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7371B1 - 시트 셔터 - Google Patents

시트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371B1
KR100687371B1 KR1020000005375A KR20000005375A KR100687371B1 KR 100687371 B1 KR100687371 B1 KR 100687371B1 KR 1020000005375 A KR1020000005375 A KR 1020000005375A KR 20000005375 A KR20000005375 A KR 20000005375A KR 100687371 B1 KR100687371 B1 KR 10068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ail
shutter curtain
rail
shu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606A (ko
Inventor
이와사키히로시
후루노유지
사카모토가쓰히로
Original Assignee
산와 샷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와 샷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와 샷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3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셔터 커튼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작용한 경우에,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가이드레일에서 빠져 나오고, 이 빠져 나온 끝단부를 용이하게 가이드레일내로 복귀시킨다.
시트 셔터를 시트형상의 셔터 커튼(4)과, 이 셔터 커튼(4)의 폭방향 좌우 양 끝단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가이드블록(13)과, 건물 개구부 좌우에 세워 설치되어 항상 가이드블록(13)을 상하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탄성의 가이드레일(5)로 구성되며, 셔터 커튼(4)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작용하면, 가이드레일(5)이 변형하여, 가이드 블록(13)이 가이드레일(5)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시트 셔터{Sheet Shutter}
도 1은 시트 셔터가 전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
도 2는 시트 셔터가 수납된 도면,
도 3은 특히 상부 가이드부를 나타내고 있는 가이드레일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특히 가이드 레일부를 나타내고 있는 가이드레일 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시일재와 푸쉬 너트가 마주 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가이드레일 조립체의 일부를 생략한 도면,
도 6의 (a)는 가이드레일의 단면도, (b)는 가이드레일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7의 (a)는 레일 고정금속부재의 측면도, (b)는 정면도,
도 8은 상부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위쪽에서 본 도면,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아래쪽에서 본 도면,
도 9는 가이드레일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도 10은 셔터 커튼의 정면도,
도 11은 가이드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배면도, (c)는 다른 측면도, (d)는 정면도, (e)는 횡단면도, (f)는 종단면도, (g)는 위쪽에서 본 도면,
도 12는 셔터 커튼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옆에서 본 도면, (b)는 일끝단쪽의 정면도, (c)는 하단부의 전체정면도,
도 13은 바닥 중량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b)는 위쪽에서 본 도면,
도 14는 셔터 커튼이 감아 올려진 상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트 셔터의 부분정면도,
도 15는 가이드레일의 형상에 특징을 갖게 함으로써, 가이드블록의 가이드레일로의 삽입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레일 조립체 2 : 셔터 케이스
3 : 권취 샤프트 4 : 커튼
4a : 시트 본체 4b : 끝단부 시트
5, 50 : 가이드 레일 5a, 5b, 6a, 6b, 12a, 12b, 13a, 13b : 측벽
5c, 12c, 13c : 홈부 5d, 12d : 앞쪽 벽
5e, 12e : 뒤쪽 벽 5f, 12f : 걸어맞춤 돌기
6 : 가이드레일 고정부재 6c : 연결벽
6d : 걸어맞춤 받이부 6e : 받이부
7 : 제 1 레일커버 7a, 8a, 9a : 안쪽 벽
7b, 8b, 9b, 9c : 바깥 벽 7d, 9e : 받이구멍
8 : 제 2 레일커버 9 : 레일고정 금속부재
10 : 시일재 10a : 푸쉬 너트
11 : 스프링 조립체 11a : 볼트
11b : 머리부 11c : 너트
11d : 스프링 12 : 상부가이드
13, 130 : 가이드블록 13d : 배면부
13e : 평면 13f : 만곡면
13g, 13j : 경사면 13h : 비드인서트
14 : 시일재 15 : 자루형상부
16 : 바닥 중량체 16a : 베주머니부
16B : 납알갱이체 17 : 우레탄 파이프
19 : 가로틀 20 : 몸체
21 : 앵커 볼트 22 : 마무리면
본 발명은 시트 셔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정이상의 부하가 시트에 작용한 경우에, 시트 끝단부가 가이드레일에서 빠져나가도록 한 시트 셔터에 관한 것이다.
