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5761B1 - 마찰 댐퍼와 이것을 이용한 기어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마찰 댐퍼와 이것을 이용한 기어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761B1
KR100685761B1 KR1020030023577A KR20030023577A KR100685761B1 KR 100685761 B1 KR100685761 B1 KR 100685761B1 KR 1020030023577 A KR1020030023577 A KR 1020030023577A KR 20030023577 A KR20030023577 A KR 20030023577A KR 100685761 B1 KR100685761 B1 KR 10068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gear
friction damper
shaft element
hardn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782A (ko
Inventor
야노요시히로
아츠미도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고요 실링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고요 실링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ublication of KR2004004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76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4Construction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축 요소와, 이 축 요소가 관통하는 기어와, 축 요소와 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롤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축 요소와 기어는 축 중심을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 변속 장치에 사용되는 마찰 댐퍼로서, 이 마찰 댐퍼는 축 요소 또는 기어인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코아와, 이 코아와 일체로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에는 축 요소 또는 기어인 회전 부재의 외주면과 활주 접촉하는 립과, 원주 방향으로 회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윤활 오일 경로가 있다. 코아는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부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롤링 요소 측의 실린더부 에지부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부를 포함한다. 코아의 표면은 경화 처리되어 있다.

Description

마찰 댐퍼와 이것을 이용한 기어 변속 장치{FRICTION DAMPER AND GEAR TRANSMISSION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기어 변속 장치의 마찰 댐퍼를 포함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찰 댐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마찰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찰 댐퍼 코아의 확대 절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마찰 댐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마찰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기어 변속 장치의 마찰 댐퍼를 포함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기어
2 : 기어축
3 : 슬리브
4 : 니들 롤러
5 : 케이지
7 : 마찰 댐퍼
8 : 코아
9 : 탄성 부재
10 : 실린더부
11 : 디스크부
12 : 고정부
13 : 립
15 : 윤활 오일 경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식 변속기와 같은 기어 변속 장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기어로부터 요동 소음(rattle nois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 댐퍼와, 이것을 이용한 기어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변속부에는 엔진의 크랭크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기어와, 이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축이 마련되어 있다. 자동차의 구동 시에 엔진 크랭크축의 불규칙한 진동이 기어에 전달되면, 기어는 특이한 요동 소음을 일으킨다.
이러한 요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기어와 이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축 사이에는, 적절한 마찰을 가하여 요동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어 변속 장치용 마찰 댐퍼(이하, 마찰 댐퍼라고 한다)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어, 일본 무심사 실용 신안 공개 공보 번호 제63-187747호를 참조)
종래의 마찰 댐퍼(50)의 구조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마찰 댐퍼(50)는, 상측 단면이 L자형이고 축(51; 슬리브)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환형 코아(52)와, 이 코아(52)의 외주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환형 탄성 요소(53)를 포함한다.
탄성 요소(53)는 기어(54)의 축 구멍(55)의 전체 주면(周面)에 활주 접촉하는 립(56)을 구비한다. 코아(52)로서, 냉간 수축 탄소강 시트(SPCC; JIS G3141)를 경화처리하지 않고 프레싱하여 사용한다. 경화처리하지 않은 코아(52)가 축(51)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경우에, 코아(52)의 표면 경도가 축(51)의 표면 경도보다 낮으면, 축(51)에 압박되는 코아(52)의 일부가 깍겨져 금속 분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댐퍼는 축 요소와, 이 축 요소가 관통하는 기어와, 축 요소와 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롤링 요소를 포함하고, 축 요소와 기어는 축 중심 둘레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기어 변속 장치에 사용된다. 마찰 댐퍼는 축 요소 또는 기어인 고정 부재의 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코아와, 이 코아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에는 축 요소 또는 기어인 회전 부재의 주면에 활주 접촉하는 립과, 회전 부재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윤활 오일 경로가 있다. 코아는 고정 부재의 주면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부와, 롤링 요소 측의 실린더부의 에지부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디스크부를 포함한다. 코아 표면은 경화처리되어 있다.
