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5740B1 -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수행하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수행하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740B1
KR100685740B1 KR1020050110213A KR20050110213A KR100685740B1 KR 100685740 B1 KR100685740 B1 KR 100685740B1 KR 1020050110213 A KR1020050110213 A KR 1020050110213A KR 20050110213 A KR20050110213 A KR 20050110213A KR 100685740 B1 KR100685740 B1 KR 10068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address
unit
link information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주
김동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1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링크 정보들을 저장하는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최초로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초기화시키거나, 통신 종료를 위해 기설정된 세션을 종료하는 세션 관리부, 및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집된 링크 정보 중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에 있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는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동적주소설정, 데이터링크계층

Description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TERMINAL OF PERFORMING HAND-OVER USING LINK INFORMATION OF DATA LINK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핸드오버 수행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상대 단말이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단말 장치
20 :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
30 :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40 :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
50 :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
60 : 핸드오버 수행부
70 : 세션 관리부
본 발명은 mSCTP(mobile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기반의 핸드오버(Hand-over)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mSCTP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 단말에 대해 IP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이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중인 IP 주소 정보를 네트워크 상에 설치되는 위치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상대 단말이 위치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과의 연결을 설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 관리 서버와 같은 망장비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동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라우터 간의 터널링 수행 및 망에 대한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여 효율적인 핸드오버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위치 관리 서버와 같은 망장비의 설치없이,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만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장착되어 서로 다른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링크 정보들을 저장하는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최초로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초기화시키거나, 통신 종료를 위해 기설정된 세션을 종료하는 세션 관리부, 및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집된 링크 정보 중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에 있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는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단말 장치의 상기 세션 관리부는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최초로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초기화시키거나, 통신 종료시에는 기설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현재 세션으로부터 삭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단말 장치의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는
단말 장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검색하고, 검색 확인된 모듈들에 대하여 실시간 감시하여 새로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링크 정보들을 수집하며, 수집된 링크 정보를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단말 장치의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는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링크 정보를 판독하고,
만약 판독된 링크 정보에서 새로이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탐지하면,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할당된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상기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하고,
만약 상기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이 아닌 경우, 해당 IP를 현재 세션에 추가할 것을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하고,
만약 판독된 링크 정보 중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데이터 전송 경로를 상기 IP 주소로 변경할 것을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하고,
만약 판독된 링크 정보에서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탐지하면, 탐지된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할당된 IP 주소를 현재 세션으로부터 삭제할 것을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단말 장치의 상기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는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세션에서 해당 IP 주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 전송하며,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며,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IP 주소를 현재 세션의 데이터 전송 경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세션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해당 IP 주소로 변경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며,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서 삭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세션으로부터 해당 IP 주소를 삭제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단말 장치의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만약 세션 관리부에 의해 세션 초기화가 설정되면, 단말 장치와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초기화하며,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현재 세션에 새로운 IP 주소를 추가하도록 설정되면, 현재 세션에 해당 IP 주소를 추가하고 이를 상대 단말로 통지하며,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현재 세션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하도록 설정되면, 현재 세션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해당 IP 주소로 변경하고 이를 상대 단말로 통지하며,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현재 세션의 IP 주소를 삭제하도록 설정되면, 현재 세션으로부터 해당 IP 주소를 삭제하고 이를 상대 단말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상기 단말 장치는 mSCTP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되고, 상기 세션은 mSCT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 장치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의 활성화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링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링크 정보들을 저장하는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와,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를 실행시키고,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최초로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초기화시키거나, 통신 종료를 위해 기설정된 세션을 종료하는 세션 관리부, 및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집된 링크 정보 중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에 있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는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를 포함하며,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SI 7 Layer 중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이종망간의 mSCTP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동적 주소 설정이 가능한 단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크 계층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이종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동적 주소 설정이 가능한 단말 장치가 포함되는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10)은 IP기반의 서로 다른 이종망들(100, 11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종망들을 따라 이동하는 단말 장치(120)들은 링크 계층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 동적 주소 설정을 가능케하는 모듈 및 mSCTP 스택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단말 장치(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내부에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휴대인터넷(Wibro)을 지원하는 휴대인터넷 인터페이스 모듈, 무선LAN을 지원하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 모듈, CDMA 통신을 지원하는 CDMA 인터페이스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이종망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이동하는 상기 단말 장치(120)는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A 지역)을 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신을 위한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IP 주소를 할당받은 상기 단말 장치(120)는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과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자신에게 부착되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모듈들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감시한다. 