferred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ach user and a variety of usage patterns, so that a function that is not used among the shortcut function and the shortcut setting set on the function key and the mobile key is generat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waste of buttons for the function key and the moving key, which is set as a shortcut function and a shortcut setting, is generated for the user's convenience.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버튼 조작시 바로가기가 설정된 메뉴들을 바로가기 폴더에 모아 메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한 번의 버튼조작으로 직접 해당 메뉴로 이동하거나 실행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조작단계를 거쳐야만하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사용 및 조작에 따른 편의성이 저하된다.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llects menus to which shortcuts are set when operating a specific button in a shortcut folder, so that the menu can be moved. However, the convenience of using and operating th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iorated since it is not directly moved to or executed by the corresponding menu with a single button operation and must go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step.

또한, 상기 바로가기 메뉴는 1 내지 9와, #, * 의 12개의 키버튼에 대해서만 바로가기 설정이 가능할 뿐 그 외 이동키 및 기능키에 대한 바로가기 설정은 불가능하여 바로가기 설정에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the shortcut menu may be set only for the 12 key buttons of 1 to 9 and #, *, and other shortcuts for the movement keys and function keys are not possible, and thus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shortcut sett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비되는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설정된 바로가기 또는 단축기능을 변경하여 사용자 임의로 단축키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changing the shortcut or shortcut function set to the provided movement key or function key to set the shortcut key arbitrarily by the us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shortcut setting fun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키와 기능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는 키입력부, 및 상기 각 이동키 또는 기능키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바로가기메뉴 및 단축기능을 변경설정하고,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이 한번 조작되거나, 길에 누름 조작되는 것을 판별하여 상기 키버튼에 대응되는 바로가기 메뉴 및 단축기능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including a movement key and a function key, and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movement key or function key. Change and set a shortcut menu and a shortcut function, and determine which one of the key buttons of the navigation key and the function key is operated once or pressed on the road, and thus any one of the shortcut menu and the shortcu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to be execu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바로가기 등록메뉴를 통해,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하고자 하는 메뉴에 대하여,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이 선택되는 제 1단계, 상기 선택된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에 대한 바로가기 메뉴 또는 단축기능을 설정 저장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이 한번 조작되거나, 길에 누름 조작되는 것을 판별하여, 상기 키버튼에 대응되는 바로가기 메뉴 및 단축기능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hortcut registration menu, any one key button of the movement key and the function key is selected for the menu to be set or shortcut A first step, a second step of setting and storing a shortcut menu or a shortcut function for any one key button of the selected moving key and a function key, and a key button of any one of the moving and function keys And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at a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any one of a shortcut menu and a shortcu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is execu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hortcut key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는 키입력부(20)와, 상기 키입력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3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에 따른 프로그램 및 제어데이터와, 상기 다수의 버튼에 설정되는 바로가기 또는 단축키 설정을 저장하는 메모리(40)와, 상기 키입력부(20)의 각 키버튼에 따른 바로가기 또는 단축키 설정을 변경 설정하여, 상기 키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ble to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key input unit 20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a signal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20. A display unit 30 for outputting to a screen, a program 40 and a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mory 40 for storing shortcut or shortcut keys set for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key input unit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0 to change the settings of the shortcut or shortcut key according to each key button of the)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key button operation.

상기 키입력부(20)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숫자키와, 통화시도, 통화종료, 데이터통신 연결, 메뉴 호출을 수행하는 기능키와, 상, 하 , 좌, 우로 커서를 이동하는 이동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key input unit 20 includes a numeric key for inputting numbers or letters, a function key for making a call, ending a call, a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 a menu call, and a moving key for moving a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It is configured by.

상기 숫자키는 입력모드에 따라 숫자, 문자, 특수문자 등을 입력하며, 메시지 전송 또는 데이터 입력시 사용되며, 대기화면상에서 조작되는 경우, 숫자 입력모드로 기본 동작되어 전화번호 등의 숫자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The numeric keys input numbers, letters, special characters, etc. according to the input mode, and are used for message transmission or data input. When operated on the standby screen, the numeric keys are operated in the numeric input mode and input numeric data such as telephone numbers. Done.

