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816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166B1
KR100688166B1 KR1020040104373A KR20040104373A KR100688166B1 KR 100688166 B1 KR100688166 B1 KR 100688166B1 KR 1020040104373 A KR1020040104373 A KR 1020040104373A KR 20040104373 A KR20040104373 A KR 20040104373A KR 100688166 B1 KR100688166 B1 KR 10068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suction
evaporator
conden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885A (ko
Inventor
황윤제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166B1/ko
Priority to EP05026969A priority patent/EP1669686A3/en
Priority to CNA2005101297904A priority patent/CN1808022A/zh
Priority to US11/298,531 priority patent/US7555915B2/en
Publication of KR2006006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1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6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기체 상태의 토출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응축시키는 보조응축수단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압축기로 직접 순환되도록 형성된 순환유로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 중 나머지가 상기 가압수단 및 상기 보조 응축수단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의 증발압력을 상승시키고,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흡입냉매의 응축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의 흡,토출 압력차가 저감되어 압축부하가 감소되고,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압축기, 압축부하, 소비전력, 효율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압축기 52: 응축기
54: 팽창기구 56: 증발기
58: 실외 팬 60: 실외 모터
62: 실내 팬 64: 실내 모터
66: 제 1열교환기 68: 제 2열교환기
70: 압축기 흡입유로 72: 순환유로
74: 바이패스 유로 76: 압축기 토출유로
78: 응축기 토출유로 80: 압력조절밸브
82: 역류방지수단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의 흡,토출 압력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이 저감되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로서,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가열 또는 냉각시켜 실내로 다시 토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와,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열을 방출하면서 상기 압축기(2)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액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4)와, 상기 응축기(4)에 의해 응축된 액냉매를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기구(6)와,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 하여 상기 팽창기구(6)로부터 유입된 2상 냉매를 기체 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4)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4)쪽으로 공기를 송풍하여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키는 실외 팬(10) 및 모터(12)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실내의 공기를 송풍하는 실내 팬(14) 및 모터(16)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2)가 온되면, 상기 압축기(2)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고,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응축기(4)를 통과하면서 실외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된다.
그리고,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기구(6)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되고,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8)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되며, 증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2)로 순환되고, 이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8)에서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2)에서 흡입압력과 토출압력의 차이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온도에 따라 정해지는 데, 상기 흡입압력과 토출압력의 차이가 클수록 압축기의 소비전력이 증대되어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기의 흡입압력과 토출압력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압축기의 소비전력을 저감시켜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기체 상태의 토출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응축시키는 보조응축수단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압축기로 직접 순환되도록 형성된 순환유로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 중 나머지가 상기 가압수단 및 상기 보조 응축수단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50)와, 상기 압축기(50)로부터 나온 기체 상태의 토출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52)와, 상기 응축기(52)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54)와, 상기 팽창기구(54)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56)와, 상기 증발기(56)와 압축기(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5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50)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응축시키는 보조응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56)의 측면에는 실외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52)쪽으로 송풍하여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키는 실외 팬(58) 및 모터(60)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56)의 측면에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56)쪽으로 송풍하는 실내 팬(62) 및 모터(64)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증발기(56)로부터 나와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상기 응축기(52)로부터 나온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 1열교환기(66)이고, 상기 보조 응축수단은 상기 압축기(50)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상기 제 1열교환기(66)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 2열교환기(68)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열교환기(66)는 상기 증발기(56)로부터 나온 냉매가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압축기 흡입유로(70)와, 상기 응축기(52)로부터 토출된 응축냉매가 상기 팽창기구(54)로 흡입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응축기 토출유로(78)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열교환기(66)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가 유입되도록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70)가 관통되고, 타측에는 상기 응축기(52)로부터 나온 응축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 토출유로(78)가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열교환기(68)는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70)와, 상기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토출냉매가 상기 응축기(52)로 유입되어 순환되도록 형성된 압축기 토출유로(76)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 2열교환기(68)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가 유입되도록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70)가 관통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토출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 토출유로(76)가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70)는 상기 증발기(56)로부터 나온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압축기(50)로 직접 순환되도록 형성된 순환유로(72)와, 상기 증발기(56)로부터 나온 냉매 중 나머지가 상기 제 1열교환기(66)와 제 2열교환기(68)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유로(72)상에서 상기 압축기(50)의 입구측에서는 상기 순환유로(72)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74)를 통과한 냉매가 혼합되는 바, 혼합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압력조절밸브(80)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74)상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66)에서 열교환되어 가압된 흡입냉매가 상기 증발기(56)측으로 다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역류방지수단(82)이 설치되는 바, 여기서는 체크밸브가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압축기(50)가 작동시, 상기 증발기(56)로부터 나온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70)를 통해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된다.