상기 단말 장치(120)는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탐지하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IP 주소를 mSCTP를 기반으로 하는 세션에 설정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설정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대 단말 장치와의 mSCTP 세션이 개시되고 통신이 수행된다. 통신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단말 장치는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새로운 영역인 B 지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 중 상기 B 지역의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활성화되며, 상기 단말 장치는 링크 계층에서 이를 탐지하여 핸드오버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핸드오버 수행을 결정하게 되면, 상기 단말 장치는 동적 주소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mSCTP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크 계층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이종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이 가능한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20)는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20),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30),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40),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50), 핸드오버 수행부(60), 세션 관리부(70)로 이루어진다. 이하, 전술한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20)는 단말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을 검색하고, 단말 장치의 이동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탐지하고, 이들에 대한 링크 정보들을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
도 3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20)가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의 활성/비활성 상태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초기에 단말 장치의 링크 계층에 장착되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을 탐색한 후(단계 200), 탐색 확인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최초로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한 링크 정보를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한다(단계 210). 다음, 탐색 확인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단말 장치의 링크 계층에 새로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감시한다(단계 220). 만약 새로이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탐지되면(단계 230), 새로이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한 링크 정보를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단계 240), 기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비활성화 여부를 탐지한다(단계 250). 만약, 기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비활성화되었다면, 비활성화된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한 링크 정보를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종료한다(단계 260).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30)는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에 관한 정보,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정보 및 해당 IP 정보, 신호 강도(Signal Strength) 등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40)는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정보들을 판독하여 분석한 후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는 단말 장치의 이동에 따라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링크 상태 정보와 신호 강도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40)가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핸드오버 수행 결 정부(40)는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링크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400), 판독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410).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된 링크 정보로부터 새로이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탐지되면(단계 420),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해당하는 IP 주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의 링크 정보를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전송하여 해당 IP 주소가 세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 요청한다(단계 430).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해당 IP 주소가 사용되지 않는 주소임이 확인되면(단계 440), 해당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하도록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요청한다(단계 450).
다음, 만약 새로이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단계 460), 현재 세션에서의 단말 장치와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해당 IP 주소로 변경할 것을 상기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한다(단계 470).
다음, 상기 수신된 링크 정보로부터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인 IP 주소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비활성화되었음이 탐지되면, 해당 IP 주소를 현재 연결중인 세션에서 삭제할 것을 상기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한 후(단계 480), 종료한다.
상기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50)는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에서 핸드 오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새로이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한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해당 IP 주소가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는 추가하도록 하며, 데이터 송수신 경로의 변경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변경하도록 하며, 기존에 사용하던 IP 주소에 대해 삭제 확인하거나 삭제하도록 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핸드오버 수행과 관련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500).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특정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510),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서 현재 세션에서 해당 IP 주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응답 메시지를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 전송한다(단계 512).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핸드오버 수행 결정을 위해 해당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520),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서 해당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한다(단계 522).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핸드오버 수행 결정을 위해 해당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서 데이터 송수신 경로로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530),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는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해당 IP 주소로 변경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한다(단계 532).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핸드오버 수행 결정을 위하여 해당 IP 주 소를 현재 세션에서 제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540),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는 해당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서 제거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한다(단계 542).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60)는 실제 핸드오버 수행을 위하여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서 설정한 대로 수행하고 상대 단말에 요청 및 응답을 받는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핸드오버 수행부가 수행하는 핸드오버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만약 세션 관리부에 의해 세션 초기화가 설정되면, 핸드오버 수행부는 이동 단말 장치와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초기화한다.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현재 세션에 새로운 IP 주소의 추가가 설정되면, 핸드오버 수행부는 추가 요청을 받은 IP 주소를 이동 단말 장치와 상대 단말 사이에 연결된 세션에 추가하고 이를 상대 단말에게 통지한다.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상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의 주소를 해당 IP 주소로 변경하고 변경된 IP 주소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것을 상대 단말로 요청한다.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기존에 사용하던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서 제거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해당 IP 주소를 현재 세션으로부터 삭제하고 상대 단말에게 해당 IP 주소의 삭제를 요청한다.