상기 숫자키는 각각의 키버튼에 전화번호가 맵핑되어 전화번호 단축키로 설정되며, 특정 숫자 키버튼 조작시, 설정된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한다, The number keys are mapped to each key button and the phone number is set as a phone number hotkey, and when a specific number key button operation,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set phone number,

상기 이동키는 조작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또는 항목을 이동하고, 데이터 입력시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하거나, 특정 위치에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다.The movement key moves a menu or i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operation and moves a cursor up / down / left / right to input data or selects a specific item or inputs data in a specific position.

또한, 상기 기능키는 각각의 키버튼 조작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수행/ 통화종료, 데이터 통신 수행, 메뉴 호출을 수행하며, 상기 숫자 키 또는 이동키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40)저장되고,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unction key performs a call / end call, a data communication, a menu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each key button is operated, and data input through the numeric key or the mobile key is input to the memory 40. Are saved, and the function is executed.

이때, 상기 기능키 또는 이동키는 각각의 키버튼에 바로가기 또는 단축 기능이 설정되어, 조작 시 설정된 해당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에 따라 해당 메뉴로 이동되거나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function key or the moving key is set to a shortcut or a shortcut function on each key button, and then moved to a corresponding menu or a specific fun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hortcut or shortcut setting.

여기서, 상기 이동키는 대기모드에서는 한번 조작시, 커서 또는 항목 이동을 위한 키로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바로가기 또는 단축 기능에 따라 해당 메뉴로 바로 이동되거나, 설정된 기능이 즉시 수행되도록 한다. Here, the move key is not operated as a cursor or a key for moving an item once in the standby mode, but moves directly to a corresponding menu or immediately performs a set function according to a set shortcut or shortcut function.

또한, 상기 이동키는 특정 메뉴 또는 기능수행 및 대기모드 상에서 길게 누름 조작시, 그에 해당되는 바로가기 또는 단축기능을 수행하며, 상기와 같이 한번 조작되는 경우와는 상이한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ement key performs a shortcut or a shortcut function when a long press operation is performed on a specific menu or function execution and standby mode, and a function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key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et.

상기 기능키는 대기화면 상에서는 기본적인 메뉴호출, 확인, 통화, 종료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길에 누름 조작되는 경우에는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function key performs basic menu calls, confirmations, calls, and termination functions on the standby screen, and when pressed on the road, a function of setting a shortcut or a shortcut is performed.

이때, 상기 이동키와, 기능키는 바로가기 등록메뉴를 통해 한번의 조작 또는 길게 누름 조작되는 경우,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movement key and the function key are operated one time or long pressing through the shortcut registration menu, the shortcut or shortcut setting may be arbitrarily changed and 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키입력부(20)의 숫자키, 이동키,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에 대한 바로가기 또는 단축키 설정을 바로가기 등록메뉴를 통해 변경설정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40)에 저장하여, 상기 키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 인가시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 changes and sets a shortcut or shortcut key setting for any one key button of the numeric key, the moving key, and the function key of the key input unit 20 through a shortcut registration menu, and the memory 40 Stored in the control, so that the function is performed when the signal is applied according to the key button operation.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키버튼 조작에 따라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입출력제어부(12)와, 바로가기 메뉴 또는 단축 기능 설정을 상기 이동키 또는 기능키 중 선택된 키버튼에 설정하는 키입력 설정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signal applied according to the key button operation, and outpu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 and the shortcut menu or shortcut function setting the movement key Or a key input setting unit 11 for setting the selected key button among the function keys.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시 상기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기본 설정된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의 바로가기 메뉴 또는 단축기능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changes a shortcut or a shortcut set by default on the mobile key or a function ke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ufactured so that any shortcut menu or shortcut function can be 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각 메뉴 또는 특정 기능 선택시, 호출되는 바로가기 등록메뉴를 통해 상기 선택된 메뉴 또는 특정 기능에 대해 상기 이동키 또는 기능키 중 선택되는 키버튼을 바로가기/단축키로 설정한다. 이때, 키입력 설정부(11)는 각각의 키버튼에 대하여 한번 조작되는 경우와 길게 누름 조작되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을 변경 설정한다.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sets a shortcut / shortcut to a key button selected from the navigation keys or function keys for the selected menu or a specific function through a shortcut registration menu called when each menu or a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do. At this time,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changes and sets the shortcut or shortcut setting for each key button operation and a long press operation, respectively.