전술한 구조의 마찰 댐퍼는 탄성 부재의 립이 회전 부재의 주면과 활주 접촉하도록 하여 기어와 축 요소 사이에 소정의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되어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아 표면은 경화 처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코아가 기어 변속 장치의 회전 부재에 압박되게 부착되면, 마찰 댐퍼가 회전 부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아의 내부는 경화 처리되지 않은 채 기본 재료의 경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력에 의해 코아가 변형되는 일 없이 고정 부재의 주면에 코아를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 변속 장치에 롤링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지가 마련되는 경우, 케이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디스크부와 충돌할지라도, 케이지는 코아의 디스크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찰 댐퍼에 따르면, 코아는 질화침탄 처리(nitrocarburizing treatment)되어, 그 표면이 경화된다. 따라서, 경도와 그 경도를 갖는 표면 깊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변속 장치는 축 요소와, 이 축 요소가 관통하는 기어와, 이 기어와 축 요소 사이에서 자유롭게 롤링하도록 개재되어 있는 롤링 요소와, 기어와 축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이 기어와 축 요소 사이에서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롤링 요소 옆에 배치되어 있는 마찰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축 요소와 기어는 축 중심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마찰 댐퍼 는 축 요소 또는 기어인 고정 부재의 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코아와, 이 코아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축 요소 또는 기어인 회전 부재의 주면에 활주 접촉하는 립과, 원주 방향으로 회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윤활 오일 경로를 포함한다. 코아는 고정 부재의 주면에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부와, 롤링 요소 측의 실린더부 에지 부분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디스크부를 포함한다. 코아 표면은 경화 처리되어 있다. 코아의 표면 경도는 회전 부재 주면의 표면 경도에 상당하거나 약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 댐퍼 코아의 표면은 경화 처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코아가 기어 변속 장치 회전 부재에 압박되게 부착되어, 기어 변속 장치를 조립하면, 마찰 댐퍼가 회전 부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아의 내부는 경화 처리되지 않은 채 베이스 재료의 경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력에 의해 코아가 변형되는 일 없이 고정 부재의 주면에 코아를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 변속 장치에 롤링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지가 마련되는 경우, 케이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디스크부와 충돌하더라도, 케이지는 코아의 디스크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 댐퍼와 기어 변속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각 도면에는 자동차의 수동 변속기에 사용되는 기어 변속 장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음을 유의하라.
(제1 실시예)
도 1은 기어 변속 장치의 마찰 댐퍼를 포함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찰 댐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찰 댐퍼 코아의 확대 절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은 회전 부재인 기어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2는 비회전 부재를 형성하는 기어축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3은 기어축(2)에 외측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슬리브를 나타내고 있다. 기어축(2)과 슬리브(3)는 비회전 부재인 축 요소를 형성하고 있다.
도면 부호 4는 롤링 요소인 니들 롤러를 나타내고 있다. 기어(1)의 축구멍 주면(1a)을 외륜 궤도면으로 이용하고 슬리브(3)의 외주면을 내륜 궤도면으로 이용하는 니들 롤러(4)는 기어(1)와 슬리브(3) 사이에서 자유롭게 롤링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환상 형태를 갖는 케이지(5)의 포켓에 의해 각각 유지되는 복수 개의 니들 롤러(4)는 기어축(2)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3)와 기어(1) 사이에서 소정의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동차 구동 시의 엔진 크랭크축의 불규칙한 진동으로 인한 기어의 요동 소음 또는 공회전 중의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마찰 댐퍼(7)가 마련되어 있다.
마찰 댐퍼(7)는 슬리브(3)의 외주면과 기어(1)의 내주면[축구멍의 주면(1a)]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축방향으로 니들 롤러(4) 옆에 배치되어 있다. 마찰 댐퍼(7)는 가황 고무로 제조된 탄성 부재(9)와 환형 코아로 형성되어 있다.
코아(8)는 베이스 재료로서 두께가 0.6mm인 냉간 수축 탄소강 시트[SPCC(JIS G3142)]를 프레싱하여 형성된다. 코아(8)는 축방향으로부터 슬리브(3)의 외주면에 서 압박되는 실린더부(10)와 디스크부(11)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부(11)는 케이지(5)[니들 롤러(4)] 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되게 실린더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니들 롤러(4)를 향하고 있다. 디스크부(11)의 니들 롤러(4)의 외주 코너부에는 모따기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코아(8)의 전체 표면은 가스 질화침탄 처리에 의해 소정의 깊이(h)까지 경화되어 경화층(8a)을 형성한다. 코아(8)의 내부는 베이스 재료의 경도를 유지하면서 미경화 상태로 남아 있다.