이때, 일부는 상기 순환유로(72)를 통해 상기 압축기(50)측으로 직접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74)를 통해 상기 제1,2열교환기(66)(68)를 거친 후 상기 압축기(50)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74)를 통해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는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기 전에 상기 제 1열교환기(66)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제 1열교환기(66)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74) 및 상기 응축기 토출유로(78)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열교환기(66)로 유입된 흡입냉매는 상기 응축기(52)로부터 토출되는 응축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증발기(56)로부터 나와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는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이고, 상기 응축냉매는 상기 응축기(52)에서 응축된 중온 고압의 액체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응축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응축냉매는 상기 흡입냉매에 열을 빼앗기게 되므로, 상기 흡입냉매는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증발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냉매는 가압된 상태로 상기 제 2열교환기(68)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제 2열교환기(68)는 상기 압축기 토출유로(76)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열교환기(68)로 유입된 흡입냉매는 상기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냉매와 열교환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토출냉매는 고온 고압상태이고, 상기 흡입냉매는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이므로, 상기 제 2열교환기(68)의 내부에서 상기 토출냉매는 상기 흡입냉매에 열을 빼앗기게 되어 응축되고,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토출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50)로부터 나온 토출냉매가 상기 응축기(52)로 유입되기 이전에 상기 제 2열교환기(68)에서 응축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50)의 응축압력, 즉 흡입압력을 낮출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가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되기 이전에 상기 제 1열교환기(66) 및 제 2열교환기(68)를 거치면서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50)의 증발압력, 즉 토출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상기 압축기(50)의 흡토출 압력차가 감소되어 압축부하가 감소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2열교환기(68)를 거친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압력조절 밸브(80)를 지나 상기 압축기(50)로 흡입된 후,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토출된다.
상기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토출냉매는 상기 제 2열교환기(68), 응축기(52), 제 1열교환기(66), 팽창기구(54), 증발기(56)를 차례로 통과한 후,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증발기(56)로부터 나온 냉매는 상기 압축기(50)로 순환되고, 이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90)와, 상기 압축기(90)로부터 나온 기체 상태의 토출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94)와, 상기 응축기(94)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96)와, 상기 팽창기구(96)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98)와, 상기 증발기(98)와 압축기(9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9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압축기(90)와 응축기(9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90)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응축시키는 보조응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90)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압축기(90)는 공용 어큐뮬레이터(9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는 상기 압축기(90)는 제 1,2압축기(91)(92)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 여 설명하는 바, 상기 공용 어큐뮬레이터(93)는 상기 제 1,2압축기(91)(92)에 구비된 제 1,2흡입배관(91a)(92a)과 연결된다.
상기 제 1,2압축기(91)(92)의 각각에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가 배출되도록 제 1,2배출배관(91b)(92b)이 연결되고, 상기 제 1,2배출배관(91b)(92b)에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역류되지 않도록 제 1,2체크밸브(91c)(92c)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배출배관(91b)(92b)은 상기 압축기(9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응축기(94)측으로 안내하는 압축기 토출유로(100)에 합지된다.