시트 셔터는 시트형상의 셔터 커튼에 의해서 건물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구부가 완전히 닫혔을 때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용이하게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지도록 하면 셔터를 설치하는 의미가 없으므로, 상정될 수 있는 면압력에서는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셔터 커튼의 좌우 양 끝단부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이 걸어맞춤부를 가이드레일에 이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춤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시트형상의 셔터 커튼은 강철제 셔터 커튼 등에 비하여 강도가 약하고, 셔터 커튼에 내(耐)풍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셔터 커튼의 끝단부에 배치한 걸어맞춤부가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 나오려고 하므로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파손되거나, 혹은 셔터 커튼이 휘어져 가이드레일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셔터 커튼에 소정이상의 부하가 작용한 경우에,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파손되거나, 혹은 가이드레일이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시트 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셔터 커튼으로 작용하는 면압력에 양호하게 대항하여,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셔터 커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 커튼에 소정이상의 부하가 작용한 경우(국소적으로 강한 충격을 받은 것 같은 경우)에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는 시트 셔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 커튼에 소정이상의 부하가 작용해서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빠져 나온 경우에, 이 빠져 나온 끝단부를 용이하게 가이드레일내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 셔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용한 기술수단은, 시트형상의 셔터 커튼과, 이 셔터 커튼의 폭방향 좌우 양 끝단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설치한 복수의 가이드블록과, 건물 개구부 좌우에 세워 설치한 가이드레일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평소에 상기 가이드레일내를 상하이동 자유롭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탄성을 구비하여 해당 셔터 커튼에 소정이상의 부하가 작용하면 가이드레일이 변형하여, 해당 가이드블록이 해당 가이드레일에서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파손되거나, 가이드레일이 파손되어 버리는 것 같은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이드블록은, 가이드레일의 내벽에 접촉하는 접촉면부를 구비하고, 이 접촉면부와 가이드레일과의 접촉으로 셔터 커튼에 작용하는 면압력에 대항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이에 있어서, 가이드블록은 접촉면부의 상하에 만곡형상의 경사면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이상의 부하가 셔터 커튼에 작용하였을 때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나가기 쉽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이드블록은, 건물 개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마주하여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끝이 가는 형상의 돌출 단면형상을 가진 배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이드레일에서 빠진 가이드블록은, 상기 배면부로부터 가이드레일내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가이드레일에서 빠진 가이드블록을 가이드레일에 삽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의 가이드 홈부 개구에는 안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에서 빠진 가이드블록은 상기 안내 경사면으로 안내되어 가이드레일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시트 셔터의 전체 개략정면도(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음), 도 2는 측방향에서 본 수납도로서, 시트 셔터는, 건축물 개구부 좌우 양쪽에 세워 설치한 가이드레일 조립체(1)와, 이 개구부 상단부에 설치한 셔터케이스(2)와, 셔터케이스(2)내에 개구 폭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권취 샤프트(3)와, 권취 샤프트(3)에 연결된 셔터 커튼(4)을 가지고 있다.
셔터 커튼(4)의 좌우 끝단부는 가이드레일 조립체(1)의 가이드홈내에 수납되 어 있으며, 개폐기에 의한 개폐구동에 의해서 셔터 커튼(4)은 그 좌우 양 끝단이 해당 가이드홈에 안내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취 샤프트(3)에 감겨지거나, 혹은 권취 샤프트(3)로부터 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셔터의 전체구성은 공지이다.
