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358B1 - Mobile phones with built-in camera - Google Patents
Mobile phones with built-in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3358B1 KR100693358B1 KR1020040055350A KR20040055350A KR100693358B1 KR 100693358 B1 KR100693358 B1 KR 100693358B1 KR 1020040055350 A KR1020040055350 A KR 1020040055350A KR 20040055350 A KR20040055350 A KR 20040055350A KR 100693358 B1 KR100693358 B1 KR 100693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mobile phone
- guide
- built
- camera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578 rel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that can accommodate and withdraw th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시 또는 미사용시 필요에 따라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장착과 관련하여 외부 노출로 인한 손상 문제 및 부피가 커지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고, 또 사용시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자동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카메라의 사용과 관련한 전체적인 취급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휴대폰의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한편,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하여 휴대폰 본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방향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phone is used or not used, it can be stored and withdrawn as needed, thereby completely eliminating the problem of damage and bulkiness caused by external exposur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of the camera module. It can increase the overall handling efficiency related to the use of the camera, such as one-touch automatic withdrawal, and ultimately can effectively pursue the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phone, while allowing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phone to rotate 360 degrees free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that can take a picture in various directions without moving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thereby making it easy to operate a camera for taking a picture.
휴대폰, 카메라, 내장형, 수납/인출방식, 360°회전방식Mobile Phone, Camera, Built-in Type, Storage / Withdrawal, 360 ° Rot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2b는 도 1의 결합 사시도2A and 2B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of FIG. 1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일 구현예에 대한 수납/인출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3a, 3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 withdrawal state for one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4b는 도 3a의 A-A 선 및 B-B 선 단면도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FIG. 3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6b는 도 5의 결합 사시도6A and 6B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of FIG.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다른 구현예에 대한 수납/인출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Figures 7a, 7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 withdrawal state for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8b는 도 7a,7b의 단면도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7A and 7B.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카메라 모듈 11 : 몸체부10
12 : 브라켓 13 : 하우징12: bracket 13: housing
14 : 회전돌기부 15 : 돌출띠14: rotating projection 15: protruding band
16 : 가이드부 17 : 톱니형 유도면16
18 : 회전유도용 가이드부 19 : 돌기18: guide part for rotation induction 19: projection
20 : 스프링 21 : 슬라이드부20: spring 21: slide
22 : 모듈조립부 23 : 안착턱22: module assembly 23: seating jaw
24 : 경사형 유도면 25 : 스톱퍼24: inclined guide surface 25: stopper
26 : 홈부 27 : 돌출부26: groove portion 27: protrusion
28 : 스프링가이드 29 : 턱부28: spring guide 29: jaw
본 발명은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시에는 휴대폰 본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휴대폰 본체 내에 수납시켜 보관할 수 있어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360°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조작방식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카메라의 사용과 관련한 전체적인 취급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withdrawn from the mobile phone body when in use and can be stored and stored in the mobile phone body when not in use to reduce the volume occupied by the camera and at the same time can be rotated 360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that can improve convenience in use, while the operation method is also a one-touch method, which can increase the overall handling efficiency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camera.
최근의 휴대폰은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Modern mobile phones are usually equipped with a camera.
정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사진 촬영은 휴대폰의 하우징 내에 소정의 위치로부터 영상 포착 수단으로 영상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CCD(전하결합소자)와, 렌즈를 포함하는 영상 포착 수단을 휴대폰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Photographing, including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is typically performed by disposing a CCD (charge coupled element) and an image capturing means including a lens inside the cellular phone to guide the image light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housing of the cellular phone to the image capturing means. Can be performed.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휴대폰들은 보통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폰으로 사진을 쉽게 찍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포착된 영상을 휴대폰의 전자 메일 기능을 사용하여 전자 메일에 첨부한 후 다른 사람에게 직접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는 장점 때문에 자주 사진을 찍는 젊은층 사이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Mobile phones with cameras make it easy to take pictures with a mobile phone you usually carry with you, and you can attach captured images to e-mail using your phone's e-mail feature and send them directly to others. Because of its advantages, including the back, it is a trend that is widely spread among young people who often take pictures.
