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3806B1 - 치아 어버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 - Google Patents

치아 어버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806B1
KR100693806B1 KR1020067001788A KR20067001788A KR100693806B1 KR 100693806 B1 KR100693806 B1 KR 100693806B1 KR 1020067001788 A KR1020067001788 A KR 1020067001788A KR 20067001788 A KR20067001788 A KR 20067001788A KR 100693806 B1 KR100693806 B1 KR 100693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internal
implant
dental
artificial crow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6957A (ko
Inventor
미쉘 다디
Original Assignee
미쉘 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쉘 다디 filed Critical 미쉘 다디
Publication of KR2006005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8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30Fastening of peg-teeth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pandable or compressi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아 보철물을 환자의 턱이나 그 모형에 삽입된 치아 임플란트 혹은 그 복제본에 결합하는 어버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키트 및 그 구성요소. 변형 가능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탄성 접합 물질에 의해 내부 인공 치관 요소에 결합하는 혹은 결합할 수 있는 내부 임플란트 요소는 치아 임플란트 혹은 그 복제본에 삽입된다. 내부 인공 치관 요소는 치아 임플란트 혹은 그 복제본에 정밀하게 맞고 치아 보철물을 수용하는 모형 어버트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 임플란트 요소에 대해 적용된다. 결합이 강화됨으로써, 치아 임플란트 및 그 복제본으로부터 모형 어버트먼트 및 부착된 치아 보철물의 제거로 인해 모형 어버트먼트는 변형되지 않는다. 모형 어버트먼트 및 부착된 치아 보철물은 치아 임플란트 혹은 그 복제본으로부터 제거되고, 모형 어버트먼트는 영구 어버트먼트의 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치아 보철물, 어버트먼트, 치아 임플란트, 탄성 접합 물질,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내부 임플란트 요소

Description

치아 어버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METHOD AND KIT FOR PREPARING A DENTAL ABUTMENT}
본 발명은 치아 재생 절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버트먼트와 이 어버트먼트에 맞는 치아 보철물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부속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보철물은 중공 코어로 이루어지고, 이 중공 코어는 하부 구조물에 의해, 그리고 가능한 한 비슷하게 결손 치아를 복제하도록 성형된 심미적 외장재에 의해 차례로 둘러싸인다.
환자의 턱에 묻히는 치아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아 보철물을 환자의 턱에 부착하는 것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치아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일단에 구멍이 있는 나사진 중공관(中空管)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아 임플란트의 개방 단부를 둘러싸는 것은 기하학적으로 솟아오른 어버트먼트(지대주)를 가진 맞물림 헤드이다. 어버트먼트의 형상은 보철 치아의 맞물림 헤드에 있는 리세스의 형상과 역으로 대응한다.
환자 구강의 음각 모형 인상물(印象物)을 얻고 나서, 이 음각 모형 인상물으로부터 석고 소조물(塑造物) 혹은 에폭시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양각 모형을 제작함으로써 성형된 환자의 치아와 잇몸의 정확한 모형을 이용하여 치아 보철 물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것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대개 저가의 재료로 성형된 치아 임플란트의 복제본이 모형 속에 묻힌다. 치아 임플란트에 치아 보철물을 맞추기 위한 두 가지 상이한 표준 방법이 있다. 이들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하면, 먼저 어버트먼트를 치아 임플란트에 맞추고, 이 치아 임플란트에 치아 보철물을 부착하기 위한 기본틀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치아 보철물은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된다. 나머지 하나의 방법에 의하면, 치아 임플란트에 나사 결합되는 단일체로서 치아 보철물과 어버트먼트를 예비 성형한다. 이를 위해, 치아 보철물에 소구멍을 제공하여 치아 임플란트를 조이는 나사를 수용해야 하고, 나중에 이 소구멍을 감추기 위해 합성물 같은 물질로 소구멍을 덮어야 한다.
치아 보철물이 어버트먼트와 별도로 제작되는 첫 번째 방법에서는, 어버트먼트의 외형과 일치하는 내면을 가진 중공(中空) 외피인 코핑(coping)이 어버트먼트에 끼워져 치아 보철물의 기초로서 작용한다. 선택적으로, 왁스 모형은 어버트먼트 위에 직접 만들어질 수 있고, CAD/CAM 또는 보편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치아 보철물의 기부(基部)를 성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에 근거한 인공 치관과 같은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는 종래의 방법은 아래와 같다. 즉,
ㆍ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단계,
ㆍ 임플란트에 어버트먼트를 순응시키는 단계, 및
ㆍ 어버트먼트에 맞는 인공 치관이나 다른 보철물을 형성하는 단계.
이러한 방법은 어버트먼트가 일단에서 치아 임플란트에 정합하고, 타단에서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된 보철물을 수용할 것을 요구한다. 보철물에는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중공부가 제공된다.
기본적으로, 최종적인 복원물의 품질은 아래의 것에 의존한다. 즉,
ㆍ 치아 임플란트의 품질, 즉 어버트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 및 방향의 적합성.
ㆍ 어버트먼트의 디자인.
ㆍ 임플란트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적합도, 및
ㆍ 어버트먼트에 대한 인공 치관이나 다른 보철물의 적합도.
실험실과 치과 진료 병원 양자에서 이러한 절차의 효율성이나 정확성을 향상시키려는 많은 노력이 당업계에서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2종 부품 치아 어버트먼트(Two-piece dental abutment)"라는 명칭으로 1998년 11월 3일에 공고된 미국 특허 제5,829,977호(로저스 외 다수)에는 2종 부품 어버트먼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첫번째 부품은 자신을 전부 관통하는 천공 구멍의 일부분인 경사 내면을 포함한다. 첫번째 부품은 치아 임플란트의 보스(boss)나 포스트(post)와 결합될 수 있는 소켓을 포함한다. 길다란 두번째 부품은 치아 임플란트와 나사진 천공 구멍을 고정시키는 나사진 스템(stem)과, 첫번째 부품 너머로 연장하는 포스트를 포함한다. 두번째 부품은 첫번째 부품의 천공 구멍을 관통하고, 임플란트에 나사 결합된다. 두번째 부품이 임플란트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두번째 부품의 포스트의 경사 외면은 첫번째 부품의 경사 내면과 마찰식으로 고정된다.