이때,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바로가기 등록메뉴 상에서 선택 가능한 이동키 또는 기능키를 표시하며, 기 설정되어 있는 바로가기/단축 설정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빈도가 낮은 바로가기/단축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displays a selectable movement key or a function key on the shortcut registration menu, and displays a preset shortcut / shortcut setting together so that the user is not used or has a low frequency of use. Allows you to change the shortcut / shortcut settings.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상기 선택된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상기 메뉴로 바로 이동되도록 하는 바로가기 설정 또는 해당 기능이 즉시 수행되도록 하는 단축 기능을 설정하고, 해당 기능과 키버튼을 맵핑하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한다.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sets a shortcut setting for directly moving to the menu or a shortcut function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immediately on the selected movement key or function key, and map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a key button. To be stored in the memory 40.

여기서,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바로가기/단축 설정된 특정 키버튼에 대해 설정 변경이 불가능 하도록 하는 잠금설정이 가능하다. Here,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can be set to lock the setting change is impossible for a specific key button set shortcut / shortcut.

즉,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바로가기 등록메뉴 호출시, 비빌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대한 설정 변경되도록 한다. That is,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sets a password so that when the shortcut registration menu is called, the password is input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mobile key or the function key.

또한,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상기 기능키 중 통화/종료 버튼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키버튼에 대하여 임의 변경이 불가능 하도록 잠금 설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may be set to lock the key button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call / end button of the function key to the arbitrary change is not possible.

예를 들어, '통화'키버튼의 경우, 대기모드 또는 전화번호부 메뉴 상에서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해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특정 메뉴 상에서 조작되는 경우 통화기록을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통화'키버튼에 대해 대기모드 또는 전화번호부 메뉴 상에서의 통화 연결 기능 설정은 자주 사용되는 특수한 기능에 해당되므로 변경이 불가능 하도록 잠금설정되도록 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all' key button, a call connection is attempted for a phone number entered in a standby mode or a phone book menu, and a call log is displayed when operated on a specific menu. The unit 11 is configured to lock the call connection function on the standby mode or the phone book menu for the 'call' key button because it corresponds to a special function frequently used.

여기서,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특수항 기능을 수행하는 키버튼 또는 잠슴 설정된 키버튼에 대해서는 바로가기/단축 설정 가능한 키버튼과 상이한 색상 또는 모양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변경 설정 불가능함을 표시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outputs a different color or shape than a key button capable of setting a shortcut / shortcut for a key button or a locked key button which performs a special term function so as to indicate that the change cannot be set. do.

또한, 상기 키입력 설정부(11)는 변경 설정된 바로가기/단축 키버튼에 대해 초기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may be initialized for the changed shortcut / shortcut key button.

상기 입출력제어부(12)는 상기 키입력부(20)의 키버튼 조작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가 상기 표시부(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키입력 설정부(11)에 의한 바로가기 등록메뉴를 화면에 출력한다.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outpu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key button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20 through the display unit 30, and a shortcut by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Print the registration menu.

또한, 상기 입출력제어부(12)는 상기 키입력 설정부(11)의 바로가기/단축키 설정 변경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outputs a guide message according to the shortcut / shortcut key setting change of the key input setting unit 11 on the screen.

