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8928B1 -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 - Google Patents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928B1
KR100688928B1 KR1020047020405A KR20047020405A KR100688928B1 KR 100688928 B1 KR100688928 B1 KR 100688928B1 KR 1020047020405 A KR1020047020405 A KR 1020047020405A KR 20047020405 A KR20047020405 A KR 20047020405A KR 100688928 B1 KR100688928 B1 KR 10068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eukin
lactoperoxidase
production
present
dise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774A (ko
Inventor
기미야스 시라키
마사히코 구로카와
요시타카 다무라
고지 야마우치
히로유키 와카바야시
고이치로 신
Original Assignee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9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11/00Oxidoreductases acting on a peroxide as acceptor (1.11)
    • C12Y111/01Peroxidases (1.11.1)
    • C12Y111/01007Peroxidase (1.11.1.7), i.e. horseradish-peroxid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4Oxidoreductases (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락토퍼옥시다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를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 예를 들면 혈소판 과다증, 골수종, 캐슬만씨병, 류마티스 관절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등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 등으로서 사용한다.
락토퍼옥시다제, 인터류킨-6, 캐슬만씨병, 심장점액종, 사구체신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Description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 {Interleukin 6 production inhibitor}
본 발명은 락토퍼옥시다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인터류킨-6의 이상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 및 음식품 및 사료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이다.
염증 반응은 여러 가지 침습으로 야기되는 조직 손상에 대한 일종의 생체 방어 반응이지만, 이의 특징으로서 발적, 종창, 발열, 동통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생체내 활성물질에는, 히스타민, 세로토닌,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염증성 매개체나, 백혈구를 비롯한 여러 가지 세포가 생성하는 인터류킨-1, 인터류킨-6, 인터류킨-8, 종양괴사인자(TNF) 등의 소위 염증성 사이토킨을 들 수 있다[참조: 狩野 庄吾(소데노 쇼고), 宮坂 信之(미야사카 노부유키), 湊長 博(미나토나가 히로시) 편, 「임상면역학」, 아사쿠라쇼텐, 1997년, p.73-77].
인터류킨-6은 18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분자량 21 내지 28kDa의 폴리펩티드성의 사이토킨이다. 인터류킨-6은 리보폴리사카라이드, 인터류킨-1, TNF 등의 염증 위치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자극물질에 의해서 혈관내피세포, T 림프구, B 림프구, 단핵구, 마크로파지 등 폭넓은 종류의 세포로부터 생성된다. 인터류킨-6의 생물학적 작용으로서는, 급성기 염증성 단백질의 합성촉진, B 세포로부터의 항체 생성 유도, T 림프구의 활성화 등의 중요한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한편으로, 인터류킨-6의 생성 이상은 여러 가지 면역 이상증, 염증성 질환, 림프계 종양의 발병과 깊게 관계하고 있는 것으로 시사되어 있다[참조: 松村 正責(마츠무라 마사미)편, 「분자세포 생물학 사전」, 동경화학동인, 1997년, p.90].
이에 대해, 인터류킨-6의 작용을 저해하는 인터류킨-6 항체나, 인터류킨-6 수용체 항체는,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자기면역질환, 건선, 심방내 점액종, 혈관간 증식성 신염, 캐슬만씨 증후군(Castleman syndrome), AIDS, 다발성 골수종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대한 유효성이 기대되고 있으며(참조:「임상면역학」, 아사쿠라쇼텐, 1997년, p.73-77), 이미 인터류킨-6 수용체에 대한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치료제(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169846호), 및 배양 포유류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인터류킨-6 억제 조성물(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99996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카라게난 투여로 흉막염을 유도한 래트에 항염증제인 인도메타신을 투여하면, 흉막염의 염증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어, 복강 삼출액중의 인터류킨-6이 억제되는 것이 밝혀져 있다(참조:「약학잡지」, 제120권, 2000년, p.455-462).