현재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휴대폰, 즉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휴대폰의 경우 휴대폰 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고정식 렌즈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 휴대폰 본체의 상단부에 회전식 렌즈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 등 주로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손상의 우려가 있고, 또 렌즈부분이 차지하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휴대폰 본체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면서 휴대하는 측면에서 많은 단점이 있다. Most mobile phones on the market, that is, mobile phones equipped with cameras, have a fixed lens unit mount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and a rotary lens unit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There is a risk of damaging the lens because it is exposed, and also requires a separate space occupied by the lens portion has a number of disadvantages in terms of carrying as the overall volume of the mobile phone body increases.
또한, 기존 휴대폰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식 렌즈부의 경우 회전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에서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휴대폰 본체를 움직여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ry lens unit mounted on the existing mobile phone is limited,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in use such as inevitably moving the mobile phone main body in order to take a picture in various direc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시 또는 미사용시 필요에 따라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장착과 관련하여 외부 노출로 인한 손상 문제 및 부피가 커지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고, 또 사용시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자동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카메라의 사용과 관련한 전체적인 취급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휴대폰의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by allowing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phone to be stored / withdrawn as needed when not in use, the damage problem and volume due to external exposur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of the camera modul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olv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number of times, and to increase the overall handling efficiency related to the use of the camera such as one-touch automatic withdrawal when using it, and ultimately the built-in camera which can effectively pursue the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phon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having 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하여 휴대폰 본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방향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built-in camera that allows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phone can be freely rotated 360 ° to take pictures in various directions without moving the mobile phone main body, thereby making it easy to operate the camera for taking pictures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과 이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면서 길이변화가 가능한 몸체부로 구성되고 휴대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몸체부의 길이변화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휴대폰 본체 내부로 수납 및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the camera module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capable of changing the length while support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by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mounted inside the mobile phon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tored inside and withdrawn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몸체부는 선단에 슬라이드부의 탈거방지를 위한 스톱퍼를 갖고 있으며 후단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카메라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회전돌기부의 걸림 안착 및 슬라이드 안내를 위한 다수의 돌출띠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둘레방향을 따라 균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서 가이드부의 뒷쪽으로 배치되고 선단의 톱니형 유도면을 이용하여 일정각도 회전돌기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와, 선단부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적어도 양편 2개의 돌기를 이용하여 회전각도 전환이 가능한 회전돌기부를 갖고 있으며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조립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회전돌기부의 걸림 및 해제작용에 따라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가능한 슬라이드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수납 및 인출작용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ha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removal of the slide portion at the front end and a cylindrical housing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amera body using a bracket of the rear end, and is coupled concentrically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projection surface of the rotating projection por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are arranged toward the rear of the guide and guide teeth of the tip end. The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가이드부의 내측에서 차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카메라 모듈의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lide portion may be rotated about the vehicle body axis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360 ° of the camera module can be rotated.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띠에는 그 후단부에 회전돌기부의 걸림작용 및 회전유도를 위한 한쪽의 경사형 유도면을 갖는 요입형 안착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strip of the guid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is provided with a recessed seating jaw having one inclined guide surface for the locking action and rotational induction of the rotary projection.
또한, 상기 회전돌기부의 돌기는 둘레를 따라가면서 90°간격으로 4개, 또는 180°간격으로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ojections of the rotary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four at the intervals of 90 °, or two at intervals of 180 ° along the circumference.
