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084B1 -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0084B1 KR101380084B1 KR1020070018175A KR20070018175A KR101380084B1 KR 101380084 B1 KR101380084 B1 KR 101380084B1 KR 1020070018175 A KR1020070018175 A KR 1020070018175A KR 20070018175 A KR20070018175 A KR 20070018175A KR 101380084 B1 KR101380084 B1 KR 101380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nu
- displayed
- icon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are disclosed.
이동통신단말기, 대기화면, 메뉴, 투명창, 아이콘 Mobile terminal, standby screen, menu, transparent window, ic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put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A to 3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d에 도시된 서브 메뉴들이 각각 선택된 경우의 도면,5A to 5D are diagrams when the submenus shown in FIG. 4D are selected, respectively;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A to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30: 디스플레이 장치 40: 입력장치30: display device 40: input device
100: 이동통신단말기 300: 대기화면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tandby scree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display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자인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진입 방법들은 대기화면 상태에서 특정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대기화면이 사라지고 특정 버튼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이 새롭게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이었다.Interest in the design and convenient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enter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specific button is selected in the standby screen state, the standby screen disappears and a 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tton is newly display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방향에 대응하는 메뉴가 대기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a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rectio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irection by using the input device while the standby screen is displayed. And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해 둘 이상의 특정 방향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각 메뉴가 상기 대기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displaying a standby screen on a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ng one of two or more specific directions through an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ing each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direction on the idle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 설정된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둘 이상의 특정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둘 이상의 특정 방향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각 메뉴가 상기 대기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ransceiver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 set standby screen; An input device for selecting one of two or more specific direction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o display each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direction on the standby screen when one of two or more specific directions is selected from the input device while the idl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clude.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무선 송수신부(10), 메모리(20), 입력장치(30), 디스플레이 장치(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무선 송수신부(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 수신부(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The
메모리(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The
입력장치(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버튼, 각종 기능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 특정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방향키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30)는 방향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터치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 다양한 메뉴화면 등을 출력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외부 디스플레이부 및 내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The
제어부(50)는 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40)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장치(30)로부터 특정 방향이 선택되면, 선택된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메뉴가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선택된 방향에 대응하는 메뉴들은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된 아이콘과 관련된 메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나만의 메뉴, 통신사업자 부가서비스 메뉴, 및 기본설정메뉴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men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rection include a menu associated with an icon displayed in the indicator area, a personal menu set by a user, a service provider additional service menu, and a basic setting menu.
도 2는 도 1의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put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는 4개의 방향키 즉, 상방향키(32), 우방향키(34), 하방향키(36), 및 좌방향키(38)와, 확인(OK)버튼(3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방향키는 대기화면 상태에서 특정 방향을 선택하는데 이용된다.Referring to FIG. 2, the
<제1 <First 실시예Example >>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한다.3A to 3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the menu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40)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대기화면(300)이 디스플레이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3A, a
사용자가 입력장치(30)에 구비된 4개의 방향키 중에서 상방향키(32)를 선택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키(32)에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하는 형태의 아이콘(310)이 대기화면(300)의 중심 부근에 디스플레이된 후, 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대기화면(300)에서 사라진다.When the user selects the up