상기 입출력제어부(12)는 상기 키입력부(20)의 키버튼 조작에 따라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바로가기/단축 설정된 키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해당 키버튼에 서정된 바로가기/단축 설정을 상기 메모리(40)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reads a signal applied according to a key button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20, and when the shortcut / shortcut key button is operated, the shortcut / shortcut setting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read. The function is retrieved from the memory 40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때, 상기 입출력제어부(12)는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키 또 는 기능키가 한번 조작되거나, 길에 누름 조작되는 것을 판별하고, 각각의 키버튼 조작에 대한 바로가기/단축설정을 구별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서 해당 기능이 정상동작 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reads the applied signal,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key or the function key is operated once or pressed on the road, and distinguishes shortcut / shortcut settings for each key button operation. By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operated normally.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20)의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대한 바로가기/단축 기능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hange a shortcut / shortcut function setting for a movement key or a function key of the key input unit 2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이동키, 기능키, 숫자키에 대하여 바로가기/단축 기능 설정이 가능하며, 특히,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대하여 단일조작 또는 길게 누름조작되는 경우에 대해 각각 바로가기/단축설정이 가능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t a shortcut / shortcut function for a plurality of mobile keys, function keys, and numeric keys, and in particular, for a single operation or a long press operation for a mobile key or a function key, each shortcut / shortcut setting is performed. This is possible.

여기서, 바로가기/단축 설정이 불가능한 키버튼은 설정가능한 키버튼과 상이한 색상 무늬 등으로 구별되어 표시되며, 각 키버튼에 기 설정된 바로가기/단축 기능이 각 키버튼에 표기된다. Here, the key buttons that cannot be set for shortcuts / shortcuts ar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by a different color pattern from the settable key buttons, and a shortcut / shortcut function preset for each key button is displayed on each key button.

이때, 방향키 또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키버튼을 지시할 수 있으며, 설정 불가능한 키버튼으로는 이동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a key button to be set may be indicated by using a direction key or a numeric key, and the key button that cannot be set is not moved.

예를 들어, 사용빈도가 낮은 하향 이동키에 대한 바로가기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할 기능 또는 메뉴로 이동한다. 메모기능을 바로가기/단축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메뉴'버튼을 통해 바로가기 등록 메뉴를 호출한다. For example, if you want to change the shortcut setting for the downward movement key with low use frequency, go to the function or menu to change as shown in FIGS. 2A and 2B. If you want to set the shortcut / shortcut for memo function, call the shortcut registration menu through 'Menu' button.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가기 등록메뉴 수행시, 상기 선택된 '메모' 기능에 대하여 바로가기/단축 키버튼으로 설정 가능한 키버튼이 화면에 출력된다.As shown in FIG. 2C, when a shortcut registration menu is performed, a key button that can be set as a shortcut / shortcut key button for the selected 'memo' function is output on the screen.

설정하고자 하는 하향이동키를 선택하면, 상기 하향이동키에 기 설정된 '벨 소리 등록메뉴'로의 바로가기 설정이 '메모'기능으로 변경된다. 이후, 하향 이동키 조작시, '메모'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When the down movement key to be set is selected, the shortcut setting to the 'ring tone registration menu' preset to the down movement key is changed to the 'memo' function. Thereafter, when the down key is operated, the 'memo' function is per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shortcut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또는 기능에 대해 바로가기/단축키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키버튼 조작을 통해 해당 메뉴로 이동한다. (S1)If you want to set a shortcut / shortcut key for a frequently used menu or function, move to the corresponding menu using the key button. (S1)

바로가기 등록메뉴를 호출하여, 다수의 키버튼 중 상기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 또는 기능에 대한 바로가기/단축키로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키버튼을 선택한다. (S2, S3)By calling the shortcut registration menu, a specific key button to be set as a shortcut / shortcut key for the frequently used menu or function amo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is selected. (S2, S3)

이때, 바로 기 등록메뉴 상에 바로가기/단축 설정이 가능한 키버튼을 표기하고, 기 설정된 바로가기/단축 설정이 표기되도록 하여 사용 빈도가 낮은 키버튼의 바로가기 설정을 변경 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a shortcut / shortcut setting key button is displayed on the shortcut registration menu, and a preset shortcut / shortcut setting is displayed so that a shortcut setting of a key button having a low use frequency can be changed.