상기 응축기(94)의 측면에는 실외의 공기를 상기 응축기(94)쪽으로 송풍하여 열교환효율을 상승시키는 실외 팬(102) 및 모터(104)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98)의 측면에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쪽으로 송풍하는 실내 팬(106) 및 모터(108)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증발기(98)로부터 나와 상기 압축기(9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상기 응축기(94)로부터 나온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 1열교환기(110)이고, 상기 보조응축수단은 상기 압축기(90)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상기 제 1열교환기(110)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90)로 흡입되는 흡입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 2열교환기(112)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열교환기(110)는 상기 증발기(98)로부터 나온 냉매가 상기 압축기(90)로 흡입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압축기 흡입유로(120)와, 상기 응축기(94)로부터 토출된 응축냉매가 상기 팽창기구(96)로 흡입되어 순환될 수 있도 록 형성된 응축기 토출유로(114)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열교환기(112)는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120)와, 상기 압축기(90)로부터 토출된 토출냉매가 상기 응축기(94)로 유입되어 순환되도록 형성된 상기 압축기 토출유로(100)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120)는 상기 증발기(98)로부터 나온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압축기(90)로 직접 순환되도록 형성된 순환유로(122)와, 상기 증발기(98)로부터 나온 냉매 중 나머지가 상기 제 1열교환기(110)와 제 2열교환기(112)를 통과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유로(122)는 상기 증발기(98)와 상기 공용 어큐뮬레이터(93)의 입구측에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12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순환유로(122)의 냉매와 혼합되는 바, 혼합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압력조절밸브(116)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124)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110)에서 열교환되어 가압된 흡입냉매가 상기 증발기(98)측으로 다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역류방지수단(118)이 설치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역류방지수단으로 체크밸브가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압축기(90)가 작동시, 상기 증발기(98)로부터 나온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120)를 통해 상기 압축기(90)로 흡입된 다.
이때, 상기 증발기(98)로부터 나온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순환유로(122)를 통해 상기 압축기(90)측으로 직접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124)를 통해 상기 제 1,2열교환기(110)(112)를 거친 후 상기 압축기(90)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124)를 통한 흡입냉매는 상기 제 1열교환기(110)로 유입되는 바, 상기 제 1열교환기(11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냉매와 상기 응축기(94)로부터 토출되는 응축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상기 흡입냉매는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이고, 상기 응축냉매는 중온 고압의 액체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응축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응축냉매는 상기 흡입냉매에 열을 빼앗기게 되므로, 상기 흡입냉매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증발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제 1열교환기(110)에서 가압된 상태로 상기 제 2열교환기(112)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2열교환기(112)로 유입된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제 2열교환기(112)의 내부에서 상기 압축기(90)로부터 토출된 토출냉매와 열교환되게 된다.
상기 토출냉매는 고온 고압상태이고, 상기 흡입냉매는 저온 저압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토출냉매는 상기 흡입냉매에 열을 빼앗기게 되어 응축되므로 응축압력을 낮출 수 있게 되고,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토출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어 증발압력이 한번 더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냉매가 상기 제 2열교환기(112)에서 응축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90)의 응축압력, 즉 토출압력을 낮출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흡입냉매가 상기 제 1열교환기(110) 및 제 2열교환기(112)를 거치면서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90)의 증발압력, 즉 흡입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상기 압축기(90)의 흡토출 압력차가 감소되게 되므로 압축부하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 2열교환기(112)를 거친 상기 흡입냉매는 상기 공용 어큐뮬레이터(93)를 통과하여, 상기 제 1,2흡입배관(91a)(92a)에 배분된 후 상기 제 1,2압축기(91)(92)에서 압축되게 된다.
