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3684B1 -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 Google Patents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684B1
KR100693684B1 KR1020050131155A KR20050131155A KR100693684B1 KR 100693684 B1 KR100693684 B1 KR 100693684B1 KR 1020050131155 A KR1020050131155 A KR 1020050131155A KR 20050131155 A KR20050131155 A KR 20050131155A KR 100693684 B1 KR100693684 B1 KR 100693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speaker
speaker unit
baffle
type sp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684B1/ko
Priority to US11/486,092 priority patent/US7575095B2/en
Priority to CN2006101085337A priority patent/CN199299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68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환시켜 전방을 향하여 방사하게 되는 스피커 유니트와, 외관을 이루고 일면이 개방된 인클로우져와, 상기 인클로우져의 내부에 수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인클로우져와 축지되고 스피커 유니트가 구비되는 배플 및 상기 배플의 정면에 설치되고 음방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이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직립된 인클로우져에서 스피커 유니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스피커 유니트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을 청취자가 자유롭게 조절하여 청취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음장효과를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인클로우져, 배플, 회전, 스피커 유니트, 톨보이

Description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Tall boy type of Speaker}
도 1은 종래의 톨보이 타입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인클로우져 112 : 구획판
114 : 회전공 120 : 프론트 패널
122 : 음방출구 130 : 그릴 캡
140 : 스피커 유니트 150 : 배플
152 : 삽입구 154 : 회전축
본 발명은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클로우져에 스피커 유니트가 대략 일렬로 설치되고 북셀프 타입의 스피커보다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니트의 각도를 청취자가 자유롭게 조절하여 청취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음장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내지 홈 시어터의 스피커는 인클로우져에 진동판의 동작에 의해 음파가 방사되도록 스피커 유니트가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 유니트는 방사되는 음파에 따라 고주파음을 방사시키는 트위터 스피커 유니트와 저주파음을 방사시키는 우퍼 스피커 유니트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인클로우져란 스피커 유니트를 조립해 넣는 목재, 혹은 플라스틱류 등으로 만든 스피커 케이스를 말하는 것으로, 인클로우져는 캐비넷, 혹은 박스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특히, 상기 인클로우져가 없이 스피커 유니트만을 동작시켜 음파를 방사시킬 경우 저음이 제대로 재생되지 않거나, 고음의 경우 음질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유니트는 일반적으로 울림통 역할을 하게 되는 인클로우져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인클로우져의 형상 내지 인클로우져에 스피커 유니트가 설치된 상태에 의하여 북셀프 타입 스피커와 톨보이 타입 스피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북셀프 타입 스피커(Book shelf type of Speaker)는 책장에 들어가는 사이즈정도의 소형 스피커들을 지칭하며, 대략 30~50㎝의 높이를 가진 인클로우져에 스피커 유니트가 설치되어 소형의 오디오 내지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Tall boy type of Speaker)는 원기둥 내지 사각기둥과 같은 비교적 높이(90~150㎝)를 갖는 인클로우져에 복수의 스피커 유니트가 일렬로 설치되어 실내의 마루등에 직접고정시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스피커들을 지칭하며, 현장감을 위한 음향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충분한 체적을 갖는 인클로우져가 구비된 스피커가 홈 시어터의 출력단자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톨보이 타입 스피커를 도 1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톨보이 타입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톨보이 타입 스피커는 홈 시어터와 같은 생생한 영상 및 음향효과를 얻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북셀프 타입의 스피커보다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인클로우져(10)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클로우져(10)에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40)가 대략 일렬로 설치되는 바, 상기 인클로우져(10)는 일면이 개방된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게 되고, 상기 개방된 일면으로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40)가 구비된 배플(50)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배플(50)의 정면으로 프론트 패널(20)이 인클로우져(10)에 고정되어 스피커의 정면 외관을 이루게 되는 바, 상기 스피커 유니트(40)를 보호하기 위한 그릴 캡(30)이 각각의 스피커 유니트(40)에 할당되어 프론트 패널(20)에 고정됨으로써, 설치될 장소(실내의 마루, 거실과 같은 장소)에 직립된 상태로 음향기기 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인클로우져(10)에는 스피커 유니트(40)가 일렬로 설치되는데, 상기 스피커 유니트(40)는 고주파음을 방사시키는 트위터 스피커 유니트 내지 저주파음을 방사시키는 우퍼 스피커 유니트가 될 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트위터 스피커 유니트와 우퍼 스피커 유니트가 혼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스피커 유니트(40)는 삽입구(52)가 구비된 배플(50)에 각각 고정되는 바, 상기 배플(50)은 스피커 유니트(40)의 진동판 전면과 후면에서 방사되는 위상이 반대인 음파가 서로 간섭되어 상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판의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배플(50)에는 스피커 유니트(40)의 후면과 꼭맞는 삽입구(52)가 구비되어, 상기 스피커 유니트(40)의 진동판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유니트(40)가 구비된 배플(50)의 정면으로 음방출구(22)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20)이 위치되어 상기 