개념적으로 볼 때, 일단 임플란트가 아래의 순서로 진행하도록 설치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즉,
ㆍ 잘못된 각도 끼워 맞춤 또는 불량 디자인을 가지는 사전 제작된 어버트먼트를 끼워 맞추도록 강제되지 않는 "이상적인 인공 치관" (또는 최종 보철물)을 사용한다.
ㆍ 인공 치관에 대한 이상적인 끼워 맞춤과 임플란트에 대한 이상적인 끼워 맞춤 양자를 제공하는 "이상적인 어버트먼트"를 사용한다.
이 개념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아래와 같다. 즉,
ㆍ 어버트먼트가 단단한 1종 부품이다.
ㆍ 인공 치관의 위치와 임플란트의 위치 간의 관계는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치과 의사가 임플란트뿐 아니라 인공 치관을 이상적으로 끼워 맞추는 어버트먼트를 (자신의 진료 병원에서 직접) 완성할 수 있는 부속물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과 기공사가 어버트먼트에 맞는 보철물뿐 아니라 어버트먼트를 더 간단히 만들 수 있는 부속물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전 제작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어버트먼트로 이상적인 인공 치관이나 다른 치아 보철물을 환자의 구강에 맞게 사전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치아 보철물을 어버트먼트에 맞춰 주문 제작해야 하는, 현재 요구되고 있는 필요성을 제거하는 부속물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들 목적은 환자의 턱 또는 그 모형에 삽입되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치아 보철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되며, 이 방법은
환자의 치열과 적당히 일치되도록 사전 제작된 치아 보철물을 환자의 턱 또는 그 모형에 배치하거나 위치시키고 치아 보철물과 치아 임플란트 사이의 미지의 임의의 공간 배치를 한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임플란트와 치아 보철물 사이의 공간 배치에 일치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를 후속하여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이 실현될 수도 있다. 즉,
탄성 접합 물질을 통해 내부 인공 치관 요소에 결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내부 임플란트 요소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분리 가능하면서도 재생 가능하게 부착하여 상기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 사이의 변형 가능한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 임플란트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맞춰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적절하게 맞춰지고 나서 적절하게 위치 조정되어 치아 보철물을 수용하는 모형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변형시키지 않고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으로부터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사용하여 영구적인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버트먼트는 2종의 부품, 즉 (a) 이상적인 치아 보철물에 정확하게 끼워 맞추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b) 상기 임플란트에 정확히 끼워 맞추고, 이 임플란트에 분리 가능하면서도 재생 가능하게, 예를 들면, 똑딱이 단추 체결에 의해 부착되는 내부 임플란트 요소로 형성된다. 따라서 형성된 어버트먼트의 경우, 나머지 전부가 최종 보철물의 정확한 배치에 의해 병원에서 결정될 수 있는 적절한 상호 관계로 상기 두 부품과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버트먼트의 제작이 보철물의 제작에 선행되어야 했던 종래 기술과 반대로 어버트먼트는 사전 제작된 보철물이 어버트먼트에 적절하게 맞춰지도록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역(易) 어버트먼트"로 일컬어질 수 있거나, 때때로 그렇게 일컬어 질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역 어버트먼트"란 용어는 모형 어버트먼트와 이로부터 제작된 영구적인 어버트먼트 양자에 적용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어버트먼트의 두 부품은 이상적인 인공 치관과 임플란트 각각에 적절하게 맞춰지는 결합을 보장하도록 각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탄성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야 한다.
실험실에서는, 상기 결합은 유연성 있는 연질 왁스를 사용하여 첫번째 단계에서 만들어질 수 있고, 이후 일반적인 안정한 왁스에 의해 두번째 단계에서 완성된다. 병원에서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 사이의 이상적인 결합은 내부 인공 치관 요소에 맞는 최종 보철물의 최적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인공 치관은 예를 들어, 지그(jig)에 의해 최적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환자의 턱 또는 그 모형에 삽입된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치아 보철물을 결합하는 어버트먼트를 제작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하며, 이 키트는
각각이 서로 다른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분리 가능하면서도 재생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의 내부 임플란트 요소와,
재건 대상 치아의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적 특징에 맞는 복수 개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인공 치관 요소 각각은 개별 치과 보철물에 순응되고 상기 내부 임플란트 요소 중의 어느 하나에 탄성 접합 물질을 통해 결합하여 선택된 내부 임플란트 요소에 대응하는 선택된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적절하게 맞춰지고 나서 적절하게 위치 조정되어 치아 보철물을 수용하는 모형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며,
상기 치아 보철물이 모형 어버트먼트로부터 형성된 영구 어버트먼트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키트는 기공사에게 환자 구강의 마스터 모델과 어버트먼트와 최종적인 보철물을 만들기 유용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ㆍ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의 위치 조정을 허용하는 기부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범용 어댑터. 이 기부의 외부 디자인은 보존력을 가지야 하며, 그 내부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의 하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ㆍ 복수 개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 그 각각은 범용 어댑터에 정밀하게 끼워 맞추고 치아 보철물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에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어 치아 보철물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가지는 환자의 구강 모형 내에 적절하면서도 재생 가능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기술의 이점 중 하나는, 적절한 치경부(齒境部) 프로파일을 허용하는 해부학적 횡단면과 외관을 가지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상기 키트는 각각이 범용 어댑터에 정밀하게 끼워 맞추고 치아 보철물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치아 보철물을 하나 이상의 이러한 어댑터를 포함하는 환자의 구강 모형 내에 적절하면서도 재생 가능하도록 배치하는 복수 개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을 더 포함한다.
상기 키트는 각각이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임시 혹은 최종 인공 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종 보철물을 위한 마스터 모델을 만들 때, 치과 의사는 치료 계획에 따라 임플란트의 이멀전스(emergence)의 메시오 디스탈 및 부코 링구얼 포지션(Mesio-Distal and Bucco-Lingual position)을 치과 기공사에게 전달한다. 치료 계획에 따른 의사의 추정이나 기공사의 작업에 허용 가능한 부정확성은 역 어버트먼트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이때 기공사는 치과 의사의 치료 계획에 따라 위치가 설정된 범용 위치 조정 복제본으로서 작용하는 어댑터에 맞춰진 내부 인공 치관 요소(상기 키트로부터 선택)의 복제본을 마스터 성형 모형 위에 설치한다.