가이드레일 조립체의 구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레일 조립체(1)는, 가이드레일(5)과,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와, 제 1 레일커버(7)와, 제 2 레일커버(8)와, 레일고정 금속부재(9)와, 레일 시일재(10)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레일(5)은 상하방향으로 이어진 긴 부재로서, 도 4,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형상의 측벽(5a,5b)과, 측벽(5a,5b)의 일끝단쪽을 대향하도록 연이어 돌출시켜 이루어지고, 상하로 이어진 홈부(5c)를 가진 앞쪽 벽(5d)과, 측벽 (5a,5b)의 다른 끝단쪽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뒤쪽 벽(5e)과, 뒤쪽 벽(5e)에 돌출하여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5f)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5)에 있어서, 상기 각 벽(5a,5b,5d,5e)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레일(5)은 탄성을 가진 부재,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가이드레일(5)이 변형하여 홈부(5c)가 확장되어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쪽 벽(5d)의 두께는 측벽(5a,5b)의 두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진 긴 부재로서, 도 4,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형상의 측벽(6a,6b)과, 측벽(6a,6b)의 중간부위를 연결 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벽(6c)으로 구성되며 대략 H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연결벽(6c)을 사이에 두고 일끝단쪽에는 걸어맞춤 받이부(6d)가, 다른 끝단쪽에는 스프링 조립체를 구성하는 볼트의 일끝단측 머리부를 수납하는 받이부(6e)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의 걸어맞춤 받이부(6d)에는 가이드레일(5)의 걸어맞춤 돌기(5f)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도록 수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는 알루미늄형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레일커버(7), 제 2 레일커버(8)는 모두 상하방향으로 이어진 긴 부재이다. 제 1 레일커버(7)는, 안쪽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쪽 벽(7a)과, 안쪽 벽(7a)의 일끝단쪽으로부터 바깥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바깥 벽(7b)과, 바깥 벽(7b)의 연이어진 끝단부에 형성한 단면으로 보았을 때 L자형상의 끝단벽(7c)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레일커버(8)는, 안쪽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쪽 벽(8a)과, 안쪽 벽(8a)의 일끝단쪽으로부터 바깥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바깥 벽(8b)과, 바깥 벽(8b)의 연장된 끝단부에 형성한 단면으로 보았을 때 L자형상의 끝단벽(8c)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레일커버(7), 제 2 레일커버(8)는 상부에 있어서 끝단벽(7c,8c) 부분이 비스듬하게 절결되어 있다.
복수의 레일고정 금속부재(9)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몸체에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제 1 레일커버(7)와 제 2 레일커버(8)는 레일고정 금속부재(9)에 지지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고정 금속부재(9)는, 안쪽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사각형형상의 안쪽 벽(9a)과, 안쪽 벽(9a)의 끝단부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꺾어 구부려 이루어진 바깥 벽(9b,9c)과, 바깥 벽(9b)에 대향하여 연장하는 두개의 혀모양의 편(9d)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2 레일커버(8b)와 혀모양의 편(9d)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배선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혀모양의 편(9d)을 이용하여 결속밴드로 배선을 결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일고정 금속부재(9)의 안쪽 벽(9a)에는 제 1 레일커버(7)의 안쪽 벽(7a)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레일고정 금속부재(9)의 바깥 벽(9c)에는 제 2 레일커버(8)의 바깥 벽(8b)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레일고정 금속부재(9)는 짧은 부재로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일고정 금속부재(9)의 안쪽 벽(9a)에는 받이구멍(9e)이 형성되어 있으며, 받이구멍(9e)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스프링조립체(11)와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가 연결된다.
스프링조립체(11)는, 볼트(11a)와, 볼트(11a)의 일끝단측에 형성한 머리부 (11b)와, 볼트(11a)의 다른 끝단측에 설치한 너트(11c)와, 볼트(11a)의 바깥쪽에 장착한 스프링(11d)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고정 금속부재(9) 및 제 1 레일커버 (7)에는 볼트(1la)를 끼워 넣는 받이구멍(7d,9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레일고정 금속부재(9) 및 제 1 레일커버(7)를 관통한 볼트(11a)의 머리부(11b)는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의 받이부(6e)에 수납되어 있다. 볼트(11a)는 제 1 레일커버(7)에 대하여 여유를 두고 끼워 넣어져 있다.
받이구멍(7d)의 직경은 볼트(11a)의 바깥 직경보다도 크고 다소의 여유가 있으며, 또한 스프링(11d)의 바깥 직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받이구멍(9e)은 너트(11c)의 바깥 직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11d)은 제 1 레일커버(7)의 안쪽 벽(7a)에 접촉하고 있으며, 가이드레일[도시한 것에서는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과 레일커버[도시한 것에서는 제 1 레일커버(7)]를 눌러 붙이고 있다. 나사를 빼고 제 1 레일커버(7)를 떼어 내어 스프링 조립체(11)를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부호 (20)은 몸체, (21)은 앵커 볼트, (22)는 마무리면이며, 후술하는 제 2 레일커버(8)가 도 4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마무리면(22)에 매립되는 경우에도 유지관리 등이 가능하다.