인클로우져(10)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유니트(40)의 진동판에서 방사되는 음파가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음방출구(22)를 통해 청취자에게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톨보이 타입 스피커는, 주로 홈 시어터와 같은 대형 화면을 구현시켜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불러 일으키는 영상기기와 연동되어 음향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홈 시어터의 설치 시 스피커 유니트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을 고려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한번 설치된 종래의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자리 이동 내지 스피커 유니트 전방의 장애물 유무에 따라서 설치시 고려된 음파의 지향성에 영항을 끼치게 되어 음장(effect)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톨보이 타입 스피커는 음파를 방사시키는 스피커 유니트가 배플과 인클로우져에 정해진 각도로 설치 고정되므로 이미 음장이 결정되어져 다양한 음장효과를 가질 수 가 없어 청취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 유니트의 각도를 청취자가 자유롭게 조절하여 스피커 유니트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에 변화를 주어 청취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음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환시켜 전방을 향하여 방사하게 되는 스피커 유니트와, 외관을 이루고 일면이 개방된 인클로우져와, 상기 인클로우져의 내부에 수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인클로우져와 축지되고 스피커 유니트가 구비되는 배플 및 상기 배플의 정면에 설치되고 음방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이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가 일렬로 설치되고 북셀프 타입의 스피커보다 비교적 큰 체적을 갖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고 직립 설치되는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있어서, 외관을 이루되 스피커 유니트의 후면으로 방사되는 음파가 울림되도록 내부에 체적을 갖고 일면이 개방되는 직립된 인클로우져와, 상기 인클로우져의 개방된 일면에 수용되되 수용된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인클로우져와 축지되고 스피커 유니트가 구비되는 배플 및 상기 배플의 정면에 설치되고 음방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이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클로우져의 내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연속적인 구획판 및 상기 각각의 구획판에 축지되는 배플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구획판에 축지되는 배플의 어느 한 곳에 덕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클로우져의 개방된 일면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회전공 및 상기 회전공과 맞물려 축지되도록 배플에 형성되는 회전축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유니트가 정면에 구비되고, 측면이 인클로우져의 내측벽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원호를 이루는 배플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플의 배면이 개방되어 인클로우져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의하면 직립된 인클로우져에서 스피커 유니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스피커 유니트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을 청취자가 자유롭게 조절하여 청취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음장효과를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클로우져(110)는 스피커 유니트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파를 적절히 울림되도록 하게 되고,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정면을 제외한 외관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인클로우져(110)는, 대략 직사각형 기둥의 내부가 중공되고 일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게 되어 톨보이 타입 스피커 설치 시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클로우져(110)의 개방된 일면으로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가 배플에 대략 일렬로 설치되고, 상기 배플에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정면 외관을 이루는 프론트 패널(120)이 고정된다. 특히, 상기 배플은 인클로우져(110)의 개방된 일면의 내측 벽면과 축지됨으로써, 상기 스피커 유니트가 구비된 배플이 일체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 유니트를 외부의 이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그릴 캡(130)이 각각의 스피커 유니트에 할당되어 프론트 패널(12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인클로우져(110)의 개방된 일면의 내측 벽면에 축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 유니트가 구비되는 배플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구비되는 바,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가 상부의 배플에 구비되고, 나머지 스피커 유니트가 하부의 배플에 구비되어, 상하의 배플들이 별개로 회전가능하게 인클로우 져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플에 구비되는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는 고주파음을 방사시키는 트위터 스피커 유니트 내지 저주파음을 방사시키는 우퍼 스피커 유니트가 될 수도 있으며, 실시에 따라서는 트위터 스피커 유니트와 우퍼 스피커 유니트가 혼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클로우져의 형상은 중공되고 일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실시에 따라서는 중공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면이 개방된 인클로우져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고 있음을 명백히 밝혀 두는 바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클로우져(110)는, 스피커 유니트(140)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파를 적절히 울림되도록 내부가 중공된다. 그리고, 대략 직사각형 기둥의 형상을 갖고,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일면으로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140)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인클로우져(110)는 설치 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 높이는 대략 90~150㎝가 된다.