여기서, 구비되는 숫자키, 이동키, 기능키에 대해 바로가기/단축키 설정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이동키에 대해 대기모드상의 조작 또는 길게 누름 조작되는 경우 각각에 상이한 바로가기/단축 설정이 가능하다.Here, a shortcut / shortcut key may be set for the provided numeric key, the shift key, and the function key.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on the standby mode or the long press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shift key, different shortcuts / shortcuts may be set.

이때, 상기 숫자키, 이동키, 기능키 키버튼에 대해 바로가기/단축키 설정 변경이 불가능 하도록 잠금설정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t a lock so that the shortcut / shortcut key setting cannot be changed for the numeric key, the moving key, and the function key key button.

즉,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키버튼에 대해 사용자의 의한 임의 설정변경이 불가능 하도록 잠금설정이 가능하며, 변경 설정 가능한 키버튼과, 잠금설정되거나 설정 불가능한 키버튼을 구별하여 상이하게 표기되도록 한다. In other words, the lock can be set so that the user can not change the arbitrary setting of the key button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and the key button that can be changed and se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lock button that can be set or not set.

변경 가능한 키버튼 중 선택된 키버튼을 해당 메뉴 또는 기능에 대한 바로가기/단축키로 설정한다. 여기서, 선택된 키버튼과, 바로가기/단축 메뉴 또는 기능을 맵핑하여 저장한다. (S4)Set the selected key button as a shortcut / shortcut to the menu or function. Here, the selected key button and a shortcut / shortcut menu or function are mapped and stored. (S4)

이때, 상기와 같이 바로가기/단축 설정된 키버튼에 대해, 설정을 초기화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tting may be initialized for the shortcut / shortcut key button set as described above.

키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키버튼에 설정된 바로가기/단축 설정을 호출하여 설정된 메뉴로 바로 이동되어 해당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거나, 설정된 기능이 즉시 수행되도록 한다. When the key button is operated, the shortcut / shortcut setting set in the key button is called to go directly to the set menu so that the corresponding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the set function is immediately performed.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사용빈도가 낮은 바로가기/단축키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 키버튼의 낭비를 방지하고, 바로가기/단축키 설정에 따라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 또는 기능 수행이 용이하여 편의성이 증가되게 된다. Therefo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hange the setting of the shortcut / shortcut key with a low frequency of use, thereby preventing the waste of key buttons and easily performing a menu or a function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the shortcut / shortcut key setting. Convenience is increa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can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구비되는 각 키버튼에 대해 바로가기/단축키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대해 사용빈도가 낮은 바로가기/단축 설정을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 또는 메뉴로 변경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키버튼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으로 바로가기/단축 설정을 변경설정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nable shortcut / shortcut key setting for each key button provided, so that the frequency of use for a mobile key or a function key is low. Shortcut / Shortcut setting can be changed to frequently used functions or menus, preventing waste of key buttons, and shortcut / shortcut settings are changed to frequently used functions to greatly increase user convenience. It is effective.

Claims (10)