제 1 레일커버(7), 제 2 레일커버(8), 레일고정 금속부재(9)로 형성되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C형상 혹은 ㄷ자 형상의 가이드레일 지지부재에는 시일재 (10)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재(10)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진 띠형상부재로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레일커버(7)와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와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1a)에는 푸쉬 너트 (10a)가 외부에서 끼워 넣어지며, 시일재(10)와 제 1 레일커버(7)와의 사이에는 푸쉬 너트(1Oa)가 개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푸쉬 너트(1Oa)는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와 함께 시일재(10)를 고정부재(6)의 배면에 접촉시켜 일체화시키고 있다. 시일재(10)의 좌우 끝단부는 제 1 레일커버(7)의 내벽, 제 2 레일커버(8)의 내벽 혹은 레일고정 금속부재(9)에 접촉 혹은 미끄럼 접촉하고 있다. 시일재(10)와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시일재(10)의 폭방향 끝단가장자리가 끝단벽(7c,8c)에 둘러싸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밀성이 양호하다.
가이드레일(5)의 상단에는 상부 가이드(12)가 연결되어 있다. 상부가이드 (12)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진 짧은 부재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형상의 측벽(12a,12b)과, 측벽(12a,12b)의 일끝단측을 대향하도록 연이어 돌출시켜 이루어진 상하로 연장하는 홈부(12c)를 가진 앞쪽 벽(12d)과, 측벽(12a,12b)의 다른 끝단쪽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뒤쪽 벽(12e)과, 뒤쪽 벽(12e)에 돌출하여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12f)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12)는 탄성을 가진 부재,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부 가이드(12)가 변형하여, 홈부(12c)가 확장하여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부 가이드 (12)를 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소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부 가이드(12)는 하단쪽이 가이드레일(5)과 대략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단쪽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상부 가이드(12)의 서로 대향하는 앞쪽 벽(12d)은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건물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점차 경사진 형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셔터 커튼(4)을 하강시킬 때에, 최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 블록(13)의 위쪽에 위치하는 다른 블록(13)을 상부 가이드(12)내로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다. 측벽(12a,12b)은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그 외벽면은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뒤쪽 벽(12e)은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하여 연직형상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위쪽 부위가 뒤쪽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상부 가이드(12)의 하단쪽에는 가이드레일 (5)의 상단쪽이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가이드(12)의 측벽(12a,12b)의 하단부를 경사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가이드레일(5)의 상단쪽의 벽면과의 단차를 최소한으로 하고 있다. 측벽(12a,12b)의 외벽면은 가이드레일(5)에서 빠져 나온 가이드블록(13)의 가이드면이 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가이드블록(13)을 안내하기 위해서 접속부에 있어서의 단차나 돌기를 없애도록 고안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12)와 가이드레일(5)과의 연결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가이드레일(5)의 상단부를 상부 가이드(12)에 끼워 넣을 때에, 가이드레일(5)의 내벽면과 상부 가이드(12)의 내벽면이 면일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가이드블록(13)의 상하 이동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부드러운 개폐조작이 가능해진다. 상부 가이드(12)의 하단부위에는 걸어맞춤 홈(12g)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5)의 앞쪽 벽(5d)의 상단부위는 절결되어 있어, 가이드레일(5)의 상단을 상부 가이드(12)에 연결했을 때에는, 가이드레일(5)의 측벽(5a,5b)의 상단이 걸어맞춤 홈(12g)에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부 가이드(12)의 변형에 가이드레일(5)이 대응할 수 있고, 따라서, 홈부(12c)가 확장하여 벌어지면, 홈부(5c)가 확장하여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12)의 걸어맞춤 돌기(12f)는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의 걸어맞춤 받이부(6d)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가이드(12)의 하단과 가이드레일(5)의 상단을 끼워맞춤시키고, 더욱 걸어맞춤 돌기(12f,5f)를 걸어맞춤 받이부 (6d)에 슬라이드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일체화된다.
다음으로 셔터 커튼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셔터 커튼(4)은 시트본체 (4a)와, 시트본체(4a)의 폭방향 양 끝단부에 용착된 상하방향으로 이어진 띠형상의 끝단부시트(4b)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본체(4a), 끝단부 시트(4b)는 모두 염화비닐수지를 주재료로 함과 동시에, 폴리에스테르를 심재(芯材)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끝단부 시트(4b)에는 시트본체(4a)에 비하여 심재가 빽빽하게 혼입되어 있으며, 끝단부 시트(4b)는 시트본체(4a)에 비해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의 끝단부 시트(4b)는 시트본체(4a)보다도 얇고 뼈대가 없으며, 끝단부 시트(4b)에 주름이 집중하고, 시트본체(4a)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 관찰되었다. 끝단부 시트(4b)의 끝단부(4c)는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위에는 웰더가공이 실시되어 있어, 후술하는 가이드블록(13)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고 있다.