한편, 음향기기로부터 보내진 전기 신호를 음파 신호로 변환시키는 스피커 유니트(120)가 인클로우져(110)의 개방된 일면에 구비되는 바, 상기 스피커 유니트(140)의 진동판(미도시)이 전방을 향하게 되고, 스피커 유니트(140)의 자계가 인클로우져(1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 유니트(140)가 구비되는 배플(150)은 대략 반구형 기둥의 형상 을 갖는 바, 정면에는 스피커 유니트(14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삽입구(152)가 형성되고, 측면은 배플(150)의 회전시 인클로우져(110)의 내측 벽면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원호를 이루게 되며, 배면은 개방되어 인클로우져(110)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평면과 저면에는 측면의 원호 중심에 해당되는 지점으로 회전축(15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플(150)은,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140)를 인클로우져(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 유니트(140)들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불필요한 음파를 차단시켜 음질의 향상을 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피커 유니트(140)는, 배플(150)의 정면에 고정 설치되는 바, 상기 배플(150)의 정면을 기준으로 스피커 유니트(140)의 진동판(미도시)이 전방을 향하게 되고, 스피커 유니트(140)의 자계가 인클로우져(110)의 내부를 향하게 상기 배플(150)의 삽입구(152)에 삽입된 후에 별도의 체결수단(예를 들어, 체결용 볼트 내지 접착제등)에 의하여 스피커 유니트(140)가 배플(150)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배플(150)에 구비되는 스피커 유니트(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어 배플(15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스피커 유니트(140)가 우퍼 스피커 유니트 내지 트위터 스피커 유니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 혼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140) 중 어느 한 곳에 우퍼 스피커 유니트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저주파음이 인클로우져(110) 내부에서 충분히 울림된 연후에 청취자에게 전달되도록 덕트(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저주파음이 인클로우져(110)의 덕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일면만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기밀을 유지하게 되며, 때에 따라서는 인클로우져(110)의 내부에 흡음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인클로우져(110)의 내부에는, 상기 인클로우져(11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구획판(112)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는데, 상기 구획판(112)은 인클로우져(110)의 내부를 완전히 차폐시키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클로우져(110)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플(150)의 수량에 따라 연속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 유니트(140)가 구비된 배플(150)은, 인클로우져(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축지되는 바, 상기 배플(150)의 상단과 하단의 중심에 돌출된 회전축(154)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54)과 대응되는 인클로우져(110)의 개방된 일면 내측 벽면에 회전공(1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플(150)의 회전축(154)과 축지되는 인클로우져(110)의 회전공(114)이 연속된 구획판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인클로우져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구획판이 인클로우져의 개방된 일면을 따라 연속되면, 상기 연속된 구획판의 각각에 회전공이 구비되고, 상기 배플이 연속된 구획판과 다음번 구획판의 사이에서 축지되도록 회전축과 회전공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배플(150)의 정면으로 음방출구(122)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120)이 고정되어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정면 외관을 이루게 되고, 상기 음방출구(122)를 통해 스피커 유니트(140)의 진동판에서 방사되는 음파가 청취자에게 전달되며, 상기 스피커 유니트(140)를 보호하기 위한 그릴 캡(130)이 각각의 스피커 유니트(140)에 할당되어 프론트 패널(120)에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톨보이 타입 스피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톨보이 타입 스피커는, 주로 홈 시어터와 같은 대형 화면을 구현시켜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불러 일으키는 영상기기와 연동되어 음향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홈 시어터의 설치 시 스피커 유니트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을 고려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는, 북셀프 타입 스피커에 비해 자중과 부피가 크기 때문에 톨보이 타입 스피커가 설치된 자리를 청취자가 임의적으로 옮긴다는 것에는 무리가 따르며, 톨보이 타입 스피커 설치 시 스피커 유니트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을 고려하여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스피커의 위치 이동 내지 스피커 유니트 전방의 장애물 유무에 따라서 음파의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청취자는 스피커가 설치된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스피커 유니트(140)를 회전시켜 스피커 유니트(140)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을 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청취자는 프론트 패널(120)의 일측을 밀거나 당겨 스피커 유니트(14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20)의 일측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상기 프론트 패널(120)과 일체로 고정된 배플(150)이 상기 배플(150)의 평면에 구비된 회전축(15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배플(150)에 일체로 고정된 스피커 유니트(140)가 배플(150)의 기울기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플(150)의 회전에 따라서 스피커 유니트(140)의 음방출 각도가 변경되는 한편, 상기 배플(150)의 측면에 해당되는 원호가 기울어진 각도만큼 인출되므로 톨보이 타입 스피커 외부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음질의 저하를 방지하게 되며, 배플(150)의 배면이 개방되어 인클로우져(110)의 내부와 연통됨으로써, 우퍼 스피커 유니트의 후방으로 방사되는 저주파음이 충분히 울림될 수 있는 체적을 갖게 된다.