이동키와 기능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는 키입력부; 및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including a moving key and a function key; And 상기 각 이동키 또는 기능키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바로가기메뉴 및 단축기능을 변경설정하고,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이 한번 조작되거나, 길에 누름 조작되는 것을 판별하여 상기 키버튼에 대응되는 바로가기 메뉴 및 단축기능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Change and set a shortcut menu and a shortcut function performed according to each movement key or function key operation, and determine whether any one key button of the movement key or function key is operated once or pressed on the roa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execute any one of a corresponding shortcut menu and a shortcut function. 청구항 1 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의 각 키버튼에 대응되는 바로가기 메뉴 및 단축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 설정하는 키입력 설정부와;The control unit includes a key input setting unit for changing and setting at least one of a shortcut menu and a shortcut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key button of the movement key and the function key;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조작되는 키버튼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에 따라 해당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입출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 movement having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comprising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ct a signal applied from a key button operated among the movement keys and a function key and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a shortcut or a shortcut setting.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2 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키입력 설정부는 바로가기 등록메뉴를 통해,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가능한 모든 메뉴항목에 대해 설정 가능한 이동키 또는 기능키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 input setting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such that a settable movement key or a function key is displayed for all menu items that can be set as a shortcut or a shortcut through a shortcut registration menu. 청구항 3 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키입력 설정부는 키버튼 조작시, 선택된 메뉴로 바로 이동되거나 해당 기능이 즉시 수행되도록, 선택된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바로가기 메뉴 또는 단축기능이 맵핑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 input setting unit is provid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such that a shortcut menu or a shortcut function is mapped and stored on a selected movement key or a function key so that a key menu is directly moved to a selected menu or a function is immediately perform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3 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키입력 설정부는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이동키 또는 기능키에 대응되는 바로가기 메뉴 또는 단축기능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도록 잠금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 input setting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 setting so that the setting of the shortcut menu or shortcut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ovement key or function key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is not changed. . 청구항 3 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키입력 설정부는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이 변경된 키버튼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key input setting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initializing the key button has changed the shortcut or shortcut settings. 바로가기 등록메뉴를 통해, 바로가기 또는 단축 설정하고자 하는 메뉴에 대하여,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이 선택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selecting a key button of one of a moving key and a function key for a menu to be set as a shortcut or a shortcut through a shortcut registration menu; 상기 선택된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에 대한 바로가기 메뉴 또는 단축기능을 설정 저장하는 제 2단계; 및A second step of setting and storing a shortcut menu or a shortcut function for any one key button of the selected movement key and function key; And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이 한번 조작되거나, 길에 누름 조작되는 것을 판별하여, 상기 키버튼에 대응되는 바로가기 메뉴 및 단축기능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Determining whether the key button of any one of the movement key and the function key is operated once or pressing the road, and including a third step of executing one of a shortcut menu and a shortcu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7 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제 1 단계는 바로가기 등록메뉴 선택시, 설정가능한 이동키 또는 기능키가 화면에 출력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first step is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configurable mobile key or function key on a screen when selecting a shortcut registration menu. 청구항 7 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 중 어느 하나의 키버튼에 대하여, 설정이 변경되지 않도록 잠금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a lock so as not to change the setting of any one of the key and the function key. 청구항 7 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제 2 단계는 상기 이동키 및 기능키에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 또는 단축기능을 초기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second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itializing the shortcut menu or the shortcut function set in the movement key and the function key.
KR1020050060345A 2005-07-05 2005-07-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06970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345A KR100697026B1 (en) 2005-07-05 2005-07-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345A KR100697026B1 (en) 2005-07-05 2005-07-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177A KR20070005177A (en) 2007-01-10
KR100697026B1 true KR100697026B1 (en) 2007-03-20

Family

ID=3787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3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7026B1 (en) 2005-07-05 2005-07-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0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239B1 (en) * 2006-08-14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0827123B1 (en) * 2006-12-28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Hotkey designation and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282373B (en) * 2007-04-05 2011-08-10 联想移动通信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rapidly searching and setting handhold equipment menu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776A (en) * 2001-09-07 200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rt cut set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776A (en) * 2001-09-07 200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rt cut set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217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177A (en)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5569B1 (en) Phone displaying alternative functionality menu
KR101380084B1 (en)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2003198705A (en) Mobile phone
KR20070010226A (en) Multifunctional shortcut key setting de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JP2005352943A (en)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069702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664112B1 (en) How to execute a hotkey on a mobile terminal
KR100357259B1 (en)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mobile station
KR100868311B1 (en) How to display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5145B1 (en) Help message dis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icon menu selection
KR100584136B1 (en) Shortcut Sett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9990018115A (en) How to Set Shortcut Menu of Communication Terminal
JP4930136B2 (en) Menu display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030716B1 (en) How to Display Menu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66568A (en) Key stroke recognition interface input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006087A1 (en) Soft keys of the active idle plug-ins of a mobile terminal
KR100735267B1 (en) Method for disposing key in the input device
KR10070194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er-configurable telephone number input function and its setting method
KR100698110B1 (en) How to provide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589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3754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ask manager display method using same
KR100758914B1 (en) How to execute quick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867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emo input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428851B1 (en) Method for setting short-cut menu
KR100681181B1 (en) How to retrieve phone number of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