현재까지, 젖중의 단백질에 의한 인터류킨-6에 대한 관여에 관해서는, 락토페린에 의한 대장균 요로 감염 마우스의 뇨중 인터류킨-6 농도의 억제작용(참조: Infection and Immunity, America, Vol.68, 2000년, p.5816-5823), 및 발효유 또는 이의 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 생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9124호)가 각각 개시되어 있다.
유단백질의 일종인 락토퍼옥시다제는 포유류의 유즙을 비롯하여, 타액, 누액, 기도점액 등의 분비액에도 함유되는 산화환원 효소이며(참조: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merica, Vol.166, 2002년, p.S57-S61), 공업적으로는 우유로부터 대량으로 정제된다(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41981호).
락토퍼옥시다제에는 항균성, 항바이러스 활성, 항산화 활성, 항암작용, 면역조절작용 등의 다양한 생물기능이 보고되어 있다(참조: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America, Vol.11, 2000년, p.94-102; Life Sciences, America, Vol.43, 1988년, p.739-745; Life Sciences, America, Vol.47, 1990년, p.703-709; Journal of Dairy Research, United kingdom, Vol.63, 1996년, p.257-267; Journal of Dairy Research, United kingdom, Vol.64, 1997년, p.281-288; Veterinary Immunology and Immunopathology, Netherlands, Vol.56, 1997년, p.85-96). 또한, 헬리코박터파이로리 감염의 치료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락토퍼옥시다제, 퍼옥시드 제공자(donor) 및 티오시아네이트의 사용(참조: 일본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00-509367호), 양식 수생동물의 배합 사료에 첨가되는 병원균 감염 예방 및 치료제(참조: 일본 특허 제3103615호), 노화 방지제(참조: 일본 특허 제3103167호), 간 기능 개선제(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26289호), 퍼옥시다제의 예방 및 치료에의 응용(참조: 일본 국제공개특허공보 제(평)6-501453호), 각막 장해 치료제(참조: 일본 특허 제2840795호) 등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퍼옥시다제, 티오시안산 및 과산화수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레아제 불활성화 조성물(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38554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에 이를 때까지 염증성 사이토킨의 일종인 인터류킨-6 생성에 미치는 락토퍼옥시다제의 효과에 관한 기존의 기술은 일체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배경기술을 감안하여,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일상적으로 장기복용이 가능한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에 관한 단백질 등의 식품소재를 중심으로 예의 탐색을 거듭한 결과, 유단백질인 락토퍼옥시다제가 인터류킨-6 생성 억제 작용을 가짐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그 결과, 락토퍼옥시다제의 사용에 의해,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감염증이나 염증성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락토퍼옥시다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이다.
상기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의 바람직한 형태는,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의 의약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음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락토퍼옥시다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락토퍼옥시다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각각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으로서는, 혈소판 과다증, 골수종, 캐슬만씨병, 심장점액종,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관절염, 패혈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하고, 염가로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터류킨-6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고,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효한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과 상기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 중, 본 발명과 관련성이 높은 기술은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즉,
(1)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169846호]에 기재된 인터류킨-6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 치료제의 유효성분은, 인터류킨-6 수용체의 항체이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락토퍼옥시다제와는 상이하다.
(2)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99996호]에 기재된 인터류킨-6 억제활성을 갖는 조성물은, 분자량 10 또는 44kDa이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락토퍼옥시다제의 분자량 80kDa과는 상이하며, 상기 공보에는 락토퍼옥시다제에 관해서 일체 기재되어 있지 않다.
(3) 문헌[참조: Infection and Immunity, America, Vol.68, 2000년, p.5816-5823]에는, 락토페린에 의한 대장균 요로 감염 마우스의 뇨중 인터류킨-6 농도의 억제작용이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락토퍼옥시다제와는 상이하며, 상기 문헌에는 락토퍼옥시다제에 관해서 일체 기재되어 있지 않다.