셔터 커튼(4)의 폭방향 끝단부[실시형태에서는, 이중구조이고 또한 웰더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끝단부(4c)]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블록 (13)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블록(13)은 대향하는 측벽(13a,13b)을 가지고 있으며, 일끝단쪽을 개구형상으로 하고, 대향하는 측벽(13a,13b) 사이에는 셔터 커튼 (4)의 끝단부를 수납하는 홈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하는 측벽(13a,13b)은 다른 끝단쪽의 배면부(13d)를 사이에 끼워 일체화되어 있으며, 배면부(13d)의 바깥둘레면은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배면부(13d)는 높이 방향중간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측벽(13a,13b)의 일끝단쪽의 단면은 연직방향으로 이어지는 평면(13e)으로 되어 있다. 평면(본 발명의 접촉면부에 상당함)(13e)의 상하 끝단부로부터 측벽(13a,13b)의 상하 끝단면에 걸쳐서는 만곡면(13f)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하 끝단면의 다리부는 경사면(13g)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하 끝단면의 홈부(13c)쪽 부위도 경사면(13j)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시트의 끼워 넣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측벽(13a,13b)에는 나사의 받이구멍(13i), 비드인서트(13h)를 수납하는 구멍이 대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3a,13b) 사이에 셔터 커튼(4)의 끝단부[즉 끝단부 시트(4b)의 끝단부]를 삽입시키는 동시에, 나사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블록(13)은 전체적으로는 편평한 형상이지만, 두께는 가이드레일(5)의 홈부(5c)의 폭보다는 크게 되어 있다.
비드인서트(13h)는 측벽(13b)의 면부보다 약간 내부에 위치하여 매설되어 있고, 비드인서트(13h)의 끝단부가 측벽(13b)의 면부에 노출하여 가이드블록(13) 마모위치의 표적이 되므로, 가이드블록(13)의 교체 시기의 기준이 된다[예를 들면, 노출한 비드인서트(13h)가 가이드레일(5)의 내벽과 미끄럼접촉하여 이상음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비드인서트(13h)에 나사맞춤되는 나사의 머리부도 측벽(13a)의 면부보다 약간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나사의 머리부가 측벽(13a)의 면부에 노출하는 것으로 가이드블록(13)의 마모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홈부(13c)의 폭은 입구쪽이 안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어, 시트가 들어가기 쉬운 동시에, 나사로 체결하였을 때에 내면이 시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시트에 균일하게 압착하므로, 결과적으로 시트가 찢어지기 않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블록(13)은 셔터 커튼(4)의 폭방향 끝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지만, 셔터 커튼 하단부에는 두개의 가이드블록(13)이 상하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셔터 커튼 하단부는 가장 스트로크량이 많아 마모가 심하기 때문에, 이 부위에 2개 연속으로 가이드블록(13)을 부착함으로써 가이드블록(13)에 대한 면압력을 낮추어 마모량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셔터 커튼(4)의 위쪽부위에는, 완전히 닫혔을 때 몸체쪽의 가로틀(19)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여 폭방향으로 이어지는 시일재(14)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재 (14)는 끝단부 시트(4b)와 같은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본체(4a)의 면부보다 돌출시켜, 가로틀(19)에 접촉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가로틀쪽에 시일재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것은 개폐시에 시일재가 항상 셔터 커튼 (4)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번의 것은, 시트쪽에 시일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완전히 닫혔을 때 가로틀(19)에 시일재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셔터 커튼(4)의 하단을 접어 용착하는 것으로, 셔터 커튼(4)의 하단부위에는 자루형상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자루형상부(15)의 폭방향 양 끝단부에는 바닥 중량체(16)가 설치되어 있다. 중량체(16)를 좌우 끝단부에 배설함으로써, 권취가 균등하게 되어, 시트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바닥 중량체(16)는, 나일론제의 베주머니부(16a)에 다수의 납알갱이체(직경 2∼3 mm 정도의 작은 조각)(16b)를 충전하여 구성되어 있다. 납알갱이체(16b)를 충전시킨 베주머니부(16a)를 준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가진 추를 제공할 수 있어, 장해물 등과의 접촉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었다.