소정의 깊이(h)는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로 설정되어 있다. 코아(8)의 표면 경도는 슬리브(3)의 외주면 경도에 상응하게 예를 들어, HV700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슬리브(3)의 외주면 경도보다 낮은 HV400 내지 HV650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코아(8)의 경화처리되지 않은 부분의 경도는 HV95 내지 HV185이다.
탄성 부재(9)는 가황 프레스에 의해 코아(8)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고, 코아(8)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12)와 기어(1)의 외주면에서 활주 접촉하는 립(13)을 일체로 구비한다. 립(13)은 직경이 증가하고, 니들 롤러(4) 측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고정부(12)의 외주부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립(13)에는 외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의 윤활 오일 경로(15)가 마련되어 있다. 각 윤활 오일 경로(15)는 코아(8) 측을 향하는 오목부가 있는 반원 형태이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마찰 댐퍼(7)는 자동차의 수동식 변속기와 같은 기어 변 속 장치의 슬리브(3)[기어축(2)]의 외주면과 기어(1)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마찰 댐퍼(7)가 슬리브(3)의 외주면과 기어(1)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 립(13)은 기어(1)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어, 립(13)은 탄성에 저항하여 약간 만곡된다. 립(13)은 기어(1)의 내주면에 활주 접촉하여, 소정의 마찰을 발생시킨다. 마찰의 발생은 자동차의 구동 시에 엔진 크랭크축의 불규칙한 진동으로 인한 기어의 요동 소음 또는 공회전 중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마찰 댐퍼(7)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겠다. 냉간 수축 탄소강 시트를 드로잉하여 실린더부(10)와 디스크부(11)를 일체로 성형하고, 이어서 스탬핑하여 슬리브(3)가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이어서, 코아(8)의 전체 표면에 가스 연화 질화처리를 하여, 소정의 깊이(h)까지 전술한 경도를 실현함으로써, 코아(8)를 제공한다. 탄성 부재(9)는 가황 프레스로 미리 성형함으로써 코아(8)와 통합된다. 전술한 가스 연질화처리는 코아(8)가 경화되어야 하는 깊이(h)와 표면 경도의 적절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마찰 댐퍼(7)는 코아(8)의 실린더부(10)를 슬리브(3) 상에서 내부로 압박하여 외측방향에서 장착함으로써 슬리브(3)의 외주면과 기어(1)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코아(8)의 전체 표면은 소정의 깊이(h)까지 전술한 경도를 실현하도록 가스 질화침탄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코아(8)의 실린더부(10)가 슬리브(3)에 의해 깍기고(침식되고), 이에 따라 마찰 댐퍼(7)의 코아(8)의 실린더부(10)가 슬리브(3) 상 에 장착될 때 금속 분말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코아(8)의 표면은 소정의 경도를 갖는 한편, 그 내부는 베이스 재료의 경도를 갖는다. 따라서, 슬리브(3)에 압박될 때, 코아(8)는 변형되는 일 없이 슬리브(3)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니들 롤러(4)를 유지하는 케이지(5)는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고, 코아(8)의 디스크부(11)와 반복적으로 충돌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질화침탄 처리에 의해, 디스크부(11)를 비롯한 코아(8)의 전체 표면은 소정의 깊이(h)까지 경화되어, 케이지(5)가 디스크부(11)와 충돌할지라도, 코아(8)는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부(11)를 비롯한 코아(8)의 전체 표면은 소정의 깊이(h)까지 경화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가 코아(8)에 합체되는 경우에 탄성 부재의 유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기어(1)에 안정된 마찰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마찰 댐퍼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는 기어(1)가 고정 부재로 사용되고, 기어축(2)과 이 기어축에 외측방향으로 장착되는 슬리브로 형성되어 있는 축 요소가 회전 부재로 사용되는 한 가지 예를 보여준다.