(4)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9124호]에는, 발효유 또는 이의 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 생성능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당해 유효성분인 발효유의 원료로서는 동물 젖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락토퍼옥시다제에 관해서는 일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발효유에 인터류킨-6 생성능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있었다고 해도, 그것만으로는 락토퍼옥시다제에 의한 인터류킨-6 생성억제 효과를 도출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백분률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에 의한 표시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락토퍼옥시다제는 사람, 소, 말, 양, 염소 등의 젖 등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41981 호(발명의 명칭: 생균 함유액형 조성물)]에 개시된 방법과 같이, 젖 등 가열하지 않은 유장(whey) 또는 탈지유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예를 들면,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따라서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시판중인 천연물 유래의 락토퍼옥시다제(참조: 바이오폴사 제조 등), 또는 재조합형 락토퍼옥시다제[참조: 신 등의 방법(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271, 2000년, p.831-836)에 의해서 발현·정제된 재조합형 락토퍼옥시다제, 또는 시판중인 재조합형 락토퍼옥시다제](참조: 바이오폴사 제조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락토퍼옥시다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락토퍼옥시다제의 변이체도 포함한다. 변이체로서 구체적으로는, EMBL-Accession No.: M58150 또는 서열번호 1이나, EMBL-Accession No.: AY324876, EMBL-Accession No.: AF027970 등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이 치환, 결실 또는 부가된 서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을 갖는 단백질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수개란, 2 내지 5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이다. 또한, 변이체로서는, EMBL-Accession No.: M58150 또는 서열번호 1이나, EMBL-Accession No.: AY324876, EMBL-Accession No.: AF027970 등의 아미노산 서열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상동인 서열을 갖는 단백질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락토퍼옥시다제 변이체에 관해서는, 인터류킨-6의 생성 억제 작용이 유지되며, 또한 사람에 대한 항원성이 가능한 한 낮아지도록 변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락토퍼옥시다제 변이체는, 야생형 락토퍼옥시다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PCR법 등에 의해 변형시킨 유전자를 공지된 발현계에서 발현시켜, 수득된 단백질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 작용을 측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야생형 락토퍼옥시다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도입된 미생물 등을,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변형 처리하여, 수득된 미생물로부터 락토퍼옥시다제 변이체를 정제하여, 인터류킨-6 생성 억제 작용을 측정함으로써도 수득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변이체」란, 반드시 야생형을 변형함으로써 제작된 것일 필요는 없으며, 천연에 존재하는 변이체라도 양호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락토퍼옥시다제를 음식품이나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아미노산이 치환, 결실 또는 부가되어 있지 않은 야생형의 락토퍼옥시다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토퍼옥시다제는, 인터류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이하, 「본 발명의 억제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성분」이란, 인터류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성분을 의미하며, 락토퍼옥시다제가 본 발명의 억제제의 주성분일 필요는 없으며, 또한, 본 발명의 억제제에는 락토퍼옥시다제 이외에 인터류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양호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억제제에는 락토퍼옥시다제 이외에 인터류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성분이나, 젖중의 기타 유용한 단백질인 카제인이나 α-락토알부민, β-락토글로불린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는 락토퍼옥시다제 이외에, 락토퍼옥시다제의 부분 펩티드, 또는 락토퍼옥시다제의 가수분해 혼합물(펩티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도 양호하다. 또한, 인터류킨-6 생성 억제 작용을 갖는 락토퍼옥시다제의 부분 펩티드, 또는 락토퍼옥시다제의 가수분해 혼합물(펩티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는, 생체내에서 생성되는 염증성 사이토킨의 일종인 인터류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억제제는 의약, 예를 들면 인터류킨-6의 생성억제를 통해 혈소판 과다증, 골수종, 캐슬만씨병, 심장점액종,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관절염, 패혈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등의 각종 감염증이나 염증성 질환의 증상 완화 작용을 갖는 의약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억제제는 인터류킨-6의 이상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의 사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는, 이의 유효성분이 유단백질 등의 식품소재에 포함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음식품에 함유시킨 조성물로서 일상적으로 경구 섭취함으로써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가 발휘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의약 조성물, 음식품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억제제의 일 형태는, 락토퍼옥시다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타 형태는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 에 있어서, 락토퍼옥시다제의 용도이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억제제는,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상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 투여된다. 또한, 기타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억제제는 음식품 조성물 원료 또는 사료 조성물 원료에 첨가되어, 음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을 구성한다.