주문형 어버트먼트를 만들기 위해, 기공사는 키트 중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사용하고, 그것을 내부 임플란트 요소인 기계 가공된 기부 실린더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결합은 유연성 있는 연질 왁스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반 왁스와 결합 후에 완성된다.
내부 인공 치관 요소는 왁스, 성형용 아크릴, 또는 임시 어버트먼트의 일부가 되는 모든 종의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瓷器), 금, 비금속(卑金屬) 또는 상술한 내부 인공 치관 요소의 기능과 양립 가능한 어떤 물질로도 될 수 있다.
임시 인공 치관은 상기 키트 중의 코핑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어버트먼트의 일부로 그 위에 임시 인공 치관을 제작하기 위한 기부로서 작용하는 적당한 내부 치관 요소의 외부 윤곽에 상호 보완적인 형태인 내부 중공을 가진다. 상기 코핑은 가령 왁스, 아크릴, 금, 비금속(卑金屬), 자기,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및 치아 보철물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어떤 다른 물질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최종 보철물을 만들기 위해, 기공사는 금 코핑, 비금속(卑金屬) 코핑, 자기 코핑, 또는 상술한 방법(이들 모든 종류의 코핑에 대응하는 각각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위한)과 양립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 다른 코핑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키트의 모든 구성 요소는 별개로 얻어질 수 있다.
병원에서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는 최적 배향을 얻기 전에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 사이에 결합의 변형을 허용하는 탄성 접합 물질을 사용하여 결합된 개별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접합 물질은 경화에 의해, 적합한 경우 충전제의 첨가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 결합은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를 둘러싸고 예를 들어, 빛의 인가에 의해 순조롭게 경화되는 변형 가능한 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는 광 경화 합성물(통상 치과에서 사용되는)과 같은 생성물(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물은 광 경화 전에는 고유의 탄성율을 가지며, 역 어버트먼트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에 맞춰짐으로써 미래의 인공 치관과 임플란트의 관계를 순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는 어버트먼트의 위치 설정으로 결정된 인공 치관을 이상적인 위치에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역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잘 끼워 맞춰지고, 인공 치관이 어버트먼트에 잘 끼워 맞춰지며, 결국 이 위치는 매우 정확하게 되고 나면, 상기 합성물의 광 경화를 가능하게 하며 임플란트와 이상적인 인공 치관 (어버트먼트 위치로부터 비롯된 제약 없이 수행되는) 모두에 적용되는 단단한 1종 부품 어버트먼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선택은 플라스틱 막 안에 포함된 합성물을 사용해 내부 임플란트 요소와 내부 인공 치관 요소 사이에 이를 두고 광 경화를 하는 것이다.
만일 치과 의사가 성형 기술을 사용하기로 결정하면, 먼저 역 어버트먼트를 배치하고, 제 2 단계에서 배치된 역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에 나사 결합하여 어버트먼트와 잇몸 사이의 결합을 완성하는 방법을 만들어내야 한다.
치과 의사가 CAM에 의해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얻도록 결정해야 한다면, 의사는 결합된 구성 요소를 스캔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CAD/CAM 시스템이 자동으로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할 것이므로, 기공사는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에 나사 결합시킬 방법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가능성은 병원에서 최종적인 결합, 예를 들면 금이나 자기로 만든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임플란트에 맞춰진 양립 가능한 기부 실린더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여러 제조사가 여러 다른 용적의 임플란트를 생산하므로 한 제조사의 임플란트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상보적인 형태의 다른 제조사의 코핑과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기공사는 일반적인 주문형 어버트먼트를 만들기로 결정해야 한다면(제작 어버트먼트 키트를 사용하지 않고), CAD/CAM 시스템으로 작업하여, 티타늄, 지르토늄 또는 특정 제조사와 함께 작업하는 데에 호환성을 가진 어떤 다른 물질로 만든 주문형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 주문형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또는 코핑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조정 복제본은 임플란트 제조사에 의해 인도된 최초 임플란트 복제본과 같아야 한다. 적절한 스캐닝과 CAD/CAM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음을 생산할 수 있다.
ㆍ 영구적인 어버트먼트. 그 형태는 모형 어버트먼트의 두 개의 결합 요소를 스캔한 후 그것에 의해 복제될 수 있다.
ㆍ 이상적인 어버트먼트에 맞춘 내부 조제물(internal preparation)을 가진 이상적인 임시 및 최종 인공 치관
ㆍ 역 어버트먼트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
ㆍ 역 어버트먼트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에 맞춘 미래의 인공 치관의 코핑
적절한 스캔과 CAD/CAM 시스템에 의한 다른 단계는 다음과 같다.
ㆍ 병원에서는, 치과 의사는 상, 하악(上, 下顎)의 인상물을 얻고, 잇몸 높이를 측정하고,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메시오 디스탈 및 부코 링구얼 포지션 위치 및 이것들의 향후 각도 관계(angulation)를 추정해야 한다.
이 외에도, 네 가지 가능성이 있다.
(i) 인상물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위치 조정 복제본을 포함하여 전처리되고 나서 준비되고, 다음에 기공사가 잇몸과의 이상적인 관계를 포함하여 이상적인 보철물의 왁스 모형을 제작하고, 이어서 스캔한다.
(ⅱ) 마스터 모형은 (ⅰ)에 따라 준비되고, 기공사는 기계 가공된 기부 실린더를 위치조정 복제본 위에 배치하며 이상적인 내부 인공 치관 요소의 모형을 만들기 위해 그 위에 왁스를 바른다.
(ⅲ) 일단 (ⅰ)에 따라 인상물이 만들어지고 나면, 이를 바로 스캔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기록한다.
(ⅳ) 광학적 인상물이 얻어지고, 상악 또는 하악은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바로 스캔되고 이들 간의 관계도 기록된다.