상기 세션 관리부(70)는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의 작동을 실행시키고,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탐지된 최초로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개시하고, 상대 단말과의 통신이 종료되는 경우 상대 단말과 설정된 세션을 종료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상대 단말이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대 단말은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700),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현재 세션에 새로운 IP 주소를 추가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710), 상대 단말은 현재 세션에 해당 IP 주소를 추가하고 요청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712).
만약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경로의 IP 주소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720), 상대 단말은 해당 IP 주소로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변경하고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722).
만약 이동 단말 장치가 기존의 IP 주소를 현재 세션으로부터 삭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730), 상대 단말은 해당 IP 주소를 현재 세션으로부터 삭제하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732).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 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네트워크 상에 별도의 위치 관리 서버를 배치하지 않더라도, 서로 다른 이종 망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이동하는 단말 장치들이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의 정보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mSCTP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단말 장치의 이동에 따라 새로운 영역에 해당하는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의 활성화를 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주소를 동적으로 mSCTP 세션에 추가하여 세션의 끊김없는 핸드 오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차세대 All-IP 기반의 무선 통신망에서 링크 계층의 정보를 이용하여 mSCTP 기반의 IP 핸드 오버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되며, 특히 현재 상용화 단계에 잇는 802.16e 기반의 휴대인터넷망(Wibro)과 무선랜망(WLAN) 간의 연동망이나, 휴대인터넷망(Wibro)과 CDMA 와 같은 이동 망간의 연동망에서, 이동 단말의 세션 연속적이면서 자동적인 mSCTP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소프트웨어만으로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 단말과 상대 단말에 mSCTP 프로토콜 스택만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망 장비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 투자없이 소프트웨어의 추가만으로 효율적이면서도 자동적인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장착되어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의 활성화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링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링크 정보들을 저장하는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최초로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초기화시키거나, 통신 종료를 위해 기설정된 세션을 종료하는 세션 관리부; 및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집된 링크 정보 중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에 있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는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부는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최초로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초기화시키거나, 통신 종료시에는 기설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현재 세션으로부터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는
    단말 장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검색하고, 검색 확인된 모듈들에 대하여 실시간 감시하여 새로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링크 정보들을 수집하며, 수집된 링크 정보를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는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링크 정보를 판독하고,
    만약 판독된 링크 정보에서 새로이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탐지하면,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할당된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상기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하고,
    만약 상기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이 아닌 경우, 해당 IP를 현재 세션에 추가할 것을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하고,
    만약 판독된 링크 정보 중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데이터 전송 경로를 상기 IP 주소로 변경할 것을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하고,
    만약 판독된 링크 정보에서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탐지하면, 탐지된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할당된 IP 주소를 현재 세션으로부터 삭제할 것을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는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세션에서 해당 IP 주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 전송하며,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가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며,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IP 주소를 현재 세션의 데이터 전송 경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세션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해당 IP 주소로 변경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며,
    만약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로부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서 삭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세션으로부터 해당 IP 주소를 삭제하도록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만약 세션 관리부에 의해 세션 초기화가 설정되면, 단말 장치와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초기화하며,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현재 세션에 새로운 IP 주소를 추가하도록 설정되면, 현재 세션에 해당 IP 주소를 추가하고 이를 상대 단말로 통지하며,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현재 세션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하도록 설정되면, 현재 세션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해당 IP 주소로 변경하고 이를 상대 단말로 통지하며,
    만약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에 의해 현재 세션의 IP 주소를 삭제하도록 설정되면, 현재 세션으로부터 해당 IP 주소를 삭제하고 이를 상대 단말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mSCTP 프로토콜 스택이 탑재되고, 상기 세션은 mSCT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들의 활성화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링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링크 정보들을 저장하는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링크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의 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를 실행시키고, 상기 링크 계층 정보 수집부에 의해 최초로 탐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 대해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을 초기화시키거나, 통신 종료를 위해 기설정된 세션을 종료하는 세션 관리부; 및