상기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으로서는, 혈소판 과다증, 골수종, 캐슬만씨병, 심장점액종,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관절염, 패혈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등의 각종 감염증이나 염증성 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억제제는 락토퍼옥시다제 그 자체라도 양호하며, 락토퍼옥시다제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도 양호하다. 락토퍼옥시다제 이외의 성분은, 섭취 형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락토퍼옥시다제 분말이나 락토퍼옥시다제 수용액(시럽 등) 등을 본 발명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로서 배합하여 각종 음식품을 조제하는 것도 양호하다.
의약 조성물은, 예를 들면, 락토퍼옥시다제를 약학적으로 허용되어 수득되는 부형제 이외의 임의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제제화한 락토퍼옥시다제는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제화하는 경우, 제제중의 락토퍼옥시다제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0.001 내지 20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질량%이다. 제제화에 있어서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윤활제, 안정제, 향미제, 희석제, 주사제용 용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사카로즈, 글루코스, 만니톨, 소르비트 등의 당 유도체;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α-전분, 덱스트린, 카복시메틸 전분 등의 전분 유도체; 결정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아라비아 검; 덱스트란; 플루란; 경질무수규산, 합성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민산 마그네슘 등의 규산염 유도체; 인산칼슘 등의 인산염 유도체; 탄산칼슘 등의 탄산염 유도체; 황산칼슘 등의 황산염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부형제 이외에, 젤라틴; 폴리비닐 피롤리돈; 마그로골 등을 들 수 있으며,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부형제 이외에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카복시메틸 전분 나트륨, 가교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화학 변형된 전분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예를 들면, 활석;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의 스테아르산 금속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비검(Veegum), 경랍 등의 왁스류; 붕산; 글리콜; 푸마르산, 아디프산 등의 카복실산류; 벤조산나트륨 등의 카복실산 나트륨염; 황산나트륨 등의 황산류염; 류신;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마그네슘 등의 라우릴 황산염; 무수규산, 규산수화물 등의 규산류; 전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의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콜, 페닐에틸 알콜 등의 알콜류; 염화벤즈알코늄; 무수 아세트산; 소르브산 등을 들 수 있으며, 향미제로서는, 예를 들면, 감미료, 산미료, 향료 등을 들 수 있으며, 주사제용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의약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서는, 예를 들면, 경구 투여, 경장 투여 등의 비경구 투여를 들 수 있으며, 의약 조성물의 투여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무제, 캡슐제, 정제, 과립제, 시럽제, 유제, 좌제, 주사제, 연고, 테이프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는, 음식품, 사료 등에 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목적으로 하는 작용효과, 투여방법, 치료기간, 연령, 체중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투여량은 성인 1일당 통상적으로 10mg 내지 10g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투여횟수는 1일 1회에서 수회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투여기간으로서는 7일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락토퍼옥시다제를 배합한 음식품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락토퍼옥시다제 분말이나 락토퍼옥시다제 수용액(시럽 등) 등을 본 발명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로서 배합한 청량음료, 유음료 등 또는 이러한 음료의 농축원액 및 조정용 분말; 가공유, 발효유 등의 유제품; 경장 영양식; 기능성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음식품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정제형의 보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1일당 식사량 및 섭취 칼로리를 기타 식품의 섭취량을 고려하여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유효성분의 섭취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음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은, 이하에 나타내는 질환의 예방용 또는 치료용으로서의 효능을 표시한 음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즉,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 예를 들면 혈소판 과다증, 골수종, 캐슬만씨병, 심장점액종,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관절염, 패혈증,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등의 예방용 또는 치료용임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란, 상기 효능을 수요자에게 알리는 행위를 의미하여,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음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의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광고 등에 상기 효능을 부착하는 행위, 부착한 것을 양도, 인도, 전시하는 행위 등이 있으나, 특히 특정 보건용 식품〔건강증진법 시행규칙(평성 15년 4월 30일, 일본국 후생노동부령 제86호)의 제12조 제1항 제5호 참조〕으로서 표시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토퍼옥시다제에 의한 인터류킨-6 생성 억제 작용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 및 포유동물에 있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서 인터류킨-6의 생성이 유도된다고 하는 보고〔Journal of Medical Virology, America, Vol.64, 2001년, p.262-268; Circulation, America, Vol.103, 2001년, p.2283-2288〕에 근거하여, 인플루엔자 감염 모델 마우스에 의한 인터류킨-6의 생성 유도에 대한 락토퍼옥시다제의 효과〔인터류킨-6 생성 억제 작용, 염증 세포수 억제 작용, 폐 경화 (폐렴증의 중증도) 억제효과〕로서 검토하였다. 상세한 것은, 후기하는 시험예의 방법에 따랐다.