다음, CAD/CAM 시스템과 적절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기의 구성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ㆍ기공사에 의해 조각된 외부 윤곽이나 이 외부 윤곽에 상응하는 하부 구조물에 상응하는 보철물.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물,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또는 (ⅰ)에 따른 임플란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철물의 상기 요소들에 맞춰진 이상적인 역 어버트먼트의 설계 및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ㆍ인공 치관이나 브릿지 및 임플란트에 대응하는 어버트먼트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
(ⅱ)과 (ⅲ)에 따라, 기공사가 장래 보철물을 컴퓨터 상에서 설계할 것을 요구한다(스캔된 모형이 있는 경우, 대칭되는 치아를 뒤집으면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아래의 설명으로 확연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이해하고 실제로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이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한을 두지 않는 예로써만 설명될 것이며, 이들 도면에서,
도 1은 이상적으로 배치된 반대 치아와 부드러운 조직에 대한 이상적인 인공 치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기계적인 보강재의 추가에 의한 도 2의 어버트먼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어버트먼트를 더 강하게 하면서도 더 유연하게 하는 기계적 보강재의 추가에 의한 도 2의 어버트먼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5e는 도 2의 어버트먼트 및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구성 요소를 보여주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범용 어댑터와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내부 치과 요소를 통해 자연적으로 활력을 잃은 치아에 맞도록 인공 치관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a 내지 8b는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인공 치관과 포위된 내부 인공 치관 요소의 세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치아 임플란트 및 그 복제본에 부착하기 위한 치아 보철물의 기부(基部)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의 일부에 대한 아래 설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도면에서 나타나는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될 것이다. 아래 실시예는 인공 치관용 어버트먼트의 제작에 대해 설명되지만, 다른 치아 보철물을 지지하기 위한 어버트먼트의 제작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치아 보철물은 하나 이상의 치아를 복제하는 브릿지(bridge)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 사용되는 "치아 보철물"이란 용어는 단일 치아나 인공 치관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도 1은 치아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상부 턱(11)을 가지는, 참조번호 10으로 전체를 도시한 환자의 구강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환자의 치열에 맞추기 위해 제작되고 배치되기 때문에 이름 붙여진 이상적인 인공 치관(13)은 그 후미가 환 자의 잇몸(14)에 감추어지도록 배치된다. 일단 이렇게 배치되면, 치아 임플란트(12)와 이상적 인공 치관(13) 사이의 공간적 배열은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이상적인 인공 치관을 구체화하기 위해 반드시 유지되어야 하는 미지의 임의의 관계를 분명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지의 임의의 관계가 인공 치관(13)이 배치된 후에 이상적인 인공 치관(13)과 치아 임플란트(12) 사이의 공간적 배열에 완벽히 조화하도록 제작되는 어버트먼트(20)(도 2 참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은 어버트먼트를 먼저 제작하고, 그 후에만 인공 치관 혹은 그 위에 지지되는 다른 보철물이 제작되는 종래 행하던 방식과는 정반대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치과 의사가 환자에게 재활 시술하는 치과 병원, 그리고 치과 기공사가 어버트먼트를 제작하기 위해 모형을 사용하는 실험실 모두에서 사용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병원에서, 어버트먼트는 사전 제작된 치아 보철물을 환자의 턱 속에 있는 치아 임플란트 위에 지지한다. 실험실에서는, 치아 보철물은 아직 제작될 필요가 없고, 기공사는 향후 제작될 이상적인 치아 보철물을 지지하도록 인접 치아에 대한 최적의 적합도를 제공하는 노하우와 경험에 근거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작하기 위해 인상물(印象物)로부터 제작된 환자의 턱의 모형을 가지고 작업한다. 따라서, 실험실에서는, 어버트먼트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턱의 모형 속에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복제본 상에서 제작되어 어버트먼트 위의 위치가 예상되는 가상의 치아 보철물을 지지한다. 선택적으로는, 기공사는 왁스, 예컨대 미래의 치아 보철물의 위치 및 형태를 가시화하기 위해 미래 의 치아 보철물의 실물 크기 모형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그 다음, 기공사는 실리콘 같이 유연한 물질을 사용하여 왁스제의 실물 크기의 모형의 인상물을 얻고 치아 보철물의 외형을 정의하는 모형(key)을 만든다. 이어서, 실물 크기의 왁스 모형은 분리되고 어버트먼트는 이 모형 내에서 제작된다.
도 2a 및 2b는 하기의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모형 어버트먼트(2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내부 임플란트 요소(21)는 치아 임플란트(12) 또는 실험실 재건의 경우에는 그 복제본에 분리 가능하면서 재생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는 내부 임플란트 요소(21)를 치아 임플란트(12)에 똑딱이 단추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두 구성요소는 정확하게 결합되는 한편, 치아 임플란트(12)로부터 내부 임플란트 요소(21)의 분리 및 치아 임플란트에 대한 내부 임플란트 요소의 후속하는 정확한 재결합을 허용한다. 내부 임플란트 요소(21)는 탄성 접합 물질(23)에 의해 내부 인공 치관 요소(22)에 접합되어 내부 인공 치관 요소(22)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21) 사이에 변형 가능한 결합을 형성한다. 이때 내부 인공 치관 요소(22)는 내부 임플란트 요소(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정되어, 치아 임플란트나 복제본에 적절히 맞춰지고 적절히 위치 조정되어 치아 보철물을 수용하는 모형 어버트먼트(20)를 형성한다.