또한, 상기 회전돌기부의 돌기는 한쪽으로 방향성을 갖고 일렬로 배치되는 삼각형태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ojection of the rotary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projection is arranged in a line with a direction to one side.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슬라이드부 몸체 후단부에 일부 끼워져 결합되며 회전돌기부가 장착되는 동시에 후단부 내측의 홈부 또는 외측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스프링의 한쪽을 지지하는 스프링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l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lide body part is coupled to the rotatable projection is mounted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guide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spring using the groove portion or the outer projection inside the rear end por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의 내장형 카메라는 크게 사진을 찍기 위한 대략 원통형의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휴대폰 본체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의 몸체부(11)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built-in camera of the mobile phone has a substantially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렌즈를 이용하여 사진을 직접 찍는 부분이며, 휴대폰 본체의 내부와 통상의 회로구성을 갖는다. The
상기 몸체부(11)는 휴대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길이변화를 통해 카메라 모듈(10)를 외측으로 인출시켜주는 역할(도 2a) 및 내측으로 수납시켜주는 역할(도 2b)을 하게 된다.The
이러한 몸체부(11)는 지지체로서의 하우징(13), 수납 및 인출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슬라이드부(21), 슬라이드부(21)의 선택적인 수납 및 인출을 위해 회전각도의 변화를 유도하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 유지 및 인출안내를 위해 슬라이드부(21)를 간헐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부(18) 등으로 구성된다. This
상기 하우징(13)은 운동요소들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 관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휴대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후단에 결합 되어 있는 브라켓(12)을 이용하여 고정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링형상의 캡구조를 갖는 스톱퍼(25)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곳에 후술하는 슬라이드부(21)의 회전돌기부(14)가 걸려짐에 따라 슬라이드부(21)가 하우징(13)의 외측으로 완전히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이때의 스톱퍼(25)는 홈과 돌기 간의 걸림구조로 하우징(13) 내에 꼭맞게 끼워져 장착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상기 슬라이드부(21)는 하우징(13)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되면서 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10)을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10)을 내측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3)의 내측,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후술하는 가이드부(16)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The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선단부에는 걸림단 구조를 갖는 모듈조립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이 일체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A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 및 인출상태를 결정해주기 위한 걸림 및 해제작동을 수행하는 회전돌기부(14)가 장착된다. The rear end portion of the
이때의 회전돌기부(14)는 원통형 관구조의 몸체를 가지면서 슬라이드부(21)의 선단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후술하는 스프링가이드(28)의 둘레에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로 조립되고, 선단쪽의 슬라이드부 후단 턱과 후단쪽의 스프링가이드 턱부(29)에 의해 탈거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rotating
특히, 상기 회전돌기부(14)의 외주면에는 실질적으로 걸림작용, 회전각도 전환작용 등을 수행하는 소정의 형태, 예를 들면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돌기(19)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돌기(19)가 후술하는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가 갖는 안착턱(23)에 걸려지거나, 또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의 톱니형 유도면(17)에 회전 유도되면서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를 유지시켜주거나, 또는 인출을 위한 해제상태로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90°간격마다 1개씩 총 4개가 구비되거나, 180°간격마다 1개씩 총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태가 삼각형의 형태인 경우에는 그 정점에 있는 꼭지점이 원주방향을 향한 자세에서 한쪽으로 방향성을 가지면서 일렬로 배치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The
이러한 슬라이드부(21)는 2개의 조합형 구조를 갖게 된다.The
즉, 슬라이드부 몸체 후단부에는 중심축선을 따라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이곳에 스프링가이드(28)의 선단 일부 길이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That i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lide unit body is formed with a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central axis lin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tip length of the