다음에 시험예를 게시하여 본 발명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예 1]
본 시험은 바이러스 감염에 수반하는 염증에 의해서 생성된 인터류킨-6, 염증 세포수 및 폐 경화의 중증도에 대한 락토퍼옥시다제에 의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시료의 조제
락토퍼옥시다제(참조: 바이오폴사 제조)를, 12.5질량%의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여 시험시료를 조제하였다. 대조시료에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2) 시험방법
a) 시료의 투여
7주된 BALB/C 암컷 마우스(일본 SLC사로부터 구입) 합계 12마리를, 분식 방지 네트를 설치한 케이지에 넣고, 표준 고형 사료(참조: 일본 쿠레아사 제조)와 식수로 1주 동안 순화 사육하였다. 다음에, 상기 마우스를 6마리씩 2군으로 나누고, 그 중 1군에 대조시료 0.5ml를 급식관으로 경구 투여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나머지 1군에는 시험시료 0.5ml를 급식관으로 경구 투여하여 시험군으로 하였다. 이러한 경구 투여는 바이러스 감염 1일 전부터 개시하고, 투여 개시로부터 7일간, 하루 일회씩 연일 투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일(시료 투여 개시후 2일째)에, 모든 마우스에 대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PR/8/34(H1N1)주 66OPFU (PFU: 플라크 형성 단위)를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 10㎕를 마취하에서 경비적으로 접종하였다. 감염 6일 후(시료 투여 종료일)에 마우스를 해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각종 측정 샘플을 회수하였다.
b) 측정 샘플의 회수
시료 투여 종료후 마우스를 마취하에서 안와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 샘플을 회수하였다. 또한, 해부 기도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1ml의 혈청 무첨가 이글 MEM 배지(참조: 닛스이세야쿠사 제조)를 주사기로 주입한 후, 동일한 주사기내로 액을 회수하였다. 동일한 주입과 회수를 추가로 2회 반복하여, 총 3회분의 기관지 폐포 세정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기관지 폐포 세정액을 1000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세포 분획과 상층액으로 분리하였다. 세포 분획은 염증 세포 샘플로 하며, 상층액은 기관지 폐포 세정액 상층 샘플로 하였다. 또한, 해부한 마우스로부터 폐를 회수하여, 폐 경화 샘플로 하였다.
c) 인터류킨-6 농도의 측정
상기 혈청 샘플 및 기관지 폐포 세정액 샘플 중의 인터류킨-6의 농도를 ELISA 법에 의해 측정하여, 1군 6마리의 측정치를 평균화하였다.
d) 염증 세포수의 측정
상기 염증 세포 샘플에 관해서 세포수 측정장치(참조: 니혼코덴사 제조)를 사용하여 염증 세포수를 측정하여, 1군 6마리의 측정치를 평균화하였다.
e) 폐 경화의 중증도의 수치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염증의 지표인 경화의 중증도는, 긴즈버그 등의 방법[참조: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America, Vol.95, 1952년, p.135-145]에 따라서, 0(경화 없음)에서 10(중증의 경화)으로 수치화하고, 1군 6마리의 측정치를 평균화하였다.