이어서, 곧바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표시된 아이콘(330)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이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방향키(32)를 선택함으로써, 대기화면(300) 상의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표시된 아이콘(330)과 관련된 메뉴에 바로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C, the pop-
또한, 아이콘(330)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이 대기화면(300) 상에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됨으로 인하여, 설정된 대기화면(300)이 아이콘(330)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에 의해 가려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대기화면 상태에서 대기화면(300)을 보면서, 아이콘(300)과 관련된 메뉴에 바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op-up
도 3c에서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표시되는 아이콘(330)은 신호 세기 아이콘(330a),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 배경음악 설정 아이콘(330c), 착신모드 설정 아이콘(330d), 시계 아이콘(330e), 또는 배터리 잔량 표시 아이콘(300f) 등을 포함한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상술한 아이콘 이외에 다양한 아이콘들이 대기화면(300) 상의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표시될 수 있다.In FIG. 3C, the
일반적으로 신호 세기 아이콘(330a), 착신모드 설정 아이콘(330d), 시계 아이콘(330e), 배터리 잔량 표시 아이콘(330f) 등은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은 도착한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디스플레이되며, 배경음악 설정 아이콘(330d)은 배경음악이 설정된 경우에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디스플레이된다.In general, the
도 3c에서,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이 투명하게 표시된다. 이 때,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의 첫 번째 서브 메뉴인 SMS(Short Message Service) 메뉴에는 커서가 위치한다. In FIG. 3C, the
또한, 팝업 메뉴창(340)이 표시된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은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표시된 다른 아이콘들과 다른 색상으로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하 방향키(32, 36)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팝업 메뉴창(340)에 포함된 서브 메뉴 중 자신이 원하는 서브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의 크기를 다른 아이콘들과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그 외의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와 관련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is is just one embodiment, and displays the size of the
도 3c와 같이,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이 디스플레이되고, 팝업 메뉴창(340) 내의 서브 메뉴 중 가장 위에 위치한 서브 메뉴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 방향키(34)를 한 번 누르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 바로 우측에 있는 배경음악 설정 아이콘(330c)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이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된다. As shown in FIG. 3C, when the pop-up
이 때, 배경음악 아이콘(330c)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에 포함된 첫 번째 서브 메뉴로 커서가 이동하며, 배경음악 아이콘(330c)의 색상이 다른 아이콘들과 다르게 표시된다.At this time, the cursor moves to the first sub-menu included in the pop-up
한편, 도 3c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 방향키(38)를 한 번 누르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알림 아이콘(330b) 바로 좌측에 있는 신호 세기 아이콘(330a)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이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신호 세기 아이콘(330a)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에 포함된 서브 메뉴에는 커서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해당 서브 메뉴들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이는 배터리 잔량 표시 아이콘(330f)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이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도 동일하다.Meanwhile, in the state of FIG. 3C, when the user presses the left direction key 38 once, as shown in FIG. 3E, a pop-up menu window associated with the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대기화면(30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 방향키(32)를 선택하게 되면,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표시된 아이콘(330)과 관련된 팝업 메뉴창(340)이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메뉴 조작을 거치지 않고, 대기화면(300)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표시된 아이콘(330)과 관련된 메뉴들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manner, when the user selects the up
<제2 <2nd 실시예Example >>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a와 같이 대기화면(3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30)에 구비된 복수의 방향키 중에서 우 방향키(34)를 선택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 방향키(34)에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하는 형태의 아이콘(410)이 대기화면(300)의 중심 부근에 디스플레이된 후,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대기화면(300) 상에서 사라진다.First, when the user selects the right direction key 34 from a plurality of direction keys provided in the
이어서, 곧바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설정 메뉴인 '마이 메뉴'(420)가 대기화면(300)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된다. '마이 메뉴'(420)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쉽게 진입하기 위해 사용자 자신이 설정한 서브 메뉴들로 이루어진다. 도 4b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마이 메뉴'(420)는 밝기 설정메 뉴(420a), 대기화면 설정메뉴(420b), 알람 설정메뉴(420c), 음량 벨소리 설정메뉴(420d), 초기값 설정메뉴(420e), 카메라 메뉴(420f) 등의 서브 메뉴들을 포함한다.Subsequently, a user setting menu 'My Menu' 420 as shown in FIG. 4B is immediately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b에 도시된 서브 메뉴들이 각각 선택된 경우의 도면을 도시한다.5A to 5D show diagrams when the submenus illustrated in FIG. 4B are selected, respectively.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밝기 설정메뉴(420a)를 선택한 경우, 밝기 설정을 위한 밝기 설정창(510)이 밝기 설정메뉴(420a) 좌측에 투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밝기 설정창(510)을 통해, 사용자는 대기화면(300) 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의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when the user selects the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대기화면 설정 메뉴(420b)를 선택한 경우, 대기화면 설정을 위한 대기화면 설정창(520)이 대기화면 설정 메뉴(420b) 좌측에 투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user selects the idle
대기화면 설정 메뉴창(520)에는 설정 가능한 대기화면들이 섬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형태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좌우 방향키(34, 38) 조작을 통해 커서를 이동시켜 원하는 대기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커서가 특정 섬네일 이미지로 이동될 때마다 이에 대응하는 화면이 대기화면으로 설정된다. The idle screen