이때의 스프링가이드(28)는 슬라이드부 몸체와 조립시 그 턱부(29)와의 사이에 회전돌기부(14)를 수용할 수 있게 되며, 턱부(29)의 뒷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돌출부(27)를 이용하여 이곳에 끼워지는 스프링(20)의 한쪽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인출시 인출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스프링(20)이 구비되며, 이때의 스프링(20)은 하우징(10) 내측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12)의 바닥면과 스프링가이드(28)의 후단 사이에 양단 지지되면서 슬라이부(21)의 수 납시 압축되었다가 인출시 팽창되면서 슬라이드부(21)를 밖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A
상기 스프링(20)의 슬라이드부측 지지부위는 스프링(20)의 일부 길이가 돌출부(27)에 끼워지거나, 후술하는 스프링가이드(28)의 후단부에 일정깊이 파여 있는 홈부(26)에 일부 길이가 수용되므로 스프링(20)의 정확한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The slide part side support part of the
상기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는 슬라이드부(21)가 갖는 회전돌기부(14)의 회전각도를 변화시켜주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3)의 내측에서 브라켓(12)의 앞쪽으로 조립된다. The
상기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는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즉 원통형 관 형태 또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곳을 통해 스프링(20)이 관통 배치될 수 있는 동시에 회전돌기부(14)의 선단 일부가 수용되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The rotation
상기 회전돌기부(14)의 회전각도 유도를 위하여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의 선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 형성되는 톱니형 유도면(17)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곳에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직접 접촉되면서 유도면이 갖는 각도를 따라 회전돌기부(14)가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guide the rotation angle of the
이러한 톱니형 유도면(17)은 산부에서 양쪽의 골부쪽으로 이어지는 면이 한쪽은 수직에 가까운 면이 되고 다른 한쪽은 경사면으로 되어서 한쪽으로 방향성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이때의 경사면을 따라 유 도되고, 따라서 회전돌기부(14)가 일정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상기 가이드부(16)는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를 유지시켜주고, 또 인출시의 이동을 안내해주는 부분으로서, 길다란 원통형 몸체를 갖고 있으며 하우징(13)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위치되면서 그 내측면에 꼭맞게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The
상기 가이드부(16)의 내주면에는 회전돌기부(14)의 수납상태 유지 및 인출상태 안내를 위한 수단으로 2개 또는 4개의 돌출띠(15)가 제공된다. Two or four protruding
상기 돌출띠(15)는 가이드부(16)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균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때의 돌출띠(15) 사이사이는 인출시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안내되는 통로가 되고, 각 돌출띠(15)의 후단부는 가이드부(16)의 후단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어와 있는 곳에 위치되면서 수납시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걸려져 있게 되는 안착턱 수단이 된다. The protruding
이를 위하여, 상기 돌출띠(15)의 후단부에는 한쪽의 완만한 경사면과 다른 한쪽의 직선에 가까운 구간을 갖는 요입형 안착턱(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안착되면서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a recessed
이때의 완만한 경사면은 돌기(19)가 요입형 안착턱(23) 내로 진입할 때 돌기(19)의 회전을 한차례 유도하는 경사형 유도면(24)이 된다. At this time, the gentle inclined surface becomes an
따라서,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진입시 경사형 유도면(24)에 의해 한 차례 회전한 후 요입형 안착턱(23)에 안착되고, 이때의 원주방향 위치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가 갖는 톱니형 유도면(17)의 경사면을 바라보는 위치가 된다.Therefore, the
이때의 돌출띠(15)가 갖는 경사형 유도면(24) 및 요입형 안착턱(23)은 상기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가 갖는 톱니형 유도면(17)과 원주방향으로 약간 각도가 틀어져 있어서 수납 및 인출시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그 회전각도가 자연스럽게 유도 및 전환되므로 슬라이드부(21)의 수납 및 인출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일 구현예에 대한 수납/인출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3A and 3B are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orage / withdrawal state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21)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가이드부(16)의 후단부에 있는 요입형 안착턱(23)에 안착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가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 즉 카메라 모듈(10)의 수납상태가 된다. As shown in FIG. 3A, the
이러한 수납상태는 카메라 모듈(10)이 휴대폰 본체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This storing state means that the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슬라이드부(21)의 인출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슬라이드부(21)의 회전돌기부(14)가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 사이의 통로를 이용하여 앞쪽으로 빠져나와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슬라이드부(21)의 인출상태, 즉 카메라 모듈(10)의 인출상태가 된다. As shown in FIG. 3B, the drawing state of the
이때, 슬라이드부(21)의 최대 인출상태는 하우징(13)의 스톱퍼(25)에 회전돌 기부(14)의 돌기(19)가 걸려지는 구조에 의해 단속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maximum withdrawal state of the