상기 제 1,2압축기(91)(92)로부터 토출된 토출냉매는 상기 제 2열교환기(112), 응축기(94), 제 1열교환기(110), 팽창기구(96), 증발기(98)를 차례로 통과한 후,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증발기(98)로부터 나온 냉매는 상기 압축기(90)로 순환되고, 이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토출냉매를 응축시키는 보조응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의 증발압력을 상승시키고,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흡입냉매의 응축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의 흡,토출 압력차가 저감되어 압축부하가 감소되고,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흡입냉매를 응축기로부터 나온 응축냉매와 열교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흡입냉매와 응축냉매의 온도차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응축수단은 상기 토출냉매를 상기 흡입냉매와 열교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토출냉매와 흡입냉매의 온도차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로부터 나온 응축냉매의 과냉도가 증가함에 따라 냉방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기체 상태의 토출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로부터 나온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응축시키는 보조응축수단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압축기로 직접 순환되도록 형성된 순환유로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 중 나머지가 상기 가압수단 및 상기 보조 응축수단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와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를 상기 응축기로부터 나온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 1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응축수단은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제 2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응축수단은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토출냉매를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흡입냉매와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4, 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어 순환되도록 형성된 압축기 흡입유로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응축냉매가 상기 팽창기구로 흡입되어 순환되도록 형성된 응축기 토출유로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4, 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응축수단은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어 순환되도록 형성된 압축기 흡입유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토출냉매가 상기 응축기로 유입되어 순환되도록 형성된 압축기 토출유로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흡입유로는 상기 순환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10. 제 1, 4, 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 상에는 상기 순환유로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한 냉매가 혼합되고, 혼합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4, 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 상에는 상기 가압수단에서 가압된 흡입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4, 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압축기는 공용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104373A 2004-12-10 2004-12-10 공기조화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373A KR100688166B1 (ko) 2004-12-10 2004-12-10 공기조화기
EP05026969A EP1669686A3 (en) 2004-12-10 2005-12-09 Air conditioner
CNA2005101297904A CN1808022A (zh) 2004-12-10 2005-12-09 空调器
US11/298,531 US7555915B2 (en) 2004-12-10 2005-12-12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373A KR100688166B1 (ko) 2004-12-10 2004-12-1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885A KR20060065885A (ko) 2006-06-14
KR100688166B1 true KR100688166B1 (ko) 2007-03-02

Family

ID=3603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3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166B1 (ko) 2004-12-10 2004-12-1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55915B2 (ko)
EP (1) EP1669686A3 (ko)
KR (1) KR100688166B1 (ko)
CN (1) CN18080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931B1 (ko) 2013-12-09 2014-02-11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압력조절밸브를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KR101461599B1 (ko) * 2013-06-27 2014-11-20 나영수 제상 및 압축효율이 개선되는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2852C2 (nl) * 2006-11-10 2008-05-14 Antonie Bonte Verbeterde warmtepomp.
US20140116083A1 (en) * 2012-10-29 2014-05-01 Myungjin Chung Refrig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63A (ja) * 1994-06-16 1996-01-12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サイクル装置
JPH09145168A (ja) * 1995-11-22 1997-06-06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装置
KR19980082835A (ko) * 1997-05-09 1998-12-05 구자홍 히트펌프용 냉동사이클장치
KR20020024537A (ko) * 2000-09-25 2002-03-30 최용원 냉동사이클
KR20040050477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2139A (en) * 1957-08-16 1960-09-13 Patrick B Kennedy Refrigeration system especially for very low temperature
US3149475A (en) * 1962-05-11 1964-09-22 Sporlan Valve Co Head pressure control for refrigeration system
US3350897A (en) * 1966-01-11 1967-11-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trols for centrifugal compressors having spin vanes in their inlets
US3435626A (en) * 1966-02-07 1969-04-01 Recold Corp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refrigeration system
US3423954A (en) * 1967-11-13 1969-01-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frigeration systems with accumulator means
US4259848A (en) * 1979-06-15 1981-04-07 Voigt Carl A Refrigeration system
US4618365A (en) 1983-12-09 1986-10-21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Substituted tetrazolinones and their use as herbicides
US4918942A (en) * 1989-10-11 1990-04-24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ion system with dual evaporators and suction line heating
US5056329A (en) * 1990-06-25 1991-10-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Heat pump systems
US5232820A (en) * 1991-03-18 1993-08-03 Isp Investments Inc. Process of directly imaging a thermosensitive polyacetylene salt dyes
US5235820A (en) * 1991-11-19 1993-08-17 The University Of Maryland Refrigerator system for two-compartment cooling
US5218830A (en) * 1992-03-13 1993-06-15 Uniflow Manufacturing Company Split system ice-maker with remote condensing unit
US5406805A (en) * 1993-11-12 1995-04-18 University Of Maryland Tandem refrigeration system
US6047557A (en) * 1995-06-07 2000-04-11 Copeland Corporation Adaptive control for a refrigeration system using pulse width modulated duty cycle scroll compressor
JPH11142007A (ja) * 1997-11-06 1999-05-28 Nippon Soken Inc 冷凍サイクル
JP2000046445A (ja) * 1998-07-28 2000-02-18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サイクル
JP3227651B2 (ja) * 1998-11-18 2001-11-12 株式会社デンソー 給湯器
EP1409935B1 (en) 1999-09-24 2013-01-02 Peter Forrest Thompson Heat pump fluid heating system
AU2001271555A1 (en) * 2000-06-28 2002-01-08 Igc Polycold Systems, Inc. Mixed refrigerant temperature control using a pressure regulating valve
KR100382488B1 (ko) * 2000-11-10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2개의 압축기를 갖는 공조시스템의 전자팽창변 제어방법
JP3253021B1 (ja) * 2001-03-02 2002-02-0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ヒートポンプ及び除湿空調装置
JP2002349979A (ja) * 2001-05-31 2002-12-04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二酸化炭素ガス圧縮システム
ES2309240T3 (es) 2001-12-21 2008-12-16 Daimler Ag Estructura y regulacion de un sistema de climatizacion para un vehiculo automovil.