제2 실시예의 마찰 댐퍼(20)를 형성하는 코아(21)의 디스크부(22)는 케이지(5) 측의 실린더 부재(23)의 에지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되게 실 린더부(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스 질화침탄 처리에 의해, 코아(20)의 표면 경도는 기어(1)의 내주면에 상당하게 예를 들어, HV700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기어(1)의 내주면보다 낮은 HV400 내지 HV650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탄성 부재(24)는 가황 프레스에 의해 코아(21)의 내주부에 형성되고, 코아(21)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25)와 슬리브(3)의 외주면에 활주 접촉하는 립(26)을 일체로 구비한다.
립(26)은 직경이 감소하고 니들 롤러(4) 측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도록 고정부(25)의 내주부 상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립(26)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의 윤활 오일 경로(28)가 마련되어 있다. 각 윤활 오일 경로(28)는 코아(21) 측을 향하는 오목부가 있는 반원 형태이다. 다른 구성 요소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도록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마찰 댐퍼(20)는 코아(20)의 실린더부(23)가 기어(10)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탄성 부재(24)의 립(26)이 슬리브(3)의 외주면과 접촉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마찰 댐퍼(7)와 다르다.
제2 실시예는 소음이 억제되고, 가스 연질화처리로 코아(21)가 경화되어야 하는 깊이와 표면 경도의 적절한 제어를 용이하게 하며, 금속 분말의 발생이 방지되고, 안정한 마찰이 부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코아(21)의 표면은 소정의 경도를 갖는 한편, 그 내부는 베이스 재료의 경도를 갖는다. 따라서, 기어(1)의 내주면에 압박될 때, 코아(21)는 기어(1)의 내주면 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에, 니들 롤러(4)를 유지하는 케이지(5)는 축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도 있고 코아(21)의 디스크부(22)와 반복적으로 충돌할 수도 있다. 그러나, 코아(21)의 전체 표면은 소정의 깊이까지 경화되어, 코아(21)가 디스크부(22)와 충돌하는 경우일지라도, 코아(21)는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아의 표면이 경화 처리되어 회전 부재에 의해 마찰 댐퍼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코아가 변형되는 일 없이 쉽게 장착될 수 있다.

Claims (8)

  1. 축 요소와, 이 축 요소가 관통하는 기어와, 이 기어와 축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롤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축 요소와 기어는 축 중심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 변속 장치에 사용되는 마찰 댐퍼로서,
    축 요소 또는 기어인 고정 부재의 주면에 부착되는 코아와,
    상기 코아와 일체로 마련되고, 축 요소 또는 기어인 회전 부재의 주면에 활주 접촉하는 립과 원주 방향으로 회전 부재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윤활 오일 경로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아는 고정 부재의 주면에 장착되는 실린더부와, 롤링 요소 측의 실린더부의 에지 부분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고, 코아 표면은 경화 처리되며,
    상기 코아의 전체 표면은 소정의 깊이까지 경화되어 경화층을 형성하고, 코아의 내부는 경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채 베이스 재료의 경도를 유지하며, 코아의 표면 경도는 축 요소 외주면 경도에 상당하거나 약간 낮게 설정되는 것인 마찰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 표면은 가스 질화침탄 처리에 의해 경화되는 것인 마찰 댐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축 요소와,
    상기 축 요소가 관통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와 축 요소 사이에서 자유롭게 롤링하도록 개재되어 있는 롤링 요소와,
    상기 축 요소와 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축 요소와 기어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축방향으로 롤링 요소 옆에 배치되고, 상기 축 요소와 기어는 축 중심을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마찰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댐퍼는 축 요소 또는 기어인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코아와, 이 코아와 일체로 마련되고 축 요소 또는 기어인 회전 부재의 주면에서 활주 접촉하는 립과 원주 방향으로 회전 부재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윤활 오일 경로를 구비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코아는 고정 부재의 주면에 장착되는 실린더부와, 롤링 요소 측의 실린더부 에지 부분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고, 코아 표면은 경화 처리되며,
    상기 코아의 전체 표면은 소정의 깊이까지 경화되어 경화층을 형성하고, 코아의 내부는 경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채 베이스 재료의 경도를 유지하며, 코아의 표면 경도는 회전 부재 주면의 표면 경도에 상당하거나 약간 낮게 설정되는 것인 마찰 댐퍼.