(3) 시험결과
본 시험의 결과를 표 1,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표 1은, 혈청 샘플 및 기관지 폐포 세정액 상층 샘플 중의 인터류킨-6 농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표 2는 기관지 폐포 세정액중의 염증 세포수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표 3은 폐 경화 수치를 나타낸다.
그 결과, 표 1로부터 밝혀지는 바와 같이, 바이러스 감염 마우스에게 락토퍼옥시다제를 투여함으로써, 혈청 샘플 및 기관지 폐포 세정액 상층 샘플중의 인터류킨-6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표 2로부터 밝혀지는 바와 같이, 기관지 폐포 세정액중의 염증 세포수는 락토퍼옥시다제를 투여함으로써 감소하였기 때문에, 락토퍼옥시다제에 의한 염증성 세포의 삼출을 억제하는 효과도 확인되었다.
더욱이, 표 3으로부터 밝혀지는 바와 같이, 폐 경화 수치는 대조군에서는 5.0인데 반하여, 락토퍼옥시다제를 투여한 시험군에서는 1.8로 저하되어, 락토퍼옥시다제에 의한 폐의 염증 억제 효과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락토퍼옥시다제는 생체 내에서 인터류킨-6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며, 이의 효과에 따라 염증성 세포의 삼출을 억제하는 작용 및 폐의 염증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기관지 폐포 세정액의 상층액 중의 바이러스량에 관해서, MDCK 세포를 사용한 플라크법[참조: Journal of General Virology, United kingdom, Vol.71, 1990년, p.2149-2155]에 의해서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시험군 사이에서 바이러스량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락토퍼옥시다제는 생체내에서 직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인터류킨-6 농도 (pg/㎖)
혈청 샘플 기관지 폐포 세정액 상층 샘플
시험군 59 998
대조군 198 4358
염증 세포수 (×105 개/㎖)
시험군 4.6
대조군 9.6
폐 경화 수치
시험군 1.8
대조군 5.0
다음에 실시예를 게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음 조성의 인터류킨-6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주사제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락토퍼옥시다제(참조: 바이오폴사 제조) 2.0(%)
악티노마이신D(참조: 시그마사 제조) 0.005
염화나트륨(참조: 와코쥰야쿠사 제조) 0.9
만니톨(칸토카가쿠사 제조) 1.0
주사용 증류수(오오쓰카세야쿠사 제조) 96.095
실시예 2
유당(참조: 메그레사 제조) 6O0g, 옥수수 전분(참조: 닛세이세이훈사 제조) 400g, 결정 셀룰로스(참조: 와코쥰야쿠고교사 제조) 400g 및 락토퍼옥시다제 600g를 50메쉬의 체(참조: 야마토카가쿠사 제조)로 쳐서 분리하고, 두께 0.5 mm의 폴리에틸렌제의 주머니에 넣어 전도(轉倒) 혼합하고, 전자동 캡슐 충전기(참조: 세세레 페디니사 제조. 프레스식)을 사용하여, 상기 분말을 캡슐(니혼에란코사 제조. 1호 젤라틴 캡슐, 0p. Yellow No.6 Body, 공중량 75mg)에 내부용량 275mg로 충전하고, 인터류킨-6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캡슐제 7,000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유장 단백질 효소 분해물(참조: 모리나가뉴교사 제조) 10.8kg, 덱스트린(참조: 쇼와산교사 제조) 36kg, 및 소량의 수용성 비타민과 미네랄을 물 200kg에 용해하여, 수상을 탱크내에 조제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대두 샐러드유(참조: 타이요유시사 제조) 3kg, 팜유(참조: 타이요유시사 제조) 8.5kg, 홍화유(참조: 타이요유시사 제조) 2.5kg, 레시틴(참조: 아지노모토사 제조) 0.2kg,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참조: 카오사 제조) 0.2kg, 및 소량의 지용성 비타민을 혼합 용해하여, 오일상을 조제하였다. 탱크내의 수상에 오일상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후, 70℃로 가온하며, 추가로 균질기에 의해 14.7MPa의 압력으로 균질화하였다. 이어서, 90℃에서 10분 동안 살균한 후, 농축하여, 분무건조시켜 중간제품 분말 약 59kg을 조제하였다. 