EP1541938B1 (en) * 2002-08-02 2015-05-06 Daikin Industries, Ltd. Refrigeration equipment
KR100499486B1 (ko) * 2002-11-23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개의 압축기가 구비된 히트펌프 시스템의 어큐뮬레이터
JP4467899B2 (ja) * 2003-02-24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JP4208620B2 (ja) * 2003-03-27 2009-01-1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媒サイクル装置
KR100496376B1 (ko) * 2003-03-31 2005-06-22 한명범 냉동사이클용 에너지효율 개선장치
JP3948432B2 (ja) * 2003-05-16 2007-07-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装置
KR100717444B1 (ko) 2003-10-20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및 에어컨 제어방법
KR100564444B1 (ko) 2003-10-20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액 냉매 누적 방지 장치 및 방법
JP4151559B2 (ja) * 2003-10-27 2008-09-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装置
US7257958B2 (en) * 2004-03-10 2007-08-21 Carrier Corporation Multi-temperature cooling system
KR100531838B1 (ko) 2004-04-22 200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콘용 압축기의 압력 평형 장치
US7228708B2 (en) * 2004-10-28 2007-06-12 Carrier Corporation Multi-temp system with tandem compressors and reheat function
EP1662213A1 (en) * 2004-11-24 2006-05-31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ling system with economiser circuit
US7726151B2 (en) * 2005-04-05 2010-06-01 Tecumseh Products Company Variable cooling load refrigeration cy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63A (ja) * 1994-06-16 1996-01-12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サイクル装置
JPH09145168A (ja) * 1995-11-22 1997-06-06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装置
KR19980082835A (ko) * 1997-05-09 1998-12-05 구자홍 히트펌프용 냉동사이클장치
KR20020024537A (ko) * 2000-09-25 2002-03-30 최용원 냉동사이클
KR20040050477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5047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599B1 (ko) * 2013-06-27 2014-11-20 나영수 제상 및 압축효율이 개선되는 공기조화기
KR101359931B1 (ko) 2013-12-09 2014-02-11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압력조절밸브를 이용한 냉동탑차의 냉동-냉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8022A (zh) 2006-07-26
KR20060065885A (ko) 2006-06-14
US20060123841A1 (en) 2006-06-15
EP1669686A3 (en) 2007-04-04
US7555915B2 (en) 2009-07-07
EP1669686A2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681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50477A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0195913B1 (ko) 다실 공기조화기
KR100225636B1 (ko)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
US6338254B1 (en) Refrigeration sub-cooler and air conditioning dehumidifier
KR102366587B1 (ko) 공기조화기
CN109386985B (zh) 两管制喷气增焓室外机及多联机系统
KR1007758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61285B1 (ko) 공기조화기
CN100390475C (zh) 具有双致冷剂循环的空调
KR20050072299A (ko) 냉난방 공기조화시스템
KR101996057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32200A (ko) 공기조화기
KR100688166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05736U (ko) 히트펌프 시스템
KR20060075026A (ko)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
JP2001235237A (ja) 冷凍システム
KR20050043089A (ko) 히트 펌프
KR100613502B1 (ko)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KR100591323B1 (ko)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KR100554566B1 (ko) 극저온용 히트펌프 사이클
JP2010112618A (ja) 空気調和装置
KR100985629B1 (ko) 가스히트펌프 시스템의 냉각수 열교환장치
JP2004116930A (ja) 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KR101286597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