  8. 삭제
KR1020030023577A 2002-11-12 2003-04-15 마찰 댐퍼와 이것을 이용한 기어 변속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85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8273A JP2004162778A (ja) 2002-11-12 2002-11-12 フリクションダンパおよびこれを用いた歯車伝動装置
JPJP-P-2002-00328273 2002-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782A KR20040042782A (ko) 2004-05-20
KR100685761B1 true KR100685761B1 (ko) 2007-02-23

Family

ID=3217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5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5761B1 (ko) 2002-11-12 2003-04-15 마찰 댐퍼와 이것을 이용한 기어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420188A3 (ko)
JP (1) JP2004162778A (ko)
KR (1) KR100685761B1 (ko)
CN (1) CN128983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2414B6 (cs) * 2006-12-21 2011-05-04 Škoda Auto a. s. Zarízení k upevnení serizovaných prvku
EP3190309A4 (en) * 2014-09-03 2018-05-30 NOK Corporation Balance shaft friction damper
CN106196542A (zh) * 2016-08-15 2016-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滚轮机构及具有其的空调器
CN107035202B (zh) * 2017-05-27 2023-09-22 河北工业大学 齿轮传动摩擦阻尼器及装配施工过程
CN111779815B (zh) * 2020-08-04 2023-11-10 上齿集团有限公司 一种降噪式锥齿轮及其制备方法
CN113280096A (zh) * 2021-06-28 2021-08-20 重庆海德世拉索系统(集团)有限公司 组合式双联齿轮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7747U (ko) 1987-05-26 1988-12-01
US5758541A (en) * 1995-04-03 1998-06-02 Koyo Chicago Rawhide Co., Ltd. Engaging noise preventing device for gear transmis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7747A (ja) 1987-01-28 1988-08-03 Nec Corp 2重冗長バスネツトワ−ク装置
DE3830848C1 (ko) * 1988-09-10 1989-12-21 Boehler Ag, 4005 Meerbusch, De
JP2572000B2 (ja) * 1992-12-03 1997-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摺動面構成体
GB2317135B (en) * 1996-09-11 2000-03-29 Yukiyoshi Murakami Manufacturing method for office automation equipment hollow shaft member and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7747U (ko) 1987-05-26 1988-12-01
US5758541A (en) * 1995-04-03 1998-06-02 Koyo Chicago Rawhide Co., Ltd. Engaging noise preventing device for gear transmis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9839C (zh) 2006-12-13
KR20040042782A (ko) 2004-05-20
JP2004162778A (ja) 2004-06-10
CN1499105A (zh) 2004-05-26
EP1420188A2 (en) 2004-05-19
EP1420188A3 (en)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0309B1 (en) Rolling bearing having internal lubrication
US6102822A (en) Pulley
US7108113B2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WO2018216494A1 (ja) 軸受シール構造、プーリ、および軸受シールの設計方法
EP2886900A1 (en) Roller clutch equipped with support bearing
KR100685761B1 (ko) 마찰 댐퍼와 이것을 이용한 기어 변속 장치
US20150030274A1 (en) Roller bearing having internal lubrication
JP3340807B2 (ja) ころ軸受
US5078510A (en) Bearing isolator
EP1403546B1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US6880689B2 (en) Pulley apparatus with built-in roller clutch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2005023997A (ja) ころ、およびころ軸受
GB2072789A (en) A sliding sleeve for a clutch release bearing assembly
JP4306032B2 (ja) オルタネータ用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0291785A (ja) オルタネータ用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6328388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S6298025A (ja) 円筒ころ軸受
JP2004144107A (ja) 転がり軸受密封装置
WO2022065194A1 (ja) 玉軸受及びプーリ
JPH07208461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軸受装置
JP2006046447A (ja) フリクションダンパ
JP2000103335A (ja) 鉄道車両用軸受装置
JP2007255489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JP2021001633A (ja) 転がり軸受
JPH11287255A (ja) 自動調心型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119

Appeal identifier: 2006101003769

Request date: 2006050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5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61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