치아 임플란트(12) 또는 복제본로부터 모형 어버트먼트(20)의 분리에 의해 모형 어버트먼트가 변형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실에서는, 이러한 분리는 치과 기공사의 기교에 의존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병원에서는, 어버트먼트의 분리 전에 그 결합은 강해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 접합 물질(23)은 광경화되며, 그 결과 모형 어버트먼트(20)가 이상적으로 배치되었을 때, 탄성 접합 물질(23)은 빛을 결합물에 쪼여 줌으로써 경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 접합 물질(23)은 수 분 후에 경화하는 화학적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의사나 기공사가 필요한 경화 시간 내에 작업하도록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탄성 결합은 내부 인공 치관 요소(22)가 내부 임플란트 요소(21)에 대해 상대적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손풍금(accordion)과 유사하게 굽힘, 신장, 압축을 쉽게 일으키는 기계적인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모형 어버트먼트(20)는 치아 임플란트나 그 복제본으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영구적인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것은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를 내구성 물질로 성형함으로써, 그리고 모형 어버트먼트 내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 사이에 영구적인 결합을 제공함으로써 모형 어버트먼트를 직접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영구적 결합을 제공하는 일 방법은 적절한 형태의 부드러운 외면을 제공하도록 작용하는 금속이나 자기(瓷器)와 같은 충전제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내부 임플란트 요소와 내부 인공 치관 요소는 적절한 상호 배치로 유지되고, 화학적으로 경화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물리적으로 경화된 탄성 접합 물질은 제거되고, 그 부피는 최종적인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 물질 또는 합성물로 충전된다. 선택적으로, 영구적인 어버트먼트는 원형(template: 原型)으로서 모형 어버트먼트를 사용하고, 가능하다면 가공 후에도 CAD나 CAM 등과 같이 공지된 기술을 사용해서 형성될 수 있다.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버트먼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어버트 먼트는 기계적 보강재(30)에 의해 보강된다.
도 4는 어버트먼트를 단단하게 하면서도 유연성을 유지시키는 변형 가능한 보강재(40)의 첨가에 의한 도 2에 도시된 어버트먼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탄성 접합 물질(23)은 탄성 합성물을 함유한 탄성 물질로 형성된 유연한 막(42)을 가진 구체(球體)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 형태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22)의 내부 윤곽과 내부 임플란트 요소(21)의 외부 윤곽에 일치될 수 있다. 보강재(40)는 막(42)에 의해 유지되는 합성물을 광경화하기 전에 어버트먼트의 신장 및 회전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5a 내지 5e는 어버트먼트(20)를 제작하고, 이 어버트먼트를 통해 환자의 턱에 묻히는 치아 임플란트에 맞춰지기에 적합한 치아 보철물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구성요소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구성요소는 단독으로 또는 한 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내부 임플란트 요소(21)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내부 임플란트 요소는 각각 서로 다른 치아 임플란트나 복제본에 분리 가능하면서 재생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키트는 재건 대상 치아의 다양한 크기와 형태학적 특징에 적합한 복수 개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22)를 더 포함하고, 이들 내부 인공 치관 요소 각각은 개별 치아 보철물에 맞춰져 있다. 이들 내부 인공 치관 요소(22)는 탄성 접합 물질을 통해 내부 임플란트 요소들(21) 중의 어느 하나에 접합하도록 구성되어, 선택된 내부 임플란트 요소에 대응하는 선택된 치아 임플란트나 그 복제본에 적절하게 맞춰지고 나서 적절하게 위치 조정되어 치아 보철물을 수용하는 모형 어버트먼트를 형성한다.
치아 보철물을 상기 언급한 대로 형성된 어버트먼트에 적절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치아 보철물이 환자의 구강에 위치할 때 치과 의사가 치아 보철물에 이상적으로 맞춰지는 역 어버트먼트를 만들 수 있도록 치아 보철물은 반드시 실험실에서 미리 제작되어야 한다. 이는 치과 기공사에게 환자 구강의 치아 임플란트의 배향과 위치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고 어버트먼트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에 끼워 맞추기에 적합한 치아 보철물을 사전 제작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키트는 복수 개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50)을 더 포함하며, 이들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50)은 각각 개별 어댑터(51)에 정밀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고, 치아 보철물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에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어댑터(51)를 포함하는 환자 구강의 모형 속의 치아 보철물을 적절하면서도 재생 가능하게 배치한다.
상기 키트는 또한 도 5e에 도시되고 각각이 내부 인공 치관 요소(22)의 각각의 외형에 상호 보완적인 모양의 내부 중공을 가진 복수 개의 코핑(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핑은 치아 보철물을 만들기에 적합한 왁스, 아크릴, 금, 비금속(卑金屬), 자기,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및 다른 금속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또한 각각이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에 맞게 조절되는 복수 개의 임시 인공 치관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들 자기 인공 치관(porcelain crown)은 각각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50)에 끼워 맞춰져서 사후 변형에 의해 이상적인 보철물을 위한 기부로서 역할을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제 어버트먼트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에 끼워 맞추기에 적합한 사전 제작된 치아 보철물을 성형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환자의 구강 모형이 형성되고, 이 모형 내에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5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어댑터(51)를 묻는다. 상기 어댑터(51)는 자신을 수용할 정도로 충분히 큰 천공 구멍이나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모형 내에 효과적으로 몰딩되고, 천공 구멍이나 리세스에 어댑터를 삽입한 후에는 단단히 경화될 수 있는 석고 혼합물로 채워진다. 이런 수단에 의해, 비록 치아 임플란트의 정확한 위치나 배향이 알려지지도 중요하지 않더라도, 어댑터(51)는 환자의 턱 속에 있는 치아 임플란트의 실제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로 모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은 어댑터(51)와 도 5에 도시된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50)의 사시도이다.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50)은 어댑터 안에 해당 내부 리세스(55)와 맞물리는 외부 기하학적 돌출부(54)에 의해 어댑터(51)의 내부 천공 구멍(53)에 정밀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핀(52)을 가진다. 핀(52)의 길이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50)이 어댑터(51)의 천공 구멍 안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54)가 어댑터 안의 내부 리세스와 맞물리는 정도이며, 가능하다면 똑딱이 단추 끼워 맞춤으로 맞물린다. 이런 방법에 의해, 치아 보철물이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과 끼워 맞춰지면, 치아 보철물은 환자의 구강 모형에 적절하면서도 재생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어댑터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여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의 해당 천공 구멍과 맞물리는 핀에 의해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할 것이다.
사전 제작되어야 할 치아 보철물의 관점에서,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 제본(50)은 개별 어댑터 내로 삽입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어버트먼트에 연이어 끼워 맞춰지는 치아 보철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으로 사용된다.