    상기 핸드오버 수행 결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집된 링크 정보 중 IP 주소가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에 있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IP 주소를 현재 세션에 추 가, 삭제 또는 변경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에 설정하는 동적 주소 설정 관리부;
    를 포함하며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동적 주소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50110213A 2005-11-17 2005-11-17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068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13A KR100685740B1 (ko) 2005-11-17 2005-11-17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수행하는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13A KR100685740B1 (ko) 2005-11-17 2005-11-17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수행하는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740B1 true KR100685740B1 (ko) 2007-02-22

Family

ID=3810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213A KR100685740B1 (ko) 2005-11-17 2005-11-17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수행하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7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6557A1 (en) * 2012-01-31 2013-08-08 Comtech Ef Data Corp. A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network link budget analysis
US8914536B2 (en) 2012-01-31 2014-12-16 Comtech Ef Data Corp.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multi-layer, multi-dimensional link budget analysis (LBA) using real-time network, weather, satellite ephemeras and ionospheric information
US8959189B2 (en) 2012-02-07 2015-02-17 Comtech Ef Data Corp.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a network using historical weather information and operation with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ACM)
KR101848610B1 (ko) * 2015-08-20 2018-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시간 충전 데이터 모니터링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917A (ko) * 2001-12-29 2002-03-29 박재홍 무선랜 기반의 액세스망에서 핸드오프 방법
KR20020058405A (ko) * 2000-12-30 2002-07-12 박종섭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 망에서의 패킷 전용 단말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KR20040073843A (ko) * 2003-02-15 2004-08-21 홍충선 모바일 아이피 망에서의 빠른 핸드오버 방법
KR20050053172A (ko) * 2003-12-02 200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Ip기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서로 다른 무선인터페이스를 갖는 기지국간 핸드오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405A (ko) * 2000-12-30 2002-07-12 박종섭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 망에서의 패킷 전용 단말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KR20020023917A (ko) * 2001-12-29 2002-03-29 박재홍 무선랜 기반의 액세스망에서 핸드오프 방법
KR20040073843A (ko) * 2003-02-15 2004-08-21 홍충선 모바일 아이피 망에서의 빠른 핸드오버 방법
KR20050053172A (ko) * 2003-12-02 200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Ip기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서로 다른 무선인터페이스를 갖는 기지국간 핸드오프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6557A1 (en) * 2012-01-31 2013-08-08 Comtech Ef Data Corp. A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network link budget analysis
US8914536B2 (en) 2012-01-31 2014-12-16 Comtech Ef Data Corp.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multi-layer, multi-dimensional link budget analysis (LBA) using real-time network, weather, satellite ephemeras and ionospheric information
US8959189B2 (en) 2012-02-07 2015-02-17 Comtech Ef Data Corp.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a network using historical weather information and operation with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ACM)
KR101848610B1 (ko) * 2015-08-20 2018-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시간 충전 데이터 모니터링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5853B2 (ja) 無線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移動局
US7904086B2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handoff of mobile devices between wireless systems
TWI531263B (zh) 用以維持分散式無線網路上之通信連接的方法、裝置及電腦程式產品
US91488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tical handoff with target traffic channel setup conveyed via source channel
KR100810207B1 (ko) 패킷 교환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코어 네트워크 개체들 간의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4971312B2 (ja) Sctp基盤のハンドオーバ機能を具備した端末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KR101375540B1 (ko)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JP2003333639A (ja) 異種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前認証、サービス適合、プリキャッシュ、および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なアプリケーション層でのトリガリングメカニズム
CA2598473A1 (en) Supporting handover of multi-mode mobile terminal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JP2003348007A (ja) 無線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並びに無線リソース管理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CN111093225A (zh) 一种数据路径服务质量的监视及报告方法、装置及介质
US8520627B2 (en) Method of conducting handover of mobile node, and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MX2007010740A (es) Proporcion de informacion de protocolo de administracion de movilidad a una terminal movil para realizar transferencia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US7471950B1 (en) Base station controlled vertical handoff in a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85740B1 (ko)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수행하는 단말 장치
CN113810968B (zh) 一种用户面网元upf切换方法、装置及设备
JP4574193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モビリティ管理装置
KR100922581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0912535B1 (ko)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
KR101190856B1 (ko) 이동 노드에서 사용자 선호에 기반하여 액세스 망 선택이가능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808339B1 (ko) 메시 네트워크 내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핸드 오프방법
US7400602B2 (en) Hysteresis methods for an always-on mobile station
JP2002191066A (ja) 移動通信端末管理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管理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KR100833999B1 (ko) 멀티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끊김없는이동성 관리방법
KR20080037173A (ko) 통신망 전환 접속 방법 및 통신망 전환 접속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