본 실시예에서, 커서가 위치하는 두 번째 썸네일 이미지(530)에 대응하는 화면이 대기화면으로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c는 도 5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30)의 OK 버튼(31)을 눌러 해당 이미지를 대기화면으로 설정한 경우를 나타낸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도 5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알람 설정메뉴(420c)를 선택한 경우, 알람 설정을 위한 알람 설정창(540)이 알람 설정메뉴(420c) 좌측에 투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알람 설정창(54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대기화면(300) 상에서 손쉽게 알람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D, when the user selects the
<제3 <Third 실시예Example >>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a와 같이 대기화면(3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30)에 구비된 복수의 방향키 중에서 하 방향키(36)를 선택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방향키(36)에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하는 형태의 아이콘(610)이 대기화면(300)의 중심 부근에 디스플레이된 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라진다.First, when the user selects the down direction key 36 among the plurality of direction keys provided in the
이어서, 곧바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사업자 부가서비스 메뉴(620)가 대기화면(300) 상에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사업자는 엘지 텔레콤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 다양한 통신사업자들이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가서비스 메뉴는 뮤직 온 서비스, 다운타운 서비스, 뱅크 온 서비스 등을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대기화면(30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30)를 통하여 하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각종 부가서비스 메뉴가 모두 포함된 통신사업자 부가서비스 메뉴가 대기화면(30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모든 부가서비스 메뉴를 대기화면(300) 상에서 확인 및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제4 <Fourth 실시예Example >>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7A to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nu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a와 같이 대기화면(3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마련된 복수의 방향키 중 좌 방향키(38)를 선택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방향키(38)에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하는 형태의 아이콘(710)이 대기화면(300)의 중심 부근에 디스플레이된 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라진다.First, when the user selects the left direction key 38 from among a plurality of direction keys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while the
이어서, 곧바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기본설정메뉴(720)가 대기화면(300)의 좌측에 투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기본설정메뉴(720)는 아이콘과 메뉴명을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메뉴화면에 진입하지 않고도, 대기화면(300)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특정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menu desired by the user while looking at the
사용자가 상하 방향키(32, 36)를 조작하여 기본설정메뉴(720)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메뉴의 서브 메뉴(730)들이 투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서브 메뉴(730)가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기본설정메뉴(720)의 폭이 줄어들고, 기본설정메뉴(720)와 관련된 아이콘들만 표시된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기화면(3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 방향키(38)를 선택하면, 대기화면(300) 상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기본설정메뉴가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기화면 상태에서, 대기화면을 보면서 기본설정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left direction key 38 while th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향에 대응하는 메뉴들이 대기화면(300) 상에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대기화면(3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들은 반투명 형태 또는 불투명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enus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selected by the user are described as being transparently displayed on th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에 대응하는 메뉴로서, 인디케이터 영역(320)에 표시된 아이콘과 관련된 메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나만의 메뉴, 통신사업자 부가서비스 메뉴, 및 기본설정메뉴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그 밖에 다양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a menu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selected by the user, a menu related to an icon displayed on the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구비된 4 방향키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상하 방향의 사이드 키, 8방향 키, 조이스틱,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방향 선택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통하여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입력장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면 그 형태나 개수 등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irection by using the four direction keys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Direction can be selected through an input device capable of selecting a direction such as an eight-way key, a joystick, a touch pad, and a touch screen. In other words, if the input device has a function of selecting a direction, the input device may be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its shape, number, and the lik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의 일부 또는 전체의 조합이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have been individually described, it is obvious that some or all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it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기화면 상에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을 선택하면, 선택된 방향에 대응하는 메뉴가 대기화면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기화면 상에서 입력장치를 통해 특정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손쉽게 다양한 메뉴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direction is selected by using the input device on the standby screen, a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ceive various menu screens by selecting a specific direction through the input device on the standby screen.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8175A KR101380084B1 (en) | 2007-02-23 | 2007-02-23 |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US12/031,685 US8351989B2 (en) | 2007-02-23 | 2008-02-14 |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ES08101835T ES2531192T3 (en) | 2007-02-23 | 2008-02-21 | A menu display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EP08101835.0A EP1962480B1 (en) | 2007-02-23 | 2008-02-21 | A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NA2008100810431A CN101252746A (en) | 2007-02-23 | 2008-02-22 |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8175A KR101380084B1 (en) | 2007-02-23 | 2007-02-23 |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8288A KR20080078288A (en) | 2008-08-27 |