실험실에서 치아 보철물을 사전 제작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치아 보철물이 후속하여 제작될 수 있는 모조 하부 구조물 또는 사전 제작될 개별 치아 보철물에 대한 모조 치아 보철물이 환자의 턱 모형 내의 원래 위치에 만들 수 있다. 그때 각 모조 치아 보철물 또는 모조 하부 구조물의 3차원 컴퓨터 제작이 이루어지고, 치아 보철물 또는 치아 보철물이 형성될 수 있는 모조 하부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3차원 컴퓨터 제작은 또한 치아 보철물에 적합하고 도 2와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제작하기 위해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내부 인공 치관 요소(72)를 통해 자연적으로 활력을 잃은 치아(71)에 맞는 인공 치관(70)을 제작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정확한 모형은 치아(71) 및 관련 근관(根管)(root canal)(73) 또는 근관들로 만들어진다. 다음에 상기 모형은 인공 치관이 후속적으로 치아(71)의 개별 근관(73) 안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포스트(75)에 지지 될 수 있도록 치아의 나머지 주변 윤곽선(74)에 적절하게 일치하는 인공 치관(70)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8a 내지 8b는 도 7에 도시된 인공 치관(70) 및 포위된 내부 인공 치관 요소(72)의 상세도이다. 상기 인공 치관(70)은 후속적으로 치아의 개별 근관(73) 안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포스트(75)에 지지될 수 있는 연결된 인공 치관과 내부 인 공 치관 요소(76)를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 인공 치관 요소(7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공 치관(70)은 사전 제작되고, 내부 인공 치관 요소(72)는 상술한 키트의 일부이며, 이에 따라 치과 기공사가 조합된 인공 치관/내부 인공 치관 요소(76)를 미리 제작할 수 있다. 치과 병원에서는, 치아의 외면(71)이 인공 치관(70)을 수용하도록 준비되고, 조합된 인공 치관/내부 인공 치관 요소(76)를 합성물(77)로 채운다. 그때 상기 조합된 인공 치관/내부 인공 치관 요소(76)는 포스트(75) 위에 위치하게 되고, 잉여 합성물은 제거되고, 합성물은 경화된다. 일단 이렇게 되면, 인공 치관(70)은 포스트에 의해 보강되고 2개 부품, 즉 내부 인공 치관 요소(72)와, 외부 윤곽이 내부 인공 치관 요소(72)를 통해 인공 치관(70)의 내부 윤곽에 정확하게 일치되는 보강 합성물(77)로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통해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전 제작된 인공 치관(70)이 역 어버트먼트를 통해 치아(71)에 이상적으로 맞춰지는 것을 허용하는데, 이 역 어버트먼트는 인공 치관이 성형된 후에 준비되어 이 인공 치관에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통해 정확히 일치된다.
이제 잉여 합성물을 제거하는 일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인공 치관(70)에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72)의 해당 소구멍(79)과 정렬된 천공 구멍(7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공 구멍과 소구멍은 소정의 심미적 및 기능적 요건에 따라 위치하며, 그 결과 이들 구멍은 사용시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상기 천공 구멍(78)과 소구멍(79)은 조합된 인공 치관/내부 인공 치관 요소(76) 안에서 합성물(77)을 경화하기 위해 빛이 들어오는 창문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치아 임플란트(91) 또는 그 복제본에 부착하 기 위한 치아 보철물의 기부(90)를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내부 임플란트 요소(92)는 치아 임플란트(91)이나 그 복제본에 분리 가능하면서 재생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내부 임플란트 요소(91)는 탄성 접합 물질(94)을 통해 내부 인공 치관 요소(93)에 결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기부(90)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93)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92) 사이에 변형 가능한 결합을 가진다. 내부 인공 치관 요소(93)는 내부 임플란트 요소(92)에 대해 상대적으로 맞춰지며, 그 결과 기부(90)는 치아 임플란트(91) 또는 그 복제본에 적절하게 맞춰지고 나서 적절하게 위치 조정되어 치아 보철물을 수용한다. 내부 인공 치관 요소(93)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92) 사이의 결합은 강화되며, 그 결과 치아 임플란트나 그 복제본으로부터 기부(90)의 분리에 의해 기부가 변형되지 않는다. 그때 내부 임플란트 요소(92)와 내부 인공 치관 요소(93) 사이의 결합은 완벽해지며, 상기 기부(90)는 치아 보철물을 지지하기 위한 영구적인 기부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영구적인 기부에는 나사못을 수용하는 천공 구멍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기부는 치아 보철물을 고정하기 전에 치아 임플란트(91)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수많은 기타 변형예, 변경예 및 응용예는 명백하게 되며,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0)

  1. 환자의 턱 또는 그 모형에 삽입되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치아 보철물을 결합하고, 적어도 세 개의 요소로부터 만들어지는 어버트먼트 장치로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에 맞춘 복수의 사전 제작된 내부 임플란트 요소로부터 선택된 사전 제작된 내부 임플란트 요소,
    치아 보철물에 맞도록 복수의 사전 제작된 내부 인공치관 요소로부터 선택된 사전 제작된 내부 인공치관 요소, 및
    내부 임플란트 요소와 내부 인공치관 요소의 적절한 상대적 위치를 결정해서 모형 또는 영구적인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변형 가능한 요소를 구비한 내부 임플란트 요소와, 내부 인공치관 요소 사이를 결합시키는 중간 결합 요소
    를 구비하는 것인 어버트먼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의 변형 가능한 요소는 최초에는 연질이지만 최종적으로는 경화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의 변형 가능한 요소는 탄성 접합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의 변형 가능한 요소는 기계적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의 변형 가능한 요소는 유연한 막을 가진 구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의 변형 가능한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및 내부 임플란트 요소는 탄성 결합에 의해 사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은 상기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및 내부 임플란트 요소를 둘러싸고 경화가 용이한 변형 가능한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은 굽힘, 신장 및 압축이 용이한 기계적 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은 상기 탄성 접합 물질이 내부 인공 치관의 내부 윤곽 및 내부 임플란트 요소의 외부 윤곽에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유연한 막에 포함된 탄성 접합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장치.