자루형상부(15)에는 좌우의 바닥 중량체(16)사이에 위치시켜 우레탄파이프 (17)가 설치되어 있다. 우레탄파이프(17)는 평판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우레탄파이프(17)는 스페이서로서도 기능하고, 바닥 중량체(16)가 폭방향 중 앙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규제한다. 우레탄파이프(17)는 하나의 부재여도 좋고, 혹은 복수의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것도 좋다. 한편, 셔터 커튼(4)의 하단부에는 자루형상부(15)를 내장하도록 하여 바닥 시트(18)가 용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시트 셔터에 있어서, 셔터의 개폐시에는 셔터 커튼(4)의 좌우 양 끝단부에 설치한 가이드블록(13)이 가이드레일(5)의 홈부로 안내됨으로써, 셔터 커튼(4)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개구부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는, 셔터 커튼(4)에 면압력이 작용하면 셔터 커튼(4)의 좌우 양 끝단에 설치한 가이드블록(13)의 평면(13e)이 가이드레일(5)의 앞쪽 벽(5d)에 접촉함으로써 면압력에 대항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레일(5)은 스프링 조립체(11)를 끼워서, 개구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동시에, 개구부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셔터 커튼 (4)이 바람 등의 영향으로 구부러진 경우에는, 가이드레일(5)이 셔터 커튼(4)의 움직임을 따라 가동하도록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셔터 커튼(4)이 구부러진 경우에도 가이드블록(13)의 평면(13e)이 가이드레일(5)의 앞쪽 벽(5d)과 전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균일한 힘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시일재(10)와 가이드레일 고정부재(6)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양면테이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푸쉬 너트 (10a)와의 협동작용으로 가이드레일(5)이 셔터 커튼(4)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여도 밀폐성이 유지된다.
셔터 커튼(4)에 물건이 부딪치는 경우 등에는, 가이드레일(5) 및 상부가이드 (12)가 탄성을 가진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부(5c 혹은 12c)가 확장되어 벌어지고, 셔터 커튼(4)의 끝단부의 가이드블록(13)이 홈부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 커튼(4) 또는 가이드레일(5)을 파손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히, 물건이 충돌한 것 같은 경우에는 시트에 국부적인 큰 힘이 발생하지만, 이렇게 되면 가이드블록(13)의 상하의 경사면(13g)이 가이드레일의 앞쪽 벽 (5d)의 내벽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가이드블록(13)이 가이드레일(5)로부터 빠지기 쉽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블록(13)의 배면부(13d)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 빠져 나온 가이드블록(13)을 맨손으로 가이드레일(5)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13)의 배면부(13d)와 가이드레일(5)의 뒤쪽 벽(5e)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틈새의 존재에 의해, 가이드블록(13)이 가이드레일(5)의 홈내로 기울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경사면(13g)이 앞쪽 벽(5d)의 내벽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블록(13)이 가이드레일(5)에서 빠져 나오기 쉽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블록(13)이 빠져나간 경우에도, 최하단의 가이드블록(13)만을 가이드레일(5)내에 삽입하고, 셔터 커튼(4)을 감아 올린 다음에 셔터 커튼(4)을 상부가이드(12)를 경유하여 강하시킴으로써, 모든 가이드블록(13)이 가이드레일(5)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하강하다. 또한, 이 때, 최하단의 가이드블록(13) 이외의 빠져나간 블록(13)은 가이드레일(5)의 측벽(5a,5b)의 외벽면, 상부가이드(12)의 측벽 (12a,12b)의 외벽면을 따라 위로 움직이지만, 이러한 외벽면은 부드러운 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블록(13)이 걸리는 일이 없다.