이러한 인출상태에서는 휴대폰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10)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In this withdrawal state, a picture can be taken with the
특히, 이때의 카메라 모듈(10)은 슬라이드부(21)와 함께 전체가 360°회전조작이 가능하므로 휴대폰 본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즉,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10)을 손으로 돌리면, 카메라 모듈(10) 및 슬라이드부(21) 전체가 자유롭게 돌아가게 되므로 카메라 모듈(10)의 조작만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이때의 슬라이드부(21)에 조립되어 있는 회전돌기부(14)는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 사이에 걸려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수납상태에 있는 슬라이드부(21)의 인출시, 카메라 모듈(10)을 살짝 누르면 슬라이드부(21)와 그 후단부의 회전돌기부(14)는 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At the time of withdrawal of the
이때,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의 톱니형 유도면(17)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진행되므로 회전돌기부(14)는 일정각도 한차례 회전되고, 계속해서 누르고 있던 카메라 모듈(10)을 놓게 되면 스프링(20)의 힘에 의해 회전돌기부(19) 및 슬라이드부(21) 전체가 바깥쪽으로 밀려나면서 가이드부(16)에 있는 돌출띠(15) 사이 통로를 따라 인출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인출상태에 있는 슬라이드부(21)의 수납시, 카메라 모듈(10)을 살짝 누르면 슬라이드부(21)와 그 후단부의 회전돌기부(14)는 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When storing the
이때,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의 톱니형 유도면(17)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진행되고, 따라서 회전돌기부(14)는 일정각도 한차례 회전된다. At this time, the
계속해서, 누르고 있던 카메라 모듈(10)을 놓게 되면 스프링(20)의 힘에 의해 회전돌기부(14) 및 슬라이드부(21) 전체가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동시에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에 있는 경사형 유도면(24)으로 진입하면서 이곳에서 유도되어 한차례 더 회전된 후 요입형 안착턱(23)에 걸려지면서 안착된다. Subsequently, when the
위와 같이 회전돌기부(14)가 두차례에 걸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 후 수납되면서 회전각도가 바뀜에 따라 재인출시 회전돌기부(19)의 돌기(19)는 먼저 빠져나왔던 톱니형 유도면(17)이 아닌 그 다음의 톱니형 유도면(17)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As the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6a 및 도 6b는 결합형태,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는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and 6b is a combined form, Figures 7a and 7b and 8a and 8b shows an operating state.
여기서는 브라켓의 구조, 회전유도용 가이드부의 형태, 스프링 지지구조, 가이드부가 갖는 돌출띠의 수 및 회전돌기부가 갖는 돌기의 수에서 형태적 및 구조적인 차이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각 부품의 기능이나 전체적인 작동방식은 상술한 일 구현예와 동일하다.Here, the structural and structural differences are provided in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the shape of the guide part for rotation induction, the spring support structure, the number of protruding bands of the guide part and the number of protrusions of the rotating protrusion part. The method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를 들면,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90°간격으로 4개 구비되고, 이에 상응하여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도 4개가 구비된다.For example, four
스프링 지지구조의 경우 슬라이드부(21)에 조립되는 스프링가이드(28)에 돌출부(27)가 구비되고, 이곳에 스프링(20)의 선단부 일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In the case of the spring support structure, the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내장형의 휴대폰은 카메라 미사용시에는 카메라 본체의 내부로 카메라 모듈(10)을 완전히 집어 넣을 수 있으므로 외부 노출로 인한 간섭, 손상 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삭제로 휴대폰의 전체적인 부피 또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9a and 9b, when the camera-equipped mobile phon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insert the
또한, 카메라 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10)만 살짝 누르면 자동으로 튀어나오게 되고, 또 360°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mera is used, it is automatically pushed out by pressing only the
여기서는 카메라 모듈을 휴대폰 본체의 측면쪽에서 수납 및 인출시킨 구조를 제공하지만, 휴대폰 본체의 상단쪽 또는 하단쪽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Here, the camera module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camera module is stored and withdrawn from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body, but the same applies to the top or bottom side of the mobile phone bod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시 또는 미사용시 필요에 따라 수납/인출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손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과, 휴대폰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과, 360°회전가능한 카메라 모듈의 채용으로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 조작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having a built-in camera that can be stored and withdrawn