이렇게, 청취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음장(effect)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배플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피커 유니트의 음방출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게 되고, 스피커 유니트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음장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는, 청취자가 톨보이 타입 스피커가 설치된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스피커 유니트를 회전시켜 스피커 유니트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지향성을 조정하게 됨으로 청취자의 취양에 부합하는 음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7)

  1.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환시켜 전방을 향하여 방사하게 되는 스피커 유니트;
    외관을 이루고 일면이 개방된 인클로우져;
    배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배면이 상기 인클로우져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인클로우져의 개방된 일면에 수용됨과 아울러 수용된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인클로우져와 축지되고, 상기 스피커 유니트가 삽입되도록 전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배플; 및
    상기 배플의 정면에 설치되고 음방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이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2. 다수의 스피커 유니트가 일렬로 설치되고 북셀프 타입의 스피커보다 비교적 큰 체적을 갖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고 직립 설치되는 톨보이 타입 스피커에 있어서,
    외관을 이루되 스피커 유니트의 후면으로 방사되는 음파가 울림되도록 내부에 체적을 갖고 일면이 개방되는 직립된 인클로우져;
    배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배면이 상기 인클로우져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인클로우져의 개방된 일면에 수용됨과 아울러 수용된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인클로우져와 축지되고, 전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스피커 유니트가 구비된 배플; 및
    상기 배플의 정면에 설치되고 음방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패널;이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우져의 내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연속적인 구획판; 및
    상기 각각의 구획판에 축지되는 배플;이 더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획판에 축지되는 배플의 어느 한 곳에 덕트가 구비되는 것이 더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우져의 개방된 일면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회전공; 및
    상기 회전공과 맞물려 축지되도록 배플에 형성되는 회전축;이 더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니트가 정면에 구비되고, 측면이 인클로우져의 내측벽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원호를 이루는 배플이 더 포함되는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7. 삭제
KR1020050131155A 2005-12-28 2005-12-28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155A KR100693684B1 (ko) 2005-12-28 2005-12-28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US11/486,092 US7575095B2 (en) 2005-12-28 2006-07-14 Speaker
CN2006101085337A CN1992990B (zh) 2005-12-28 2006-07-24 扬声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155A KR100693684B1 (ko) 2005-12-28 2005-12-28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684B1 true KR100693684B1 (ko) 2007-03-12

Family

ID=3810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1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684B1 (ko) 2005-12-28 2005-12-28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3684B1 (ko)
CN (1) CN1992990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71B1 (ko) 2008-04-15 2010-06-24 정종기 스피커 인클로져
KR200480374Y1 (ko) 2015-01-16 2016-05-16 김원상 평판 스피커
KR101669393B1 (ko) * 2016-07-06 2016-10-25 박성원 횡단보도용 지향성 스피커
KR200485547Y1 (ko) 2016-07-29 2018-01-24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음역대별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고정 장치
KR102034267B1 (ko) * 2018-09-14 2019-10-18 주식회사 피티지 지향성 음향전달장치
CN112533118A (zh) * 2019-09-17 2021-03-1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声音扩散装置与具有该声音扩散装置的扬声器
KR102614861B1 (ko) * 2022-07-19 2023-12-19 주식회사 두광 싸인카용 자이로 스피커