이러한 중간제품 분말 50kg에 사카로즈(참조: 호크렌사 제조) 6.8kg, 아미노산 혼합분말(참조: 아지노모토사 제조) 167g 및 락토퍼옥시다제(참조: 바이오폴사 제조) 60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인 락토퍼옥시다제를 함유하는 경장 영양식 분말 약 56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락토퍼옥시다제(참조: 바이오폴사 제조) 150g, 락툴로스 분말(참조: 모리나가뉴교사 제조) 100g, 말토덱스트린(참조: 마츠타니카가쿠고교사 제조) 635g, 탈지분유(참조: 모리나가뉴교사 제조) 85g, 스테비아 감미료(참조: 산에이겐 FFI사 제조) 1g, 요구르트·플레이버(참조: 산에이겐 FFI사 제조) 5g,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제제(참조: 리켄비타민사 제조) 24g의 각 분말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타정기(참조: 하타텟코쇼사 제조)를 사용하여, 정제 1정당 0.5g으로 하고, 12정/분의 타정속도, 9.8KPa의 압력으로 상기 혼합분말을 연속적으로 타정하여,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인 락토퍼옥시다제를 함유하는 정제 1,800정(약 900g)을 제조하였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락토퍼옥시다제를 유효성분으로 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와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류킨-6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를 갖는다.
(3) 젖 등의 원료로부터 염가로 대량 제조할 수 있다.
(4) 사람에 대해 안전성이 높고,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용 또는 치료용임을 표시한 음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9)

  1. 락토퍼옥시다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터류킨-6의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인 혈소판 과다증, 골수종, 캐슬만씨병, 심장점액종, 사구체신염, 류마티스 관절염, 패혈증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인 폐 경화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사료 조성물.
KR1020047020405A 2003-02-24 2003-11-25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5509 2003-02-24
JPJP-P-2003-00045509 2003-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774A KR20050044774A (ko) 2005-05-12
KR100688928B1 true KR100688928B1 (ko) 2007-03-02

Family

ID=3290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4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928B1 (ko) 2003-02-24 2003-11-25 인터류킨-6 생성 억제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282202B2 (ko)
EP (1) EP1598076A4 (ko)
JP (1) JP3738268B2 (ko)
KR (1) KR100688928B1 (ko)
CN (1) CN1311870C (ko)
AU (1) AU2003284678B2 (ko)
CA (1) CA2489208C (ko)
NZ (1) NZ537089A (ko)
WO (1) WO2004073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8076A4 (en) * 2003-02-24 2008-07-09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INTERLEUKIN 6 MANUFACTURER
EP1980264B1 (en) 2006-01-20 2015-07-15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od or drink, or feed for intestinal disease
JP2007223910A (ja) * 2006-02-21 2007-09-0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抗炎症剤
KR100721703B1 (ko) * 2006-06-29 2007-05-25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736159B1 (ko) * 2006-06-29 2007-07-06 주식회사 알앤엘바이오 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JP2008189637A (ja) * 2007-02-08 2008-08-21 Snow Brand Milk Prod Co Ltd 自己免疫疾患予防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5479A1 (fr) 1984-07-25 1986-02-12 Oleofina Sa Compositions antibacteriennes de nourriture pour animaux et procede pour les preparer
US6020015A (en) * 1988-09-22 2000-02-01 Gaull; Gerald E. Infant formula compositions and nutrition containing genetically engineered human milk proteins
DE3834636A1 (de) 1988-10-11 1990-04-19 Max Planck Gesellschaft Verfahren zur analyse von laengenpolymorphismen in dna-bereichen
JPH03218318A (ja) * 1989-11-02 1991-09-25 Chugai Pharmaceut Co Ltd ロタウイルス感染症治療剤の製法