이에 대하여, 도 14로 설명하면, 셔터 커튼(4)이 완전히 감아 올려진 상태에 서는, 최하단의 가이드블록(13)은 상부가이드(12)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로 위의 가이드블록(13)은 상부가이드(12)의 위쪽에 위치하고, 아래쪽에 상부가이드(12)를 마주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셔터 커튼(4)을 하강시키면, 모든 가이드블록(13)은 상부가이드(12)에 안내되면서 하강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커튼(4) 하단부에서 가이드블록(13)을 연이어 설치시키고 있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가이드레일(5)에서 빠진 최하단의 가이드블록(13)을 맨손으로 가이드레일(5)에 삽입시켰을 때에, 셔터 커튼(4)를 세우기 쉽고, 그 후의 감아 올리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5는, 가이드블록을 원활하게 가이드레일내에 삽입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가이드블록(130), 가이드레일(50)의 기본적인 구성은 가이드블록(13), 가이드레일(5)과 각각 동일하지만, 가이드레일(50)의 앞쪽 벽(50d)의 외벽은 가이드레일(50)의 홈내를 향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이어지는 안내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가이드블록(130)의 배면은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가이드블록(13)의 배면과 같이 만곡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 커튼에 소정이상의 부하가 작용한 경우에,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파손되거나, 혹은 가이드레일이 파손되는 일이 없고,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셔터 커튼으로 작용하는 면압력에 양호하게 대항하여,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으며, 셔터 커튼에 소 정이상의 부하가 작용한 경우(국소적으로 강한 충격을 받은 것 같은 경우)에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셔터 커튼에 소정이상의 부하가 작용해서 셔터 커튼의 끝단부가 빠져 나온 경우에, 이 빠져 나온 끝단부를 용이하게 가이드레일내로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시트형상의 셔터 커튼과, 이 셔터 커튼의 폭방향 좌우 양 끝단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가이드블록과, 건물 개구부 좌우에 세워 설치한 가이드레일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블록이 항상 상기 가이드레일내를 상하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탄성을 구비하고 있어, 해당 셔터 커튼에 소정이상의 부하가 작용하면, 가이드레일이 변형하여 해당 가이드블록이 해당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 나옴과 동시에, 가이드블록은 가이드레일의 내벽에 접촉하는 접촉면부를 구비하고, 이 접촉면부와 가이드레일과의 접촉으로 셔터 커튼에 작용하는 면압력에 대항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 시트 셔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접촉면부의 상하에 만곡형상의 경사면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어, 소정이상의 부하가 셔터 커튼에 작용하였을 때에 가이드레일로부터 빠져 나오기 쉽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블록은 건물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마주하여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끝이 가는 형상의 돌출된 단면형상을 가진 배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이드레일에서 빠진 가이드블록은 상기 배면부로부터 가이드레일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부 개구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에서 빠진 가이드블록은 상기 안내경사면으로 안내되어 가이드레일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셔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00005375A 1999-06-29 2000-02-03 시트 셔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687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447899A JP3554917B2 (ja) 1999-06-29 1999-06-29 シートシャッターおよび該シートシャッターに用いるガイドブロック
JP184478 1999-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606A KR20010006606A (ko) 2001-01-26
KR100687371B1 true KR100687371B1 (ko) 2007-02-26

Family

ID=1615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3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7371B1 (ko) 1999-06-29 2000-02-03 시트 셔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554917B2 (ko)
KR (1) KR100687371B1 (ko)
CN (1) CN1138053C (ko)
SG (1) SG113384A1 (ko)
TW (1) TW4216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4506A3 (fr) * 2001-12-03 2003-11-04 Dynaco Internat Dispositif a volet avec element de reintroduction.
KR20030095870A (ko) * 2002-06-15 2003-12-24 주식회사 포스콘 가요성 시트 개폐장치
CN1580479B (zh) * 2003-08-12 2010-06-23 三和控股株式会社 薄板卷帘门装置
FR2863646B1 (fr) * 2003-12-11 2006-02-24 Nergeco Sa Porte a rideau relevable par enroulement a etancheite laterale amelioree
JP4722520B2 (ja) * 2005-03-25 2011-07-13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
JP4703286B2 (ja) * 2005-06-24 2011-06-1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シートシャッターのガイドローラ
DE102005049584A1 (de) * 2005-10-17 2007-05-10 Efaflex Inzeniring D.O.O. Schnellaufendes Industrierolltor
CN1959056B (zh) * 2005-10-31 2012-01-04 三和控股株式会社 卷帘门装置
US8371357B2 (en) * 2006-02-06 2013-02-12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ystem to guide the slats of an industrial roller door to reduce damages after crash
JP4954676B2 (ja) * 2006-11-10 2012-06-20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JP4833807B2 (ja) * 2006-11-28 2011-12-07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構造
TW201241297A (en) * 2011-04-06 2012-10-16 Komatsu Denki Sangyo Kabushiki Kaisha Sheet shutter