  11. 치아 어버트먼트를 제작하기 위한 키트로서,
    서로 다른 치아 임플란트에 맞추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 제작된 내부 임플란트 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다른 치아 보철물에 맞추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 제작된 내부 인공 치관 요소 중 적어도 하나
    를 구비하는 것인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개별 어댑터에 정확히 맞추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수컷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 인공치관 요소 복제본에 끼워 맞추는 암컷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 내에 암컷 커넥터에 끼워 맞추는 수컷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다양한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범용 어댑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17.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이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의 외부 윤곽에 상보적인 형태를 취하는 내부 중공을 가지는 복수의 코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핑 중 적어도 하나는 왁스, 아크릴, 금, 비금속, 자기(瓷器), 지르코니아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19.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임시 인공 치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20.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자기 인공 치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21. 제11항에 있어서, 내부 임플란트 요소 및 내부 인공 치관 요소의 적절한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어 모형 또는 영구적인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변형 가능한 요소를 구비한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 사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중간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간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접합 물질이 내부 인공치관 요소의 내부 윤곽 및 내부 임플란트 요소의 외부 윤곽에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유연한 막에 포함된 탄성 접합 물질로 이루어진 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의 변형 가능한 요소는 최초에는 연질이지만 최종적으로는 경화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의 변형 가능한 요소는 탄성 접합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의 변형 가능한 요소는 기계적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간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왁스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어버트먼트 제작용 키트.
  27. 환자의 턱 또는 그 모형에 삽입되는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치아 보철물을 결합하고, 적어도 세 개의 요소로부터 만들어지는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에 맞춘 복수의 사전 제작된 내부 임플란트 요소로부터 하나의 내부 임플란트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
    복수의 치아 보철물에 맞춘 내부 인공 치관 요소로부터 하나의 내부 인공치관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내부 임플란트 요소를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분리 가능하면서도 재생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상기 내부 임플란트 요소 상에 배치하고, 길이와 배향이 정해진 변형 가능한 요소에 의해 내부 인공 치관 요소와 내부 임플란트 요소 사이의 결합을 결정해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에 적절하게 맞춰지고 나서 적절하게 위치 조정되어 상기 치아 보철물을 수용하는 모형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변형시키지 않고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으로부터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분리시키고,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사용하여 영구적인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어버트먼트 형성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을 강화해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 또는 그 복제본으로부터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제거하더라도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변형시키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형성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를 사용하여 상기 영구적인 어버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모형 어버트먼트 또는 영구적인 어버트먼트를 통과하는 천공 구멍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형성 방법.
  30. 환자의 구강 내의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 및 배향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고 어버트먼트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에 끼워 맞추기에 적합한 사전 제작 치아 보철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환자의 구강 모형을 얻되, 상기 모형은 내부에 내부 인공치관 요소 복제본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가 묻혀 있으며, 상기 내부 인공 치관 요소는 상기 어댑터에 정확히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치아 보철물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에 맞출 때, 상기 치아 보철물이 환자의 구강 모형에 적절하고 재생 가능하게 배치되는 단계,
    사전 제작될 각각의 치아 보철물에 대해서,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을 개별 어댑터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어버트먼트 상에 후속하여 끼워 맞춰질 수 있는 치아 보철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으로서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을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사전 제작 치아 보철물의 형성 방법.
  31. 환자의 구강 내의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 및 배향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고 어버트먼트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에 끼워 맞추기에 적합한 사전 제작 치아 보철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환자의 구강 모형을 얻되, 상기 모형은 내부에 내부 인공치관 요소 복제본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가 묻혀 있으며, 상기 내부 인공 치관 요소는 상기 어댑터에 정확히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치아 보철물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에 맞출 때, 상기 치아 보철물이 환자의 구강 모형에 적절하고 재생 가능하게 배치되는 단계,
    상기 모형 내의 원래 위치에 사전 제작될 치아 보철물 각각에 대한 모조 치아 보철물 또는 상기 치아 보철물이 후속하여 제작될 수 있는, 모조 치아 보철물의 모조 하부 구조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각각의 모조 치아 보철물 혹은 모조 하부 구조물의 3차원 컴퓨터 제작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컴퓨터 제작을 사용하여 상기 치아 보철물 또는 치아 보철물이 형성될 수 있는 개별 하부 구조물을 형성하고, 어버트먼트를 제작하기 위해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사전 제작 치아 보철물의 형성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컴퓨터 제작을 사용하여 개별 내부 인공 치관 요소 복제본 및 이에 일치되는 어댑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제작 치아 보철물의 형성 방법.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KR1020067001788A 2003-07-25 2004-07-25 치아 어버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996503P 2003-07-25 2003-07-25
US60/489,965 2003-07-25
US50293803P 2003-09-16 2003-09-16
US60/502,938 2003-09-16
US56382204P 2004-04-21 2004-04-21
US60/563,822 2004-04-21
US10/565,114 US20060188844A1 (en) 2003-07-25 2004-07-25 Method and kit for preparing a dental abu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957A KR20060056957A (ko) 2006-05-25
KR100693806B1 true KR100693806B1 (ko) 2007-03-12

Family

ID=3947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7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806B1 (ko) 2003-07-25 2004-07-25 치아 어버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60188844A1 (ko)
EP (1) EP1651132B1 (ko)
KR (1) KR100693806B1 (ko)
CA (1) CA2532544A1 (ko)
WO (1) WO2005009272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553A3 (en) * 2008-12-11 2010-10-21 Aeton Medical Llc Fixtures for dental implants
KR101287812B1 (ko) * 2011-10-31 2013-07-26 주식회사 하스 세라믹 유치관 및 세라믹 유치관과 상악 전유치 간의 결합구조와 방법
US8920170B2 (en) 2011-02-21 2014-12-30 Aeton Medical Llc Abutment and abutment systems for use with implants
KR101632377B1 (ko) 2015-01-08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1632373B1 (ko) 2015-01-07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1632378B1 (ko) 2015-02-13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KR101638561B1 (ko) 2015-04-13 2016-07-11 주식회사 디오 부분스캔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KR101638558B1 (ko) 2015-07-14 2016-07-1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디지털 원바디 어버트먼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06991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디오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706335B1 (ko) 2015-11-16 2017-02-14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KR101726706B1 (ko) 2016-03-11 2017-04-13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US9737380B2 (en) 2009-02-13 2017-08-22 Aeton Medical Llc Components for use with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KR20210106754A (ko)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1031B2 (en) * 2004-02-06 2014-06-10 Zircore, Llc System and method for mass custom manufacturing of dental crowns and crown components
US7798812B2 (en) * 2004-09-23 2010-09-21 L P M Dental Development Ltd. Temporary dental prosthesis
US20070031793A1 (en) * 2005-08-03 2007-02-08 Kelley Casement Provisional crown for dental implants
US20070031792A1 (en) * 2005-08-03 2007-02-08 Kelley Casement Provisional crown for dental implants
US11219511B2 (en) 2005-10-24 2022-01-11 Biomet 3I, Llc Methods for placing an implant analog in a physical model of the patient's mouth
US20100151423A1 (en) * 2008-12-11 2010-06-17 Ranck Roger S Temporary restorations and related methods
WO2010097089A1 (en) * 2009-02-25 2010-09-02 3Shape A/S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post and core
US8867800B2 (en) * 2009-05-27 2014-10-21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Method of designing and fabricating patient-specific restorations from intra-oral scanning of a digital impression
EP2324795A1 (en) * 2009-11-19 2011-05-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dental restoration
WO2014137735A1 (en) * 2013-03-04 2014-09-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dental restoration
USD733886S1 (en) 2013-11-01 2015-07-07 Provisional Implant Technology, Llc Provisional dental implant
USD734465S1 (en) 2013-11-01 2015-07-14 Provisional Implant Technology Llc Provisional dental implant
EP3998040A1 (en) * 2013-12-20 2022-05-18 Biomet 3i, LLC Dental method for developing custom prostheses through scanning of coded members
CH709925B1 (fr) * 2014-07-25 2018-09-14 Sudimplant Ensemble de trousses d'implantologie dentaire.