DE69033553T2 (de) * 1989-11-03 2001-01-18 Incyte Pharmaceuticals, Inc. Rekombinante herstellung von laktoperoxidase
GB9015910D0 (en) 1990-07-19 1990-09-05 Univ Bruxelles Novel use
DK0579830T3 (da) * 1990-11-13 1997-08-18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Terapeutisk middel til hornhindebeskadigelse
JP3103615B2 (ja) 1991-05-13 2000-10-30 株式会社イムノ・ジャパン 養殖水生動物の配合飼料に添加される病原菌感染予防及び治療剤
JP3510639B2 (ja) 1991-06-28 2004-03-29 カルピス株式会社 インターロイキン産生能を調節する機能を持たせた機能性食品又は健康食品
JP3103167B2 (ja) 1991-10-30 2000-10-23 雪印乳業株式会社 老化防止剤
CA2148907C (en) * 1992-12-29 2008-07-08 Rebecca H. R. War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with ifn-gamma inhibitors
EP1884524A3 (en) * 1994-10-21 2008-06-25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IL-6 production
SE506529C2 (sv) 1996-01-23 1997-12-22 Semper Ab Användning av ett laktoperoxidassystem för framställning av ett läkemedel mot Helicobacter pylori
ES2138561B1 (es) 1998-04-17 2000-07-01 Univ Madrid Complutense Uso de los peptidos vip y pacap en el tratamiento del shock endotoxico en mamiferos.
JP4679687B2 (ja) * 2000-02-16 2011-04-27 雪印乳業株式会社 肝機能改善剤
JP4382295B2 (ja) 2001-02-15 2009-12-09 森永乳業株式会社 ウレアーゼ不活性化組成物及び飲食品
AU2001286171B2 (en) * 2001-05-25 2008-01-10 Serono Genetics Institute S.A. Human CDNAs and proteins and uses thereof
EP1598076A4 (en) * 2003-02-24 2008-07-09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INTERLEUKIN 6 MANUFACTUR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37089A (en) 2007-07-27
AU2003284678B2 (en) 2006-02-23
CA2489208A1 (en) 2004-09-02
WO2004073733A1 (ja) 2004-09-02
US20080160005A1 (en) 2008-07-03
AU2003284678A1 (en) 2004-09-09
CN1691959A (zh) 2005-11-02
JPWO2004073733A1 (ja) 2006-06-01
CA2489208C (en) 2012-11-06
US20050249715A1 (en) 2005-11-10
EP1598076A4 (en) 2008-07-09
JP3738268B2 (ja) 2006-01-25
KR20050044774A (ko) 2005-05-12
EP1598076A1 (en) 2005-11-23
US7731955B2 (en) 2010-06-08
US7282202B2 (en) 2007-10-16
CN1311870C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242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od or drink, or feed for intestinal disease
JP5715117B2 (ja) 摂食障害治療剤
US7731955B2 (en) Interleukin-6 suppressive agent
JPWO2019168149A1 (ja) 認知機能を改善するペプチド
CN1446099A (zh) B型慢性肝炎治疗剂
KR102619071B1 (ko) 돼지 g-csf 변이체 및 그 용도
JP2004083487A (ja) 抗ウイルス組成物及びウイルス感染症予防・治療用組成物
JP2004256395A (ja) 白血球遊走能調節剤
US10292969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ronchial asthma comprising PKR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TW202417462A (zh) 免疫調節用組成物
KR102015525B1 (ko) 단백질 키나제 c 저해제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WO2006095433A1 (ja) ウシの消化器疾患治療剤
Yunhui et al. Immunoregulatory Peptide Kwh2 Mitigates Bacterial-Induced Diarrhea Via Gsk-3β/Myc Signaling Axis: Targeting Glucose Homeostasis and Intestinal Barrier
JP2010189448A (ja) ウシの消化器疾患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