as needed when the camera module of the mobile phone is used or not in use, thereby protecting the camera module from the risk of damage, and The overall volume can be reduced, and the operation of the camera for taking a picture can be obtained by adopting a 360 ° rotatable camera modul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5350A KR100693358B1 (en) | 2004-07-16 | 2004-07-16 | Mobile phones with built-in camer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5350A KR100693358B1 (en) | 2004-07-16 | 2004-07-16 | Mobile phones with built-in camera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0275U Division KR200365366Y1 (en) | 2004-07-16 | 2004-07-16 | Mobilephone with put in/out type camer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6379A KR20060006379A (en) | 2006-01-19 |
KR100693358B1 true KR100693358B1 (en) | 2007-03-12 |
Family
ID=3711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535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358B1 (en) | 2004-07-16 | 2004-07-16 | Mobile phones with built-in camer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335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7943B1 (en) * | 2017-08-23 | 2022-02-2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
CN110432584B (en) * | 2019-07-23 | 2024-10-01 | 温州中胤鞋服有限公司 | Insert ice crystal shoes |
KR102460763B1 (en) | 2020-12-04 | 2022-10-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6017A (en) * | 2002-05-03 | 2003-11-07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obile phone having containable and projectable camera |
KR20040038021A (en) * | 2002-10-31 | 2004-05-08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
-
2004
- 2004-07-16 KR KR1020040055350A patent/KR1006933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6017A (en) * | 2002-05-03 | 2003-11-07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obile phone having containable and projectable camera |
KR20040038021A (en) * | 2002-10-31 | 2004-05-08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30086017 * |
1020040038021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6379A (en) | 2006-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73190B1 (en) | Phone case with built-in holder | |
KR200475741Y1 (en) | Stick for self photo | |
KR102136952B1 (en) | Smartphone equipped with earphone storages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 |
JP2015148720A (en) | Accessory apparatus attachment device and support table unit attachable to accessory apparatus attachment device | |
US20160342072A1 (en) | Integral range extender and mechanical protector system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 |
KR100693358B1 (en) | Mobile phones with built-in camera | |
WO2016183655A1 (en) | Pivoting portable telescopic camera with integrated tripod, method for locking a pivoting support, method for reciprocally pivoting two members of equal diameter, and method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a tripod in a member | |
KR20040093913A (en) | Camera apparatus of mobile phone | |
JP2005057765A (en) |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imaging mechanism | |
KR200365366Y1 (en) | Mobilephone with put in/out type camera | |
WO2017014227A1 (en) |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170086650A1 (en) | Adapter Device for Securing an Eyepiece to a Mobile Phone | |
CN220980966U (en) | Automatic racket | |
KR20190034643A (en) | The rear panel,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mobile phone and a stretchable cellular phone bar | |
KR20180039789A (en) | 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 |
KR20220154983A (en) |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JP2005204005A (en) | Main-body self-standing structure of mobile telephone wireless device and mobile telephone wireless device with main-body self-standing structure | |
KR200484029Y1 (en) | The selfie pad for selfie smartphone | |
KR101718113B1 (en) | Portable terminal case able to take selfie | |
JP3873170B2 (en) | Electronic camera | |
KR20040070899A (en) | Mobile phone having cover for camera | |
JP2007104363A (en) | Cradle device and mobile phone | |
KR101051490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64541B1 (en) | Cover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100980913B1 (en) |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