US9770218B2 (en) 2015-04-20 2017-09-26 Provisional Implant Technology, Llc Method of making a radiographic guide and a surgical stent/guide for dental implants
KR102025726B1 (ko) * 2018-03-21 2019-11-04 박은규 의치용 어태치먼트
CA3184943A1 (en) 2020-07-06 2022-01-13 Perfect Fit Crow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crown restorations using prefabricated sleeve-crown pairs
US20240299140A1 (en) * 2023-03-10 2024-09-12 Eric Jon Knutson Flexible Implant Abutment and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191A (en) * 1964-03-10 Skidding guard for pneumatic
US4488874A (en) * 1982-04-29 1984-12-18 Jack Soifer Detachable mounting for a dental fix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4758161A (en) * 1987-01-28 1988-07-19 Core-Vent Corporation Coping insert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FR2655534B1 (fr) * 1989-12-12 1997-10-24 Patrick Peltier Implant dentaire.
US5658147A (en) * 1995-09-19 1997-08-19 Shopvest, Inc. Working model for prosthodontic preparation of a crown for installation on an implant fixture
US5695334A (en) * 1995-12-08 1997-12-09 Blacklock; Gordon D. Bendable and castable post and core
US5662475A (en) * 1996-03-08 1997-09-02 Mena; Raul R. Universal prosthetic and implant abutment
US5782017A (en) * 1996-11-18 1998-07-21 Maven Golf Products Llc Coupling device for a tread insert
US5897177A (en) * 1997-09-09 1999-04-27 Bergstrom; Scott T. Stud having a multifaceted surface for use on a tread element
US6358052B1 (en) * 1999-07-15 2002-03-19 L. Paul Lustig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a dental restoration using the same
US20050048440A1 (en) * 2003-08-26 2005-03-03 Feng James C. Dental implant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and us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553A3 (en) * 2008-12-11 2010-10-21 Aeton Medical Llc Fixtures for dental implants
US9737380B2 (en) 2009-02-13 2017-08-22 Aeton Medical Llc Components for use with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US8920170B2 (en) 2011-02-21 2014-12-30 Aeton Medical Llc Abutment and abutment systems for use with implants
KR101287812B1 (ko) * 2011-10-31 2013-07-26 주식회사 하스 세라믹 유치관 및 세라믹 유치관과 상악 전유치 간의 결합구조와 방법
KR101632373B1 (ko) 2015-01-07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1632377B1 (ko) 2015-01-08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1632378B1 (ko) 2015-02-13 2016-06-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KR20160106991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디오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638561B1 (ko) 2015-04-13 2016-07-11 주식회사 디오 부분스캔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KR101638558B1 (ko) 2015-07-14 2016-07-1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디지털 원바디 어버트먼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06335B1 (ko) 2015-11-16 2017-02-14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KR101726706B1 (ko) 2016-03-11 2017-04-13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20210106754A (ko)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1132A1 (en) 2006-05-03
WO2005009272A1 (en) 2005-02-03
KR20060056957A (ko) 2006-05-25
CA2532544A1 (en) 2005-02-03
EP1651132B1 (en) 2011-03-02
US20060188844A1 (en) 2006-08-24
US20110300509A1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806B1 (ko) 치아 어버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
US20210212804A1 (en)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US5846079A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US6666684B1 (en)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US6290500B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7322824B2 (en) Design and manufacture of dental implant restorations
AU20042004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Prosthesis
RU2290127C2 (ru) Компоненты и способ улучшен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тиска
KR101694475B1 (ko)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US6056547A (en)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WO1997031585A9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US20090081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mediate loading of fixed hybrid dental prostheses
KR20050074282A (ko) 인공지대치 플래스틱 코핑
US20190247149A1 (en) Custom dental component and scan body
KR102105919B1 (ko)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017421A1 (en) Method of Preparing an Artificial Dental Prosthetic and Seating Thereof
KR20150010119A (ko) 제작 공정을 간소화한 세미 커스텀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KR20120136858A (ko)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WO2017156405A1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KR102212408B1 (ko) 오버덴쳐 구조물 및 오버덴쳐 구조물의 구축방법
CN212592509U (zh) 多植体修复的被动位夹具
KR200408616Y1 (ko) 임플란트용 지대주 아날로그
KR102510423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20140030369A (ko) 임플란트 보철 부품세트 및 그를 이용한 인공치관의 제작방법
ES2362746T3 (es) Equipo para preparar un pilar den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