KR101380084B1 true KR101380084B1 (en) | 2014-04-02 |
Family
ID=3988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8175A Active KR101380084B1 (en) | 2007-02-23 | 2007-02-23 |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0084B1 (en) |
CN (1) | CN101252746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76353B2 (en) * | 2008-09-08 | 2012-07-18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
KR101546782B1 (en) * | 2008-10-02 | 2015-08-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idle screen of portable terminal |
KR101668240B1 (en) | 2010-04-19 | 2016-10-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054740B1 (en) * | 2010-06-18 | 2011-08-05 | (주)이노핸즈 | Smartphone capable of storing and providing a call background sound and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background sound using the same |
JP5762718B2 (en) * | 2010-10-20 | 2015-08-12 | シャープ株式会社 | Image forming apparatus |
WO2014039536A1 (en) * | 2012-09-05 | 2014-03-13 | Haworth, Inc. | Toolbar dynamics for digital whiteboard |
CN104008045B (en) * | 2013-02-25 | 2017-06-09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Step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in script recording operation |
KR102145577B1 (en) | 2013-04-01 | 2020-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
EP4246946B1 (en) | 2014-03-12 | 2024-10-30 | Huawei Device Co., Ltd. | Screen lock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
US10599332B2 (en) * | 2014-03-31 | 2020-03-24 | Bombardier Inc. | Cursor control for aircraft display device |
CN105786386A (en) * | 2016-02-29 | 2016-07-20 |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 Local awakening method for screen and intelligent termina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90833A1 (en) * | 2005-02-18 | 2006-08-24 | Microsoft Corporation | Single-handed approach for navigation of application tiles using panning and zooming |
KR20060131277A (en) * | 2005-06-15 | 2006-12-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nnotator capable of intera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7
- 2007-02-23 KR KR1020070018175A patent/KR101380084B1/en active Active
-
2008
- 2008-02-22 CN CNA2008100810431A patent/CN10125274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90833A1 (en) * | 2005-02-18 | 2006-08-24 | Microsoft Corporation | Single-handed approach for navigation of application tiles using panning and zooming |
KR20060131277A (en) * | 2005-06-15 | 2006-12-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nnotator capable of intera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8288A (en) | 2008-08-27 |
CN101252746A (en) | 2008-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0084B1 (en) |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
US7903093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 |
US8351989B2 (en) |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83226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US7761806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US9182885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operation of electrical devices | |
US20150012885A1 (en) | Two-mode access linear ui | |
US20080004084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rotary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 |
KR20110040110A (en) | How to display the desktop of the mobile device | |
US20090251418A1 (en) | Method of configuring an idle screen and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84933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ailling call using a image | |
KR101362314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3-dimensional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
JP2008305294A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mounted with full keyboard and full keyboard display method | |
KR101482098B1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04132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using key-pad arrangement type icon in portable set | |
KR101105762B1 (en) | How to set and execute menu shortcu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330942B1 (en) | Method of displaying a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
KR101030716B1 (en) | How to Display Menu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70501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ask manager display method using same | |
JP2013229062A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10115891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70005177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0814764B1 (en) | Scroll key inpu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 |
KR100595649B1 (en) | Menu display and execu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98117B1 (en)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mage data changing function constituting the GUI and a method of changing image data constituting the GUI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