KR102697760B1 (ko) * 2023-05-08 2024-08-22 주식회사 두광 경사로에 맞춰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싸인카용 자이로 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1674B2 (ja) 2008-09-08 2016-02-03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指向性音響発生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指向性スピーカーアレイ
WO2011135678A1 (ja) * 2010-04-27 2011-11-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CN102098610B (zh) * 2011-03-11 2015-10-21 湖南继善高科技有限公司 扬声器单元、扬声装置及定向声波驱鸟装置
CN106131758A (zh) * 2016-07-25 2016-1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扬声器组件及音箱
CN110460935A (zh) * 2019-09-19 2019-11-15 深圳东原电子有限公司 一种隐蔽式倒相管条形音箱结构
DE102020131094B3 (de) * 2020-11-24 2021-09-30 HifiMotive B.V. Lautsprechersystem
CN113810834B (zh) * 2021-10-27 2023-05-12 安徽井利电子有限公司 一种音响内部呈带式排列的可调扬声器及其调试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913A (ko) * 1997-08-28 1999-03-15 정몽규 범퍼 장착구조
KR19990023989A (ko) * 1997-08-29 1999-03-25 무라따 미치히로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19990018913U (ko) * 1997-11-14 1999-06-05 전주범 스피커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913A (ko) * 1997-08-28 1999-03-15 정몽규 범퍼 장착구조
KR19990023989A (ko) * 1997-08-29 1999-03-25 무라따 미치히로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19990018913U (ko) * 1997-11-14 1999-06-05 전주범 스피커 유닛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90018913
2019990023989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71B1 (ko) 2008-04-15 2010-06-24 정종기 스피커 인클로져
KR200480374Y1 (ko) 2015-01-16 2016-05-16 김원상 평판 스피커
KR101669393B1 (ko) * 2016-07-06 2016-10-25 박성원 횡단보도용 지향성 스피커
KR200485547Y1 (ko) 2016-07-29 2018-01-24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음역대별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고정 장치
KR102034267B1 (ko) * 2018-09-14 2019-10-18 주식회사 피티지 지향성 음향전달장치
CN112533118A (zh) * 2019-09-17 2021-03-1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声音扩散装置与具有该声音扩散装置的扬声器
CN112533118B (zh) * 2019-09-17 2021-12-0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声音扩散装置与具有该声音扩散装置的扬声器
KR102614861B1 (ko) * 2022-07-19 2023-12-19 주식회사 두광 싸인카용 자이로 스피커
KR102697760B1 (ko) * 2023-05-08 2024-08-22 주식회사 두광 경사로에 맞춰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싸인카용 자이로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2990B (zh) 2011-08-17
CN1992990A (zh)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684B1 (ko) 음향각도 조절이 가능한 톨보이 타입 스피커
KR20120015667A (ko) 스피커 시스템
US4882760A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TWI236304B (en) Image display device
CN1976417B (zh) 电视单元
US8967323B1 (en) Multi-directional foldback and front of house speaker enclosure
US5111905A (en) Speaker enclosure
JP2005006053A (ja) 低音用スピーカー装置及び該低音用スピーカー装置を備えたマルチウェイスピーカー装置
US2694462A (en) Acoustic system for loud-speakers
US5710821A (en) Audio communications system with built in expansion capability for a desktop computer
US11564032B2 (en) Speaker system with asymmetrical coverage horn
US4503930A (en) Loudspeaker system
US20150049894A1 (en) Low profile flat panel speaker system
US20150063621A1 (en) Speaker Assembly
JP2009038446A (ja) スピーカボックス構造及びそのスピーカボックスを搭載した薄型表示装置
US20140174847A1 (en) Speaker enclosure and method for eliminating standing waves therein
US7418104B2 (en) Speaker system
US3131783A (en) Loud-speaker enclosure
CN109196876A (zh) 扬声器
JP2009055450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US4437539A (en) Speaker enclosure
US2050575A (en) Sound reproducing cabinet
US4033431A (en) Acoustic crossover speaker enclosure
JPH1169474A (ja) 薄型テレビ用スピーカ装置
US5898138A (en) Loudspeaker having horn loaded driver and v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