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2774B1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774B1
KR100692774B1 KR1020050035207A KR20050035207A KR100692774B1 KR 100692774 B1 KR100692774 B1 KR 100692774B1 KR 1020050035207 A KR1020050035207 A KR 1020050035207A KR 20050035207 A KR20050035207 A KR 20050035207A KR 100692774 B1 KR100692774 B1 KR 10069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guide
main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085A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35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77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7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며,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접촉면의 메인 바디에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상측 또는 하측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하여 다양한 부가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변해가는 사용자의 기호에 부응할 수 있게 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 슬라이드 모듈, 메인 플레이트, 슬라이드 플레이트, 양방향

Description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다른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바디와 슬라이드 바디 간의 동작을 위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c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이동통신 단말기 100 - 메인 바디
200 - 슬라이드 바디 300 - 슬라이드 모듈
310 - 메인 플레이트 3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330 - 제 1가이드부 331 - 가이드 리브
332 - 가이드 슬릿 333 - 탄성수단
312,322 - 고정구멍 340 - 제 2가이드부
341 - 가이드 홀 342 - 슬라이드 부재
342a - 결합부 350 - 구속수단
351 - 가이드 플레이트 352 - 탄성 고정체
353 - 구속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기존 단방향으로만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량하여 양방향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점차 보급되어 감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형(bar type) 단말기에서부터 플립형(flip type) 단말기,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 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들어 상기 폴더형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형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폴더형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 할 수 있는 형태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소정의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형태인 슬라이드형(slide type) 단말기 이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를 슬라이딩운동 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이 단방향의 운동만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변해가는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를 단말기의 길이방향 하측 또는 상측의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슬라이드 모듈을 개량함으로써, 변해가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슬라이드 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별화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며,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접촉면의 메인 바디에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상측 또는 하측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한조의 가이드 슬릿으로 구성되는 제 1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상면에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로 구성되는 제 2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슬라이드 바디와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에 나선이 구비된 원통체로 형성되며, 2개의 결합부가 한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반자동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적소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적소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1/2의 위치만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단방향으로의 개폐만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구속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구속수단은 슬라이드 부재의 밑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경로에 탄성 고정체를 구비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탄성 고정체와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속홈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메인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바디를 슬라이드 개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접촉면의 메인 바디에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상측 또는 하측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한조의 가이드 슬릿으로 구성되는 제 1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상면에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로 구성되는 제 2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슬라이드 바디와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에 나선이 구비된 원통체로 형성되며, 2개의 결합부가 한조를 이루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반자동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적소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적소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1/2의 위치만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단방향으로의 개폐만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구속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구속수단은 슬라이드 부재의 밑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경로에 탄성 고정체를 구비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탄성 고정체와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속홈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가 다른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는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 및, 상기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메인 바디(10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200)를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 2의 도시와 같이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가 완전히 겹쳐진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고, 도 3a의 도시와 같이 메인 바디(10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200)가 일측방향(단말기의 길이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 되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 3b의 도시와 같이 메인 바디(10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200)가 다른 일측방향(단말기의 길이 상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 되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메인 바디(100)는 전면에 각종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액정화면(111)이 장착되고, 상기 액정화면(111)의 상단 중앙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화부(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화면(111)의 하단측으로는 단말기의 각종 기능들을 활용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1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액정화면(111)은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이거나,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200)는 상기 메인 바디(100)상에서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면상에 각종 문자나 기호의 신호입력을 키패드(211)가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211)의 하단 중앙에는 음향신호를 입력하도록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화부(2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211)는 3×4배열의 배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는 상기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에 의해 일측 또는 다른 일측방향으로의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300)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바디와 슬라이드 바디 간의 동작을 위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모듈(300)은 메인 바디(100)의 슬라이드 바디(200)와 마주보는 면상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31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310) 상에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20)로 구분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3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에 구비되는 제 1가이드부(330)에 의해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가이드부(330)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조의 가이드 리브(331)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양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한조의 가이드 슬릿(3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가이드 슬릿(332)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320)의 가이드 리브(331)에 긴밀히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일측방향(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하측방향)으로의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3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수단(333)이 개제된다. 즉, 상기 탄성수단(333)은 메인 플레이트(320) 상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20)를 완전히 개방된 방향이나 또는 완전히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여 메인 플레이트(310)상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20) 의 개폐를 반자동 형태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탄성수단(333)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가 메인 플레이트(310)상에서 유동되는 1/2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수단(333)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3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 사이에 개재되면서, 일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310)의 적소에 형성되는 고정구멍(3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적소에 형성되는 고정구멍(32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경우 일정 위치에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타 탄성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20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상에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제 2가이드부(3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 2가이드부(34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형태의 가이드 홀(341)과, 상기 가이드 홀(341) 내에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디(200)와 결합되는 결합부(342a)를 상면에 구비하는 슬라이드 부재(3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42a)는 상기 가이드 홀(341) 내에서 원활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는 2개의 결합부(342a)가 한조를 이루며, 내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체결공(213)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도록 나선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342)는 상기 가이드 홀(341) 내에 삽입 설치되어 결합부(342a) 만이 가이드 홀(34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결합부(342a)는 슬라이드 바디(200)에 구비된 체결공(213)을 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200)와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바디(200)는 메인 바디(100)를 기준으로 다른 일측방향(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부(240)의 내부에는 소정의 구속수단(350)이 마련된다. 상기 구속수단(350)은 메인 바디(100)상에서 슬라이드 바디(200)의 구동시 단독방향으로만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슬라이드 바디(200)는 메인 바디(100)상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측 또는 다른 일측방향으로 각각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메인 플레이트(310) 상에 결합된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 상에 결합된 슬라이드 바디(200)가 동시에 구동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며 사용자의 선택방향을 따라서만 개방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속수단(350)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342)의 밑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342)의 이동 경로에 탄성 고정체(352)를 구비한 가이드 플레이트(351)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51)의 탄성 고정체(352)와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 플레이트(320)에 구비되는 구속홈(353)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탄성 고정체(35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51)상의 1/2 되는 지점에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342)가 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고정체(352)를 가압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310)에 구비된 구속홈(353)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200)는 일측 방향으로의 단방향 운동만이 가능하게 되고, 슬라이드 부재(342)가 폐쇄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20)가 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 고정체(352)가 슬라이드 부재(342)를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342)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200)는 다른 일측 방향으로의 단방향 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6a의 도시와 같이 메인 바디(100)와 슬라이드 바디(20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20)는 메인 바디(100)와 결합된 메인 플레이트(3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에 구비된 슬라이드 부재(342)는 가이드 홀(341)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200)를 일측방향(단말기의 길이 하측방향)으로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슬라이드 바디(200)에 힘을 작용하여 하측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200)를 하측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의 가이드 슬릿(332)이 메인 플레이트(310)의 가이드 리브(331)를 따라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200)가 개방된다. 이때, 상 기 슬라이드 바디(200)와 결합된 슬라이드 부재(342)는 구속수단(350)을 구성하는 탄성 고정체(352)가 슬라이드 부재(342)를 구속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바디(200)는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방향(단말기의 길이 하측방향)으로의 개방만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바디(200)를 다른 일측 방향(단말기의 길이 상측방향)으로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도 6a의 상태인 폐쇄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200)에 힘을 작용하여 상측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200)를 상측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0)와 결합된 슬라이드 부재(342)는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342)가 탄성 고정체(352)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 고정체(352)는 메인 플레이트(310)에 구비된 구속홈(353)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탄성 고정체(352)가 구속홈(353)으로 삽입되면, 상기 탄성 고정체(352)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20)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속홈(353)은 메인 플레이트(31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20)는 메인 플레이트(310)에 구속이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342)가 결합된 슬라이드 바디(200)는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일측방향(단말기의 길이 상측방향)으로의 개방만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인 슬라이드 모듈은 동일한 개념으로 전자수첩, 전자사전, PDA, 노트북 등의 모든 전자제품의 개폐방식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를 양측방향으로 개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하여 다양한 부가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변해가는 사용자의 기호에 부응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8)