JP2013036254A (ja) * 2011-08-09 2013-02-21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ートシャッタ
JP5877738B2 (ja) * 2012-03-15 2016-03-08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構造
JP6068940B2 (ja) * 2012-11-13 2017-01-2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ー
CN103132896B (zh) * 2013-03-25 2015-08-19 曹庆文 卷帘门用防护导轨
CN103850633A (zh) * 2014-03-20 2014-06-11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防撕拉机构
CN103850640A (zh) * 2014-03-20 2014-06-11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边排链
CN103850632B (zh) * 2014-03-20 2017-01-04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防脱落机构
CN103867106B (zh) * 2014-03-20 2017-02-08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抗风机构
CN103850639A (zh) * 2014-03-20 2014-06-11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轨道
JP6846858B2 (ja) * 2014-06-06 2021-03-2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スクリーン
WO2016025584A1 (en) * 2014-08-13 2016-02-18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retain and refeed door curtains
JP6271371B2 (ja) * 2014-08-26 2018-01-31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構造
CN109552055B (zh) * 2017-09-26 2021-06-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集电装置及轨道交通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393U (ja) * 1992-06-04 1993-12-27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用ガイドレール
WO1995030064A1 (fr) * 1994-04-29 1995-11-09 Dynaco International Dispositif de fermeture a rideau souple
JPH11315680A (ja) * 1998-05-06 1999-11-16 Sanwa Shutter Corp 建築用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
JP2000160961A (ja) * 1998-11-24 2000-06-13 Toyo Shutter Co Ltd 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
US9530064B2 (en) * 2012-06-25 2016-12-27 Vehcon, Inc. Vehicle data collection and ver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7271B (en) * 1983-03-18 1986-04-09 Byrne & Davidson Ind Ltd Windlocked rolling door
FR2577980B1 (fr) * 1985-02-27 1987-04-30 Nergeco Sa Rideau souple etanche pour porte accordeon
DE4007280A1 (de) * 1990-02-12 1991-08-14 Norbert Lamsfuss Rolltor
FR2696498B1 (fr) * 1992-10-02 1994-11-25 Nergeco Sa Porte de manutention à rideau souple résistant au vent.
JPH0828164A (ja) * 1994-07-18 1996-01-30 Masaru Hachitani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
JP3675194B2 (ja) * 1998-10-01 2005-07-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電子写真感光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393U (ja) * 1992-06-04 1993-12-27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用ガイドレール
WO1995030064A1 (fr) * 1994-04-29 1995-11-09 Dynaco International Dispositif de fermeture a rideau souple
KR100292458B1 (ko) * 1994-04-29 2001-06-01 베노트 코엔라에츠 가요성 막을 갖는 밀폐장치
JPH11315680A (ja) * 1998-05-06 1999-11-16 Sanwa Shutter Corp 建築用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
JP2000160961A (ja) * 1998-11-24 2000-06-13 Toyo Shutter Co Ltd シートシャッター装置
US9530064B2 (en) * 2012-06-25 2016-12-27 Vehcon, Inc. Vehicle data collection and verific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953006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9334A (zh) 2001-01-10
CN1138053C (zh) 2004-02-11
KR20010006606A (ko) 2001-01-26
JP3554917B2 (ja) 2004-08-18
TW421694B (en) 2001-02-11
SG113384A1 (en) 2005-08-29
JP2001012174A (ja) 200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371B1 (ko) 시트 셔터
MXPA99009728A (es) Dispositivo de guia de puerta con cortina flexible.
RU2310054C2 (ru) Шторка с гибкими боковыми кромками
EP1815100B1 (en) Roller shutter
EP1333148B1 (en) A rolling mosquito net for frames provided with foldaway guides
US5577541A (en) Rolling door assembly having pass door arrangement
JPH08177340A (ja) 建物用シャッタ装置
JP3637481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組立体
GB2137271A (en) Windlocked rolling door
JP4836584B2 (ja) 開閉体装置
GB2093895A (en) Door assembly
JP3637480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
JP3697655B2 (ja) シートシャッターのシート下端部の構造
KR20230020462A (ko) 안전사고 방지 기능을 가지는 방화셔터 장치
JP3944071B2 (ja) 開閉装置
JP2005336779A (ja) 開閉装置
JP2001012165A (ja) シートシャッターのシート構造
EP1598516A1 (en) Door arrangement
KR200389361Y1 (ko) 롤식 방충망
JP3239211B2 (ja) 建築用防火防煙シャッターの撓み防止装置
CN1875166B (zh) 卷闸门装置中的闸门帘提升防止机构
JP4090056B2 (ja) スライド扉装置
US20220235604A1 (en) Door assembly
EP1781886B1 (en) Improved rolling mosquito net provided with foldaway guides
KR20250042994A (ko) 높은 내풍압 유지 기능을 갖는 내화천 스크린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