  1. 삭제
  2.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며,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가 구비된 슬라이드 바디;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접촉면 메인 바디에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드모듈은,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한조의 가이드 슬릿으로 구성되는 제 1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상면에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로 구성되는 제 2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슬라이드 바디와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에 나선이 구비된 원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2개의 결합부가 한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반자동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적소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 이트의 적소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1/2의 위치만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단방향으로의 개폐만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구속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슬라이드 부재의 밑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경로에 탄성 고정체를 구비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탄성 고정체와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속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0. 삭제
  11. 메인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바디를 슬라이드 개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접촉면 메인 바디에 장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한조의 가이드 슬릿으로 구성되는 제 1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삽입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상면에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로 구성되는 제 2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슬라이드 바디와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내주면에 나선이 구비된 원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2개의 결합부가 한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반자동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적소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적소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서 1/2의 위치만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단방향으로의 개폐만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구속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슬라이드 부재의 밑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경로에 탄성 고정체를 구비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탄성 고정체와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속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KR1020050035207A 2005-04-27 2005-04-27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69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207A KR100692774B1 (ko) 2005-04-27 2005-04-27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207A KR100692774B1 (ko) 2005-04-27 2005-04-27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085A KR20060114085A (ko) 2006-11-06
KR100692774B1 true KR100692774B1 (ko) 2007-03-12

Family

ID=3765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2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2774B1 (ko) 2005-04-27 2005-04-27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416B1 (ko) * 2006-11-22 2008-09-08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2축 슬라이딩장치
KR100796719B1 (ko) * 2006-12-01 2008-01-21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866391B1 (ko) * 2007-11-21 2008-11-03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285A (ja) 2002-08-05 2004-03-04 Nec Corp 携帯電話機
KR200367296Y1 (ko) 2004-08-06 2004-11-09 김정호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0098979A (ko) * 2003-05-16 200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09412A (ko) * 2003-07-16 2005-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08726B1 (ko) 2003-12-0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285A (ja) 2002-08-05 2004-03-04 Nec Corp 携帯電話機
KR20040098979A (ko) * 2003-05-16 200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09412A (ko) * 2003-07-16 2005-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08726B1 (ko) 2003-12-0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200367296Y1 (ko) 2004-08-06 2004-11-09 김정호 세면대용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085A (ko) 2006-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0429B2 (en) Mobile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US8466876B2 (en) Terminal
CN100429910C (zh) 用于折叠式便携电话中折叠器的可替换滑动盖元件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20030058623A (ko)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KR20030816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692774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9473B1 (ko) 스윙형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KR100866945B1 (ko)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KR2017014259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200319967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378120B1 (ko) 폴더형 휴대폰
KR200601225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271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36311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77381B1 (ko)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KR20090013365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774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56443A (ko) 확장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044888B1 (ko) 키패드 유동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46143B1 (ko) 회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20010066462A (ko) 슬라이딩 액정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20040107609A (ko)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52765B1 (ko) 이동 단말기의 경사 키버튼 장치
JP2009089253A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